KR20100126040A - 미닫이 도어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미닫이 도어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6040A
KR20100126040A KR1020090045077A KR20090045077A KR20100126040A KR 20100126040 A KR20100126040 A KR 20100126040A KR 1020090045077 A KR1020090045077 A KR 1020090045077A KR 20090045077 A KR20090045077 A KR 20090045077A KR 20100126040 A KR20100126040 A KR 20100126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upled
doors
sliding door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송연
Original Assignee
김송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송연 filed Critical 김송연
Priority to KR1020090045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6040A/ko
Publication of KR20100126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4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틀에 결합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측면문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샤시와; 하부문틀에 결합되며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하부샤시와; 상기 하부샤시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상부문틀에 형성된 레일홈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도어와; 상기 복수의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도어가 상호 연동되어 개폐되도록 상기 복수의 도어를 결합시키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다양한 규격의 장소에 호환하여 설치할 수 있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를 제공한다.
미닫이 도어 조립체, 도어 조립체, 연동 도어

Description

미닫이 도어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SLIDING DOOR ASSEMBLY AND ESTABLISH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미닫이 도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간단한 구조로 시공해야할 장소의 규격에 따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획된 공간에는 도어 조립체가 설치된다. 도어 조립체는 개폐방식에 따라 미닫이 도어 조립체와 여닫이 도어 조립체로 구분된다. 미닫이 도어 조립체는 도어를 슬라이드 이동하며 개구부를 개폐하는 것이고, 여닫이 도어 조립체는 도어를 회동하며 개구부를 개폐하는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도어 조립체는 현관문과 거실의 사이,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 장착된다. 미닫이 도어 조립체는 복수의 도어가 상호 인접하게 복수의 영역을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종래 미닫이 도어 조립체는 상부문틀과 하부문틀 사이에 장착된다. 미닫이 도어 조립체는 상부문틀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된 상부샤시와, 하부문틀에 결합되는 하부샤시와, 상부샤시와 하부샤시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도어를 포함한다. 도어의 상부에는 상부샤시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도어를 이동시키는 롤러유닛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미닫이 도어 조립체는 상부샤시, 하부샤시, 도어가 하나의 패키지 형태로 설치되어야 할 장소의 문틀 규격에 맞게 제작된다. 즉, 상부샤시, 하부샤시, 도어 및 도어의 롤러유닛의 크기가 규격별로 세트화되어 제작되므로 규격이 다른 장소에 호환되어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해당 규격이 아닌 장소에 미닫이 도어 조립체를 설치하고자 하면 별도로 주문 생산하거나 설치 장소를 규격에 맞도록 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이에 따른 비용의 증가가 수반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설치장소의 규격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닫이 도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복수의 도어가 보다 간단한 구조로 상호 연동되어 개폐될 수 있는 미닫이 도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전체 구성을 간단히 하고 시공 과정을 단축하여 시공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미닫이 도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미닫이 도어 조립체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미닫이 도어 조립체는, 측면문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샤시와; 하부문틀에 결합되며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하부샤시와; 상기 하부샤시의 가이드레일과 상부문틀에 형성된 레일홈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도어와; 상기 복수의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도어가 상호 연동되어 개폐되도록 상기 복수의 도어를 결합시키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어는, 도어본체와; 상기 도어본체의 상 단면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홈에 수용되며 상기 도어의 이동방향에 나란하게 자유회전가능하게 구비된 롤러유닛과; 상기 도어본체의 하부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호차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복수의 도어 중 어느 하나의 상단면에 구비된 한 쌍의 벨트풀리와; 상기 한 쌍의 벨트풀리에 결합된 벨트와; 일단부는 상기 복수의 도어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벨트에 결합되어 상기 벨트의 회전을 상기 다른 하나의 도어에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미닫이 도어 조립체 시공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미닫이 도어 조립체 시공방법은 상부문틀에 레일홈을 가공하는 단계와; 하부문틀의 길이에 맞게 하부샤시를 절단하고, 절단된 하부샤시를 하부문틀에 결합시키는 단계와; 측면문틀에 측면샤시를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레일홈과 상기 하부샤시 사이에 복수의 도어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도어 어셈블리는 상부샤시의 구성없이 도어가 직접 상부문턱에 결합되므로 전체 구성이 종래 미닫이 도어 어셈블리에 비해 간략해질 수 있다. 또한, 측면샤시와 하부샤시가 문틀의 규격에 맞게 절단되어 사용되므로 다양한 규격에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종래 구성에 비해 상부샤시의 구성이 삭제되고 롤러유닛 보다 간단한 구조의 롤러유닛이 사용되므로 시공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도어 어셈블리(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도어 어셈블리(100)의 측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도어 어셈블리(100)는 설치되어야할 장소의 개구를 형성하는 문틀의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샤시(110)와, 하부문틀(300)에 결합되는 하부샤시(120)와, 하부샤시(120)와 상부문틀(200) 사이에 결합되어 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복수의 도어(130,140,150)를 포함한다.
측면샤시(110)는 미닫이 도어 어셈블리(100)가 설치되어야 할 개구부를 형성하는 문틀의 측면에 결합된다. 측면샤시(110)는 복수의 도어(130,140,150)가 닫여 있는 경우 제1도어(130)와 제3도어(150)와 접촉한다.
하부샤시(120)는 하부문틀(300)에 결합되며 가이드레일(121)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샤시(120)는 시공시 하부문틀(300)의 크기게 맞게 절단되어 결합된다. 즉, 설치되어야할 장소의 규격에 맞게 제작되어 공급되어 지지 않고, 설치할 장소에 맞게 직접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부샤시(120)에는 호차유닛(135)의 바퀴(135b)를 이송안내하는 가이드레일(121)이 형성된다. 가이드레일(1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세 개의 도어(130,140,150)가 구비되는 경우 동일한 간격으로 세 개가 형성된다. 도3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부샤시(120)의 두께가 크게 도시하였으나 실예에서는 공간의 활용을 위해 얇은 판상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측면샤시(110)와 하부샤시(120)는 나무, 알루미늄, 스틸 등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도어(130,140,150)는 하부샤시(120)와 상부문틀(200)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종래 미닫이 도어 어셈블리(도1의 10)와 비교할 때 상부샤시의 구성이 삭제되고 도어(130,140,150)가 직접 상부문틀(20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부문틀(200)에는 도어(130,140,150)의 롤러유닛(133)을 수용하는 레일홈(210)이 형성된다. 레일홈(210)은 롤러유닛(133)의 높이보다 일정 길이 깊게 형성된다. 이는 도어(130,140,15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정 간격 유격을 주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어셈블리(100)는 세 개의 도어(130,140,150)가 구비된다. 제1도어(130)는 개구영역을 분할하여 개폐하는 도어본체(131)와, 도어본체(131)의 상단면에 구비되어 상부문틀(200)의 레일홈(210)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롤러유닛(133)과, 도어본체(131)의 하단면에 구비되어 하부샤시(120)의 가이드레일(12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호차유닛(135)을 포함한다. 도어본체(131)는 판상으로 구비되어 하부샤시(120)와 상부문틀(200)을 따라 좌우로 이동한다. 도어본체(131)는 나무, 스틸, 알루미늄 등 다양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도어본체(131)의 중앙영역에는 유리 등으로 구비된 도어패널(137)이 구비된다.
롤러유닛(133)은 도3에 확대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본체(131)의 상단면에 결합된다. 롤러유닛(133)은 도어본체(131)에 결합되는 결합부(133a)와, 결합부(133a)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회전축(133b)과, 회전축(133b)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자유회전하는 롤러(133c)를 포함한다. 롤러(133c)는 회전축(133b)을 따라 도어(130,140,150)의 이동방향에 횡방향으로 이동한다. 롤러(133c)의 직경은 상부문틀(200)의 레일홈(210)의 폭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롤러(133c)는 사용자가 도어본체(131)를 가압하면 레일홈(210)의 내벽면과 접촉하며 회전하여 도어본체(131)가 직선이동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러(133c)는 롤러(133c)의 회전축(133b)이 도어(130)의 상단면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롤러(133c)를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없다. 즉,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미닫이 도어 어셈블리(10)는 롤러유닛(133c)의 회전축이 제1도어(130)의 상단면에 평행하게 구비되므로 상부샤시는 롤러유닛(133c)의 폭에 맞도록 별도 설계되어야 했다. 본 발명의 롤러유닛(133)은 롤러(133c)가 회전축(133b)을 따라 자유회전하게 되므로 상부문틀(200)에 롤러(133c)의 직경에 대응하는 폭의 레일홈(210)만 가공할 경우 어떠한 크기와 폭의 도어에도 장착이 가능한 잇점이 있다.
여기서, 롤러유닛(133)은 롤러의 직경 별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작업현장에서 상부문틀과 도어의 폭에 적합한 직경으로 선택하여 도어에 부착될 수 있다.
결합부(133a)는 제1도어(130)의 상단면에 롤러(133c)를 고정시킨다. 결합부(133a)는 나사 또는 리벳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제1도어(130)의 상단면에 장착된다.
호차유닛(135)은 제1도어(13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제1도어(130)가 하부샤시(120)를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호차유닛(135)은 제1도어(130)의 하부영역에 수용결합되는 호차본체(135a)와, 호차본체(135a) 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이드레일(121)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135b)를 포함한다.
제2도어(140)와 제3도어(150)는 제1도어(13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도어(130), 제2도어(140) 및 제3도어(150)는 개구부를 분할하여 폐쇄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개구부를 개방한다.
도4a와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부(160)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연동부(160)는 제2도어(140)에 구비되어 제1도어(130) 또는 제3도어(150)의 개폐 이동에 따라 나머지 도어(130,140,150)가 연동하여 이동되도록 한다. 연동부(160)는 제2도어(140)의 상부에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 한 쌍의 벨트풀리(161,163)와, 한 쌍의 벨트풀리(161,163)에 결합된 벨트(165)와, 벨트(165)의 이 동력을 제1도어(130)와 제3도어(150)로 각각 전달하는 한 쌍의 전달부재(167,169)를 포함한다.
한 쌍의 벨트풀리(161,163)는 제2도어(140)의 상측에 배치된 한 쌍의 롤러유닛(133) 사이에 배치된다. 벨트(165)는 한 쌍의 벨트풀리(161,163)가 상호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벨트풀리(161,163)의 외주에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165)는 와이어로 구비되며 제2도어(140)의 폭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전달부재(167)는 일단부는 벨트풀리(161,163)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3도어(150)에 결합된다. 제2전달부재(169)는 일단부는 벨트풀리(161,163)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1도어(130)에 결합된다. 전달부재(167,169)는 클립형상의 결합편으로 구비되어 벨트(165)의 이동력을 제1도어(130) 또는 제3도어(150)로 전달한다.
이하에서는 도5a와 도5b를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어셈블리(100)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여기서, 도5a와 도5b는 제1도어(130), 제2도어(140) 및 제3도어(150) 중 제3도어(150)가 잠금장치(미도시)에 의해 고정결합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제3도어(150)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제1도어(130)를 가압하면 제1도어(130)는 롤러유닛(133)과 호차유닛(135)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즉, 롤러유닛(133)의 롤러(133c)가 상부문틀(200)의 레일홈(210)을 따라 이동하고, 호차유닛(135)의 바퀴(135b)가 가이드레일(121)을 따라 이동하여 제1도어(130)가 이동한다. 이 때, 제1도어(130)가 이동하면 제2전달부재(169)가 이동하게 되고, 제2전달부재(169)의 이 동에 따라 벨트풀리(161,163)가 회전하게 된다. 제3도어(150)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2도어(140)도 제1도어(130)가 이동한 거리만큼 연동하여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2도어(140)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 제1도어(130)의 이동에 따라 제3도어(150)가 연동되어 이동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도어 어셈블리는 상부샤시의 구성없이 도어가 직접 상부문턱에 결합되므로 전체 구성이 종래 미닫이 도어 어셈블리에 비해 간략해질 수 있다. 또한, 측면샤시와 하부샤시가 문틀의 규격에 맞게 절단되어 사용하므로 다양한 규격에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종래 구성에 비해 상부샤시의 구성이 삭제되므로 시공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도어 어셈블리(100)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작업자는 미닫이 도어 어셈블리(100)를 시공해야하는 문턱의 상부에 레일홈(210)을 가공한다(S110). 레일홈(210)은 롤러유닛(133)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가공된다. 레일홈(210)의 가공이 완료되면 측면문턱에 측면샤시(110)를 결합시킨다(S120). 그리고, 하부문턱의 길이와 폭에 대응하도록 하부샤시(120)를 절단하여 하부문틀(300)에 결합시킨다(S130).
하부샤시(120)의 시공이 완료되면 복수의 도어(130,140,150)를 하부샤시(120)와 상부문틀(200)에 결합시킨다(S140). 이 때, 도어(130,140,150)의 상단면에 롤러유닛(133)을 결합시킬 수 있다. 롤러유닛(133)은 미리 도어(130,140,150)에 결합되어 운송되거나 작업장에서 도어(130,140,150)의 규격에 맞는 것으로 선택되 어 결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도어 어셈블리 시공방법은 상부샤시를 상부문틀에 결합시키는 과정이 생략되고, 상부문틀 상에 롤러유닛이 수용되는 가이드홈을 직접 가공하고 도어를 결합시키므로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시공비용도 감소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어셈블리는 세 개의 도어를 갖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네 개 이상의 도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연동부도 복수개의 도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미닫이 도어 어셈블리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도어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도어 어셈블리의 측면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3a와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도어 어셈블리의 연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와 측면도,
도 4a와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도어 어셈블리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동작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도어 어셈블리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미닫이 도어 조립체 110 : 측면샤시
120 : 하부샤시 121 : 가이드레일
130 : 제1도어 131 : 도어본체
133 : 롤러유닛 133a : 결합부
133b : 회전축 133c : 롤러
135 : 호차유닛 137 : 도어패널
140 : 제2도어 150 : 제3도어
160 : 연동부 161, 163 : 벨트풀리
165 : 벨트 167 : 제1전달부재
169 : 제2전달부재 200 : 상부문틀
210 : 레일홈 300 : 하부문틀

Claims (4)

  1. 문틀에 결합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에 있어서,
    측면문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샤시와;
    하부문틀에 결합되며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하부샤시와;
    상기 하부샤시의 가이드레일과 상부문틀에 형성된 레일홈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도어와;
    상기 복수의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도어가 상호 연동되어 개폐되도록 상기 복수의 도어를 결합시키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어는,
    도어본체와;
    상기 도어본체의 상단면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홈에 수용되며 상기 도어의 이동방향에 나란하게 자유회전가능하게 구비된 롤러유닛과;
    상기 도어본체의 하부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호차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복수의 도어 중 어느 하나의 상단면에 구비된 한 쌍의 벨트풀리와;
    상기 한 쌍의 벨트풀리에 결합된 벨트와;
    일단부는 상기 복수의 도어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벨트에 결합되어 상기 벨트의 회전을 상기 다른 하나의 도어에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4. 미닫이 도어 조립체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부문틀에 레일홈을 가공하는 단계와;
    하부문틀의 길이에 맞게 하부샤시를 절단하고, 절단된 하부샤시를 하부문틀에 결합시키는 단계와;
    측면문틀에 측면샤시를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레일홈과 상기 하부샤시 사이에 복수의 도어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시공방법.
KR1020090045077A 2009-05-22 2009-05-22 미닫이 도어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00126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077A KR20100126040A (ko) 2009-05-22 2009-05-22 미닫이 도어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077A KR20100126040A (ko) 2009-05-22 2009-05-22 미닫이 도어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040A true KR20100126040A (ko) 2010-12-01

Family

ID=43504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077A KR20100126040A (ko) 2009-05-22 2009-05-22 미닫이 도어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60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7480A (zh) * 2019-05-22 2019-07-30 许华柳 一种联动式淋浴房推拉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102U (ko) * 1995-06-02 1997-01-21 정석종 입제 및 분제 농약살포기
KR970052082U (ko) * 1996-02-14 1997-09-08 조운제 미닫이 문짝의 가이드로울러 결합구조
KR0121567Y1 (ko) * 1994-08-26 1999-03-30 조명호 창용 새시
KR20000018460U (ko) * 1999-03-19 2000-10-16 신석수 다용도 조립식 가구
KR20010036191A (ko) * 1999-10-06 2001-05-07 오석택 슬라이딩 도어의 포켓 프레임
KR20010054694A (ko) * 1999-12-07 2001-07-02 박용기 샤시프레임 시공방법
KR200441299Y1 (ko) * 2007-11-19 2008-08-05 우병철 미닫이 장롱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567Y1 (ko) * 1994-08-26 1999-03-30 조명호 창용 새시
KR970000102U (ko) * 1995-06-02 1997-01-21 정석종 입제 및 분제 농약살포기
KR970052082U (ko) * 1996-02-14 1997-09-08 조운제 미닫이 문짝의 가이드로울러 결합구조
KR20000018460U (ko) * 1999-03-19 2000-10-16 신석수 다용도 조립식 가구
KR20010036191A (ko) * 1999-10-06 2001-05-07 오석택 슬라이딩 도어의 포켓 프레임
KR20010054694A (ko) * 1999-12-07 2001-07-02 박용기 샤시프레임 시공방법
KR200441299Y1 (ko) * 2007-11-19 2008-08-05 우병철 미닫이 장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7480A (zh) * 2019-05-22 2019-07-30 许华柳 一种联动式淋浴房推拉门
CN110067480B (zh) * 2019-05-22 2024-03-15 许华柳 一种联动式淋浴房推拉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50530A1 (en) Sliding Door
KR101419900B1 (ko) 슬림 구조의 문짝에 적용할 수 있는 3연동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연동 미닫이 창호
US20050285484A1 (en) Furniture unit using dual slider mechanism
EP3299752B1 (en) Refrigerator
KR101860577B1 (ko) 윈도우 또는 도어의 이동 가능한 윙을 위한 피팅
KR20100126040A (ko) 미닫이 도어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85654B1 (ko)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문용 호차
KR20100120035A (ko) 미닫이 도어 조립체
US8205930B1 (en) Vehicle door with an irregular-circular frame for a recreational vehicle
KR100903047B1 (ko)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KR20220082252A (ko) 상호 연동형 미닫이 도어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27606Y1 (ko) 공작기계용 슬라이드 도어장치
EP2000521A3 (de) Koksofenbedienungseinrichtung zur Reinigung eines Ofentürstopfens
GB2438627A (en) Locking assembly comprising pins mounted both on locking piece and racks
KR200396366Y1 (ko)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리프터
CN204899481U (zh) 一种锁舌翻转自锁装置
KR101698458B1 (ko)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
CN105899747A (zh) 淋浴房开关门
KR20110032902A (ko) 미닫이 도어 조립체
KR101917240B1 (ko) 창호용 샤시
KR20110011771A (ko) 롤권취 도어
KR102043592B1 (ko) 편의성 및 방범성을 높인 창호
JP6461669B2 (ja) 揺動窓のロック操作装置
KR101550405B1 (ko) 방풍장치를 구비한 3중 연동 도어
KR200281172Y1 (ko) 창문과 창틀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