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6009A - 착탈식 발광 장치 - Google Patents

착탈식 발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6009A
KR20100126009A KR1020090045032A KR20090045032A KR20100126009A KR 20100126009 A KR20100126009 A KR 20100126009A KR 1020090045032 A KR1020090045032 A KR 1020090045032A KR 20090045032 A KR20090045032 A KR 20090045032A KR 20100126009 A KR20100126009 A KR 20100126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driving circuit
speaker
emitting device
elastic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한주
김인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키인텍
김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키인텍, 김인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키인텍
Priority to KR1020090045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6009A/ko
Publication of KR20100126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0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06Dolls provided with electrical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1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with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08Clothing or clothing accessories, e.g. scarfs, gloves or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식 발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산 꼭지, 가방, 의류에 부착되어 차량 운전자가 시인성이 떨어지는 환경(야간, 비오는 야간 등)에서 보행자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발광할 뿐만 아니라, 납치 등 위험 상황 발생시 스피커를 통해 알람을 발생시켜 보행자의 안전한 보행을 확보할 수 있는 착탈식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착탈식, 발광 장치, LED, 스피커

Description

착탈식 발광 장치 {Detachable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착탈식 발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산 꼭지, 가방, 의류에 부착되어 차량 운전자가 시인성이 떨어지는 환경(야간, 비오는 야간 등)에서 보행자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발광할 뿐만 아니라, 납치 등 위험 상황 발생시 스피커를 통해 알람을 발생시켜 보행자의 안전한 보행을 확보할 수 있는 착탈식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야간 또는 비오는 야간과 같이 시인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환경에서 운전을 하는 경우 운전자는 자동차의 라이트 불빛과 도로에 설치된 가로등 불빛에 의존하여야 하므로 시인성 확보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운전중 조금만 주위를 소홀히 할 경우 보행자를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교통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시인성이 떨어지는 새벽에 도로 인근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환경 미화원의 경우 교통사고 피해가 가장 크며, 교통 안전사고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 해 시인성이 떨어지는 환경에서 운전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형광 조끼를 착용하게 함으로써 교통사고 피해를 줄이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보행자의 경우 부피가 커서 휴대가 어렵기 때문에 형광조끼 등과 같은 수단을 구비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시인성이 떨어지는 환경에서 여전히 교통사고 피해의 우려가 높은 문제가 있다.
특히,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아동의 경우 시인성이 떨어지는 환경에서의 보행시 그 위험성이 더 클 수 밖에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우산 꼭지, 가방, 의류에 부착되어 차량 운전자가 시인성이 떨어지는 환경(야간, 비오는 야간 등)에서 보행자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발광할 뿐만 아니라, 납치 등 위험 상황 발생시 스피커를 통해 알람을 발생시켜 보행자의 안전한 보행을 확보할 수 있는 착탈식 발광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발광 장치는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장착부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발광칩을 구동시키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장착부는 돌출부보다 직경이 작은 관통홀을 구비한 탄성 지지체와 상기 탄성 지지체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경우 상부로 가압되어 상부 구동 스위치를 턴온시키는 탄성 패드 및 상기 탄성 지지체와 탄성 패드를 지지하는 지지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 지지체와 탄성 패드는 탄성을 구비한 고무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 지지체는 상기 지지몸체와 착탈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탄성패드와 이격되어 형성되고, 돌출부에 의해 상기 탄성패드가 가압되어 접촉될 경우 턴온 되는 구동스위치와 상기 구동스위치가 턴온 된 경우 발광칩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구동회로와 상기 구동회로의 제어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칩과 상기 구동스위치가 턴온된 경우 발광칩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구동스위치, 구동회로, 발광칩 및 배터리를 수용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PC) 또는 아크릴(PMMA)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는 경고 알람을 송출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 알람 데이터가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스피커 구동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피커 구동회로는 스피커 구동회로에 배터리 공급이 차단하도록 절연체로 삽입된 안전핀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핀이 제거될 경우 배터리의 전원이 스피커 구동회로에 인가되어 스피커를 통해 경고 알람이 송출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스위치는 상기 스피커 구동회로와 연결되되, 돌출부에 의해 탄성패드가 최초 접촉된 경우 상기 LED 구동회로를 작동시키고, 상기 탄성패드가 접촉된 상태에서 두번째 가압될 경우 상기 스피커 구동회로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와 발광부는 결합부에 나사산이 구비되어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탈식 발광 장치는 캐릭터 모형 또는 완구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발광 장치는 우산 꼭지, 필기구, 손가락 등의 돌출부에 삽입하기만 하면 발광되어 시인성 확보가 어두운 환경에서 보행시 차량 운전자에 시인성을 제공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납치 또는 강도 등에 의한 긴급 상황 발생시 스피커를 통해 알람을 발생시켜 강력사건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발광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발광 장치는 돌출부(3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장착부(10)와 상기 장착부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30)가 상 기 장착부(10)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발광칩을 구동시키는 발광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10)는 상기 돌출부(30)보다 직경이 작은 관통홀(111)을 구비한 탄성 지지체(110)와 상기 탄성 지지체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경우 상부로 가압되어 상부 구동 스위치를 턴온시키는 탄성 패드(120)와 상기 탄성 지지체와 탄성 패드를 지지하는 지지몸체(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30)는 도 3과 같이 우산 꼭지, 필기구, 손가락 등 삽입이 가능한 스틱 형태의 형상이면 무엇이나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동작을 위한 전용 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체의 관통홀(111)은 상기 삽입되는 돌출부(30)보다 직경이 작아야만 지지체의 탄성에 의해 상기 돌출부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관통홀(111)은 상기 돌출부(30)의 직경보다 반드시 작아야 하고, 상기 탄성지지체(110)는 고무 등의 탄성을 구비한 재료로 구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지지체(110)는 상기 지지몸체(130)와 분리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체의 관통홀(111)은 돌출부(30)의 직경보다 작아야하므로 다양한 크기의 관통홀(111)을 구비한 탄성지지체(110)로 교체할 수 있도록 도 4와 같이 상기 지지몸체와 분리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지지몸체(130)와 탄성지지체(110)가 홈에 끼워지는 방식에 대한 실시예이며, 경재료인 지지몸체에 반하여 탄성지지체(110)는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홈에 쉽게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도 4와 같은 홈에 끼워지는 방식 이외에도 지지몸체와 탄성지지체는 나사산을 이용한 나사 결합, 쐐기 결합 등 탈 부착이 가능한 모든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패드(120)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돌출부(30)가 접촉되고 상기 돌출부(30)의 가압으로 인해 상부로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고무 등의 탄성을 구비한 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몸체(130)는 상기 탄성패드(120) 및 탄성지지체(110)와 같은 탄성 재료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아크릴 등의 경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부(20)는 상기 탄성패드(120)와 이격되어 형성되고, 돌출부(30)에 의해 상기 탄성패드(120)가 가압되어 접촉될 경우 턴온 되는 구동스위치(210)와 상기 구동스위치가 턴온 된 경우 발광칩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LED구동회로(220)와 상기 LED구동회로의 제어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칩(240)과 상기 발광칩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30) 및 상기 구동스위치, 구동회로, 발광칩 및 배터리를 수용하는 프레임(2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칩(240)은 LED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LED 구동회로(220)는 상기 구동 스위치(210)가 턴온된 경우 배터리(2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발광칩(240)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 상기 LED 구동회로(220)는 프로그램에 의해 칩이 연속적으로 발광하 거나, 주기적으로 발광하거나, 일정시간 연속발광후 주기적으로 발광하는 등 다양하게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230)는 방전시 교체가 가능한 일회용 배터리 또는 충전에 의해 반복 사용이 가능한 충전식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70)은 발광효율을 높이기 위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PC) 또는 아크릴(PMMA) 등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가 삽입되기 전 후의 내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상기 돌출부(30)가 관통홀(111)에 삽입되면 탄성지지체(11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돌출부(30)가 상부의 탄성패드(120)를 가압하면서 구동스위치(210)를 온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스위치(210)는 상기 탄성패드(120)와 이격되어 설치되고 돌출부(30)가 삽입되어 탄성패드(120)가 상기 구동스위치(210)를 접촉하는 경우 구동스위치(210)가 턴온되어 배터리(230)의 전원이 공급되고 LED 구동회로(220)의 프로그램된 내용에 따라 상부의 발광칩이 발광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30)가 제거되어 탄성패드(120)가 원래 위치로 복원되어 구동스위치(210)와의 접촉이 제거될 경우 상기 구동스위치(210)가 턴오프되어 발광칩(240)의 발광이 정지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20)는 긴급상황시 경고 알람을 송출하는 스피커(260)와 상기 스피커를 턴온시키는 스피커 구동회로(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구동회로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 외부에 버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은 스위치 역할을 담당하고, 사용자가 버튼을 누를 경우 전극이 닫혀서 배터리의 전원을 스피커 구동회로로 인가하도록 스피커 구동회로를 턴온 시키고, 다시 버튼을 누를 경우 전극이 개방되어 스피커 구동회로의 동작이 정지된다.
또한, 상기 스피커 구동회로(250)는 도 6와 같이 절연체로 형성된 안전핀(40)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전극이 개방 상태에 있어서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턴오프 상태에 있다가, 상기 안전핀(40)이 제거되면 전극이 닫힌 상태로 변경되어 스피커 구동회로(250)에 배터리(23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고 내장된 알람 또는 경고 데이터가 스피커(260)를 통해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LED 구동회로(220) 및 스피커 구동회로(250)는 별개의 칩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원 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스위치(210)가 LED 구동회로(220)와 스피커 구동회로(250)와 연결되어 온/오프를 제어하는 토글 스위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구동스위치(210)를 돌출부(30)에 의해 탄성패드가 가압되어 처음 구동스위치(210)가 접촉된 경우 발광칩(240)이 발광되고, 구동스위치(210)가 접촉된 상태에서 돌출부(30)가 다시 가압될 경우 스피커가 작동되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되는 토글 스위치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10)와 발광부(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배터리 교환 또는 내부 고장 발생시 수리를 위해 도 8과 같이 분리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 다.
이를 위해, 상기 장착부의 지지몸체(130)와 상기 발광부의 프레임(270)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을 통해 결합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지지몸체(130)와 프레임(270)은 착탈이 가능한 모든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발광 장치(1)는 도 9와 같이 캐릭터 모형 내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캐릭터 모형은 각종 캐릭터 인형, 각종 완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단에 열쇠고리 등이 형성되어 가방 또는 의류에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발광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꼭지에 삽입된 착탈식 발광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의 탄성지지체와 지지몸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가 삽입되기 전 후의 내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핀이 형성된 스위치 구동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스위치의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와 발광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발광 장치가 캐릭터 모형에 삽입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Claims (12)

  1.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장착부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발광칩을 구동시키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발광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돌출부보다 직경이 작은 관통홀을 구비한 탄성 지지체와;
    상기 탄성 지지체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경우 상부로 가압되어 상부 구동 스위치를 턴온시키는 탄성 패드 및;
    상기 탄성 지지체와 탄성 패드를 지지하는 지지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발광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체와 탄성 패드는
    탄성을 구비한 고무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발광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체는
    상기 지지몸체와 착탈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발광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탄성패드와 이격되어 형성되고, 돌출부에 의해 상기 탄성패드가 가압되어 접촉될 경우 턴온 되는 구동스위치와;
    상기 구동스위치가 턴온 된 경우 발광칩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구동회로와;
    상기 구동회로의 제어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칩과;
    상기 구동스위치가 턴온된 경우 발광칩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구동스위치, 구동회로, 발광칩 및 배터리를 수용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발광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발광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경고 알람을 송출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 알람 데이터가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스피커 구동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발광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의 프레임 외부에
    상기 스피커 구동회로의 턴온/턴오프를 제어하는 버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발광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구동회로는
    스피커 구동회로에 배터리 공급이 차단하도록 절연체가 삽입된 안전핀을 포 함하고,
    상기 안전핀이 제거될 경우 배터리의 전원이 스피커 구동회로에 인가되어 경고 알람이 스피커를 통해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발광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스위치는
    상기 스피커 구동회로와 연결되되,
    돌출부에 의해 탄성패드가 최초 접촉된 경우 상기 LED 구동회로를 작동시키고,
    상기 탄성패드가 접촉된 상태에서 두번째 가압될 경우 상기 스피커 구동회로를 작동시키도록 프로그램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발광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와 발광부는
    결합부에 나사산이 구비되어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발광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발광 장치는
    캐릭터 모형 또는 완구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발광 장치.
KR1020090045032A 2009-05-22 2009-05-22 착탈식 발광 장치 KR201001260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032A KR20100126009A (ko) 2009-05-22 2009-05-22 착탈식 발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032A KR20100126009A (ko) 2009-05-22 2009-05-22 착탈식 발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009A true KR20100126009A (ko) 2010-12-01

Family

ID=43504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032A KR20100126009A (ko) 2009-05-22 2009-05-22 착탈식 발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60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169B1 (ko) * 2011-12-16 2013-01-30 홍상원 장애인용 보조장치
WO2015012443A1 (ko) * 2013-07-23 2015-01-29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광 반도체 조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169B1 (ko) * 2011-12-16 2013-01-30 홍상원 장애인용 보조장치
WO2015012443A1 (ko) * 2013-07-23 2015-01-29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광 반도체 조명장치
US9062858B2 (en) 2013-07-23 2015-06-23 Posco Led Company Ltd. Optical semiconductor ligh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335576T1 (de) Sicherheitsrasierer
KR20100126009A (ko) 착탈식 발광 장치
JP2006218259A (ja) 照明杖
RU2339872C2 (ru) Подсвечиваемый светоизлучающими диодами светящийся стержень
CN214607907U (zh) 振动发光手柄及具有该振动发光手柄的滑板车
WO2009049441A1 (fr) Ceinture lumineuse
CN111043568A (zh) 一种自行型转向指示灯及其控制方法
CN211345161U (zh) 一种自行型转向指示灯
KR200371199Y1 (ko) 발광장갑
KR200338252Y1 (ko) 진동에 의해 점멸하는 발광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헬멧
JP3121349U (ja) 安全傘
KR200494893Y1 (ko) Led 안전 의류용 패치
JP3223754U (ja) セフティスポットライト
KR200493578Y1 (ko) 견장 착용형 경광등
CN213154464U (zh) 一种摇动、抖动控制灯光功能的晴雨伞
JP3099925U (ja) 発光傘
CN201157052Y (zh) 一种雨伞
KR100564384B1 (ko) 신호봉
KR200360308Y1 (ko) 충전식 다기능 신호봉
KR20100111519A (ko)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의 발광팁
KR200245894Y1 (ko) 발광다이오드를 가진 지팡이
KR200229183Y1 (ko) 발광다이오드를 가진 모자
CN203431519U (zh) 一种灯
KR200192519Y1 (ko) 발광소자를 구비한 머리끈
JP3191320U (ja) 杖用照明具及びこれを有する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