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5758A - 발전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및 무정전 전원 공급방법 - Google Patents

발전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및 무정전 전원 공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5758A
KR20100125758A KR1020090044608A KR20090044608A KR20100125758A KR 20100125758 A KR20100125758 A KR 20100125758A KR 1020090044608 A KR1020090044608 A KR 1020090044608A KR 20090044608 A KR20090044608 A KR 20090044608A KR 20100125758 A KR20100125758 A KR 20100125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power supply
load
voltag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9249B1 (ko
Inventor
양상호
박병윤
Original Assignee
서울기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기연(주) filed Critical 서울기연(주)
Priority to KR1020090044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249B1/ko
Publication of KR20100125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8Electronic means for switching from one power supply to another power supply, e.g. to avoid parallel conne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및 무정전 전원 공급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는 발전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제공되는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컨버터; 상기 컨버터에 의해 변환된 상기 DC 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 상기 컨버터에서 제공되는 상기 DC 전압 또는 상기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충전 DC 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에서 제공되는 상기 AC 전압을 부하에 제공되도록 절체하는 동기 절체부; 스타터 모터를 구비한 발전기; 상기 발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발전기 제어장치; 및 상기 상용 전원, 상기 배터리, 상기 발전기, 및 상기 발전기 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용 전원에 정전이 발생한 경우 1차적으로 상기 배터리의 상기 충전 DC 전압이 상기 부하에 제공되어 상기 부하를 무정전 상태로 유지하고, 2차적으로 상기 발전기에서 생성된 발전 전원이 상기 부하에 제공되어 상기 부하를 무정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전기,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컨버터, 배터리, 인버터

Description

발전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및 무정전 전원 공급방법{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nd A Method of Providing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sing A Generator}
본 발명은 발전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및 무정전 전원 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용 전원의 정전 발생시 1차적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를 사용하여 부하를 무정전 상태로 유지하고, 2차적으로 발전기를 이용하여 부하를 무정전 상태로 유지해줌으로써,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수명 연장, 초기 설치 비용, 및 유지 보수 시간과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으며, 정전 지속 시간이 길어져도 무정전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는 발전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및 무정전 전원 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공서, 학교, 빌딩 등의 건물에서는 컴퓨터, 청소기, 냉난방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부하가 사용된다. 이러한 다양한 부하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상용 전원이 사용되고 있다. 상용 전원은 사용되는 도중에 과부하 또는 화재 등에 의한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면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이 자동 으로 차단되어 정전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용 전원의 정전 상태가 발생하더라도 전기적 부하(Electrical Load)에 중단 없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용 전원(Commercially Supplied Power)와 전기적 부하 사이에 일반적으로 UPS로 알려져 있는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이하 "UPS"라 합니다)가 제공되어 완충장비(Buffer)로 사용된다. 만일 공급되는 라인전압(Line Voltage)이 변하거나 중단되는 경우, UPS는 전원 중단기간 동안의 부하장비의 작동상태를 유지시키거나, 피해 없이 부하를 폐쇄(Shut-Down)할 수 있도록 소정 시간 동안 부하에 백업전원을 공급한다. UPS는 보통 정류기(Rectifier), 인버터(Inverter) 그리고 배터리 충전기(Battery Charger)로 구성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UPS)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UPS(100)는 상용 전원(110)으로부터 제공되는 교류(AC) 전압(이하 "AC 전압"이라 합니다)을 직류(DC) 전압(이하 "DC 전압"이라 합니다)으로 변환시키는 컨버터(120)를 포함한다. 컨버터(120)에 의해 변환된 DC 전압은 인버터(140)로 제공된다. 이와 동시에 컨버터(120)에 의해 변환된 DC 전압은 배터리(130)로 제공되어 배터리(130)를 충전한다. 인버터(140)는 컨버터(120)에서 제공된 DC 전압을 AC 전압(예를 들어, 60Hz의 정현파를 갖는 220볼트(V)의 AC 전압)으로 변환시킨 후 동기 절체부(150)를 통해 컴퓨터 또는 전자장비 등과 같은 부하(160)에 제공한다.
상용 전원(110)에 정전이 발생하면, 정전감지부(미도시)가 정전 상태를 감지한다. 이 경우, 제어장치(170)는 배터리(130)를 트리거(trigger)하고, 배터리(130) 내에 충전된 DC 전압은 인버터(140)로 방전된다. 방전된 DC 전압은 인버터(140)에서 AC 전압으로 변환된 후 동기 절체부(150)을 통해 부하(160)로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종래 기술의 UPS(100)는 상용 전원(110)에 정전이 발생하더라도 전원의 서지(surge) 또는 전압 저하(brownout) 현상을 방지하고, 부하(160)에 일시적으로 정상적인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상술한 UPS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예를 들어 2007년 7월 11일자로 "무정전 전원장치"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7-0069473호로 출원되어, 2009년 1월 15일자로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 10-2009-0006287호(이하 "287 공개 특허"라 합니다)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또한, 최근 금융, 통신 시스템 그리고 의료 기기 등 아주 순간적인 정전도 허용하지 않는 부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 부하에는 UPS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UPS도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고장으로 인한 정전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UPS 자체의 신뢰성 확보도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시스템의 신뢰도를 개선하기 위해 두 개의 동일한 요소를 사용하는 리던던시(Redundancy) 개념이 UPS에도 적용되어 신뢰성 확보를 위한 다병렬 UPS시스템이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다병렬 UPS시스템은 예를 들어 2006년 11월 30일자로 "다병렬 무정전 전원장치의 공통 축전지 독립 병렬 제어 시스템"이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6-0119521호로 출원되어, 2008년 6월 24일자로 등록된 대한민국 특허 제 10-0842433호(이하 "433 특허"라 합니다)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상술한 287 공개 특허 및 433 특허의 개시 내용은 각각 본 명세서에 참조되어 본 발명의 일부를 이룬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의 UPS는 상용 전원(110)의 정전 발생시 통상적으로 배터리(130)에 의한 전원 공급 지속 시간이 대략 5분 내지 15분 정도이다. 따라서, 상용 전원(110)의 정전 상태가 길어지는 경우, UPS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해 부하(160)에 상용 전원(110)은 물론 배터리(130)에 의한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터리(130)의 용량을 늘리는 경우, 비용이 상당히 증가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433 특허에서와 같이 다병렬 UPS를 사용하는 경우 다수개의 배터리(130)가 사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수개의 배터리(130)의 사용으로 인하여 유지 보수에 긴 시간이 소요되고 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종래 기술의 UPS(100)에 사용되는 배터리(130)의 수명은 대략 1년 내지 2년 정도이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 기술의 UPS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용 전원의 정전 발생시 1차적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를 사용하여 부하를 무정전 상태로 유지하고, 2차적으로 발전기를 이용하여 부하를 무정전 상태로 유지해줌으로써,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수명 연장, 초기 설치 비용, 및 유지 보수 시간과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으며, 정전 지속 시간이 길어져도 무정전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는 발전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및 무정전 전원 공급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발전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제공되는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컨버터; 상기 컨버터에 의해 변환된 상기 DC 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 상기 컨버터에서 제공되는 상기 DC 전압 또는 상기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충전 DC 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에서 제공되는 상기 AC 전압을 부하에 제공되도록 절체하는 동기 절체부; 스타터 모터를 구비한 발전기; 상기 발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발전기 제어장치; 및 상기 상용 전원, 상기 배터리, 상기 발전기, 및 상기 발전기 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용 전원에 정전이 발생한 경우 1차적으로 상기 배터리의 상기 충전 DC 전압이 상기 부하에 제공되어 상기 부하를 무정전 상태로 유지하고, 2차적으로 상기 발전기에서 생성된 발전 전원이 상기 부하에 제공되어 상기 부하를 무정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른 발전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방법은 a) 상용 전원으로부터 부하에 정상 전원이 공급되는 단계; b) 상기 상용 전원에 정전이 발생한 경우 1차적으로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정상 전원에 의해 충전된 배터리의 충전 DC 전압을 동기 절체부를 통해 상기 부하에 제공하여 상기 부하를 무정전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및 c) 2차적으로 발전기에서 생성된 발전 전원을 상기 동기 절체부를 통해 상기 부하에 제공하여 상기 부하를 무정전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전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및 및 무정전 전원 공급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달성된다.
1. 상용 전원의 정전 상태가 길어지는 경우에도 상용 전원이 정상 상태로 복구될 때까지 부하를 지속적으로 무정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2. 부하의 무정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2차적으로 발전기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므로, 저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하여 부하의 1차적인 무정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배터리의 용량을 늘릴 필요가 없다.
3. 배터리는 발전기에 의한 발전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기 전까지만 부하의 1차적인 무정전 상태를 유지하면 되므로, 다수개의 배터리 또는 다병렬 UPS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이 요구되는 배터리 또는 다병렬 UPS의 수가 종래 기 술에 비해 현저하게 줄어든다. 따라서, 배터리를 포함한 초기 UPS 설치 비용이 상당히 절감된다.
4. 배터리는 발전기에 의한 발전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기 전까지만 부하의 1차적인 무정전 상태를 유지하면 되므로, 배터리의 사용 시간이 현저하게 줄어든다. 따라서, 배터리 및 UPS의 수명이 증가하여 비용이 추가적으로 절감된다.
5. 사용되는 배터리 및 UPS의 수가 감소되므로 유지 보수 시간 및 비용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은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가 동일한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PS)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를 이용한 UPS(200)는 상용 전원(210)으로부터 제공되는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컨버터(220); 상기 컨버터(220)에 의해 변환된 상기 DC 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230); 상기 컨버터(220)에서 제공되는 상기 DC 전압 또는 상기 배터리(230)에서 제공되는 충전 DC 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하는 인버터(240); 상기 인버터(240)에서 제공되는 상기 AC 전압을 부하(260)에 제공되도록 절체하는 동기 절체부(250); 스타터 모 터(282)를 구비한 발전기(280); 상기 발전기(280)의 동작을 제어하는 발전기 제어장치(290); 및 상기 상용 전원(210), 상기 배터리(230), 상기 발전기(280), 및 상기 발전기 제어장치(290)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장치(270)를 포함하고, 상기 상용 전원(210)에 정전이 발생한 경우 1차적으로 상기 배터리(230)의 상기 충전 DC 전압이 상기 부하(260)에 제공되어 상기 부하(260)를 무정전 상태로 유지하고, 2차적으로 상기 발전기(280)에서 생성된 발전 전원이 상기 부하(260)에 제공되어 상기 부하(260)를 무정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를 이용한 UPS(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기술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를 이용한 UPS(200)는 상기 상용 전원(210)에 정전이 발생한 경우 1차적으로 배터리(230)의 충전 DC 전압을 부하(260)에 제공하여 부하(260)를 무정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구성(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본 발명의 UPS(100)에 대응하는 구성)과, 2차적으로 발전기(280)에서 생성된 전원을 부하(260)에 제공하여 부하(260)를 무정전 상태로 유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를 이용한 UPS(200)는 상용 전원(210)으로부터 제공되는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컨버터(220)를 포함한다. 컨버터(220)에 의해 변환된 DC 전압은 인버터(240)로 제공된다. 이와 동시에 컨버터(220)에 의해 변환된 DC 전압은 배터리(230)로 제공되어 배터리(230)를 충전한다. 인버터(240)는 컨버터(220)에서 제공되는 DC 전압을 AC 전압(예를 들 어, 60Hz의 정현파를 갖는 220볼트(V)의 AC 전압)으로 변환시킨 후 동기 절체부(250)를 통해 컴퓨터 또는 전자장비 등과 같은 부하(260)에 제공한다.
상용 전원(210)에 정전이 발생하면, 정전감지부(미도시)가 정전 상태를 감지한다. 이 경우, 통합 제어장치(270)는 배터리(230)를 트리거(trigger)하고, 배터리(230) 내에 충전된 DC 전압은 인버터(240)로 방전된다. 방전된 DC 전압은 인버터(240)에서 AC 전압으로 변환된 후 동기 절체부(250)을 통해 부하(260)로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PS(200)는 상용 전원(210)에 정전이 발생한 경우 1차적으로 전원의 서지(surge) 또는 전압 저하(brownout) 현상을 방지하고, 부하(260)에 일시적으로 정상적인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UPS(200)에서 배터리(230)의 충전 전원을 이용한 1차적인 전원 공급에 의해 부하(260)를 무정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UPS(100)와 동일하다.
한편, 상용 전원(210)에 정전이 발생하면, 본 발명의 UPS(200)에 사용되는 통합 제어장치(270)는 상용 전원(210)이 정전 상태를 감지하여 발전기 제어장치(290)에 감지 신호를 전송한다. 발전기 제어장치(290)는 통합 제어장치(270)의 감지 신호의 수신에 따라 발전기(280)의 스타터 모터(282)를 구동하여 발전기(280)를 가동시킨다. 그 후, 통합 제어장치(270)는 발전기(280)의 가동에 의해 생성되는 발전 전원을 감지하고, 발전기(280)의 발전 전원의 정현파를 검출하여 인버터(240)에서 출력되는 정현파와 동기화시킨다. 발전기(280)의 정현파가 인버터(240)의 정현파와 동기화되면, 통합 제어장치(270)는 발전기(280)의 발전 전원이 부하(260)로 공급되도록 동기 절체부(250)의 절체 동작(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상술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PS(200)는 2차적으로 발전기(280)의 발전 전원을 이용하여 부하(260)를 무정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 후, 상용 전원(210)이 정상 상태로 복구되면, 통합 제어장치(270)는 상용 전원(210)으로부터 제공되는 AC 전압을 감지한다. 상용 전원(210)의 AC 전압은 컨버터(220)를 통해 DC 전압으로 변환되어 인버터(240)로 전달된다. 인버터(240)는 DC 전압을 AC 전압(예를 들어, 60Hz의 정현파를 갖는 220볼트(V)의 AC 전압)으로 변환시킨다. 이 경우, 통합 제어장치(270)는 인버터(240)에서 공급되는 AC 전압의 정현파가 발전기(280)의 정현파와 동기화되도록 제어한다. 그 후, 통합 제어장치(270)는 절체부(250)가 발전기(280)의 발전 전원을 상용 전원(210)으로 변경하도록 절체 동작(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그 결과, 상용 전원(210)의 전원이 부하(260)에 공급된다. 그 후, 통합 제어장치(270)는 발전기(280)의 발전기 제어장치(290)를 통해 발전기(28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발전기(280)는 상용 전원(210)의 상태(즉, 정상 상태 또는 정전 상태)와 무관하게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일정한 주기로 시동되고 정지한다. 이러한 발전기(280)의 주기적인 시동 및 정지 동작은 발전기(280)에 사용되는 가솔린 내연기관의 연료분사 장치의 고착을 방지하여, 상용 전원(210)의 정전 발생시에 발전기(280)가 원활하게 가동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방법(300)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방법(300)은 a) 상용 전원(210)으로부터 부하(260)에 정상 전원이 공급되는 단계(310); b) 상기 상용 전원(210)에 정전이 발생한 경우 1차적으로 상기 상용 전원(210)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정상 전원에 의해 충전된 배터리(230)의 충전 DC 전압을 동기 절체부(250)를 통해 상기 부하(260)에 제공하여 상기 부하(260)를 무정전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320); 및 c) 2차적으로 발전기(280)에서 생성된 발전 전원을 상기 동기 절체부(250)를 통해 상기 부하(260)에 제공하여 상기 부하(260)를 무정전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를 이용한 UPS (200) 및 무정전 전원 공급방법(300)을 사용하면, 상용 전원(210)이 정전 상태가 길어지는 경우에도, 상용 전원(210)이 정상 상태로 복구될 때까지 부하(260)를 지속적으로 무정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달성된다.
다양한 변형 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예시된 구성 및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따라서만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PS)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PS)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4)

  1. 발전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용 전원으로부터 제공되는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컨버터;
    상기 컨버터에 의해 변환된 상기 DC 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
    상기 컨버터에서 제공되는 상기 DC 전압 또는 상기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충전 DC 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에서 제공되는 상기 AC 전압을 부하에 제공되도록 절체하는 동기 절체부;
    스타터 모터를 구비한 발전기;
    상기 발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발전기 제어장치; 및
    상기 상용 전원, 상기 배터리, 상기 발전기, 및 상기 발전기 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상용 전원에 정전이 발생한 경우 1차적으로 상기 배터리의 상기 충전 DC 전압이 상기 부하에 제공되어 상기 부하를 무정전 상태로 유지하고,
    2차적으로 상기 발전기에서 생성된 발전 전원이 상기 부하에 제공되어 상기 부하를 무정전 상태로 유지하는
    발전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 전원에 정전이 발생하면, 상기 통합 제어장치는 상기 배터리 내에 충전된 DC 전압이 상기 인버터로 방전되도록 상기 배터리를 트리거(trigger)하고,
    상기 통합 제어장치는 상기 상용 전원의 정전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발전기 제어장치에 감지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통합 제어장치는 상기 발전 전원을 감지하고, 상기 발전 전원의 정현파를 검출하여 상기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정현파를 동기화시키고,
    상기 통합 제어장치는 상기 발전 전원이 상기 부하로 공급되도록 상기 동기 절체부의 절체 동작을 제어하는
    발전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3. 발전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방법에 있어서,
    a) 상용 전원으로부터 부하에 정상 전원이 공급되는 단계;
    b) 상기 상용 전원에 정전이 발생한 경우 1차적으로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정상 전원에 의해 충전된 배터리의 충전 DC 전압을 동기 절체부를 통해 상기 부하에 제공하여 상기 부하를 무정전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및
    c) 2차적으로 발전기에서 생성된 발전 전원을 상기 동기 절체부를 통해 상기 부하에 제공하여 상기 부하를 무정전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발전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 전원에 정전이 발생하면,
    통합 제어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상기 충전 DC 전압이 상기 인버터로 방전되도록 상기 배터리를 트리거(trigger)하고,
    상기 통합 제어장치는 상기 상용 전원의 정전 상태를 감지하여 발전기 제어장치에 감지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통합 제어장치는 상기 발전 전원을 감지하고, 상기 발전 전원의 정현파를 검출하여 상기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정현파를 동기화시키고,
    상기 통합 제어장치는 상기 발전 전원이 상기 부하로 공급되도록 상기 동기 절체부의 절체 동작을 제어하는
    발전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방법.
KR1020090044608A 2009-05-21 2009-05-21 발전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및 무정전 전원 공급방법 KR101029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608A KR101029249B1 (ko) 2009-05-21 2009-05-21 발전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및 무정전 전원 공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608A KR101029249B1 (ko) 2009-05-21 2009-05-21 발전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및 무정전 전원 공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758A true KR20100125758A (ko) 2010-12-01
KR101029249B1 KR101029249B1 (ko) 2011-04-18

Family

ID=43503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608A KR101029249B1 (ko) 2009-05-21 2009-05-21 발전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및 무정전 전원 공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924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2461A1 (ko) * 2011-01-24 2012-08-02 주식회사 케이엘 마이콤을 사용한 배터리 충전/방전 제어회로
WO2014017713A1 (ko) * 2012-07-24 2014-01-30 주식회사 포스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
WO2015099851A1 (en) * 2013-12-23 2015-07-02 Generac Power Systems, Inc. Method of operating a single-phase generator in parallel with an inverter
WO2015123523A1 (en) * 2014-02-13 2015-08-20 Power Group International Corporation Power system for providing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o an external load
KR101699958B1 (ko) * 2016-08-19 2017-01-25 주식회사 이엘티 전력 특성을 동기화한 복합발전 전력공급 시스템
KR20200107385A (ko) * 2019-03-07 2020-09-16 아이에프텍(주)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 및 그 제어 방법
CN114206655A (zh) * 2019-06-03 2022-03-18 美国能源生产系统有限责任公司 电力生成和分配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500B1 (ko) * 2012-11-26 2014-08-01 디에치이앤이 (주) 배터리 비상 발전기 및 이를 갖는 전력계통 시스템
KR102200574B1 (ko) 2019-03-11 2021-01-07 김동빈 이동 방지형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KR102200567B1 (ko) 2019-03-11 2021-01-07 김동빈 감전 방지형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KR20210019824A (ko) 2019-08-13 2021-02-23 주식회사 리스펙트 발전기가 내재된 절전형 전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7591A (en) * 1996-09-09 1998-06-16 Active Pow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artup power to a genset-backe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KR20000017965A (ko) * 1999-12-31 2000-04-06 이창길 유피에스/에이브이알 복합전원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2461A1 (ko) * 2011-01-24 2012-08-02 주식회사 케이엘 마이콤을 사용한 배터리 충전/방전 제어회로
WO2014017713A1 (ko) * 2012-07-24 2014-01-30 주식회사 포스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
US9837854B2 (en) 2012-07-24 2017-12-05 Posco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WO2015099851A1 (en) * 2013-12-23 2015-07-02 Generac Power Systems, Inc. Method of operating a single-phase generator in parallel with an inverter
US9362845B2 (en) 2013-12-23 2016-06-07 Generac Power Systems, Inc. Method of operating a single-phase generator in parallel with an inventor
WO2015123523A1 (en) * 2014-02-13 2015-08-20 Power Group International Corporation Power system for providing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o an external load
KR101699958B1 (ko) * 2016-08-19 2017-01-25 주식회사 이엘티 전력 특성을 동기화한 복합발전 전력공급 시스템
KR20200107385A (ko) * 2019-03-07 2020-09-16 아이에프텍(주)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 및 그 제어 방법
CN114206655A (zh) * 2019-06-03 2022-03-18 美国能源生产系统有限责任公司 电力生成和分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9249B1 (ko) 2011-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9249B1 (ko) 발전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및 무정전 전원 공급방법
JP5877480B2 (ja) 分散型電源の自立運転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4058439B2 (ja) 電力システム
US110738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power conditioners in distributed resource island systems using low voltage AC
WO1998041793A2 (en) High efficiency lighting system
WO2013132833A1 (ja) 制御装置、変換装置、制御方法、および配電システム
KR101793579B1 (ko) 직류-교류 공통 모선형 하이브리드 전원 시스템
WO2010063326A1 (en) Electricity substation standby power supply system
KR101742599B1 (ko) 다중 계통감시가 가능한 계통연계형 발전 시스템
KR101038156B1 (ko)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JP2014239558A (ja) 電力供給システム
US6483206B1 (en)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for simplifying the architecture of power and air-conditioning installations
KR20170026695A (ko) 하이브리드 에너지저장 시스템
KR20140087930A (ko)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RU167946U1 (ru) Источник бесперебойного питания
RU2410816C2 (ru) Устройство гарантированного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ответственных потребителей
JP2013183611A (ja) 制御装置、変換装置、制御方法、および配電システム
TW201712995A (zh) 直流備援設備
WO2012024182A1 (en) Modular backup power management
US20040010725A1 (en) Embedded interruptible power supply
JP2002176736A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
JP2004072841A (ja) 直流無停電電源システム
JP7470750B2 (ja) 電源システム
CN111262336A (zh) 一种柔性不间断电源装置及其控制方法和系统
JP7331562B2 (ja) 電力需給制御システム、電力需給制御装置、及び電力需給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