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5169A -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5169A
KR20100125169A KR1020100011054A KR20100011054A KR20100125169A KR 20100125169 A KR20100125169 A KR 20100125169A KR 1020100011054 A KR1020100011054 A KR 1020100011054A KR 20100011054 A KR20100011054 A KR 20100011054A KR 20100125169 A KR20100125169 A KR 20100125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electric vehicle
battery
charging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4222B1 (ko
Inventor
최중인
Original Assignee
벽산파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벽산파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벽산파워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125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6Regulation of the charging current or voltage by variation of fie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1/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service supply to auxiliaries of stations in which electric power is generated, distributed or conver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에 구비된 배터리(battery)를 충전하기 위한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부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충전용 계량기와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방전시켜 외부 부하에 공급하기 위한 방전부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방전되어 상기 외부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를 이용해 배터리의 충전 뿐만 아니라 필요시 상기 배터리를 방전시켜 외부 부하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을 통한 전력의 구매 및 판매가 동시에 가능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전기 자동차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관리 시스템을 통해 외부의 전력망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 등과 연동함으로써, 자동차용 충전 시스템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Apparatu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battery and charging system utiliz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를 이용해 배터리의 충전 뿐만 아니라 필요시 상기 배터리를 방전시켜 외부 부하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 세계는 탄소의 배출량을 줄여 갈수록 심각해져가는 지구의 온난화를 막으려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에 따라, 전기 자동차는 탄소배출이 없는 그린 카(Green Car) 개념으로, 세계 각국에서 개발을 완료하고 상용화 시점에 와 있다.
전기 자동차의 상용화가 이루어져 많은 전기 자동차의 판매가 이루어진다면, 현재 거리에서 볼 수 있는 주유소 대신 전기충전소가 많이 생겨날 것이다. 또한 전기는 어느 곳에서나 공급받을 수 있기에, 각 빌딩의 주차장이나, 각 가정 등에서도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의 충방전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력 공급자나 판매자의 수요관리 시스템과 연계하여 전력 상태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받아 관리되고 있는 시스템 하의 전력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는,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부;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충전용 계량기; 상기 배터리를 방전시켜 외부 부하에 공급하기 위한 방전부;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방전되어 상기 외부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방전용 계량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방전부는 상기 배터리를 방전시켜 출력되는 전기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메모리가 접속되어, 상기 메모리에 사용자 정보 및 충방전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사용자 정보 및 충방전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외부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 및 기설정된 충방전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이용해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방전시켜 외부 부하에 공급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및 상기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충전 장치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관리시스템은 상기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해 연결되어, 상기 충전 장치의 충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관리시스템은 외부의 전력망 관리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해 연결되어, 전력망 정보 및 전력 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관리시스템은 상기 수신된 전력망 정보 및 전력 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관리시스템은 인터넷을 이용해 상기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에 관한 정보를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는 상기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충방전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를 이용해 배터리의 충전 뿐만 아니라 필요시 상기 배터리를 방전시켜 외부 부하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을 통한 전력의 구매 및 판매가 동시에 가능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전기 자동차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관리 시스템을 통해 외부의 전력망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 등과 연동함으로써, 자동차용 충전 시스템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리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전기 자동차용 충전 시스템은 관리 시스템(100) 및 충전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관리 시스템(100)은 외부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외부의 전력망 혹은 수요관리 서비스 시스템과 연동을 하며, 내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충전 장치(200)로부터 전력 정보, 신호 정보 또는 제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시스템(100)은 충전 장치(200)와 송수신하는 정보에 따라, 충전 장치(200)로 전기를 공급한다.
충전 장치(200)는 상기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전기 자동차(10),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자동차(10)에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즉, 관리 시스템(100)은 전력판매회사로부터 고압선로를 통해 제공 받는 전기를 수배전 설비를 통하여 충전 장치(200)로 공급하고, 충전 장치(200)는 상기 공급된 전기를 연결된 전기 자동차(10)로 보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장치(200)는 필요 시 전기 자동차(10)의 배터리를 방전시켜 외부 부하(300)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충전 장치(200)가 전기 자동차(10) 배터리를 충전 또는 방전시키는 동작은,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 또는 충전 장치(200)의 사용자 입력 등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전 장치(200)를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10)의 배터리를 방전시켜 외부 부하(3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 장치(200)를 이용한 전력의 구매 뿐 아니라 외부로의 전력 판매가 개별 사용자들에게 가능해질 수 있다.
관리 시스템(100)은 충전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10)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과금하고, 전기 자동차(10)의 배터리를 방전시켜 외부 부하(300)에 전기를 공급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돌아갈 이익을 정산하기 위한 과금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관리 시스템(100)에 하나의 충전 장치(200)가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시스템(100)에 복수의 충전 장치(200)가 연결될 수 있으며,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복수의 충전 장치(200) 각각으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각각의 충방전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충전 장치(200)는 충전부(210), 충전용 계량기(220), 방전부(230) 및 방전용 계량기(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충전부(210)는 외부, 즉 관리 시스템(100)의 수배 전반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11)를 충전시키고, 상기 배터리(11)의 충전을 위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량은 충전용 계량기(220)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또한, 방전부(23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 또는 충전 장치(200)로의 해당 사용자의 입력 등에 의해, 필요시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11)를 방전시켜 외부 부하(300)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11)의 방전에 의해 외부 부하(300)로 공급되는 전력량은 방전용 계량기(240)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방전부(230)는 필요시 배터리(11)를 방전시켜 이 전기를 교류인 변환 정격 전압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로의 충전 경로 및 배터리로부터의 방전 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충방전을 조절하기 위해, 충전 장치(200)는 상기 충방전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칭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충전용 계량기(220) 및 방전용 계량기(240)에서 각각 측정된 충전 전력량 및 방전 전력량에 대한 정보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관리 시스템(100) 또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미도시)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송된 정보는 충전 장치(200)의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그를 위해, 충전 장치(200)는 해당 사용자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충방전 상태 정보, 즉 충전용 계량기(220) 및 방전용 계량기(240)에서 각각 측정된 충방전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장치(200)는 외부, 예를 들어 관리 시스템(100) 또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 및 기설정된 충방전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배터리(11)의 충방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공급이 불안정하거나, 전력 공급자로부터 전력 수요 감소를 요구받았을 경우, 관리 시스템(100)의 수배 전반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중단하고, 충전 장치(200)에 연결된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11)를 방전시켜 외부 부하(3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충전 장치(200)에는, 메모리가 접속되는 메모리 접속부(미도시), 예를 들어 스마트 카드(smart card)가 연결되는 스마트 카드 리더(smart card reader)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접속부에 접속되는 메모리에는 해당 사용자 정보 또는 배터리(11)의 충방전 상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관리 시스템(100)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의 연계가 가능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사용자 단말기는 인터넷 등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충전 장치(200) 또는 관리 시스템(1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PC 또는 핸드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장치(200)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플러그를 꽂을 수 있는 전압별 충전 콘센트, 인증 및 과금을 위한 입출력 패널 또는 배터리 충전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관리 시스템(100)은 충전 장치(200)의 상태, 수요관리 서비스와의 연동, 전력 공급자 서버와의 연동을 위한 서버 시스템(110) 및 수배 전반(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리 시스템(100)의 서버(110)는 외부의 전력망 관리 서버(400) 또는 사용자 단말기(500)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10)는 충전 장치(2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해 연결되어, 충전 장치(200)의 충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내부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외부의 전력망 관리 서버(4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해 연결되어, 그로부터 전력망 정보 또는 전력 요금 정보를 수신하는 외부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버(110)는 외부의 전력망 관리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력망 정보 또는 전력 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충전 장치(200)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충전 장치(200)로 상기 내부 통신모듈을 이용해 전송하여 충전 장치(200)의 충방전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그와 더불어, 서버(110)는 인터넷 등을 이용해 충전 장치(200)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 또는 충방전 상태 정보 등을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5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서버(110)는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의 공유를 통하여 관리자나 사용자들에게 PC나 핸드폰 등과 같은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500)에서 언제든지 현재 충전 시스템의 상태 또는 충전 장치(200)의 상태 등의 확인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서버(110)의 외부 전력망 관리 서버(400) 또는 사용자 단말기(500)와의 정보 송수신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시스템의 외부 장치들과의 연동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외부 사용자 단말기(500), 예를 들어 원격의 PC 또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충전 장치(200)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그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5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해 충전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50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는 관리 시스템(100)을 통해 충전 장치(2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수배전반(120)은 확장성이 용이하여 충전 장치(200)의 수요가 늘어났을 경우, 추가 설치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배 전반(1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충전 장치(200) 이외에 다른 부하들 또는 건물 공동 시설물 등에 공급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계량기를 통해 수배 전반(120)으로부터 공급되어지는 전력량이 측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듈화 설계된 개별 충전 장치(200)는 전기 자동차(10)의 배터리(11) 충전 및 방전을 모두 가능하게 하도록 충전기와 인버터가 내장되어 있고 충전 및 방전을 따로 계량할 수 있도록 하여, 수요관리에 따른 정산기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개방형 표준 통신 및 데이터모델링 방법을 사용하여 충전 장치(200) 제작자와 서비스 사업자와의 분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서비스를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역시 개방형 표준 통신 및 데이터 모델링 방법을 사용하여 전력망 연동이나 실시간 수요관리 서버 연동을 용이하게 하여 최대의 호환성을 가지도록 하였으며 확장성이 있는 수배전반 설계를 통하여 개별 충전 장치의 확장을 용이하게 하였다.
한편, 웹기반 사용자 연계를 통하여 원격에서 전기자동차 운전자가 PC나 휴대폰을 통하여 배터리(11)의 충전 상태를 파악하고 충전, 정지, 방전 등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실시간 수요관리 기능을 활용하여 차량 충전 비용을 절약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 충전 인프라를 위하여 다수의 개별 충전대(Charge Spots)로 이루어진 충전 장치와 그 관리 시스템이 제공되며, 모듈화된 개별 충전 장치(200)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및 방전을 모두 가능하게 설계하여 사용자가 전기의 충전 및 판매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원격에서 전기자동차의 상태를 파악,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과 전력 공급자와의 통신을 통하여, 실시간 수요관리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관리시스템(100)은 각 충전 장치(200)에서 보내져오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나 관리자가 원격에서 볼 수 있게 해 주는 시스템이며, 충전 장치(200)는 내부에 인버터와 충전기(어뎁터)를 동시에 수용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 및 방전을 가능하게 하여 배터리 충전 시에는 과금을 하고, 배터리를 외부 부하의 전력원으로 쓸 수 있게 해 주었을 때는 정산을 받는 시스템이다.
관리 시스템(200)은 개방형 표준 통신 프로토콜을 준수하도록 제작하여, 충전기 제작자와 서비스 사업자와의 분리를 가능케 하며,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 역시 표준을 따라 상위의 Smart-Grid나 Demand Response System과도 연동이 용이하게 설계되어진다. 또한 확장성이 있는 수배 전반의 설계를 통하여 개별 충전 장치의 확장을 용이하게 하였다.
배터리 한 대가 완전히 충전되었을 경우, 에어컨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한 가정에서 10시간 정도의 필요한 전력량을 공급할 수 있는 정도이다. 이렇게 필요한 전력을 전력 공급사가 아닌 자동차 소유주들이 공급할 수 있게 해 주는 시스템을 마련함으로써, 자동차 소유주들에게 이윤을 돌려줄 수 있고, 전기자동차의 판매를 독려할 수 있을 것이다.
전기자동차 충전 장치(200)와 관리시스템(100)과의 연동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친숙한 PC나 휴대폰 등을 통하여 쉬운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고, 충전 장치(200)는 표준에 따라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하고, 관리 시스템(100) 또한 표준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설계를 하여 관리 시스템(100)과 충전 장치(200)의 개별화를 통하여, 충전 장치(200)를 생산하는 라인과 관리 시스템(100)을 생산하는 라인을 분리하여 각각의 전문 업체들이 개발을 하게 함으로써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력 공급자나 판매자의 수요관리 시스템과 연계하여 전력 상태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받아 관리되고 있는 시스템 하의 전력 상태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전기 값이 쌀 때 충전을 하여 비쌀 때 재판매 할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정보를 관리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UI에서 사용자는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10)의 사용자는 PC 또는 휴대폰으로 충전/방전 정보를 관리 시스템(100)을 통하여 제공 받아 자신의 충전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관리 시스템(100)은 개방형 표준 통신 및 데이터 모델링 방법을 사용하여 전력망 연동이나 실시간 수요관리 서버 연동을 용이하게 하여 최대의 호환성을 가지도록 한다. 충전기 역시 표준을 따르며, 충전/방전에 따른 계량을 위하여 정산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확장성이 있는 수배 전반(120)의 설계를 통하여 개별 충전 장치(200)의 확장을 용이하게 하여, 수요가 늘었을 경우 충전 장치(200)의 확장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자동차
100 : 관리시스템
200 : 충전장치
300 : 외부 부하

Claims (11)

  1.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부;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충전용 계량기;
    상기 배터리를 방전시켜 외부 부하에 공급하기 위한 방전부;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방전되어 상기 외부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방전용 계량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는
    상기 배터리를 방전시켜 출력되는 전기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메모리가 접속되어, 상기 메모리에 사용자 정보 및 충방전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 및 충방전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 및 기설정된 충방전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6.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이용해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방전시켜 외부 부하에 공급하는 제 1항에 기재된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및
    상기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충전 장치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시스템은
    상기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해 연결되어, 상기 충전 장치의 충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시스템은
    외부의 전력망 관리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해 연결되어, 전력망 정보 및 전력 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시스템은
    상기 수신된 전력망 정보 및 전력 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시스템은
    인터넷을 이용해 상기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에 관한 정보를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는
    상기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충방전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시스템.
KR1020100011054A 2009-05-20 2010-02-05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KR101224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984 2009-05-20
KR20090043984 2009-05-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169A true KR20100125169A (ko) 2010-11-30
KR101224222B1 KR101224222B1 (ko) 2013-01-18

Family

ID=43409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054A KR101224222B1 (ko) 2009-05-20 2010-02-05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2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770B1 (ko) * 2010-12-27 2012-04-0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충전소 운영시스템
KR101353904B1 (ko) * 2012-07-26 2014-01-22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전력관리시스템 연동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72688B1 (ko) * 2011-11-15 2014-03-26 한국과학기술원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과금 시스템 및 방법
US10919406B2 (en) 2017-11-23 2021-02-16 DOOSAN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o., LTD Power charging/selling device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6452A (ja) 2002-03-22 2003-09-30 Seiko Epson Corp 車両エネルギ回収システム
JP3755490B2 (ja) * 2002-07-11 2006-03-15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気自動車の充電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電気自動車の充電方法
JP2007252118A (ja) * 2006-03-16 2007-09-2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力供給設備および電力供給方法
KR101039908B1 (ko) * 2008-07-10 2011-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충전요금 정산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770B1 (ko) * 2010-12-27 2012-04-0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충전소 운영시스템
KR101372688B1 (ko) * 2011-11-15 2014-03-26 한국과학기술원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과금 시스템 및 방법
KR101353904B1 (ko) * 2012-07-26 2014-01-22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전력관리시스템 연동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919406B2 (en) 2017-11-23 2021-02-16 DOOSAN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o., LTD Power charging/selling devic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4222B1 (ko) 201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92617B (zh) 用于与电动车辆交换能量的系统、设备和方法
KR101132948B1 (ko)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 충방전 장치, 충방전 방법
US20200055418A1 (en) Power aggregation system for distributed electric resources
US10647209B2 (en) Managing and optimizing energy supply from grid and renewable source with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US9045048B2 (en) Charging control apparatus,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control method
US8170699B2 (en) Meter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EP4106138B1 (en) Electric vehicle station equipment
ES2836195T3 (es) Procedimientos para su uso con equipos eléctricos para gestionar servicios energéticos
US20120074893A1 (en) Battery charging and management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20130338845A1 (en) Peer-to-Peer Transaction and Mobile Energy Service
US20130127416A1 (en) System for interfacing with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nd method of using and providing the same
EP1986303A1 (en) Peer-to-peer transaction-based power supply methods and systems
US20100006356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Methods, Battery Charging Methods,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s, Energy Device Control Apparatuses, and Electric Vehicles
WO2010081141A9 (en) Remote power usage management for plug-in vehicles
KR20140116376A (ko) 전기 자동차 및 그 동작 방법
KR101214448B1 (ko) 충전기 간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충전 설비와 그 충전 제어 방법
JP2012098798A (ja) 充電システム
JP2014531186A (ja) 電気自動車および電気自動車の動作方法
US20230147695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KR101597265B1 (ko) 가전기기별 사용 전력 과금 시스템 및 방법
KR101224222B1 (ko)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WO2012012021A1 (en) System for interfacing with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nd method of using and providing the same
KR20180003996A (ko) 전기차 충전 케이블에 탑재되는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방법
KR101225051B1 (ko) 전기자동차 충전소 종합 관리 시스템
WO2013170274A2 (en) Digital electrical routing control system for use with alternative energy sources and energy sto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