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4922A - 비점착성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점착성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4922A
KR20100124922A KR1020090043871A KR20090043871A KR20100124922A KR 20100124922 A KR20100124922 A KR 20100124922A KR 1020090043871 A KR1020090043871 A KR 1020090043871A KR 20090043871 A KR20090043871 A KR 20090043871A KR 20100124922 A KR20100124922 A KR 20100124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cooking vessel
aluminum
protruding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도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선
Priority to KR1020090043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4922A/ko
Publication of KR20100124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92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5Vessels with non-stick features, e.g.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점착성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 조리용기를 성형하여 프레스나 약품부식등을 이용하여 엠보싱가공하여 리무발과 샌드블라스트단계를 거친후 연속인쇄인 초도인쇄 및 중도인쇄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반건조된 중도인쇄층상에 돌출인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돌출인쇄를 전후하여 상도인쇄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다음 소성하여 완제품을 얻도록 한 것으로서, 엠보싱면이 갖는 돌부의 높이에 돌출인쇄시 갖는 돌출문양의 높이가 더해지도록 하여 음식물과의 접촉을 더욱 최소화하여 우수한 비점착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점착성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NON-STICK COOKER}
본 발명은 조리면의 엠보싱가공 및 돌출인쇄를 통하여 비점착성을 향상시켜 주도록 한 비점착성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으로 성형제작되는 조리용기는 조리면에 불연속인쇄층을 갖도록 하여 불연속인쇄층을 구성하는 돌출문양에 의해 음식물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비점착기능을 만족시켜 주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제296070호의 경우 알루미늄 기재 상에 코팅조성물을 연속적으로 분무하여 연속코팅층과 불연속코팅층이 형성되게 하되, 연속코팅층의 건조 또는 플래싱으로 불연속코팅층이 연속코팅층 상에 구형체로 존재하도록 하여 불연속코팅층에 의해 음식물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공개특허 제2007-32638호의 경우 금속지지부 표면에 탄화불소수지에 의해 이루어지는 비점착성 코팅층 상에 패턴에 의해 형성되는 불연속코팅층을 갖도록 하여 불연속코팅층이 갖는 패턴에 의해 음식물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은 연속코팅층으로부터 불연속코팅층이 돌출형성되기는 하나, 스 프레이나 패드인쇄 및 스크린인쇄등이 갖는 인쇄특성상 실제 연속코팅층으로부터 불연속코팅층이 갖는 높이는 만족할만큼의 높이를 갖도록 할 수가 없어 불연속코팅층만으로는 비점착기능을 크게 기대할 수가 없는 단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엠보싱면의 돌부가 갖는 높이에 돌출인쇄시 갖는 돌출문양의 높이가 더해져 큰 폭의 높이차에 의해 비점착성을 충분히 만족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비점착성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성형된 조리용기의 내측 바닥면을 엠보싱가공하여 리무발과 샌드블라스트단계를 거친후 연속인쇄인 초도인쇄와 중도인쇄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 중도인쇄면 상에 돌출인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돌출인쇄를 전후하여 상도인쇄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다음 소성하여 완제품을 얻도록 한 비점착성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엠보싱면에 돌출인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엠보싱면의 돌부가 갖는 높이에 돌출인쇄시 갖는 돌출문양의 높이가 더해지도록 함으로서, 엠보싱면의 요부가 갖는 바닥면으로부터 돌출인쇄층이 갖는 높이가 높은만큼 조리시 음식물과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가 있어 비점착성을 충분히 만족시켜 줄 수가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 조리용기를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성형된 알루미늄 조리 용기의 내측바닥면을 엠보싱가공하는 엠보싱가공단계와, 엠보싱가공된 알루미늄 조리용기로부터 각종 이물질들을 제거하는 리무발단계와, 리무발된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내면에 부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요철을 형성하는 샌드블라스트단계와,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샌드블라스트면에 부착성과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초도스프레이하여 건조되게 하는 초도스프레이단계와, 건조된 초도인쇄면상에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중도 스프레이 하는 중도스프레이단계와, 반건조된 중도인쇄면상에 돌출인쇄액을 인쇄하여 돌출문양이 형성되게 하는 돌출인쇄단계 및 인쇄층을 소성하는 소성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고 있는 알루미늄 조리용기 성형단계는 블랭킹가공을 통하여 얻은 알루미늄판재를 성형하여 원하는 형태의 알루미늄 조리용기를 얻기 위함이다.
또한 성형된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내측바닥면을 엠보싱가공하는 엠보싱가공단계는 단차가 큰 요철면을 얻기 위한 것으로서, 프레스가공에 의한 기계적인 방법으로 요철이 형성되게 할 수도 있고, 약품부식에 의한 화학적인 방법으로 요철이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더나아가 알루미늄 조리용기를 주물성형하여 성형과정에서 요철이 형성되게 할 수도 있는바, 본 발명은 구체적인 엠보싱 수단을 떠나 요철을 형성해 줄 수 있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면 만족한다.
엠보싱가공단계후 이루어지는 리무발단계는 알루미늄 조리용기에 묻어있는 기름때를 비롯하여 각종 이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한 단계로서, 다만 소부로를 이용 한 리무발시에는 열에 약한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변형우려가 있어 강알카리성분을 이용하여 탈지와 디스머트 및 수세를 하여 탈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화학적 리무발이 바람직하다.
리무발단계후 이루어지는 샌드블라스트단계는 50~70메쉬의 금강사를 5~10㎛의 센딩조도와 5~7kg/㎠의 에어압력으로서, 피도체와 10~30㎝거리에서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내면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샌딩해 주도록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샌드블라스트후 이루어지는 초도인쇄단계는 주성분인 술포실리카(Sodium aluminium sulpho-silicate)와, 카본블랙(Carbon black)과, 트리에틸아민(Triethlamine)과, 메틸프롤리톤(Methylpyrrolidone)과, 폴리아미드-이미드 고분자(Polyamide-imide polymer)와, 산화알루미늄(Aluminium oxide)과, 플루오리네이티드 에틸렌 프로필렌 수지(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resin)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olytetrafluoroethylene)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트리메틸노닐에테르(Polyethylene glycol-trimethylnonylether)를 물과 혼합하여서 된 인쇄액이 2~4kg/㎠의 공기압에 의해 0.3~0.6kg/㎠의 이동압력으로 1.0~1.5㎜직경의 노즐을 갖는 스프레이건을 통하여 분무되어 8~12㎛의 도막두께를 갖도록 한 것이면 만족하며, 초도스프레이후에는 건조온도 약150~200℃에서 약10~15분간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초도인쇄면 상에 이루어지는 중도인쇄단계는 주성분인 폴리에틸렌 글리콜-트리메틸노닐에테르(Polyethylene glycol-trimethylnonylether)와, 퍼플루으로알콕시 수지(Perfluoroalkoxy resin)와, 아크릴 고분자(Acrylic polymer)와, 산화알미 늄(Aluminum oxide)과, 카본 블랙(Carbon black)과, 에탄올(2-부톡시에폭시)(Ethanol 2-(2-butoxyethoxy))과,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및 폴리테트라플로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을 물과 혼합하여서 된 인쇄액이 2~4kg/㎠의 공기압에 의해 0.3~0.6kg/㎠의 이동압력으로 1.0~1.5㎜직경의 노즐을 갖는 스프레이건을 통하여 분무되어 10~20㎛의 도막두께를 갖도록 한 것이면 만족한다.
중도인쇄단계를 통하여 얻은 중도 인쇄층은 반건조 상태에서 돌출인쇄가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는데, 이러한 중도인쇄층의 반건조는 100℃이하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중도인쇄면 상에 이루어지는 돌출인쇄단계는 주성분인 안료(Pigment) 20~30wt%와, 합성수지(Synthetic Resin) 20~30wt%와, 에틸렌글리콜 모노 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Ethylenegrycol Mono Buthyletheracetate) 15~25wt% 및 아로매틱 하이드로카본(Aromatic Hydrocarbon) 15~20wt%를 혼합하여서 된 인쇄액을 이용하여 패드인쇄를 해 주도록 한 것으로서, 5㎛이하의 도막두께를 갖는 불연속적인 다양한 형태의 돌출문양을 반복 형성해 줄 수가 있게 된다.
이러한 돌출인쇄시 이용되는 패드인쇄는 엠보싱가공시 갖는 요철의 형태에 관계없이 돌출인쇄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가 있게 된다.
왜냐하면 패드인쇄가 갖는 특성상 인쇄용 패드는 완충성을 갖게 되므로 엠보싱면의 돌부는 물론 요부에도 돌출인쇄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가 있고, 더 나아가 돌부부분이나 또는 요부부분에만 특정하여 인쇄를 해 줄 수도 있게 된다.
돌출인쇄후 이루어지는 소성단계는 초기온도 약200℃에서 시작하여 말기온도 약420℃에 이르기까지 소성로를 약2~5분의 통과속도로 통과하면서 소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만족한다.
한편 돌출인쇄단계를 전후하여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상도인쇄단계는 반드시 필요로 하는것은 아니나, 상도인쇄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할 경우 비점착성을 더욱 향상시켜 줄 수가 있고 또 돌출인쇄층을 보호하는 보호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다만 돌출인쇄단계에 앞서 상도인쇄단계를 포함하도록 할 경우 중도인쇄후 중도인쇄면이 건조되기전 상도인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하고 또 상도인쇄후에는 상도인쇄층의 반건조후 돌출인쇄단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하며, 이러한 상도인쇄층의 반건조 역시 100℃이하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것이 바람직 하다.
그리고 이러한 상도인쇄단계는 주성분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lyene)과, 폴리에틸렌 글리콜-트리메틸노닐에테르(Polyethylene glycol-trimethylnonylether)와, 퍼플루오로알콕시 수지(Perfluoroalkoxy resin)와, 아크릴 고분자(Acrylic polymer)와, 에탄올(2-부톡시에폭시)(Ethanol 2-(2-butoxyethoxy))과,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을 물과 혼합하여서 된 인쇄액이 2~4kg/㎠의 공기압에 의해 0.3~0.6kg/㎠의 이동압력으로 1.0~1.5㎜직경의 노즐을 갖는 스프레이건을 통하여 분무되어 10~20㎛의 도막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성형된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내측면을 프레스나 또는 약품부식등으로 엠보싱 가공형성하여 연속인쇄인 초도인쇄와 중도인쇄가 이루어지도록 한 다 음 불연속인쇄인 돌출인쇄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엠보싱면의 요부가 갖는 바닥면으로 부터 돌부가 갖는 높이에 돌출인쇄시 갖게되는 돌출문양의 높이가 더해져 음식물의 조리시 음식물과의 접촉을 더욱 최소화하도록 할 수가 있게 된다.
즉 프레스나 또는 약품부식을 이용한 엠보싱가공시 그 엠보싱면이 갖는 형태에 관계없이 완충성을 갖는 패드를 이용한 돌출인쇄로 엠보싱가공면의 돌부는 물론 요부에도 돌출인쇄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가 있어 엠보싱면의 요부가 갖는 바닥면으로 부터 돌부가 갖는 높이에 돌출인쇄시 갖는 돌출문양의 높이가 더해져 음식물의 접촉을 최소화 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패드를 이용한 돌출인쇄시에는 엠보싱면의 돌부분이나 또는 요부부분만 특정하여 인쇄를 해 줄 수가 있게 되는데, 엠보싱면의 돌부분에만 돌출인쇄가 이루어지도록 할 경우 돌출문양이 갖는 높이를 최대화할 수가 있어 음식물과의 접촉을 더욱 최소화할 수가 있게 되고 또 엠보싱면의 요부부분에만 돌출인쇄가 이루어지도록 할 경우 사용시 주의를 게을리하여 금속주걱을 이용하거나 또는 뒤지게를 거칠게 사용하더라도 돌출문양의 손상은 크게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 된다.
그리고 패드를 이용한 돌출인쇄가 엠보싱면의 돌부부분에 형성된다 하더라도 상도인쇄단계를 포함하도록 할 경우 돌출인쇄층은 상도인쇄층에 의해 보호되므로 뒤지게 등을 거칠게 사용하더라도 돌출문양의 손상을 방지해 줄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원하는 형태의 조리용기를 성형하는 알루미늄 조리용기 성형단계와;
    성형된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내측 바닥면에 요철면을 갖도록 하기 위한 엠보싱가공단계와;
    엠보싱 가공된 알루미늄 조리용기로부터 각종 이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한 리무발단계와;
    리무발가공된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내면에 부착성 향상을 위한 요철이 형성되게 하는 샌드블라스트단계와;
    샌드블라스트된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내면에 주성분인 술포실리카(Sodium aluminium sulpho-silicate)와, 카본블랙(Carbon black), 트리에틸아민(Triethlamine), 메틸프롤리톤(Methylpyrrolidone), 폴리아미드-이미드 고분자(Polyamide-imide polymer), 산화알루미늄(Aluminium oxide), 플루오리네이티드 에틸렌 프로필렌 수지(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resin),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에틸렌 글리콜-트리메틸노닐에테르(Polyethylene glycol-trimethylnonylether)등을 물과 혼합하여서 된 인쇄액을 스프레이하여 건조하는 초도인쇄단계와;
    초도인쇄단계를 통하여 얻은 초도인쇄면 상에 주성분인 폴리에틸렌 글리콜-트리메틸노닐에테르(Polyethylene glycol-trimethylnonylether), 퍼플루으로알콕시 수지(Perfluoroalkoxy resin), 아크릴 고분자(Acrylic polymer), 산화알미 늄(Aluminum oxide), 카본 블랙(Carbon black), 에탄올(2-부톡시에폭시)(Ethanol 2-(2-butoxyethoxy)),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폴리테트라플로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등을 물과 혼합하여서 된 인쇄액을 스프레이하는 중도인쇄단계와;
    중도인쇄단계를 통하여 얻은 중도인쇄층의 반건조후 그 중도인쇄면 상에 주성분인 안료(Pigment)와, 합성수지(Synthetic Resin)와, 에틸렌글리콜 모노 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Ethylenegrycol Mono Buthyletheracetate) 및 아로매틱 하이드로카본(Aromatic Hydrocarbon)을 혼합하여서 된 인쇄액을 인쇄하여 돌출문양이 형성되게 하는 돌출인쇄단계 및;
    조리용기에 인쇄된 인쇄층을 소성하는 소성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비점착성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인쇄단계에서 이용되는 인쇄액은 주성분인 안료(Pigment) 20~30wt%와, 합성수지(Synthetic Resin) 20~30wt%와, 에틸렌글리콜 모노 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Ethylenegrycol Mono Buthyletheracetate) 15~25wt% 및 아로매틱 하이드로카본(Aromatic Hydrocarbon) 15~20wt%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착성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인쇄단계에서 이루어지는 돌출인쇄는 조리용기의 엠보싱면이 갖는 돌부와 요부의 구분없이 전체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착성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인쇄단계에서 이루어지는 돌출인쇄는 조리용기의 엠보싱면 중 돌부에만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착성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인쇄단계에서 이루어지는 돌출인쇄는 조리용기의 엠보싱면 중 요부에만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착성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1020090043871A 2009-05-20 2009-05-20 비점착성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201001249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871A KR20100124922A (ko) 2009-05-20 2009-05-20 비점착성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871A KR20100124922A (ko) 2009-05-20 2009-05-20 비점착성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922A true KR20100124922A (ko) 2010-11-30

Family

ID=43408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871A KR20100124922A (ko) 2009-05-20 2009-05-20 비점착성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49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37202A (zh) * 2021-07-14 2022-10-04 浙江福腾宝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炊具及其制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37202A (zh) * 2021-07-14 2022-10-04 浙江福腾宝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炊具及其制造方法
CN115137202B (zh) * 2021-07-14 2024-05-24 浙江福腾宝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炊具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42132B (zh) 一种不锈钢或复合钢的不粘锅的制造方法
CN103702773A (zh) 包含微观构造热稳定涂层的加热用品及其制备方法
WO2021118306A1 (ko) 요철 패턴을 구비한 논-스틱 팬
CN103144483A (zh) 一种应用于卫浴产品的水转印生产工艺
KR102451380B1 (ko) 플루오로카본 수지 및 희토류 산화물 코팅을 포함하는 조리용 물품, 및 상기 물품의 제조 방법
CN108355931A (zh) 一种压铸件表面处理工艺
JP2007014895A (ja) ワンコーティングまたはスリーコーティング層にインク顔料を塗布してコーティング層を形成した器具およびその形成方法
JP2007038626A (ja) 防汚ステンレス部材
CN1953821A (zh) 生产防粘涂层的方法及底涂层组合物
CN105170425A (zh) 通过点法涂覆的厨房器具及其制造方法
KR100703881B1 (ko) 비점착성 세라믹 코팅과 p.t.f.e. 코팅제를 접목한조리 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24922A (ko) 비점착성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JP6595601B2 (ja) 機械的処理によって台所用品を装飾する方法
KR20100124921A (ko) 비점착성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CN108855834A (zh) 一种不粘锅的制造方法
KR20100124920A (ko) 내구성이 강화된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102236947B1 (ko) 알루미늄 소재 조리기구의 무쇠-유사 질감 코팅을 위한 Xtrema T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방법
JP2018175870A (ja) キッチンカウンター
CN102218970B (zh) 一种搪瓷艺术画装饰板及其加工方法
CN111760774A (zh) 一种在金属器皿局部涂覆涂料并减少缺陷的方法及产品
KR20100049421A (ko)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조리면 마블링 형성방법
KR200421762Y1 (ko) 비점착성 세라믹 코팅과 p.t.f.e. 코팅제를 접목한조리 기구
KR101596275B1 (ko) 표면개질 코팅층이 구비된 타정장치 및 표면개질 코팅층의 형성방법
JP2010053669A (ja) 水回り用部材
CN107411537A (zh) 一种汽悬式不粘锅加工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