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4389A -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4389A
KR20100124389A KR1020090043353A KR20090043353A KR20100124389A KR 20100124389 A KR20100124389 A KR 20100124389A KR 1020090043353 A KR1020090043353 A KR 1020090043353A KR 20090043353 A KR20090043353 A KR 20090043353A KR 20100124389 A KR20100124389 A KR 20100124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terminal
wired terminal
wired
rece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043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4389A/ko
Publication of KR20100124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3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6Message adaptation to terminal or network requir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메시지 수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유선 단말기로 전송된 메시지를 유선 단말기의 가입자가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이러한 기술에 따르면, 유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착신 번호로 설정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유선 단말기의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유선 단말기가 메시지 수신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저장된 메시지를 기 설정된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메시지, 유선 단말기

Description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SERVICE}
본 발명은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선 단말기로 전송된 메시지를 처리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급속한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개인이 임의의 장소에서 또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면서 다른 사람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단말기의 기능은 종래의 단순한 통화 기능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각종 부가 기능으로 확대되었다.
그 일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기능을 통해 메시지를 입력한 후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착신자와 문자로서 의사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 SMS), 장 문 메시지 서비스(Long Message Service : LMS)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 MMS)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메시지 서비스 이용 인구 증가와 함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뿐만 아니라, PSTN/ISDN과 같은 유선통신 시스템에서도 메시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메시지 송수신 기능이 포함된 유선 단말기의 가입자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아닌 유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현재 대부분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포함하나, 유선 단말기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 유선 단말기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메시지 수신 기능을 포함하는 별도의 유선 단말기를 구매해야 한다. 그리고 메시지 수신 기능이 포함되지 않은 유선 단말기로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유선 단말기 가입자는 유선 단말기로 전송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없다.
본 발명은 메시지 수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유선 단말기로 전송된 메시지를 유선 단말기 가입자가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착신 번호로 설정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유선 단말기의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유선 단말기가 메시지 수신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저장된 메시지를 기 설정된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착신 번호로 설정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유선 단말기의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 기 유선 단말기가 메시지 수신이 가능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유선 단말기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메시지를 인터넷을 통해 상기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착신 번호로 설정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지 저장부; 상기 유선 단말기의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유선 단말기가 메시지 수신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저장된 메시지를 기 설정된 단말기에 제공하는 메시지 제공부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시지 수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유선 단말기로 전송된 메시지를 기 설정된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인터넷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메시지 수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유선 단말기로 전송된 메시지를 유선 단말기 가입자가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에 대한 개념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는, 메시지 수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유선 단말기로 전송된 메시지를 기 설정된 단말기로 제공하거나 또는 인터넷을 통해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유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착신 번호로 설정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유선 단말기가 메시지 수신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수신된 메시지를 기 설정된 단말기로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선 단말기로 전송된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 메시지 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유선 단말기를 별도로 구매할 필요가 없으며, 유선 단말기 가입자는 기 설정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유선 단말기로 전송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는 메시지 수신부(101), 메시지 저장부(103), 판단부(105) 및 메시지 제공부(107)를 포함 한다.
메시지 수신부(101)는 유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착신 번호로 설정된 메시지를 수신한다. 메시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컴퓨터 또는 메시지 송신 기능을 포함하는 유선 단말기 등으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장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일 수 있다.
메시지 저장부(103)는 메시지 수신부(101)가 수신한 메시지를 저장한다. 수신된 메시지는 메시지 저장부(103)에 저장되어 있다가, 후술되는 메시지 제공부(107)에 의해 전송된다.
판단부(105)는 유선 단말기의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부(105)는 유선 단말기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제공받거나 또는 유선 단말기와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유선 단말기가 메시지 수신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메시지 제공부(107)는 판단부(105)의 판단 결과 유선 단말기가 메시지 수신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메시지 저장부(103)에 저장된 메시지를 기 설정된 단말기에 제공한다. 기 설정된 단말기는 유선 단말기 가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서, 기 설정된 단말기에 대한 정보는 유선 단말기 가입자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메시지 제공부(107)는 유선 단말기 가입자 정보를 통해 기 설정된 단말기를 확인하고 기 설정된 단말기로 저장된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메시지 수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유선 단말기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므로 기 설정된 단말기는 메시지 수신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 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 설정된 단말기는 유선 단말기 가입자로부터 인증된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유선 단말기 가입자는 저장된 메시지를 전송받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인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유선 단말기 가입자는 예를 들어, 유선 통신 서비스 업체에서 관리하는 인터넷 웹 페이지나 고객 센터 등으로 저장된 메시지가 전송될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정할 수 있다. 유선 전화 가입자는 자신이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인증하고, 저장된 메시지를 전송받을 단말기로 인증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정할 수 있다.
기 설정된 단말기에 대한 정보는 가입자 정보에 포함될 수 있으며, 메시지 제공부(107)는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유선 단말기 가입자로부터 인증된 이동통신 단말기, 즉 유선 단말기의 가입자가 설정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착신 전환하여 저장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메시지 수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유선 단말기로 전송된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시지 제공부(107)는 무선 인터넷을 통한 기 설정된 단말기,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메시지 저장부(103)에 저장된 메시지를 무선 인터넷에 접속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웹 페이지에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유선 단말기 가입자로부터 인증된 이동통신 단말기 의 사용자는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유선 통신 서비스 업체에서 관리하는 인터넷 웹 페이지를 통해 저장된 메시지의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메시지 제공부(107)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확인 요청에 응답해, 저장된 메시지를 무선 인터넷에 접속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웹 페이지에 제공할 수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저장된 메시지가 표시된 웹 페이지를 통해 저장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서버는 무선 인터넷에 접속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제공할 수 있으며, 메시지 제공부(107)는 메시지 확인 요청이 유선 단말기 가입자로부터 인증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것일 경우에 저장된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유선 단말기가 메시지 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에 메시지 제공부(107)는 저장된 메시지를 유선 단말기로 전송되며, 유선 단말기 가입자는 전송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계 S201로부터 시작된다.
단계 S201에서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는 유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착신 번호로 설정된 메시지를 수신한다. 유선 단말기의 전화번호는 유선 통신 서비스 제 공 업체에서 제공하는 전화번호이다.
그리고 단계 S203에서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는 단계 S201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한다.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는 후술되는 단계에서 수행되는 처리 과정을 위해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한다.
단계 S205에서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는 유선 단말기의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는 유선 단말기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유선 단말기가 메시지 수신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207에서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는, 단계 S205의 판단 결과 유선 단말기가 메시지 수신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저장된 메시지를 기 설정된 단말기에 제공한다. 기 설정된 단말기는 유선 단말기 가입자로부터 인증된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단말기 가입자로부터 인증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정보는 가입자 정보에 포함될 수 있으며,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는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207에서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는, 무선 인터넷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메시지를 무선 인터넷에 접속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웹 페이지에 제공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저장된 메시지가 표시된 웹 페이지를 통해 저장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205의 판단 결과 유선 단말기가 메시지 수신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는 유선 단말기로 저장된 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는 단계 S201, 단계 S203 및 단계 S205를 수행한다. 그리고 단계 S205의 판단 결과 유선 단말기가 메시지 수신이 가능하지 않는 경우, 유선 단말기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메시지를 웹 페이지를 통해 유선 단말기의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유선 단말기의 가입자는 인터넷을 통해 자신이 유선 단말기 가입자라는 것을 인증받고 저장된 메시지의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선 통신 서비스 제공 업체에서 관리하는 홈 페이지를 통해 유선 단말기의 가입자는 저장된 메시지의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단말기의 가입자가 인증되면,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는 웹 페이지를 통해 저장된 메시지를 유선 단말기의 가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는 유선 단말기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메시지를 ARS(Automatic Response System)를 통해 유선 단말기의 가입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205의 판단 결과 유선 단말기가 메시지 수신이 가능하지 않는 경우, 메시지의 수신을 알리는 수신 정보를 유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선 단말기는 수신 정보를 수신하고, 메시지 수신을 나타내는 벨 소리 등을 이용하여 유선 단말기 가입자에게 저장된 메시지가 존재함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정보는 유선 단말기로 짧은 주기로 복수회 전송될 수 있으며, 유선 단말기는 수신 정보에 응답해 짧은 주기로 복수회 벨 소리를 울릴 수 있다. 유선 단말기 가입자는 짧은 주기로 복수회 울리는 벨 소리를 인지하여, 저장된 메시지가 존재함을 확인하고, 인터넷을 통해 저장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CD, DVD와 같은 유형적 매체뿐만 아니라 반송파와 같은 무형적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8)

  1. 유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착신 번호로 설정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유선 단말기의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유선 단말기가 메시지 수신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저장된 메시지를 기 설정된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단말기는
    상기 유선 단말기의 가입자로부터 인증된 이동통신 단말기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메시지를 기 설정된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는
    무선 인터넷을 통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메시지를 상기 무선 인터넷에 접속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웹 페이지에 제공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5. 유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착신 번호로 설정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유선 단말기의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유선 단말기가 메시지 수신이 가능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유선 단말기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메시지를 인터넷을 통해 상기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유선 단말기가 메시지 수신이 가능하지 않는 경우, 상 기 메시지의 수신을 알리는 수신 정보를 상기 유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7. 유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착신 번호로 설정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지 저장부;
    상기 유선 단말기의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유선 단말기가 메시지 수신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저장된 메시지를 기 설정된 단말기에 제공하는 메시지 제공부
    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단말기는
    상기 유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인증된 이동통신 단말기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090043353A 2009-05-19 2009-05-19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001243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353A KR20100124389A (ko) 2009-05-19 2009-05-19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353A KR20100124389A (ko) 2009-05-19 2009-05-19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389A true KR20100124389A (ko) 2010-11-29

Family

ID=43408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353A KR20100124389A (ko) 2009-05-19 2009-05-19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43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352B1 (ko) 국제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운용하는 방법
CN101796802B (zh) 用于移动设备的定位机制
CN101416159B (zh) 通信终端、用户数据移动系统及用户数据移动方法
KR20110103398A (ko)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802885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network paramet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596904B1 (ko) 배달 주문 서비스 시스템과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의 주문 서비스 방법
CN110912807A (zh) 信息提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385798A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KR101807409B1 (ko)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자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100124389A (ko)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597808B1 (ko) 스팸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936845B1 (ko) 앱푸시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앱푸시 메시지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JP7148576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100693183B1 (ko)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및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방법
JP2019041231A (ja) 端末認証システム、端末認証方法、利用者端末及び利用者端末用プログラム
JP2010098505A (ja) 情報通知機能を有する電話装置
JP2017050854A (ja) 電気通信サーバと連携する電話番号情報サーバ及びその情報提供方法
KR10072369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21487A (ko) 가상전화번호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100800448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해 미디어 차단방법
KR10082780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방법
KR101471115B1 (ko) 전화통신요금의 납부 주체 변경이 가능한 전화연결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23166495A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サーバ及びサービス提供方法
KR100642579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 변환 방법 및 시스템
KR100650700B1 (ko)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전화 발신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