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3248A - 조립식 바닥재 - Google Patents

조립식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3248A
KR20100123248A KR1020090042365A KR20090042365A KR20100123248A KR 20100123248 A KR20100123248 A KR 20100123248A KR 1020090042365 A KR1020090042365 A KR 1020090042365A KR 20090042365 A KR20090042365 A KR 20090042365A KR 20100123248 A KR20100123248 A KR 20100123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ing material
curved
flooring
wedg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록
Original Assignee
김창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록 filed Critical 김창록
Priority to KR1020090042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3248A/ko
Publication of KR20100123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2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53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rotat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around an axis which is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s, possibly combined with a slid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2201/025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s alternating transversally in the direction of the thickness of the panel, e.g. multiple tongue and grooves oriented parallel to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2201/027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connected by tongues and grooves, the centerline of the connection being inclined to the top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3Undercut connections, e.g. using undercut tongues or grooves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재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특성을 고려하여 바닥재의 측면에 적절한 형상의 체결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바닥재 상호간의 결합력을 높이면서도 편리한 시공이 이루어지는 조립식 바닥재로서, 길이방향 측면과 폭방향 측면에 서로 다른 형상의 체결구조를 형성하여 서로 조립되는 제1바닥재 및 제2바닥재가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로서, 상기 길이방향 측면에서 상기 제1바닥재에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요입부, 상기 요입부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입연장부, 상기 연장부와 단부 사이에 아래쪽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만곡부, 상기 제1바닥재의 단부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바닥재에는 상기 제1바닥재의 요입부에 끼워지도록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연장부, 상기 돌출연장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만곡부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쐐기부, 상기 쇄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돌기부와 대응되게 상측으로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바닥재를 끼워 넣으면서 아래로 눌러주어 조립되므로 간단하게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고, 요입부와 돌출부가 면 접촉 또는 선 접촉됨과 함께 만곡부와 쐐기부가 선 접촉되므로 요입부와 돌출부 사이에 다수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바닥재의 변형 시 바닥재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변형되는 공간이 비교적 크게 확보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바닥재, 요입부, 돌출부, 만곡부, 쐐기부

Description

조립식 바닥재{Sectional Flat Panal}
본 발명은 조립식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실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조립식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바닥재는 일정한 규격의 면적을 갖는 개별 바닥재로 제작되고, 시공 시 다른 바닥재와 조립되어 건물 바닥 위에 설치된다. 통상의 조립식 바닥재는 사각형, 특히 장방형으로 이루어지며, 각 바닥재의 측면에는 다른 바닥재와의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고유한 결합 구조가 형성된다.
조립식 바닥재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바닥재의 양 측면에 돌기와 홈을 가공하고, 돌기와 홈의 결합을 이용하여 바닥재를 상호 결합시킨 다음, 접착제를 이용해 건물 바닥에 바닥재를 부착시키거나, 못으로 건물 바닥에 바닥재를 고정시키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바닥재 철거가 어렵고, 인체에 해로운 에폭시 계열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 구조의 바닥재를 사용하면서 홈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돌기와 홈의 기구적 결합과 접착제의 접착력을 동시에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이 방식은 건물 바닥에 바닥재를 고정시키지 않기 때문에 통상 현가식이라 하며, 바닥재의 시공과 철거가 상대적으로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방식 또한 접착제가 동결되거나 장시간 보관 후 사용시에 바닥재 상호간 결합력이 떨어지고, 접착제가 제대로 도포되지 않은 곳에서 바닥재 상호간 틈새와 단차를 유발하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현가식 방식의 다른 구성으로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바닥재 측면에 체결 기능이 있는 체결 부재(locking member)를 형성하여 바닥재를 상호 결합시키는 방식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특허 제4,426,820호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69967호가 측면에 체결 부재를 구비한 조립식 바닥재가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선행 기술은 건물 바닥 상태가 불량하거나 바닥재가 어느 한 방향으로 밀리는 힘을 받는 경우 등에 있어서 바닥재 사이의 결합력이 약화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바닥재 상호간 결합력이 약화된 상태에서 건물 바닥에 습기가 차면, 습기가 바닥재 사이의 작은 틈새를 타고 상승하여 바닥재의 가장자리가 다른 바닥재를 향해 팽창하려는 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바닥재 사이에 큰 틈새가 발생하거나, 바닥재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는 문제로 이어진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바닥재는 길이방향과 폭방향에 관계없이 모든 측면에서 같은 구조의 체결 부재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 장방형으로 제작되는 조립식 바닥재는 길이방향 측면이 바닥재 상호간 결합력을 좌우하고, 폭방향 측면은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이 작기 때문에, 바닥재의 결합력과 시공성을 함께 고려하여 길이방향과 폭방향에 따른 적절한 체결부재 형성이 요구된다.
아울러 관련한 선행 기술로 조립식 바닥재를 개시한 PCT/EP1997/03006호 및 플러그-인 단면 형상을 갖는 패널을 개시한 PCT WO 01/48332A1호가 있다.
한편, 체결 부재가 형성된 조립식 바닥재를 시공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한쪽 바닥재에 대해 이웃한 바닥재를 경사지게 놓고 체결하는 경사 조립 방법을 사용한다.
그런데 문턱이나 기타 장애물이 설치되어 경사를 두고 조립하기 힘든 곳에서는 한쪽 바닥재에 대해 이웃한 바닥재를 같은 높이에서 진입시켜 체결하는 수평 조립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조립식 바닥재는 이 경우 체결 부재가 손상되거나 아예 수평 조립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바닥재의 부분 단면도로서, PCT/EP1997/03006호에 개시된 바닥재를 도시하였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 기술에서는 제1바닥재(120)를 향해 제2바닥재(130)를 수평 조립할 때, 홈(121)이 제공된 제1바닥재(120)의 걸림턱(122)이 아 래로 휘어지면서 제2바닥재(130)의 돌기(131)가 원활하게 진입하도록 한다.
그러나 제1 및 제2바닥재(120, 130)의 탄성이 부족하거나 순간적인 충격을 가하여 돌기(131)를 끼워 넣을 때 홈(121)이 형성된 제1바닥재(120) 측면에서 균열(점선 표시 참고)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균열은 바닥재 시공시 결합면의 단차를 유발하고, 결합력을 약화시켜 결합부 틈새를 야기할 우려가 있다.
도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바닥재의 부분 단면도로서, PCT WO 01/48332A1호에 개시된 바닥재를 도시하였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 기술에서는 제1바닥재(140)를 향해 제2바닥재(150)를 수평 조립할 때, 제1 바닥재(140)의 걸림턱(141)이 높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바닥재(150)의 하측 돌기부(151) 측면이 걸림턱(141)에 걸려 수평 진입을 방해하며, 제2바닥재(150)에 힘을 주어 강제로 수평 조립을 행하면 걸림턱(141)이 깨지는 문제(점선 표시 참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 때에는 칼이나 대패를 이용해 걸림턱의 일부를 제거한 다음 수평 조립을 해야 하지만, 이는 시공상의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조립 후 제1 및 제2바닥재간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재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특성을 고려하여 바닥재의 측면에 적절한 형상의 체결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바닥재 상호간의 결합력을 높이면서도 편리한 시공이 이루어지는 조립식 바닥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호 조립된 바닥재와 바닥재 사이에 여유 공간을 형성됨으로써 수분이나 습기 등에 의한 바닥재 변형에 따라 바닥재의 결합력이 더욱 증대되는 조립식 바닥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닥재와 바닥재가 서로 선 접촉되는 상태로 결합되므로 바닥재의 조립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조립식 바닥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닥재의 상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으며, 바닥재끼리의 단차가 발생되지 않는 조립식 바닥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조립식 바닥재는 길이방향 측면과 폭방향 측면에 서로 다른 형상의 체결구조를 형성하여 서로 조립되는 제1바닥재 및 제2바닥재가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로서, 상기 길이방향 측면에서 상기 제1바닥재에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요입부, 상기 요입부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 는 요입연장부, 상기 연장부와 단부 사이에 아래쪽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만곡부, 상기 제1바닥재의 단부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바닥재에는 상기 제1바닥재의 요입부에 끼워지도록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연장부, 상기 돌출연장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만곡부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쐐기부, 상기 쇄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돌기부와 대응되게 상측으로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입부는 상기 제1바닥재의 내측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측 끝단이 상면를 향해 경사지면서 만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요입부에 끼워져 밀착되도록 상부 끝단이 상부를 향해 경사지면서 만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입연장부는 상기 요입부의 하단에서부터 상기 단부를 향해 상부로 경사지면서 만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만곡부는 상기 제1바닥재의 하면을 향해 만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쐐기부는 상기 만곡부를 향해 아래쪽으로 연장되며, 서로 다른 각도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입부와 돌출부 사이에는 상기 제1바닥재 또는 제2바닥재가 변형될 수 있는 공간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간부는 상기 요입부와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공간부, 상기 만곡 부와 쐐기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공간부, 상기 돌기부와 홈부 사이에 제3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입부의 상면과 돌출부의 상면 사이에는 제4공간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바닥재를 끼워 넣으면서 아래로 눌러주어 조립되므로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요입부와 돌출부가 면 접촉 또는 선 접촉됨과 함께 만곡부와 쐐기부가 선 접촉되므로 요입부와 돌출부 사이에 다수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바닥재의 변형 시 바닥재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변형되는 공간이 비교적 크게 확보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3은 본 발명의 조립식 바닥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바닥재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바닥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바닥재(1)는 임의의 두께와 면적을 갖는 장방형의 판재로써, 한 쌍의 길이방향 측면(2)과 폭방향 측면(3)을 구비한 다.
길이방향 측면(2)과 폭방향 측면(3)은 각각 서로 다른 모양의 결합구조를 갖는 것으로, 바닥재 조립 시 길이방향 측면(2)끼리 서로 조립됨과 함께 폭방향 측면(3)끼리 서로 조립된다.
이러한 바닥재(1)는 다수의 바닥재(1)가 길이방향 측면(2) 및 폭방향 측면(3)이 서로 조립되어 연결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길이방향 측면(2)의 조립되는 상태를 도4 및 도5에 도시하였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재(1)는 제1바닥재(10)와 제2바닥재(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바닥재(10)는 상면(11)과 하면(12)을 가지며, 측면(2)에는 상측면(11a)과 하측면(12a)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제1바닥재(10)의 길이방향 측면(2)에는 내측으로 파여진 요입부(13)가 형성되어 있고, 요입부(13)의 상면은 제1바닥재(10)의 상측면(11a)으로부터 내측 상면을 향해 상부로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요입부(13)는 그 형태가 대략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요입부(13) 상면은 내측단이 상측면(11a)의 하단 보다 높게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요입부(13)는 아래쪽으로 연장된 후 다시 하측면(12a)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상기 요입부(13) 하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요입연장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요입연장부(14) 우측(도3 및 도4의 도면상 오른쪽)에는 제1바닥재(10)의 하면(2)으로 만곡된 만곡부(15)가 형성되며, 상기 만곡부(15)는 제1만곡부(15a)와 제 2만곡부(15b)가 연속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 제1만곡부(15a) 우측에는 상기 제1만곡부(15)와 같이 하면을 향해 만곡된 제2만곡부(15b)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만곡부(15b) 우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만곡부(15a,15b) 보다 다소 높게 형성된 돌기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바닥재(20)는 상면(21)과 하면(22)을 가지며, 측면(2)에는 상측면(21a)과 하측면(2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바닥재(20)의 길이방향 측면(2)에는 상기 요입부(13)에 끼워지는 돌출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23)는 그 형태가 대략 'ㄷ'자 형태로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부(23)의 상면은 외측단이 돌출되는 지점 보다 높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면이 상부로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 돌출부(23) 하면에는 돌출부(23)의 전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 후 하측면(22a)을 향해 연장된 돌출연장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돌출연장부(24) 우측에는 쐐기부(25)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만곡부(15a)에 선 접촉되는 제1쐐기부(25a)가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1만곡부(15a)에 선 접촉되는 제2쐐기부(25b)가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다.
또한 쐐기부(25) 우측에는 쐐기부(25)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바닥재(10)의 제2만곡부(15b)에 끼워져 고정되는 제3쐐기부(25c)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쐐기부(25)는 만곡부(15)에 끼워져 고정되며, 만곡부(15)와 쐐기 부(25)는 길이방향 측면(2)을 따라 선 접촉된 상태로 결합되며, 제1쐐기부(25a), 제2쐐기부(25b), 제3쐐기부(25c)는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쐐기부(25) 일측에는 상기 제1바닥재(10)의 돌기부(16)와 대응되는 홈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조립식 바닥재(1)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닥재(10)의 요입부(13)에 제2바닥재(20)의 돌출부(23)가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돌출부(23)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닥재(10)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밀어 넣어주면서 쐐기부(25)가 돌기부(16) 및 만곡부(15)에 끼워지도록 제2바닥재(20)의 타단(도면상 미도시된 요입부)을 위에서 아래로 누르면서 끼워 넣게 된다.
즉, 만곡부(15) 사이에는 상부로 돌출된 부분이 있으므로, 제2바닥재(20)는 돌출부(23)의 쐐기부(25)가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작업자는 제2바닥재(20)의 타단을 아래로 누르면서 끼우게 된다.
상기 돌기부(16)는 만곡부(15) 보다 다소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바닥재(10)를 우측 상부방향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요입부(13) 쪽으로 밀어 넣게 되고, 제2바닥재(20)가 들어가는 도중에 쐐기부(25)가 만곡부(15)에 접촉되면 제2바닥재(20)를 아래쪽으로 눌러주게 된다.
이어서 돌출부(23)가 요입부(13)에 접촉되도록 끼워지면, 작업자는 제2바닥 재(20)를 제1바닥재(10)와 동일한 수평선상으로 위치하도록 내리 누르게 된다.
즉, 제1바닥재(10)와 제2바닥재(20)의 조립은 제2바닥재(20)를 제1바닥재(10) 쪽으로 밀어 넣어주면서 아래로 누름으로써 그 조립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제2바닥재(20)가 제1바닥재(10)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고정되면, 쐐기부(25)는 만곡부(15)에 긴밀하게 접촉된다.
상기 쐐기부(25)는 바닥재(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쐐기부(25)와 만곡부(15)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 접촉된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요입부(13) 상면과 돌출부(23) 상면은 서로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만곡되어 있으므로, 요입부(13)와 돌출부(23) 상면은 서로 밀착되어 고정된다.
아울러 쐐기부(25)는 각각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되어 만곡부(15)에 밀착되어 고정되므로, 제1바닥재(10)와 제2바닥재(20)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2바닥재(20)가 제1바닥재(10)에 끼워져 고정되면, 제1바닥재(10)와 제2바닥재(20) 사이에는 다수의 공간부(27)가 형성된다.
상기 제1바닥재(10)외 제2바닥재(20) 사이에는 상측면(11a)과 하측면(21a) 사이에 형성되는 제1공간부(27a), 상기 요입부(13)와 요입연장부(14) 및 돌출부(23)와 돌출연장부(24) 사이에 형성되는 제2공간부(27b), 만곡부(15)와 쐐기부(25) 사이에 형성되는 제3공간부(27c), 만곡부(15)에 형성된 돌기와 쐐기부(25)에 형성된 홈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4공간부(27d) 및 돌기부(16)와 홈부(26) 사이에 제5공간부(27e)가 형성된다.
아울러 바닥재(1)는 설치 완료된 후 수분 또는 습기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공간부(27)로 확장된다.
이러한 바닥재(1)가 수평방향으로 확장되는 경우에는 제1공간부(27a)와 제2공간부(27b) 및 제5공간부(27e)로 확장되고, 바닥재(1)가 수직방향으로 확장되는 경우에는 제1공간부(27a)와 제2공간부(27b) 내지 제5공간부(27e)로 확장된다.
이에 따라 바닥재(1)의 변형이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루어지게 되더라도 바닥재(1)의 초기 조립된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바닥재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바닥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바닥재(1)는 제1바닥재(30)와 제2바닥재(40)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술한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제1실시예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닥재(30)에는 대략 'ㄷ'자 형태의 요입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제2바닥재(40)에는 상기 요입부(31)에 끼워져 고정되는 돌출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요입부(31) 상면은 상측면(31a)으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지면서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 후 하측면(31b)을 향해 요입연장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요입연장부(32) 우측에는 하나의 만곡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만곡부(33) 우측에는 돌기부(34)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바닥재(40)에는 요입부(31)에 끼워져 고정되는 돌출부(41)가 상측면(41a)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 후 하측면(41b)을 향해 연장된 돌출연장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돌출연장부(42) 우측에는 쐐기부(43)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입연장부(32)에 걸리는 제1쐐기부(43a)가 형성되어 있고, 만곡부(33)에 걸리는 제2쐐기부(43b)와 제3쐐기부(43c)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쐐기부(43)는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2쐐기부(43b)와 제3쐐기부(43c)는 대칭된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쐐기부(43) 우측에는 상기 돌기부(34)에 끼워지는 홈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2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조립식 바닥재(1)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닥재(30)의 요입부(31)에 제2바닥재(40)의 돌출부(41)가 끼워져 고정되며, 제1바닥재(30)와 제2바닥재(40)의 조립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바닥재(40)의 돌출부(41)는 제1바닥재(30)의 요입부(31)에 끼워지게 되는데, 제1바닥재(30)와 제2바닥재(40) 사이에는 다수의 공간부(45)가 형성된다.
즉, 제1바닥재(30)의 상측면(31a)과 제2바닥재(40)의 상측면(41a) 사이에는 제1공간부(45a)가 형성되고, 요입연장부(32)와 돌출연장부(42) 사이에는 제2공간부(45b)가 형성된다.
또한 만곡부(33)와 쐐기부(43) 사이에는 제3공간부(45c) 및 제4공간부(45d)가 형성되며, 돌기부(34)와 홈부(44) 사이에는 제5공간부(45e)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바닥재(30) 및 제2바닥재(40)는 수분이나 습기 등에 의해 변형 발생 시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45)로 확장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쐐기부(43a)가 요입연장부(32)에 걸려 있으므로 제1바닥재(30)와 제2바닥재(40)의 조립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고, 제2쐐기부(43b)와 제3쐐기부(43c)는 서로 대칭된 방향으로 만곡부(33)에 고정되므로 제1바닥재(30)와 제2바닥재(40)의 조립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제3실시예>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바닥재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바닥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바닥재(1)는 제1바닥재(50)와 제2바닥재(60)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술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닥재(50)에는 상측면(51a)과 하측면(51b)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대략 'ㄷ'자 형태의 요입부(51)가 형성되어 있으며, 요입부(51) 아래쪽으로 연장된 후 하측면(51b)으로 연장되는 요입연장부(52)가 형성되어 있다.
또 요입연장부(52) 우측에는 하면을 향해 만곡된 만곡부(53)가 형성되며, 만곡부(53)는 제1만곡부(53a)와 제2만곡부(53b)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만곡부(53) 우측에는 상부로 돌출된 돌기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바닥재(60)에는 상측면(61a)과 하측면(61b)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대략 'ㄷ'자 형태의 돌출부(61)가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61) 상면은 요입부(51)와 대응되도록 상부로 경사지면서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61)에는 상면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후 하측면(61b)을 향해 연장된 돌출연장부(62)가 형성되어 있고, 돌출연장부(62) 우측에는 쐐기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쐐기부(63)는 제1쐐기부(63a)와 제2쐐기부(63b) 및 제3쐐기부(63c)로 이루어져 있고, 제1쐐기부(63a)와 제2쐐기부(63b)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제3쐐기부(63c) 우측에는 상기 돌기부(53)에 끼워지는 홈부(6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3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조립식 바닥재(1)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닥재(50)의 요입부(51)에 제2바닥재(60)의 돌출 부(61)가 끼워져 고정되며, 제1바닥재(50)와 제2바닥재(60)의 조립은 전술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조립된 제1바닥재(50)와 제2바닥재(60)에는 다수의 공간부(65)가 형성된다.
상기 제1바닥재(50)의 상측면(51a)과 제2바닥재(60)의 상측면(61a) 사이에는 제1공간부(65a)가 형성되고, 요입연장부(52)와 돌출연장부(62a) 사이에는 제2공간부(65b)가 형성된다.
또 만곡부(53)와 쐐기부(63) 사이에는 제3공간부(65c)가 형성되고, 돌기부(54)와 홈부(64) 사이에는 제4공간부(65d)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바닥재(50) 및 제2바닥재(60)는 수분이나 습기 등에 의해 변형 발생 시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65)로 확장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제1쐐기부(63a), 제2쐐기부(63b)가 만곡부(53)에 걸려 있으므로 제1바닥재(50)와 제2바닥재(60)의 조립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고, 제1쐐기부(63a)와 제2쐐기부(63b)는 서로 대칭된 방향으로 만곡부(53)에 고정되므로 제1바닥재(50)와 제2바닥재(60)의 조립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제4실시예>
도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바닥재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바닥재가 결합된 상 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바닥재(1)는 제1바닥재(70)와 제2바닥재(80)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술한 제1실시예, 제2실시예 또는 제3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실시예들과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닥재(70)에는 상측면(71a)과 하측면(71b)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대략 'ㄷ'자 형태의 요입부(71)가 형성되어 있으며, 요입부(71) 아래쪽으로 연장된 후 하측면(71b)으로 연장되는 요입연장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또 요입연장부(72) 우측에는 하나의 만곡부(73)가 형성되어 있으며, 만곡부(73) 끝단에는 돌기부(74)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제2바닥재(80)에는 상측면(81a)과 하측면(81b)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입부(71)에 끼워져 고정되는 돌출부(81)가 돌출 형성되며, 돌출부(81) 상면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연장부(8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연장부(82) 우측에는 만곡부(72)에 끼워져 고정되는 쐐기부(83)가 형성되어 있으며, 쐐기부(83)에는 만곡부(72) 일측에 접촉되는 제1쐐기부(83a)와 만곡부(72) 타측에 접촉되는 제2쐐기부(8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쐐기부(83b) 끝단에는 돌기부(73)에 고정되는 홈부(8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4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바닥재(1)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닥재(70)의 요입부(71)에 제2바닥재(80)의 돌출부(81)가 끼워져 고정되며, 제1바닥재(70)와 제2바닥재(80)의 조립은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조립된 제1바닥재(70)와 제2바닥재(80)에는 다수의 공간부(85)가 형성된다.
상기 제1바닥재(70)의 상측면(71a)과 제2바닥재(80)의 상측면(81a) 사이에는 제1공간부(85a)가 형성되고, 요입연장부(72)와 돌출연장부(82) 사이에 제2공간부(85b)가 형성된다.
또 만곡부(73)의 돌기와 돌출연장부(82) 사이에 제3공간부(85c)가 형성되고, 만곡부(73)와 쐐기부(83) 사이에 제4공간부(85d)가 형성되며, 돌기부(74)와 홈부(84) 사이에 제5공간부(85e)가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부(85)는 제1바닥재(70) 또는 제2바닥재(80)가 수분 또는 습기 등에 의해 변형되는 경우 바닥재(1)가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확장되는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도1은 종래의 조립식 바닥재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2는 종래의 조립식 바닥재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조립식 바닥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바닥재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바닥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바닥재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바닥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바닥재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바닥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바닥재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바닥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바닥재 2: 길이방향 측면
3: 폭방향 측면 10: 제1바닥재
11: 상면 11a: 상측면
12: 하면 12a: 하측면
13: 요입부 14: 요입연장부
15: 만곡부 16: 돌기부
20: 제2바닥재 21: 상면
21a: 상측면 22: 하면
22a: 하측면 23: 돌출부
24: 돌출연장부 25: 쐐기부
26: 홈부 27: 공간부

Claims (12)

  1. 길이방향 측면과 폭방향 측면에 서로 다른 형상의 체결구조를 형성하여 서로 조립되는 제1바닥재 및 제2바닥재가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로서,
    상기 길이방향 측면에서
    상기 제1바닥재에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요입부, 상기 요입부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입연장부, 상기 연장부와 측면 사이에 아래쪽으로 만곡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만곡부, 상기 제1바닥재의 단부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바닥재에는 상기 제1바닥재의 요입부에 끼워지도록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연장부, 상기 돌출연장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만곡부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쐐기부, 상기 쇄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돌기부와 대응되게 상측으로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는 상기 제1바닥재의 내측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측 끝단이 상면을 향해 경사지면서 만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요입부에 끼워져 밀착되도록 상부 끝단이 상부를 향해 경사지면서 만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연장부는 상기 요입부의 하면에서부터 상기 측면을 향해 상부로 경사지면서 만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제1바닥재의 하면을 향해 만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는 상기 만곡부를 향해 아래쪽으로 연장되며, 서로 다른 각도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와 돌출부 사이에는 상기 제1바닥재 또는 제2바닥재가 변형될 수 있는 공간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요입부와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공간부, 상기 만곡부와 쐐기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공간부, 상기 돌기부와 홈부 사이에 제3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닥재의 만곡부에는 하면을 향해 만곡된 제1만곡부와 제2만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바닥재의 쐐기부는 상기 제1만곡부에 고정되는 제1쐐기부와 제2쐐기부가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제2만곡부에 고정되는 제3쐐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닥재의 만곡부에는 하면을 향해 만곡된 하나의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바닥재의 쐐기부에는 상기 요입연장부에 고정되는 제1쐐기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만곡부에는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된 제2쐐기부와 제3쐐기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닥재의 만곡부에는 하면을 향해 만곡된 제1만곡부와 제2만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바닥재의 쐐기부에는 상기 제1만곡부에 고정되는 제1쐐기부와 제2쐐기부가 서로 다른 각도로 고정되며, 상기 제2만곡부에 고정되는 제3쐐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닥재의 만곡부에는 하면을 향해 만곡된 하나의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바닥재의 쐐기부에는 상기 만곡부에 서로 다른 각도로 고정되는 제1쐐기부와 제2쐐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KR1020090042365A 2009-05-15 2009-05-15 조립식 바닥재 KR201001232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365A KR20100123248A (ko) 2009-05-15 2009-05-15 조립식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365A KR20100123248A (ko) 2009-05-15 2009-05-15 조립식 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248A true KR20100123248A (ko) 2010-11-24

Family

ID=43407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365A KR20100123248A (ko) 2009-05-15 2009-05-15 조립식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32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94057A (zh) * 2019-01-30 2022-01-28 I4F许可有限责任公司 地板镶板和具有所述镶板的地板覆盖物
KR20220011901A (ko) * 2020-07-22 2022-02-03 정영민 악취 누설방지용 커버의 조립용 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94057A (zh) * 2019-01-30 2022-01-28 I4F许可有限责任公司 地板镶板和具有所述镶板的地板覆盖物
KR20220011901A (ko) * 2020-07-22 2022-02-03 정영민 악취 누설방지용 커버의 조립용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6083B1 (ko) 조립식 바닥재
JP3850292B2 (ja) パネルエレメント
KR100687592B1 (ko) 조립식 바닥재
JP5111756B2 (ja) 実接合する板材および床構造
KR20100123248A (ko) 조립식 바닥재
JP4701101B2 (ja) サイディング取付金具
JP4886462B2 (ja) 下地構造
JP2012140853A (ja) 実接合する板材および木質系床材の接合構造
KR100210466B1 (ko) 창틀골재 연결구
KR101681930B1 (ko) S자형 클립을 이용한 무용접 외장재 부착 시공방법
KR101647742B1 (ko) 문틀보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4819780B2 (ja) 断熱枠材および建具
KR100572338B1 (ko) 조립식 바닥재
JP4914602B2 (ja) 実接合する板材および床構造
KR102579747B1 (ko) 창문프레임의 코너 고정을 위한 코너피스
JP2984982B2 (ja) バン型荷台
JP3352991B2 (ja) 屋根板材の接続構造および屋根板材の止め金具
KR102598938B1 (ko) 창문프레임의 코너 고정을 위한 코너피스
KR200431425Y1 (ko) 조립식 마루판.
JP3287823B2 (ja) 階段の蹴込板の踏み板への取付け構造
JP5191723B2 (ja) 接合部材及び建具
KR20180087951A (ko) 개선된 문틀 및 문틀보강재 결합구조
KR200394593Y1 (ko) 조립식 바닥재
JP4823805B2 (ja) 床材の床下地への固定構造
JPH061969Y2 (ja) 壁材のジョイン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