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3054A -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 - Google Patents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3054A
KR20100123054A KR1020090042060A KR20090042060A KR20100123054A KR 20100123054 A KR20100123054 A KR 20100123054A KR 1020090042060 A KR1020090042060 A KR 1020090042060A KR 20090042060 A KR20090042060 A KR 20090042060A KR 20100123054 A KR20100123054 A KR 20100123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block
artificial habitat
aquatic lif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2975B1 (ko
Inventor
주영규
Original Assignee
주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규 filed Critical 주영규
Priority to KR1020090042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975B1/ko
Publication of KR20100123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 Y02A20/402River resto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구형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로부터 방사형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6개 이상의 뿔대를 포함하되, 상기 뿔대는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정사면체 형상의 꼭지점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은 빠른 유속에도 유실되지 않고, 다양한 유속 하에서 여러 가지 저서생물의 서식을 가능케 하여, 이를 섭식하는 어류의 종 다양성이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생태계의 복원과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
블록, 인공서석지, 뿔대, 구형 본체, 관통홀, 저서생물, 물고기

Description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Artificial habitat block for fish and underwater organisms}
본 발명은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빠른 유속에도 유실되지 않고, 다양한 유속 하에서 여러 가지 저서생물의 서식을 가능케 하여, 이를 섭식하는 어류의 종 다양성이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생태계의 복원과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정비시 석축이나 옹벽 등의 구조물이 하천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경우, 구조물은 하천의 흐름에 저항체가 되어 소용돌이류가 발생하며, 하천 유속이 빠른 경우에는 구조물이 유실될 위험이 있다.
한편, 이러한 유실에 의해 어류나 저서생물의 서식공간이 없어지게 되어 하천 생태계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정부의 녹색뉴딜정책으로 4대강 살리기, 중소규모 댐, 자전거길 조성, 마을하천 생태복원, 살아있는 강길 100, 빗물 유출 저감시설 설치, 생태공원, 테마공원, 생태학습장 조성 등 여러 가지 생태복원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국가규모의 하천준설과 지자체의 하천수방 사업으로 파괴된 생태복원에 대한 기술에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빠른 유속에도 유실되지 않고, 다양한 유속 하에서 여러 가지 저서생물의 서식을 가능케 하여, 이를 섭식하는 어류의 종 다양성이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생태계의 복원과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구형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로부터 방사형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6개의 뿔대를 포함하되,
상기 뿔대는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정사면체 형상의 꼭지점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관통 방향을 따라 단면적의 크기가 다른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복수의 제 1 관통홀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뿔대에는 관통 방향을 따라 단면적의 크기가 다른 복수의 영역으 로 구획된 제 2 관통홀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은 빠른 유속에도 유실되지 않고, 다양한 유속 하에서 여러 가지 저서생물의 서식을 가능케 하여, 이를 섭식하는 어류의 종 다양성이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생태계의 복원과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구성부재의 크기 및 모양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을 구성하는 본체 내에 형성된 관통홀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이 하천 바닥에 설치된 상태의 개념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이 하천 둔치에 설치된 상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1, 이하, "블록"이라 함)은 구형 본체(10) 및 상기 본체(10)의 상단부 및 하단부로부터 방사형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6개 이상의 뿔대(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1)을 구성하는 뿔대(20)는 구형 본체(10)를 어느 방향에서나 동일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6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하, 6개의 뿔대(20)를 갖는 블록(1)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뿔대(20)는 상기 본체(10)를 기준으로 정사면체 형상의 꼭지점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지지한다.
여기서, 본체(10)는 중심선(S)을 기준으로 상단부 및 하단부로 구분될 수 있고, 본체(1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형성된 뿔대(20)는 중심선(S)을 기준으로 회전 대칭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각 뿔대(20)는 동일한 형상과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는 다공성 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고, 표면의 다공성 재질은 유기물의 침전을 유도하여 수생식물이 부착하여 생육할 수 있으며, 이를 섭식하는 어류, 폐류 및/또는 무척추 동물들이 서식할 공간을 제공하게 되어 생태계의 먹이사슬이 연결되므로 이를 섭식하는 어류의 종다양성도 확보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블록(1)은 무게 중심이 본체(10)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정육각체의 무게 중심이 구조물 중앙에 있고, 하부(예를 들어, 하천 바닥)에 접촉되는 다리의 개수가 항시 3개가 됨으로써 빠른 유속에도 유실되지 않는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을 집단적으로 설치하게 되면 빠른 유속으로부터의 하안면의 토사 침식방지를 도모할 수 있으며, 하상의 부피가 큰 골재(바위 등)를 상부에 포설하면 고수부지, 자전거 도로, 지중도(강 중간에 퇴적골재나 토사에 의해 생성되는 섬) 연결 교량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하부는 유속의 감소 및 다양화, 하안의 물에 의한 침식방지와 더불어 수중 환경의 다양화로 인해 여러 가지 저서생물의 서식이 가능한 수생태계가 형성된다. 이는 하상정비, 수로개설, 준설 등에 의한 하상교란에 따른 유속의 단일화, 하상 환경의 단순화를 극복하고 수생태계의 복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1)은 상기 본체(10)에 관통 방향을 따라 단면적의 크기가 다른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복수의 제 1 관통홀(11)이 형성되고, 상기 뿔대에 관통 방향을 따라 단면적의 크기가 다른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제 2 관통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관통홀(11, 12, 13, 14 및 15)은 중심선(S)에 대하여 수직 및/또는 수평방향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있고, 이에 따라 본체(10) 내부에 교차영역(C)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 1 관통홀은 본체(10)의 중심부(C)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각 관통홀(11, 12, 13, 14 및 15)은 관통방향을 따라 단면적의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개방된 양 종단부의 단면적이 중앙부의 단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관통홀의 직경(11, 12, 13, 14 및 15)은 50 내지 200mm일 수 있으며, 상기 수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물고기 등 출입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수치보다 큰 경우에는 구조적 안정성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지 않으며, 전체 블록(1)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1)은 외부와 내부의 크기가 다른 관통홀을 통하여 유속이 다양화 되며, 이는 수생태계의 서식 환경을 다양화 시켜 인공 저서생물 서식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크기와 모양이 다양한 관통홀은 각 부분별로 유속을 달리함으로써 물고기나 저서생물의 피난처, 휴식처, 산란처 등으로 제공된다.
여러 개의 관통홀은 유속을 변화시켜 폭기 현상을 유발함으로써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키므로 수생물이나 유기물을 제거하는 등 수질 정화에 효과가 있다.
크기와 모양이 다양한 관통홀은 입구가 크고 내부가 좁아지면 면적에 정비례(표면마찰력 제외)하여 유속을 증가시키고, 그 반대로 입구보다 내부가 넓으면 유속이 면적에 반비례(표면마찰력 제외)하여 감속하게 된다. 이러한 다양한 관통홀은 치어 등 물고기나 양서류, 파충류 등 저서생물의 피난처, 휴식처, 산란처 등으로 제공된다.
실시예
수심 1M, 자연유속이 0.4m/s인 하천 지점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을 설치하고, 블록에 의한 하천 유속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때 블록은 설치 후 하천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가 60cm이며, 본체에 형성된 관통홀의 직경은 15cm로 제작되었다.
부분별로 유속을 관찰한 결과, 블록 앞의 유속은 0.2m/s이고, 블록 뒤의 유속은 0.1m/s이며, 블록 좌측은 0.28m/s이고, 블록 우측은 0.3m/s이며, 관통홀 중심은 0.05m/s이고, 관통홀 입구는 0.07m/s로 나타났다.
이처럼 빠른 유속에도 유실되지 않고, 유속의 변화가 다양하게 일어나 여러 가지 저서생물의 서식을 가능케 하여, 이를 섭식하는 어류의 종 다양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생태계의 복원과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을 구성하는 본체 내에 형성된 관통홀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이 하천 바닥에 설치된 상태의 개념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이 하천 둔치에 설치된 상태의 개념도.

Claims (9)

  1. 구형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로부터 방사형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6개 이상의 뿔대를 포함하되,
    상기 뿔대는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정사면체 형상의 꼭지점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관통 방향을 따라 단면적의 크기가 다른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복수의 제 1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뿔대에는 관통 방향을 따라 단면적의 크기가 다른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제 2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각 관통홀의 직경은 50 내지 2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
  5.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관통홀은 개방된 양 종단부의 단면적이 중앙부의 단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
  6.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 1 관통홀은 본체의 중심부에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
  7.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형성된 뿔대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 대칭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
  8. 제 1 항에 있어서,
    각 뿔대는 동일한 형상과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다공성 콘크리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
KR1020090042060A 2009-05-14 2009-05-14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 KR101082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060A KR101082975B1 (ko) 2009-05-14 2009-05-14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060A KR101082975B1 (ko) 2009-05-14 2009-05-14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054A true KR20100123054A (ko) 2010-11-24
KR101082975B1 KR101082975B1 (ko) 2011-11-11

Family

ID=43407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060A KR101082975B1 (ko) 2009-05-14 2009-05-14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29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7827A (zh) * 2018-03-19 2018-07-13 甄建伟 一种生态环保的水中建筑结构及其建筑方法
KR102320273B1 (ko) 2021-06-18 2021-11-02 대한민국 수생생물 서식용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661B1 (ko) 2013-11-20 2014-07-23 최홍석 구형 인공어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761B1 (ko) 2004-10-29 2006-11-23 주식회사 성지건설 뿔과 다리 달린 기능성 구(球)형 인공어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7827A (zh) * 2018-03-19 2018-07-13 甄建伟 一种生态环保的水中建筑结构及其建筑方法
KR102320273B1 (ko) 2021-06-18 2021-11-02 대한민국 수생생물 서식용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2975B1 (ko) 201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144539A (ja) 河川の水中生態系復元工法
KR101082975B1 (ko) 물고기 및 수중생물을 위한 인공서식지 블록
KR102204317B1 (ko) 조립식 다공성 블록을 이용한 생태여울 구조
CN108086243B (zh) 一种通航河道的生态型河滨带
GR1009024B (el) Τεχνητος υφαλος καταδυσης αναψυχης
CN114956341B (zh) 一种塘泡型近自然河流湿地及其构建方法
ES2349955T3 (es) Pieza artificial de producción litoral para regeneración, recuperación y rehabilitación de hábitats marinos.
KR100664993B1 (ko) 호안블럭
JP2849333B2 (ja) 浄水機能を有する護床ブロック
KR100762355B1 (ko) 소하천 어소블록 설치구조
KR100645313B1 (ko) 유속 감소용 하천저면 바닥장치
KR100478900B1 (ko) 조립식 어도 및 그의 시공방법
JPH05302312A (ja) 生態系改善型護岸構造
KR102052926B1 (ko) 플러스 공간 인공어도초
JP2008025119A (ja) 水際用ブロック
KR200408202Y1 (ko) 하천용 어류 서식지 조성장치
KR200344657Y1 (ko) 하상보호블록
KR100680154B1 (ko) S형 계단식 어도시설
JP2005282287A (ja) 水路式魚道ブロック
KR100654298B1 (ko) 하천용 어류 서식지 조성장치
KR200447370Y1 (ko) 하천용 인공어초
CN109295922A (zh) 一种构建深潭浅滩的生态滤坝
KR20100015300A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면서 물고기 서식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생태하천 수로를 이용하여 자연형 하천을 조성하는 자연친화적인 공법
KR100658439B1 (ko) 하천용 어소블록 구조물
JP2006037641A (ja) 水中生態系復元ブロック及びその設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