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2439A - 알파벳 입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알파벳 입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22439A KR20100122439A KR1020100023489A KR20100023489A KR20100122439A KR 20100122439 A KR20100122439 A KR 20100122439A KR 1020100023489 A KR1020100023489 A KR 1020100023489A KR 20100023489 A KR20100023489 A KR 20100023489A KR 20100122439 A KR20100122439 A KR 201001224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lphabet
- input
- remind
- wow
- sequenti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7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6930 Pseudomyxoma Peritonei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49 cogn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306 polymethylpent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의 일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요소에 의해 알파벳 소문자를 생성하는 조합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기본요소를 배치하는 일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나머지 기본요소를 배치한 키패드 배열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따른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에서 영문 소문자를 생성하는 키패드 입력 순서를 총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에서 영문 알파벳을 드래그하여 생성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를 휴대폰에 적용한 일실시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의 기본요소 배열을 변형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기본요소 입력 시 다음 입력이 가능한 기본요소를 구별해주는 키패드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장치의 블럭도이다.
1110; 키패드
1120; 시각변환부 1130; 시간점검부
1140; 제어부 1150; 디스플레이부
Claims (52)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방법은,
상기 기본요소들 중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a"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b"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c"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d"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e"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f"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g"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h"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i"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j"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k"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l"로,
상기 ""의 2회 반복 입력을 알파벳 "m"으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n"으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o"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p"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q"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r"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s"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t"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u"로,
상기 ""의 2회 반복 입력을 알파벳 "v"로,
상기 ""의 2회 반복 입력을 알파벳 "w"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x"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y"로,
상기 ""의 2회 반복입력을 알파벳 "z"로 인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영문 알파벳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요소로 할당된 입력 키 외의 제 1 키를 구비하여,
상기 단일 입력에 의해 알파벳이 완성되는 상기 단일 입력 후에 상기 제 1 키의 입력에 의해 모든 알파벳 입력이 2회의 입력으로 알파벳 인식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요소로 할당된 입력 키 외의 제 2 키를 구비하여,
상기 "a" 인식 후에 상기 제 2 키의 반복 입력에 의해 상기 "a"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문자로 순환 선택되고,
상기 "e" 인식 후에 상기 제 2 키의 반복 입력에 의해 상기 "e"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문자로 순환 선택되고,
상기 "i" 인식 후에 상기 제 2 키의 반복 입력에 의해 상기 "i"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문자로 순환 선택되고,
상기 "o" 인식 후에 상기 제 2 키의 반복 입력에 의해 상기 "o"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문자로 순환 선택되고,
상기 "u" 인식 후에 상기 제 2 키의 반복 입력에 의해 상기 "u"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문자로 순환 선택되고, 및
상기 "n" 인식 후에 상기 제 2 키의 반복 입력에 의해 상기 "n"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문자로 순환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입력에 있어서 상기 단일 입력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단일 입력에 의한 알파벳을 인식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첫번째 입력되는 기본요소에 대해 알파벳을 생성하기 위해 두번째 입력될 수 있는 기본요소를 두번째로 입력될 수 없는 다른 기본요소와 시각적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첫번째 입력되는 기본요소에 따라 알파벳을 생성하기 위해 두번째 입력될 수 있는 기본요소를 두번째로 입력될 수 없는 다른 기본요소와 시각적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방법.
-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으로 구분하는 것은 상기 두번째로 입력될 수 있는 기본요소의 백라이트를 온(on) 시키거나, 색을 반전시키거나 상기 두번째로 입력될 수 없는 다른 기본요소와 색을 달리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방법.
-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입력되는 기본요소의 단일 입력에 의해 알파벳이 생성될 수 있는 경우 상기 두번째로 입력될 수 있는 기본요소와 함께 스페이스바 키도 상기 두번째로 입력될 수 없는 다른 기본요소와 시각적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방법.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입력의 경우 두번째 입력을 첫번째 입력보다 시간 상 상대적으로 길게 입력하여 상기 두번째 입력과 상기 첫번째 입력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를 중앙요소로 하여 상기 중앙요소 상부에 "", 상기 중앙요소 하부에 "", 상기 중앙요소 좌측부에 "", 및 상기 중앙요소 우측부에 ""를 배치하고,
상기 상부의 중앙요소 ""의 좌측부에 "", 우측부에 ""을 각각 배치하고,
상기 하부의 중앙요소 ""의 좌측부에 "", 우측부에 ""를 배치하는 터치 인식 키로 이루어지는 키패드에서,
상기 기본요소들 중 상기 ""에서 ""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알파벳 "a"로,
상기 ""에서 ""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알파벳 "b"로,
상기 ""를 터치하는 입력을 알파벳 "c"로,
상기 ""에서 ""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알파벳 "d"로,
상기 ""를 터치하는 입력을 알파벳 "e"로,
상기 ""를 터치하는 입력을 알파벳 "f"로,
상기 ""로부터 ""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알파벳 "g"로,
상기 ""로부터 ""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알파벳 "h"로,
상기 ""를 터치하는 입력을 알파벳 "i"로,
상기 ""를 터치하는 입력을 알파벳 "j"로,
상기 ""로부터 ""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알파벳 "k"로,
상기 ""를 터치하는 입력을 알파벳 "l"로,
상기 ""을 2회 연속 터치하는 입력을 알파벳 "m"으로,
상기 ""을 터치하는 입력을 알파벳 "n"으로,
상기 ""를 터치하는 입력을 알파벳 "o"로,
상기 ""로부터 ""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알파벳 "p"로,
상기 ""로부터 ""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알파벳 "q"로,
상기 ""로부터 ""를 거쳐 ""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알파벳 "s"로,
상기 ""를 터치하는 입력을 알파벳 "t"로,
상기 ""를 터치하는 입력을 알파벳 "u"로,
상기 ""를 의 2회 연속 터치하는 입력을 알파벳 "v"로,
상기 ""를 2회 연속 터치하는 입력을 알파벳 "w"로,
상기 ""로부터 ""를 거쳐 ""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알파벳 "x"로,
상기 ""로부터 ""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알파벳 "y"로,
상기 ""를 2회 연속 터치하는 입력을 알파벳 "z"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방법. - 알파벳의 획을 분리하여 형상화한 기본요소 ", , , , , , , , , , " 중 적어도 하나의 기본요소를 선택하여 조합하고,
상기 조합된 기본요소에 대응되는 그리스 문자를 결정하고, 및
상기 결정된 그리스 문자를 표시하되,
상기 기본요소들 중 상기 "", "", ""의 순차입력을 그리스 문자 "α"로,
상기 "", "", ""의 순차입력을 그리스 문자 "β"로,
상기 "", ""의 순차입력을 그리스 문자 "γ"로,
상기 "", ""의 순차입력을 그리스 문자 "δ"로,
상기 ""의 2회 반복 입력을 그리스 문자 "ε"로,
상기 "", ""의 순차입력을 그리스 문자 "ζ"로,
상기 "", ""의 순차입력을 그리스 문자 "η"로,
상기 "", ""의 순차입력을 그리스 문자 "θ"로,
상기 ""의 입력을 그리스 문자 "ι"로,
상기 "", "" 의 순차입력을 그리스 문자 "κ"로,
상기 "", ""의 순차입력을 그리스 문자 "λ"로,
상기 "", ""의 순차입력을 그리스 문자 "μ"로,
상기 "" 의 2회 반복 입력을 그리스 문자 "ν"로,
상기 "", "", ""의 순차입력을 그리스 문자 "ξ"로,
상기 ""의 순차입력을 그리스 문자 "ο"로,
상기 "", "", ""의 순차입력을 그리스 문자 "π"로,
상기 "", ""의 순차입력을 그리스 문자 "ρ"로,
상기 "", ""의 순차입력을 그리스 문자 "σ"로,
상기 "", ""의 순차입력을 그리스 문자 "τ"로,
상기 "", ""의 순차입력을 그리스 문자 "υ"로,
상기 "", ""의 순차입력을 그리스 문자 "φ"로,
상기 "", ""의 순차입력을 그리스 문자 "χ"로,
상기 "", ""의 순차입력을 그리스 문자 "ψ"로,
상기 "", ""의 순차입력을 그리스 문자 "ω"로 인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그리스 문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 문자 입력 방법. - 알파벳의 획을 분리하여 형상화한 기본요소 ", , , , , , , , , , "이 각각 하나의 키에 배치되는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키패드장치로서,
상기 기본요소들 중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a"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b"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c"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d"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e"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f"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g"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h"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i"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j"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k"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l"로,
상기 ""의 2회 반복 입력을 알파벳 "m"으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n"으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o"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p"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q"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r"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s"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t"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u"로,
상기 ""의 2회 반복 입력을 알파벳 "v"로,
상기 ""의 2회 반복 입력을 알파벳 "w"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x"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y"로,
상기 ""의 2회 반복입력을 알파벳 "z"로 대응시키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방식에 의해 알파벳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키패드 장치. -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장치는 터치 인식 키패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키패드 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요소로 할당된 입력 키 외의 별도의 키를 구비하여,
상기 단일 입력 요소의 입력 후에 상기 별도의 키 입력에 의해 모든 알파벳 입력이 2회의 입력으로 알파벳 인식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키패드 장치.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키는 스페이스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키패드 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첫번째 키 입력 후 상기 첫번째 키 입력 후 알파벳이 생성될 수 있는 모든 두번째 입력 키를 두번째로 입력될 수 없는 다른 키와 시각적으로 구분하는 시각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키패드 장치.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으로 구분하는 것은 상기 두번째로 입력될 수 있는 키의 백라이트를 온(on) 시키거나, 상기 두번째로 입력될 수 있는 키의 색을 반전시키거나 상기 두번째로 입력될 수 없는 다른 키와 색을 달리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키패드 장치.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변환부는 상기 첫번째 입력되는 키의 단일 입력에 의해 알파벳이 생성될 수 있는 경우 상기 두번째로 입력될 수 있는 키와 함께 스페이스바 키도 상기 두번째로는 입력될 수 없는 다른 기본요소와 시각적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키패드 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입력의 경우 두번째 입력을 첫번째 입력보다 시간 상 상대적으로 길게하여 입력하되 상기 첫번째 짧은 입력과 상기 두번째 긴 입력을 구분할 수 있는 키입력 시간 점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키패드 장치.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방법은,
상기 기본요소들 중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a"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b"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c"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d"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e"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f"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g"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h"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i"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j"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k"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l"로,
상기 ""의 2회 반복 입력을 알파벳 "m"으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n"으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o"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p"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q"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r"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s"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t"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u"로,
상기 ""의 2회 반복 입력을 알파벳 "v"로,
상기 ""의 2회 반복 입력을 알파벳 "w"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x"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y"로,
상기 ""의 2회 반복입력을 알파벳 "z"로 인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하나의 영문 알파벳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방법. -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요소에 할당된 입력 키 외의 제 1 키를 구비하여,
상기 단일입력에 의해 알파벳이 완성되는 상기 단일입력 입력 후에 상기 제 1 키의 입력에 의해 모든 알파벳 입력이 2회의 입력으로 알파벳 인식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방법. -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요소에 할당된 입력 키 외의 제 2 키를 구비하여,
상기 "a" 인식 후에 상기 제 2 키의 반복 입력에 의해 상기 "a"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문자로 순환 선택되고,
상기 "e" 인식 후에 상기 제 2 키의 반복 입력에 의해 상기 "e"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문자로 순환 선택되고,
상기 "i" 인식 후에 상기 제 2 키의 반복 입력에 의해 상기 "i"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문자로 순환 선택되고,
상기 "o" 인식 후에 상기 제 2 키의 반복 입력에 의해 상기 "o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문자로 순환 선택되고,
상기 "u" 인식 후에 상기 제 2 키의 반복 입력에 의해 상기 "u"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문자로 순환 선택되고, 및
상기 "n" 인식 후에 상기 제 2 키의 반복 입력에 의해 상기 "n"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문자와 순환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방법. -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입력에 있어서 상기 단일 입력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단일 입력에 의한 알파벳을 인식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방법. - 제34항에 있어서, 첫번째 입력되는 기본요소에 대해 알파벳을 생성하기 위해 두번째 입력될 수 있는 기본요소를 두번째로 입력될 수 없는 다른 기본요소와 시각적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방법.
- 제35항에 있어서, 첫번째 입력되는 기본요소에 따라 알파벳을 생성하기 위해 두번째 입력될 수 있는 기본요소를 두번째로 입력될 수 없는 다른 기본요소와 시각적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방법.
- 제42항 또는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으로 구분하는 것은 상기 두번째로 입력될 수 있는 기본요소의 백라이트를 온(on) 시키거나, 색을 반전시키거나 또는 상기 두번째로 입력될 수 없는 다른 기본요소와 색을 달리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방법.
-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입력의 경우 두번째 입력을 첫번째 입력보다 시간 상 상대적으로 길게 입력하여 상기 두번째 입력과 상기 첫번째 입력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방법.
- 알파벳의 획을 분리하여 형상화한 기본요소 ", , , , , , , , , "이 각각 하나의 키에 배치되는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키패드장치로서,
상기 기본요소들 중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a"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b"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c"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d"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e"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f"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g"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h"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i"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j"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k"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l"로,
상기 ""의 2회 반복 입력을 알파벳 "m"으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n"으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o"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p"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q"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r"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s"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t"로,
상기 ""의 단일 입력을 알파벳 "u"로,
상기 ""의 2회 반복 입력을 알파벳 "v"로,
상기 ""의 2회 반복 입력을 알파벳 "w"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x"로,
상기 ""와 ""의 순차 입력을 알파벳 "y"로,
상기 ""의 2회 반복입력을 알파벳 "z"로 대응시키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방식에 의해 알파벳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키패드 장치. - 제46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장치는 터치 인식 키패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키패드 장치.
- 제2항 또는 제34항에 따른 알파벳 입력 방법에 의하여 복수의 알파벳 문자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복수의 알파벳 문자에 각각 숫자를 대응시키는 단계; 및
전화통화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응된 숫자는 상기 전화통화를 위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문자 입력에 의한 전화통화 방법. -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알파벳 입력 방법에 의해 입력된
알파벳 "q, z"는 숫자 1에,
알파벳 "a, b, c"는 숫자 2에,
알파벳 "d, e, f"는 숫자 3에,
알파벳 "g, h, i"는 숫자 4에,
알파벳 "j, k, l"은 숫자 5에,
알파벳 "m, n, o"는 숫자 6에,
알파벳 "p, r, s"는 숫자 7에,
알파벳 "t, u, v"는 숫자 8에, 및
알파벳 "w, x, y"는 숫자 9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문자 입력에 의한 전화통화 방법. -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알파벳 입력 방법에 의해 입력된
알파벳 "a, b, c"는 숫자 2에,
알파벳 "d, e, f"는 숫자 3에,
알파벳 "g, h, i"는 숫자 4에,
알파벳 "j, k, l"은 숫자 5에,
알파벳 "m, n, o"는 숫자 6에,
알파벳 "p, q, r, s"는 숫자 7에,
알파벳 "t, u, v"는 숫자 8에, 및
알파벳 "w, x, y, z"는 숫자 9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문자 입력에 의한 전화통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2/775,503 US8576176B2 (en) | 2009-05-12 | 2010-05-07 | Method and apparatus for alphabet input |
CN201080020913.XA CN102422621B (zh) | 2009-05-12 | 2010-05-12 | 字母输入的方法与装置 |
PCT/KR2010/002997 WO2010131899A2 (ko) | 2009-05-12 | 2010-05-12 | 알파벳 입력 방법 및 장치 |
EP10775101.8A EP2432198A4 (en) | 2009-05-12 | 2010-05-12 | LETTER INPUT METHOD AND DEVICE |
TW099115127A TW201102867A (en) | 2009-05-12 | 2010-05-12 |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letters |
US14/070,141 US8928592B2 (en) | 2009-05-12 | 2013-11-01 | Method and apparatus for alphabet inpu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1250 | 2009-05-12 | ||
KR20090041250 | 2009-05-1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2439A true KR20100122439A (ko) | 2010-11-22 |
KR101126734B1 KR101126734B1 (ko) | 2012-03-29 |
Family
ID=43407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23489A Active KR101126734B1 (ko) | 2009-05-12 | 2010-03-16 | 알파벳 입력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8576176B2 (ko) |
EP (1) | EP2432198A4 (ko) |
KR (1) | KR101126734B1 (ko) |
CN (1) | CN102422621B (ko) |
TW (1) | TW201102867A (ko) |
WO (1) | WO2010131899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617571B2 (en) | 2008-11-26 | 2020-04-14 | Kt Health, Llc | Pre-cut strips of kinesiology tape |
USD640676S1 (en) * | 2010-04-20 | 2011-06-28 | Sheiko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terminal |
USD660861S1 (en) * | 2010-04-20 | 2012-05-29 | Shelko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terminal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
USD643023S1 (en) * | 2010-10-16 | 2011-08-09 | Shelko Electronics Co., Ltd. | Remote controller |
KR102166266B1 (ko) * | 2013-03-13 | 2020-10-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단말기의 문자변환 장치 및 방법 |
US20150309593A1 (en) * | 2014-04-28 | 2015-10-29 | Larry Kassel | Keyboard |
US11269564B1 (en) * | 2020-09-03 | 2022-03-08 | Xerox Corporation | Processing-independent tablet interface for printing devices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17455A (en) * | 1990-03-28 | 1992-05-26 | Danish International, Inc. | Telephone keypad matrix |
US7614008B2 (en) * | 2004-07-30 | 2009-11-03 | Apple Inc. | Operation of a computer with touch screen interface |
EP1332423A1 (en) | 2000-10-13 | 2003-08-06 | Timespace System Co., Ltd. |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ic characters for the electronic apparatuses |
KR100384993B1 (ko) * | 2001-05-22 | 2003-05-23 | 주식회사 유일전자 | 이엘램프 내장 일체형 키패드 |
JP3937982B2 (ja) | 2002-08-29 | 2007-06-27 | ソニー株式会社 | 入出力装置および入出力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
KR20040028091A (ko) | 2002-09-28 | 2004-04-03 | 석경환 | 기본자형의 조합을 이용한 영문자 입력 시스템 |
KR100672773B1 (ko) * | 2002-10-30 | 2007-02-28 |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 알파벳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
KR20060010649A (ko) | 2004-07-28 | 2006-02-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배터리 어댑터를 구비하는 휴대형 통신 단말기 |
KR100661457B1 (ko) | 2004-10-01 | 2006-12-27 | 금준상 |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 |
US7443316B2 (en) * | 2005-09-01 | 2008-10-28 | Motorola, Inc. | Entering a character into an electronic device |
EP1818769A1 (en) * | 2006-02-13 | 2007-08-15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a primary actions menu on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
JP2007264284A (ja) | 2006-03-28 | 2007-10-11 | Brother Ind Ltd | 感情付加装置、感情付加方法及び感情付加プログラム |
JP4358846B2 (ja) | 2006-08-15 | 2009-11-04 |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 移動体端末装置及びその操作支援方法 |
KR20080024844A (ko) | 2006-09-15 | 2008-03-19 | 권영민 | 소형 자판 영문 입력기 |
KR20080064934A (ko) | 2007-01-07 | 2008-07-10 | 김준엽 | 영문 소문자 모양에 의한 영문자 입력방식 |
EP1953623B1 (en) * | 2007-01-30 | 2018-09-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on touch keyboard |
KR100904286B1 (ko) | 2007-05-10 | 2009-06-25 | 황동환 |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TWI336048B (en) * | 2007-05-11 | 2011-01-11 | Delta Electronics Inc | Input system for mobile search and method therefor |
TW200907764A (en) * | 2007-08-01 | 2009-02-16 | Unique Instr Co Ltd | Three-dimensional virtual input and simulation apparatus |
KR100937971B1 (ko) | 2007-08-03 | 2010-01-21 | 이호윤 |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시스템 |
KR100900087B1 (ko) * | 2008-03-31 | 2009-06-01 | 박병진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버튼 확장형 문자 입력 방법 |
-
2010
- 2010-03-16 KR KR1020100023489A patent/KR101126734B1/ko active Active
- 2010-05-07 US US12/775,503 patent/US8576176B2/en active Active
- 2010-05-12 EP EP10775101.8A patent/EP2432198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0-05-12 CN CN201080020913.XA patent/CN102422621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5-12 TW TW099115127A patent/TW201102867A/zh unknown
- 2010-05-12 WO PCT/KR2010/002997 patent/WO2010131899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
- 2013-11-01 US US14/070,141 patent/US8928592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422621B (zh) | 2014-11-19 |
CN102422621A (zh) | 2012-04-18 |
KR101126734B1 (ko) | 2012-03-29 |
EP2432198A4 (en) | 2015-05-13 |
TW201102867A (en) | 2011-01-16 |
EP2432198A2 (en) | 2012-03-21 |
US20140055362A1 (en) | 2014-02-27 |
WO2010131899A2 (ko) | 2010-11-18 |
WO2010131899A3 (ko) | 2011-02-17 |
US8928592B2 (en) | 2015-01-06 |
US20100289747A1 (en) | 2010-11-18 |
US8576176B2 (en) | 2013-1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26734B1 (ko) | 알파벳 입력 방법 및 장치 | |
US7859830B2 (en) | Mobile quick-keying device | |
KR100881549B1 (ko) | 투 클릭 모르스부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 |
CN101251781A (zh) | 通过手机横屏状态显示的虚拟键盘进行输入和功能操作 | |
KR101599227B1 (ko) | 한글과 영문 등의 문자 입력이 용이한 터치 스크린용 면촉 자판 | |
CN106547368B (zh) | 一种基于游戏手柄的文字输入方法及装置 | |
US2009020125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lphanumeric data entry using a keypad | |
CN101226427A (zh) | 适合移动通讯设备和掌上电脑的键盘和相应输入方法 | |
KR20010059872A (ko) |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
KR100661457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 | |
KR100918082B1 (ko) | 사전식 순서 및 사용 빈도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 |
KR100766717B1 (ko) | 문자입력방법 | |
KR101637163B1 (ko) | 문자입력장치 | |
KR100750634B1 (ko) | 한자 입출력 장치 | |
KR101071812B1 (ko) | 휴대단말기의 일본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 |
KR20190066161A (ko) | 16키 한글 골라 쓰기 자판 | |
KR100823307B1 (ko) | 문자입력방법 | |
KR20090010144A (ko) |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숫자 조합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 | |
KR20040003092A (ko) | 새로운 확장형 키패드를 통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 | |
JP2024160678A (ja) | 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 | |
KR20140093151A (ko) | 중앙 모음 긋기 자판 배열 | |
JP5016087B2 (ja) | キーボード | |
KR101241314B1 (ko) | 단말기 영문 자판 및 그 이용 방법 | |
KR101228079B1 (ko) | 터치스크린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단말기 | |
JP2014207648A (ja) | 主に文字や記号を入力処理するためのキーボード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3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3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