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0776A - 신재생에너지와 투명전극을 이용한 조명 방음벽 - Google Patents

신재생에너지와 투명전극을 이용한 조명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0776A
KR20100120776A KR1020090039588A KR20090039588A KR20100120776A KR 20100120776 A KR20100120776 A KR 20100120776A KR 1020090039588 A KR1020090039588 A KR 1020090039588A KR 20090039588 A KR20090039588 A KR 20090039588A KR 20100120776 A KR20100120776 A KR 20100120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ransparent
panel
plate
renewable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3397B1 (ko
Inventor
이근우
이봉직
김광일
Original Assignee
㈜익성텍
이근우
이봉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익성텍, 이근우, 이봉직 filed Critical ㈜익성텍
Priority to KR1020090039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397B1/ko
Publication of KR20100120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separate from the lighting un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05Illumination controller or illuminated signs including a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1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motorways, e.g. integrated with sound barri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신재생에너지와 투명전극을 이용한 조명 방음벽이 제공된다. 제공된 조명 방음벽은 도로변, 철로변 및 공항주변과 같은 시공장소에 길이방향으로 시공된 기초판; 상기 기초판의 상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수직설치되며, 전, 후면플레이트가 H빔 구조로써 연결플레이트에 의해 연결된 다수의 지주; 상기 지주의 사이에 다수개가 설치되며, 제 1투명패널과 제 2투명패널의 사이공간에 투명전극패턴과 발광소자가 내설되고, 상기 제 1투명패널과 제 2투명패널의 양측면에는 상기 투명전극패턴과 연결되는 전극체가 돌출된 조명패널체; 상기 조명패널체의 각 투명패널의 테두리에 설치되도록 상부, 하부, 좌측, 우측 프레임의 조립체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슬라이드돌기가 돌출된 고정프레임;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돌기에 결합되는 안내돌기가 후방에 돌출형성된 설치플레이트와,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전면에 설치된 다수의 태양광집광패널로 구성된 집광체; 및 상기 시공장소의 소정부에 설치되며, 상기 각 집광패널에서 집전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배터리와, 이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에서 변환된 교류전원을 상기 전극체에 공급하도록 상기 전극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소자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가 내설된 배전반;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신재생에너지와 투명전극을 이용한 조명 방음벽{soundproofing walls}
본 발명은 조명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전극패턴 및 발광소자 내장된 조명패널체를 투명패널의 대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주변경관에 조화를 이루는 조명을 연출할 수 있음은 물론 야간에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발광소자의 필요전력을 생산함으로써 에너지손실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친환경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와 투명전극을 이용한 조명 방음벽
근래에 들어, 급속한 산업발달에 따라 교통수단의 다양화 및 교통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통수단이 다니는 도로, 철로, 공항이 확충되고 있다. 이로 인해 도로주변, 철로주변, 공항주변에 주거하는 주민들은 교통수단에서 발생하는 소음 때문에 큰 고통을 받고 있다. 따라서, 도로, 철로, 공항을 설계할 때에는 일정한도 미만의 소음기준을 엄격히 적용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소음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방음벽, 예컨대 흡음형, 반사형, 간섭형, 공명형 방음벽 들을 설치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반사형 방음벽의 대표적인 일례로써 투명방음벽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투명방음벽(100)은 콘크리트로 된 기초판(200)을 길이방향으로 타설하여 이 기초판(200)에 일정간격으로 지주(300)를 세우고, 각 지주(300)와 지주(300)의 사이에는 투명패널(400)을 적층 설치하여 시공된다. 이때, 상기 투명패널(400)은 그 사방 테두리에 금속제 프레임이 설치된 상태에서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상기 지주(300)와 지주(300)의 사이에 고정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투명패널(400)은 아크릴 수지(PMMA)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와 같은 투명합성수지패널을 사용하거나 강화유리 등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투명방음벽(100)은 투명패널(400)이 일률적인 구조, 즉 투명패널의 테두리에 금속제 프레임이 설치된 일률적인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서 주변경관에 어울리지 못하는 문제점과 함께 야간에 시인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투명방음벽(100)은 금속제 프레임이 H형강 지주(철재빔)에 끼워 조립하는 구조로 시공됨에 따라서 장시간 사용시 투명패널이 외력에 의해 파손될 경우 해당 투명판부재(투명패널)를 교체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다시 말하면, H형강 지주(철재빔)에 금속제 프레임을 3단으로 끼워서 시공한 투명방음벽의 경우, 1단의 4각 프레임의 투명판부재(투명패널)이 파손되어 교체해야할 때에는 우선 2, 3단의 금속제 프레임을 H형강 지주(철재빔)에서 빼내야만 1단의 4각 프레임 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교체작업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특히, 투명패널만 파손된 경우, 이러한 투명패널이 금속제 프레임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파손된 투명패널과 함께 고가의 금속제 프레임 또한 교체해야함으로써 불필요한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유지보수비가 그만큼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근래에는 투명전극과 투명패널을 이용한 조명장치가 제안된 바 있는데, 그 대표적 일례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70794호의 "투명전극과 투명패널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장치"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94474호의 "선을 이용한 투명패널 라이팅" 등 다수의 기술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는 전방과 후방으로 빛이 발광되도록 한다는 점에서 인지효과가 우수하며, 저 전력으로 구동될 수 있다는 점에 의하여 수명이 길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기존 투명방음벽이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투명전극패턴 및 발광소자 내장된 조명패널체를 투명패널의 대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주변경관에 조화를 이루는 조명을 연출할 수 있음은 물론 야간에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명 방음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고가의 금속제로 된 프레임으로 부 터 파손된 조명패널만을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유지보수비를 절감할 수 있는 조명 방음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발광소자의 필요전력을 생산함으로써 에너지손실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친환경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조명 방음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도로변, 철로변 및 공항주변과 같은 시공장소에 길이방향으로 시공된 기초판;
상기 기초판의 상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수직설치되며, 전, 후면플레이트가 H빔 구조로써 연결플레이트에 의해 연결된 다수의 지주;
상기 지주의 사이에 다수개가 설치되며, 제 1투명패널과 제 2투명패널의 사이 공간에 투명전극패턴과 발광소자가 내설되고, 상기 제 1투명패널과 제 2투명패널의 양측면에는 상기 투명전극패턴과 연결되는 전극체가 돌출된 조명패널체;
상기 조명패널체의 각 투명패널의 테두리에 설치되도록 상부, 하부, 좌측, 우측 프레임의 조립체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슬라이드돌기가 돌출된 고정프레임;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돌기에 결합되는 안내돌 기가 후방에 돌출형성된 설치플레이트와,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전면에 설치된 다수의 태양광집광패널로 구성된 집광체; 및
상기 시공장소의 소정부에 설치되며, 상기 각 집광패널에서 집전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배터리와, 이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에서 변환된 교류전원을 상기 전극체에 공급하도록 상기 전극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소자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가 내설된 배전반; 을 포함하는 신재생에너지와 투명전극을 이용한 조명 방음벽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고정프레임의 좌, 우측프레임에는 상기 전극체와 대응하는 위치에 전선연결홀이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 하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슬라이드홈이 마련되고, 상기 집광체의 설치플레이트는 그 후방에 상기 슬라이드홈에 삽입되는 삽입판이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집광체의 설치플레이트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 하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 나사고정될 수 있도록 그 후면에 고정편이 마련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집광체의 설치플레이트는 상기 지주의 전면플레이트 및 후면플레이트에 설치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프레임과 좌, 우측프레임의 결합부위에는 결합부재가 나사조립식으로 개재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지주의 사이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상기 고정프레임을 수용하기 위한 프레임수용홈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선연결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전선관통홀이 천공되고, 상기 프레임수용홈의 상부 및 양측에는 다수의 고정홀이 천공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고정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장탈착체가 설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장탈착체는 몸체와, 이 몸체에 내설된 상태에서 렌치홀이 마련된 그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에 치합되는 랙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바로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사각 모서리부에는 상기 고정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편을 나사결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방음벽은 투명전극패턴 및 발광소자 내장된 조명패널체를 투명패널의 대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주변경관에 조화를 이루는 조명을 연출할 수 있음은 물론 야간에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고가의 금속제로 된 프레임으로부터 파손된 조명패널체만을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유지보수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집광체를 통해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발광소자의 필요전력을 생산함으로써 에너지손실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친환경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방음벽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명 방음벽(1)은 기초판(2)과, 다수의 지주(3)와, 조명패널체(4)와, 고정프레임(5)과, 집광체(6)와 배전반(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초판(2)은 시공장소, 즉 도로변, 철로변 및 공항주변과 같은 시공장소에 길이방향으로 시공된다. 이와 같은 기초판(2)은 거푸집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지주(3)는 상기 기초판(2)의 상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수직설치된다. 이와 같은 지주(3)는 상기 기초판(2)에 볼트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전,후면플레이트(31,32)가 연결플레이트(33)에 연결된 구조, 즉 H빔 구조로써 전,후면플레이트(31,32)가 연결플레이트(33)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조명패널체(4)는 상기 지주(3)의 사이에 다수개가 설치되는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방음벽에 있어, 조명패널체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방음벽에 있어, 조명패널체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조명패널체(4)는 제 1투명패널(41)과 제 2투명패널(41')의 사이공간에 투명전극패턴(42)과 발광소자(43)가 내설되고, 상기 제 1투명패널(41)과 제 2투명패널(41')의 양측면에는 상기 투명전극패턴(42)과 연결되는 전극체(44)가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다시 말하면, 상기 조명패널체(4)는 제 1투명패널(41), 이 제 1투명패널(41) 상에 형성된 투명전극패턴(42), 투명전극패턴(42)과 연결된 발광소자(43), 제 1투명패널(41)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 2투명패널(41') 및 제 1, 제 2투명패널(41,41')의 사이에 설치되며 발광소자(43)를 덮도록 설치된 충진층(45)을 포함하며, 상기 제 1투명패널(41) 및 상기 제 2투명패널(41')의 양단에는 상기 투명전극패턴(42)과 연결되는 전극체(44), 예컨대 상기 투명전극패턴(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금속전극(421)을 포함하는 전극체(4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투명패널(41,41')은 유리, 투명한 폴리머, 또는 아크릴수지 및 폴리카보네이드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전극패턴(42)은 탄소나노튜브가 포함된 탄소나노튜브 잉크를 제 1투명패널 상에 1㎚ 내지 1㎛의 두께로 코팅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은 투명전극패턴(42)은 코팅된 두께에 따라 투명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도도도 함께 변화된다. 이러한 투명전극패턴(42)은 잉크젯 프린팅 방법으로 형성되며, 선폭이 10cm 이하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투명전극패턴(42)이 잉크젯 프린팅 방법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전극패턴(42)은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그라비어 프린팅(garvier printing), 오프셋 프린팅(offset printing) 등 다양한 방법으로 코팅될 수 있다.
또 다르게, 본 발명의 조명패널체(4)는 상기 투명전극패턴(42)을 구성함에 있어서, 전도성 코팅물질인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및 액상 폴리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점액체를 도포한 후 이를 분할하여 얻어지는 투명전극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발광소자(43)는 LED(light emitting diode)가 적용된다. 그 밖에도 발광소자(43)로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유기 EL, LCD, 전계방출소자(Field emission device), E-paper 등과 같이 발광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발광 소자가 적용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발광소자(43)는 다양한 형상 또는 문구 등을 구현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이때, 상기 제 1투명패널(41)의 일면에 설치되는 발광소자(43)와 투명전극패턴(42)은 전기 저항이 작으면서도 접착성이 우수한 도전성 접착제를 매개로 연결된다. 이때, 도전성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은과 니켈 등의 금속과 도전성 카본 등의 도전성 필러를 유기수지에 분산시킨 것이 사용된다. 특히 나노 사이즈를 갖는 금속 입자는 저온 소결이 가능하여 입자 사이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투명전극패턴(42)과 발광소자(43)를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진층(45)은 제 1, 제 2투명패널(41,41')의 사이에서 투명전극 패턴(42)과 발광소자(43)를 덮고 있는 형태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충진층(45)은 투명전극패턴(42)과 발광소자(43)를 습기와 같은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충격을 흡수하여 전자부품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충진층(45)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제 1, 제 2투명패널(41,41')을 부착해야 하므로 접착성을 갖는 폴리머계열의 물질로 이루어진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고정프레임(5)은 상기 조명패널체(4)의 각 투명패널(41,41')의 테두리에 설치되도록 상부, 하부, 좌측, 우측 프레임(51,52,53,54)의 조립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고정프레임(5)은 소정강도를 갖는 금속제, 예컨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5)에 있어,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51,52)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슬라이드돌기(511,521)가 돌출되는데, 도 1에서는 상기 상부프레임(51)의 전면에 슬라이드돌기(511)가 돌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프레임(5)의 좌, 우측프레임(53,54)에는 상기 전극체(44)와 대응하는 위치에 전선연결홀(531,541)이 구비된다.
상기 집광체(6)는 상기 상부프레임(51 : 또는 하부프레임)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집광체(6)는 상기 슬라이드돌기(511)에 결합되는 안내돌기(611)가 후방에 돌출형성된 설치플레이트(61)와, 상기 설치플레이트(61)의 전면에 설치된 다수의 태양광집광패널(62)로 구성된다.
상기 배전반(7)은 상기 시공장소(100)의 소정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배전반(7)에는 도 1에 미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각 태양광집광패널(61,61')에서 집전 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배터리(71)와, 이 배터리(71)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72)와, 상기 인버터(72)에서 변환된 교류전원을 상기 전극체(44)에 공급하도록 상기 전극체(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소자(43)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73)가 내설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방음벽에 있어, 조명패널체 및 고정프레임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프레임(5)의 상부프레임(51)과 상기 좌, 우측프레임(53,54)의 결합부위에는 결합부재(55), 예컨대 앵글형태로 절곡된 구조를 갖는 결합부재(55)가 나사조립식으로 개재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결합부재(55)는 상기 상부프레임(51)과 상기 좌, 우측프레임(53,54)의 결합부위에 내설되어 각 프레임에 나사고정됨으로써 상기 상부프레임(51)과 상기 좌, 우측프레임(53,54)을 결합하기 위한 매개체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고정프레임(5)은 상기 상부프레임(51)을 결합부재(55)에서 분리(나사분리)할 경우 상기 조명패널체(4)를 상기 고정프레임(5)의 외부로 분리할 수 있어, 조명패널체(4)의 파손시 고정프레임(5)에서 파손된 조명패널체(4)만을 탈착한 후 재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집광체(6')를 설치하기 위한 다른 구조로써 상기 고정프레임(5)의 상부, 하부프레임의 전면(또는 후면)에는 슬라이드홈(512)이 마련되고, 상기 집광체(6')의 설치플레이트(61')에는 상기 슬라이드홈(512)에 삽입되는 삽입판(611')을 그 후방에 마련하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집광체(6')는 다수개로써 상 기 슬라이드홈(512)에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집광체(6')는 상기 슬라이드홈(512)에 다수개로써 설치됨에 따라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방음벽에 있어, 고정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프레임(5)은 상기 지주(3)의 사이에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8)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베이스프레임(8)은 소정강도를 갖는 금속제, 예컨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제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프레임(5)을 수용하기 위한 프레임수용홈(81)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프레임(5)의 전선연결홀(531,541)과 대응하는 위치에 전선관통홀(82)이 천공되고, 상기 프레임수용홈(81)에는 상부 및 양측에 다수의 고정홀(83)이 천공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프레임(8)의 프레임수용홈(81)에 삽입되는 고정프레임(5), 즉 상부, 하부, 좌측, 우측프레임(51,52,53,54)이 상기와 같이 조명패널체(4)의 외둘레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5)에는 상기 고정홀(83)과 대응하는 위치에 장탈착체(56)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장탈착체(56)는 도 6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61)와, 이 몸체(561)에 내설된 상태에서 렌치홀이 마련된 그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피니언기어(562)와, 상기 피니언기어(562)에 치합되는 랙기어(564)가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기어(562)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홀(83)에 삽입되는 고정바(563)로 구성되어, 상기 렌치홀에 렌치를 삽입한 후 피니언기어(562)를 정,역회전시키면 이 피니언기어(562)에 맞물린 랙기어(564)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 환함에 따라 상기 고정바(563)를 수직이동시키게 작동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고정프레임(5)은 상부에 위치하는 장탈착체(56)를 고정홀(83)에서 탈착할 경우, 하부에 위치한 장탈착체(56)의 고정바(563)를 축으로 하여 소정각도로 회동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고정프레임(5)을 수평되게 위치시킨 후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5)의 상부프레임(52)을 탈착하여 조명패널체(4)를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교체가 완료되면 상기 탈착 구조의 역순으로 고정프레임(5)을 재차 베이스프레임(8)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집광체(6")는 상기 설치플레이트(61")의 후면에 고정편(63)을 마련하여, 이 고정편(63)을 통해 상기 고정프레임(5)의 상부, 하부프레임의 전면(또는 후면)에 나사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집광체(6")는 그 설치플레이트(61")를 상기 지주(3)의 전면플레이트(31) 및 후면플레이트(32)에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방음벽에 있어, 고정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의 다른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정프레임(5)과 베이스프레임(8)의 다른 결합예에서는 베이스프레임(8)의 사각 모서리부에 상기 고정프레임(5)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편(84)을 나사결합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지지편(84)의 나사를 탈착하면 상기 베이스프레임(8)에서 고정프레임(5)을 완전 탈착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조명패널체(4)를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방음벽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방음벽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방음벽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조명 방음벽(1)은 집광체(6,6',6")를 통해 신재생에너지인 태양광에너지에 의해 생성된 전원 또는 외부 전원에 전선(9) 연결되어 필요전력을 공급받는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조명패널체(4)은 제 1, 제 2투명패널(41,41')이 적용됨과 아울러 이 투명패널(41,41')의 내부에서 투명한 투명전극패턴(42)에 의해 발광소자(43)가 발광되도록 구성됨에 따라서 특히 야간에 조명패널체(4)의 발광소자(43)가 빛을 발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명을 연출하는데, 발광소자(43)의 발광패턴은 여러 가지를 적용할 수 있다. 즉 발광소자(43)는 배전반(7)의 제어회로부(73)에 프로그래밍이 된 소정 패턴, 예컨대 문자를 표시하거나, 교통지시를 표시하거나 소정 문양을 표시하는 소정 패턴으로 발광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교통지시를 표시함에 따라 운전자에게 야간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반사형 방음벽의 대표적인 일례로써 투명방음벽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방음벽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방음벽에 있어, 조명패널체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방음벽에 있어, 조명패널체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방음벽에 있어, 조명패널체 및 고정프레임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방음벽에 있어, 고정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방음벽에 있어, 고정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의 다른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방음벽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방음벽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명 방음벽 2 : 기초판
3 : 지주 4 : 조명패널체
5 : 고정프레임 6, 6', 6" : 집광체
7 : 배전반 8 : 베이스프레임
9 : 전선 31 : 전면플레이트
32 : 후면플레이트 33 : 연결플레이트
41, 41' : 제 1, 제 2투명패널 42 : 투명전극패턴
43 : 발광소자 44 : 전극체
45 : 충진층 51 : 상부프레임
52 : 하부프레임 53 : 좌측프레임
54 : 우측프레임 55 : 결합부재
56 : 장탈착체 61.61' : 설치플레이트
62,62' : 태양광집광패널 63 : 고정편
71 : 배터리 72 : 인버터
73 : 제어회로부 81 : 프레임수용홈
82 : 전선관통홀 83 : 고정홀
84 : 지지편 100 : 시공장소

Claims (10)

  1. 도로변, 철로변 및 공항주변과 같은 시공장소에 길이방향으로 시공된 기초판;
    상기 기초판의 상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수직설치되며, 전, 후면플레이트가 H빔 구조로써 연결플레이트에 의해 연결된 다수의 지주;
    상기 지주의 사이에 다수개가 설치되며, 제 1투명패널과 제 2투명패널의 사이공간에 투명전극패턴과 발광소자가 내설되고, 상기 제 1투명패널과 제 2투명패널의 양측면에는 상기 투명전극패턴과 연결되는 전극체가 돌출된 조명패널체;
    상기 조명패널체의 각 투명패널의 테두리에 설치되도록 상부, 하부, 좌측, 우측 프레임의 조립체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슬라이드돌기가 돌출된 고정프레임;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돌기에 결합되는 안내돌기가 후방에 돌출형성된 설치플레이트와,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전면에 설치된 다수의 태양광집광패널로 구성된 집광체; 및
    상기 시공장소의 소정부에 설치되며, 상기 각 집광패널에서 집전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배터리와, 이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에서 변환된 교류전원을 상기 전극체에 공급하도록 상기 전극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소자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가 내설된 배전반;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와 투명전극을 이용 한 조명 방음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좌, 우측프레임에는 상기 전극체와 대응하는 위치에 전선연결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와 투명전극을 이용한 조명 방음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슬라이드홈이 마련되고, 상기 집광체는 상기 집광체의 설치플레이트는 그 후방에 상기 슬라이드홈에 삽입되는 삽입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와 투명전극을 이용한 조명 방음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체의 설치플레이트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 하부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 나사고정될 수 있도록 그 후면에 고정편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와 투명전극을 이용한 조명 방음벽.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체의 설치플레이트는 상기 지주의 전면플레이트 및 후면플레이트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와 투명전극을 이용한 조명 방음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프레임과 좌, 우측프레임의 결합부위에는 결합부재가 나사조립식으로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와 투명전극을 이용한 조명 방음벽.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지주의 사이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와 투명전극을 이용한 조명 방음벽.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상기 고정프레임을 수용하는 프레임수용홈이 구비됨 과 아울러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선연결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전선관통홀이 천공되며, 상기 프레임수용홈은 상부 및 양측에 다수의 고정홀이 천공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고정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장탈착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와 투명전극을 이용한 조명 방음벽.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장탈착체는 몸체와, 이 몸체에 내설된 상태에서 렌치홀이 마련된 그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에 치합되는 랙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와 투명전극을 이용한 조명 방음벽.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사각 모서리부에는 상기 고정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편이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와 투명전극을 이용한 조명 방음벽.
KR1020090039588A 2009-05-07 2009-05-07 신재생에너지와 투명전극을 이용한 조명 방음벽 KR101003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588A KR101003397B1 (ko) 2009-05-07 2009-05-07 신재생에너지와 투명전극을 이용한 조명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588A KR101003397B1 (ko) 2009-05-07 2009-05-07 신재생에너지와 투명전극을 이용한 조명 방음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776A true KR20100120776A (ko) 2010-11-17
KR101003397B1 KR101003397B1 (ko) 2010-12-23

Family

ID=43406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588A KR101003397B1 (ko) 2009-05-07 2009-05-07 신재생에너지와 투명전극을 이용한 조명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39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012B1 (ko) * 2016-03-29 2016-10-10 서울과학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지하철 전동차 소음저감용 회전 접이식 차륜 방음벽
KR102003376B1 (ko) * 2019-01-23 2019-07-24 황점미 태양광 패널 방음벽
KR20200006161A (ko) * 2020-01-09 2020-01-17 채종술 충진매질이 충진된 양면형 태양광방음패널을 이용한 수직형 방음벽과 방음벽 시공방법
CN112531468A (zh) * 2020-11-27 2021-03-19 扬州冠中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光伏离网逆变器的安装底座
KR102301356B1 (ko) * 2021-03-24 2021-09-13 김중삼 조류 충돌 방지 기능을 구비한 투명 방음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625B1 (ko) * 2021-03-04 2021-10-19 주식회사 거포테크 조류충돌 방지 기능을 가지는 투명 led 방음벽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762Y1 (ko) * 2005-04-26 2005-09-27 주식회사 대일휀스 투명 방음판넬
KR100779994B1 (ko) * 2006-06-23 2007-11-29 주식회사 코엠이엔지 가로등 일체형 태양광 발전식 방음벽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012B1 (ko) * 2016-03-29 2016-10-10 서울과학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지하철 전동차 소음저감용 회전 접이식 차륜 방음벽
KR102003376B1 (ko) * 2019-01-23 2019-07-24 황점미 태양광 패널 방음벽
KR20200006161A (ko) * 2020-01-09 2020-01-17 채종술 충진매질이 충진된 양면형 태양광방음패널을 이용한 수직형 방음벽과 방음벽 시공방법
CN112531468A (zh) * 2020-11-27 2021-03-19 扬州冠中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光伏离网逆变器的安装底座
KR102301356B1 (ko) * 2021-03-24 2021-09-13 김중삼 조류 충돌 방지 기능을 구비한 투명 방음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3397B1 (ko) 201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976B1 (ko) 수평조립 및 유지, 보수가 유리한 교체형 조명방음패널
KR101003397B1 (ko) 신재생에너지와 투명전극을 이용한 조명 방음벽
KR101255678B1 (ko) 도로명 및 도로안내 표지판용 엘이디 조명기구
KR101663757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자체 발광 교통 표지판
CN201918127U (zh) Led广告灯箱
CN203055390U (zh) 一种宣传栏
CN202058384U (zh) Led显示屏及led屏显示模组
CN214093836U (zh) 一种基于树莓派的电子指引装置
DE202007010521U1 (de) Aktiv leuchtendes Solarglaselement insbesondere aktiv leuchtende Wandpaneele
CN204715233U (zh) 一种基于柔性太阳能板的高速路隔音照明挡板
CN2845077Y (zh) 太阳能路名导示广告灯箱
CN202733401U (zh) 一种用于led三面翻转屏的三角管
CN202195406U (zh) 一种自动调节式太阳能led路灯
CN201796576U (zh) 太阳能标识牌
CN210836853U (zh) 一种用于智慧城市的方向指示牌
CN208072261U (zh) 主动发光标识牌
CN204589840U (zh) 一种具有亮化景观功能的节能型声屏障
CN202487096U (zh) 太阳能广告灯箱
CN201357797Y (zh) 电子灯箱车牌
CN201158338Y (zh) 电子灯箱车牌
CN202871206U (zh) 一种高透明度太阳能led显示屏
CN109671369A (zh) 一种智能导示牌
CN2862245Y (zh) 太阳能广告牌
CN210424812U (zh) 一种太阳能灯柱
KR200388965Y1 (ko) 옥외 입간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