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0072A -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 - Google Patents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0072A
KR20100120072A KR1020090041395A KR20090041395A KR20100120072A KR 20100120072 A KR20100120072 A KR 20100120072A KR 1020090041395 A KR1020090041395 A KR 1020090041395A KR 20090041395 A KR20090041395 A KR 20090041395A KR 20100120072 A KR20100120072 A KR 20100120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ortion
spinal
rod
spinal ro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0892B1 (ko
Inventor
이춘성
Original Assignee
(주)엘앤케이바이오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앤케이바이오메드 filed Critical (주)엘앤케이바이오메드
Publication of KR20100120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49Connectors, not bearing on the vertebrae, for linking longitudinal elements together
    • A61B17/705Connectors, not bearing on the vertebrae, for linking longitudinal elements together for linking adjacent ends of longitudin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2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for bone cercl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경에 고정된 복수의 척추경 나사못을 연결하며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제1척추로드 및 제2척추로드를 연결하는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1척추로드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와, 제1장착부와 이격되어 제2척추로드가 장착되는 제2장착부를 가지며, 제1장착부 및 제2장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는 상기 제1장착부 및 제2장착부 중 다른 하나를 향해 해당 척추로드가 인입 가능하도록 상기 해당 척추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몸체와; 상기 커넥터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1척추로드를 상기 제1장착부에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제1리테이너와; 상기 커넥터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2척추로드를 상기 제2장착부에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제2리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척추고정술 이후 인접분절에 척추관 협착증 또는 변형 등의 인접분절 문제(adjacent segment problem)가 발생했을 때, 기존의 척추고정 장치를 추출하지 않고, 기존 척추로드에 본 발명의 커넥터를 착용 결합하여 협착증 또는 변형으로 인한 수술 시행 부위까지 연장 고정을 할 수 있으며, 장골(Iliac Bone)에 장골 나사 커넥터(Iliac Screw Connector)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Spinal Side-Click Rod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와 이를 이용한 수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퇴행성 척추질환(예 ; 척추관협착증, 척추전방전위증 등), 척추 변형(예 ; 척추 측만증, 후만증 등)의 교정에 사용한 기존의 척추 고정 장치의 인접 척추 분절에 시간이 경과하면서 협착증 병변 또는 변형이 발생하였을 때 사용되는 기기이다. 본 발명품을 이용하여 기존의 척추 고정 장치를 추출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이를 이용, 측방에서 새로운 로드(rod)를 연결하고 이 로드에 척추경 나사못을 삽입하여 인접한 척추 병변 또는 변형을 교정 및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범위한 피부절개가 필요치 않은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척추 유합술(Spinal fusion 또는 Spinal arthrodesis)은 퇴행성 척추질환 또는 척추 변형의 치료에 있어 가장 중심이 되는 수술방법이다. 척추 유합술은 척추경 나사못(Pedicle screw)과 로드(rod) 등의 금속 고정물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과거 이와 같은 금속고정물이 가용치 않았던 시기에는 온 몸에 기브스를 하고 6개 월 정도 침상에 누워 있어야 했으며 수술 결과도 열악하였다. 척추 유합술은 척추 수술 분야에서 하나의 혁명적인 전기를 이루었다.
그러나 척추 유합술을 많이 시행함에 따라 부작용이 발견되었다. 바로 인접분절 문제(Adjacent problem)이다. 유합술을 시행한 분절이 움직이지 않음에 따라 유합술 근위부 또는 원위부에 하중이 과도하게 집중되면서 인접 분절에 척추관 협착증 또는 변형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인접 분절 문제가 나타나면 대부분 재수술을 요하는데 이 경우 과거에 삽입하였던 기존의 금속 내고정물을 제거하고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따라서 수술 절개도 크고 수술 크기와 이에 따른 부담, 기존의 내고정물을 새로운 것으로 대체해야 하는데 따른 경제적인 부담도 클 수 밖에 없다.
측만증 등의 척추 변형 수술을 하고 추시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변형을 교정하고 유합술을 시행한 근위부 또는 원위부에 추가적인 변형이 발생한 경우 재수술을 요하는데 이때도 반드시 기존의 금속 내고정물을 제거해야 한다. 따라서 수술 절개와 이에 따른 수술 부담이 커지고 새로운 금속 내고정물을 삽입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비용 부담도 클 수 밖에 없었다.
본 특허의 발명품은 재수술시, 1차 고정수술시 사용했던 금속 내고정물을 그대로 놔둔 상태에서 척추경 나사못 사이의 좁은 공간을 이용하여 로드(rod)에 연결할 수 있는 횡단 커넥터 (Lateral connector 또는 side-connector 또는 side-click connector)연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 횡단 커넥터를 이용하여 재수술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부담도 줄어들게 된다.
또한 척추유합술이 천추1번까지 연장되는 경우 간혹 천추 1번의 척추경나사 못 고정술만으로 부족할 수 있다. 심한 경우 나사못이 천추로부터 이완(loosening)되거나 파손(breakage)된다. 이 경우 장골(ilium)에 나사못을 삽입하여 추가 고정을 하면 훨씬 더 강력한 고정이 된다. 장골 나사못 고정술은 현재의 기술로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다. 만약 본 발명품(side-click 측방 커넥터 장치)을 이용하여 장골에 나사못을 삽입할 경우 나사못 삽입이 훨씬 더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품은 장골 나사못 삽입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장치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강한 고정력을 가지며, 기존 척추 고정장치의 로드(rod)와 새롭게 추가되는 척추 고정장치의 로드(rod) 사이에 연결을 쉽게 해 주는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클릭 커넥터(side-click connector)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커넥터는 측방에서 약간의 힘으로 척추로드에 결합이 쉽고, 일단 결합된 이후에는 로드(rod)와 쉽게 분리되지 않고 척추 로드상에서 회전 및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용이하고, 세트 스크류(set screw)로 잠근 후 강한 고정력을 갖는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척추경 나사못을 연결하는 (제1차 수술 당시 삽입한) 기존의 금속 내고정물의 척추로드(제1척추로드) 및 이와 이격 배치되는 재수술시 사용되는 척추로드(제2척추로드)를 연결하는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는, 상기 제1척추로드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와, 상기 제1장착부와 이격되어 상 기 제2척추로드가 장착되는 제2장착부를 가지며, 제1장착부 및 제2장착부에는 해당 척추로드가 인입 가능하도록 해당 척추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몸체와; 커넥터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제1척추로드를 제1장착부에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제1리테이너와; 커넥터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제2척추로드를 제2장착부에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제2리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리테이너와 제2리테이너는 각각 볼트이며, 상기 커넥터 몸체에는 제1장착부 및 제2장착부에 장착된 제1척추로드 및 제2척추로드를 지지하도록 제1리테이너 및 제2리테이너가 각각 나사 결합되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커넥터장치의 커넥터 몸체에는 상기 제1장착부와 제2장착부를 틸트(tilt) 및 스위블(swivel)이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는 연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제1장착부와 제2장착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된 구면형상의 볼과; 상기 제1장착부와 제2장착부 중 다른 하나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볼을 둘러싸며, 상기 볼을 틸트 및 스위블 가능하게 지지하는 볼베어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가 형성되지 않은 장착부에는 상기 커넥터 몸체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커넥터 몸체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절개 형성되고, 상 기 절개부의 폭(19a, 19b)은 상기 척추로드(9a, 9b)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척추로드를 커넥터 몸체의 장착부에 장착시 척추로드는 절개부를 통과할 때 딸깍하는 클릭 소리를 내며 장착부에 장착되고(side-click connector), 일단 장착부에 장착된 척추로드는 절개부에 의해 장착부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을 통하여, 본 커넥터장치는 척추로드에 약간의 힘을 가하여 측방에서 쉽게 결합이 가능하고, 결합한 이후에는 척추 로드상에서 자유자재로 회전 및 척추로드 축방향(axial direction)의 이동이 가능하여 기존(첫번째 척추수술)의 척추로드(제1척추로드)와 재수술시 사용하는 척추로드(제2척추로드)의 결합이 용이하다. 일단 제1척추로드와 제2척추로드가 적당한 위치로 연결된 이후에는 세트스크루의 잠금으로 척추로드의 움직임이 없는 강한 고정력을 가진다. 본 발명품을 이용하여 기존 척추 고정장치와 재수술시 새롭게 추가되는 척추 고정장치 간의 연결 단계를 간소화 할 수 있고, 첫 번째 수술시 삽입한 척추경 나사못 사이가 좁거나, 척추로드 사이의 높낮이가 상이한 곳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재수술시 최소한의 추가 피부 절개로 수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퇴행성 척추질환이나 척추 변형에서 시행한 척추 유합술 이후에 발생하는 인접분절 문제(adjacent segment problem)를 현재보다 훨씬 손쉽게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척추유합술이 천추1번까지 연장되는 경우 간혹 천추 1번의 척추경나사못 고정술만으로 부족할 수 있다. 이 경우 장골(ilium)에 나사못을 삽입하여 추가 고정을 하면 훨씬 더 강력한 고정이 된다. 장골 나사못 고정술은 현재의 장치로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다. 만약 본 발명품(side-click 측방 커넥터 장치)을 이용하여 장골에 나사못을 삽입할 경우 장골 나사못 삽입이 훨씬 더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품은 장골 나사못 삽입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는 개념과 원리는 동일하다. 오히려 제2실시예가 제1실시예보다 더 많이 사용될 수 있는, 기본적인 장치라고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10a)는 손상된 척추경에 고정된 복수의 척추경 나사못(1)을 연결하며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제1척추로드(9a) 및 제2척추로드(9b)를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10a)의 설명에 앞서, 척추경 나사못(1)의 구조에 대해 도 12, 도 13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척추경 나사못(1)은 척추로드(9a,9b)가 수납되는 헤드부(3)와, 헤드부(3)의 일측으로부터 길이 연장되어 척추경에 고정되는 나사부(5)를 가진다.
척추로드(9a,9b)는 척추경 나사못(1)의 헤드부(3)에 수납되어, 헤드부(3)에 나사 결합되는 세트스크루(7)에 의해 척추경 나사못(1)에 고정된다. 척추로드(9a,9b)에는 척추경 나사못(1)이 단일 또는 다수 연결된다.
한편, 제1실시예는 연결구로 연결되며, 제2실시예는 커넥터 몸체로 연결되는 점이 다를 뿐 다른 개념과 원리는 동일하다. 오히려 제2실시예가 제1실시예보다 더 많이 사용될 수 있는, 기본적인 장치라고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10a)는 제1척추로드(9a) 및 제2척추로드(9b)가 장착되는 커넥터 몸체(11a)와, 제1척추로드(9a)를 커넥터 몸체(11a)에 지지하는 제1리테이너(31a)와, 제2척추로드(9b)를 커넥터 몸체(11a)에 지지하는 제2리테이너(31b)를 포함한다.
커넥터 몸체(11a)는 제1척추로드(9a)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13a)와, 제1장착부(13a)와 이격되어 제2척추로드(9b)가 장착되는 제2장착부(13b)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1장착부(13a) 및 제2장착부(13b)는 각각 제1척추로드(9a) 및 제2척추로드(9b)의 일측 둘레를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제1척추로드(9a) 및 제2척추로드(9b)를 수납하는 수납홈(17a,17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장착부(13a)는 제1척추로드(9a)가 제2장착부(13b)를 향해 인입이 가능하도록 커넥터 몸체(11a)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제1척추로드(9a)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제1수납홈(17a)과 연통하는 절개부(19a)를 가진다. 또한, 제2장착부(13b)는 제2척추로드(9b)가 제1장착부(13a)를 향해 인입이 가능하도록 커넥터 몸체(11a)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제2척추로드(9b)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제2수납홈(17b)과 연통하는 절개부(19b)를 가진다. 이에, 제1장착부(13a) 및 제2장착부(13b)의 각 수납홈(17a,17b)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U"자 단면형상을 가진다.
한편, 각 장착부(13a,13b)의 각 절개부(19a,19b)의 폭은 해당 척추로드(9a,9b)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각 장착부(13a,13b)의 절개부(19a,19b)를 통해 각 수납홈(17a,17b)에 수납되는 척추로드(9a,9b)는 절개부(19a,19b) 통과시 딸깍하는 클릭 소리를 내며(side-click), 장착부(13a,13b)의 수납홈(17a,17b)에 수납되며, 일단 수납홈(17a,17b)에 수납된 척추로드(9a,9b)는 절개부(19a,19b)에 의해 수납홈(17a,17b)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제1장착부(13a) 및 제2장착부(13b)의 상방에는 후술할 제1리테이너(31a) 및 제2리테이너(31b)가 각각 나사 결합되는 제1나사공(21a) 및 제2나사공(21b)이 연통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1리테이너(31a)는 커넥터 몸체(11a)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제1척추로드(9a)를 제1장착부(13a)의 제1수납홈(17a)에 지지한다.
제2리테이너(31b)는 커넥터 몸체(11a)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제2척추로드(9b)를 제2장착부(13b)의 제2수납홈(17b)에 지지한다.
제1리테이너(31a)와 제2리테이너(31b)는 각각 볼트이며, 제1리테이너(31a)와 제2리테이너(31b)는 커넥터 몸체(11a)에 형성된 제1나사공(21a) 및 제2나사공(21b)에 각각 나사 결합된다.
각 척추로드(9a,9b)를 향하는 제1리테이너(31a) 및 제2리테이너(31b)의 선단부에는 척추로드(9a,9b)를 가압함에 따라 각 리테이너(31a,31b)의 나사 조임 반대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탄성변형부(33a,33b)가 마련되어 있으며, 각 리테이너(31a,31b)의 내부에는 각 리테이너(31a,31b)를 커넥터 몸체(11a)의 나사공(21a,21b)에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한 렌치 등과 같은 공구가 탈착되는 공구장착홈(35a,35b)이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공구장착홈(35a,35b)은 탄성변형부(33a,33b)가 탄성변형가능한 두께를 갖도록 리테이너(31a,31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만큼 함몰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10a)는 커넥터 몸체(11a)에 마련되어 제1장착부(13a)와 제2장착부(13b)를 틸트 및 스위블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는 연결구(23)를 더 포함한다.
연결구(23)는, 제1장착부(13a)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구면형상의 볼(25)과, 제2장착부(13b)의 단부로부터 함몰되어 볼(25)을 둘러싸며 볼(25)을 틸트 및 스위블 가능하게 지지하는 볼베어링부(27)를 가진다.
볼베어링부(27)는 볼(25)이 이탈하지 않도록 볼(25)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볼베어링부(27)의 내측에는 볼(25)의 구면과 대략 합치하는 오목한 구면형상의 슬라이딩 접촉면이 형성된다.
볼(25)과 볼베어링부(27)는 고정용 너트(29)에 의해 고정 즉, 고정용 너트(29)는 볼베어링부(27)에 나사 결합됨과 동시에, 제1장착부(13a)의 단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이로써 볼(25)은 볼베어링부(27)의 내측에 유동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장착부(13a)는 볼(25)을 요동 중심으로 하고, 제2장착부(13b)에 대해 자유롭게 틸트 및 스위블할 수 있게 되어, 이전 의 척추 고정장치를 풀지 않고 별도의 추가 피부 절개없이 연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약간의 힘으로 척추로드에 결합이 되고 결합된 이후에는 축방향 이동과 회전을 허용하여 적당한 위치를 잡고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10a)를 이용하여 상호 이격 배치된 제1척추로드(9a) 및 제2척추로드(9b)를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접하는 척추경 나사못(1)과 간섭하지 않게, 제1척추로드(9a)를 제1장착부(13a)의 절개부(19a)를 통해 제1수납홈(17a)에 수납시킨다.
그리고, 제2척추로드(9b)를 제2장착부(13b)의 절개부(19b)를 통해 수납홈(17b)에 수납시킨다.
이 때, 각 척추로드(9a,9b)의 위치에 따라 연결구(23)에 의해 제1장착부(13a)를 제2장착부(13b)에 대해 틸트 및 스위블시킨다.
다음, 제1척추로드(9a) 및 제2척추로드(9b)가 각각 제1장착부(13a)의 제1수납홈(17a) 및 제2장착부(13b)의 제2수납홈(17b)에 지지되어 유동하지 않도록 제1리테이너(31a) 및 제2리테이너(31b)를 각각 제1나사공(21a) 및 제2나사공(21b)에 나사 결합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크기 이상의 나사 조임력에 의해 각 리테이너(31a,31b)의 탄성변형부(33a,33b)가 각 척추로드(9a,9b)를 가압하면, 탄성변형부(33a,33b)가 척추로드(9a,9b)의 외주 일 영역에 밀착하며 척추로드(9a,9b)의 반대방향으로, 즉 리테이너(31a,31b)의 나사 조임 반대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게 된다. 이로써, 리테이너(31a,31b)의 조임력에 의해 커넥터 몸체(11a)의 나사공(21a,21b)이 변형하는 것이 방지되어, 리테이너(31a,31b)와 커넥터 몸체(11a)는 안정적으로 나사 결합되며 척추로드(9a,9b)의 움직임을 줄일 수 있도록 강한 고정력을 가진다.
또한, 기존 척추 고정장치와 새롭게 추가되는 척추 고정장치간의 연결 단계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척추경 나사못(1) 사이가 좁거나 낮으며 척추로드(9a,9b) 사이의 높낮이가 상이한 곳에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10b)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는 달리, 커넥터 몸체(11b)에는 제1장착부(13a)와 제2장착부(13b)가 틸트 및 스위블 가능하게 상호 연결되는 연결구(23)에 의해 연결되지 않고, 커넥터 몸체(11b)에는 제1장착부(13a)와 제2장착부(13b)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10c)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달리, 제2장착부(13b)에 두 개의 제2리테이너(31b)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에 제2리테이너(31b)와 커넥터 몸체(11c)는 강한 고정력을 가지며 나사 결합되어, 제2척추로드(9b)의 움직임을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10d)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달리, 커넥터 몸체(11d)의 제1장착부(13a)에는 제1척추로드(9a)가 관통 결합되는 관통공(15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제1척추로드(9a)의 말단부에 제1장착부(13a)를 관통 결합하고, 제2척추로드(9b)의 중간 부위를 제2장착부(13b)의 수납홈(17b)에 부분적으로 감싸며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10e)는 전술한 제4실시예와 달리, 제1장착부(13a)에 두 개의 제1리테이너(31a)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에 제1리테이너(31a)와 커넥터 몸체(11e)는 강한 고정력을 가지며 나사 결합되어 제1척추로드(9a)의 움직임을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가 한 쌍의 척추로드에 연결된 상태의 다양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 및 도 1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가 한 쌍의 척추로드에 연결된 상태의 부분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경 나사못(1) 사이의 간격이 좁은 제1척추로드(9a)의 중간 부위와 제2척추로드(9b)의 말단부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10a)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는 제1척추로드(9a)의 말단부와 제2척추로드(9b)의 중간 부위에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10e)가 장착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는 각 척추로드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즉, 척추경 나사못 사이의 간격이 좁은 척추로드의 영역에는 하나의 장착부가 형성된 커넥터장치를 장착하고, 척추경 나사못 사이의 간격이 넓고 체결력을 요하는 척추로드의 영역에는 두 개 이상의 장착부가 형성된 커넥터장치를 장착하여, 제1척추로드 및 제2척추로드의 간격을 유지하며 손상된 척추경의 각도 및 간격을 교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는 이전의 척추 고정장치를 풀지 않고 약간의 추가 피부로 쉽게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약간의 힘으로 로드에 결합이 되고 결합된 이후에는 축방향 이동과 회전을 허용하여 적당한 위치를 잡고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를 이용하여 척추 재수술(Revision Spinal Surgery)장치, 장골 나사못 고정(Iliac screw Fixation)장치 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커넥터 몸체로부터 각 리테이너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 1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1의 커넥터 몸체에 각 리테이너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 1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1의 제1장착부가 제2장착부에 대해 틸트 및 스위블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커넥터 몸체에 각 리테이너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 1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의 사용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도 10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의 사용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척추경 나사못 9a,9b : 척추로드
10a :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
10b :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
11a~11e : 커넥터 몸체
13a,13b : 장착부 15a : 관통공
17a,17b : 수납홈 19a,19b : 절개부
21a,21b : 나사공 23 : 연결구
25 : 볼 27 : 볼베어링부
31a,31b : 리테이너 33a,33b : 탄성변형부

Claims (6)

  1. 손상된 척추경에 고정된 복수의 척추경 나사못을 연결하며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제1척추로드 및 제2척추로드를 연결하는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척추로드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와, 상기 제1장착부와 이격되어 상기 제2척추로드가 장착되는 제2장착부를 가지며, 상기 제1장착부 및 상기 제2장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는 상기 제1장착부 및 상기 제2장착부 중 다른 하나를 향해 해당 척추로드가 인입가능하도록 상기 해당 척추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몸체와;
    상기 커넥터 몸체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1척추로드를 상기 제1장착부에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제1리테이너와;
    상기 커넥터 몸체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2척추로드를 상기 제2장착부에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제2리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테이너와 상기 제2리테이너는 각각 볼트이며, 상기 커넥터 몸체에는 상기 제1장착부 및 상기 제2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제1척추로드 및 상기 제2척추로드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리테이너 및 상기 제2리테이너가 각각 나사 결합되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장착부와 상기 제2장착부를 틸트 및 스위블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는 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제1장착부와 상기 제2장착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된 구면형상의 볼과;
    상기 제1장착부와 상기 제2장착부 중 다른 하나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볼을 둘러싸며, 상기 볼을 틸트 및 스위블 가능하게 지지하는 볼베어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가 형성되지 않은 장착부에는 상기 커넥터 몸체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커넥터 몸체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절개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의 폭은 상기 척추로드의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
KR1020090041395A 2009-05-04 2009-05-12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 KR101000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38954 2009-05-04
KR1020090038954 2009-05-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072A true KR20100120072A (ko) 2010-11-12
KR101000892B1 KR101000892B1 (ko) 2010-12-13

Family

ID=43030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395A KR101000892B1 (ko) 2009-05-04 2009-05-12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280552A1 (ko)
KR (1) KR101000892B1 (ko)
WO (1) WO201012870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49455A (zh) * 2017-05-05 2017-08-18 兰州大学 易联多米诺接头
WO2018101633A1 (ko) * 2016-12-02 2018-06-07 안경기 고정막대 연결장치
KR20180081221A (ko) * 2017-01-06 2018-07-16 주식회사 코렌텍 척추 고정 로드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98961B1 (en) * 2009-02-26 2015-04-07 Lanx, Inc. Spinal rod connector and methods
US8414623B2 (en) * 2010-10-29 2013-04-09 Warsaw Orthopedic, Inc. Connector for connecting elongated members
US9247964B1 (en) * 2011-03-01 2016-02-02 Nuasive, Inc. Spinal Cross-connector
US8758411B1 (en) 2011-10-25 2014-06-24 Nuvasive, Inc. Implants and methods for treating spinal disorders
CN102488548B (zh) * 2011-11-30 2013-09-18 上海拓腾医疗器械有限公司 脊柱内固定装置和内固定方法
EP2662037B1 (en) * 2012-05-09 2023-01-11 CoLigne AG Iliac connector, connector head and spinal fixation system
US9023087B2 (en) * 2012-11-09 2015-05-05 Blackstone Medical, Inc. Percutaneous modular head-to-head cross connector
ITFR20120015A1 (it) * 2012-11-22 2014-05-23 Pier Giovanni Menci Sistema di fissazione elastica per la riduzione stabile di fratture con la tecnica dei fili metallici e bloccaggio indipendente di detti fili.
US9345521B2 (en) * 2013-03-15 2016-05-24 Blackstone Medical, Inc. Adjustable rod connector
WO2015023420A2 (en) 2013-07-25 2015-02-19 Latitude Holdings, Llc Percutaneous pedicle screw revision system
US10952856B2 (en) * 2015-04-15 2021-03-23 FreeseTEC Corporation Spinal fusion containment system
US9451994B1 (en) * 2015-06-19 2016-09-27 Amendia, Inc. Spinal implant revision device
US9603634B1 (en) 2015-11-13 2017-03-28 Amendia, Inc. Percutaneous rod-to-rod cross connector
CN105286973B (zh) * 2015-11-30 2018-06-26 昆明医科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能够有效缩减使用空间的矫形棒连接器的连接器
US10307185B2 (en) * 2016-03-29 2019-06-04 Globus Medical, Inc. Revision connectors, systems, and methods thereof
US10517647B2 (en) 2016-05-18 2019-12-31 Medos International Sarl Implant connectors and related methods
US10321939B2 (en) 2016-05-18 2019-06-18 Medos International Sarl Implant connectors and related methods
US10398476B2 (en) 2016-12-13 2019-09-03 Medos International Sàrl Implant adapters and related methods
US10492835B2 (en) 2016-12-19 2019-12-03 Medos International Sàrl Offset rods, offset rod connectors, and related methods
US10238432B2 (en) 2017-02-10 2019-03-26 Medos International Sàrl Tandem rod connectors and related methods
US20180228516A1 (en) * 2017-02-14 2018-08-16 Warsaw Orthopedic, Inc. Spinal implant system and method
US10966761B2 (en) 2017-03-28 2021-04-06 Medos International Sarl Articulating implant connectors and related methods
US10561454B2 (en) 2017-03-28 2020-02-18 Medos International Sarl Articulating implant connectors and related methods
EP3610812B1 (en) 2017-04-12 2023-10-11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Group Connector for simultaneously fixing screw head and rod
US11076890B2 (en) 2017-12-01 2021-08-03 Medos International Sàrl Rod-to-rod connectors having robust rod closure mechanisms and related methods
KR20210073749A (ko) 2019-12-11 2021-06-2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추간체 고정재
DE102020108276A1 (de) * 2020-03-25 2021-09-30 Aesculap Ag Chirurgische Verbindungseinrichtung und chirurgisches Verbindungssystem
EP3943028B1 (en) * 2020-07-22 2023-10-04 Biedermann Technologies GmbH & Co. KG Rod system including at least two rods and connector device for rods
US11284924B1 (en) 2020-12-16 2022-03-29 Warsaw Orthopedic, Inc Adjustable spinal implant, system and method
US11350969B1 (en) 2021-02-02 2022-06-07 Warsaw Orthopedic, Inc. Rotatable spinal implant, system, and method
US11331125B1 (en) 2021-10-07 2022-05-17 Ortho Inventions, Llc Low profile rod-to-rod couple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8255B2 (ja) * 1999-03-30 2008-08-27 ハウメディカ オステオニ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脊椎安定化装置
JP2002224131A (ja) 2001-02-05 2002-08-13 Mizuho Co Ltd 椎間固定装置
US6554832B2 (en) * 2001-04-02 2003-04-29 Endius Incorporated Polyaxial transverse connector
US20030114853A1 (en) 2001-10-12 2003-06-19 Ian Burgess Polyaxial cross connector
US7066938B2 (en) * 2002-09-09 2006-06-27 Depuy Spine, Inc. Snap-on spinal rod connector
JP4414889B2 (ja) * 2002-10-28 2010-02-10 ウォーソー・オーソペディック・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一対の整形外科用ロッドを相互接続するための交差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
US8029543B2 (en) * 2002-10-28 2011-10-04 Warsaw Othopedic, Inc. Multi-axial, cross-link connector system for spinal implants
WO2004084742A1 (en) * 2003-03-24 2004-10-07 Theken Surgical Llc Spinal implant adjustment device
US7736370B2 (en) * 2003-10-21 2010-06-15 Zimmer Spine, Inc. Method for interconnecting longitudinal members extending along a spinal column
US7744633B2 (en) 2003-10-22 2010-06-29 Pioneer Surgical Technology, Inc. Crosslink for securing spinal rods
US8236028B2 (en) * 2004-03-31 2012-08-07 Depuy Spine Sarl Spinal rod connector
US7766940B2 (en) * 2004-12-30 2010-08-03 Depuy Spine, Inc. Posterior stabilization system
US20060229609A1 (en) * 2005-03-18 2006-10-12 Chao-Jan Wang Microadjustment spinal joint fixture
US7585314B2 (en) * 2005-04-29 2009-09-08 Warsaw Orthopedic, Inc. Device for interconnecting components in spinal instrumentation
US7628799B2 (en) * 2005-08-23 2009-12-08 Aesculap Ag & Co. Kg Rod to rod connector
US7942901B2 (en) * 2006-04-24 2011-05-17 Warsaw Orthopedic, Inc. Connector apparatus
US7744632B2 (en) * 2006-12-20 2010-06-29 Aesculap Implant Systems, Inc. Rod to rod connector
KR100893918B1 (ko) * 2008-07-09 2009-04-21 박기훈 척추 고정용 커넥팅로드 연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1633A1 (ko) * 2016-12-02 2018-06-07 안경기 고정막대 연결장치
US11026724B2 (en) 2016-12-02 2021-06-08 Kyoung Gee AHN Fixing rod connecting device
KR20180081221A (ko) * 2017-01-06 2018-07-16 주식회사 코렌텍 척추 고정 로드 커넥터
CN107049455A (zh) * 2017-05-05 2017-08-18 兰州大学 易联多米诺接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0892B1 (ko) 2010-12-13
US20100280552A1 (en) 2010-11-04
WO2010128700A1 (ko) 201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0892B1 (ko) 척추로드 연결용 측방 클릭 커넥터장치
US11426206B2 (en) Pedicle screw having a removable rod coupling
AU2017276248B2 (en) Surgical connectors and instrumentation
US20230355286A1 (en) Length adjustable modular screw system
US8951294B2 (en) Spinal implant with a lockable ball joint
US7645294B2 (en) Head-to-head connector spinal fixation system
US7942901B2 (en) Connector apparatus
JP5078900B2 (ja) 骨部分を安定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
US20140277163A1 (en) Reinforcement systems for spine stabilization constructs
US20070270817A1 (en) Connector apparatus
US20100174325A1 (en) Poly-axial pedicle screw assembly
EP1708630A1 (en) Vertebral osteosynthesis equipment
JP2002527137A (ja) 安定性に優れた脊椎骨接合システム
CN102727291A (zh) 脊柱植入物
JP2019195631A (ja) 整形外科用固定装置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
CN107582156B (zh) 用于椎弓根螺钉的连接器和固定系统
EP3733100A1 (en) Spinal fixation system
WO2008146982A1 (en) Iliac screw system
EP3725247A1 (en) Backbone fixing system
US9827016B2 (en) Modular vertebral stabilizer
KR100507615B1 (ko) 척추경 나사못 및 이를 갖는 척추경 나사못 조립체
US20230363796A1 (en) Mount for holding reference frame during a surgical procedure
KR20230150126A (ko) 페디클 스크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