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9646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9646A
KR20100119646A KR1020090038687A KR20090038687A KR20100119646A KR 20100119646 A KR20100119646 A KR 20100119646A KR 1020090038687 A KR1020090038687 A KR 1020090038687A KR 20090038687 A KR20090038687 A KR 20090038687A KR 20100119646 A KR20100119646 A KR 20100119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air
cold water
setting
ch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3793B1 (ko
Inventor
김홍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8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793B1/ko
Priority to PCT/KR2010/002746 priority patent/WO2010126329A2/ko
Priority to US13/318,456 priority patent/US9109809B2/en
Priority to EP10769974.6A priority patent/EP2431676B1/en
Publication of KR20100119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6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compressors within refrigeration or heat pump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absorption or discharge of heat in outdoor units
    • F24F11/871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absorption or discharge of heat in outdoor units by controlling outdo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44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 F24F3/0442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with volume control at a constant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Compression cycl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02System or Device comprising a heat pump as a subsystem, e.g. combined with humidification/dehumidification, heating, natural energy or with hybrid system
    • F24F2203/021Compression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11Fan speed control
    • F25B2600/112Fan speed control of evaporat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04Temperatures of an indoor room or compar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liquids, e.g. br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의 혼합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송풍팬과,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혼합 공기가 냉수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에어 핸들링 유닛과;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포함하고 증발기가 열교환기와 수배관으로 연결되어 열교환기로 냉수를 공급하는 칠러를 포함하고, 칠러는 에어 핸들링 유닛과 통신하면서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증발기에서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냉수의 냉수설정온도를 설정하고, 설정된 냉수설정온도에 따라 압축기의 운전 용량을 가변시키는, 열교환기의 냉수 온도가 과도하게 낮을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실내의 과제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최소한의 소비전력으로 충분한 냉방을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igure P1020090038687
공기조화기, 송풍팬, 열교환기, 온도 센서, 에어 핸들링 유닛, 압축기, 증발기, 냉수 설정온도, 칠러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동 사이클로 물을 냉각하여 냉수로 바꾸고, 공기를 냉수와 열교환시켜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증발기가 물과 냉매를 열교환시키게 구성되고, 냉매와 열교환된 물이 통과하는 별도의 열교환기(즉, 냉수 코일)가 실내로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면, 실내를 냉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와 열교환된 냉기의 온도와 증발기에서 냉매와 열교환된 물의 온도가 실내의 전체 부하에 맞게 일정하게 설계될 경우, 부하의 변동 등에 의해 적절한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실내의 부하가 낮을 경우 실내의 습도가 과도하게 낮아질수 있어 실내가 지나치게 건조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냉수 온도 및 냉기 온도를 조절하여 실내가 과냉되는 것을 막고 실내가 과건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 온도에 따라 칠러에서 공급되는 냉수의 냉수설정온도를 가변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의 혼합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혼합 공기가 냉수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에어 핸들링 유닛과;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가 상기 열교환기와 수배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열교환기로 냉수를 공급하는 칠러를 포함하고, 상기 칠러는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과 통신하면서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증발기에서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냉수의 냉수설정온도를 설정하고, 설정된 냉수설정온도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운전 용량을 가변시킨다.
상기 온도 센서는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실내 온도센서와,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공급공기 온도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은 상기 실내 온도센서와 상기 공급공기 온도센서의 감지 결과를 상기 칠러로 송출하는 에어 핸들링 유닛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칠러는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 제어부로부터 상기 실내 온도센서와 상기 공급공기 온도센서의 감지 결과를 입력받고 상기 냉수설정온도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운전 용량을 제어하는 칠러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 제어부는 상기 냉수설정온도에 따라 상기 송풍팬의 속도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은,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의 혼합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혼합 공기가 냉수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에어 핸들링 유닛과;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가 상기 열교환기와 수배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열교환기로 냉수를 공급하는 칠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에서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칠러로 송출하고 상기 칠러에서 냉수설정온도를 설정하는 냉수설정온도 설정단계와; 상기 냉수설정온도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냉수설정온도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운전 용량을 조절하는 압축기 운전 용량 조절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냉수설정온도 설정단계는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실내 온도센서가 실내 온도를 감지하고,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공급공기 온도센서가 공급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면, 상기 실내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실내 온도와, 상기 공급공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공급 공기의 온도에 따라 상기 냉수설정온도를 설정한다.
상기 냉수설정온도 설정단계는 실내 설정온도와 상기 실내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의 차를 상기 공급공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현재의 공급 공기의 온도에 더하여 공급공기 설정온도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공급공기 설정온도와 대응되는 상기 냉수 설정온도를 설정한다.
상기 압축기 운전 용량 조절단계의 도중에 상기 냉수 설정온도가 냉수 가변 상한치에 도달되면, 상기 송풍팬의 속도를 감속하는 송풍팬 감속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송풍팬 감속 단계의 도중에 실내 설정온도가 상기 실내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 이하이면, 상기 송풍팬의 속도를 가속하는 송풍팬 가속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송풍팬 가속 단계의 도중에 상기 송풍팬의 속도가 송풍팬 최대 속도에 도달되면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에서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칠러로 송출하고 상기 칠러에서 냉수설정온도를 설정하는 냉수설정온도 재설정단계와; 상기 냉수설정온도 재설정단계에서 설정된 냉수설정온도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운전 용량을 조절하는 압축기 운전 용량 재조절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냉수설정온도 재설정단계는 상기 공급공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현재의 공급공기의 온도에서 실내 설정온도와 상기 실내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실내 온도의 차를 빼서 공급공기 설정온도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공급공기 설정온도와 대응되는 상기 냉수 설정온도를 설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실내 부하에 대비하여 열교환기의 냉수 온도가 과도하게 낮을 경우 발생되는 실내의 과냉 및 과제습을 방지할 수 있고, 최소한의 소비전력으로 충분한 냉방 및 제습을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수설정온도 조절에 의해 실내 온도조절이 곤란한 경우 에어 핸들링 유닛의 송풍팬 속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실내 온도를 조절하므로 보다 효율적인 운전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핸들링 유닛(1)과, 칠러(2)를 포함한다.
에어 핸들링 유닛(1)은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혼합하고, 혼합 공기를 열교환기에서 열교환시킨 후 실내로 공급하는 환기 겸용 공조 유닛으로서,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건물이나 가옥 중 에어 핸들링 유닛(1)이 공조시키는 실내와 별도로 마련된 공조실이나 기계실 등에 설치되거나 실외에 설치된다.
에어 핸들링 유닛(1)은 내부에 공간을 갖고 실내 공기 흡입부(11)와 실내 공기 배출부(12)와, 외기 공기 흡입부(13)와, 공조 공기 배출부(14)가 형성된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15)와,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15)의 내부에 설치되어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27)(28)과,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15)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조 공기 배출부(14)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를 냉수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40)를 포함한다.
에어 핸들링 유닛(1)에는 실내의 공기가 실내 공기 흡입부(11)를 통해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15)로 흡입되도록 실내와 실내 공기 흡입부(11)를 연통시키는 환기 덕트(21)가 연결되고, 실내 공기 흡입부(11)를 통해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15) 내부로 흡입된 공기 중 일부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실내 공기 배출부(12)와 실외를 연통시키는 배기 덕트(22)가 연결되며, 실외 공기가 실외 공기 흡입부(13)를 통해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15)로 내부로 흡입되도록 실외와 실외 공기 흡입부(13)를 연통시키는 외기 덕트(23)가 연결되며,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15)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도록 공조 공기 배출부(14)와 실내를 연통시키는 급기 덕트(24)가 연결된다.
환기 덕트(21)는 실내 공기 흡입부(11)에 연결되고, 배기 덕트(22)는 실내 공기 배출부(12)에 연결되며, 외기 덕트(23)는 실외 공기 흡입부(13)에 연결되고, 급기 덕트(24)는 공조 공기 배출부(14)에 연결된다.
에어 핸들링 유닛(1)은 실내 공기 흡입부(11)로 흡입된 실내 공기 중 일부가 실내 공기 배출부(12)를 통해 실외로 배기되고, 나머지가 외기 공기 흡입부(13)로 흡입된 실외 공기와 혼합되며, 혼합된 공기가 열교환기(40)와 열교환된 후 공조 공기 배출부(14)와 급기 덕트(19)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게 구성되는 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열교환기(40) 이전에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혼합되는 혼합 챔버(26: Mixing Chamber)가 위치된다.
송풍팬(27)(28)은 실내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실내 공기 흡입부(11)와 실내 공기 배출부(12)의 사이에 위치되어 실내 공기를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15) 내부로 흡입하여 송풍하는 리턴 팬(27)과, 혼합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열교환기(40)와 공조 공기 배출부(14)의 사이에 위치되어 혼합 공기를 열교환기(40)로 흡인시킨 후 공조 공기 배출부(14)를 향해 송풍시키는 공급 팬(28)을 포함한다.
송풍팬(27)(28)는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풍량 가변형 송풍팬로서, 블로워(29)와, 블러워(29)를 둘러싸고 공기 흡입구(30)과 공기 토출구(31)가 형성된 하우징(32)과, 블러워(29)를 회전시키는 블로워 구동원(33)을 포함한다.
블로워 구동원(33)은 블로워(29)의 회전 중심에 회전축이 연결된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블러워(29)의 회전 중심에 연결된 샤프트(34)와, 하우징(32) 외부에 위치되게 설치된 모터(35)와, 모터(35)의 구동력을 샤프트로 전달하는 연결하는 구동 풀리(36)와 벨트(37)와 종동풀리(38)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재로 구성된다.
모터(35)는 풍속이 가변되는 인버터 모터로 이루어진다.
열교환기(40)는 혼합 공기와 냉수가 열교환되어 혼합 공기가 냉각되게 하는 일종의 냉각 코일로서, 냉수가 통과하는 유로를 갖는 냉수 코일을 갖고, 혼합 챔버(26)와 공급 팬(27)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열교환기(40)에는 칠러(2)와 열교환기(40)를 연결하는 수배관(41)(42)이 연결된다.
에어 핸들링 유닛(1)은 혼합 공기 중의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비율을 조절하는 댐퍼(43)(44)(45)를 포함한다.
댐퍼(43)(44)(45)는 실내 공기 배출부(12)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 배기량을 조절하는 배기 댐퍼(43)와, 외기 공기 흡입부(13)에 설치되어 실외 공기 흡기량을 조절하는 외기 댐퍼(44)와, 혼합 챔버(26)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 중 혼합 챔버(26)로 흡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혼합 댐퍼(45)를 포함한다.
에어 핸들링 유닛(1)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46)(47)를 포함하고, 온도 센서(46)(47)는 에어 핸들링 유닛(1)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와, 에어 핸들링 유닛(1) 내부에서 열교환된 후 실내로 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한다.
온도센서(46)(47)는 실내의 온도(Trs)를 감지하는 실내 온도 센서(46)와,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Tss)를 감지하는 공급 공기 온도 센서(47)를 포함한다.
실내 온도 센서(46)는 공조시키고자 하는 실내에 설치되거나, 실내 공기 흡입부(11)와 환기 덕트(21) 중 하나에 설치된다.
공급 공기 온도 센서(47)는 열교환기(40)와 공조 공기 배출부(14)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에어 핸들링 유닛(1)은 온도센서(46)(47) 즉, 실내 온도 센서(46)와 공급 공 기 온도 센서(47)의 감지 결과를 칠러(2)로 송출하는 에어 핸들링 유닛 제어부(48)를 더 포함한다.
칠러(2)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에어 핸들링 유닛(1)의 열교환기(40)로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 공급 유닛으로서, 칠러 케이스(50)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51)와, 압축기(51)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52)와, 응축기(52)에서 응축된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기구(53)와, 팽창기구(53)에서 팽창된 냉매가 물과 열교환되어 증발되는 증발기(54)를 포함하고, 압축기(51)와 응축기(52)와 팽창기구(53)와 증발기(54)가 냉동 사이클을 형성한다.
칠러(2)는 응축기(52)가 공랭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실외에 설치되고 응축기(52)가 수냉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지하실 등의 기계실이나 실외에 설치된다.
칠러 케이스(50)는 압축기(51)와 응축기(52)와 팽창기구(53)와 증발기(54)가 설치되고, 응축기(52)가 공랭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공기가 흡입된 후 토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압축기(51)는 운전 용량이 가변되는 용량 가변형 압축기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압축기가 부하에 따라 일부 혹은 전부 구동되거나, 인버터 압축기 등으로 이루어진다.
압축기(51)는 응축기(52)와 연결되는 출구 배관에 압축기(51)에서 유출된 냉매와 오일 중 오일을 분리하는 오일 분리기(55)가 설치되고, 오일 분리기(55)에는 압축기(51)로 오일을 회수시키는 오일 회수 유로(56)가 연결된다.
응축기(52)는 실외 팬(57)에 의해 송풍되는 실외 공기 또는 냉각탑(미도시) 에 의해 공급되는 냉각수에 의해 냉매가 응축되게 하는 것으로서, 이하, 실외 팬(57)에 의해 송풍되는 실외 공기에 의해 냉매가 응축되게 구성된다.
증발기(54)는 에어 핸들링 유닛(1)의 열교환기(40)와 수배관(41)(42)으로 연결되어 팽창기구(53)에서 팽창된 냉매가 증발되면서 물을 냉각시키는 쿨러로서,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 유로와, 물이 통과하는 물 유로가 열교환부재를 사이에 두고 형성된다.
증발기(54)는 물이 통과하고 물 유로를 갖는 복수개의 이너 튜브와, 복수개의 이너 튜브의 외측에 형성되고 복수개의 이너 튜브와 사이에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 유로를 갖는 쉘을 포함한다.
증발기(54)는 에어 핸들링 유닛(1)의 열교환기(40)와 수배관(41)(42)으로 연결되는 바, 복수개의 이너 튜브와, 수배관(41)(42)과, 에어 핸들링 유닛(1)의 열교환기(40)인 냉수 코일은 냉수 순환 유로를 형성한다.
여기서, 수배관(41)(42)은 칠러 케이스(50)와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15)를 관통하게 배치되고, 수배관(41)(42)에는 냉수를 순환되게 펌핑시키는 냉수 펌프(58)가 설치된다.
냉수 펌프(58)는 수배관(41)(42) 중 에어 핸들링 유닛(1)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칠러(2)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에어 핸들링 유닛(1)과 칠러(2)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그 제어나 전선 연결 등이 용이하도록 에어 핸들링 유닛(1) 내부나 칠러(2)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칠러(2)는 압축기(51)의 운전 용량에 따라 증발기(54)에서 출수되는 냉수의 온도가 상이하게 되는 바, 냉수설정온도(Twt)에 따라 압축기(51)의 운전 용량을 제어한다.
칠러(2)는 에어 핸들링 유닛(1)과 통신하면서 온도 센서(46)(47)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증발기(54)에서 열교환기(40)로 공급되는 냉수의 냉수설정온도(Twt)를 제어한다.
칠러(2)는 에어 핸들링 유닛 제어부(48)로부터 실내 온도센서(46)와 공급 공기 온도 센서(47)의 감지 결과를 입력받고 냉수설정온도(Twt)에 따라 압축기(51)의 운전 용량을 제어하는 칠러 제어부(59)를 더 포함한다.
칠러 제어부(59)는 에어 핸들링 유닛(1) 특히 실내 온도 센서(46)와 공급 공기 온도 센서(47)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냉수설정온도(Twt)를 설정하고, 설정된 냉수설정온도(Twt)에 따라 압축기(1)의 운전 용량을 제어한다.
칠러 제어부(59)는 냉수설정온도(Twt)를 냉수 온도가 가변될 수 있는 범위인 냉수 가변 하한치(Twtmin)와 냉수 가변 상한치(Twtmax) 범위에서 설정한다.
칠러 제어부(59)는 사용자 등이 조작하는 컨트롤부(49)에 의해 설정되거나 제조자 또는 설치자에 의해 설정된 실내 설정 온도(Ti,실내 희망 온도)를 이용하여 냉수설정온도(Twt)를 설정하는 바, 실내 설정 온도(Ti)와 실내 온도 센서(46)에서 감지된 온도(Trs)의 차를 공급 공기 온도 센서(47)에서 감지된 현재의 공급공기 온도(Tss)에 더하여 공급공기 설정온도(Tst)를 설정한다.
칠러 제어부(59)는 설정된 공급공기 설정온도(Tst)에 대응되는 냉수설정온 도(Twt)를 테이블이나 수학식에 입력하여 산출하고, 이후 냉수설정온도(Twt)에 대응되는 운전 용량으로 압축기(1)를 제어한다.
한편, 에어 핸들링 유닛(1), 특히 에어 핸들링 유닛 제어부(48)는 설정된 냉수설정온도(Twt)에 따라 송풍팬(27)(28)의 속도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 등이 컨트롤부(49)를 통해 공기조화기를 운전시키면, 에어 핸들링 유닛 제어부(48)는 송풍팬(27)(28)을 구동시키고, 칠러 제어부(59)는 압축기(51)와 실외팬(57)을 구동시킴과 아울러 팽창기구(53)를 개도 조절하며, 에어 핸들링 유닛 제어부(48)와 칠러 제어부(59) 중 하나는 냉수 펌프(58)를 구동시킨다.
압축기(51)의 구동시 냉매는 압축기(51)와 응축기(52)와 팽창기구(53)와 증발기(54)를 순환하고, 이때, 증발기(54)를 통과하는 냉매는 물의 열을 빼앗으면서 물의 온도를 낮춘다.
냉수 펌프(58)의 구동시, 증발기(54)에서 차가워진 물은 수배관(41)(4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에어 핸들링 유닛(1)의 열교환기(40)를 냉각시킨 후 수배관(41)(42)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증발기(54)로 회수되고, 이때, 물은 증발기(54)와 열교환기(40)를 순환하면서 열교환기(40)를 냉각시킨다.
송풍팬(27)(28)의 구동시, 실내 공기는 환기 덕트(21)를 통해 에어 핸들링 유닛 케이스(15) 내부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 중 일부가 배기 덕트(22)를 통해 실외로 배기되고, 나머지가 혼합 챔버(26)로 흡입된다. 그리고, 실외 공기는 외기 덕트(23)을 통해 혼합 챔버(26)로 흡입되어 실내 공기 중 혼합 챔버(26)로 흡입된 공기와 혼합된다. 혼합된 공기는 열교환기(4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기(40)를 통과하는 물에 열을 빼앗아 온도가 낮아지고, 이후 급기 덕트(34)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칠러 제어부(59)는 냉수설정온도에 따라 압축기(51)의 운전 용량을 결정하고 결정된 운전 용량으로 압축기(51)를 구동한다.
칠러 제어부(59)는 공기조화기의 초기 운전시 냉수설정온도 범위 중 기준 냉수설정온도를 냉수설정온도를 설정하여 압축기(51)를 구동하고, 이후 에어 핸들링 유닛(1) 특히 온도센서(27)(28)에서 감지된 온도를 이용하여 칠러(2)의 냉수설정온도(Twt)를 가변시키면서 실내 온도를 조절한다.
그리고, 에어 핸들링 유닛 제어부(48)는 냉수설정온도(Twt)의 가변으로 온도 조절이 곤란한 경우에 송풍팬(27)(28)의 속도를 가변시켜 실내 온도를 추가 조절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 일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은, 냉수설정온도 설정단계(S1)(S2)와, 압축기 운전 용량 조절단계(S3), 송풍팬 감속 단계(S4)(S5)와, 송풍팬 가속 단계(S6)(S7)와, 냉수설정온도 재설정단계(S8)(S9)와, 압축기 운전 용량 재조절단계(S10)를 포함한다.
냉수설정온도 설정단계(S1)(S2)는 에어 핸들링 유닛(1)에서 온도를 감지하여 칠러(2)로 송출하고 칠러(2)에서 냉수설정온도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냉수설정온도 설정단계(S1)(S2)는 실내 온도센서(46)가 실내 온도(Trs)를 감지하고, 공급공기 온도센서(47)가 공급 공기의 온도(Tss)를 감지하는 온도감지과정를 포함한다.
냉수설정온도 설정단계(S1)(S2)는 온도감지과정에서 감지된 실내 온도(Trs)와 공급공기 온도(Tss)가 에어 핸들링 유닛 제어부(48)로 입력된 후 칠러 제어부(57)로 송출되는 온도송출과정을 더 포함한다.
냉수설정온도 설정단계(S1)(S2)는 온도송출과정에서 송출된 온도가 칠러 제어부(57)로 입력되면 공급공기 설정온도(Tst)가 설정되고, 설정된 공급공기 설정온도(Tst)에 대응되는 냉수설정온도(Twt)가 산출되는 냉수설정온도 산출과정을 더 포함하고, 냉수설정온도 산출과정에서 산출된 냉수설정온도(Twt)는 새로운 냉수설정온도로 설정된다.
냉수설정온도 설정단계(S1)(S2)는 실내 온도(Trs)가 실내 설정 온도(Ti) 보다 낮을 경우 공급공기 설정온도(Tst)가 이전의 공급공기 설정온도(Tst) 보다 높게 설정되고, 냉수설정온도(Twt)가 이전의 냉수설정온도 보다 높게 설정된다.
여기서, 공급공기 설정온도(Tst)는 공급공기 온도센서(47)에서 감지된 현재의 공급 공기의 온도(Tss)에 컨트롤부(49) 등에서 설정된 실내 설정온도(Ti)와 실내 온도센서(46)에서 감지된 온도(Trs)의 차를 더하여 새롭게 설정되고, 냉수설정온도(Twt)는 새롭게 설정된 공급공기 설정온도(Tst)에 대응되게 새롭게 설정된다.
압축기 운전 용량 조절단계(S3)는 상기와 같이 냉수설정온도 설정단계(S1)(S2)에서 설정된 냉수설정온도(Twt)에 따라 압축기(51)의 운전 용량을 조절하는 단계로서, 냉수설정온도가 이전보다 높게 설정된 경우 압축기(51)의 운전 용량이 이전보다 낮게 압축기(51)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제어시, 증발기(54)에서 유출되는 물의 출수온도는 냉수설정온도가 새롭게 설정되기 이전 보다 높게 되고, 실내로 공급되는 공급공기의 온도는 공급공기 온도센서(47)에서 감지되었던 이전의 공급공기 온도 보다 높게 되며, 실내 온도는 상승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운전 도중에 냉수설정온도 설정단계(S1)(S2)와 압축기 운전 용량 조절단계(S3)가 설정 시간(예를 들면, 10분)간격으로 반복되면서 냉수설정온도(Twt)가 실내 부하에 따라 가변되고, 냉수설정온도(Twt)는 칠러(1)의 냉수 가변 범위(예를 들면, 5℃~15℃) 이내에서 가변된다.
송풍팬 감속 단계(S4)(S5)는 냉수 설정온도(Twt)가 칠러(1)의 냉수 가변 범위의 상한치(이하, 냉수 가변 상한치라 칭한다.)에 도달되면, 송풍팬(27)(28)의 속도를 감속하는 단계로서, 에어 핸들링 유닛 제어부(48)는 칠러 제어부(59)로부터 송풍팬 감속 신호를 입력받아 송풍팬(27)(28)을 감속 제어한다.
송풍팬(27)(28)의 감속시, 실내에는 송풍팬(27)(28)이 감속되기 이전보다 적은 풍량이 공급되고, 실내 온도는 송풍팬(27)(28)이 감속되기 이전보다 상승된다.
송풍팬 감속 단계(S4)(S5)는 설정 시간 간격(예를 들면, 10분)으로 송풍팬(27)(28)이 감속되고, 이때 송풍팬(27)(28)의 속도는 설정속도만큼씩 감속되거나 선형적으로 감속된다.
한편, 송풍팬(27)(28)의 감속시, 실내 온도(Trs)는 실내 설정온도(Ti)와 같거나 실내 설정온도(Ti) 보다 높아지게 되고, 실내 온도(Trs)는 실내 설정온도(Ti)와 같거나 실내 설정온도(Ti) 보다 높아지게 되면, 송풍팬 가속 단계(S6)(S7)가 실시된다.
송풍팬 가속 단계(S6)(S7)는 송풍팬 감속 단계의 도중에 실내 설정온도(Ti)가 실내 온도센서(46)에서 감지된 온도 이하이면, 송풍팬(27)(28)의 속도를 가속하는 단계로서, 실내 온도는 송풍팬(27)(28)이 가속되기 이전보다 하강된다.
송풍팬 가속 단계(S6)(S7)는 설정 시간 간격(예를 들면, 10분)으로 송풍팬(27)(28)이 가속되고, 이때 송풍팬(27)(28)의 속도는 설정속도만큼씩 증속되거나 선형적으로 증속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은 송풍팬 감속 단계(S4)(S5)와 송풍팬 가속 단계(S6)(S7)가 실내 온도(Trs)와 실내 설정온도(Ti)에 따라 반복될 수 있고, 송풍팬 가속 단계(S6)(S7)의 도중에 송풍팬(27)(28)이 송풍팬 최대 속도로 구동될 수 있다.
냉수설정온도 재설정단계(S8)(S9)는 송풍팬 가속 단계(S6)(S7)의 도중에 송풍팬(27)(28)의 속도가 송풍팬 최대 속도에 도달되면 에어 핸들링 유닛(1)에서 온도를 감지하여 칠러(1)로 송출하고 칠러(1)에서 냉수설정온도(Twt)를 새롭게 설정한다.
냉수설정온도 재설정단계(S8)(S9)는 공급공기 온도센서(47)에서 감지된 현재 의 공급공기의 온도에서 실내 설정온도(Ti)와 실내 온도센서(46)에서 감지된 실내 온도(Trs)의 차를 빼서 공급공기 설정온도(Tst)를 새롭게 설정하고, 새롭게 설정된 공급공기 설정온도(Tst)와 대응되는 냉수 설정온도(Twt)를 새롭게 설정한다.
냉수 설정온도(Twt)는 칠러(1)의 냉수 가변 상한치(예를 들면, 15℃) 보다 낮게 재설정된다.
압축기 운전 용량 재조절단계(S10)은 냉수설정온도 재설정단계(S8)(S9)에서 설정된 냉수설정온도(Twt)에 따라 압축기(51)의 운전 용량을 조절한다.
압축기(51)는 냉수 설정온도(Twt)가 칠러(1)의 냉수 가변 상한치일 경우 보다 운전 용량이 높게 되고, 증발기(54)에서 유출되는 물의 출수온도는 냉수설정온도가 새롭게 설정되기 이전 보다 낮게 되고, 실내로 공급되는 공급공기의 온도는 냉수 설정온도(Twt)가 칠러(1)의 냉수 가변 상한치였던 때 보다 낮게 되며, 실내 온도는 하강된다.
이후,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운전 도중에 냉수설정온도 재설정단계(S8)(S9)와 압축기 운전 용량 재조절단계(S10)가 설정 시간(예를 들면, 10분)간격으로 반복되면서 냉수설정온도(Twt)가 실내 부하에 따라 되고, 실내 온도는 점차 하강되고, 컨트롤부(49)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정지가 입력되면, 공기조화기의 운전은 정지(S11)되고, 다시 실내 온도(Trs)가 실내 설정온도(Ti) 보다 낮게 되면, 냉수설정온도 설정단계(S1)(S2)와 그 이후를 실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 일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에어 핸들링 유닛 2: 칠러
21: 환기 덕트 22: 배기 덕트
23: 외기 덕트 24: 급기 덕트
27,28: 송풍팬 40: 열교환기
41,42: 수배관 46: 실내 온도센서
47: 공급공기 온도센서 48: 에어 핸들링 유닛 제어부
49: 컨트롤부 51: 압축기
52: 응축기 53: 팽창기구
54: 증발기 57: 실외 팬
59: 칠러 제어부

Claims (12)

  1.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의 혼합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혼합 공기가 냉수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에어 핸들링 유닛과;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가 상기 열교환기와 수배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열교환기로 냉수를 공급하는 칠러를 포함하고,
    상기 칠러는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과 통신하면서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증발기에서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냉수의 냉수설정온도를 설정하고, 설정된 냉수설정온도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운전 용량을 가변시키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실내 온도센서와,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공급공기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은 상기 실내 온도센서와 상기 공급공기 온도센서의 감지 결과를 상기 칠러로 송출하는 에어 핸들링 유닛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칠러는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 제어부로부터 상기 실내 온도센서와 상기 공급공기 온도센서의 감지 결과를 입력받고 상기 냉수설정온도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운전 용량을 제어하는 칠러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 제어부는 상기 냉수설정온도에 따라 상기 송풍팬의 속도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6.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의 혼합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혼합 공기가 냉수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에어 핸들링 유닛과;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가 상기 열교환기와 수배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열교환기로 냉수를 공급하는 칠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에서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칠러로 송출하고 상기 칠러에서 냉수설정온도를 설정하는 냉수설정온도 설정단계와;
    상기 냉수설정온도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냉수설정온도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운전 용량을 조절하는 압축기 운전 용량 조절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설정온도 설정단계는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실내 온도센서가 실내 온도를 감지하고,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공급공기 온도센서가 공급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면,
    상기 실내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실내 온도와, 상기 공급공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공급 공기의 온도에 따라 상기 냉수설정온도를 설정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설정온도 설정단계는 실내 설정온도와 상기 실내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의 차를 상기 공급공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현재의 공급 공기의 온도에 더하여 공급공기 설정온도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공급공기 설정온도와 대응되는 상기 냉수 설정온도를 설정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운전 용량 조절단계의 도중에 상기 냉수 설정온도가 냉수 가변 상한치에 도달되면, 상기 송풍팬의 속도를 감속하는 송풍팬 감속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 감속 단계의 도중에 실내 설정온도가 상기 실내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 이하이면, 상기 송풍팬의 속도를 가속하는 송풍팬 가속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 가속 단계의 도중에 상기 송풍팬의 속도가 송풍팬 최대 속도에 도달되면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에서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칠러로 송출하고 상기 칠러에서 냉수설정온도를 설정하는 냉수설정온도 재설정단계와;
    상기 냉수설정온도 재설정단계에서 설정된 냉수설정온도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운전 용량을 조절하는 압축기 운전 용량 재조절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설정온도 재설정단계는 상기 공급공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현재의 공급공기의 온도에서 실내 설정온도와 상기 실내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실내 온도의 차를 빼서 공급공기 설정온도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공급공기 설정온도와 대응되는 상기 냉수 설정온도를 설정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20090038687A 2009-05-01 2009-05-01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1633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687A KR101633793B1 (ko) 2009-05-01 2009-05-01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PCT/KR2010/002746 WO2010126329A2 (ko) 2009-05-01 2010-04-30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US13/318,456 US9109809B2 (en) 2009-05-01 2010-04-30 Method of conditioning air with a refrigeration loop connected to a water circuit
EP10769974.6A EP2431676B1 (en) 2009-05-01 2010-04-30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687A KR101633793B1 (ko) 2009-05-01 2009-05-01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646A true KR20100119646A (ko) 2010-11-10
KR101633793B1 KR101633793B1 (ko) 2016-06-27

Family

ID=43032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687A KR101633793B1 (ko) 2009-05-01 2009-05-01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09809B2 (ko)
EP (1) EP2431676B1 (ko)
KR (1) KR101633793B1 (ko)
WO (1) WO2010126329A2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469B1 (ko) * 2011-08-18 2013-04-10 이정언 과냉 과제습이 없는 에너지 절약형 공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6006872A1 (en) * 2014-07-08 2016-01-14 Lg Electronics Inc. Chiller
CN106322599A (zh) * 2016-08-30 2017-01-11 哈尔滨研拓科技发展有限公司 冷凝水自处理机柜空调
KR20180035291A (ko) * 2016-09-28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KR20180035290A (ko) * 2016-09-28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CN108386970A (zh) * 2018-01-26 2018-08-10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器控制方法和空调器
CN109059105A (zh) * 2015-07-21 2018-12-21 三星电子株式会社 空调及其控制方法
CN109477653A (zh) * 2016-07-15 2019-03-15 犬魔建物性能私人有限公司 通过改造具有主控制器的建筑物以改善冷却系统运作效率的方法
KR102037815B1 (ko) * 2019-07-31 2019-10-29 한국코로나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190564B1 (ko) * 2020-07-08 2020-12-15 배순석 항온 제습 건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5872B2 (en) * 2011-10-06 2015-11-03 Lennox Industries Inc. ERV global pressure demand control ventilation mode
CN103363618B (zh) * 2012-04-10 2016-03-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多模块空调器及其热回收的控制方法
CN103851713B (zh) * 2012-12-03 2019-08-16 开利公司 空调系统以及对空调系统进行控制的方法
KR102200353B1 (ko) * 2013-12-10 2021-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US11193677B2 (en) 2015-07-21 2021-1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617719B2 (en) 2015-08-18 2017-04-11 Water Generating Systems I, Llc Integrated air conditioning and water-harvesting with demand-dependent cooling-load regulation
CN105241044B (zh) * 2015-11-11 2018-05-15 深圳市博德维环境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气膜建筑的组合式风道以及气膜建筑
CN107575957A (zh) * 2016-07-04 2018-01-12 苏州市远帆电器有限公司 一种智能光感除湿系统及其应用
JP6974553B2 (ja) * 2016-09-06 2021-12-01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給排気経路用空調機及び空調システム
JP6747920B2 (ja) * 2016-09-06 2020-08-26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KR101844581B1 (ko) * 2017-04-26 2018-04-02 (주)문명에이스 열원 일체형 시스템 공기조화장치
CN107461886A (zh) * 2017-07-28 2017-12-12 深圳达实智能股份有限公司 一种医院预冷空调箱冷量输送能效的评估方法及装置
JP7439629B2 (ja) * 2020-04-09 2024-02-2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3458A (en) * 1997-07-29 1999-10-05 Siemens Building Technologies, Inc. Digital controller for a cooling and heating plant having near-optimal global set point control strategy
US6560980B2 (en) * 2000-04-10 2003-05-13 Thermo Kin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vaporator and condenser fans in a refrigeration system
JP3492849B2 (ja) * 1996-05-01 2004-02-03 サンデン株式会社 車両用空気調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8881A (en) * 1981-01-27 1984-03-27 Pendergrass Joseph C Solar assisted heat pump heating system
US4873649A (en) * 1988-06-10 1989-10-10 Honeywell Inc. Method for operating variable speed heat pumps and air conditioners
US5040377A (en) * 1989-11-21 1991-08-20 Johnson Service Company Cooling system with improved fan control and method
US5133193A (en) * 1990-05-21 1992-07-28 Honeywell Inc. Air handling system utilizing direct expansion cooling
US5276630A (en) * 1990-07-23 1994-01-04 American Standard Inc. Self configuring controller
US5579993A (en) * 1995-01-06 1996-12-03 Landis & Gyr Powers, Inc. HVAC distribution system identification
AUPO783697A0 (en) * 1997-07-10 1997-07-31 Shaw, Allan A low energy high performance variable coolant temperature air conditioning system
US6085532A (en) * 1999-02-05 2000-07-11 American Standard Inc. Chiller capacity control with variable chilled water flow compensation
BR0214803A (pt) * 2001-11-30 2004-09-14 Nat University Singapore Sistema de volume de ar variável (vav) de alto rendimento com controle de ventilação zonal
JP2004309027A (ja) * 2003-04-08 2004-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ヒートポンプ装置の制御方法
KR100903148B1 (ko) * 2003-06-27 2009-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실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25567B1 (ko) * 2004-11-11 2006-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06194478A (ja) * 2005-01-12 2006-07-27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氷蓄熱式空気調和装置
US7370490B2 (en) * 2005-06-30 2008-05-13 Zhiming Li Air-conditioning system with full heat recovery
US7340912B1 (en) * 2005-10-06 2008-03-11 Yoho Sr Robert W High efficiency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8316926B2 (en) * 2005-10-31 2012-11-27 General Cybernation Group Inc. Arrangement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ed time constant for a control device
JP2007139241A (ja) * 2005-11-16 2007-06-07 Hitachi Ltd 空気調和装置
KR101340725B1 (ko) * 2006-10-17 201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냉식 공기조화기
US7890215B2 (en) * 2006-12-22 2011-02-15 Duncan Scot M Optimized control system for cooling systems
US8161760B2 (en) * 2006-12-28 2012-04-24 Whirlpool Corporation Utilities grid for distributed refrigeration system
US7827813B2 (en) * 2007-01-30 2010-11-0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daptive real-time optimization control
MY164381A (en) * 2007-05-03 2017-12-15 Enercov (Singapore) Pte Ltd Condensation type dehumidifier
SG148084A1 (en) * 2007-05-08 2008-12-31 Arda Rahardja Lukitobudi Energy saving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tmospheric dehumidifier chiller for drinking purposes
KR100876185B1 (ko) * 2008-05-02 2008-12-31 주식회사 에이알 에너지 절약형 항온항습기와 그의 현열 냉각방법 및 냉각제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2849B2 (ja) * 1996-05-01 2004-02-03 サンデン株式会社 車両用空気調和装置
US5963458A (en) * 1997-07-29 1999-10-05 Siemens Building Technologies, Inc. Digital controller for a cooling and heating plant having near-optimal global set point control strategy
US6560980B2 (en) * 2000-04-10 2003-05-13 Thermo Kin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vaporator and condenser fans in a refrigeration system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469B1 (ko) * 2011-08-18 2013-04-10 이정언 과냉 과제습이 없는 에너지 절약형 공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6006872A1 (en) * 2014-07-08 2016-01-14 Lg Electronics Inc. Chiller
CN109059105A (zh) * 2015-07-21 2018-12-21 三星电子株式会社 空调及其控制方法
CN109477653A (zh) * 2016-07-15 2019-03-15 犬魔建物性能私人有限公司 通过改造具有主控制器的建筑物以改善冷却系统运作效率的方法
CN106322599A (zh) * 2016-08-30 2017-01-11 哈尔滨研拓科技发展有限公司 冷凝水自处理机柜空调
KR20180035291A (ko) * 2016-09-28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KR20180035290A (ko) * 2016-09-28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CN108386970A (zh) * 2018-01-26 2018-08-10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器控制方法和空调器
KR102037815B1 (ko) * 2019-07-31 2019-10-29 한국코로나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190564B1 (ko) * 2020-07-08 2020-12-15 배순석 항온 제습 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09809B2 (en) 2015-08-18
WO2010126329A3 (ko) 2011-01-27
EP2431676B1 (en) 2021-06-23
US20120131933A1 (en) 2012-05-31
EP2431676A2 (en) 2012-03-21
WO2010126329A2 (ko) 2010-11-04
KR101633793B1 (ko) 2016-06-27
EP2431676A4 (en)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793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100121961A (ko) 공기조화기
JP5996107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5984964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EP2453186B1 (en) Air conditioner
KR101596671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CN109642747B (zh) 空气调节装置
JP6860106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20019279A (ko) 칠러를 위한 디멘드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28955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1153421B1 (ko)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KR10130323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6745895B2 (ja) 空調システム
CN219913230U (zh) 室内机和空调器
KR20110004147A (ko) 공기조화기
EP4390260A1 (en) Air conditioning device
KR10196518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H0960953A (ja) 空気調和機
KR10159667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JP2007192436A (ja) 空気調和機
KR10130323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9051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WO2016178290A1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2002323233A (ja) 床置形ヒートポンプ式空調機
KR20100122162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