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9417A - 중수소 램프 하우징 - Google Patents

중수소 램프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9417A
KR20100119417A KR1020090038523A KR20090038523A KR20100119417A KR 20100119417 A KR20100119417 A KR 20100119417A KR 1020090038523 A KR1020090038523 A KR 1020090038523A KR 20090038523 A KR20090038523 A KR 20090038523A KR 20100119417 A KR20100119417 A KR 20100119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amp
deuterium lamp
deuterium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6078B1 (ko
Inventor
김용선
김영남
윤정엽
박경훈
홍정호
Original Assignee
(주)리트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트젠 filed Critical (주)리트젠
Priority to KR1020090038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078B1/ko
Publication of KR20100119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68Lamps in which the main discharge is between parts of a current-carrying guide, e.g. halo 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중수소 램프 하우징은, 방열성 및 밀봉성이 뛰어나며, 원통 형상의 석영관램프를 정중앙에 정렬시키기에 유리하며, 하우징 뚜껑에 초점렌즈를 설치하기 용이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원통형 모양의 석영관(1) 내부에 발광부(2)를 구비하며, 석영관(1) 내부는 중수소 가스로 밀봉되어 있는 중수소 램프의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중수소 램프가 내장되는 램프 저장부(26)를 갖는 하우징 본체(21)와, 상기 하우징 본체(21)의 램프 저장부(26)를 밀봉하는 하우징 뚜껑(27)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뚜껑이 맞닿는 부분에 기다란 폐곡선상의 요홈으로 고무패킹부(23)를 형성하고, 상기 고무패킹부(23)의 요홈의 깊이보다 약간 더 큰 높이를 갖는 패킹고리를 상기 고무패킹부(23)에 삽입한 후, 상기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뚜껑을 체결 수단으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수소 램프, 하우징, 핀치부, 평판형.

Description

중수소 램프 하우징{Deuterium lamp housing}
본 발명은 중수소 램프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열성 및 밀폐성이 뛰어나며 초점렌즈의 교체가 용이한 중수소 램프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수소 램프란, 분자흡수 또는 빛의 산란으로 발생되는 바탕효과를 교정하고 측정하는 광원으로서, 대략 190nm에서 425nm 까지 강한 연속 스펙트럼을 발산하는 전하를 띠지 않는 방전램프이다. 이것은 대부부의 원자흡광이 일어나는 곳과 바탕 흡수효과가 일어나는 곳을 보완한다. 중수소 기체(D2)는 선스펙트럼보다 연속스펙트럼이 오히려 잘 발생되기 때문에 분광광도계 등 분석기기의 광원으로 사용된다.
중수소 램프는 가열된 전자를 방출하는 음극(필라멘트, Cathode), 금속 양극(Anode) 둘 사이에 있는 아크 구멍(Arc Aperture)으로 구성된다. 수백 mA의 방전전류는 D2 기체를 여기시킨다. 방전은 작은 아크 구멍을 통해 통과하고 높은 들뜬 상태의 제한된 지역을 형성하고 파장이 높은 빛이 방출된다.
한편, 중수소 램프 내부는 1/100기압 정도의 저압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며, 외부의 온도 변화의 영향에 민감한 특성을 갖고 있다. 즉 지나친 냉각이나 과열로 인하여 중수소 램프의 안정한 출력특성을 얻기 어렵고 램프 수명도 단축될 수 있다. 즉, 실내외에서 사용될 때 날씨의 변화 등의 주위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서는 램프 하우징을 이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중수소 램프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중수소 램프의 발광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글래스제의 원통형 석영관(101)의 내부에는, 발광부(102)가 수용되어 있는 동시에, 중수소 가스(도시하지 않음)가 수 Torr 정도 밀봉되어 있다. 또한, 용기(101)의 밑바닥부에는, 글래스제의 스템이 형성됨과 동시에, 리드선(104)이 외부로 통해 있다. 석영관(101)은, 양호한 자외선 투과율을 갖는 자외선 투과 글래스나 석영 글래스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템에는, 4개의 리드선(104)이 일직선 형으로 병렬 고정되고, 각 리드선(104)은, 스템을 관통함과 동시에, 각각 절연재에 의해 피복되어 리드선으로서 도출되어, 외부 전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또한, 발광부(102)는, 전부에 배치한 금속제(Ni나 SUS) 또는 세라믹제의 전면 외부판(111)과, 후부에 배치되는 원통형의 중간판(112)과, 전면판 내의 일측에 위치하되 후면판 외측에 위치하는 측면판(116)을 포함한다. 아울러,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드선(104)의 선단에는 금속제의 양극(106)이, 양극지지대(108)에 지지되면서, 리드선(104)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관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아크구멍(107)이 형성되고, 중간판(112)에도 이것과 동심적인 광 투과 구멍(112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아크구멍(107) 및 광 투과 구멍에 의해서, 발광된 광을 외부로 투사시킬 수 있다.
또한, 양극 지지대(108)에는 양극(106)의 배면이 접촉 지지되고, 양극 지지대(108)는, 전기절연성과 높은 열전도성을 갖는 세라믹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양극 지지대(108)는, 고온이 된 양극(106)에 대하여 히트 싱크로서 작용하여, 발광부(102)에 축적되는 열을 외부로 효율이 양호하게 발산시킬 수 있다.
전면 외부판(111)은,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으로 전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전면 외부판(111)의 중앙에는, 아크구멍(107) 및 광 투과 구멍(112a)과 대치 관계에 있는 자외선 투광용의 개구 창문(111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아크구멍(107) 및 광 투과 구멍(112a)과 개구 창문(111a)을 일렬로 정렬함으로써, 발광부(102)에서 투사되는 광을 개구 창문으로 출사하도록 하고 있다. 전면 외부판(111)으로 형성되는 공간 내에는, 열전자를 발생시키기 위한 나선형 필라멘트의 음극(105)이 배치되고, 상기 음극(105)은, 광로에서 벗어난 위치, 즉 전면 외부판(111) 내의 측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음극(105)은 음극지지대(115)에 의해 지지되며, 음극지지대(115)는 절연튜브(110)로 절연되어 진다. 원통형의 중간판(112)의 상하부는 상판(113) 및 하판(114)로 밀봉되어 진다.
이상의 중수소 램프의 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방전전의 20초 정도 동안에 외부 전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10W 전후의 전력을 음극(105)에 공급하여, 음극(105)을 예열한다. 그 후, 음극(105)과 양극(106)과의 사이에 150V 정도의 직류 개방 전압을 인가하여, 아크 방전의 준비를 갖춘다.
그 준비 후, 음극(105)과 양극(106)과의 사이에 350 내지 500V의 트리거 전압을 인가한다. 이때, 음극(105)으로부터 방출된 열전자는, 측면판(116)의 슬릿(116a)을 통과하여, 양극(106)에 달한다. 그리고, 아크구멍(107)의 전방에 아크 방전이 발생하고, 상기 아크 방전에 의한 아크볼로부터 취출되는 자외선이, 개구 창문(111a)을 통과한 후, 글래스제의 석영관(101)의 주위면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양극(106) 및 중간판(112)은, 수백 ℃를 넘는 고온으로 되고, 상기 열은,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는 양극 지지대(108) 등에 의해서 외부로 적절하게 계속해서 방출된다.
이들 중수소 램프는 광학적 측정 분석기기의 기준 광원으로 주로 활용되는 바, 광학적 측정 분석기는 간섭가스와 광원의 시간적 변동에 따라 결과값의 신뢰도가 좌우되는데, 이 방식의 경우 UV (200~400nm) 대역의 가스별 흡수차를 분리함에 있어, 통계적 수학이론을 응용함으로써 해결하고 있다.
아울러, 중수소 램프의 UV 광특성은 주위온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켜야 하는 관계로, 별도의 램프 하우징 안에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중수소 램프의 표면온도는 수백도씨에 달하기 때문에 하우징에 대해 특별한 방열대책이 요구되며, 옥외에서도 사용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밀봉대택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제l 목적은, 이상의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방열성 및 밀봉성이 뛰어난 중수소 램프 하우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원통 형상의 석영관램프를 정중앙에 정렬시키기에 유리하며, 하우징 뚜껑에 초점렌즈를 설치하기 용이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상술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중수소 램프 하우징은, 원통형 모양의 석영관(1) 내부에 발광부(2)를 구비하며, 석영관(1) 내부는 중수소 가스로 밀봉되어 있는 중수소 램프의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중수소 램프가 내장되는 램프 저장부(26)를 갖는 하우징 본체(21)와, 상기 하우징 본체(21)의 램프 저장부(26)를 밀봉하는 하우징 뚜껑(27)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뚜껑이 맞닿는 부분에 기다란 폐곡선상의 요홈으로 고무패킹부(23)를 형성하고, 상기 고무패킹부(23)의 요홈의 깊이보다 약간 더 큰 높이를 갖는 패킹고리를 상기 고무패킹부(23)에 삽입한 후, 상기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뚜껑을 체결 수단으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본체(21)에는, 통공 형태의 하나 이상의 리드선 연결부(25)가 형성되며, 사용되지 않는 통공은 리드선 연결부 마개(25)로 밀봉하고, 리드선이 나가는 통공 부분에는 리드선 개수만큼의 소직경의 홈이 있는 고무 패킹디스크(34)로 밀봉하고, 상기 고무 패킹디스크(34)는 패킹 고정구(35)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본체(21)의 적어도 일면에, 여러 개의 날개모양의 방열핀을 갖는 방열부(2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열부(22)의 방열핀의 날개 방향은 외부 공기의 흐름과 같은 방향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는 중수소 램프 하우징은, 원통형 모양의 석영관(1) 내부에 발광부(2)를 구비하며, 석영관(1) 내부는 중수소 가스로 밀봉되어 있는 중수소 램프의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중수소 램프가 내장되는 램프 저장부(26)를 갖는 하우징 본체(21)와, 상기 하우징 본체(21)의 램프 저장부(26)를 밀봉하는 하우징 뚜껑(27)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 뚜껑(27) 내부에는 뚜껑(27)과 일체로 램프지지부(28)를 고정형성하는 바, 폭이 넓은 링 형상의 램프지지부(28) 내측에 원통형태의 석영관의 스탬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램프지지부(28)에 의해 원통형태의 석영관을 하우징의 정중앙에 정렬시키기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뚜껑(27)에는, 집광렌즈부(29)가 형성되는 바, 통공을 갖는 플랜지 형상의 집광렌즈부(29)의 내부 통공에 중수소램프의 UV 광출력 및 강도(intensity)를 높이기 위한 초점렌즈(30)가 설치되며, 상기 촛점렌즈는 렌즈 홀더(31)에 의해 집광렌즈부(29)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부(2)는, 방전을 하는 음극(5)과 양극(6), 중간판(12)과 양극을 지지하는 후면판(9) 및 광이 출사되어지는 전면판(11)과 아크구멍(7)을 포함하되, 상기 후면판(9)은 "ㄷ"자형의 평판형이고, 상기 후면판과 폐공간을 형성하는 중간판(12)도 평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부(2)는, 방전을 하는 음극(5)과 양극(6), 중간판(12)과 양극을 지지하는 후면판(9) 및 광이 출사되어지는 전면판(11)과 아크구멍(7)을 포함하며, 상기 리드선(4)을 감싸는 핀치부(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중수소 램프 하우징에 의하면, 방열성 및 밀봉성이 뛰어나고, 석영관램프를 정중앙에 정렬시키기에 유리하며, 하우징 뚜껑에 초점렌즈를 설치하기 용이한 구조를 제공한다는 여러가지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중수소 램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중수소 램프의 전체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중수소 램프의 발광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중수소 램프의 발광부의 부분 조립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중수소 램프의 발광부의 평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통형 모양의 석영관(1) 내부에 발광부(2), 핀치부(3) 및 리드선(4)이 구비되며, 석영관(1) 내부는 수 torr 정도의 중수소 가스로 밀봉되어 있다. 발광부(2)의 전면에는 아크구멍(7)이 위치한다 (도 1의 (b) 참조)
석영관의 재질에 따라 발산되는 자외선 강도(Intensity) 및 광량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고순도 석영재질(붕규산염)의 UV 글래스를 많이 사용하며, 합성실리카(Synthetic silica) 또는 플루오르화마그네슘(MgF2) 재질의 글래스를 이용하기도 한다. 또한, 석영관의 두께에 따라 투과율이 좌우되기 때문에 보통 1mm 이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발광부(2)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극(필라멘트, Cathode)(5), 양극(Anode)(6), 아크구멍(7), 중간판(12), 후면판(양극지지부)(9), 전면판(11) 등으로 구성된다.
양극(6)은 후면의 양극지지부에 해당하는 후면판(9)의 양극지지대(8)에 접촉 되어 지지되고 있고, 후면판(9)은 "ㄷ"자형의 전기절연성과 열전도성이 우수한 소재 즉, 세라믹, 니켈, 몰리브덴 등으로 이루어지며, 전자가 방출할 때 램프 내부에는 수백 도씨의 매우 높은 온도가 발생하므로 양극에 대한 방열판 역할을 수행하여 광출력을 안정화시키며 또한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또한 후면판은 방전전압을 제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양극 지지대(8)는 수백 도씨를 넘는 고온이므로 몰리브덴, 코바(KOVAR) 재질 사용한다. 또한 인접한 다른 리드와 절연을 유지하기 위해 세라믹 관 또는 석영관을 양극 지지대에 삽입시켰다.
본 발명과 관련된 중수소 램프에서는 세라믹 관보다는 석영관을 이용하였다. 왜냐하면, 가격적으로 석영관이 유리하며, 특히 수분함량이 1ppm 이하로 적으며 순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고순도 석영관을 이용하였다. 그래서 램프 내부 불순물이 줄어들어 양질의 UV 빛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 음극(5)(필라멘트, Cathode)은, 열전자 방출을 하는 부분으로서 UV 광을 발산하는 원천인 부문이다. 나선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륨, 스트론튬, 산화칼슘으로 코팅된 텅스텐 재질로 되어있다. 필라멘트 전압은 보통 2~ 12V 정도로 이루어진다. 음극지지대 재질은 견고하고 온도 특성이 우수한 몰리브덴 재질을 사용하였다.
다음, 아크구멍(7)(Arc Aperture)은, 오목한(옴폭 들어간, dimple) 형태로 되어있으며, 아크 구멍을 통해 UV 광이 나오게 된다. 아크구멍의 지름에 따라서 UV 강도(Intensity)가 달라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중수소 램프에서는 0.5mm ~ 1.0mm 정도의 지름일 때 가장 효율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높은 UV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반드시 양극(Anode) 전면에 위치해야 한다. 아크구멍의 재질은 온도특성이 우수한 몰리브덴 재질로 사용해야 한다.
아울러, 중간판(12), 전면판(11), 후면판(9), 측면판(16)에 대해 설명하면, 음극(5) 및 발광부(2)의 원활한 조립 작업을 위해 필요하다. 특히 중간판(12)의 경우는 음극지지대(15)와 핀치부(3)의 결합을 용이하기 위해 유용하다. 또한 전면판(11)과 후면판(9)은 펼친 상태에서는 사각형태이고, 조립시에는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재료 가공이 쉬우며, 또한 양 판이 만나서 결합되는 부위인 플랜지부는 평면이기 때문에, 발광부(2) 조립 작업이 수월한 효과를 가져온다. 고순도 니켈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판(16)은 중간판(12)과 수직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음극(필라멘트)으로부터 방출된 열전자가, 중간판(12)의 광 투과 구멍(12a) 및 측면판(16)의 슬릿(16a)을 통해 정류되고 최종적으로 아크구멍(7)을 통해, 전면판(11)의 개구창문(11a)을 통해 UV 빛을 발산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된 중수소 램프에서는, 핀치부(3)가 구비되는 바, 종래의 기술의 경우는 핀치방식을 채택하지 않고 각 리드를 고정시키는 몰드 방식을 사용했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에 정렬이 되지 않아 아크구멍을 통해 UV 빛이 정확하게 발산되지 않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중수소 램프에서는, 핀치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각 리드 정렬을 정확히 할 수 있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이다. 각 리드선의 경우도 견고하고 온도특성이 우수한 몰리브덴 또는 코바 재질을 사용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중수소 램프에서는 가격적인 면을 고려해서 몰리브덴 재질을 적용하였다.
미설명 부재번호 10, 13 및 14 는 각각, 절연튜브, 후면판의 상판 및 하판을 나타낸다.
후면판의 상하 플랜지부(9a)로 인하여 상판(13) 및 하판(14)의 조립도 용이하다.
아울러, 본 발명과 관련된 중수소 램프에서의 후면판(9)과 전면판(11)은 용접되어지는 부위에 모두 평판형태의 플랜지부(9b, 11b)를 구비하며, 더욱이 후면판(9)의 상하판(13, 14)과의 용접부위에도 평판의 플랜지부(9a)를 구비한다.
이하, 이상의 본 발명과 관련된 중수소 램프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극(5)과 양극(6) 사이에 수백 볼트(대략 300~ 600V)의 이그니션 전압을 인가하면 아크 방전을 일으켜 음극(5)으로부터 열전자가 방출하며, 수백 mA의 방전 전류는 중수소 기체를 여기시켜 아크 구멍(7)을 통하여 UV 빛을 발산함으로써 점등이 된다. 이 자외선은 원통형 모양의 석영관(1)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방전을 일으킨 후 약 10~15분 정도 경과되어야 램프 내부는 열적 평형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그러므로 적어도 20~30분 정도의 예열시간이 요구된다. 또한 램프 광출력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전력 방식의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가 필요하며, 무엇보다도 음극과 양극의 역할이 중 요하다.
아울러, 본 발명과 관련된 중수소 램프의 조립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중간판(12)이 원통형이 아니고 평판(plate)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며 재료비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중간판(12)으로 이루어지는 공간 내부에 음극(5)이 놓이게 되는 데, 음극을 중앙에 정렬시키기 용이하며, 또한 음극 및 음극지지대가 중간판(12) 표면과 접촉할 우려가 없어 전기적으로 단락(short)이 발생할 염려도 없고, 후면판의 상하 플랜지부(9a)로 인하여 상판(13) 및 하판(14)의 조립도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중수소 램프에서는, 여러 개의 리드선(4)을 동시에 핀치하는 핀치부(4)를 갖기 때문에, 몰딩작업이 필요없고, 각 리드선(4)의 정확한 위치 정열이 용이하며, 따라서 제대로 된 UV 광출력이 나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과 관련된 중수소 램프의 경우, 외부의 전면판(11)과 후면판(9)을 'ㄷ'자 형태로 함으로써 작업성이 용이하며 정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후면판(9)과 전면판(11)을 부착하기 위해 용접하는데 전후면판의 플랜지부(9b, 11b)가 모두 평판형태이므로 용접 작업이 수월하다.
이제, 본 발명에 관한 중수소 램프 하우징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중수소 램프 하우징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중수소 램프 하우징의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램프 하우징은, 램프 저장부(26)를 갖는 하우징 본체(21)와 하우징 뚜껑(27)으로 분리되는 바, 먼저 본 발명의 램프 하우징은 옥외에서도 사용가능하도록 밀봉성을 높이기 위해, 하우징 본체와 하우징 뚜껑이 맞닿는 부분에 기다란 폐곡선상의 요홈으로 고무패킹부(23)를 형성하고, 상기 고무패킹부의 요홈의 깊이보다 약간 더 큰 높이를 갖는 고무 패킹고리(미도시됨)를 상기 고무패킹부(23)에 삽입한 후, 볼트(32)와 너트(33)로 체결을 행하게 된다.
아울러, 2 이상의 리드선 연결부(25)의 통공 중에서, 사용되지 않는 통공은 리드선 연결부 마개(25)로 밀봉하고, 리드선이 나가는 통공 부분에는 리드선 개수만큼의 소직경의 홈이 있는 고무 패킹디스크(34)를 사용하여 밀봉하되, 상기 고무 패킹디스크(34)는 다시 패킹 고정구(35)를 사용하여 리드선 연결부에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이와같이 완전 밀봉을 하는데서 오는 방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방열부(22)를 여러 개의 날개모양으로 구성하였다. 즉 날개 모양으로 함으로써 표면적이 넓게 되어 방열 면적이 그 만큼 증가하게 되도록 한다. 더우기 바람직하기로는, 방열부 날개 방향은 외부 공기의 흐름과 같은 방향이 되도록 (즉, 상하방향으로) 설계하여 방열효과를 극대화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의 램프 하우징의 하우징 뚜껑(27) 내부에는 뚜껑(27)과 일체로 램프지지부(28)를 고정형성하는 바, 폭이 넓은 링 형상의 램프지지부(28) 내측에 원통형태의 석영관의 스탬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램프지지부(28)에 의해, 원통형태의 석영관을 하우징의 정중앙에 정렬시키기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진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하우징의 뚜껑(27)에는, 집광렌즈부(29)가 형성되는 바, 원형의 통공을 갖는 플랜지 형상의 집광렌즈부(29)의 내부 통공에는 중수소램프의 UV 광출력 및 강도(intensity)를 높이기 위한 초점렌즈(30)가 설치되며, 상기 촛점렌즈는 렌즈 홀더(31)에 의해 집광렌즈부(29)에 체결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집광렌즈부를 형성함으로써, UV 광출력 및 강도를 높이고 초점렌즈 오염시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중수소 램프의 전체 사시도 및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중수소 램프의 발광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중수소 램프의 발광부의 부분 조립사시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중수소 램프의 발광부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중수소 램프 하우징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중수소 램프 하우징의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중수소 램프의 전체 사시도.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중수소 램프의 발광부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석영관 2 : 발광부
3 : 핀치부 4 : 리드선
5 : 음극 필라멘트 6 : 양극
7 : 아크구멍 8 : 양극지지대
9 : 후면판 10: 절연튜브
11: 전면판 12: 중간판
13: 상판 14: 하판
15: 음극지지대 16: 측면판
9a,9b: 후면판 플랜지부 11a: 개구창문
11b: 플랜지부 12a: 광 투과 구멍
16a: 슬릿
21: 하우징 본체 22: 방열부
23: 고무패킹부 24: 리드선연결부
25: 리드선연결부 마개 26: 램프 저장부
27: 하우징 뚜껑 28: 램프지지부
29: 집광렌즈부 30: 렌즈
31: 렌즈홀더 32: 볼트
33: 너트 34: 패킹디스크
35: 패킹고정구

Claims (8)

  1. 원통형 모양의 석영관(1) 내부에 발광부(2)를 구비하며, 석영관(1) 내부는 중수소 가스로 밀봉되어 있는 중수소 램프의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중수소 램프가 내장되는 램프 저장부(26)를 갖는 하우징 본체(21)와,
    상기 하우징 본체(21)의 램프 저장부(26)를 밀봉하는 하우징 뚜껑(27)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뚜껑이 맞닿는 부분에 기다란 폐곡선상의 요홈으로 고무패킹부(23)를 형성하고,
    상기 고무패킹부(23)의 요홈의 깊이보다 약간 더 큰 높이를 갖는 패킹고리를 상기 고무패킹부(23)에 삽입한 후,
    상기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뚜껑을 체결 수단으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수소 램프 하우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21)에는, 통공 형태의 하나 이상의 리드선 연결부(25)가 형성되며, 사용되지 않는 통공은 리드선 연결부 마개(25)로 밀봉하고, 리드선이 나가는 통공 부분에는 리드선 개수만큼의 소직경의 홈이 있는 고무 패킹디스크(34)로 밀봉하고, 상기 고무 패킹디스크(34)는 패킹 고정구(35)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수소 램프 하우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21)의 적어도 일면에, 여러 개의 날개모양의 방열핀을 갖는 방열부(2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수소 램프 하우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22)의 방열핀의 날개 방향은 외부 공기의 흐름과 같은 방향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수소 램프 하우징.
  5. 원통형 모양의 석영관(1) 내부에 발광부(2)를 구비하며, 석영관(1) 내부는 중수소 가스로 밀봉되어 있는 중수소 램프의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중수소 램프가 내장되는 램프 저장부(26)를 갖는 하우징 본체(21)와,
    상기 하우징 본체(21)의 램프 저장부(26)를 밀봉하는 하우징 뚜껑(27)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 뚜껑(27) 내부에는 뚜껑(27)과 일체로 램프지지부(28)를 고정형성하는 바, 폭이 넓은 링 형상의 램프지지부(28) 내측에 원통형태의 석영관의 스탬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램프지지부(28)에 의해 원통형태의 석영관을 하우징의 정중앙에 정렬시키기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수소 램프 하우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뚜껑(27)에는, 집광렌즈부(29)가 형성되는 바, 통공을 갖는 플랜지 형상의 집광렌즈부(29)의 내부 통공에 중수소램프의 UV 광출력 및 강도(intensity)를 높이기 위한 초점렌즈(30)가 설치되며, 상기 촛점렌즈는 렌즈 홀더(31)에 의해 집광렌즈부(29)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수소 램프 하우징.
  7.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2)는,
    방전을 하는 음극(5)과 양극(6), 중간판(12)과 양극을 지지하는 후면판(9) 및 광이 출사되어지는 전면판(11)과 아크구멍(7)을 포함하되,
    상기 후면판(9)은 "ㄷ"자형의 평판형이고,
    상기 후면판과 폐공간을 형성하는 중간판(12)도 평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수소 램프 하우징.
  8.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2)는, 방전을 하는 음극(5)과 양극(6), 중간판(12)과 양극을 지지하는 후면판(9) 및 광이 출사되어지는 전면판(11)과 아크구멍(7)을 포함하며,
    상기 리드선(4)을 감싸는 핀치부(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수소 램프 하우징.
KR1020090038523A 2009-04-30 2009-04-30 중수소 램프 하우징 KR101066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523A KR101066078B1 (ko) 2009-04-30 2009-04-30 중수소 램프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523A KR101066078B1 (ko) 2009-04-30 2009-04-30 중수소 램프 하우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809A Division KR101066079B1 (ko) 2011-02-14 2011-02-14 중수소 램프 하우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417A true KR20100119417A (ko) 2010-11-09
KR101066078B1 KR101066078B1 (ko) 2011-09-20

Family

ID=43405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523A KR101066078B1 (ko) 2009-04-30 2009-04-30 중수소 램프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607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3659A (ja) * 1995-02-28 1996-09-13 Shimadzu Corp 分光光度計
JP4326631B2 (ja) * 1999-07-16 2009-09-09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重水素ランプボックス及びポータブル型光源装置
JP4932185B2 (ja) * 2005-06-30 2012-05-16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ガス放電管、光源装置及び液体クロマトグラ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6078B1 (ko) 2011-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5134B2 (en) Light source
US5552669A (en) Deuterium gas discharge tube
WO2006087975A1 (ja) 光源装置
CA2542554A1 (en) Reflector high-pressure discharge lamp
JPH08222185A (ja) ガス放電管
US6637913B2 (en) Portable light source apparatus
US4611143A (en) Composite light source
JP4126527B2 (ja) 電球形蛍光ランプ
JP2000315417A (ja) ポータブル型光源装置
KR101066078B1 (ko) 중수소 램프 하우징
US20100232163A1 (en) Lighting device with reflector and metal housing
KR101066079B1 (ko) 중수소 램프 하우징
WO2006087976A1 (ja) 光源装置
US20060244359A1 (en) Compact-type discharge lamp
US6644835B2 (en) Portable light source apparatus
JP2000315419A (ja) ポータブル型光源装置
KR20100119413A (ko) 중수소 램프
JP2010097699A (ja) ショートアークランプ
JP2006269093A (ja) 蛍光ランプ装置及び照明器具
JP2006024544A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KR200473682Y1 (ko) 안정기가 내장된 반사형 통합 평판 램프
JP6753140B2 (ja) 放電ランプ装置
US8390197B1 (en) Long arc column gas discharge tube
JP2006080015A (ja) 蛍光ランプ装置及び照明器具
US20110304255A1 (en) Extended-life Lamp With Integral Coo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