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9022A - 비상조명등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비상조명등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9022A
KR20100119022A KR1020090037921A KR20090037921A KR20100119022A KR 20100119022 A KR20100119022 A KR 20100119022A KR 1020090037921 A KR1020090037921 A KR 1020090037921A KR 20090037921 A KR20090037921 A KR 20090037921A KR 20100119022 A KR20100119022 A KR 20100119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emergency
commercial power
supply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0202B1 (ko
Inventor
염승엽
Original Assignee
(주)이피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피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이피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090037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202B1/ko
Publication of KR20100119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22Emergency ligh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조명등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용전원 이외의 비상전원을 이중화 전원시스템으로 공급하여 비상조명등을 안전하고 신속 정확하게 제어하는 회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조명등 제어회로는,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상용전원공급부; 상기 상용전원공급부의 이상발생시 비상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상용전원공급부의 이상발생시 비상주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주전원공급부와, 상기 상용전원공급부 및 상기 비상주전원공급부의 이상발생시 비상예비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예비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비상전원공급부; 상기 상용전원공급부의 이상발생시 상기 상용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비상전원공급부로의 절체 및 상기 비상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상용전원공급부로의 역절체 동작을 수행하는 자동절체부; 및 비상조명등을 구비하고 상기 자동절체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부하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90037921
비상, 조명, 제어, 회로, 상용, 전원

Description

비상조명등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AN EMERGENCY LAMP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비상조명등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용전원 이외의 비상전원을 이중화 전원시스템으로 공급하여 비상조명등을 안전하고 신속 정확하게 제어하는 회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변전소는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의 수송손실을 줄이거나 전기철도용 직류를 얻기 위해서, 또는 여러 가지 목적에 따라 전압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해서 설치된 구조물이다. 대개 발전소 근처에 송전을 위해 전압을 높이는 변전소가 설치되어 15만V 이상으로 전압을 높여 도시 근처의 1차 변전소로 보내고 이곳에서 수만V로 전압을 낮춰 시가지 내의 2차 변전소에 보내며, 여기서 다시 수천V로 낮춰서 고압 배전선에 연결하거나 수요가 큰 곳에 배전을 한다. 전기철도용 변전소는 수만V의 교류전력을 받아서 이를 변압기로 천 수백V의 교류전압으로 바꾼 후 정류기로 1,500V 정도의 직류로 만들어 전차선에 보낸다.
이러한 변전소에는 정전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신속하고 정확히 대응할 수 있는 비상수단이 반드시 구비되어야만 한다. 특히 비상조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반이 구비되어야만 한다.
비상조명등에 대한 기존의 제어방식을 보면, 각 비상조명등마다 인버터를 구비하여, 상용전원(AC) 또는 비상전원(DC) 중 어느 전원이 투입되어도 비상조명등이 구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방식이 가장 보편적이며, 공개특허 제2003-46366호 등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개별 인버터를 구비해야만 하는 관계로 비상조명등의 단가가 상승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용전원 정전시 비상전원을 이중으로 공급하는 비상조명등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을 그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절체시키되 각 전원부간에 상호 간섭을 줄이는 비상조명등 제어 회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의 동작상태를 디지털화하여 나타내는 비상조명등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조명등 제어회로는,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상용전원공급부; 상기 상용전원공급부의 이상발생시 비상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상용전원공급부의 이상발생시 비상주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주전원공급부와, 상기 상용전원공급부 및 상기 비상주전원공급부의 이상발생시 비상예비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예비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비상전원공급부; 상기 상용전원공급부의 이상발생시 상기 상용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비상전원공급부로의 절체 및 상기 비상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상용전원공급부로의 역절체 동작을 수행하는 자동절체부; 및 비상조명등을 구비하고 상기 자동절체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부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상주전원공급부는, 상기 상용전원공급부로부터 검출되 는 상용전원 전압신호 및/혹은 상용전원 전류신호를 이용하여 상용전원 이상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비상주전원공급부 내 주 인버터의 입력전압신호, 상기 주 인버터의 출력전압신호, 출력전류신호 및 출력주파수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주 인버터의 입력전압신호, 출력전압신호, 출력전류신호, 출력주파수신호, 및 이들 가운데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합 중 어느 하나가 소정의 설정치를 벗어나면 실패 신호를 출력하는 마스터 제어보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상예비전원공급부는, 상기 상용전원 전압신호 및 상용전원 전류신호, 그리고, 상기 마스터 제어보드로부터 출력되는 실패 신호를 이용하여 보조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슬레이브 제어보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동절체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고, 소내 배전반의 출입 정보 신호를 감지하며 출입자의 입실시 동작(ON)되고 퇴실시 정지(OFF)되도록 하는 전자접촉기를 구비하여 상기 부하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범경보수신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용전원공급부의 전압 및 전류를 감지하며 상기 비상주전원공급부의 전압, 전류 및 주파수를 감지하여, 전원공급의 이상발생을 판단하는 마스터 제어보드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용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원의 정전을 검출하여 상기 마스터 제어보드로 정전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상용전원정전검출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상예비전원공급부의 전압, 전류 및 주파수를 감지하 여, 전원공급의 이상발생을 판단하는 슬레이브 제어보드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스터 제어보드, 슬레이브 제어보드, 자동절체부 및 상용전원정전검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감지되는 스위치위치 또는 전원공급상태정보를 디지털입력 포인트에 수용하여 실시간으로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상주전원공급부는 상기 마스터 제어보드의 주 제어신호 및 마스터 구동회로의 주 인버터 구동신호를 통해 직류를 교류로 변환시키는 주 인버터와, 상기 주 인버터로부터의 교류에 대해 전압 및 파형을 각각 조정하는 제1변압기와 제1필터; 및 상기 비상예비전원공급부는 상기 슬레이브 제어보드의 보조 제어신호 및 슬레이브 구동회로의 예비 인버터 구동신호를 통해 직류를 교류로 변환시키는 예비 인버터와, 상기 예비 인버터로부터의 교류에 대해 전압 및 파형을 각각 조정하는 제2변압기와 제2필터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조명등 제어방법은, 상용전원에 의한 정상운전시, 상용전원공급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제1단계; 상기 상용전원공급부의 이상발생시 또는 상용전원의 정전검출시 자동절체부 스위치를 비상전원공급부로 절체시켜 비상주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2단계; 상기 비상주전원공급부의 이상발생시 전자접촉기 스위치를 전환하여 비상예비전원공급부로 전원을 공급받는 제3단계; 및 상기 제2단계 또는 제3단계 이후, 상기 상용전원공급부에 상용전원이 정상공급되면 상기 자동절체부 스위치를 상기 상용전원공급부로 역절체시켜 상기 상용전원공급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용전원의 정전시 이중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용전원의 이상발생유무에 따라 자동으로 비상전원으로 절체 및 상용전원으로 역절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상조명등 자체에 IGBT 등을 구비하지 않고, 일반조명등을 그대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의 자동절체시 상호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의 동작상태를 디지털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조명등 간략 제어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조명등 상세 제어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조명등 제어회로는, 상용전원(AC)을 공급하는 상용전원공급부(10)와 비상전원(DC)을 공급하는 비상전원공급부(20)로 나뉘며, 비상전원공급부(20)는 이중화시스템(DUAL SYSTEM)으로 구성되는 바, 비상시 1차로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주전원공급부(21)와, 비상주전원공급부(21)의 이상시 2차로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예비전원공급부(22)로 나뉜다. 자동절체부(ATS, 30)는 상용전원 정전시 비상전원으로 자동 절체 되며, 이후 상용전원 정상복귀시 자동으로 역절체 된다. 방범경보수신부(40)의 전자접촉기(MS1)는 소내 배전반의 출입 카드정보 DRY CONTACT 신호를 감지하여 출입시 동작(ON)되고, 퇴실시 정지(OFF)되도록 한다. 부하(50)는 변전소내 각 장소에 구비되는 비상조명등이다.
상용전원공급부(10)는 과부하시 차단(TRIP)될 수 있도록 차단기(CB2)를 구비할 수 있고, 비상조명제어반, 변전소, 급전분소 및 급전소 등에서 감시 가능하도록 모니터링 회로를 구성한다.
비상전원 공급을 위한 마스터 제어보드(MASTER POWER CONTROL BOARD, 23)는 상용전원공급부(10)의 검출된 상용전원 전압신호 및 상용전원 전류신호를 인가받고, 비상주전원공급부(21) 내 주 인버터의 입력전압신호를 인가받으며, 주 인버터의 출력전압신호, 출력전류신호 및 출력주파수신호를 인가받아 상용전원의 정전 혹 은 상용전원의 이상발생을 감지하게 되면, 마스터 제어보드(23)가 발생하는 주제어신호를 통해 비상전원공급부(20)에서 전원을 공급하게 한다. 그리고, 주 인버터의 입력전압신호, 출력전압신호, 출력전류신호, 출력주파수신호, 및 이들 가운데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합 중 어느 하나가 소정의 설정치를 벗어나면 실패(fault)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마스터 구동회로(24)는 인가되는 주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주 인버터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주 인버터는 인가되는 주 인버터 구동신호를 이용하여 직류를 교류로 변환한다. 그리고, 검출된 주 인버터의 입력전압신호, 출력전압신호, 출력전류신호 및 출력주파수신호와, 상용전원정전검출부(25)로부터 출력되는 상용전원 정전 감지 신호는, 디스플레이부(26)를 통해 실시간 표출될 수 있다.
비상전원공급부(20)는 과부하시 차단(TRIP)될 수 있도록 차단기(CB1, CB7)를 구비할 수 있고, 비상조명제어반, 변전소, 급전분소 및 급전소 등에서 감시 가능하도록 모니터링 회로를 구성한다.
또한, 비상전원 공급을 위한 슬레이브 제어보드(SLAVE POWER CONTROL BOARD, 27)는 상용전원공급부(10)로부터 검출되는 상용전원 전압신호 및 상용전원 전류신호, 마스터 제어보드(23)로부터 출력되는 실패 신호, 비상예비전원공급부(22) 내 예비 인버터의 입력전압신호, 출력전압신호, 출력전류신호, 및 출력주파수신호를 인가받는다. 슬레이브 제어보드(27)는 상용전원공급부(10)의 이상 발생과, 비상주전원공급부(21)의 이상 발생시 보조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슬레이브 제어보드(27)는 상용전원공급부(10)로부터 검출되는 상용전원 전압신호, 상용전원 전류 신호를 이용하여 상용전원공급부(10)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마스터 제어보드(23)로부터 출력되는 실패 신호를 이용하여 비상주전원공급부(21)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보조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슬레이브 구동회로(S IGBT DRIVE & SENSING BOARD, 28)는 인가되는 보조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예비 인버터 구동신호를 출력하며, 예비 인버터는 예비 인버터 구동신호에 따라 비상예비전원공급부(22)로부터 공급되는 직류를 교류로 변환시킨다.
한편, 비상예비전원공급부(22)의 입력전압, 출력전압, 출력전류 및 출력주파수가 검출되고, 비상예비전원공급부(22)에서 검출된 신호들은 슬레이브 제어보드(27)를 거쳐 디스플레이부(26)를 통해 실시간 상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비상전원공급부(20)는 순시 전압제어 방식 고주파(20KHZ) PWM으로 제어되어 부하(50)에 우수한 특성을 갖도록 한다. 이러한 고주파 순시제어 기술을 적용한 정현파 펄스폭 변조방식을 적용하면, 100% 부하 급변시 출력전압의 변동은 정격 전압의 ±5% 이내로 되며, 과도응답 속도는 50ms 이내(±2%)의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비상전원공급부(20)에 구비되는 변압기(TR1, TR2)는 부하전압에 알맞은 전압을 공급하며, 이러한 변압기는 H종 절연 복권변압기로서 리액터 기능을 포함한 단일 복권 변압기 구조를 갖고, 공급되는 비상전원의 출력을 합성하여 출력 필터 리액터가 별도로 없고 본 변압기와 필터용 콘덴서로 고조파 성분을 극소화시키며 효율을 극대화시킨다. 따라서 출력전압 파형왜율, 즉 총 고조파 함유율이 3%이내가 된다.
비상전원공급부(20)는 자동 및 수동 운전이 가능하며, 수동 운전시에는 디스 플레이부(26)에 연결된 수동조작스위치(29)를 통하여 비상주전원공급부(21)와 비상예비전원공급부(22)를 선택하여 운전할 수 있도록 한다.
비상주전원공급부(21)는 상용전원 정전시 최우선으로 부하단에 전원사고의 위험이 없도록 별도의 DRY CONTACT를 이용하여 정격전압을 공급하는 바, 전자접촉기(MS2)를 구비하여, 상용전원정전검출부(25A)와 코일에 연결된 두 개의 전자접촉기(MS3 OPEN 여부, 상용전원 정상여부)와 연계되어 동작되므로 전원역류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비상예비전원공급부(22)는 상용전원과 비상주전원 모두 상실시 즉시 기동하여 전원사고의 위험이 없도록 별도의 DRY CONTACT를 이용하여 정격전압을 공급하는 바, 전자접촉기(MS3)를 구비하여, 상용전원정전검출부(25B)와 코일에 연결된 두 개의 전자접촉기(MS2 OPEN 여부, 비상주전원 정상여부)와 연계되어 동작되므로 전원역류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상전원공급부(20)의 이중화 전원시스템은 회로의 입/출력 스위치의 상호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비상주전원공급부(21)와 비상예비전원공급부(22) 간에 별도의 스위치를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조명등 제어회로 중 전원이 공급되는 회로부분은 설비운영의 효율성을 위하여 단일 형태의 패널에 내장되지만,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회로부분(굵은 선 부분)은 상호 간섭으로 인한 신뢰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마스터 제어보드(23), 마스터 구동회로(24), 디스플레이부(26), 슬레이브 제어보드(27) 및 슬레이브 구동회로(28) 등은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전체 비상조명등 제어회로는 운영자의 조작실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단일형태의 보드에서 모든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조명등 제어회로는 운영자의 빠른 판단과 편리성을 위하여 디스플레이부(26)를 구비하는 바, LCD로 구성되고 정량화된 공급전원의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공급의 위치상태, 이중화 전원시스템의 입력전원 정상공급 상태, 비상전원부 동작상태 등을 D/I(디지털입력) Point 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조명등 제어회로는 이중화 전원시스템의 입력공급전원의 저전압에 의한 부하전원정전시 및 배터리 잔량부족 등을 알리는 알림기능을 구비한다.
자동절체부(30)는 자동 및 수동 절환이 가능하며, 수동 절환시에는 연결된 수동조작스위치를 이용하여 상용전원에서 비상전원으로, 비상전원에서 상용전원으로 절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조명등 제어회로의 주요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용전원에 의한 정상운전시, 비상전원공급부(20)는 소내 배전반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입력전원을 수전하여 대기 상태로 동작하고, 상용전원공급부(10)는 출력 전자접촉기(MS1)가 출입 카드정보 DRY CONTACT 신호를 감지하여 동작(ON)하면 소내 배전반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수전하여 자동절체부(30)를 통하여 부하(50)에 공급되도록 한다.
소내 배전반으로부터 교류전원(단상 220V)을 수전할 수 없게 되어 비상운전을 할 경우, 이중화 전원시스템이 자동으로 동작개시하고 자동절체부(30)가 비상전원공급부(20)로 절체되어 비상주전원공급부(21)로부터 정전압 및 정주파수의 안정 된 양질의 교류 전력이 부하(50)에 공급된다.
소내 배전반으로부터 교류전원(단상 220V)을 수전할 수 없고, 또한 비상주전원공급부(21)로부터 부하(5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없을 경우, 비상예비전원공급부(22)를 기동하여 정전압 및 정주파수의 안정된 양질의 교류 전력이 부하(50)에 공급된다.
비상주전원공급부(21)의 정상동작시 이중화 전원시스템의 절차에 따라 자동으로 비상예비전원공급부(22)를 정지하여 최종출력전원의 충돌없이 비상주전원공급부(21)로부터 교류 전력이 부하에 공급되도록 한다.
소내 배전반으로부터 교류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비상전원공급부(20)는 자동으로 정지하고 자동절체부(30)가 상용전원공급부(10)로 절체되어 상용전원이 부하(50)에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조명등 간략 제어회로도,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조명등 상세 제어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상용전원공급부 20: 비상전원공급부
21: 비상주전원공급부 22: 비상예비전원공급부
23: 마스터 제어보드 24: 주 IGBT
25A, 25B: 상용전원정전검출부 26: 디스플레이부
27: 슬레이브 제어보드 28: 보조 IGBT
29: 수동조작스위치 30: 자동절체부
40: 방범경보수신부 50: 부하
MS1, MS2, MS3: 전자접촉기

Claims (10)

  1.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상용전원공급부;
    상기 상용전원공급부의 이상발생시 비상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상용전원공급부의 이상발생시 비상주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주전원공급부와, 상기 상용전원공급부 및 상기 비상주전원공급부의 이상발생시 비상예비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예비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비상전원공급부;
    상기 상용전원공급부의 이상발생시 상기 상용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비상전원공급부로의 절체 및 상기 비상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상용전원공급부로의 역절체 동작을 수행하는 자동절체부; 및
    비상조명등을 구비하고 상기 자동절체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부하
    를 포함하는 비상조명등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비상주전원공급부는,
    상기 상용전원공급부로부터 검출되는 상용전원 전압신호 및/혹은 상용전원 전류신호를 이용하여 상용전원 이상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비상주전원공급부 내 주 인버터의 입력전압신호, 상기 주 인버터의 출력전압신호, 출력전류신호 및 출력주파수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주 인버터의 입력전압신호, 출력전압신호, 출력전류신호, 출력주파수신호, 및 이들 가운데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합 중 어느 하 나가 소정의 설정치를 벗어나면 실패 신호를 출력하는 마스터 제어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 제어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예비전원공급부는,
    상기 상용전원 전압신호 및 상용전원 전류신호, 그리고, 상기 마스터 제어보드로부터 출력되는 실패 신호를 이용하여 보조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슬레이브 제어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 제어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절체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고, 소내 배전반의 출입 정보 신호를 감지하며 출입자의 입실시 동작(ON)되고 퇴실시 정지(OFF)되도록 하는 전자접촉기를 구비하여 상기 부하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범경보수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 제어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전원공급부의 전압 및 전류를 감지하며 상기 비상주전원공급부의 전압, 전류 및 주파수를 감지하여, 전원공급의 이상발생을 판단하는 마스터 제어보 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 제어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원의 정전을 검출하여 상기 마스터 제어보드로 정전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상용전원정전검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 제어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예비전원공급부의 전압, 전류 및 주파수를 감지하여, 전원공급의 이상발생을 판단하는 슬레이브 제어보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 제어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제어보드, 슬레이브 제어보드, 자동절체부 및 상용전원정전검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감지되는 스위치위치 또는 전원공급상태정보를 디지털입력 포인트에 수용하여 실시간으로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 제어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주전원공급부는 상기 마스터 제어보드의 주 제어신호 및 마스터 구동회로의 주 인버터 구동신호를 통해 직류를 교류로 변환시키는 주 인버터와, 상기 주 인버터로부터의 교류에 대해 전압 및 파형을 각각 조정하는 제1변압기와 제1필터; 및
    상기 비상예비전원공급부는 상기 슬레이브 제어보드의 보조 제어신호 및 슬레이브 구동회로의 예비 인버터 구동신호를 통해 직류를 교류로 변환시키는 예비 인버터와, 상기 예비 인버터로부터의 교류에 대해 전압 및 파형을 각각 조정하는 제2변압기와 제2필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 제어회로.
  10. 상용전원에 의한 정상운전시, 상용전원공급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제1단계;
    상기 상용전원공급부의 이상발생시 또는 상용전원의 정전검출시 자동절체부 스위치를 비상전원공급부로 절체시켜 비상주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2단계;
    상기 비상주전원공급부의 이상발생시 전자접촉기 스위치를 전환하여 비상예비전원공급부로 전원을 공급받는 제3단계; 및
    상기 제2단계 또는 제3단계 이후, 상기 상용전원공급부에 상용전원이 정상공급되면 상기 자동절체부 스위치를 상기 상용전원공급부로 역절체시켜 상기 상용전원공급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비상조명등 제어방법.
KR1020090037921A 2009-04-30 2009-04-30 비상조명등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 KR101050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921A KR101050202B1 (ko) 2009-04-30 2009-04-30 비상조명등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921A KR101050202B1 (ko) 2009-04-30 2009-04-30 비상조명등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022A true KR20100119022A (ko) 2010-11-09
KR101050202B1 KR101050202B1 (ko) 2011-07-19

Family

ID=43405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921A KR101050202B1 (ko) 2009-04-30 2009-04-30 비상조명등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20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110B1 (ko) * 2013-01-11 2014-08-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전원 공급 제어 장치와, 전력 변환 장치, 전원 공급 장치, 전원 공급 제어 방법
KR101454465B1 (ko) * 2012-11-26 2014-10-27 박성용 조명시간이 연장되는 비상조명등
CN104968124A (zh) * 2015-07-23 2015-10-07 同济大学建筑设计研究院(集团)有限公司 火灾应急照明配电及控制电路
KR101708185B1 (ko) * 2016-09-22 2017-02-20 이강석 절전형 비상구 유도등
CN114170953A (zh) * 2021-11-09 2022-03-11 中船邮轮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客船led低位照明灯具及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662Y1 (ko) * 2000-07-14 2000-12-15 주식회사파트너 비상등 안정기 회로
JP4131102B2 (ja) 2001-11-30 2008-08-13 松下電工株式会社 非常用照明装置
JP2005038754A (ja) 2003-07-16 2005-02-10 Kyoshin Denki Seisakusho:Kk 非常灯点灯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465B1 (ko) * 2012-11-26 2014-10-27 박성용 조명시간이 연장되는 비상조명등
KR101430110B1 (ko) * 2013-01-11 2014-08-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전원 공급 제어 장치와, 전력 변환 장치, 전원 공급 장치, 전원 공급 제어 방법
CN104968124A (zh) * 2015-07-23 2015-10-07 同济大学建筑设计研究院(集团)有限公司 火灾应急照明配电及控制电路
KR101708185B1 (ko) * 2016-09-22 2017-02-20 이강석 절전형 비상구 유도등
CN114170953A (zh) * 2021-11-09 2022-03-11 中船邮轮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客船led低位照明灯具及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0202B1 (ko) 201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0122B2 (en) Method for operating parallel auxiliary converters in a rail vehicle
US20110298292A1 (en) Photovoltaic system for feeding three-phase current into a power grid
TW480800B (en) Protection system for power receiving station
JP5401235B2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
KR101050202B1 (ko) 비상조명등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
EP1591299B1 (en) Auxiliary power supply for vehicle
JP2021536217A (ja) 電源供給装置及び電源供給システム
KR101085175B1 (ko) 디지털 삼중화 제어기와 이중화 정류기를 이용한 원자력발전소의 비상디젤발전기 디지털 여자시스템과, 그 운전모드 변경 방법 및, 급기동 방법
US11349299B2 (en) Transformer rectifier unit power quality protection
KR101430577B1 (ko) 3상 서보 드라이버용 순간정전보상장치
JP2004236427A (ja) 無停電電源装置
JPH0919066A (ja) 分散形電源装置
JP2007202362A (ja) 停電ならびに瞬時電圧低下に対応した電力供給方法とその装置
JPH09285016A (ja) 電力設備
CN110601347B (zh) 一种低压开关设备的控制装置及控制方法
KR101478086B1 (ko) 철도차량 배터리 충전기의 다중화회로
KR20220153963A (ko) 철도 신호용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0788116B1 (ko)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고속절환장치
JP2022500981A (ja) 電源供給装置及び電源供給システム
RU104390U1 (ru) Щит постоянного тока (варианты)
JPH1141818A (ja) 分散型発電システム
RU2215355C1 (ru) Установка бесперебойного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й автоматики
KR101257239B1 (ko) 가스절연개폐기의 전원공급장치
JP5707184B2 (ja) 配電システム
JPH1051959A (ja) 分散電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