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8441A -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8441A
KR20100118441A KR1020090037297A KR20090037297A KR20100118441A KR 20100118441 A KR20100118441 A KR 20100118441A KR 1020090037297 A KR1020090037297 A KR 1020090037297A KR 20090037297 A KR20090037297 A KR 20090037297A KR 20100118441 A KR20100118441 A KR 20100118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erminal
image
real
photographe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7180B1 (ko
Inventor
김종선
박기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7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180B1/ko
Publication of KR20100118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의 실시간 영상을 자유롭게 확인할 수 있으며, 영상 내의 특정 장소에 대한 부가적인 다양한 관련컨텐츠를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특정 장소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가 네트워크망을 통해 제공하는 촬영영상을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에서 저장/관리하며, 접속되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요청되는 해당 촬영영상을 상기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에 표시하도록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가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실시간, 라이브, 영상, 컨텐츠

Description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LIVE IMAGE PROVIDING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의 실시간 영상을 자유롭게 확인할 수 있으며, 표시되는 영상 내의 특정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특정 장소에 대한 부가적인 다양한 관련컨텐츠를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 이에 포함되는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 및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동전화기, 노트북 등과 같은 개인용단말의 이용은 매우 대중화되었으며, 이러한 개인용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다양한 정보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검색/획득하는 편리함을 누리고 있다.
이러한 정보 검색 서비스 중 최근에는, 개인용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용단말을 통해 교통상황 제공 서비스에 접속하여 자신이 확인하고자 하는 특정 도로를 선택하면, 선택된 해당 도로를 촬영하고 있는 실시간 촬영영상을 수신하여 개인용단말에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도로의 실시간 교통상 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등장하였다.
헌데, 웹 환경을 통해 정보를 검색/획득하는 편리함을 누리고 있는 사용자들은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며, 특히 사용자들은 획득한 정보에 대한 시각적인 확인을 통해 보다 편리하게 정보를 이용하고자 한다. 하지만, 현제 제공되고 있는 정보 검색 서비스만으로는, 이러한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무리가 있다.
이에, 웹 환경을 통해 정보를 검색/획득하는 편리함을 누리고 있는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단순히 교통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특정 도로의 실시간 영상 뿐 만이 아니라, 특정 거리, 관광지, 유명한 레스토랑의 실내, 영화관 등의 다양한 오프라인 장소에 대한 실시간 영상을 제공하며, 단순히 특정 장소에 대한 일회성의 실시간 영상 뿐 아니라 해당 영상을 통해 보다 유용한 추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실시간 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특정 장소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가 네트워크망을 통해 제공하는 촬영영상을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에서 저장/관리하며, 접속되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요청되는 해당 촬영영상을 상기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에 표시하도록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가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 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의 실시간 영상을 자유롭게 확인할 수 있으며, 영상 내의 특정 장소에 대한 부가적인 다양한 관련컨텐츠를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영상을 저장하여 관리하며,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촬영영상 별로,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촬영영상의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기 등록되는 컨텐츠제공정보를 저장하고, 접속되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요청되는 해당 촬영영상을 상기 사용자단말에 표시하도록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컨텐츠제공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 및 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의 실시간 영상을 자유롭게 확인할 수 있으며, 영상 내의 특정 장소에 대한 부가적인 다양한 관련컨텐츠를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특정 장소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 및 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촬영영상을 관리하고, 접속되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요청되는 해당 촬영영상을 상기 사용자단말에 표시하도록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촬영장치는,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장치 또는 중계장치에 설치되는 카메라와, 컴퓨터장치에 연결되는 웹카메라와, 이동단말장치에 구비되는 모바일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단말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소정의 촬영영상을 요청하고 상기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촬영영상을 표시하며, 표시되는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이에 따른 영역선택신호를 상기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해당 장소의 기 등록된 화상통화단말로 화상통화를 시도하여, 상기 화상통화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촬영화상을 상기 관련컨텐츠로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상통화단말은, 상기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로부터의 화상통화 시도에 의한 화상통화 착신 시, 금번 착신되는 화상통화의 촬영화상이 실시간 영상 서비스에 제공되는 화상통화임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는,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영상을 저장하는 영상저장부;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위치정보저장부; 상기 영상저장부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촬영영상 별로,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촬영영상의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기 등록되는 컨텐츠제공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제공정보저장부; 및 접속되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요청되는 해당 촬영영상을 상기 사용자단말에 표시하도록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컨텐츠제공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컨텐츠제공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장소의 이름정보와, 주소정보와, 촬영영상과, 연락처정보와, 주변지역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실시간정보홈페이지를 상기 관련컨텐츠로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컨텐츠제공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장소로의 화상채팅시도항목, 화상통화시도항목, 인터넷전화시도항목, 메시지보내기시도항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커뮤니케이션시도메뉴를 상기 관련컨텐츠로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컨텐츠제공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장소의 기 등록된 홈페이지를 상기 관련컨텐츠로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에 제공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기 구분된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표시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제공정보는, 상기 영상저장부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촬영영상에 대응하여, 해당 촬영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이름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표시셀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셀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해당 장소의 이름정보와, 주소정보와, 좌표정보와, 연락처정보와, 주변지역정보, 해당 장소로의 기 등록된 화상채팅접속정보, 화상통화단말정보, 인터넷전화접속정보, 메시지송신접속정보, 해당 장소의 등록된 홈페이지주소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맵핑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는,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영상을 저장하는 영상저장부;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위치정보저장부; 상기 영상저장부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촬영영상 별로,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촬영영상의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기 등록되는 컨텐츠제공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제공정보저장부; 및 접속되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요청되는 해 당 촬영영상을 상기 사용자단말에 표시하도록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컨텐츠제공정보의 화상통화단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화상통화단말로 화상통화를 시도하고 상기 화상통화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촬영화상을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 및 상기 컨텐츠제공정보를 토대로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촬영영상이 상기 영상저장부에 존재하면, 해당 촬영영상을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에 제공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기 구분된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표시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제공정보는, 상기 영상저장부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촬영영상에 대응하여, 해당 촬영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이름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표시셀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셀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해당 장소의 이름정보와, 주소정보와, 좌표정보와, 연락처정보와, 주변지역정보, 해당 장소로의 기 등록된 화상채팅접속정보, 화상통화단말정보, 인터넷전화접속정보, 메시지송신접속정보, 해당 장소의 등록된 홈페이지주소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맵핑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은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영상을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촬영영상 별로,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촬영영상의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기 등록되는 컨텐츠제공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접속되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요청되는 해당 촬영영상을 상기 사용자단말에 표시하도록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컨텐츠제공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련컨텐츠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컨텐츠제공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장소의 이름정보와, 주소정보와, 촬영영상과, 연락처정보와, 주변지역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실시간정보홈페이지를 상기 관련컨텐츠로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련컨텐츠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컨텐츠제공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장소로의 화상채팅시도항목, 화상통화시도항목, 인터넷전화시도항목, 메시지보내기시도항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커뮤니케이션시도메뉴를 상기 관련컨텐츠로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련컨텐츠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컨텐츠제공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장소의 기 등록된 홈페이지를 상기 관련컨텐츠로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에 제공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기 구분된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표시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제공정보는, 상기 영상저장부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촬영영상에 대응하여, 해당 촬영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이름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표시셀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셀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해당 장소의 이름정보와, 주소정보와, 좌표정보와, 연락처정보와, 주변지역정보, 해당 장소로의 기 등록된 화상채팅접속정보, 화상통화단말정보, 인터넷전화접속정보, 메시지송신접속정보, 해당 장소의 등록된 홈페이지주소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맵핑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은,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영상을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촬영영상 별로,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촬영영상의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기 등록되는 컨텐츠제공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접속되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요청되는 해당 촬영영상을 상기 사용자단말에 표시하도록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컨텐츠제공정보의 화상통화단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화상통화단말로 화상통화를 시도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통화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촬영화상을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 및 상기 컨텐츠제공정보를 토대로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촬영영상이 상기 영상저장부에 존재하면, 해당 촬영영상을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에 제공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기 구분된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표시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제공정보는, 상기 영상저장부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촬영영상에 대응하여, 해당 촬영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이름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표시셀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셀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해당 장소의 이름정보와, 주소정보와, 좌표정보와, 연락처정보와, 주변지역정보, 해당 장소로의 기 등록된 화상채팅접속정보, 화상통화단말정보, 인터넷전화접속정보, 메시지송신접속정보, 해당 장소의 등록된 홈페이지주소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맵핑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특정 거리, 관광지, 유명한 레스토랑의 실내, 영화관 등의 다양한 오프라인 장소에 대한 실시간 촬영영상을 관리함으로써, 영상표시가 가능한 사용자단말이 접속/요청하는 특정 장소의 실시간 촬영영상을 빠르고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표시되는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위치정보 및 해당 콘텐츠제공정보를 토대로 사용자단말이 선택한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추가적인 관련컨텐츠(촬영영상, 실시간정보홈페이지, 커뮤니케이션시도메뉴, 홈페이지 등)를 사용자단말에 제공함으로써, 특정 장소에 대한 일회성의 실시간 영상 뿐 아니라 해당 영상을 통해 보다 유용한 추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서비스 이용자인 사용자단말의 측면에서는, 특정 장소의 실시간 촬영영상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당 촬영영상에 포함된 장소, 상점, 건물, 식당 등이 보여지는 표시영역을 선택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해당 영역에 위치하는 장소의 내부 실시간 촬영영상과 같은 구체적이고 유용한 추가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오프라인 상에서 원하는 장소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눈으로 확인하는 듯한 느낌을 온 라인 상에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 은, 특정 장소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와, 네트워크망(1)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로부터 제공되는 촬영영상을 관리하고, 접속되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요청되는 해당 촬영영상을 사용자단말(200)에 표시하도록 제공하며, 사용자단말(200)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하는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망(1)은, 촬영장치(10,20...30)의 촬영영상을 실시간단말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도록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망으로서, 이동통신망 및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망, 휴대 인터넷망(예 : 왑, 와이브로 등)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는, 특정 장소를 촬영하기 위해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촬영장치로서, 특정 도로, 특정 거리, 관광지 등의 다양한 오프라인 실외 장소에 마련되거나, 또는 유명한 레스토랑의 실내, 영화관, 상점 실내, 음식점 주방 등의 다양한 오프라인 실내 장소에 마련되어, 촬영한 촬영영상을 네트워크망(1)을 통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로 제공한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는,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장치 또는 중계장치에 설치되는 카메라와, 컴퓨터장치에 연결되는 웹카메라와, 이동단말장치에 구비되는 모바일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는 실시간영상서비스서 버(100)에 기 등록되어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도심/외곽 구분 없이 넓게 구축된 상황을 고려한다면, 기지국장치 또는 중계장치에 촬영장치가 설치되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간영상서비스가 전국의 모든 장소의 실시간 촬영영상을 확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겠다.
사용자단말(200)은,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에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접속하여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촬영영상, 관련컨텐츠 등)를 수신하는 등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장치이다. 이러한 사용자단말(200)은, 노트북 또는 데스크탑과 같은 컴퓨터, PDA 또는 이동전화기와 같은 모바일단말, 유선단말, IP티브이, 셋톱박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단말(20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양한 방식을 통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에 접속하여 소정의 촬영영상을 요청하고 이에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촬영영상을 표시하며, 표시되는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이에 따른 영역선택신호를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에 제공할 것이다.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네트워크망(1)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로부터 제공되는 촬영영상을 수신하여 저장/관리한다. 즉,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가 설치된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이들 촬영장치(10,20...30)로부터 제공되는 각각의 촬영영상을 해당 위치에 대응하여 저장/관리한다.
바람직하게는,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가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 치(10,20...30)로부터의 촬영영상을 저장/관리함에 있어서,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장소를 특정하는 지리적인 좌표정보(예 : 위도/경도 정보)를 기 저장하거나 또는 좌표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와 연동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가 설치된 위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가 촬영하는 해당 촬영장소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해당 좌표정보를 각 촬영영상과 대응시켜 관리할 수 있다.
이에,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촬영장치(예 : 촬영장치A(10))로부터 제공되는 촬영영상를 저장함에 있어서, 해당 촬영장치(예 : 촬영장치A(10))가 촬영하고 있는 촬영장소의 지리적인 좌표정보를 대응시켜 저장/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각 촬영영상 별로 대응되는 좌표정보를 통해 각 촬영영상이 지리적으로 어느 장소를 촬영하고 있는지를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장치에 구비되는 모바일카메라가 촬영장치(예 : 촬영장치(10))인 경우를 설명하면, 촬영장치(10) 즉 이동단말장치에 구비되는 모바일카메라의 촬영영상을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로 제공하고자 해당 이동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에 해당하는 특정번호(예 : 실시간 영상 서비스 할당번호)를 입력하여 화상전화를 발신하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가 이동통신망의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해당 이동단말장치의 위치좌표정보를 획득하고 화상통화를 통해 촬영영상을 획득함으로써 촬영장치A(10)가 촬영하고 있는 촬영장소의 지리적인 좌표정보를 대응시켜 저장/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특정 위치의 촬영영상을 검색하고자 할 경우, 상기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정보의 촬영영상을 검색함으로써 해당하는 특정 위치를 촬영한 촬영영상을 검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촬영장치(10,20...30)로부터 제공되는 각각의 촬영영상 중 접속되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요청되는 해당 촬영영상을 사용자단말(200)에 표시하도록 제공한다. 이에, 실시간영상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단말(200)의 화면에는 요청한 장소의 실시간 촬영영상이 표시될 것이다.
그리고,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사용자단말(200)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됨에 따라 영역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 이에, 실시간영상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단말(200)의 화면에는 표시 중인 촬영영상의 선택된 일 영역에 대응하는 장소와 관련된 관련컨텐츠가 표시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영상 서비스 시스템에서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영상을 저장하는 영상저장부(110)와,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위치정보저장부(150)와, 영상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촬영영상 별로,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촬영영상의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기 등록되는 컨텐츠제공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제공정보저장부(130)와, 접속되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요청되는 해당 촬영영상 을 사용자단말(200)에 표시하도록 제공하며, 사용자단말(200)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컨텐츠제공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영상저장부(110)는, 특정 장소를 촬영하기 위해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로부터 네트워크망(1)을 통해 제공되는 촬영영상을 저장한다. 이때, 영상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촬영영상 각각은, 해당 촬영영상을 제공한 촬영장치(예 : 촬영장치A(10))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 또는 해당 촬영장치(예 : 촬영장치A(10))가 촬영하는 촬영장소의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정보 및 해당 촬영영상의 영상이름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될 것이다. 즉, 영상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촬영영상 각각은 해당 좌표정보 및 해당 영상이름정보와 대응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장소를 특정하기 위한 지리적인 좌표정보를 필요할 때마다 좌표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와 연동하여 획득할 수 있고, 또는 장소를 특정하기 위한 지리적인 좌표정보를 기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장소를 특정하기 위한 지리적인 좌표정보를 기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좌표정보는, 장소를 특정하기 위한 지리적인 정보로서 위도/경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POI(Point of Interest)정보가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좌표정 보 이외에도 장소를 특정할 수 있는 지리적인 정보라면 다양한 형태의 정보들을 저장하여 각 촬영영상에 대응시킬 수 있을 것이다.
위치정보저장부(150)는,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이다. 여기서, 위치정보는, 사용자단말(200)에 제공되는 촬영영상의 기 구분된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표시셀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다시 말해, 위치정보저장부(150)에는, 사용자단말(200)로 제공될 촬영영상의 화면에서 기 구분되는 복수개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되어 어떤 표시영역인지을 지시하는 복수개의 표시셀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텐츠제공정보저장부(130)는, 영상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촬영영상 별로,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촬영영상의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기 등록되는 컨텐츠제공정보를 저장하는 저장한다.
이러한 컨텐츠제공정보는, 영상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촬영영상에 대응하여, 해당 촬영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이름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표시셀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셀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해당 장소의 이름정보와, 주소정보와, 좌표정보와, 연락처정보와, 주변지역정보, 해당 장소로의 기 등록된 화상채팅접속정보, 화상통화단말정보, 인터넷전화접속정보, 메시지송신접속정보, 해당 장소의 등록된 홈페이지주소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맵핑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제공정보는, 본 발명의 실시간영상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개인, 사기업, 자영업자, 공기업 등)로부터 기 등록받아 저장되거나,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간영상서비스 관리자에 의해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170)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요청되는 해당 촬영영상을 사용자단말에 표시하도록 제공한다. 이에, 실시간영상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단말(200)의 화면에는 요청한 장소의 실시간 촬영영상이 표시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단말(200)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에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접속하여 실시간영상서비스를 이용하는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간영상서비스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다양한 웹서비스서버(300)와의 제휴를 통해 연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사용자단말(200)이 포털서비스서버(310)에 접속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영상서비스를 검색함으로써, 검색 결과에 따라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200)이 "신촌로터리" 를 검색하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에서 "신촌로터리" 를 영상이름으로 갖는 촬영영상을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단말(200)이 신촌로터리의 실시간 촬영영상을 제공받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정보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털서비스서버(310)를 제공하는 포털서비스서버(310)와 연동함으로써, 포털서비스서버(310)가 제공하는 검색화면 상에 해당 촬영영상으로의 링크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단말(200)이 포털서비스서버(310)에 접속하여 "유명 맛집"을 검색하면, 포털서비스서버(310)는 검색화면 상에 표시되는 신촌로터리 및 맛집에 따른 검색결과항목(맛집1, 맛집2, 맛집3...) 중 대응하는 촬영영상이 존재하는 해당 검색결과항목(예 : 맛집2)에 해당 촬영영상으로의 링크정보(예 : "실시간촬영보기")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단말(200)이 촬영영상 링크정보를 선택하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에 접속하여 해당 맛집2를 촬영하고 있는 실시간 촬영영상을 제공받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블로그 또는 개인홈페이지 또는 기업홈페이지와 같은 홈페이지서비스를 제공하는 홈페이지서비스서버(330)와 연동함으로써, 홈페이지서비스서버(330)가 제공하는 홈페이지 상에 해당 촬영영상으로의 링크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단말(200)이 Y레스토랑의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Y레스토랑에 대응하는 촬영영상이 존재하는 경우 홈페이지 상에 해당 촬영영상으로의 링크정보(예 : "실시간촬영보기")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단말(200)이 촬영영상 링크정보를 선택하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에 접속하여 Y레스토랑을 촬영하고 있는 실시간 촬영영상을 제공받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지역별 지도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서비스서버(320)와 연동함으로써, 지도서비스서버(320)가 제공하는 지도화면 상에 해당 장속에 대응하는 촬영영상으로의 링크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단말(200)이 특정 거리(예 : 신촌로터리)의 지도화면을 요청하면, 지도서비스서버(320)는 요청된 지도화면에 포함되는 장소 별로 대응하는 촬영영상이 존재하는 해당 장소(예 : Y레스토랑, 맛집2)에 해당 촬영영상으로의 링크정보(예 : "실시간촬영보기")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단말(200)이 특정 장소(예 : Y레스토랑)의 촬 영영상 링크정보를 선택하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에 접속하여 Y레스토랑을 촬영하고 있는 실시간 촬영영상을 제공받아 표시할 수 있다.
이밖에도, 소정의 죄표정보 및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로의 접속정보가 포함되도록 제작된 UCC 또는 영화컨텐츠 또는 게임컨텐츠 또는 음악컨텐츠를 사용자단말(200)에서 재생하는 중에 해당 위치로의 이동이 선택되면, 사용자단말(200)은 선택에 따라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에 접속하여 해당 좌표정보에 대응하는 촬영영상을 제공받아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제어부(170)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요청되는 해당 촬영영상을 사용자단말(200)에 표시하도록 제공한다. 이에, 사용자단말(200)에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간 촬영영상화면(A)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도 8a에 도시된 실시간 촬영영상화면(A)과 같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가 사용자단말(200)로 요청된 실시간 촬영영상을 제공함에 있어서, 촬영영상(A1) 뿐 아니라, 촬영영상(A1)에 대응하는 주변지역정보 및 주변지역 지도보기를 포함하는 실시간 촬영영상화면(A)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사용자단말(200)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됨에 따라 영역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컨텐츠제공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 즉, 제어부(170)는, 촬영영상을 사용자단말(200)에 표시하도록 제공한 후 사용자단말(200)에서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 택됨을 인지하면,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선택된 영역의 표시셀정보를 파악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사용자단말(200)에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정보를 토대로 상기 파악한 표시셀정보에 대응하는 표시영역맵핑정보를 찾음으로써,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영역맵핑정보에 따른 관련컨텐츠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촬영영상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정보의 예를 아래의 표1.를 통해 보이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신촌로터리의 실시간 촬영영상이 사용자단말(200)에 제공/표시되는 경우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사용자단말(200)에 제공되는 촬영영상의 영상이름은 '신촌로터리' 일 것이며, 아래의 표1.은 신촌로터리에 대응하는 촬영영상의 컨텐츠제공정보일 것이다. 그리고, 10a, 10b...는 컨텐츠제공정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맵핑정보에 해당한다.
Figure 112009025902214-PAT00001
이에, 제어부(170)는, 실시간 촬영영상화면(A)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하는 중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촬영영상(A1)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촬영영상(A1)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선택된 영역의 표시셀정보(예 : (9,4))를 파악하고, 파악된 표시셀정보(예 : (9,4))에 대응하는 표시영역맵핑정보를 촬영영상(A1)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정보를 토대로 찾음으로써,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여 찾아진 표시영역맵핑정보(10b)에 따른 관련컨텐츠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단말(200)에 표시되는 촬영영상(A1)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 및 컨텐츠제공정보를 토대로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된 해당 영역(a)에 대응하는 표시영역맵핑정보(10b)에 기초하여,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장소의 이름정보와, 주소정보와, 촬영영상과, 연락처정보와, 주변지역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실시간정보홈페이지를 관련컨텐츠로서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표시영역맵핑정보(10b)에 포함된 좌표정보를 토대로 이에 대응하는 촬영영상을 영상저장부(110)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실시간 촬영영상화면(A)을 표시하는 사용자단말(200)에서 a영역을 선택하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의 제어부(170)는, 선택된 해당 a영역에 대응하는 표시셀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해당 컨텐츠제공정보의 표시영역맵핑정보에 따라,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영역의 장소(AA식당)에 대응하는 이름정보(AA식당), 실시간 촬영영상, 주소정보, 연락처정보, 주변지역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정보홈페이지(8a)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단말(200)로 제공되는 실시간정보홈페이지(8a)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장소에서 관리되는 부가정보(예 : 빈자리, 예약현황, 이벤트 내용, 메뉴정보(메뉴A, 메뉴B, 메뉴C 등))을 보여주기 위한 항목 "빈자리 및 예약현황", "이벤트 내용", "전화 하기", "메뉴A", "메뉴B", "메뉴C" 등이 더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이러한 부가정보는 헤딩 실시간정보홈페이지(8a)의 관리자에 의해 실시간으로 WAP(무선인터넷), Web, 휴대폰 SMS/MMS 등의 다양한 통신방식을 통해 업데이트/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사용자단말(200)에 표시되는 촬영영상(A1)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 및 컨텐츠제공정보를 토대로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영역맵핑정보(10b)에 기초하여,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장소로의 화상채팅시도항목, 화상통화시도항목, 인터넷전화시도항목, 메시지보내기시도항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커뮤니케이션시도메뉴를 관련컨텐츠로서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표시영역맵핑정보(10b)에 포함된 좌표정보를 토대로 이에 대응하는 촬영영상을 영상저장부(110)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실시간 촬영영상화면(A)을 표시하는 사용자단말(200)에서 a영역을 선택하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의 제어부(170)는, 선택된 해당 a영역에 대응하는 표시셀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해당 컨텐츠제공정보의 표시영역맵핑정보에 따라,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영역의 장소(AA식당)에 대응하는 이름정보(AA식당), 촬영영상, 주소정보, 연락처정보, 화상채팅시도항목, 화상통화시도항목, 인터넷전화시도항목, 메시지보내기시도항목을 포함하는 커뮤니케이션시도메뉴(8b)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단말(200)에서 커뮤니케이션시도메뉴(8b)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화상통화시도항목인 "화상통화하기" 를 선택하면, 사용자단말(200)은 화상통화시도항목에 링크된 화상통화단말정보(예 : 000-XXXX-0000)로 화상통화를 시도하여 AA식당으로 화상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단말(200)은 화상채팅시도항목을 선택하여 AA식당으로 화상통화를 연결하거나, 또는 인터넷전화시도항목을 선택하여 AA식당으로 인터넷전화를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또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사용자단말(200)에 표시되는 촬영영상(A1)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 및 컨텐츠제공정보를 토대로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영역맵핑정보(10b)에 기초하여,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장소의 기 등록된 홈페이지를 관련컨텐츠로서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실시간 촬영영상화면(A)을 표시하는 사용자단말(200)에서 a영역을 선택하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의 제어부(170)는, 선택된 해당 a영역에 대응하는 표시셀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해당 컨텐츠제공정보의 표시영역맵핑정보에 따라,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영역의 장소(AA식당)에 대응하여 등록된 홈페이지주소정보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하여 해당 AA식당의 홈페이지(8c)에 자동 접속하도록 유도하거나, 또는 a영역의 장소(AA식당)에 대응하여 등록된 홈페이지주소정보를 토대로 홈페이지서비스서버(330)에 접속하여 해당 AA식당의 홈페이지(8c)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는 사용자단말(200)에서 표시되는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사용자단말(200)의 포인터(예 : 마우스포인터)에 의해 지시되면, 사용자단말(200)에 표시되는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 및 컨텐츠제공정보를 토대로 사용자단말(200)에서 지시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장소의 이름정보와, 주소정보를 팝업형식 또는 링크메뉴 형식을 통해 추가 표시하는 추가정보메뉴를 관련컨텐츠로서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실시간 촬영영상화면(A)을 표시하는 사용자단말(200)에서 a영역을 지시하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의 제어부(170)는, 선택된 해당 a영역에 대응하는 표시셀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해당 컨텐츠제공정보의 표시영역맵핑정보에 따라, a영역의 장소(AA식당)에 대응하는 이름정보(AA식당),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추가정보메뉴를 팝업형식 또는 링크메뉴 형식을 통해 실시간 촬영영상화면(A) 상에 추가 표시하도록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70)는, 촬영영상을 사용자단말(200)에 표시하도록 제공한 후 사용자단말(200)에서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지시됨을 인지하면, 해당 촬영영상에 표시영역 별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지시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셀정보에 대응하는 표시영역맵핑정보에 따른 관련컨텐츠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 이에, 실시간영상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단말(200)의 화면에는 표시 중인 촬영영상의 선택된 일 영역에 대응하는 장소와 관련된 관련컨텐츠가 표시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특정 거리, 관광지, 유명한 레스토랑의 실내, 영화관 등의 다양한 오프라인 장소에 대한 실시간 촬영영상을 관리함으로써, 영상표시가 가능한 사용자단말(200)이 접속/요청하는 특정 장소의 실시간 촬영영상을 빠르고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표시되는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장소에 대응하는 추가적인 추가적인 관련컨텐츠(촬영영상, 실시간정보홈페이지, 커뮤니케이션시도메뉴, 홈페이지 등)를 사용자단말(200)에 제공함으로써, 특정 장소에 대한 일회성의 실시간 영상 뿐 아니라 해당 영상을 통해 보다 유용한 추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에 따른 실시간영상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단말(200)의 측면에서는, 특정 장소의 실시간 촬영영상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당 촬영영상에 포함된 장소, 상점, 건물, 식당 등이 보여지는 표시영역을 선택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해당 영역에 위치하는 장소의 내부 실시간 촬영영상과 같은 구체적이고 유용한 추가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오프라인 상에서 원하는 장소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눈으로 확인하는 듯한 느낌을 온 라인 상에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특정 장소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와, 네트워크망(1)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로부터 제공되는 촬영영상을 관리하고, 접속되는 사용자단말(200)에서 요청하는 해당 촬영영상을 사용자단말(200)에 표시하도록 제공하며, 사용자단말(200)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하는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와,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장소의 기 등록된 화상통화단말(500)과, 웹서비스서버(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 네트워크망(1), 사용자단말(200), 웹서비스서버(300)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대응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언급하였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화상통화단말(500)은, 화상통화 기능을 갖는 단말로서 노트북 또는 데스크탑과 같은 컴퓨터, PDA 또는 이동전화기와 같은 모바일단말, 유선단말, IP티브이 등 화상통화가 가능을 단말이라면 어떤 형태이든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화상통화단말(500)은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로부터의 화상통화 시도에 의한 화상통화 착신 시, 금번 착신되는 화상통화의 촬영화상이 실시간 영상 서비스에 제공되는 화상통화임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로부터의 화상통화 시도에 의한 화상통화 착신 시, 화상통화단말(500)은 착신되는 화상통화의 착신대기시간 동안에, 금번 착신되는 화상통화의 촬영화상이 실시간 영상 서비스에 제공되는 화상통화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별도의 착신벨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로부터 화상통화를 착신하는 화상통화단말(500)의 사용자는, 금번 화상통화에 따른 자신의 촬영화상이 불특정한 타 사용자에게 공개될 수 있음을 인지한 후에 금번 화상통화를 수락할 지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는 네트워크망(1)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로부터 제공되는 촬영영상을 수신하여 저장/관리한다. 즉,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가 설치된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이들 촬영장치(10,20...30)로부터 제공되는 각각의 촬영영상을 해당 위치에 대응하여 저장/관리한다.
바람직하게는,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가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로부터의 촬영영상을 저장/관리함에 있어서,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장소를 특정하는 지리적인 좌표정보(예 : 위도/경도 정보)를 기 저장하거나 또는 좌표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와 연동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가 설치된 위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가 촬영하는 해당 촬영장소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해당 좌표정보를 각 촬영영상과 대응시켜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는, 특정 위치의 촬영영상을 검색하고자 할 경우, 상기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정보의 촬영영상을 검색함으로써 해당하는 특정 위치를 촬영한 촬영영상을 검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는, 촬영장치(10,20...30)로부터 제공되는 각각의 촬영영상 중 접속되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요청되는 해당 촬영영상을 사용자단말(200)에 표시하도록 제공한다. 이에, 실시간영상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단말(200)의 화면에는 요청한 장소의 실시간 촬영영상이 표시될 것이다.
그리고,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는, 사용자단말(200)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됨에 따라 영역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해당 장소의 기 등록된 화상통화단말(500)로 화상통화를 시도하여, 화상통화단말(500)로부터 제공되는 촬영화상을 관련컨텐츠로서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 이에, 실시간영상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단말(200)의 화면에는 표시 중인 촬영영상의 선택된 일 영역에 대응하는 장소와 관련된 관련컨텐츠(실시간 촬영화상)가 표시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는,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영상을 저장하는 영상저장부(410)와,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위치정보저장부(450)와, 영상저장부(410)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촬영영상 별로,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촬영영상의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기 등록되는 컨텐츠제공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제공정보저장부(430)와, 접속되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요청되는 해당 촬영영상을 사용자단말(200)에 표시하도록 제공하며, 사용자단말(200)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컨텐츠제공정보의 화상통화단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화상통화단말(500)로 화상통화를 시도하고 화상통화단말(500)로부터 제공되는 촬영화상을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하는 제어부(470)를 포함한다.
영상저장부(410)는, 특정 장소를 촬영하기 위해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로부터 네트워크망(1)을 통해 제공되는 촬영영상을 저장한다. 이때, 영상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촬영영상 각각은, 해당 촬영영상을 제공한 촬영장치(예 : 촬영장치A(10))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 또는 해당 촬영장치(예 : 촬영장치A(10))가 촬영하는 촬영장소의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정보 및 해당 촬영영상의 영상이름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될 것이다. 즉, 영상저장부(410)에 저장되는 촬영영상 각각은 해당 좌표정보 및 해당 영상이름정보와 대응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는, 장소를 특정하기 위한 지리적인 좌표정보를 필요할 때마다 좌표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와 연동하여 획득할 수 있고, 또는 장소를 특정하기 위한 지리적인 좌표정보를 기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는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위치정보저장부(450)가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위치정보저장부(450)에 저장되는 위치정보는, 위치정보는, 사용자단말(200)에 제공되는 촬영영상의 기 구분된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표시셀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다시 말해, 위치정보저장부(450)에는, 사용자단말(200)로 제공될 촬영영상의 화면에서 기 구분되는 복수개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되어 어떤 표시영역인지을 지시하는 복수개의 표시셀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텐츠제공정보저장부(430)는, 영상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촬영영상 별로,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촬영영상의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기 등록되는 컨텐츠제공정보를 저장하는 저장한다. 즉, 컨텐츠제공정보는, 각 촬영영상 별로, 해당하는 오프라인 상의 실제 장소(상점, 영화관, 식당, 사무실 등)에 대응하도록 기 등록되는 화상통화단말정보(예 : 전화번호)가 포함된 정보이다.
즉, 컨텐츠제공정보저장부(430)에 저장되는 컨텐츠제공정보는, 영상저장부(410)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촬영영상에 대응하여, 해당 촬영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이름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표시셀정보와, 화상통화단말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맵핑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컨텐츠제공정보저장부(430)에 저장되는 컨텐츠제공정보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정보저장부(130)에 저장된 바와 같이, 각 촬영영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맵핑정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셀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해당 장소의 이름정보와, 주소정보와, 좌표정보와, 연락처정보와, 주변지역정보, 해당 장소로의 기 등록된 화상채팅접속정보, 인터넷전화접속정보, 메시지송신접속정보, 해당 장소의 등록된 홈페이지주소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컨텐츠제공정보는, 본 발명의 실시간영상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개인, 사기업, 자영업자, 공기업 등)로부터 기 등록받아 저장되거나,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간영상서비스 관리자에 의해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470)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요청되는 해당 촬영영상을 사용자단말에 표시하도록 제공한다. 이에, 실시간영상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단말(200)의 화면에는 요청한 장소의 실시간 촬영영상이 표시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단말(200)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에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접속하여 실시간영상서비스를 이용하는 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사용자단말(200)에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간 촬영영상화면(A)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도 8a에 도시된 실시간 촬영영상화면(A)과 같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가 사용자단말(200)로 요청된 실시간 촬영영상을 제공함에 있어서, 촬영영상(A1) 뿐 아니라, 촬영영상(A1)에 대응하는 주변지역정보 및 주변지역 지도보기를 포함하는 실시간 촬영영상화면(A)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70)는, 사용자단말(200)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됨에 따라 영역선택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컨텐츠제공정보저장부(430)의 컨텐츠제공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 즉, 제어부(470)는, 촬영영상을 사용자단말(200)에 표시하도록 제공한 후 사용자단말(200)에서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됨을 인지하면,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선택된 영역의 표시셀정보를 파악한다. 그리고, 제어부(470)는, 사용자단말(200)에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정보를 토대로 상기 파악한 표시셀정보에 대응하는 표시영역맵핑정보를 찾음으로써,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영역맵핑정보에 따른 관련컨텐츠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470)는, 실시간 촬영영상화면(A)을 사용자단말(200)에 표시하도록 제공한 후 사용자단말(200)에서 촬영영상(A1)의 a영역이 선택됨을 인지하면, 촬영영상(A1)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선택된 영역의 표시셀정보(예 : (9,4))를 파악하고, 파악된 표시셀정보(예 : (9,4))에 대응하는 표시영역맵핑정보를 촬영영상(A1)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정보를 토대로 찾음으로써,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여 찾아진 표시영역맵핑정보(10b)의 화상통화단말정보에 기초하여 화상통화단말(500)로 화상통화를 시도한다. 이에, 제어부(470)는 화상통화를 통해 화상통화단말(500)로부터 제공되는 촬영화상을 관련컨텐츠로서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70)는 컨텐츠제공정보저장부(430)의 컨텐츠제공정보에 포함된 다양한 정보들에 기초하여, 화상통화단말(500)로부터 제공되는 촬영화상 뿐만 아니라 도 8b의 8a, 8b와 같은 촬영화상을 포함한 실시간정보홈페이지, 커뮤니케이션시도메뉴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470)는, 화상통화단말(500)로부터 제공되는 실시간 촬영화상을 화상통화단말(500)에 대응하는 표시영역맵핑정보 내의 좌표정보 및 이름정보와 대응시켜 영상저장부(410)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화상통화단말(500)의 촬영화상에 대응시킨 이름정보는 해당 촬영화상의 영상이름정보로서 대응되어 저장될 것이다.
즉, 제어부(470)는 화상통화단말(500)로부터 제공되는 촬영화상을 촬영장치(10,20...30)로부 제공되는 촬영영상과 대등하게 영상저장부(41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된 해당 a영역에 대응하는 장소에 촬영장치(예 : 촬영장치B(2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된 해당 a영역에 대응하는 해당 컨텐츠제공정보의 표시영역맵핑정보에 포함된 좌표정보에 대응되는 실시간 촬영영상이 영상저장부(410)에 기 존재할 것이다.
또는,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된 해당 a영역에 대응하는 장소에 촬영장치(예 : 촬영장치B(20))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라도, 타 사용자단말(미도시)에서 동일한 a영역을 먼저 선택함에 따라 화상통화단말(500)로부터 제공되는 실시간 촬영화상이 관련컨텐츠로서 타 사용자단말(미도시)로 제공됨과 동시에 영상저장부(410)에 실시간 저장되고 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470)는, 사용자단말(200)에서 표시되는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됨을 인지하면,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해당 컨텐츠제공정보의 표시영역맵핑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촬영영상이 영상저장부(410)에 존재하면 해당 촬영영상을 관련컨텐츠로서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하고, 해당 촬영영상이 존재하지 않으면 화상통화단말정보에 따라 화상통화단말(500)로 화상통화를 시도한 후 제공되는 촬영화상을 관련컨텐츠로서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처럼, 제어부(470)는, 촬영영상을 사용자단말(200)에 표시하도록 제공한 후 사용자단말(200)에서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지시됨을 인지하면, 해당 촬영영상에 표시영역 별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지시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셀정보에 대응하는 표시영역맵핑정보에 따른 실시간 촬영영상/촬영화상을 포함하는 관련컨텐츠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 이에, 실시간영상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단말(200)의 화면에는 표시 중인 촬영영상의 선택된 일 영역에 대응하는 장소와 관련된 관련컨텐츠가 표시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특정 거리, 관광지, 유명한 레스토랑의 실내, 영화관 등의 다양한 오프라인 장소에 대한 실시간 촬영영상을 관리함으로써, 영상표시가 가능한 사용자단말(200)이 접속/요청하는 특정 장소의 실시간 촬영영상을 빠르고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표시되는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장소에 대응하는 추가적인 추가적인 관련컨텐츠(촬영영상, 실시간정보홈페이지, 커뮤니케이션시도메뉴, 홈페이지 등)를 사용자단말(200)에 제공함으로써, 특정 장소에 대한 일회성의 실시간 영상 뿐 아니라 해당 영상을 통해 보다 유용한 추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에 따른 실시간영상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단말(200)의 측면에서는, 특정 장소의 실시간 촬영영상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당 촬영영상에 포함된 장소, 상점, 건물, 식당 등이 보여지는 표시영역을 선택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해당 영역에 위치하는 장소의 내부 실시간 촬영영상과 같은 구체적이고 유용한 추가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오프라인 상에서 원하는 장소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눈으로 확인하는 듯한 느낌을 온 라인 상에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도 6 및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방법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특정 장소를 촬영하기 위해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가 촬영한 촬영영상을 네트워크망(1)을 통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로 제공한다(S10).
이에, 네트워크망(1)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로부터 제공되는 촬영영상을 수신하는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수신된 촬영영상을 해당 위치에 대응하여 저장/관리한다(S20). 바람직하게는,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가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로부터의 촬영영상을 저장/관리함에 있어서,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장소를 특정하는 지리적인 좌표정보(예 : 위도/경도 정보)를 기 저장하거나 또는 좌표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와 연동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가 설치된 위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가 촬영하는 해당 촬영장소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해당 좌표정보를 각 촬영영상과 대응시켜 관리할 수 있다.
이에,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촬영장치(예 : 촬영장치A(10))로부터 제공되는 촬영영상를 저장함에 있어서, 해당 촬영장치(예 : 촬영장치A(10))가 촬영하고 있는 촬영장소의 지리적인 좌표정보를 대응시켜 저장/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각 촬영영상 별로 대응되는 좌표정보를 통해 각 촬영영상이 지리적으로 어느 장소를 촬영하고 있는지를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가 제공하는 실시간영상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단말(200)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에 접속한다(S55). 여기서, 사용자단말(200)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예는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 언급한 바와 같으므로, 도 5에서는 다양한 언급 예들 중 하나를 채택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사용자단말(200)에 웹서비스서버(300) 특히 포털서비스서버(310)에 접속하여(S30), 실시간영상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실시간영상서비스접속요청을 입력하면(S40), 이에 사용자단말(200)은 웹서비스서버(300)로 접속을 요청한다(S50). 이에 사용자단말(200)은 접속 요청에 따라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다(S55).
이에, 사용자단말(200)이 원하는 장소(예 : "신촌로터리") 를 입력하거나 선택함으로써 특정 장소의 촬영영상을 요청하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요청된 해당 촬영영상을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S60). 이에, 실시간영상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단말(200)의 화면에는 요청한 장소의 실시간 촬영영상이 표시될 것이다(S70).
그리고, 사용자단말(200)에 표시되는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S75),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사용자단말(200)에서 표시되는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 및 해당 촬영영상의 컨텐츠제공정보를 토대로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선택하여(S80)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S85). 이에, 실시간영상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단말(200)의 화면에는 표시 중인 촬영영상의 선택된 일 영역에 대응하는 장소와 관련된 관련컨텐츠가 표시될 것이다(S90).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영상 서비스 방법에서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의 동작 방법의 구체적인 제어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촬영영상의 화면에서 기 구분되는 복수개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되어 어떤 표시영역인지을 지시하는 복수개의 표시셀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촬영영상 별로,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촬영영상의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기 등록되는 컨텐츠제공정보를 컨텐츠제공정보를 저장한다(S100).
이러한 컨텐츠제공정보는,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촬영영상에 대응하여, 해당 촬영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이름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표시셀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셀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해당 장소의 이름정보와, 주소정보와, 좌표정보와, 연락처정보와, 주변지역정보, 해당 장소로의 기 등록된 화상채팅접속정보, 화상통화단말정보, 인터넷전화접속정보, 메시지송신접속정보, 해당 장소의 등록된 홈페이지주소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맵핑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제공정보는, 본 발명의 실시간영상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개인, 사기업, 자영업자, 공기업 등)로부터 기 등록받아 저장되거나,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간영상서비스 관리자에 의해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특정 장소를 촬영하기 위해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로부터 네트워크망(1)을 통해 제공되는 촬영영상을 저장/관리한다(S110). 이때, 저장되는 촬영영상 각각은, 해당 촬영영상을 제공한 촬영장치(예 : 촬영장치A(10))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 또는 해당 촬영장치(예 : 촬영장치A(10))가 촬영하는 촬영장소의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정보 및 해당 촬영영상의 영상이름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될 것이다. 즉,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에 저장되는 촬영영상 각각은 해당 좌표정보 및 해당 영상이름정보와 대응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장소를 특정하기 위한 지리적인 좌표정보를 필요할 때마다 좌표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와 연동하여 획득할 수 있고, 또는 장소를 특정하기 위한 지리적인 좌표정보를 기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가 장소를 특정하기 위한 지리적인 좌표정보를 기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좌표정보는, 장소를 특정하기 위한 지리적인 정보로서 위도/경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POI(Point of Interest)정보가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좌표정보 이외에도 장소를 특정할 수 있는 지리적인 정보라면 다양한 형태의 정보들을 저장하여 각 촬영영상에 대응시킬 수 있을 것이다.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사용자단말(200)이 접속되어 특정 촬영영상을 요청하는지 판단하고(S120), 요청이 있는 경우 요청된 해당 촬영영상을 사용자단말(200)에 표시하도록 제공한다(S130). 이에, 실시간영상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단말(200)의 화면에는 요청한 장소의 실시간 촬영영상이 표시될 것이다.
이에, 사용자단말(20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간 촬영영상화면(A)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실시간 촬영영상화면(A)과 같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가 사용자단말(200)로 요청된 실시간 촬영영상을 제공함에 있어서, 촬영영상(A1) 뿐 아니라, 촬영영상(A1)에 대응하는 주변지역정보 및 주변지역 지도보기를 포함하는 실시간 촬영영상화면(A)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사용자단말(200)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는지 판단하고(S140), 일 영역이 선택됨을 인지하면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컨텐츠제공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S150). 즉,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촬영영상을 사용자단말(200)에 표시하도록 제공한 후 사용자단말(200)에서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됨을 인지하면,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선택된 영역의 표시셀정보를 파악하고, 사용자단말(200)에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정보를 토대로 상기 파악한 표시셀정보에 대응하는 표시영역맵핑정보를 찾음으로써,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영역맵핑정보에 따른 관련컨텐츠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실시간 촬영영상화면(A)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하는 중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촬영영상(A1)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촬영영상(A1)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선택된 영역의 표시셀정보(예 : (9,4))를 파악하고, 파악된 표시셀정보(예 : (9,4))에 대응하는 표시영역맵핑정보를 촬영영상(A1)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정보를 토대로 찾음으로써,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여 찾아진 표시영역맵핑정보(10b)에 따른 관련컨텐츠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가 사용자단말(200)에 관련컨텐츠를 제공하는 S150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7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사용자단말(200)에 표시되는 촬영영상(A1)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 및 컨텐츠제공정보를 토대로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영역맵핑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장소의 이름정보와, 주소정보와, 촬영영상과, 연락처정보와, 주변지역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추출한다(S151). 그리고, 추출된 장소의 이름정보와, 주소정보와, 촬영영상과, 연락처정보와, 주변지역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실시간정보홈페이지를 관련컨텐츠로서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S152). 이때,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표시영역맵핑정보에 포함된 좌표정보를 토대로 이에 대응하는 촬영영상을 영상저장부(110)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도 7a에 따르면, 도 8a의 실시간 촬영영상화면(A)을 표시하는 사용자단말(200)에서 a영역을 선택하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선택된 해당 a영역에 대응하는 표시셀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해당 컨텐츠제공정보의 표시영역맵핑정보에 따라,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영역의 장소(AA식당)에 대응하는 이름정보(AA식당), 실시간 촬영영상, 주소정보, 연락처정보, 주변지역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정보홈페이지(8a)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사용자단말(200)에 표시되는 촬영영상(A1)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 및 컨텐츠제공정보를 토대로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영역맵핑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장소로의 화상채팅시도항목, 화상통화시도항목, 인터넷전화시도항목, 메시지보내기시도항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추출한다(S153). 그리고, 추출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채팅시도항목, 화상통화시도항목, 인터넷전화시도항목, 메시지보내기시도항목을 포함하는 커뮤니케이션시도메뉴를 관련컨텐츠로서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S154).
이에, 도 7b에 따르면, 도 8a의 실시간 촬영영상화면(A)을 표시하는 사용자단말(200)에서 a영역을 선택하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선택된 해당 a영역에 대응하는 표시셀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해당 컨텐츠제공정보의 표시영역맵핑정보에 따라, a영역의 장소(AA식당)에 대응하는 이름정보(AA식당), 촬영영상, 주소정보, 연락처정보, 화상채팅시도항목, 화상통화시도항목, 인터넷전화시도항목, 메시지보내기시도항목을 포함하는 커뮤니케이션시도메뉴(8b)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단말(200)에서 커뮤니케이션시도메뉴(8b)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화상통화시도항목인 "화상통화하기"를 선택하면, 사용자단말(200)은 화상통화시도항목에 링크된 화상통화단말정보(예 : 000-XXXX-0000)로 화상통화를 시도하여 AA식당으로 화상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단말(200)은 화상채팅시도항목을 선택하여 AA식당으로 화상통화를 연결하거나, 또는 인터넷전화시도항목을 선택하여 AA식당으로 인터넷전화를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7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사용자단말(200)에 표시되는 촬영영상(A1)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 및 컨텐츠제공정보를 토대로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영역맵핑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장소의 기 등록된 홈페이지주소정보를 추출한다(S155). 그리고, 추출한 홈페이지주소정보에 따른 홈페이지가 관련컨텐츠로서 사용자단말(200)에 제공되도록 인터페이스한다(S156).
이에, 도 7c에 따르면, 도 8a의 실시간 촬영영상화면(A)을 표시하는 사용자단말(200)에서 a영역을 선택하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선택된 해당 a영역에 대응하는 표시셀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해당 컨텐츠제공정보의 표시영역맵핑정보에 따라, a영역의 장소(AA식당)에 대응하여 등록된 홈페이지주소정보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하여 해당 AA식당의 홈페이지(8c)에 자동 접속하도록 유도하거나, 또는 a영역의 장소(AA식당)에 대응하여 등록된 홈페이지주소정보를 토대로 홈페이지서비스서버(330)에 접속하여 해당 AA식당의 홈페이지(8c)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사용자단말(200)에서 표시되는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사용자단말(200)의 포인터(예 : 마우스포인터)에 의해 지시되면, 사용자단말(200)에 표시되는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 및 컨텐츠제공정보를 토대로 사용자단말(200)에서 지시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장소의 이름정보와, 주소정보를 팝업형식 또는 링크메뉴 형식을 통해 추가 표시하는 추가정보메뉴를 관련컨텐츠로서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실시간 촬영영상화면(A)을 표시하는 사용자단말(200)에서 a영역을 지시하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선택된 해당 a영역에 대응하는 표시셀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해당 컨텐츠제공정보의 표시영역맵핑정보에 따라, a영역의 장소(AA식당)에 대응하는 이름정보(AA식당),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추가정보메뉴를 팝업형식 또는 링크메뉴 형식을 통해 실시간 촬영영상화면(A) 상에 추가 표시하도록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100)는, 촬영영상을 사용자단말(200)에 표시하도록 제공한 후 사용자단말(200)에서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지시됨을 인지하면, 해당 촬영영상에 표시영역 별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지시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셀정보에 대응하는 표시영역맵핑정보에 따른 관련컨텐츠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 이에, 실시간영상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단말(200)의 화면에는 표시 중인 촬영영상의 선택된 일 영역에 대응하는 장소와 관련된 관련컨텐츠가 표시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방법은, 특정 거리, 관광지, 유명한 레스토랑의 실내, 영화관 등의 다양한 오프라인 장소에 대한 실시간 촬영영상을 관리함으로써, 영상표시가 가능한 사용자단말(200)이 접속/요청하는 특정 장소의 실시간 촬영영상을 빠르고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표시되는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장소에 대응하는 추가적인 추가적인 관련컨텐츠(촬영영상, 실시간정보홈페이지, 커뮤니케이션시도메뉴, 홈페이지 등)를 사용자단말(200)에 제공함으로써, 특정 장소에 대한 일회성의 실시간 영상 뿐 아니라 해당 영상을 통해 보다 유용한 추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방법에 따른 실시간영상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단말(200)의 측면에서는, 특정 장소의 실시간 촬영영상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당 촬영영상에 포함된 장소, 상점, 건물, 식당 등이 보여지는 표시영역을 선택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해당 영역에 위치하는 장소의 내부 실시간 촬영영상과 같은 구체적이고 유용한 추가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오프라인 상에서 원하는 장소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눈으로 확인하는 듯한 느낌을 온 라인 상에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방법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특정 장소를 촬영하기 위해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가 촬영한 촬영영상을 네트워크망(1)을 통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로 제공한다(S210).
이에, 네트워크망(1)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로부터 제공되는 촬영영상을 수신하는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는, 수신된 촬영영상을 해당 위치에 대응하여 저장/관리한다(S20). 바람직하게는,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가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로부터의 촬영영상을 저장/관리함에 있어서,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는, 장소를 특정하는 지리적인 좌표정보(예 : 위도/경도 정보)를 기 저장하거나 또는 좌표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와 연동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가 설치된 위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가 촬영하는 해당 촬영장소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해당 좌표정보를 각 촬영영상과 대응시켜 관리할 수 있다.
이에,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는, 촬영장치(예 : 촬영장치A(10))로부터 제공되는 촬영영상를 저장함에 있어서, 해당 촬영장치(예 : 촬영장치A(10))가 촬영하고 있는 촬영장소의 지리적인 좌표정보를 대응시켜 저장/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는, 각 촬영영상 별로 대응되는 좌표정보를 통해 각 촬영영상이 지리적으로 어느 장소를 촬영하고 있는지를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가 제공하는 실시간영상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단말(200)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에 접속한다(S255). 여기서, 사용자단말(200)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예들 중 하나를 채택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사용자단말(200)에 웹서비스서버(300) 특히 포털서비스서버(310)에 접속하여(S230), 실시간영상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실시간영상서비스접속요청을 입력하면(S240), 이에 사용자단말(200)은 웹서비스서버(300)로 접속을 요청한다(S250). 이에 사용자단말(200)은 접속 요청에 따라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에 접속할 수 있다(S255).
이에, 사용자단말(200)이 원하는 장소(예 : "신촌로터리") 를 입력하거나 선택함으로써 특정 장소의 촬영영상을 요청하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는 요청된 해당 촬영영상을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S260). 이에, 실시간영상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단말(200)의 화면에는 요청한 장소의 실시간 촬영영상이 표시될 것이다(S270).
그리고, 사용자단말(200)에 표시되는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S275),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는 사용자단말(200)에서 표시되는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 및 해당 촬영영상의 컨텐츠제공정보를 토대로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여 등록된 화상통화단말(300)을 선택하여(S280) 화상통화단말(300)로 화상통화를 시도한다(S285). 이에 화상통화단말(300)과 화상통화가 이루어 지면(S287),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는 화상통화를 통해 화상통화단말(500)로부터 제공되는 촬영화상을 관련컨텐츠로서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S290). 이에, 실시간영상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단말(200)의 화면에는 표시 중인 촬영영상의 선택된 일 영역에 대응하는 장소와 관련된 관련컨텐츠가 표시될 것이다(S295).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제2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영상 서비스 방법에서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의 동작 방법의 구체적인 제어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는, 촬영영상의 화면에서 기 구분되는 복수개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되어 어떤 표시영역인지을 지시하는 복수개의 표시셀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는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촬영영상 별로,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촬영영상의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기 등록되는 컨텐츠제공정보를 컨텐츠제공정보를 저장한다(S400). 즉, 컨텐츠제공정보는, 각 촬영영상 별로, 해당하는 오프라인 상의 실제 장소(상점, 영화관, 식당, 사무실 등)에 대응하도록 기 등록되는 화상통화단말정보(예 : 전화번호)가 포함된 정보이다.
여기서, S400단계에서 저장되는 컨텐츠제공정보는, 영상저장부(410)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촬영영상에 대응하여, 해당 촬영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이름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표시셀정보와, 화상통화단말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맵핑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컨텐츠제공정보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정보와 바와 같이, 각 촬영영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맵핑정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셀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해당 장소의 이름정보와, 주소정보와, 좌표정보와, 연락처정보와, 주변지역정보, 해당 장소로의 기 등록된 화상채팅접속정보, 인터넷전화접속정보, 메시지송신접속정보, 해당 장소의 등록된 홈페이지주소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컨텐츠제공정보는, 본 발명의 실시간영상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개인, 사기업, 자영업자, 공기업 등)로부터 기 등록받아 저장되거나,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간영상서비스 관리자에 의해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는, 특정 장소를 촬영하기 위해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10,20...30)로부터 네트워크망(1)을 통해 제공되는 촬영영상을 저장/관리한다(S410). 이때, 저장되는 촬영영상 각각은, 해당 촬영영상을 제공한 촬영장치(예 : 촬영장치A(10))가 설치된 지리적 위치 또는 해당 촬영장치(예 : 촬영장치A(10))가 촬영하는 촬영장소의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정보 및 해당 촬영영상의 영상이름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될 것이다. 즉,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에 저장되는 촬영영상 각각은 해당 좌표정보 및 해당 영상이름정보와 대응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는, 장소를 특정하기 위한 지리적인 좌표정보를 필요할 때마다 좌표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와 연동하여 획득할 수 있고, 또는 장소를 특정하기 위한 지리적인 좌표정보를 기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가 장소를 특정하기 위한 지리적인 좌표정보를 기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좌표정보는, 장소를 특정하기 위한 지리적인 정보로서 위도/경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POI(Point of Interest)정보가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좌표정보 이외에도 장소를 특정할 수 있는 지리적인 정보라면 다양한 형태의 정보들을 저장하여 각 촬영영상에 대응시킬 수 있을 것이다.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사용자단말(200)이 접속되어 특정 촬영영상을 요청하는지 판단하고(S420), 요청이 있는 경우 요청된 해당 촬영영상을 사용자단말(200)에 표시하도록 제공한다(S430). 이에, 실시간영상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단말(200)의 화면에는 요청한 장소의 실시간 촬영영상이 표시될 것이다.
이에, 사용자단말(200)에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간 촬영영상화면(A)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도 8a에 도시된 실시간 촬영영상화면(A)과 같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가 사용자단말(200)로 요청된 실시간 촬영영상을 제공함에 있어서, 촬영영상(A1) 뿐 아니라, 촬영영상(A1)에 대응하는 주변지역정보 및 주변지역 지도보기를 포함하는 실시간 촬영영상화면(A)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는, 사용자단말(200)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는지 판단하고(S440), 일 영역이 선택됨을 인지하면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컨텐츠제공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는, 실시간 촬영영상화면(A)을 사용자단말(200)에 표시하도록 제공한 후 S440단계를 통해 사용자단말(200)에서 촬영영상(A1)의 a영역이 선택됨을 인지하면,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선택된 영역의 표시셀정보를 파악하고, 사용자단말(200)에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정보를 토대로 상기 파악한 표시셀정보에 대응하는 표시영역맵핑정보를 찾음으로써,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영역맵핑정보의 화상통화단말정보에 기초하여, 화상통화단말(500)을 선택하여 화상통화를 시도한다(S460). 이에,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는, 화상통화를 통해 화상통화단말(500)로부터 제공되는 촬영화상을 관련컨텐츠로서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S470).
예를 들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는, 실시간 촬영영상화면(A)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하는 중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촬영영상(A1)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촬영영상(A1)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선택된 영역의 표시셀정보(예 : (9,4))를 파악하고, 파악된 표시셀정보(예 : (9,4))에 대응하는 표시영역맵핑정보를 촬영영상(A1)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정보를 토대로 찾음으로써,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여 찾아진 표시영역맵핑정보(10b)의 화상통화단말정보에 따른 화상통화단말(500)로 화상통화를 시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는, S400단계에서 저장된 컨텐츠제공정보에 포함된 다양한 정보들에 기초하여, 화상통화단말(500)로부터 제공되는 촬영화상 뿐만 아니라 도 8b의 8a, 8b와 같은 촬영화상을 포함한 실시간정보홈페이지, 커뮤니케이션시도메뉴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할 수도 있다(S470).
이때,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는, 화상통화단말(500)로부터 제공되는 실시간 촬영화상을 화상통화단말(500)에 대응하는 표시영역맵핑정보 내의 좌표정보 및 이름정보와 대응시켜 영상저장부(410)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화상통화단말(500)의 촬영화상에 대응시킨 이름정보는 해당 촬영화상의 영상이름정보로서 대응되어 저장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된 해당 a영역에 대응하는 장소에 촬영장치(예 : 촬영장치B(2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된 해당 a영역에 대응하는 해당 컨텐츠제공정보의 표시영역맵핑정보에 포함된 좌표정보에 대응되는 실시간 촬영영상이 영상저장부(410)에 기 존재할 것이다.
또는,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된 해당 a영역에 대응하는 장소에 촬영장치(예 : 촬영장치B(20))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라도, 타 사용자단말(미도시)에서 동일한 a영역을 먼저 선택함에 따라 화상통화단말(500)로부터 제공되는 실시간 촬영화상이 관련컨텐츠로서 타 사용자단말(미도시)로 제공됨과 동시에 영상저장부(410)에 실시간 저장되고 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는, S440단계를 통해 사용자단말(200)에서 표시되는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됨을 인지하면,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해당 컨텐츠제공정보의 표시영역맵핑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촬영영상이 영상저장부(410)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50). 이에, S450단계의 판단 결과,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촬영영상이 영상저장부(410)에 존재하면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는, 해당 촬영영상을 관련컨텐츠로서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하고(S480), 해당 촬영영상이 존재하지 않으면 전술한 S460단계 및 S470단계를 수행하여 화상통화단말정보에 따라 화상통화단말(500)로 화상통화를 시도한 후 제공되는 촬영화상을 관련컨텐츠로서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처럼,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400)는, 촬영영상을 사용자단말(200)에 표시하도록 제공한 후 사용자단말(200)에서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지시됨을 인지하면, 해당 촬영영상에 표시영역 별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지시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셀정보에 대응하는 표시영역맵핑정보에 따른 실시간 촬영영상/촬영화상을 포함하는 관련컨텐츠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 이에, 실시간영상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단말(200)의 화면에는 표시 중인 촬영영상의 선택된 일 영역에 대응하는 장소와 관련된 관련컨텐츠가 표시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방법은, 특정 거리, 관광지, 유명한 레스토랑의 실내, 영화관 등의 다양한 오프라인 장소에 대한 실시간 촬영영상을 관리함으로써, 영상표시가 가능한 사용자단말(200)이 접속/요청하는 특정 장소의 실시간 촬영영상을 빠르고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표시되는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장소에 대응하는 추가적인 추가적인 관련컨텐츠(촬영영상, 실시간정보홈페이지, 커뮤니케이션시도메뉴, 홈페이지 등)를 사용자단말(200)에 제공함으로써, 특정 장소에 대한 일회성의 실시간 영상 뿐 아니라 해당 영상을 통해 보다 유용한 추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에 따른 실시간영상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단말(200)의 측면에서는, 특정 장소의 실시간 촬영영상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당 촬영영상에 포함된 장소, 상점, 건물, 식당 등이 보여지는 표시영역을 선택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해당 영역에 위치하는 장소의 내부 실시간 촬영영상과 같은 구체적이고 유용한 추가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오프라인 상에서 원하는 장소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눈으로 확인하는 듯한 느낌을 온 라인 상에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사용자단말로부터 요청되는 특정 장소의 실시간 촬영영상을 제공하여 표시하도록 한 후 사용자단말에서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지시됨을 인지하면, 해당 촬영영상에 포함되는 장소들에 대응하는 위치정보 및 컨텐츠제공정보를 토대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부가적인 관련컨텐츠를 사용자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자로 하여금 오프라인 상에서 원하는 장소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눈으로 확인하는 듯한 느낌을 온 라인 상에서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방법을 적용할 경우, 실시간 영상 서비스에 대한 고객 의 이용 편리함 및 만족도를 증대시키고, 적용되는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 및 서비스솔루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7a, 도7b, 도7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에서 관련컨텐츠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예를 보여주는 구체적인 제어 흐름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에서 실시간 촬영영상화면이 보여지는 예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에서 다양한 예에 따라 관련컨텐츠가 보여지는 예시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 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네트워크망 10, 20...30 : 촬영장치
100 :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 200 : 사용자단말
300 : 웹서비스서버

Claims (25)

  1. 특정 장소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 및
    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촬영영상을 관리하고, 접속되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요청되는 해당 촬영영상을 상기 사용자단말에 표시하도록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는,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장치 또는 중계장치에 설치되는 카메라와, 컴퓨터장치에 연결되는 웹카메라와, 이동단말장치에 구비되는 모바일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소정의 촬영영상을 요청하고 상기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촬영영상을 표시 하며, 표시되는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이에 따른 영역선택신호를 상기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해당 장소의 기 등록된 화상통화단말로 화상통화를 시도하여, 상기 화상통화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촬영화상을 상기 관련컨텐츠로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통화단말은,
    상기 실시간영상서비스서버로부터의 화상통화 시도에 의한 화상통화 착신 시, 금번 착신되는 화상통화의 촬영화상이 실시간 영상 서비스에 제공되는 화상통화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
  6.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영상을 저장하는 영상저장부;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위치정보저장부;
    상기 영상저장부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촬영영상 별로,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촬영영상의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기 등록되는 컨텐츠제공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제공정보저장부; 및
    접속되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요청되는 해당 촬영영상을 상기 사용자단말에 표시하도록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컨텐츠제공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컨텐츠제공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장소의 이름정보와, 주소정보와, 촬영영상과, 연락처정보와, 주변지역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실시간정보홈페이지를 상기 관련컨텐츠로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컨텐츠제공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장소로의 화상채팅시도항목, 화상통화시도항목, 인터넷전화시도항목, 메시지보내기시도항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커뮤니케이션시도메뉴를 상기 관련컨텐츠로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컨텐츠제공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장소의 기 등록된 홈페이지를 상기 관련컨텐츠로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에 제공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기 구분된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표시셀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제공정보는,
    상기 영상저장부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촬영영상에 대응하여, 해당 촬영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이름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표시셀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셀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해당 장소의 이름정보와, 주소정보와, 좌표정보와, 연락처정보와, 주변지역정보, 해당 장소로의 기 등록된 화상채팅접속정보, 화상통화단말정보, 인터넷전화접속정보, 메시지송신접속정보, 해당 장소의 등록된 홈페이지주소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맵핑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
  12.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영상을 저장하는 영상저장부;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위치정보저장부;
    상기 영상저장부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촬영영상 별로,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촬영영상의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기 등록되는 컨텐츠제공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제공정보저장부; 및
    접속되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요청되는 해당 촬영영상을 상기 사용자단말에 표시하도록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컨텐츠제공정보의 화상통화단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여 기 등록 된 화상통화단말로 화상통화를 시도하고 상기 화상통화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촬영화상을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 및 상기 컨텐츠제공정보를 토대로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촬영영상이 상기 영상저장부에 존재하면, 해당 촬영영상을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에 제공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기 구분된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표시셀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제공정보는,
    상기 영상저장부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촬영영상에 대응하여, 해당 촬영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이름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표시셀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셀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해당 장소의 이름정보와, 주소정보와, 좌표정보와, 연락처정보와, 주변지역정보, 해당 장소로의 기 등록된 화상채팅접속정보, 화상통화단말정보, 인터넷전화접속정보, 메시지송신접속정보, 해당 장소의 등록된 홈페이지주소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맵핑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
  16.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영상을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촬영영상 별로,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촬영영상의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기 등록되는 컨텐츠제공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접속되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요청되는 해당 촬영영상을 상기 사용자단말에 표시하도록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컨텐츠제공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컨텐츠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컨텐츠제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장소의 이름정보와, 주소정보와, 촬영영상과, 연락처정보와, 주변지역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실시간정보홈페이지를 상기 관련컨텐츠로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컨텐츠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컨텐츠제공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장소로의 화상채팅시도항목, 화상통화시도항목, 인터넷전화시도항목, 메시지보내기시도항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커뮤니케이션시도메뉴를 상기 관련컨텐츠로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컨텐츠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컨텐츠제공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장소의 기 등록된 홈페이지를 상기 관련컨텐츠로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
  20.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에 제공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기 구분된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표시셀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제공정보는,
    상기 영상저장부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촬영영상에 대응하여, 해당 촬영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이름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표시셀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셀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해당 장소의 이름정보와, 주소정보와, 좌표정보와, 연락처정보와, 주변지역정보, 해당 장소로의 기 등록된 화상채팅접속정보, 화상통화단말정보, 인터넷전화접속정보, 메시지송신접속정보, 해당 장소의 등록된 홈페이지주소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맵핑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
  22.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영상을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촬영영상 별로,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촬영영상의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관련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기 등록되는 컨텐츠제공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접속되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요청되는 해당 촬영영상을 상기 사용자단말에 표시하도록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일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컨텐츠제공정보의 화상통화단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화상통화단말로 화상통화를 시도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통화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촬영화상을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표시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위치정보 및 상기 컨텐츠제공정보를 토대로 상기 선택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촬영영상이 상기 영상저장부에 존재하면, 해당 촬영영상을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에 제공되는 상기 촬영영상의 기 구분된 표시영역 별로 맵핑된 표시셀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제공정보는,
    상기 영상저장부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 촬영영상에 대응하여, 해당 촬영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이름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표시셀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셀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해당 장소의 이름정보와, 주소정보와, 좌표정보와, 연락처정보와, 주변지역정보, 해당 장소로의 기 등록된 화상채팅접속정보, 화상통화단말정보, 인터넷전화접속정보, 메시지송신접속정보, 해당 장소의 등록된 홈페이지주소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맵핑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
KR1020090037297A 2009-04-28 2009-04-28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 KR101447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297A KR101447180B1 (ko) 2009-04-28 2009-04-28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297A KR101447180B1 (ko) 2009-04-28 2009-04-28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441A true KR20100118441A (ko) 2010-11-05
KR101447180B1 KR101447180B1 (ko) 2014-10-07

Family

ID=43404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297A KR101447180B1 (ko) 2009-04-28 2009-04-28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1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133B1 (ko) * 2011-07-29 2013-04-09 (주)서원인텍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WO2022020611A1 (en) * 2020-07-22 2022-01-27 Grip Places Inc. Venue experience economy engagement systems and methods
CN114866682A (zh) * 2021-02-04 2022-08-05 博泰车联网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视频生成路书的方法以及一种生成个性化路书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1368A (ja) 1999-07-06 2001-01-26 Ntt Docomo Inc 移動情報端末、サーバ装置、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30016077A (ko) * 2001-08-20 2003-02-26 (주)인터정보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51508B1 (ko) * 2004-01-30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지역 정보 서비스 시스템
JP4914268B2 (ja) 2007-03-29 2012-04-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検索サービスサーバの情報検索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133B1 (ko) * 2011-07-29 2013-04-09 (주)서원인텍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WO2022020611A1 (en) * 2020-07-22 2022-01-27 Grip Places Inc. Venue experience economy engagement systems and methods
CN114866682A (zh) * 2021-02-04 2022-08-05 博泰车联网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视频生成路书的方法以及一种生成个性化路书的方法
CN114866682B (zh) * 2021-02-04 2024-03-12 博泰车联网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视频生成路书的方法以及一种生成个性化路书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7180B1 (ko) 201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8654B2 (ja) 関心地点情報をプッシュ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50319297A1 (en) Method of providing a cellular phone/pda communication system
US7689232B1 (en) Method of providing call forward of voice and messages and remote phone activation
US20060199612A1 (en) Method of providing a cellular phone/pda communication system
US20080102809A1 (en) Method of providing cell phones in a cell phone signal strength chart of multiple cell phone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8131298B1 (en) Method of providing a cellular phone/PDA communication system
US200700329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related information to a network user
JP5984685B2 (ja) 表示システム、サーバ、端末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153320A (ja) 位置情報通知システムおよび位置情報通知方法
CN103164480A (zh) 用于在社交网络中推荐兴趣点的方法和设备
JP2011004143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
KR101447180B1 (ko)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
JP2008085945A (ja) 位置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622785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02271B1 (ko) 컨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KR20060108972A (ko)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280321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JP2015211316A (ja) 遠隔会議システム、遠隔会議装置、遠隔会議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092463A (ja) 呼出管理システム及び呼出管理方法
KR101303304B1 (ko) 지역기반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8164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9660444A (zh) 基于电子地图的信息共享交流系统
JP7433955B2 (ja) 情報検索システム
KR20050071950A (ko) 이동 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위치 데이터다운로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통신단말
KR20070100011A (ko) 위치 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