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7302A - 차폐판과 이 차폐판을 파괴하는 창이 구비된 스프링 압력 발사식 휴대용 치한 퇴치구 - Google Patents

차폐판과 이 차폐판을 파괴하는 창이 구비된 스프링 압력 발사식 휴대용 치한 퇴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7302A
KR20100117302A KR1020090035971A KR20090035971A KR20100117302A KR 20100117302 A KR20100117302 A KR 20100117302A KR 1020090035971 A KR1020090035971 A KR 1020090035971A KR 20090035971 A KR20090035971 A KR 20090035971A KR 20100117302 A KR20100117302 A KR 20100117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hole
liquid
ring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량
함춘식
Original Assignee
김학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량 filed Critical 김학량
Priority to KR1020090035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7302A/ko
Publication of KR20100117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3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9/00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 F41B9/0087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e.g. for self-defence, law-enforcement, industrial use, military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9/00Equipment for attack or defence by spreading flame, gas or smoke or leurres; Chemical warfare equipment
    • F41H9/10Hand-held or body-worn self-defence devices using repellant gases or chemicals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상으로 내부에는 호신용 액상물질이 충전되고, 전방 측 중심에는 상기 호신용 액상물질이 내부압력에 의해 외부로 분출되는 토출구멍 형성되며 후방측선단부 내주 연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암나사에 대응되는 수나사를 갖고 중심에 배출유도구멍이 형성되는 노즐과; 주변은 다소 두꺼우나 중앙부분은 쉽게 터질 수 있도록 초 박판 상태로 얇게 형성한 막을 차폐-판과; 상기 막을 쉽게 파괴할 수 있도록 끝 부분이 날카롭게 형성된 침부를 가진 일직선 직선상의 창(spear)과; 선단부는 외경을 크게 하여 그 바깥둘레에 링-홈이 형성되고 그 링-홈에는 밀폐-링을 가지는 피스톤 부와 축 후단 끝 부분에는 단속키를 일체로 형성된 중심이 관통 형성된 창구멍 내주연면에 링-홈이 형성되어 밀폐-링을 가지는 밀대와; 항시 압축 단속되어 있다가 단속이 해제되면 강력한 탄발 작용으로 상기 밀대를 밀어내는 스프링과; 원통형 선단 외주연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내부는 비어있는 통공이며 후단부에는 관통구멍을 가진 액체충전용 몸통과; 외주 연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스프라인(spline)이 형성되고 내부 중앙에는 장공형태의 출입구멍이 형성되며 이 출입구멍과 직각되는 방향에 단속 턱을 가지며 상기 액체충전용 몸통의 대향 면에 스프링 홈이 형성되고 이 스프링 홈에는 스프링으로 단속 볼이 탄력적으로 설치 된 단속 노브(knob)를 순차적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단속 노브(knob)를 90도 회전시키면, 압축되어 있던 상기 스프링의 압축이 해제되면서 그 탄발작용으로 밀대를 밀어내주게 되고 따라서 창구멍에 끼워져 있는 직선상의 창(spear)이 전진 하여 차폐판의 막을 파괴하면서 액체충전용 몸통에 충전되어 있는 상기 호신용 액상물질이 토출구멍을 통해서 일정압력으로 외부로 분출되도록 구성한 차폐판과 이 차폐판을 파괴하는 창(spear)이 구비된 스프링 압력 발사식 휴대용 치한 퇴치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분사거리가 5m 이상 원거리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치한으로부터 신체적인 구속의 염려가 적고, 분사시간이 20초 내지 30초로 길고 또한 방사 지름이 50cm 내지 60cm로 넓기 때문에 치한이나 상대방에게 충분한 시간 내에서 타격을 가할 수 있고, 길이가 20cm 내외이고 지름이 20mm 내외로 소형이어서 휴대와 사용이 간편하며, 탄성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여성의 적은 힘으로도 작동하기가 쉽고, 위급시 간단한 동작만으로 내부 호신용 액체 물질의 분사가 즉각적으로 이루어져 치한 등 상대방의 얼굴을 충분한 시간 내에서 정확하게 타격할 수 있어 치한 등 상대방으로부터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노즐(nozzle), 차폐판, 창(spear), 밀폐-링, 피스톤, 스프링, 노브(knob),스프라인(spline)

Description

차폐판과 이 차폐판을 파괴하는 창이 구비된 스프링 압력 발사식 휴대용 치한 퇴치구{The spring pressure firing portable molester suppress where the spear which destroys the rubber-seat and this rubber-seat is had}
본 발명은 차폐판과 이 차폐판을 파괴하는 창(spear)이 구비된 스프링 압력 발사식 휴대용 치한 퇴치구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분사거리가 5m 이상 원거리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치한으로부터 신체적인 구속의 염려가 적고, 분사시간이 20초 내지 30초로 길고 또한 방사 지름이 50cm 내지 60cm로 넓기 때문에 치한이나 상대방에게 충분한 시간 내에서 타격을 가할 수 있고, 길이가 20cm 내외이고 지름이 20mm 내외로 소형이어서 휴대와 사용이 간편하며, 탄성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여성의 적은 힘으로도 작동하기가 쉽고, 위급시 간단한 동작만으로 내부 호신용 액체 물질의 분사가 즉각적으로 이루어져 치한 등 상대방의 얼굴을 충분한 시간 내에서 정확하게 타격할 수 있어 치한 등 상대방으로부터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차폐판과 이 차폐판을 파괴하는 창이 구비된 스프링 압력 발사식 휴대용 치한 퇴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납치 및 강도 등 중범죄 사건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며, 경제 가 발전함에 따라 여성들의 경제활동 범위가 확대되면서 밤늦은 시간까지 여성 혼자 거리를 다니게 되는 경우가 많아져 남자에 비해 범죄에 쉽게 노출되는 것이 현 실정이다. 비단 여성뿐만 아니라 어린이 혹은 노약자들도 이러한 중범죄의 불안에서 안전하다고 말할 수는 없다.
이러한 위험에 닥칠 경우 현재 널리 보급되고 있는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경찰 혹은 가족에게 연락을 취하여 공공기관을 통해 자신을 보호하는 방법이 있으나, 최단시간의 순간 대처능력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는 현실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고려하여 늦은 시간에는 여럿이 함께 외출한다거나 혹은 아예 외출을 삼갈 수도 있겠으나, 이 또한 효과적인 대처방안은 아니다.
이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호신용 기구로서 스프레이식 액체 분사기와 권총 발사식 분사기가 종래 개시되어 있으나, 스프레이식 분사식의 경우에는 액체가 모두 배출되기까지 손으로 계속 누른 상태에서만 분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압력이 너무 약해서 30 ~ 50cm 정도로 분사거리가 너무 짧고 또한 분사 시간이 너무 짧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가 치한이나 상대방에게 구속될 우려가 많아서 사실상 치한 퇴치용으로는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권총 발사식의 경우에는 발사 처음부터 발사 종료 때까지 방아쇠를 손가락으로 계속 당기고 있거나 혹은 펌프질을 하듯이 방아쇠를 반복해서 발사해야 하는 구조이며, 이 또한 압력이 너무 약해서 50cm ~ 1m 정도로 분사거리가 너무 짧고 또한 분사 시간이 너무 짧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가 치한이나 상대방에게 구속 될 우려가 많아서 사실상 위급할 때 대응방안으로는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탄성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함으로써 여성의 적은 힘으로도 작동시키기 쉽고, 위급할 때 간단한 동작만으로 치한으로부터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하면서 5m 이상 원거리에서도 효과적으로 치한을 퇴치할 수 있도록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어린이로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누구나 사용하기가 용이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높은 고도에서 항공기 피랍 등의 테러가 발생할 경우 더 큰 사고를 염려하여 총을 사용하지 못하는 사실을 감안해볼 때, 항공기나 인체에 피해를 가하지 않고 테러범을 향하여 원거리에서 제압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공의 안전을 위한 보안용 장비로 제공함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통형상으로 내부에는 호신용 액상물질이 충전되고, 전방 측 중심에는 상기 호신용 액상물질이 내부압력에 의해 외부로 분출되는 토출구멍이 형성되며, 후방측선단부 내주 연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암나사에 대응되는 수나사를 갖고 중심에 배출유도구멍이 형성되는 노즐(nozzle)과; 주변은 다소 두꺼우나 중앙부분은 쉽게 터질 수 있도록 초 박판 상태로 얇게 형성한 막을 차폐-판과; 상기 막을 쉽게 파괴할 수 있도록 끝 부분이 날카롭게 형성된 침부를 가진 일직선 직선상의 창(spear)과; 선단부는 외경을 크게 하여 그 바깥둘레에 링-홈이 형성되고 그 링-홈에는 밀폐-링을 가지는 피스톤 부와 후단 끝 부분에는 단속 키를 일체로 형성된 중심이 관통 형성된 창구멍에 링-홈이 형성되어 밀폐-링을 가지는 밀대와; 항시 압축 단속되어 있다가 단속이 해제되면 강력한 탄발 작용으로 상기 밀대를 밀어내는 인장스프링과; 원통형 선단 외주연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내부는 통공이며 후단부에는 관통구멍을 가진 액체충전용 몸통과; 외주연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스프라인(spline)이 형성되고 내부 중앙에는 장공형태의 출입구멍이 형성되며 이 출입구멍과 직각되는 방향에 단속 턱을 가지며 상기 액체충전용 몸통에 대향하는 밀착 면에는 스프링 홈이 형성되고 이 스프링 홈에는 스프링으로 단속볼이 탄력적으로 설치된 단속노브(knob)를 순차적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단속노브를 90도 회전시키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상기 스프링의 압축이 해제되면서 그 탄발작용으로 밀대를 밀어내주게 되고 따라서 밀대의 창구멍에 끼워져 있는 창(spear)이 전진하여 차폐판 중앙의 막을 파괴하면서 충전되어 있는 상기 호신용 액상물질이 토출구멍을 통해서 일정압력으로 외부로 분출되도록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장기간 보관해도 충전된 호신용 액상물질이 외부로 누수 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긴급사용 시에는 즉각 파괴되어 호신용 액상물질이 배출되도록 하는 전방 측 중심에는 상기 호신용 액상물질이 내부압력에 의해 외부로 분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후방측선단부 내주 연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에 대응되는 수나사를 갖고 중심에 배출구멍이 형성된 노즐과, 긴급사용 시에는 즉각 파괴되어 호신용 액상물질이 배출되도록 주변은 다소 두꺼우나 중앙부분은 쉽게 터질 수 있도록 초 박판 상태로 얇게 형성한 막을 가진 차폐-판을 구성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막을 쉽게 파괴할 수 있도록 끝 부분이 날카롭게 형성된 침부를 가진 일직선 직선상의 창(spear)과, 선단부는 외경을 크게 하여 그 바깥둘레에 링-홈이 형성되고 그 링-홈에는 밀폐-링을 가지는 피스톤 부와 축 후단 끝 부분에는 단속 키를 일체로 형성된 중심이 관통 형성된 창구멍에 링-홈이 형성되어 밀폐-링을 가지는 밀대 구성하고 압축된 상태로 단속되어 있다가 단속이 해제되면 강력한 탄발 작용으로 상기 밀대를 밀어내는 스프링으로 충전된 호신용 액상물질을 강하게 배출하도록 더 구성하는 특징이 있다.
원통형 선단 외주연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내부는 통공이며 후단부에는 관통구멍을 가진 액체충전용 몸통과, 외주 연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스프라인(spline)이 형성되고 내부 중앙에는 장공형태의 출입구멍이 형성되며 이 출입구멍과 직각되는 방향에 단속 턱을 가지며 상기 액체충전용 몸통과 대향하는 밀착 면에 스프링 홈이 형성되고 이 스프링 홈에는 스프링으로 단속볼이 탄력적으로 설치된 단속노브(knob)를 순차적으로 결합 구성함으로써, 상기 단속노브를 90도 회전시키면 압축되어 있던 상기 스프링의 압축이 해제되면서 그 탄발작용으로 압력 축을 밀어주게 되고 따라서 압력 축의 로드 홀에 끼워져 있는 로드가 전진하여 막을 파괴하면서 충전되어 있는 상기 호신용 액상물질이 토출구멍을 통해서 일정압력으로 외부로 분출되도록 더 구성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분사거리가 5m 이상 원거리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치한으로부터 신체적인 구속의 염려가 적고, 분사시간이 20초 내지 30초로 길고 또한 방사 지름이 50cm 내지 60cm로 넓기 때문에 치한이나 상대방에게 충분한 시간 내에서 타격을 가할 수 있고, 길이가 20cm 내외이고 지름이 20mm 내외로 소형이어서 휴대와 사용이 간편하며, 탄성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여성의 적은 힘으로도 작동하기가 쉽고, 위급시 간단한 동작만으로 내부 호신용 액체 물질의 분사가 즉각적으로 이루어져 치한 등 상대방의 얼굴을 충분한 시간 내에서 정확하게 타격할 수 있어 치한 등 상대방으로부터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 예인 휴대용 치한 퇴치구의 모습을 보인 완제품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 예인 휴대용 치한 퇴치구의 단속노브(knob)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분해결합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로 호신용 액 체 물질의 충전 보관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며, 도 4b는 압축상태의 스프링 단속이 해제되어 충전된 호신용 액체 물질이 발사되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단속노브의 사시시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단속노브의 단속 상태 예시도이며 ,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단속노브의 단속 해제상태의 예시도이며, 도 6은 상기 도 4a의 상태에서 스프링을 제거하여 확대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압력축의 단면도이며, 도 8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폐판의 중앙 막을 파괴하는 창의 사시도이며, 도 8b는 상기 도 8a의 전체 단면 예시도이며, 도 9는 상기 도 8a 및 도 8b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절개확대도이며,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차폐판 사시도이며, 조 10b는 도 10a의 차폐판 단면이며, 도 11a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11b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상태의 작동장치를 설명하는 일 측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차폐판과 이 차폐판을 파괴하는 창이 구비된 스프링 압력 발사식 휴대용 치한 퇴치구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도 4b에 의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노-즐(10)을 비롯한 차폐 판(20)과 창(30)과 밀폐링(40a), (40b) 및 밀대(50)와 스프링(60),(90), 그리고 액체충전용 몸통(70)과 단속노브(80)가 순차적으로 결합 구성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의 노즐(10)은 도 4a,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일 측면을 원뿔형으로 형성하되, 그 중심에는 관통하는 토출구멍(11)과 이 토출구멍과 연장되어 호신용액상 물질의 배출을 유도하는 배출유도구멍(12) 을 형성하고 내주연면에는 하기 설명하는 액체충전용 몸통을 결합하는 암나사(13)를 형성한다.
상기 노즐(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차폐판(20)을 형성하되, 이 차폐판(20)은 도 3 및 도 10a, 10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분이 쉽게 파괴될 수 있도록 둘레 면보다 얇은(초 박판형태) 막(21)을 형성하고, 순서에 따라 상기의 노즐(10) 내부에 삽입한다.
이어서 상기의 창(30)은 도 8a, 8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상으로 길게 형성하되, 상기 막(21)을 신속하게 파괴할 수 있도록 그 한쪽 끝부분을 날카롭고 예리하게 하는 침부(31)를 형성한다.
상기 밀대(50)의 외경에 형성하는 링홈(51a)과 내경 창구멍(54)에 형성하는 링홈(51b)에 결합되는 밀폐링(40a),(40b)은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것으로 적정한 크기의 크고 작은 것을 구비한다.
이어서 상기의 밀대(50)는 그 선단부의 지름을 크게 한 피스톤(51)와 걸림 턱(51')부를 형성하여 그 바깥둘레에 링-홈(51a)을 형성하고 그 뒤 쪽은 지름을 작게 한 축(52b)을 형성하되, 그 끝부분에 양쪽을 깎아내고 그 둘레 면에 홈을 형성한 단속키(53)를 형성하며 또 축 방향으로 중심에는 관통된 창구멍(54)을 형성하며 상기 창구멍(54)의 내경(內徑)에는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링홈(51b)을 형성한 후, 상기 구비된 밀폐링(40a)(40b) 중, 지름이 큰 밀폐링(40a)은 도 6 및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바깥둘레 면에 형성한 링홈(51a)에 결합하고 지름이 작은 밀폐링(40b)은 창구멍(54)에 형성한 링홈(51b)에 각각 결합하며, 상기 결합된 창구멍(54)에는 도 4a, 4b 및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작은 밀폐링(40b)을 관통하도록 상기의 창(30)을 삽입한다.
상기의 스프링(60)은 압축력이 강한 강철재질로 형성하여 상기의 축(52b) 외경에 결합한다.
상기 액체충전용 몸통(70)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그 선단 외주연면 일부에는 수나사(71)를 형성하고 그 후단에는 관통구멍(72)을 형성한다.
끝으로 상기의 단속노브(80)는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외주연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스프라인(81)을 형성하고 그 중앙에 출입구멍(82)을 형성하되, 이 출입구멍(82) 양쪽에는 단속 턱(83)을 형성하며, 또한 일 측면 즉 액체충전용 몸통(70)과 접촉하는 면에 스프링 홈(84)을 형성하여 스프링(90)과 단속볼(100)을 탄력 설치한다.
상술한바와 같이 형성한 각 구성부품은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노즐(10) 내부에는 차폐판(20)을 결합하고, 밀대(50)의 외주연면 링홈(51a)과 내주연면 링홈(51b)에는 각각의 밀폐링(40a) (40b)을 결합하고, 창구멍(54)에는 침부(31)가 노즐(10)방향으로 향하도록 창(30)을 삽입하며, 스프링(60)을 축(52b)에 삽입한 상태에서 스프링(60)이 압축되도록 그 후단부분부터 밀대(50)를 서서히 밀어 넣게 되면 스프링(60)이 압축되면서 밀대(50)가 액체충전용 몸통(70) 내부로 들어가는 한편 그 후단부의 단속키(53) 부분이 액체충전용 몸통(70)에 형성된 관통구멍(72)밖으로 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60)을 압축해서 밀대(50)의 후단부분의 단속키(53)가 관통구멍(72)으로 돌출되도록 유지하는 상태에서 밀대(50)의 단속키(53)와 단속노브(80)의 출입구멍(82)을 일치시켜서 밀어 넣은 다음 도 5b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단속노브(80)를 시계방향 또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주게 되면, 도 5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밀대(50)의 단속키(53)가 단속노브(80)의 단속턱(83)에 걸리게 되면서 스프링(60)이 압축된 상태로 밀대(50)가 액체충전용 몸통(70) 내부에 결합되어 있게 되며 이때의 단속노브(80)에서 스프링(90)으로 탄력설치 되어 있는 단속볼(100)은 스프링(90)을 압축하면서 액체충전 몸통(70)의 반구홈(73)에 안착한 상태로 결합되며, 이와 같이 결합한 상태에서 단속노브(80)가 밑으로 향하도록 액체충전용 몸통(70)을 세워서 치한 퇴치용 액상물질(w)을 가득 충전하며, 충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노즐(10)의 암나사(13)를 액체충전용 몸통(70)의 수나사(71)에 일치시켜서 체결하게 되면 조립이 완료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본 발명의 휴대용 치한 퇴치구는, 평소에 찾기 쉬운 겉옷 주머니 또는 가방 일측에 보관하 였다가, 위급시에는 바로 꺼내서 토출구멍(12)이 치한의 얼굴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단속노브(80)를 시계방향이나 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주게 되면 그 즉시 압축되었던 스프링(60)이 펼쳐지면서 그 탄성력에 의해서 밀대(50)를 토출구멍(12) 측으로 밀어내서 창구멍(54)에 끼워져서 막(21)에 근접해 있는 창(30)을 동시에 이동시키게 되므로 이동하는 창(30)의 끝부분인 침부(31)가 차폐판(20)의 중앙부분인 막(21)을 파괴하게 되고, 따라서 막(21)이 파괴되는 동시에 호신용 액상물질(w)이 배출유도구멍(12)을 통해서 토출구멍(11)으로 배출되면서 치한의 눈, 코, 입 등으로 넓게 펴져서 일시적으로 치한의 시야나 행동을 차단시켜 그 틈새를 이용하여 치한으로부터 탈출하거나 제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 11a 및 도 11b에 의해 설명하는 하는 바와 같이, 노즐(101)의 토출구멍(102)은 고무마개(110)로 밀봉하고 밀대(501)는 그 끝부분에 구멍(502)을 형성하여 안전핀(120)을 끼워서 단속하며, 이 안전핀(120)에는 손가락을 걸어서 당길 수 있도록 하는 링 등의 고리(130)를 결합 구성하여, 이 고리(130)를 당기면 안전핀(120)이 이탈되면서 압축되었던 스프링(140)이 복원되면서 그 압력으로 액체충전 몸통(701) 내부의 호신용 액상물질(w)을 분사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창(301)의 끝 부분인 침부(301)를 칼날같이 예리하게 형성한 상태에서 그 중앙을 V컷팅 하여 호신용 액상물질(w)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제공한다.
이렇게 휴대용 치한 퇴치구의 사용자는 단속노브(80)를 회전시킴으로써 액체 충전용 몸통(70) 내부의 호신용 액상물질(w)을 일정압력으로 분사시킬 수 있어 사용이 보다 손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치한 퇴치구의 사용자는 고리(130)를 당겨서 안전핀(120)을 분리하는 수단으로 액체충전용 몸통(701) 내부의 호신용 액상물질(w)을 일정압력으로 분사시킬 수 있어 사용이 보다 손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휴대용 치한 퇴치구의 액체충전용 몸통이 손에 쥐기 편하고, 사용자의 주머니 등에 넣어 보관하기 용이하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꺼내서 즉각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의 휴대용 치한 퇴치구는 총기류를 사용할 수 없는 항공기 내에서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바, 항공기에 충격이나 손상을 전혀 주지 않으면서도 치한이나 납치범들의 얼굴을 원거리에서 정확하게 타격할 수 있어 이들의 검거에 아주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 예인 휴대용 치한 퇴치구의 모습을 보인 완제품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 예인 휴대용 치한 퇴치구의 단속노브(knob)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분해결합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로 호신용 액체 물질의 충전 보관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4b는 압축상태의 스프링 단속이 해제되어 충전된 호신용 액체 물질이 발사되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단속노브의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단속노브의 단속 상태 예시도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단속노브의 단속 해제상태의 예시도
도 6은 상기 도 4a의 상태에서 스프링을 제거하여 확대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압력축의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폐판의 중앙 막을 파괴하는 창의 사시도
도 8b는 상기 도 8a의 전체 단면 예시도
도 9는 상기 도 8a 및 도 8b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절개확대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차폐판 사시도
조 10b는 도 10a의 차폐판 단면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11b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상태의 작동장치를 설명하는 일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노즐 11 : 토출구멍
12 : 배출유도구멍 20 : 차폐판
21 : 막 30 : 창
31 : 침부 40a, 40b : 밀폐링
50 : 밀대 51a, 51b : 링홈
52a: 피스톤 부 52b: 축
53 : 단속키 54 : 창구멍
60, 90: 스프링 70 : 액체충전용 몸통
72 : 관통구멍 80 : 단속노브
81 : 스프라인 82 : 출입구멍
83 : 단속턱 100 : 볼

Claims (3)

  1. 중심을 관통하는 토출구멍(11)과 연장되어 호신용액상 물질의 배출을 유도하는 배출유도구멍(12)을 형성하고 내주연면에는 암나사(13)를 가지는 노즐(10)과; 중앙부분이 쉽게 파괴될 수 있도록 둘레 면보다 얇은(초 박판형태) 막(21)을 형성한 차폐판(20)과; 상기 막(21)을 신속하게 파괴할 수 있도록 그 한쪽 끝부분을 날카롭고 예리하게 하는 침부(31)를 가진 창(30)과; 선단부분은 지름을 크게 한 피스톤(51)와 길림턱(51')부를 형성하여 그 바깥둘레에 링-홈(51a)을 형성하고, 그 뒤 쪽은 지름을 작게 한 축(52b)을 형성하여 그 끝부분에 단속키(53)를 형성하며, 축 방향 중심에는 관통된 창구멍(54)을 형성하여 링홈(51b)을 형성하고, 상기의 링홈(51a)(51b)에는 지름이 크고 작은 각각의 밀폐링(40a)(40b)을 결합하는 것과; 각각의 스프링(60)(90)과; 선단 외주연면에는 수나사(71)를 형성하고 그 후단에는 관통구멍(72)을 형성한 액체충전용 몸통(70)과; 외주연면에 미끄럼을 방지하는 스프라인(81)을 형성하고 그 중앙에 출입구멍(82)을 형성하되, 이 출입구멍(82) 양쪽에는 단속 턱(83)을 형성하고, 또한 일 측면 즉 액체충전용 몸통(70)과 접촉하는 면에 스프링 홈(84)을 형성하여 스프링(90)과 단속 볼(100)을 탄력 설치하는 것과; 호신용 액상물질(w)을 충전하여, 단속노브(80)를 회전시킴으로써 액체충전용 몸통(70) 내부의 호신용 액상물질(w)을 치한을 향하여 일정압력으로 분사시켜서 제압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판과 이 차폐판을 파괴하는 창이 구비된 스프링 압력 발사식 휴대용 치한 퇴치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10)의 토출구멍(11)은 고무마개(110)로 밀봉하고, 상기의 밀대(50)는 축(52b)의 끝부분에 핀 구멍(55)을 형성하여 안전핀(120)을 끼워서 단속하며, 이 안전핀(120)에는 손가락을 걸어서 당길 수 있도록 하는 링 고리(130)를 결합 구성하여, 이 고리(130)를 당기면 안전핀(120)이 이탈되면서 압축되었던 스프링(60)이 복원되면서 그 압력으로 액체충전 몸통(70) 내부의 호신용 액상물질(w)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판과 이 차폐판을 파괴하는 창이 구비된 스프링 압력 발사식 휴대용 치한 퇴치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창(30)은 한쪽 끝 양면을 칼날같이 예리하게 형성하고 그 중앙을 V커싱하여 호신용 액상물질(w)이 원활하게 배출 분사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판과 이 차폐판을 파괴하는 창이 구비된 스프링 압력 발사식 휴대용 치한 퇴치구.
KR1020090035971A 2009-04-24 2009-04-24 차폐판과 이 차폐판을 파괴하는 창이 구비된 스프링 압력 발사식 휴대용 치한 퇴치구 KR201001173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971A KR20100117302A (ko) 2009-04-24 2009-04-24 차폐판과 이 차폐판을 파괴하는 창이 구비된 스프링 압력 발사식 휴대용 치한 퇴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971A KR20100117302A (ko) 2009-04-24 2009-04-24 차폐판과 이 차폐판을 파괴하는 창이 구비된 스프링 압력 발사식 휴대용 치한 퇴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302A true KR20100117302A (ko) 2010-11-03

Family

ID=43403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971A KR20100117302A (ko) 2009-04-24 2009-04-24 차폐판과 이 차폐판을 파괴하는 창이 구비된 스프링 압력 발사식 휴대용 치한 퇴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73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716B1 (ko) * 2010-04-19 2013-07-05 김학량 휴대용 치한 퇴치구
CN109764748A (zh) * 2018-12-21 2019-05-17 李禹昆 一种破窗用的喷雾器喷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716B1 (ko) * 2010-04-19 2013-07-05 김학량 휴대용 치한 퇴치구
CN109764748A (zh) * 2018-12-21 2019-05-17 李禹昆 一种破窗用的喷雾器喷头
CN109764748B (zh) * 2018-12-21 2021-07-02 李禹昆 一种破窗用的喷雾器喷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6990A (en) Self-defense spray device
US6610028B1 (en) Needless syringe provided with a piezoelectric triggering system
RU2269082C2 (ru) Оборо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устройство самозащиты, и используемый в нем патрон
US8651396B2 (en) Personal defense device
US9927213B2 (en) Self-defense glove
US20130294005A1 (en) Self-defense apparatus and method
BR112014002089B1 (pt) dispositivo de injeção desprovido de agulha e método para a operação de um injetor desprovido de agulha
US11320233B2 (en) Non-lethal self-protection system
US10694794B2 (en) Self-defense glove
KR20100117302A (ko) 차폐판과 이 차폐판을 파괴하는 창이 구비된 스프링 압력 발사식 휴대용 치한 퇴치구
US6021572A (en) Hand-held self defense weapon with protective cover
US20040129730A1 (en) Tactical defense aerosol device
US4489943A (en) Personal protection device
US6540107B1 (en) Self-defense ring
KR101107572B1 (ko) 액상형 호신용 분사기
KR101282716B1 (ko) 휴대용 치한 퇴치구
JP2008051442A (ja) 薬剤散布容器
US3084466A (en) Weapon of self-defense
KR200452397Y1 (ko) 바늘볼을 이용한 휴대용 호신용구
KR20100115542A (ko) 액 분사장치를 구비한 단말기
KR200488122Y1 (ko) 호신용 팔찌
KR20090003502U (ko) 호신용 반지
KR20110033879A (ko) 휴대용 치한 퇴치구
GB2516252A (en) Irritant delivery device and method
KR200457243Y1 (ko) 호신용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