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3879A - 휴대용 치한 퇴치구 - Google Patents

휴대용 치한 퇴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3879A
KR20110033879A KR1020090091369A KR20090091369A KR20110033879A KR 20110033879 A KR20110033879 A KR 20110033879A KR 1020090091369 A KR1020090091369 A KR 1020090091369A KR 20090091369 A KR20090091369 A KR 20090091369A KR 20110033879 A KR20110033879 A KR 20110033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actuating
hole
self
defe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춘식
김학량
Original Assignee
김학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량 filed Critical 김학량
Priority to KR1020090091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3879A/ko
Publication of KR20110033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8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9/00Equipment for attack or defence by spreading flame, gas or smoke or leurres; Chemical warfare equipment
    • F41H9/10Hand-held or body-worn self-defence devices using repellant gases or chemic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9/00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7/00Spring gu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9/00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 F41B9/0087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e.g. for self-defence, law-enforcement, industrial use, military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측은 개방되고 후방측은 밀폐되는 원통의 관체로, 전방측 선단부 외주연에는 외측나사부가 형성되고, 외측나사부 후방측에는 밀폐링이 끼워져 안착되며, 후방측 선단면 중심에는 내측으로 통공이 형성되고, 외주연 일측의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연장되고 좌우측이 일정간격으로 상부로 수직형성된 좌우측지지날개가 각각 형성되며, 좌우측지지날개의 전방좌우측에는 동일연장선상으로 상부에 우측으로 치우치게 하강홈을 갖는 원형바인 안전핀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좌우측안전핀공이 각각 형성되고, 좌우측지지날개 중심좌우측에는 축핀이 삽입되는 좌우측축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지지날개 사이에서 길이방향 전방측 몸체외주연에는 스프링이 안착되는 스프링안착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지지날개 사이에서 길이방향 후방측 몸체외주연에는 작동쇠작동공이 내부로 통공형성되는 작동관체와; 상기 좌우측지지날개 사이에 위치되는 긴 바(bar)형상으로, 길이방향 중심측 후방에서 상기 좌우측축공의 연장선상에서 상기 축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안착요부에 안착된 스프링의 상단면이 접하는 저면에는 스프링의 상단면이 삽입되는 스프링요홈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후방선단에는 하부로 수직절곡되어 상기 작동쇠작동공을 통해 상기 작동관체 내부로 출입하는 스프링걸림돌부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전방선단은 상기 좌우측지지날개 전방측에 위치된 판체로 하부로 누름으로써 상기 작동관체 내부로 삽입된 상기 스프링걸림돌부를 상부로 축회동이동시키는 누름작동판이 형성되는 작동쇠와; 상기 작동관 체에 삽입되어 탄발되는 작동스프링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관체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봉체로 중심에는 길이방향으로 핀장공을 갖고 핀장공 전방측 내부에는 내링이 안착되는 링요홈을 갖으며 전방측 외주연에는 외링이 안착되는 링요홈을 갖고 후방측몸체는 상기 작동스프링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으며 삽입부 중심측에는 외부로 링형상으로 돌출되어 후면에는 상기 작동스프링이 선단이 밀착되고 전면에는 상기 적동쇠의 스프링걸림돌부가 걸림고정되는 작동링부를 갖는 밀대가 형성되어 밀대 전방측에 충전된 호신용 액상물질을 작동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밀대로 밀어 분출시키는 펌핑수단과; 상기 펌핑수단의 핀장공에 삽입되어 상기 링요홈의 내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긴 봉체로, 전방측선단부 중심에는 내측으로 분출안내공이 형성되고, 전방측선단부는 일부가 절단되어 날카로운 쐐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분출안내공의 후방선단부에는 외부로 다 수개의 분출유도홀이 통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호신용 액상물질이 압력에 의해 외부로 분출되도록 유도하는 분출유도장핀과; 상기 작동관체의 전방측선단부에 밀폐고정되는 마개로, 후방측 내주연에는 상기 외측나사부에 대응되는 내측나사부가 형성되고, 전방측선단에는 분출공이 형성되며, 분출공 후방 내측에는 링안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호신용 액상물질의 전방측 분출을 유도하는 분출유도마개와; 상기 분출유도마개의 링안착부에 위치되는 탄성재질의 원형판체로, 링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호신용 액상물질의 외부누출을 방지하는 밀폐링부가 형성되고, 밀폐링부 중심부에는 얇은 탄성재질의 막으로 제작되어 작동전 상기 호신용 액상물질의 외부누출을 방지하며 상기 작동쇠 작동시 상기 분출유도장핀의 전방측 이동으로 쐐기부에 의해 찢겨지면서 상기 작동스프링의 압력에 의해 상기 호신용 액상물질을 분출공으로 유통시키는 탄성세막이 형성되는 밀폐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치한 퇴치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분사거리가 길어 4~5미터 원거리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체적인 구속에 대한 염려가 적고, 분사시간이 30초 이상으로 길기 때문에 충분한 시간 내에서 강력 유괴, 납치 등의 치한에게 타격을 가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은 작동쇠의 한번 작동으로 내장 압축되어 있는 스프링의 강력한 탄성에 의해서 호신용 액상물질이 지속적으로 분사되기 때문에 어린이나 여성의 적은 힘으로도 작동시키기 쉬우며, 구입하기가 편리하고 휴대하기가 용이하여 위급할 때 간단한 동작만으로 치한의 얼굴을 타격할 수 있어 치한으로부터 사용자의 신체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Figure P1020090091369
작동관체, 작동쇠, 펌핑수단, 분출유도장핀, 분출유도마개, 밀폐판

Description

휴대용 치한 퇴치구{Portable suppressor of molester}
본 발명은 휴대용 치한 퇴치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괴, 납치, 강도 등 강력 범죄자인 치한으로부터 4~5미터 원거리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서 치한으로부터 사용자의 신체적인 구속에 대한 염려가 적고, 분사시간이 30초 이상으로 길기 때문에 충분한 시간 내에서 강력 유괴, 납치 등의 치한에게 타격을 가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은 작동쇠의 한번 작동으로 내장 압축되어 있는 스프링의 강력한 탄성에 의해서 호신용 액상물질이 지속적으로 분사되기 때문에 어린이나 여성의 적은 힘으로도 작동시키기 쉬우며, 위험물질인 가스압축방식이 아닌 스프링 압축방식이어서 경찰청의 허가 없이 구입하여 휴대하고 다니다가 위급할 때 간단한 동작만으로 치한의 얼굴을 타격할 수 있어 치한으로부터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휴대용 치한 퇴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납치 및 강도 등 중범죄 사건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며,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여성들의 경제활동 범위가 확대되면서 밤늦은 시간까지 여성 혼자 거리를 다니게 되는 경우가 많아져 남자에 비해 범죄에 쉽게 노출되는 것이 현 실정이다. 비단 여성뿐만 아니라 어린이 혹은 노약자들도 이러한 중범죄의 불안에 서 안전하다고 말할 수는 없다.
이러한 위험에 닥칠 경우 현재 널리 보급되고 있는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경찰 혹은 가족에게 연락을 취하여 공공기관을 통해 자신을 보호하는 방법이 있으나, 최단시간의 순간 대처능력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는 현실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고려하여 늦은 시간에는 여럿이 함께 외출한다거나 혹은 아예 외출을 삼갈 수도 있겠으나, 이 또한 효과적인 대처방안은 아니다.
이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호신용 기구로서 스프레이식 액체 분사기가 종래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분사되는 검지 손가락을 수차례 반복적으로 눌러서 방출하는 방식이어서 분사 압력이 약할 뿐 아니라 치한에게 분사할 수 있는 거리 또한 30㎝ ~ 1m 정도로 너무 짧아서 사용자가 사용하려다가 도리어 치한에게 제압 또는 구속될 우려 있으며, 한편 지속적 분사방식인 경우에는 가스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가스압축 분사방식이어서 사용자가 휴대하려면 법률상 반드시 경찰청의 휴대허가증이 있어야만 하는 번거로움 있기 때문에 널리 보급되지 못하는 등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으므로, 호신용 액체 물질의 분사가 효율적이지 못하여 위급시 대응방안으로는 부족한 면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사거리가 길어 원거리에서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쇠의 한번 작동만으로 압축되었던 스프링 단속력이 해제되면서 작동관체 내부에 충전되어 있던 호신용 액상물질 전량이 약 30초간 지속적으로 강하게 분출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적인 구속에 대한 염려 없이 치한을 충분한 타격을 가할 수 있으며,
아울러서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본 발명은 어린이나 여성들이 위급한 상황에 처했을 때 간단한 조작만으로 내부의 호신용 액상물질을 즉각적으로 분사할 수 있게 되어 강력범 등의 치한을 충분한 시간 내에 타격하고 위험으로부터 탈출하여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휴대용 치한 퇴치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방측은 개방되고 후방측은 밀폐되는 원통의 관체로, 전방측 선단부 외주연에는 외측나사부가 형성되고, 외측나사부 후방측에는 밀폐링이 끼워져 안착되며, 후방측 선단면 중심에는 내측으로 통공이 형성되고, 외주연 일측의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연장되고 좌우측이 일정간격으로 상부로 수직형성된 좌우측지지날개가 각각 형성되며, 좌우측지지날개의 전방좌우측에는 동일연장선상으로 상부에 우측으로 치우치게 하강홈을 갖는 원형바인 안전핀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좌우측안전핀공이 각각 형성되고, 좌우측지지날개 중심좌우측에는 축핀이 삽입되는 좌우측축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지지날개 사이에서 길이방향 전방측 몸체외주연에는 스프링이 안착되는 스프링안착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지지날개 사이에서 길이방향 후방측 몸체외주연에는 작동쇠작동공이 내부로 통공형성되는 작동관체와;
상기 좌우측지지날개 사이에 위치되는 긴 바(bar)형상으로, 길이방향 중심측 후방에서 상기 좌우측축공의 연장선상에서 상기 축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안착요부에 안착된 스프링의 상단면이 접하는 저면에는 스프링의 상단면이 삽입되는 스프링요홈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후방선단에는 하부로 수직절곡되어 상기 작동쇠작동공을 통해 상기 작동관체 내부로 출입하는 스프링걸림돌부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전방선단은 상기 좌우측지지날개 전방측에 위치된 판체로 하부로 누름으로써 상기 작동관체 내부로 삽입된 상기 스프링걸림돌부를 상부로 축회동이동시키는 누름작동판이 형성되는 작동쇠와;
상기 작동관체에 삽입되어 탄발되는 작동스프링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관체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봉체로 중심에는 길이방향으로 핀장공을 갖고 핀장공 전방측 내부에는 내링이 안착되는 링요홈을 갖으며 전방측 외주연에는 외링이 안착되는 링요홈을 갖고 후방측몸체는 상기 작동스프링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으며 삽입부 중심측에는 외부로 링형상으로 돌출되어 후면에는 상기 작동스프링이 선단이 밀착되고 전면에는 상기 적동쇠의 스프링걸림돌부가 걸림고정되는 작동링부를 갖는 밀대가 형성되어 밀대 전방측에 충전된 호신용 액상물질을 작동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밀대로 밀어 분출시키는 펌핑수단과;
상기 펑핑수단의 핀장공에 삽입되어 상기 링요홈의 내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긴 봉체로, 전방측선단부 중심에는 내측으로 분출안내공이 형성되고, 전방측선단부는 일부가 절단되어 날카로운 쐐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분출안내공의 후방선단부에는 외부로 다 수개의 분출유도홀이 통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호신용 액상물질이 압력에 의해 외부로 분출되도록 유도하는 분출유도장핀과;
상기 작동관체의 전방측선단부에 밀폐고정되는 마개로, 후방측 내주연에는 상기 외측나사부에 대응되는 내측나사부가 형성되고, 전방측선단에는 분출공이 형성되며, 분출공 후방 내측에는 링안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호신용 액상물질의 전방측 분출을 유도하는 분출유도마개와;
상기 분출유도마개의 링안착부에 위치되는 탄성재질의 원형판체로, 링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호신용 액상물질의 외부누출을 방지하는 밀폐링부가 형성되고, 밀폐링부 중심부에는 얇은 탄성재질의 막으로 제작되어 작동전 상기 호신용 액상물질의 외부누출을 방지하며 상기 작동쇠 작동시 상기 분출유도장핀의 전방측 이동으로 쐐기부에 의해 찢겨지면서 상기 작동스프링의 압력에 의해 상기 호신용 액상물질을 분출공으로 유통시키는 탄성세막이 형성되는 밀폐판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분사거리가 5m 내외로 길어 원거리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체적인 구속에 대한 염려가 적고, 분사시간이 20초 내지 30초로 분사시간이 길어 치한이나 상대방에게 충분한 시간 내에서 타격을 가할 수 있으며, 길이가 짧고 지름이 작아 사용과 보관이 용이하고,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여성의 적은 힘으로도 작동시키기 쉬우며, 위급시 간단한 동작으로 내부의 호신용 액상물질이 즉각적으로 분사되어 치한 등 상대방의 얼굴을 충분한 시간내에 정확하게 타격할 수 있어 치한 등 상대방으로부터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휴대용 치한 퇴치구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휴대용 치한 퇴치구의 사용전 보관상태의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휴대용 치한 퇴치구의 사용시 호신용 액상물질의 분출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휴대용 치한 퇴치구의 모습을 보인 샘플 사시사진이며,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휴대용 치한 퇴치구의 모습을 보인 샘플 분리 사시사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치한 퇴치구는, 호신용 액상물질(33)이 충전되어 보관되는 작동관체(10)와, 호신용 액상물질(33)을 외부로 분출시키는 스위치인 작동쇠(20)와, 작동쇠(20)의 작동에 의해 호신용 액상물질(33)을 일정 압력으로 외부로 분출시키는 펌핑수단(30)과, 펌핑수단(30)의 작동에 의해 밀폐판(60)을 찢어 호신용 액상물질(33)의 외부 분출을 유도하는 분출유도장핀(40)과, 작동쇠(20)의 작동시 호신용 액상물질(33)을 전방측으로 분출유도하는 분출유도마개(50)와, 작동쇠(20) 작동전 호신용 액상물질(33)의 외부 분출을 방지하는 밀폐판(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관체(10)는 전방측은 개방되고 후방측은 밀폐되는 원통의 관체로, 전방측 선단부 외주연에는 외측나사부(11)가 형성되고, 외측나사부(11) 후방측에는 밀폐링(11a)이 끼워져 안착되며, 후방측 선단면 중심에는 밀대가 전진작동할 때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는 통공(12)이 형성되고, 외주연 일측의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연장되고 좌우측이 일정간격으로 상부로 수직형성된 좌우측지지날개(13,13a)가 각각 형성되며, 좌우측지지날개(13,13a)의 전방좌우측에는 동일연장선상으로 상부에 우측으로 치우치게 하강홈(14a)을 갖는 원형바인 안전핀(14)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좌우측안전핀공(13b,13c)이 각각 형성되고, 좌우측지지날개(13,13a) 중심좌우측에는 축핀(15)이 삽입되는 좌우측축공(13d,13e)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지지날개(13,13a) 사이에서 길이방향 전방측 몸체외주연에는 스프링(16a)이 안착되는 스프링안착요부(16a)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지지날개(13,13a) 사이에서 길이방향 후방측 몸체외주연에는 작동쇠작동공(17)이 내부로 통공형성된다.
상기 작동쇠(20)는 상기 좌우측지지날개(13,13a) 사이에 위치되는 긴 바(bar)형상으로, 길이방향 중심측 후방에서 상기 좌우측축공(13d,13e)의 연장선상에서 상기 축핀(1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축공(21)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안착요부(16)에 안착된 스프링(16a)의 상단면이 접하는 저면에는 스프링(16a)의 상단면이 삽입되는 스프링요홈(22)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후방선단에는 하부로 수직절곡되어 상기 작동쇠작동공(17)을 통해 상기 작동관체(10) 내부로 출입하는 스프링걸림돌부(23)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전방선단은 상기 좌우측지지날개(13,13a) 전방측에 위치된 판체로 하부로 누름으로써 상기 작동관체(10) 내부로 삽입된 상기 스프링걸림돌부(23)를 상부로 축회동이동시키는 누름작동판(24)이 형성된다.
상기 펌핑수단(30)은 상기 작동관체(10)에 삽입되어 탄발되는 작동스프링(32)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관체(10)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봉체로 중심에는 길이방향으로 핀장공(31a)을 갖고 핀장공(31a) 전방측 내부에는 내링(31b)이 안착되는 링요홈(31c)을 갖으며 전방측 외주연에는 외링(31d)이 안착되는 링요홈(31e)을 갖고 후방측몸체는 상기 작동스프링(32)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31f)를 갖으며 삽입부(31f) 중심측에는 외부로 링형상으로 돌출되어 후면에는 상기 작동스프링(32)이 선단이 밀착되고 전면에는 상기 적동쇠(20)의 스프링걸림돌부(23)가 걸림고정되는 작동링부(31g)를 갖는 밀대(31)가 형성되어 밀대(31) 전방측에 충전된 호신용 액상물질(33)을 작동스프링(32)의 탄성에 의해 밀대(31)로 밀어 분출시킨다.
상기 분출유도장핀(40)은 상기 펑핑수단(30)의 핀장공(31a)에 삽입되어 상기 링요홈(31c)의 내링(31b)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긴 봉체로, 전방측선단부 중심에는 내측으로 분출안내공(41)이 형성되고, 전방측선단부는 일부가 절단되어 날카로운 쐐기부(42)가 형성되며, 상기 분출안내공(41)의 후방선단부에는 외부로 다 수개의 분출유도홀(43)이 통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호신용 액상물질(33)이 압력에 의해 외부로 분출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분출유도마개(50)는 상기 작동관체(10)의 전방측선단부에 밀폐고정되는 마개로, 후방측 내주연에는 상기 외측나사부(11)에 대응되는 내측나사부(51)가 형성되고, 전방측선단에는 분출공(52)이 형성되며, 분출공(52) 후방 내측에는 링안착부(53)가 형성되어 상기 호신용 액상물질(33)의 전방측 분출을 유도한다.
상기 밀폐판(60)은 상기 분출유도마개(50)의 링안착부(53)에 위치되는 탄성재질의 원형판체로, 링안착부(53)에 안착되어 상기 호신용 액상물질(33)의 외부누출을 방지하는 밀폐링부(61)가 형성되고, 밀폐링부(16) 중심부에는 얇은 탄성재질의 막으로 제작되어 작동전 상기 호신용 액상물질(33)의 외부누출을 방지하며 상기 작동쇠(20) 작동시 상기 분출유도장핀(40)의 전방측 이동으로 쐐기부(42)에 의해 찢겨지면서 상기 작동스프링(32)의 압력에 의해 상기 호신용 액상물질(33)을 분출공(52)으로 유통시키는 탄성세막(6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도 2와 같이, 작동쇠(20)가 수평을 이룬 상태에는 안전핀(14)의 외주면이 작동쇠(20)의 하강이동을 방지한 상태이면서 후방선단의 스프링걸림돌부(23)가 작동쇠작동공(17)을 통해 하부로 삽입되어 펑핑수단(30)인 밀대(31)의 작동링부(31g) 전방에 위치됨으로써 작동관체(10) 내부에서 밀대(31)가 작동스프링(32)의 탄성으로 전방측으로 탄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상태로 사용자가 겉옷의 주머니 등 빨리 사용할 수 있는 곳에 보관하였다가, 위급시에는 꺼내거나 꺼내기 전에 먼저, 좌우측지지날개(13,13a)에서 우측으로 돌출된 안전핀(14)의 우측면을 좌측으로 최대한 눌러 하강홈(14a)이 작동쇠(20) 하부에 위치되도록 안전핀(14)을 해제시키고, 분출유도마개(50)의 분출공(52)을 가해자의 안면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작동쇠(20)의 누름작동판(24)을 하부로 누르면, 도 3과 같이, 밀대(31)의 전방측 진행을 방해하던 작동쇠(20)의 스프링걸림돌부(23)가 상부로 상승되면서 밀대(31)는 작동스프링(32)의 탄성력으로 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통공(12)을 통해서 외부공기가 작동관체(10) 내부로 흡입되면서 밀대(31)는 원활하게 이동하는 동시에 핀장공(31a)에 위치되어 내링(31b)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분출유도장핀(40)은 밀대(31)와 동반하여 전방측으로 이동되면서 분출유도장핀(40) 전방측 선단의 쐐기부(42)는 밀폐판(60)의 탄성세막(62)을 찢으면서 분출공(52) 근처에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 분출유도장핀(40)은 고정된 상태에서 밀대(31)만이 전방측으로 이동되면서 호신용 액상물질(33)을 분출유도장핀(40)의 다 수개 분출유도홀(43)을 통해 분출안내공(41)으로 유도되어 분출공(52)을 통해 외부로 분출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구속하거나 위해를 가하려던 치한이나 상대방의 빈틈을 노려서 도주하거나 타격을 가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휴대용 치한 퇴치구는, 총류를 사용할 수 없는 비행기 내에서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바, 비행기에 충격이나 손상을 전혀 주지 않으면서도 치한이나 납치범들의 얼굴을 원거리에서 정확하게 타격할 수 있어 이들의 검거에 아주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휴대용 치한 퇴치구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휴대용 치한 퇴치구의 사용전 보관상태의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휴대용 치한 퇴치구의 사용시 호신용 액상물질의 분출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휴대용 치한 퇴치구의 모습을 보인 샘플 사시사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휴대용 치한 퇴치구의 모습을 보인 샘플 분리 사시사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작동관체 11 : 외측나사부
11a : 밀폐링 12 : 통공
13,13a : 좌우측지지날개 13b,13c : 좌우측안전핀공
13d,13e : 좌우측축공 14 : 안전핀
14a : 하강홈 15 : 축핀
16 : 스프링안착요부 16a : 스프링
17 : 작동쇠작동공
20 : 작동쇠 21 : 축공
22 : 스프링요홈 23 : 스프링걸림돌부
24 : 누름작동판
30 : 펌핑수단 31 : 밀대
31a : 핀장공 31b : 내링
31c : 링요홈 31d : 외링
31e : 링요홈 31f : 삽입부
31g : 작동링부 32 : 작동스프링
33 : 호신용 액상물질
40 : 분출유도장핀 41 : 분출안내공
42 : 쐐기부 43 : 분출유도홀
50 : 분출유도마개 51 : 내측나사부
52 : 분출공 53 : 링안착부
60 : 밀폐판 61 : 밀폐링부
62 : 탄성세막

Claims (2)

  1. 전방측은 개방되고 후방측은 밀폐되는 원통의 관체로, 전방측 선단부 외주연에는 외측나사부(11)가 형성되고, 외측나사부(11) 후방측에는 밀폐링(11a)이 끼워져 안착되며, 후방측 선단면 중심에는 내측으로 공기흡입 통공(12)이 형성되고, 외주연 일측의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연장되고 좌우측이 일정간격으로 상부로 수직형성된 좌우측지지날개(13,13a)가 각각 형성되며, 좌우측지지날개(13,13a)의 전방좌우측에는 동일연장선상으로 상부에 우측으로 치우치게 하강홈(14a)을 갖는 원형바인 안전핀(14)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좌우측안전핀공(13b,13c)이 각각 형성되고, 좌우측지지날개(13,13a) 중심좌우측에는 축핀(15)이 삽입되는 좌우측축공(13d,13e)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지지날개(13,13a) 사이에서 길이방향 전방측 몸체외주연에는 스프링(16a)이 안착되는 스프링안착요부(16a)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지지날개(13,13a) 사이에서 길이방향 후방측 몸체외주연에는 작동쇠작동공(17)이 내부로 통공형성되는 작동관체(10)와;
    상기 좌우측지지날개(13,13a) 사이에 위치되는 긴 바(bar)형상으로, 길이방향 중심측 후방에서 상기 좌우측축공(13d,13e)의 연장선상에서 상기 축핀(1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축공(21)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안착요부(16)에 안착된 스프링(16a)의 상단면이 접하는 저면에는 스프링(16a)의 상단면이 삽입되는 스프링요홈(22)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후방선단에는 하부로 수직절곡되어 상기 작동쇠작동공(17)을 통해 상기 작동관체(10) 내부로 출입하는 스프링걸림돌부(23)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전방선단은 상기 좌우측지지날개(13,13a) 전방측에 위치된 판체로 하부로 누름으로써 상기 작동관체(10) 내부로 삽입된 상기 스프링걸림돌부(23)를 상부로 축회동이동시키는 누름작동판(24)이 형성되는 작동쇠(20)와;
    상기 작동관체(10)에 삽입되어 압축시 탄발되는 작동스프링(32)이 형성되고, 중심에는 길이방향으로 핀장공(31a)을 갖고 상기 작동스프링(32) 전방측 내부에 위치되어 작동스프링(32)의 압축해제시 그 탄성으로 전방측으로 탄발되어 전방측에 충전된 호신용 액상물질(33)을 외부로 밀어 분출시키는 밀대(31)가 형성되는 펌핑수단(30)과;
    상기 펑핑수단(30)의 핀장공(31a)에 삽입되어 탄성지지되는 긴 봉체로, 전방측선단부 중심에는 내측으로 분출안내공(41)이 형성되고, 전방측선단부는 일부가 절단되어 날카로운 쐐기부(42)가 형성되며, 상기 분출안내공(41)의 후방선단부에는 외부로 다 수개의 분출유도홀(43)이 통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호신용 액상물질(33)이 압력에 의해 외부로 분출되도록 유도하는 분출유도장핀(40)과;
    상기 작동관체(10)의 전방측선단부에 밀폐고정되는 마개로, 후방측 내주연에는 상기 외측나사부(11)에 대응되는 내측나사부(51)가 형성되고, 전방측선단에는 분출공(52)이 형성되며, 분출공(52) 후방 내측에는 링안착부(53)가 형성되어 상기 호신용 액상물질(33)의 전방측 분출을 유도하는 분출유도마개(50)와;
    상기 분출유도마개(50)의 링안착부(53)에 위치되는 탄성재질의 원형판체로, 링안착부(53)에 안착되어 상기 호신용 액상물질(33)의 외부누출을 방지하는 밀폐링부(61)가 형성되고, 밀폐링부(16) 중심부에는 얇은 탄성재질의 막으로 제작되어 작 동전 상기 호신용 액상물질(33)의 외부누출을 방지하며 상기 작동쇠(20) 작동시 상기 분출유도장핀(40)의 전방측 이동으로 쐐기부(42)에 의해 찢겨지면서 상기 작동스프링(32)의 압력에 의해 상기 호신용 액상물질(33)을 분출공(52)으로 유통시키는 탄성세막(62)이 형성되는 밀폐판(60)을 구비하는 휴대용 치한 퇴치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수단(30)의 밀대(31)는 상기 핀장공(31a) 전방측 내부에 내링(31b)이 안착되는 링요홈(31c)이 형성되고, 전방측 외주연에는 외링(31d)이 안착되는 링요홈(31e)이 형성되며, 후방측몸체는 상기 작동스프링(32)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31f)가 형성되고, 삽입부(31f) 중심측 외주연에는 원형판형상으로 돌출되어 후면에는 상기 작동스프링(32)이 선단이 압축되어 밀착되고 전면에는 상기 작동쇠(20)의 스프링걸림돌부(23)가 걸림고정되고 작동시 걸림고정이 해제되는 작동링부(31g)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치한 퇴치구.
KR1020090091369A 2009-09-26 2009-09-26 휴대용 치한 퇴치구 KR201100338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369A KR20110033879A (ko) 2009-09-26 2009-09-26 휴대용 치한 퇴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369A KR20110033879A (ko) 2009-09-26 2009-09-26 휴대용 치한 퇴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879A true KR20110033879A (ko) 2011-04-01

Family

ID=44042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369A KR20110033879A (ko) 2009-09-26 2009-09-26 휴대용 치한 퇴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38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716B1 (ko) * 2010-04-19 2013-07-05 김학량 휴대용 치한 퇴치구
CN116443251A (zh) * 2023-06-09 2023-07-18 四川观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无人机用制式弹药投放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716B1 (ko) * 2010-04-19 2013-07-05 김학량 휴대용 치한 퇴치구
CN116443251A (zh) * 2023-06-09 2023-07-18 四川观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无人机用制式弹药投放装置
CN116443251B (zh) * 2023-06-09 2023-08-22 四川观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无人机用制式弹药投放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3883B2 (en) Personal defense spray device
US5629679A (en) Personal security device
UA8816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ъекций
US5644297A (en) Personal protection device
KR20110033879A (ko) 휴대용 치한 퇴치구
JP2016050703A (ja) 護身ユニット及び護身ユニットを備えた携帯電話端末
CN104266543A (zh) 警用防暴棍
KR200386061Y1 (ko) 강력 그물이 발사되는 체포 도구
KR101062186B1 (ko) 호신용 경보분사장치
KR20140087980A (ko) 스마트폰 케이스에 장착되는 호신용 스프레이
KR101282716B1 (ko) 휴대용 치한 퇴치구
KR20110042783A (ko) 가스총 기능을 갖는 호신용 경보기
KR20100115542A (ko) 액 분사장치를 구비한 단말기
CN218187623U (zh) 一种手扔式干粉灭火器
CN210981014U (zh) 一种枪式催泪喷射器
JP2004077026A (ja) 催涙スプレー付き盾
KR101107572B1 (ko) 액상형 호신용 분사기
KR20100117302A (ko) 차폐판과 이 차폐판을 파괴하는 창이 구비된 스프링 압력 발사식 휴대용 치한 퇴치구
CN205360325U (zh) 一种盾牌式灭火器
KR102030125B1 (ko) 경찰복 결합형 호신용 가스분사장치
KR20190003146U (ko) 화재 진압용 권총형 스프레이건 소화기
KR101046885B1 (ko) 단말기용 액 분사장치
KR101537382B1 (ko) 호신용 호루라기
CN211041941U (zh) 新型多功能警用伸缩棍
KR200382703Y1 (ko) 호신용 최루가스 분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