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7138A - Cooking device - Google Patents

Cook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7138A
KR20100117138A KR1020107021464A KR20107021464A KR20100117138A KR 20100117138 A KR20100117138 A KR 20100117138A KR 1020107021464 A KR1020107021464 A KR 1020107021464A KR 20107021464 A KR20107021464 A KR 20107021464A KR 20100117138 A KR20100117138 A KR 20100117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nit
operation button
control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14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06561B1 (en
Inventor
도모아키 츠카다
히로시 시게하라
겐이치로우 니시
에이이치 하라다
다이스케 이토우
요시노리 와카츠키
유키오 가와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7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1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5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2017/9602Touch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shape of the sensing electrodes
    • H03K2017/9604Touch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shape of the sensing 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electr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조작을 개시해 이후에도 상기 조작을 취소할 수 있어, 입력 조작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열 조리기를 얻는다.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가열 코일(3)과, 가열 제어에 관한 조작의 입력을 행하는 조작부(6)와, 입력 조작 및 제어 상태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부와, 조작부(6)의 외연 근방의 적어도 일부를 검지 영역으로 하여, 상기 검지 영역에서의 손가락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 장치와, 조작부(6)로부터의 입력 및 검지 장치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가열 코일(3) 및 통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10)를 구비한 것이다. The operation can be canceled after the operation is started, thereby obtaining a heated cooker capable of improving the operability of the input operation. The heating coil 3 which heats a to-be-heated object, the operation part 6 which performs input of the operation regarding heating control, the notification part which notifies information about an input operation and a control state,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operation part 6 The detection device which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inger in the detection area with at least a part of the detection area as the detection area, and among the heating coil 3 and the notification part based on the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6 and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ion device. It is provided with the control part 10 which performs at least one control.

Description

가열 조리기{COOKING DEVICE}Heated Cooker {COOKING DEVICE}

본 발명은 가열 제어에 관한 조작의 입력을 행하는 조작부를 갖는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cooker having an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an operation relating to heating control.

종래, 터치 조작에 따른 기술로서, 예컨대「… 플래그가 선택중의 상태인 경우에, 터치 패널 장치가 출력하는 터치 위치의 좌표 데이터가, 선택중의 도형에 대응한 상기 확정용 입력 좌표 범위 외로 된 경우, 선택중의 도형의 선택을 중단한 것으로 하여 상기 플래그를 클리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조작 처리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Conventionally, as a technique according to a touch operation, for example, ". If the coordinate data of the touch position output by the touch panel device when the flag is in the selection state is out of the above-defined input coordinate range corresponding to the figure being selected, the selection of the figure being selected is stopped. And clearing the flag. &Quot;" Touch operation processing method. &Quot;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 제 11-175212 호(청구항 3)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1-175212 (claim 3)

종래의 가열 조리기에 있어서는, 조작 버튼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한 경우 또는 손가락이 접촉한 후에 떨어진 경우에 상기 조작 버튼의 기능이 선택되어 버리기 때문에, 일단 조작을 개시한 이후는, 무언가의 기능이 선택되어 버려, 무언가의 기능도 선택하지 않는 취소 조작을 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heating cooker, since the function of the operation button is selected when the user's finger touches the operation button or falls after the finger touches, the function of something is selected after the operation is started.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a cancel operation cannot be performed without selecting a function of something.

또한, 일반적으로 가열 조리기의 조작에 있어서는, 조작 내용이 이해하기 쉽고, 조리 조작의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고서 원활한(smooth) 조작을 행할 수 있는 가열 조리기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시각 장애자에게는 더하다.In addition, generally in operation of a heating cooker, the cooking content is easy to understand, and the heating cooker which can perform a smooth operation without affecting the flow of a cooking operation is calculated | required. Especially for the visually impa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조작을 개시해 이후에도 상기 조작을 취소할 수 있어, 입력 조작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열 조리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ubjects,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obtain the heating cooker which can cancel operation after starting operation, and can improve the operability of an input operation.

본 발명에 따른 가열 조리기는,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가열 제어에 관한 조작의 입력을 행하는 조작부와, 입력 조작 및 제어 상태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부와, 상기 조작부의 외연 근방의 적어도 일부를 검지 영역으로 하고, 상기 검지 영역에서의 손가락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 장치와,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입력 및 상기 검지 장치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부 및 상기 통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이다.
The heating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ing unit for heating a heated object, an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an operation related to heating control, a notification unit for notifying information about an input operation and a control state, and near the outer edge of the operation unit. At least one of the heating unit and the notification unit based on a detection device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inger in the detection area and an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and a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ion device. It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본 발명은, 조작부로부터의 입력 및 검지 장치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가열부 및 통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행하는 것에 의해, 조작을 개시해 이후에도 상기 조작을 취소할 수 있어, 입력 조작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cancel the operation even after the start of the operation by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heating unit and the notification unit based on the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and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ion device. Can impro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가열 조리기의 상부 외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가열 조리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가열 조리기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조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가열 조리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가열 조리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가열 조리기의 입력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조작부의 구성 및 입력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따른 부가(付加) 전극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조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가열 조리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가열 조리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가열 조리기의 입력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따른 조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따른 가열 조리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따른 가열 조리기의 입력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따른 가열 조리기의 입력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따른 조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따른 가열 조리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top view of a heating cook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heating cook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a heating cook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operation unit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heating cook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heating cook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input operation of the heating cooke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input operation of the operation part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arrangement | positioning of the additional electrode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operation part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4 of this invention.
11 is a block diagram of a heating cooker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heating cooker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input operation of the heating cooke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4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operation part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5 of this invention.
15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heated cooker according to Embodiment 5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input operation of the heating cooke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5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input operation of the heating cooke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5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operation part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6 of this invention.
19 is a flowchart of operation of a heated cooker according to Embodiment 6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의 형태 1) (Embodiment Mode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가열 조리기의 상부 외형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가열 조리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가열 조리기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1 is a top view of a heating cook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heating cook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heating cooker according to.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본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가열 조리기는, 유도 가열 조리기 본체(1)의 상면에 내열성의 유리와 금속의 프레임으로 구성하는 천판(天板)(2)이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천판(2)의 표면에는, 유도 가열 조리기 본체(1) 내의 가열 코일(3)이 설치되는 위치에 가열 개소를 나타낼 목적으로 원형의 표시(이하, 가열구(4a ~ 4c)라 한다)가 이면부터 인쇄되어 있다. 천판(2)의 내열성 유리는 투명한 소재이지만, 가열구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도 유도 가열 조리기 본체(1) 내부가 드러나지 않도록 또는 외관의 질감 향상을 위해 이 천판(2)은 이면부터 인쇄 또는 도장되어 있다. 가열구(4a ~ 4c)에 대해서는, 본 실시의 형태 1에서는 가열구(4a 및 4b)는 비교적 가열 출력을 크게 설정한 가열구이며, 가열구(4c)는 전술한 2개의 가열구에 비해 비교적 가열 출력을 작게 설정한 가열구이다.1 and 2, the heating coo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such that a top plate 2 made of heat-resistant glass and a metal frame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main body 1. Consists of. On the surface of the top plate 2, the circular display (hereinafter referred to as heating ports 4a to 4c) is for the purpose of showing a heating point at a position where the heating coil 3 in the induction heating main body 1 is installed. Has been printed. The heat-resistant glass of the top plate 2 is a transparent material, but the top plate 2 is printed or painted from the back side so that the inside of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body 1 is not exposed to parts other than the heating port or the texture of the exterior is improved. . Regarding the heating ports 4a to 4c, in the first embodiment, the heating ports 4a and 4b are heating ports with relatively large heating outputs, and the heating ports 4c are relatively in comparison with the two heating ports described above. A heating port with a small heating output.

또한, 유도 가열 조리기 본체(1)의 상부 앞쪽에는, 입력 조작 및 제어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5)(5a ~ 5c)와, 가열 제어에 관한 조작의 입력을 행하는 조작부(6)(6a ~ 6c)가 각 가열구(4)마다 각각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부(5)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이 천판(2)의 표면부터 시인가능하도록, 표시부(5)와 대략 같은 범위는 천판(2)의 인쇄 또는 도장이 이루어지지 않는 구성으로 투명성을 갖는 창부(窓部)(7)(7a ~ 7b)가 마련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유도 가열 조리기 본체(1)의 전면에는, 예컨대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어, 입력 조작 및 제어 상태에 관한 정보를 음성에 의해 통지하는 음성 출력부(9)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표시부(5) 및 음성 출력부(9)는 본 발명에서의 통지부에 해당한다.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induction heating main body 1, the display part 5 (5a-5c) which displays the information regarding an input operation and a control state, and the operation part 6 which inputs operation regarding heating control ( 6a-6c are provided for each heating port 4,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window portion having transparenc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printing or painting of the top plate 2 is not substantially made in the same range as the display portion 5 so that the display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portion 5 can be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surface of the top plate 2. (7) (7a-7b) is provided in the structure. In addition, on the front of the induction heating main body 1, a voice output unit 9, which is composed of, for example, a speaker and notifies, by voice, information about an input operation and a control state, is disposed. In addition, the display part 5 and the audio output part 9 correspond to the notification part in this invention.

또한, 유도 가열 조리기 본체(1)의 천판(2)의 하부에는, 가열부인 가열 코일(3)이 배치되고, 가열 코일(3)에 고주파 전류를 흘려 화력(火力) 제어를 행하는 인버터(20), 이 인버터(20)를 제어하는 제어부(10)가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제어부(10)는, 조작부(6)로부터 입력된 설정 조작에 근거하여, 인버터(20)에 제어 지령을 행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동작에 의해, 표시부(5)나 음성 출력부(9)에 대하여, 제어 내용에 근거하는 각종 표시 지령이나 음성에 의한 통지 지령 등의 통지 제어를 행한다.In addition, a heating coil 3 that is a heating part is disposed below the top plate 2 of the induction heating main body 1, and an inverter 20 that flows a high frequency current through the heating coil 3 to perform thermal power control. The control unit 10 for controlling the inverter 20 is arranged. The control unit 10 issues a control command to the inverter 20 based on the setting operation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6, and also controls the display unit 5 and the audio output unit 9 by the operation described later. On the other hand, notification control such as various display command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control, notification commands by sound, and the like is performed.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판(2)의 창부(7)의 이면에, 투명성의 도전성 필름 등의 전극으로 터치 스위치를 구성한 조작부(6)를 배치하고, 그 아래에 액정 패널 등으로 구성하는 표시부(5)를 배치하고 있다. 조작부(6)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전극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창부(7)의 상면에 접촉할 때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의해 입력 조작을 검지한다.3, the operation part 6 which comprised the touch switch by the electrodes, such as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s arrange | position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window part 7 of the top plate 2, and it consists of a liquid crystal panel etc. below. The display unit 5 is arranged. The operation part 6 detects an input operation by the change of the electrostatic capacitance when a user's finger etc.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part 7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of an electrode.

또한, 천판(2)의 창부(7)의 이면 앞쪽에는, 조작부(6)의 외연 근방의 앞쪽을 검지 영역으로 하고, 상기 검지 영역에서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 장치인 부가 전극(8)이 마련되어 있다. 이 부가 전극(8)은, 투명성의 도전성 필름 등의 전극으로 터치 스위치를 구성하고,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부가 전극(8)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창부(7)의 상면에 접촉할 때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의해, 손가락의 존재를 검지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동작에 의해, 사용자가 이 부가 전극(8)에 접촉한 것에 의해, 조작 버튼(61)으로부터의 입력 조작을 취소한다.In addition, in front of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7 of the top plate 2, an additional electrode which is a detection device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s finger in the detection area, with the front of the outer edge vicinity of the operation part 6 as a detection area ( 8) is provided. The additional electrode 8 constitutes a touch switch with an electrode such as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when a user's finger or the lik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7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additional electrode 8. The presence of the finger is detected by the change in the capacitance. And the user touches this additional electrode 8 by the operation mentioned later, and cancels the input operation from the operation button 61. FI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조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a)는 조작 버튼 및 부가 전극의 전극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표시부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6)는 투명성의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조작 버튼(61)을 갖고, 이 조작 버튼(61)은 좌우 방향으로 연속해서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버튼(61)의 앞쪽에는 부가 전극(8)이 연속해서 일체로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부가 전극(8)은 각 조작 버튼(61)마다 각각 별개로 마련하더라도 좋다.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eration unit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a) shows an electrode region of an operation button and an additional electrode, and Fig. 4 (b) shows a display state of a display unit. Drawing. As shown to Fig.4 (a), the operation part 6 has the some operation button 61 which consists of transparent electrodes, and this operation button 61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arrange | positioned continuously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in front of the operation button 61, the additional electrode 8 is comprised continuously and integrally arrange | positioned. In addition, you may provide the additional electrode 8 separately for each operation button 61, respectively.

또한,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5)의 조작 버튼(61)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버튼 표시가 되고, 이 표시는 가열 조리기의 제어 상태에 따라, 예컨대 조작 메뉴 버튼이나 화력 설정 버튼 등 임의의 조작 버튼으로서 표시한다. 또한, 후술하는 동작에 의해, 표시부(5)의 부가 전극(8)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부가 전극(8)의 전극 위치(검지 영역)를 특정하기 위한 표시(블링크 표시)가 이루어진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4 (b), a button display is shown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button 61 of the display part 5, and this display is according to the control state of a heating cooker, for example, operation menu button or thermal power setting. Displayed as an arbitrary operation button such as a button. In addition, by the operation | movement mentioned later, the display (blink display) for specifying the electrode position (detection area) of the additional electrode 8 is made in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electrode 8 of the display part 5.

한편, 검지 장치로서 부가 전극(8)을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검지 영역에서의 사용자의 손가락의 존재를 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좋고, 예컨대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갖는 포토 센서, 초음파 방식, 카메라 화상 방식, 온도 검지 방식 등 임의의 검지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case where the additional electrode 8 is used as a detection apparatus is demonstrat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be able to detect the presence of the user's finger in a detection area, for example, a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Arbitrary detection methods, such as a photo sensor, an ultrasonic method, a camera image method, and a temperature detection method, can be us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가열 조리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10)는, 조작·통지 제어부(11)와, 조작부(6)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검출하는 조작 신호 검출부(12)와, 부가 전극(8)의 검지 신호를 검출하여 조작·통지 제어부(11)에 입력하는 부가 전극 신호 검출부(13)와, 입력 조작 및 제어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용의 신호로 변환하고 표시부(5)에 출력하는 표시 처리부(14)와, 입력 조작 및 제어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용의 신호로 변환하고 표시부(5)에 출력하는 표시 처리부(14)와, 입력 조작 및 제어 상태에 관한 정보를 음성용의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 출력부(9)에 출력하는 음성 처리부(15)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어부(10)는, 조작부(6)로부터의 입력 및 부가 전극(8)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인버터(20)에의 가열 제어나, 제어 내용에 근거하는 각종 통지 지령을 표시부(5) 및 음성 출력부(9)에 행한다.5 is a block diagram of a heating cook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control unit 10 provides an operation / notification control unit 11, an operation signal detection unit 12 that detects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operation unit 6, and a detection signal of the additional electrode 8. An additional electrode signal detection unit 13 which detects and inputs to the operation / notification control unit 11, a display processing unit 14 which converts information about the input operation and control state into a signal for display and outputs it to the display unit 5; And a display processing unit 14 for converting information about an input operation and a control state into a signal for display and outputting it to the display unit 5, and a voice output unit by converting information about the input operation and control state into a signal for voice. It consists of the audio processing part 15 output to (9).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control unit 10 displays the heating control to the inverter 20 and various notification commands based on the control content based on the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6 and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dditional electrode 8. 5) and the audio output unit 9.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가열 조리기의 동작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가열 조리기의 입력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조작 취소 동작에 대하여, 도 6에 근거하여 도 7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6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heating cook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n input operation of the heating cook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operation cancel operation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based on FIG. 6.

유도 가열 조리기 본체(1)의 주전원(도시하지 않음)이 투입되면, 각 구성부는 동작을 개시한다. 제어부(10)의 조작·통지 제어부(11)는, 예컨대 메뉴 버튼 등, 소정의 조작 버튼(61)의 표시를 표시부(5)에게 하게 하고, 조작 버튼(61)의 감지를 개시한다(S101). 조작 신호 검출부(12)는 조작 버튼(61)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한 상태(터치 온)를 검출하면 터치 온 신호를 조작·통지 제어부(11)에 입력한다.When the main power source (not shown) of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main body 1 is input, each component starts operation. The operation / notification control unit 11 of the control unit 10 causes the display unit 5 to display a predetermined operation button 61 such as a menu button, for example, and starts the detection of the operation button 61 (S101). . The operation signal detection unit 12 detects the change in the capacitance of the operation button 61 and detects a state in which the user's finger touches (touch on), and inputs a touch-on signal to the operation / notification control unit 11.

조작·통지 제어부(11)는, 터치 온 신호를 검출하면(S102), 타이머 카운트를 개시한다(S103). 그리고, 소정의 경과 시간(X초 : 예컨대 3초)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04), 터치 온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는, 상기 터치 온 상태의 조작 버튼(61)의 조작 내용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S105). 이 통지는, 예컨대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작 버튼(61)의 기능 내용을 가이던스 표시(51)에 의해 확대 표시하거나, 예컨대 「카운트 업 타이머입니다.」 등의 음성에 의해 통지한다.When the operation and notification control unit 11 detects the touch-on signal (S102), the timer counting starts (S103).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redetermined elapsed time (X seconds: 3 seconds, for example) has elapsed (S104),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from the touch-on, the operation details of the operation button 61 in the touch-on state Information about the user is notified (S105). This notification 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A, the function content of the operation button 61 is enlarged by the guidance display 51, or is notified by voice such as "count up timer." do.

단계 S104에서 터치 온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또는 상기 단계 S105 이후, 조작·통지 제어부(11)는, 터치 온된 조작 버튼(61)의 손가락이 떨어진 상태(터치 해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6). 조작 신호 검출부(12)는 조작 버튼(61)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여 터치 해제를 검출하면 터치 해제 신호를 조작·통지 제어부(11)에 입력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4 that the predetermined time has not elapsed from the touch-on, or after the step S105, the operation / notification control unit 1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finger of the touch-on operation button 61 is in a dropped state (touch release). (S106). The operation signal detection unit 12 detects the change in the capacitance of the operation button 61 and detects the touch release, and inputs the touch release signal to the operation / notification control unit 11.

조작·통지 제어부(11)는, 터치 해제 신호를 검출하면(S106), 타이머 카운트를 개시한다(S107). 한편, 터치 해제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는, 상기 단계 S104로 되돌아가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The operation / notification control part 11 starts a timer count (S107), when detecting a touch release signal (S106). On the other hand, when the touch release signal is not detect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04 and the operation is repeated.

다음으로, 조작·통지 제어부(11)는, 터치 해제로부터 소정의 경과 시간(Z초 : 예컨대 0.3초) 이내에, 부가 전극(8)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8). 소정의 경과 시간(Z초) 이내에 부가 전극(8)의 검지 신호의 입력이 없는 경우는, 터치 해제된 조작 버튼(61)으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하여, 가열 제어나 통지 제어를 행한다(S109). Next, the operation / notification control part 11 determines whether the detection signal of the additional electrode 8 was input within predetermined elapsed time (Z second: 0.3 second) from touch release (S108). When there is no input of the detection signal of the additional electrode 8 within the predetermined elapsed time (Z seconds), heating control or notification control is performed based on the input from the touch-release operation button 61 (S109).

한편, 예컨대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앞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부가 전극(8)에 손가락이 접촉하면, 부가 전극 신호 검출부(13)는 전극의 검지 신호를 조작·통지 제어부(11)에 입력하고, 조작·통지 제어부(11)는, 터치 해제된 조작 버튼(61)으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하는 제어를 행하지 않고서 취소한다(S110). 그리고, 입력 조작이 취소된 취지를 통지하기 위해서, 표시부(5)의 부가 전극(8)에 상당하는 범위를 블링크 표시(점멸)시킨다(S111).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입력 조작이 취소된 취지 및 부가 전극(8)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입력 조작이 취소된 취지 통지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음성 출력부(9)로부터, 예컨대 「아무것도 선택되지 않았습니다.」 등의 음성에 의해 통지하더라도 좋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B, when the user's finger slides forward and the finger contacts the additional electrode 8, the additional electrode signal detection unit 13 operates and notifie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electrode. It inputs into the control part 11, and the operation and notification control part 11 cancels, without performing control based on the input from the operation button 61 which was touch-released (S110). Then, in order to notify that the input operation has been canceled, the range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electrode 8 of the display section 5 is blinked (flashed) (S111). Thereby,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input operation is canceled and the position of the additional electrode 8. Note that the notification that the input operation is canceled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notified from the audio output unit 9 by, for example, "nothing is selected."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조작 버튼(61)의 앞쪽에 부가 전극(8)을 배치하고, 조작 버튼(61)이 터치 해제된 후, 소정 시간(Z초) 경과전에 있어서의 부가 전극(8)의 검지 신호의 유무에 따라, 상기 입력에 근거하는 제어의 실행 또는 취소를 행하기 때문에, 조작을 개시해 이후에도 상기 조작을 취소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dditional electrode 8 is disposed in front of the operation button 61, and after the operation button 61 is released from touch, the additional electrode before a predetermined time (Z seconds) elapses. Since the control based on the input is executed or cancel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etection signal (8), the operation can be canceled after the operation is started.

또한, 부가 전극(8)의 검지 영역을 조작 버튼(61)의 외연 근방의 앞쪽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조작 버튼(61)에 접촉한 후에, 손가락을 앞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조작 버튼(61)의 입력 조작을 취소할 수 있고, 직감적이고 용이한 조작에 의해 조작을 취소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시각 장애자이더라도 취소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etection area of the additional electrode 8 is located in front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operation button 61, the user moves the finger forward after the user touches the operation button 61 to perform the operation. The input operation of the button 61 can be canceled, the operation can be canceled by an intuitive and easy operation, and operability can be improved. In particular, the cancel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even if the user is visually impaired.

또한, 부가 전극(8)의 검지 영역을, 조작 버튼(61)의 외연 근방의 앞쪽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취소 조작시에 손가락을 이동시키는 방향이 가열구(4)와 역방향으로 되어, 취소 조작시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가열구(4)에 탑재된 피가열물에 접촉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etection area of the additional electrode 8 is in front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operation button 61,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nger is moved at the time of the cancel operation is reversed from the heating port 4, and at the time of the cancel operation.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the user's finger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heated object mounted on the heating port 4 can be reduced.

또한, 입력 조작이 취소된 경우, 표시부(5)의 부가 전극(8)에 상당하는 범위를 블링크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입력 조작이 취소된 취지 및 부가 전극(8)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input operation is canceled, since the range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electrode 8 of the display unit 5 is blinked,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input operation is canceled and the position of the additional electrode 8. , The oper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터치 온이 소정 시간(X초) 계속된 경우, 상기 조작 버튼(61)의 기능 내용을 가이던스 표시(51) 또는 음성에 의해 통지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조작 내용을 이해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취소 조작이 된 경우, 입력 조작이 취소된 취지를 통지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조작이 취소된 취지를 이해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ouch-on is continued for a predetermined time (X seconds), the function content of the operation button 61 is notified by the guidance display 51 or by the voice, so that the user can understand the operation content and operateabilit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when the cancel operation is performed, the user is notified that the input operation is canceled, so that the user can understand that the operation is canceled, and the oper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음성에 의해 상기 조작 버튼(61)의 기능 내용이나 입력 조작이 취소된 취지를 통지하기 때문에, 사용자, 특히 시각 장해를 갖는 사용자는 조작 내용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어, 조작에 대한 안심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 내용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오조작의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user is notified of the function content of the operation button 61 and the fact that the input operation is canceled by voice, the user, in particular, a user with visual impairment, can easily understand the operation content and improve the security of the operation. You can. 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contents can be understood, the possibility of misoperation can be reduced.

또한, 부가 전극(8)의 검지 영역을 조작 버튼(61)의 외연 근방으로 하는 것에 의해, 예컨대 냄비 등의 피가열물이나 식칼 등의 소품이, 조작 버튼(61) 및 부가 전극(8) 상에 놓여진 경우이더라도, 상기 입력 조작이 취소되어, 오조작의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Moreover, by making the detection area of the additional electrode 8 near the outer edge of the operation button 61, for example, a heated object such as a pan or a small knife such as a kitchen knife is placed on the operation button 61 and the additional electrode 8. Even in the case of, the input operation is canceled, so that the possibility of misoperation can be reduced.

(실시의 형태 2) (Embodiment 2)

본 실시의 형태 2에서는, 부가 전극(8)의 배치 위치에 따라, 소정의 메시지 정보를 표시부(5)나 음성 출력부(9)에 통지하는 것이다. 이하, 본 실시의 형태 2에 대하여, 상기 실시의 형태 1과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message information is notified to the display unit 5 or the audio output unit 9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additional electrode 8. Hereinafter, this Embodiment 2 is demonstrated using FIG. 8 centering on difference with 1st Embodiment. In addition, about the part same as the said Embodiment 1,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조작부의 구성 및 입력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부가 전극(8)은, 상술한 실시의 형태 1의 구성에 더하여, 조작 버튼(61)의 가열구(4) 측에 또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부가 전극(8)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창부(7)의 상면에 접촉할 때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의해, 손가락의 존재를 검지한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의 형태 1의 동작에 더하여 다음 동작을 행한다.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input operation of the operation part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As shown in FIG. 8B, the additional electrode 8 in the second embodiment is further provided on the heating port 4 side of the operation button 61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It is prepared. Then,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presence of the finger is detected by the change in the capacitance at the time of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portion 7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additional electrode 8.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th this configura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follow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조작 버튼(61)을 터치 온 한 후, 손가락이 가열구(4)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열구(4) 측의 부가 전극(8)에 접촉하면, 부가 전극 신호 검출부(13)는 상기 전극의 검지 신호를 조작·통지 제어부(11)에 입력한다. 그리고, 조작·통지 제어부(11)는, 가열구(4) 측의 부가 전극(8)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취소 동작(S110)을 행하는 동시에, 소정의 메시지 정보를 음성 출력부(9)나 표시부(5)에 통지한다. As shown in FIG. 8, when a user's finger touches the operation button 61, the finger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heating port 4 and contacts the additional electrode 8 on the heating port 4 side. The additional electrode signal detection unit 13 input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electrode to the operation / notification control unit 11. And whe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additional electrode 8 of the heating port 4 side is input, the operation and notification control part 11 performs cancellation operation S110 like the said Embodiment 1, and predetermined message information Notifies the audio output unit 9 or the display unit 5.

예컨대, 음성이나 표시에 의해, 가열 제어중에는 「고온 영역에 조심하여 주십시오.」 등이나, 상기 가열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화력 4로 가열중입니다.」 등의 통지를 행한다. 또한, 예컨대, 조작 버튼(61)의 조작 기능에 관한 정보로서, 메뉴 표시중에는 「메뉴 화면입니다.」 등의 통지나 「조작 영역을 벗어났습니다.」 등의 통지를 행한다. For example, by the voice or the display, during the heating control, a notification such as "Please be careful about the high temperature area", etc., "Heating at the heating power 4" which shows the said heating control state, etc. are performed. For example, as information about an operation function of the operation button 61, a notification such as "It is a menu screen" or a notification "out of an operation area" is performed during menu display.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의 형태 1의 효과에 더하여, 부가 전극(8)의 배치 위치에 따라, 소정의 메시지 정보를 표시부(5)나 음성 출력부(9)에 통지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이동한 방향을 따라 소정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가열구(4)의 방향으로 손가락이 이동한 경우 등에, 사용자에게 주의를 줄 수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가열구(4)에 탑재된 피가열물에 접촉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the first embodiment, notifying the display unit 5 or the audio output unit 9 of predetermined mess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additional electrode 8. Therefore, the user can be notified of predetermined information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s finger is moved. Thereby, a user can be alerted when a finger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heating port 4, and the possibility that a user's finger contacts the to-be-heated object mounted in the heating port 4 can be reduced. have.

한편, 본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상기 실시의 형태 1의 구성에 더하여 가열구(4) 측에 부가 전극(8)을 마련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부가 전극(8)을 가열구(4) 측에만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In addition, in Embodiment 2, the case where the additional electrode 8 is provided in the heating port 4 side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of the said Embodiment 1 was demonstrated, It is not limited to this, The additional electrode 8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good also as a structure provided only in the heating port 4 side.

(실시의 형태 3) (Embodiment 3)

상기 실시의 형태 1 또는 2에서는, 부가 전극(8)을 조작 버튼(61)의 앞쪽 또는 가열구(4) 측에 배치한 경우를 설명했지만, 부가 전극(8)은 조작부(6)의 외연 근방의 적어도 일부를 검지 영역으로 하는 것이면 좋다. Although the case where the additional electrode 8 was arrange | positioned in front of the operation button 61 or the heating port 4 side was demonstrated in the said Embodiment 1 or 2, the additional electrode 8 is near the outer periphery of the operation part 6; At least a part of may be a detection area.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따른 부가 전극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arrangement | positioning of the additional electrode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예컨대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6)의 전후를 검지 영역으로 하 도록 배치하더라도 좋고, 예컨대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6)의 좌우를 검지 영역으로 하도록 배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예컨대,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6)의 외연을 모두 둘러싸는 범위를 검지 영역으로 하여 배치하더라도 좋고, 예컨대 도 9(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버튼(61)의 앞쪽 및 오른쪽을 검지 영역으로 하여 배치하더라도 좋다. 그 밖의 임의의 배치를 행할 수 있고, 이들 임의로 배치된 부가 전극(8)에 의해, 상술한 실시의 형태 1 또는 2와 같은 동작에 의해, 입력 조작의 취소, 또는 소정의 메시지 정보를 통지하는 동작을 행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a), the front and rear of the operation unit 6 may be arranged to be the detection area.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b),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peration unit 6 are arranged as the detection area. You may. For example, as shown in FIG.9 (c), you may arrange | position the range which surrounds all the outer peripheries of the operation part 6 as a detection area, and, for example, as shown in FIG.9 (d), of the operation button 61 The front and right sides may be arranged as the detection area. Other arbitrary arrangements can be made, and the operation of canceling the input operation or notifying the predetermined message information by the operation as in the above-described first or second embodiments is performed by these arbitrarily arranged additional electrodes 8. May be performed.

또한, 부가 전극(8)의 위치, 즉 검지한 손가락의 위치에 따라, 입력 조작의 취소 및 메시지 정보의 통지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을 행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additional electrode 8, that is,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finger, both or either of the cancellation of the input operation and the notification of the message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술한 실시의 형태 1 또는 2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lso with such a structure, the effect similar to Embodiment 1 or 2 mentioned above can be acquired.

(실시의 형태 4) (Fourth Embodiment)

상기 실시의 형태 1 ~ 3에서는, 부가 전극(8)에 의해 입력 조작의 취소 또는 메시지 정보의 통지를 행했지만, 본 실시의 형태 4에서는, 복수의 조작 버튼(61) 중 인접하는 조작 버튼(61)을 조작함으로써, 입력 조작의 취소를 행한다. 이하, 본 실시의 형태 4에 대하여, 상기 실시의 형태 1과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도 10 ~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동일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e additional electrode 8 cancels the input operation or notifies the message information.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adjacent operation button 61 among the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61 is used. ), The input operation is canceled. Hereinafter,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3 with a focus on difference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addition, about the part same as the said Embodiment 1,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조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a)은 조작 버튼 및 부가 전극의 전극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b)은 표시부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6)는 투명성의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조작 버튼(61)을 갖고, 이 조작 버튼(61)은 좌우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 4에서는 상술한 부가 전극(8)을 마련하지 않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Fig. 10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eration unit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a) shows an electrode region of an operation button and an additional electrode, and Fig. 10 (b) shows a display state of a display unit. Drawing. As shown in FIG. 10, the operation part 6 has the some operation button 61 which consists of transparent electrodes, and this operation button 61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arrange | positioned continuously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additional electrode 8 is not provided.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가열 조리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10)는 조작·통지 제어부(11)와, 조작부(6)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검출하는 조작 신호 검출부(12)와, 입력 조작 및 제어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용의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부(5)에 출력하는 표시 처리부(14)와, 입력 조작 및 제어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용의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부(5)에 출력하는 표시 처리부(14)와, 입력 조작 및 제어 상태에 관한 정보를 음성용의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 출력부(9)에 출력하는 음성 처리부(15)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어부(10)는, 조작 버튼(61)으로부터의 입력 및 상기 조작 버튼(61)에 인접하는 조작 버튼(61)으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하여, 인버터(20)에의 가열 제어나 제어 내용에 근거하는 각종 통지 지령을 표시부(5) 및 음성 출력부(9)에 행한다. 11 is a block diagram of a heating cooker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 the control part 10 displays the operation and notification control part 11, the operation signal detection part 12 which detects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operation part 6, and information regarding an input operation and a control state. A display processing unit 14 for converting a signal for a dragon to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5, a display processing unit 14 for converting information about an input operation and a control state into a signal for display and outputting it to the display unit 5; It consists of the audio processing part 15 which converts the information regarding an input operation and a control state into the signal for audio, and outputs it to the audio output part 9. FIG. With this configuration, the control unit 10 controls the heating and the control content to the inverter 20 based on the input from the operation button 61 and the input from the operation button 61 adjacent to the operation button 61. Various notification commands based on the data are sent to the display unit 5 and the audio output unit 9.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가열 조리기의 동작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가열 조리기의 입력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의 형태 4에 있어서의 조작 취소 동작에 대하여, 도 12에 근거하여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12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heating cook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operation of the heating cook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operation cancel operation in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based on FIG. 12.

유도 가열 조리기 본체(1)의 주전원(도시하지 않음)이 투입되면, 각 구성부는 동작을 개시한다. 제어부(10)의 조작·통지 제어부(11)는, 예컨대 메뉴 버튼 등, 소정의 조작 버튼(61)의 표시를 표시부(5)에게 행하게 하고, 조작 버튼(61)의 감지를 개시한다(S201). When the main power source (not shown) of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main body 1 is input, each component starts operation. The operation / notification control unit 11 of the control unit 10 causes the display unit 5 to display a predetermined operation button 61, such as a menu button, for example, and starts the detection of the operation button 61 (S201). .

조작 신호 검출부(12)는, 각 조작 버튼(61)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한 상태(터치 온)를 검출하면, 상기 조작 버튼(61)(이하 「터치 1」라고 한다.)의 터치 온 신호를 조작·통지 제어부(11)에 입력한다. When the operation signal detection unit 12 detects a change in the capacitance of each operation button 61 and detects a state in which a user's finger is in contact (touch on), the operation signal 61 (hereinafter referred to as "touch 1"). Input the touch-on signal to the operation / notification control unit 11.

조작·통지 제어부(11)는 터치 1 온 신호를 검출하면(S202), 타이머 카운트를 개시한다(S203). 그리고, 소정의 경과 시간(X초 : 예컨대 3초)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04), 터치 온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했다고 판단한 경우는, 상기 터치 온 상태의 조작 버튼(61)의 조작 내용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S205). 이 통지는, 예컨대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작 버튼(61)의 기능 내용을 가이던스 표시(51)에 의해 확대 표시하거나, 예컨대「카운트 업 타이머입니다.」 등의 음성에 의해 통지한다. When the operation / notification control unit 11 detects the touch 1 on signal (S202), the timer counting starts (S203).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redetermined elapsed time (X seconds: 3 seconds, for example) has elapsed (S204).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from the touch-on, the operation contents of the operation button 61 in the touch-on state are The information is notified to the user (S205). This notification 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A, the function contents of the operation button 61 is enlarged and displayed by the guidance display 51, or, for example, by a voice such as "count up timer." do.

단계 S204에서 터치 온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또는 상기 단계 S205 이후, 조작·통지 제어부(11)는, 터치 온된 조작 버튼(61)의 손가락이 떨어진 상태(터치 해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6).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04 that the predetermined time has not elapsed since the touch-on, or after the step S205, the operation / notification control unit 1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finger of the touch-on operation button 61 is in a dropped state (touch release). (S206).

조작 신호 검출부(12)는, 조작 버튼(61)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여 터치 1의 해제를 검출하면 터치 해제 신호를 조작·통지 제어부(11)에 입력한다. The operation signal detection unit 12 detects the change in the capacitance of the operation button 61 and detects the release of the touch 1, and inputs the touch release signal to the operation / notification control unit 11.

조작·통지 제어부(11)는, 터치 해제 신호를 검출하면(S206), 타이머 카운트를 개시한다(S207). 한편, 터치 해제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는, 상기 단계 S204로 되돌아가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The operation / notification control part 11 starts a timer count (S207), when detecting a touch release signal (S206). On the other hand, when the touch release signal is not detect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204 and the operation is repeated.

다음으로, 조작·통지 제어부(11)는, 터치 1 해제로부터 제 1 소정 시간(Z초 : 예컨대 0.3초) 이내에, 터치 1을 검지한 조작 버튼(61)에 인접하는 조작 버튼(61)(이하 「터치 2」라고 한다.)의 터치 2 온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08), 제 1 소정 시간(Z초) 이내에 터치 2 온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는, 터치 1에 의한 조작 버튼(61)의 입력에 근거하여, 가열 제어나 제어 내용에 근거하는 각종 표시 지령을 행한다(S210). Next, the operation / notification control unit 11 operates the operation button 61 adjacent to the operation button 61 which detects the touch 1 within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Z seconds: 0.3 second, for example) from the touch 1 relea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peration button 61).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ouch 2 on signal of " touch 2 " is input (S208), and when the touch 2 on signal is not input within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Z seconds), the operation button by touch 1 Based on the input of 61, various display commands based on heating control and control content are performed (S210).

한편, 제 1 소정 시간(Z초) 이내에 터치 2 온 신호가 입력된 경우, 터치 2의 해제 신호가 제 1 소정 시간(Z초)가 경과할 때까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9). 제 1 소정 시간(Z초) 이내에 터치 2 해제 신호가 입력된 경우는, 터치 1에 의한 조작 버튼(61)의 입력에 근거하여, 가열 제어나 제어 내용에 근거하는 각종 표시 지령을 행한다(S210). 이것에 의해, 터치 1을 해제할 때에, 손가락이 터치 2(인접하는 조작 버튼(61))에 벗어나고, 순간적(예컨대 0.3초 이내)으로 터치 2의 온 신호 및 해제 신호가 입력된 경우 등은, 터치 1의 기능이 실행되는 것으로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ouch 2 on signal is input within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Z second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lease signal of the touch 2 is input until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Z seconds elapses (S209). When the touch 2 release signal is input within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Z seconds), various display commands based on the heating control or the control content are issued based on the input of the operation button 61 by the touch 1 (S210). . As a result, when the touch 1 is released, when the finger deviates from the touch 2 (adjacent operation button 61) and the ON signal and the release signal of the touch 2 are instantaneously inputted (for example, within 0.3 seconds), etc., The function of touch 1 is executed.

단계 S209에서, 제 1 소정 시간(Z초) 이내에 터치 2 해제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는, 제 2 소정 시간(P초 : 예컨대 3초) 이내에 터치 2 해제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1). In step S209, when the touch 2 release signal is not input within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Z second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ouch 2 release signal is input within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P seconds (for example, 3 seconds) (S211). ).

제 2 소정 시간(P초) 이내에 터치 2 해제 신호가 입력된 경우, 즉, 터치 2의 입력 조작이 제 1 소정 시간(Z초) 경과 후까지 계속되고, 또한 제 2 소정 시간(P초) 경과 후까지 계속되지 않을 때, 터치 1 및 터치 2에 따른 조작 버튼(61)으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하는 제어를 행하지 않고서 취소하고(S212), 입력 조작이 취소된 취지를 표시부(5) 또는 음성 출력부(9)에 의해 통지한다(S213). 예컨대 「아무것도 선택되지 않았습니다.」 등의 표시나 음성을 통지한다. When the touch 2 release signal is input within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P seconds, that is, the input operation of the touch 2 continues until after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Z seconds,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P seconds has elapsed. When not continued until later, the controller cancels without performing control based on the input from the operation buttons 61 according to the touch 1 and the touch 2 (S212), and the display unit 5 or the audio output unit indicates that the input operation is cancelled. Notification is made by (9) (S213). For example, the display notifies you that nothing has been selected or sounds.

한편, 제 2 소정 시간(P초) 이내에 터치 2 해제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즉, 터치 2의 입력 조작이 제 2 소정 시간(P초) 경과 후까지 계속되었을 때, 터치 2에 따른 조작 버튼(61)에 의한 입력 조작이 행해진 것으로 하여, 감지를 개시하고(S214), 상기 터치 온 상태의 조작 버튼(61)의 조작 내용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S215). 그리고, 단계 S206으로 되돌아가, 터치 2의 해제 신호를 검지하고, 상기 터치 2에 인접하는 조작 버튼(61)을 새로운 터치 2의 조작 버튼(61)으로 하여, 상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ouch 2 release signal is not input within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P seconds), that is, when the input operation of the touch 2 is continued until after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P seconds), the operation button according to the touch 2 It is assumed that the input operation by 61 has been performed, the detection is started (S214), and the user is notified of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contents of the operation button 61 in the touch-on state (S215). Then,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206 to detect the release signal of the touch 2, and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s repeated by using the operation button 61 adjacent to the touch 2 as the new operation button 61 of the touch 2.

이러한 동작에 의해, 사용자가 예컨대 도 13(b)에 나타내는 「카운트 업 타이머」의 조작 버튼(61a)에 접촉한 후, 인접하는 「끓이기」의 조작 버튼(61b)에 손가락을 이동시켜, 제 1 소정 시간 경과 후로부터 제 2 소정 시간 경과 전까지(Z초로부터 P초까지의 사이)에 조작 버튼(61b)을 해제하면, 어떤 입력 조작도 취소된다. By this operation, after a user touches the operation button 61a of the "count up timer" shown, for example in FIG. 13 (b), a finger is moved to the adjacent "boiling" operation button 61b, and 1st If the operation button 61b is released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and before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elapses (between Z seconds and P seconds), any input operation is canceled.

그리고, 제 2 소정 시간 경과 후까지 입력 조작을 계속하면, 「끓이기」의 조작 버튼(61b)의 감지를 개시하여, 상기 조작 버튼(61b)의 기능 내용을 가이던스 표시(51)에 의해 확대 표시하거나, 예컨대 「끓이기입니다.」 등의 음성에 의해 통지하고, 사용자는 조작 버튼(61b)의 감지가 개시된 취지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Then, if the input operation is continued until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elapses, detection of the operation button 61b for "boiling" is started, and the function contents of the operation button 61b are enlarged and displayed by the guidance display 51. For example, the user can be notified by voice such as "It is boiling", and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detection of the operation button 61b is started.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조작 버튼(61)이 터치 해제된 후, 상기 조작 버튼(61)의 입력 조작의 유무에 따라, 상기 입력에 근거하는 제어의 실행 또는 취소를 행하기 때문에, 조작을 개시해 이후에도 상기 조작을 취소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operation button 61 is touch-released, the control based on the input is executed or cancel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input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61, The operation can be canceled after the operation is started.

또한, 사용자는 조작 버튼(61)에 접촉한 후에, 손가락을 인접하는 조작 버튼(61)에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조작 버튼(61)의 입력 조작을 취소할 수 있고, 직감적이고 용이한 조작에 의해 조작을 취소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시각 장애자이여도 취소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the user touches the operation button 61, the user can cancel the input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61 by moving a finger to the adjacent operation button 61, thereby providing intuitive and easy operation. By this, the operation can be canceled and the operability can be improved. In particular, the cancel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even if the user is visually impaired.

또한, 조작 버튼(61)이 터치 해제된 후, 제 1 소정 시간(Z초) 경과까지 인접하는 조작 버튼(61)의 터치 온 및 터치 해제가 이루어진 경우, 인접하는 조작 버튼(61)의 조작을 행하지 않고서, 상기 조작 버튼(61)의 기능을 실행하기 때문에, 조작 버튼(61)을 해제할 때에, 인접하는 조작 버튼(61)에 순간적으로 접촉한 경우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조작 버튼(61)의 크기가 손가락에 비해 작을 때는 특히 유효하다. In addition, when touch-on and touch-release of the adjacent operation button 61 are made until the 1st predetermined time (Z second) elapses after the operation button 61 is released, operation of the adjacent operation button 61 is performed. Since the function of the said operation button 61 is performed, without performing it, when operation | movement of the operation button 61 is canceled, misoperation in case of instantaneous contact with the adjacent operation button 61 can be prevented, Can be improved. For example, this is particularly effective when the size of the operation button 61 is small compared to the finger.

또한, 조작 버튼(61)이 터치 해제된 후, 제 2 소정 시간(P초) 경과 후까지, 인접하는 조작 버튼(61)의 터치 온 상태가 계속되면, 상기 인접하는 조작 버튼(61)의 감지를 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의도하여 인접하는 조작 버튼(61)을 선택한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인접하는 조작 버튼(61)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touch-on state of the adjacent operation buttons 61 continues until after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P seconds has elapsed after the operation button 61 is released, the detection of the adjacent operation buttons 61 is detected. In this case, when the user intentionally selects the adjacent operation button 61, the function of the adjacent operation button 61 can be executed, and the oper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터치 온이 소정 시간(X초) 계속된 경우, 상기 조작 버튼(61)의 기능 내용을 가이던스 표시(51) 또는 음성에 의해 통지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조작 내용을 이해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취소 조작이 된 경우, 입력 조작이 취소된 취지를 통지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조작이 취소된 취지를 이해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ouch-on is continued for a predetermined time (X seconds), the function content of the operation button 61 is notified by the guidance display 51 or by the voice, so that the user can understand the operation content and operateabilit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when the cancel operation is performed, the user is notified that the input operation is canceled, so that the user can understand that the operation is canceled, and the oper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음성에 의해 상기 조작 버튼(61)의 기능 내용이나 입력 조작이 취소된 취지를 통지하기 때문에, 사용자, 특히 시각 장해를 갖는 사용자는, 조작 내용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어, 조작에 대한 안심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 내용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오조작의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is notified of the function content of the operation button 61 and the fact that the input operation is canceled by voice, so that the user, in particular, a user with visual impairment, can easily understand the operation content and feel a sense of security for the operation.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contents can be understood, the possibility of misoperation can be reduced.

(실시의 형태 5) (Embodiment 5)

본 실시의 형태 5에서는, 상기 실시의 형태 1 ~ 3에서 설명한 부가 전극(8)의 검지 신호와, 상기 실시의 형태 4에서 설명한 인접하는 조작 버튼(61)으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하여, 가열 제어 및 통지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이하, 본 실시의 형태 5에 대하여, 상기 실시의 형태 1 및 4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도 14 ~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기 실시의 형태 1 또는 4와 동일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fifth embodiment, the heating control is performed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additional electrodes 8 described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nd the input from the adjacent operation button 61 described in the fourth embodiment. Notification control is performed. Hereinafter, the fif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7 with a focus on differences from the first and fourth embodiments. In addition, about the part same as the said Embodiment 1 or 4,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따른 조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4(a)는 조작 버튼 및 부가 전극의 전극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b)는 표시부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6)는 투명성의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조작 버튼(61)을 갖고, 이 조작 버튼(61)은 좌우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 5에서는, 연속 배치되는 조작 버튼(61)에 양단에 배치된 조작 버튼(61)의 배열 방향의 근방에, 부가 전극(8)이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FIG. 1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eration unit according to Embodiment 5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A is a view showing electrode regions of an operation button and an additional electrode, and FIG. 14B is a view showing a display state of a display unit. Drawing. As shown to Fig.14 (a), the operation part 6 has the some operation button 61 which consists of transparent electrodes, and this operation button 61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arrange | positioned continuously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in this Embodiment 5, the additional electrode 8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vicinity of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operation button 61 arrange | positioned at the both ends to the operation button 61 arrange | positioned continuously.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한편, 본 실시의 형태 5에서는, 양단의 근방에 부가 전극(8)이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어느 한쪽의 끝에 부가 전극(8)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5, although the case where the additional electrode 8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vicinity of both ends is demonstrated, it is not limited to this, You may make it the structure which arrange | positions the additional electrode 8 at either end.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따른 가열 조리기의 동작 흐름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따른 가열 조리기의 입력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의 형태 5에서의 조작 취소 동작에 대하여, 도 15에 근거하여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15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the heating cooker according to Embodiment 5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6 and 1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input operation of the heating cooker according to Embodiment 5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operation cancel operation in the fif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 and 17 based on FIG. 15.

유도 가열 조리기 본체(1)의 주전원(도시하지 않음)이 투입되면, 각 구성부는 동작을 개시한다. 제어부(10)의 조작·통지 제어부(11)는, 예컨대 메뉴 버튼 등, 소정의 조작 버튼(61)의 표시를 표시부(5)에게 하게 하여, 조작 버튼(61)의 감지를 개시한다(S301). When the main power source (not shown) of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main body 1 is input, each component starts operation. The operation / notification control unit 11 of the control unit 10 causes the display unit 5 to display a predetermined operation button 61 such as a menu button, for example, and starts the detection of the operation button 61 (S301). .

조작 신호 검출부(12)는 조작 버튼(61)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한 상태(터치 온)를 검출하면, 터치 온 신호를 조작·통지 제어부(11)에 입력한다. When the operation signal detection unit 12 detects a change in the capacitance of the operation button 61 and detects a state where the user's finger touches (touch on), the operation signal detection unit 12 inputs a touch on signal to the operation / notification control unit 11.

조작·통지 제어부(11)는, 터치 온 신호를 검출하면(S302), 타이머 카운트를 개시한다(S303). 그리고, 소정의 경과 시간(X초: 예컨대 3초)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04), 터치 온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는, 상기 터치 온 상태의 조작 버튼(61)의 조작 내용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S305). 이 통지는, 상기 조작 버튼(61)의 기능 내용을 가이던스 표시(51)에 의해 확대 표시하거나, 예컨대 「카운트 업 타이머입니다.」 등의 음성에 의해 통지한다. The operation / notification control part 11 starts a timer count (S303), when detecting a touch-on signal (S302).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a predetermined elapsed time (X seconds: 3 seconds, for example) has elapsed (S304),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from the touch-on, the operation content of the operation button 61 in the touch-on state Information about the user is notified (S305). This notification is enlarged and displayed by the guidance display 51 of the function content of the said operation button 61, or it is notified by voice | voice, such as "count up timer."

단계 S304에서 터치 온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또는 상기 단계 S305 이후, 조작·통지 제어부(11)는 터치 온된 조작 버튼(61)의 손가락이 떨어진 상태(터치 해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6).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04 that the predetermined time has not elapsed from the touch-on, or after the step S305, the operation / notification control unit 11 determines whether the finger of the touch-on operation button 61 is in a state of being released (touch release) ( S306).

조작 신호 검출부(12)는 조작 버튼(61)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여 터치 1의 해제를 검출하면, 터치 해제 신호를 조작·통지 제어부(11)에 입력한다. When the operation signal detection unit 12 detects the change in the capacitance of the operation button 61 and detects the release of the touch 1, the operation signal detection unit 12 inputs the touch release signal to the operation / notification control unit 11.

조작·통지 제어부(11)는, 터치 해제 신호를 검출하면(S306), 타이머 카운트를 개시한다(S307). 한편, 터치 해제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는, 상기 단계 S304로 되돌아가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The operation / notification control part 11 starts a timer count (S307), when detecting a touch release signal (S306). On the other hand, when the touch release signal is not detected, the process returns to the step S304 and the above operation is repeated.

다음으로, 조작·통지 제어부(11)는, 터치 해제로부터 제 1 소정 시간(Z초 : 예컨대 0.3초) 이내에, 부가 전극(8)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또는 터치 온 신호를 검지한 조작 버튼(61)에 인접하는 조작 버튼(61)(이하, 단순히 「인접 버튼」이라고 한다.)의 터치 온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8). Next, the operation / notification control part 11 detects whether the detection signal of the additional electrode 8 was input or the touch-on signal was detected within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Z seconds: 0.3 seconds) from the touch releas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ouch-on signal of the operation button 61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djacent button") adjacent to 61 is input (S308).

단계 S308에서, 제 1 소정의 경과 시간(Z초) 이내에 부가 전극(8)의 검지 신호의 입력이 없고, 또한 인접 버튼의 터치 온 신호의 입력이 없는 경우는, 터치 해제된 조작 버튼(61)으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하여, 가열 제어나 통지 제어를 실행한다(S309). In step S308, when there is no input of the detection signal of the additional electrode 8 within the first predetermined elapsed time (Z seconds), and there is no input of the touch-on signal of the adjacent button, the operation button 61 released is not touched. Based on the input from the controller, heating control and notification control are executed (S309).

또한, 단계 S308에서, 제 1 소정의 경과 시간(Z초) 이내에 부가 전극(8)의 검지 신호의 입력이 있는 경우, 조작·통지 제어부(11)는, 터치 해제된 조작 버튼(61)으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하는 제어를 행하지 않고서 취소한다(S311). 예컨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속 배치된 단부의 조작 버튼(61)에 접촉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오른쪽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부가 전극(8)에 손가락이 접촉하면, 입력 조작이 취소된다. 그리고, 입력 조작이 취소된 취지를 통지하기 위해서, 표시부(5)의 부가 전극(8)에 상당하는 범위를 블링크 표시(점멸)시킨다(S312).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입력 조작이 취소된 취지 및 부가 전극(8)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입력 조작이 취소된 취지 통지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음성 출력부(9)로부터, 예컨대 「아무것도 선택되지 않았습니다.」 등의 음성에 의해 통지하더라도 좋다. In addition, in step S308, when there is an input of the detection signal of the additional electrode 8 within the first predetermined elapsed time (Z seconds), the operation / notification control unit 11 receives the input from the operation button 61 released from touch. The operation is canceled without performing control based on the input (S311).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6, when the touch button 61 of the continuously arranged end part contacts, the user's finger slides to the right direction, and a finger touches the additional electrode 8, input operation is canceled. Then, in order to notify that the input operation is canceled, the range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electrode 8 of the display unit 5 is blinked (flashed) (S312). Thereby,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input operation is canceled and the position of the additional electrode 8. Note that the notification that the input operation is canceled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notified from the audio output unit 9 by, for example, "nothing is selected."

또한, 단계 S308에서, 인접 버튼의 터치 온 신호의 입력이 있는 경우, 조작·통지 제어부(11)는, 터치 해제된 조작 버튼(61)의 조작 내용과 인접 버튼의 조작 내용과 관련성(연속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10). 이 관련성의 판단은, 예컨대 도 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5)에 메뉴 표시 등을 행하고, 인접하는 조작 버튼(61)의 조작 내용이 다른 조작이고, 연속하여 입력 조작을 행하는 것을 상정하지 않고 있는 표시일 때는,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예컨대 도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5)에 화력 조절 표시 등을 행하고, 인접하는 조작 버튼(61)의 조작이 연속하여 입력되는 것이 상정되는 표시일 때는, 관련성(연속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In addition, in step S308, when there is an input of the touch-on signal of the adjacent button, the operation / notification control unit 11 has a relevance (continuity) to the operation content of the operation button 61 released from touch and the operation content of the adjacent butt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S310). The determination of this relevance 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7A, a menu display or the like is performed on the display unit 5, and the operation contents of the adjacent operation buttons 61 are different operations, and continuous input operation is performed. When it is indication not to assume, we judge that there is no relation. On the other han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7 (b), when the display unit 5 performs a thermal power adjustment display or the like, and it is assumed that the operation of the adjacent operation button 61 is continuously input, the relation (continuity) I think there is.

단계 S310에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는, 터치 해제된 조작 버튼(61) 및 인접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하는 제어를 행하지 않고서 취소하고(S311), 입력 조작이 취소된 취지를 통지한다(S312). 한편, 단계 S310에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는, 단계 S303으로 되돌아가, 상기 인접 버튼의 터치 온 신호를 새로운 터치 온 신호로 하여, 상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10 that there is no relation, the operation is canceled without performing control based on the input from the touch-release operation button 61 and the adjacent button (S311), and a notification is made that the input operation is canceled (S312). .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10 that there is relevance,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303, and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s repeated with the touch-on signal of the adjacent button as a new touch-on signal.

한편, 단계 S310에서, 인접 버튼의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상술한 실시의 형태 4의 단계 S209 ~ S215와 마찬가지의 동작에 의해, 인접 버튼에 의한 취소 동작을 행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it is determined in step S310 that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the adjacent buttons, the cancel operation by the adjacent buttons may be performed by the same operations as those of steps S209 to S215 in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이러한 동작에 의해, 예컨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속 배치된 조작 버튼(61)의 단부를 조작하여, 인접 버튼이 없는 경우이더라도, 부가 전극(8)에 의해 조작을 취소할 수 있고, 또한, 도 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 버튼의 조작에 관련성이 없는 경우는, 인접 버튼에 의해 조작을 취소할 수 있고, 또한, 도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 버튼의 조작에 관련성이 있는 경우는, 인접 버튼에 의해 조작을 취소하는 일없이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다. By this opera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6, the end portions of the continuously arranged operation buttons 61 can be operated to cancel the operation by the additional electrode 8 even when there is no adjacent button. As shown in Fig. 17A, when there is no relevance to the operation of the adjacent button, the operation can be canceled by the adjacent button, and as shown in Fig. 17B, the relevance to the operation of the adjacent button is shown. In this case, the input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canceling the operation by the adjacent button.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의 형태 1 ~ 4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인접 버튼의 입력 조작이 이루어졌을 때, 인접 버튼의 관련성의 유무에 따라, 입력 조작의 취소 또는 인접 버튼으로부터의 입력 조작을 행하기 때문에, 예컨대 화력 조절 표시 등, 인접 버튼이 연속하여 입력되는 경우에는, 인접 버튼으로부터의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effect similar to the said Embodiments 1-4 can be acquired. In addition, when the input operation of the adjacent button is performed, the input operation is canceled or the input operation from the adjacent button is performed depending on whether the adjacent button is related, so that adjacent buttons such as a fire power control display are continuously input. In this case, input operation from an adjacent button can be performed, and oper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양단에 배치된 조작 버튼(61)의 배열 방향의 근방에, 부가 전극(8)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연속 배치된 조작 버튼(61)의 단부를 조작하여, 인접 버튼이 없는 경우이더라도, 사용자가 취소 조작을 행할 때에 손가락을 이동하는 방향을 바꾸는 일없이, 부가 전극(8)에 의해 조작을 취소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dditional electrodes 8 are arranged in the vicinity of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operation buttons 61 arranged at both ends, even when there is no adjacent button by operating the end portions of the operation buttons 61 arranged continuously, When the user performs the canceling operation, the operation can be canceled by the additional electrode 8 without chang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nger moves, thereby improving the operability.

한편, 상기 실시의 형태 1 ~ 5에서는, 조작부(6)는 정전 용량의 변화에 의해 입력 조작을 검지하는 터치 스위치를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조작 버튼을 이용할 수 있고, 예컨대, 메브렌 시트를 이용한 접점 버튼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 조작부(6)는 천판(2)의 상면에 배치한다.
In addition, although the said operation part 6 demonstrated the case of using the touch switch which detects input operation by the change of electrostatic capacitance in the said Embodiment 1-5,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rbitrary operation buttons May be used, and for example, may be a contact button using a methylene sheet. In this case, the operation unit 6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2.

(실시의 형태 6)(Embodiment 6)

상기 실시의 형태 1 ~ 5에서는, 조작부(6)에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터치 스위치를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본 실시의 형태 6에서는, 2단계로 가압 조작되는 접점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조작부(6)를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하, 본 실시의 형태 6에 대하여, 상기 실시의 형태 1 및 4과 상위점을 중심으로 도 18 및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기 실시의 형태 1 또는 4와 동일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Although the case where the touch switch which detects the change of electrostatic capacitance was demonstrated for the operation part 6 was demonstrated in the said Embodiment 1-5, in this Embodiment 6, the operation part 6 which consists of a contact switch pressurized and operated in two steps.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this Embodiment 6 is demonstrated using FIG. 18 and FIG. 19 centering | focusing on difference with said Embodiment 1 and 4. FIG. In addition, about the part same as the said Embodiment 1 or 4,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따른 조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의 형태 1 ~ 5의 터치 스위치를 대신하여, 조작부(6)는 천판(2)의 창부(7)의 상면 앞쪽에 배치되고, 2단계로 가압 조작되는 2단계 접점 스위치(62)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 6에서는, 상술한 부가 전극(8)을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0)의 구성은 상기 실시의 형태 4(도 11)와 마찬가지이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operation part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6 of this invention. As shown in Fig. 18, in place of the touch switches of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the operation portion 6 is disposed in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portion 7 of the top plate 2, and is operated in two stages and pressed. It consists of a contact switch 62. In the sixth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additional electrode 8 is not provided.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control part 10 is the same as that of 4th Embodiment (FIG. 11).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이 2단계 접점 스위치(62)는, 가압력 또는 가압의 스트로크에 따라, 가압력이 가벼운 또는 스트로크가 짧은 제 1 단계와, 가압력이 강한 또는 가압의 스트로크가 긴 제 2 단계의 접점 신호가 제어부(10)에 입력된다. 그리고 제어부(10)의 조작 신호 검출부(12)는 이 제 1 단계의 입력 신호와 제 2 단계의 입력 신호를 조작·통지 제어부(11)에 입력한다. The two-stage contact switch 62 has a contact signal of the first stage having a light pressing force or a short stroke and a second stage contact signal having a strong pressing force or a long pressing stroke according to the stroke of the pressing force or pressurization. Is entered. And the operation signal detection part 12 of the control part 10 inputs this input signal of a 1st step and the input signal of a 2nd step into the operation and notification control part 11.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따른 가열 조리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실시의 형태 6에서의 조작 취소 동작에 대하여, 도 19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19 is a flowchart of operation of a heated cooker according to Embodiment 6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operation cancel operation in the six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9.

유도 가열 조리기 본체(1)의 주전원(도시하지 않음)이 투입되면, 각 구성부는 동작을 개시한다. 제어부(10)의 조작·통지 제어부(11)는 2단계 접점 스위치(62)의 감지를 개시한다(S401). 조작 신호 검출부(12)는 2단계 접점 스위치(62)가 제 1 단계로 가압되면, 상기 제 1 단계의 입력 신호를 조작·통지 제어부(11)에 입력한다. When the main power source (not shown) of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main body 1 is input, each component starts operation. The operation and notification control unit 11 of the control unit 10 starts detection of the two-stage contact switch 62 (S401). The operation signal detection part 12 inputs the input signal of the said 1st step into the operation and notification control part 11, when the two-stage contact switch 62 is pressed in a 1st step.

조작·통지 제어부(11)는 제 1 단계의 입력 신호를 검출하면(S402), 타이머 카운트를 개시한다(S403). 그리고, 소정의 경과 시간(X초 : 예컨대 0.5초)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404), 제 1 단계의 온 조작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는, 상기 제 1 단계의 2단계 접점 스위치(62)의 조작 내용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S405). 이 통지는, 상기 조작 버튼(61)의 기능 내용을 표시부(5)에 표시하거나, 음성에 의해 통지한다. The operation / notification control part 11 starts a timer count (S403), when detecting the input signal of a 1st step (S402).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redetermined elapsed time (X seconds: 0.5 seconds) has elapsed (S404),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from the ON operation of the first step, the two-stage contact switch of the first step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s of the operation in step 62 is notified to the user (S405). This notification displays the function content of the operation button 61 on the display unit 5 or notifies by voice.

단계 S404에서 제 1 단계의 온 조작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또는 상기 단계 S405 이후, 조작·통지 제어부(11)는, 제 1 단계의 입력 신호가 오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6). 즉, 제 1 단계의 가압 상태로부터 사용자의 손가락이 떨어진 제 1 단계의 입력 신호가 오프된다. 제 1 단계의 입력 신호가 오프가 아닌 경우, 상기 2단계 접점 스위치(62)의 제 2 단계의 입력 신호의 유무를 판단한다(S407). 제 2 단계의 입력 신호의 입력이 없는 경우는, 상기 단계 S404로 되돌아가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404 that the predetermined time has not elapsed from the on-operation of the first step or after the step S405, the operation / notification control unit 11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signal of the first step is turned off (S406). . That is, the input signal of the first stage in which the user's finger is removed from the pressing state of the first stage is turned off. When the input signal of the first stage is not off,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input signal of the second stage of the second-stage contact switch 62 is present (S407). If there is no input of the input signal of the second step,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404 to repeat the operation.

한편으로, 제 2 단계의 입력 신호를 검지한 경우, 상기 2단계 접점 스위치(62)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하여, 가열 제어나 통지 제어를 행한다(S409).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put signal of the 2nd step is detected, heating control and notification control are performed based on the input from the said 2nd step contact switch 62 (S409).

단계 S406에서, 제 1 단계의 입력 신호가 오프된 경우, 조작·통지 제어부(11)는 제 1 단계에 조작된 2단계 접점 스위치(62)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하는 제어를 행하지 않고서 취소한다(S407). 그리고, 입력 조작이 취소된 취지를 표시부(5)나 음성 출력부(9)에 의해 통지한다(S408). In step S406, when the input signal of the first step is turned off, the operation / notification control unit 11 cancels without performing control based on the input from the two-stage contact switch 62 operated in the first step (S407). ). Then, the display unit 5 or the audio output unit 9 notifies that the input operation is canceled (S408).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2단계 접점 스위치(62)가 제 1 단계로 가압되었을 때에는, 상기 입력 조작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고, 2단계 접점 스위치(62)가 제 2 단계로 가압되었을 때에는, 상기 입력 조작에 근거하는 제어를 행하기 때문에, 제 1 단계의 조작을 개시해 이후에도 상기 조작을 취소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two-stage contact switch 62 is pressed in the first stage, the information on the input operation is notified and the two-stage contact switch 62 is pressed in the second stage. In this case, since control is performed based on the input operation, the operation of the first step can be started and the operation can be canceled afterwards.

또한, 제 1 단계의 조작이 소정 시간(X초) 계속된 경우, 상기 2단계 접점 스위치(62)의 기능 내용을 가이던스 표시 또는 음성에 의해 통지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조작 내용을 이해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취소 조작이 된 경우, 입력 조작이 취소된 취지를 통지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조작이 취소된 취지를 이해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of the first step is continued for a predetermined time (X seconds), the function content of the second-stage contact switch 62 is notified by guidance display or voice, so that the user can understand the operation content. The operabilit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when the cancel operation is performed, the user is notified that the input operation is canceled, so that the user can understand that the operation is canceled, and the oper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음성에 의해 상기 2단계 접점 스위치(62)의 기능 내용이나 입력 조작이 취소된 취지를 통지하기 때문에, 사용자, 특히 시각 장해를 갖는 사용자는 조작 내용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어, 조작에 대한 안심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 내용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오조작의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unction contents and the input operation of the two-stage contact switch 62 are notified by voice, the user, in particular, a user with visual impairment, can easily understand the operation contents and feel safe about the operation. I can improve a feeling. 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contents can be understood, the possibility of misoperation can be reduced.

한편, 상기 실시의 형태 1 ~ 6에서는, 가열부로서의 가열 코일(3)에 고주파 전류를 흘려 유도 가열을 행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전기 저항체 등의 가열체에 의해 천판(2) 상에 탑재된 피가열물을 가열하도록 하더라도 좋고, 가스를 열원으로 하여 피가열물을 가열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In addition, although the said Embodiment 1-6 demonstrated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which induces high frequency electric current by flowing the high frequency electric current to the heating coil 3 as a heating part,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such as an electrical resistor, etc. The heated object mounted on the top plate 2 may be heated by a heating body, or the heated object may be heated using a gas as a heat source.

1 : 유도 가열 조리기 본체 2 : 천판
3 : 가열 코일 4 : 가열구
4a, 4b, 4c : 가열구 5 : 표시부
6 : 조작부 7 : 창부
8 : 부가 전극 9 : 음성 출력부
10 : 제어부 11 : 조작·통지 제어부
12 : 조작 신호 검출부 13 : 부가 전극 신호 검출부
14 : 표시 처리부 15 : 음성 처리부
20 : 인버터 51 : 가이던스 표시
61, 61a, 61b : 조작 버튼 62 : 2단계 접점 스위치
1: induction cooker body 2: top plate
3: heating coil 4: heating port
4a, 4b, 4c: heating part 5: display part
6: control panel 7: window
8: additional electrode 9: audio output unit
10: control unit 11: operation and notification control unit
12: operation signal detector 13: additional electrode signal detector
14 display processing unit 15 audio processing unit
20: inverter 51: guidance display
61, 61a, 61b: operation button 62: two-stage contact switch

Claims (21)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가열 제어에 관한 조작의 입력을 행하는 조작부와,
입력 조작 및 제어 상태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부와,
상기 조작부의 외연 근방의 적어도 일부를 검지 영역으로 하여, 상기 검지 영역에서의 손가락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 장치와,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입력 및 상기 검지 장치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부 및 상기 통지부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heated object,
An operation unit that inputs an operation related to heating control,
A notification unit for notifying information about the input operation and the control state,
A detection device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inger in the detection area by u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edge of the operation portion as a detection area;
A control unit that performs at least one control of the heating unit and the notification unit based on an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and a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ion unit.
Heating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 의한 입력 조작후, 소정 시간 경과 전에 있어서의 상기 검지 장치의 검지 신호의 유무에 따라, 상기 가열부 및 상기 통지부의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aid control part controls the said heating part and the said notificatio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aid detection apparatus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input operation by the said operation par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 의한 입력 조작 후, 소정 시간 경과 전에, 상기 검지 장치의 검지 신호를 취득하지 않을 때,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상기 입력에 근거하는 제어를 행하고,
상기 조작부에 의한 입력 조작 후, 소정 시간 경과 전에, 상기 검지 장치의 검지 신호를 취득했을 때,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상기 입력에 근거하는 제어를 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ntrol unit,
Whe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device is not acquir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input operation by the operation unit, control is performed based on the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When a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device is acquir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input operation by the operation unit, control based on the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is not performed.
Heating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지 장치가 검지한 손가락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열부 및 상기 통지부의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aid control part controls the said heating part and the said notification par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nger which the said detection apparatus detected, The heating cook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지 장치가 검지한 손가락의 위치에 따라, 소정의 메시지 정보를 상기 통지부에게 통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the control unit causes the notification unit to notify predetermined information of the messag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nger detected by the detection device.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지 장치의 검지 영역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통지부에게 통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control unit causes the notification unit to notify the notification unit of information for specifying a detection area of the detection device.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입력 조작 및 제어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고,
상기 검지 장치는, 상기 표시부의 위에 배치되고, 정전 용량의 변화에 의해 입력 조작을 검지하는 터치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said notification part has a display part which displays the information regarding an input operation and a control state,
The detection device is disposed on the display unit and includes a touch switch that detects an input operation by a change in capacitance.
Heating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복수의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조작 버튼 중 적어도 일부의 조작 버튼이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버튼으로부터의 입력, 및 상기 조작 버튼에 인접하는 조작 버튼으로부터의 입력 또는 상기 검지 장치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부 및 상기 통지부의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operation por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at least a part of the operation buttons of the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are arranged in a left or right or in a vertical direc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heating unit and the notification unit based on an input from the operation button, an input from an operation button adjacent to the operation button, or a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ion device.
Heating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장치는, 연속 배치된 상기 조작 버튼 중 한쪽 또는 양쪽의 끝에 배치된 조작 버튼의 배열 방향의 근방을 상기 검지 영역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said detection apparatus makes the detection area the vicinity of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operation button arrange | positioned at the tip of one or both of the operation buttons arrange | positioned continuously as the said detection area | region.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입력 조작 및 제어 상태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부와,
복수의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가열 제어에 관한 조작의 입력을 행하는 조작부와,
상기 가열부 및 상기 통지부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되,
상기 조작부는 상기 복수의 조작 버튼 중 적어도 일부의 조작 버튼이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버튼으로부터의 입력 및 상기 조작 버튼에 인접하는 조작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가열부 및 상기 통지부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heated object,
A notification unit for notifying information about the input operation and the control state,
An operation unit made up of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and configured to input an operation relating to heating control;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heating unit and the notification unit
Provided with
The operation portion is disposed at least part of the operation button of the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in the left and right o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ntrol unit,
At least one control of the heating unit and the notification unit is performed based on an input from the operation button and an input from an operation button adjacent to the operation button.
Heating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버튼에 의한 입력 조작 후, 소정 시간 경과 전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 버튼에 인접하는 조작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의 유무에 따라, 상기 가열부 및 상기 통지부의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0,
The said control part controls the said heating part and the said notify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input from the operation button adjacent to the said operation button before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input operation by the said operation button. Cooker.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버튼에 의한 입력 조작 후, 제 1 소정 시간 경과 전에, 상기 조작 버튼에 인접하는 조작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이 없을 때, 상기 조작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1,
The control unit performs control based on the input from the operation button when there is no input from the operation button adjacent to the operation button before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input operation by the operation button. Heating cooker.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버튼에 의한 입력 조작 후, 제 1 소정 시간 경과 전에, 상기 조작 버튼에 인접하는 조작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이 있고, 상기 인접하는 조작 버튼의 입력 조작이 상기 제 1 소정 시간 경과 후까지 계속되지 않을 때, 상기 조작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2,
The control unit has an input from an operation button adjacent to the operation button before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input operation by the operation button, and the input operation of the adjacent operation button is after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elapses. When not continued until, the control according to the input from the operation button to perform the heating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제 8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버튼에 의한 입력 조작 후, 제 1 소정 시간 경과 전에, 상기 조작 버튼에 인접하는 조작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이 있고, 상기 인접하는 조작 버튼의 입력 조작이 상기 제 1 소정 시간 경과 후까지 계속되고, 또한 제 2 소정 시간 경과 후까지 계속되지 않을 때, 상기 조작 버튼 및 상기 인접하는 조작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하는 제어를 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3,
The control unit has an input from an operation button adjacent to the operation button before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input operation by the operation button, and the input operation of the adjacent operation button is after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elapses. And control not based on input from the operation button and the adjacent operation button when the operation continues until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elapses.
제 8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버튼에 의한 입력 조작 후, 제 1 소정 시간 경과 전에, 상기 조작 버튼에 인접하는 조작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이 있고, 상기 인접하는 조작 버튼의 입력 조작이 제 2 소정 시간 경과 후까지 계속되었을 때, 상기 인접하는 조작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4,
The control unit has an input from an operation button adjacent to the operation button before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input operation by the operation button, and the input operation of the adjacent operation button is until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elapses. When it continues, the control based on the input from the said adjacent operation button is performed. The heating cook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8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버튼에 의한 입력 조작 후, 제 1 소정 시간 경과 전에, 상기 조작 버튼에 인접하고,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 내용과 소정의 관련을 갖는 조작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이 있고, 상기 인접하는 조작 버튼의 입력 조작이 상기 제 1 소정 시간 경과 후까지 계속되었을 때, 상기 인접하는 조작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3,
The control unit is adjacent to the operation button after a first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input operation by the operation button, and has an input from an operation button having a predetermined relation with an operation content of the operation button. And control based on input from the adjacent operation button when the operation of inputting the operation button continues until after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elapses.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버튼에 의한 입력 조작 후, 상기 입력에 근거하는 제어를 행할 때, 입력 조작이 취소된 취지를 상기 통지부에게 통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And the control unit causes the notification unit to notify that the input operation is canceled when performing control based on the input after the input operation by the operation button.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입력이 소정 시간 이상 계속되었을 때, 상기 입력 조작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지부에게 통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7,
And the control unit causes the notification unit to notify the information about the input operation when the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입력 조작 및 제어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표시부의 위에 배치되고, 정전 용량의 변화에 의해 입력 조작을 검지하는 터치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8,
The notification unit ha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an input operation and a control state,
The operation portion is disposed on the display portion, and comprises a touch switch that detects an input operation by a change in capacitance.
Heating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2단계로 가압 조작되는 접점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가 제 1 단계로 가압되었을 때에는, 상기 입력 조작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지부에게 통지하게 하고, 상기 조작부가 제 2 단계로 가압되었을 때에는, 상기 입력 조작에 근거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9,
The operation unit is made of a contact switch that is pressed in two steps,
The control unit causes the notification unit to notify the information about the input operation when the operation unit is pressed in the first step, and performs control based on the input operation when the operation unit is pressed in the second step.
Heating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입력 조작 및 제어 상태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부와,
2단계로 가압 조작되는 접점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가열 제어에 관한 조작의 입력을 행하는 조작부와,
상기 가열부 및 상기 통지부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가 제 1 단계로 가압되었을 때에는, 상기 입력 조작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지부에게 통지하게 하고, 상기 조작부가 제 2 단계로 가압되었을 때에는, 상기 입력 조작에 근거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heated object,
A notification unit for notifying information about the input operation and the control state,
An operation unit composed of a contact switch pressurized and operated in two stages, and for inputting an operation relating to heating control;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heating unit and the notification unit
Provided with
The control unit causes the notification unit to notify the information about the input operation when the operation unit is pressed in the first step, and performs control based on the input operation when the operation unit is pressed in the second step.
Heating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07021464A 2008-03-28 2009-03-25 Cooking device KR10120656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86415 2008-03-28
JPJP-P-2008-086415 2008-03-28
PCT/JP2009/055914 WO2009119644A1 (en) 2008-03-28 2009-03-25 Cook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138A true KR20100117138A (en) 2010-11-02
KR101206561B1 KR101206561B1 (en) 2012-11-29

Family

ID=41113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1464A KR101206561B1 (en) 2008-03-28 2009-03-25 Cooking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09119644A1 (en)
KR (1) KR101206561B1 (en)
CN (1) CN101933393A (en)
WO (1) WO200911964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8239B2 (en) * 2010-07-16 2014-07-23 三菱電機株式会社 Induction heating cooker
CN103791528A (en) * 2012-10-31 2014-05-14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Microwave oven with voice control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6009627A1 (en) * 2014-07-14 2016-01-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Heating cooker
JP6637770B2 (en) * 2016-01-19 2020-01-29 リンナイ株式会社 Cooker
JP7010596B2 (en) * 2017-03-28 2022-01-26 大阪瓦斯株式会社 Built-in cooker
KR102563311B1 (en) 2018-11-16 2023-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 of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128B2 (en) * 1987-03-25 1994-08-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Heating cooker
JPS6466880A (en) * 1987-09-07 1989-03-13 Sanyo Electric Co Rotary magnetic disk device
JP2003076476A (en) * 2001-08-31 2003-03-14 Ricoh Co Ltd Operation panel and image formation device
JP3846352B2 (en) * 2002-04-09 2006-11-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Cooker
JP4664613B2 (en) * 2004-03-30 2011-04-06 能美防災株式会社 Operation panel for disaster prevention equipment
JP2007040657A (en) * 2005-08-05 2007-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oker
JP4665701B2 (en) * 2005-10-13 2011-04-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Cooker
JP4445456B2 (en) * 2005-10-27 2010-04-07 大阪瓦斯株式会社 Cooking equipment
JP4868878B2 (en) * 2006-02-13 2012-02-01 三洋電機株式会社 Cooker
JP4820717B2 (en) * 2006-08-31 2011-11-24 株式会社東芝 Cooker
WO2008090886A1 (en) * 2007-01-22 2008-07-31 Panasonic Corporation Cooking device
EP2175692A1 (en) * 2007-06-22 2010-04-14 Panasonic Corporation Cooking device
JP2009049880A (en) * 2007-08-22 2009-03-05 Mitsubishi Electric Corp Input/output device, induction heating cooker, heating cooker, refrigerator, washing machine, and jar rice coo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19644A1 (en) 2009-10-01
CN101933393A (en) 2010-12-29
JPWO2009119644A1 (en) 2011-07-28
KR101206561B1 (en) 201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6561B1 (en) Cooking device
JP5117409B2 (en) Cooker
JPWO2008013220A1 (en) Cooker
KR101163895B1 (en) Induction heating cooker
JP5094501B2 (en) Cooker
JP2008204275A (en) Input operation device and input operation method
JP4802877B2 (en) Cooker
JP6558926B2 (en) Cooker
JP2009139019A (en) Heating cooker
JP2016025031A (en) Induction heating cooker
JP5870239B2 (en) High frequency heating device
WO2013021459A1 (en) Cooker
JP4042712B2 (en) Built-in cooking device
JP2012017882A (en) Cooker
JPWO2015190130A1 (en) Cooker
JP2019095082A (en) Heating cooker
JP2009099302A (en) Induction heating cooker
JP7002279B2 (en) Cooker
JP6399407B2 (en) Cooker
JP7270166B2 (en) Induction cooker and computer program
JP2009289562A (en) Induction heating cooker
JP5923685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JP5948604B2 (en) Cooker
JP2009295414A (en) Induction heating cooker
JP2019063826A (en) Operation terminal for welding robot and welding robo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