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7087A - 변형가능한 신치 바아를 갖는 버클 및 그러한 버클을 사용하는 호흡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변형가능한 신치 바아를 갖는 버클 및 그러한 버클을 사용하는 호흡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7087A
KR20100117087A KR1020107018928A KR20107018928A KR20100117087A KR 20100117087 A KR20100117087 A KR 20100117087A KR 1020107018928 A KR1020107018928 A KR 1020107018928A KR 20107018928 A KR20107018928 A KR 20107018928A KR 20100117087 A KR20100117087 A KR 20100117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cinch bar
strap
cinch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8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나스 게브레울드
마이클 케이 돔로에세
드웨인 디 도가드
다니엘 제이 스테판
랜스 이 비하이머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00117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0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0Buckles
    • Y10T24/4086Looped stra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0Buckles
    • Y10T24/4088One-pie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0Buckles
    • Y10T24/4088One-piece
    • Y10T24/4093Looped strap

Landscapes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버클 및 그러한 버클을 갖는 호흡기가 개시된다. 버클은 이동가능한 신치 바아를 가져, 신치 바아를 개방하고 스트랩을 삽입함으로써 스트랩이 버클 내로 삽입되어 버클에 의해 고정되게 한다. 신치 바아는 그 다음 폐쇄 위치로 복귀하여, 스트랩을 신치 바아 위에서 지지한다. 신치 바아는 신치 바아를 버클의 본체에 연결하는 리빙 힌지의 사용을 통해 변형가능할 수 있다. 신치 바아는 2개의 부재로 분할될 수 있고, 각각의 부재는 가능하게는 리빙 힌지에 의해, 버클 본체에 변형가능하게 결합된다.

Description

변형가능한 신치 바아를 갖는 버클 및 그러한 버클을 사용하는 호흡기, 및 방법{BUCKLE AND RESPIRATOR USING SUCH BUCKLE, HAVING A DEFORMABLE CINCH BAR, AND METHOD}
본 발명은 대체로 변형가능한 신치 바아(cinch bar)를 갖는 버클 및 그러한 버클을 갖는 호흡기에 관한 것이고, 특히 스트랩 꿰어넣기(strap threading)를 용이하게 하는 버클 및 그러한 버클을 갖는 호흡기 및 그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호흡기는 두 가지 통상적인 목적, 즉 (1) 불순물 또는 오염물이 착용자의 호흡 경로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 및 (2) 다른 사람 또는 물건이 착용자가 내쉬는 병원균 및 다른 오염물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 중 적어도 한 가지 목적을 위해 사람의 호흡 경로에 걸쳐 통상 착용된다. 첫 번째 상황에서, 호흡기는, 예를 들어 자동차 정비소 내에서와 같이 공기가 착용자에게 유해한 입자를 함유하는 환경에서 착용된다. 두 번째 상황에서, 호흡기는, 예를 들어 수술실 또는 청정실에서와 같이 다른 사람 또는 물건에 대한 오염의 위험이 있는 환경에서 착용된다.
몇몇 호흡기는 마스크 본체 자체가 여과 메커니즘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안면부 여과식"으로서 분류된다. 부착가능한 필터 카트리지(예컨대, 번즈(Burns) 등의 미국 특허 제5,062,421호 참조) 또는 삽입 성형된 필터 요소(예컨대, 브라운(Braun)의 미국 특허 제4,790,306호 참조)와 함께 고무 또는 탄성중합체 마스크 본체를 사용하는 호흡기와 달리, 안면부 여과식 호흡기는 필터 카트리지를 설치 또는 교체할 필요가 없도록 필터 매체가 전체 마스크 본체의 대부분을 포함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안면부 여과식 호흡기는 중량 면에서 상대적으로 가볍고 사용하기 쉽다.
호흡기를 사용자에게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실시예는 각각의 버클에 제거가능하게 고정되고 호흡기 마스크에 대해 사용자의 머리 후방으로 지나가는 스트랩을 구비한, 호흡기에 고정된 버클의 사용을 포함한다. 스트랩은 버클의 작동에 의해 조여지고 느슨해질 수 있다. 다양한 공지된 실시예에서, 버클은 슬롯을 갖는데, 이때 단일편 신치 바아가 슬롯을 2개의 부분으로 분할한다. 사용자는 스트랩을 일 방향으로 슬롯의 하나의 부분을 통과시키고, 그 다음 스트랩을 반대 방향으로 슬롯의 다른 부분을 통과시켜서, 스트랩이 스트랩의 2개의 단부들 사이의 마찰과 같은 마찰을 통해 제 위치에 유지되게 함으로써, 스트랩을 버클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당업계에 공지된 호흡기 마스크 상에서 사용되는 버클은 스트랩을 버클에 고정시키는 것을 비교적 어렵거나 까다롭게 만드는 일반적인 문제를 겪는다. 스트랩은 슬롯의 하나의 부분을 통해 꿰어 넣어지고, 뒤집혀서, 다른 부분을 통해 꿰어 넣어지며, 그 다음 조여짐으로써, 스트랩을 고정시키기 위해 적어도 네 가지의 독립적인 행위를 일반적으로 요구할 수 있다. 이는 버클의 제조 동안에 버클에 대한 스트랩의 조립을 자동화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고, 따라서 버클 및 호흡기를 제조 및 구매하는 데 있어서 더 고가로 만드는 경향이 있다.
화재 또는 응급 의료 상황과 같은 응급 상황에서와 같이, 호흡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환경에서 스트랩이 버클로부터 느슨해질 수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그의 호흡기의 스트랩 및 버클을 가지고 더듬거리다가 귀중한 또는 심지어 생명에 치명적인 시간을 낭비할 수 있다. 청정실 제조에서와 같이, 잠재적으로 생명을 위협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사용자의 시간은 여전히 매우 소중할 수 있고, 호흡기가 착용 및 탈착될 때마다 스트랩 및 버클을 가지고 더듬거리는 것으로 인한 수 분의 손실이라도 시간에 걸쳐 그리고 많은 수의 사람에게서, 결국 시간 및 효율의 상당한 손실이 된다.
버클이 개발되어 왔고, 그 실시예는 스트랩을 버클에 고정시키는 용이성을 개선할 수 있다. 신치는 버클 본체에 변형가능하게 결합되는 바와 같이 이동가능하여, 신치 바아가 폐쇄 위치로 이동할 때 스트랩 또는 스트랩 내의 루프가 신치 바아의 이동에 의해 생성된 개방부를 통과하여 신치 바아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신치 바아가 단일편인 대신에, 신치 바아는 2개의 단편(piece), 부분 또는 부재로 구성될 수 있는데, 각각의 단편, 부분 또는 부재는 다른 단편, 부분 또는 부재에 대해 슬롯의 반대측으로부터 연장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단편들은 슬롯의 중간에서 결합하거나 결합하지 않을 수 있다. 신치 바아의 단편들은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지만, 힘이 없으면 이들은 이완 위치에 있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단편들은, 힘이 일 방향으로 신치 바아 상에 가해질 때 신치 바아가 버클의 나머지부에 대해 이동하여, 스트랩이 관통 통과할 수 있는 개방부를 2개의 단편들 사이에서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신치 바아는 힘이 신치 바아 상에 더 이상 가해지지 않을 때, 또는 대향 힘이 신치 바아 상에 가해질 때, 그의 이완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향 힘은 스트랩 상에 가해지는 장력으로부터 나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 스트랩을 버클에 고정시키는 행위는 단일 행위만을, 즉 가압하는 힘이 스트랩이 통과하게 하는 개방부를 신치 바아 내에 생성하도록 스트랩을 신치 바아에 대항하여 가압하는 것만을 요구할 수 있다. 일단 스트랩이 개방부를 통과하면, 힘은 신치 바아에서 제거될 수 있고, 신치 바아는 그의 이완 위치로 복귀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신치 바아처럼 스트랩을 고정시킬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신치 바아는 장력이 스트랩에 가해질 때 이완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버클에 대한 스트랩의 고정은 세 가지 또는 네 가지의 비교적 복잡한 행위들보다는, 단 한 가지 또는 두 가지의 비교적 단순한 행위만을 요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신치 바아는 신치 바아의 단편들이 리빙 힌지(living hinge)에 의해 버클의 나머지부에 연결되기 때문에 이동가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신치 바아의 단편들은 버클의 나머지부에 직접 연결될 수 있지만, 신치 바아의 사용 재료 및 두께는 단편들이 버클의 나머지부에 대해 굴곡됨으로써, 신치 바아가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리빙 힌지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일 방향으로부터의 힘이 신치 바아에 가해지지만 다른 방향으로부터의 힘은 가해지지 않을 때에만 신지 바아가 개방될 수 있도록 위치된 리빙 힌지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가요성 신치 바아의 실시예에서, 신치 바아의 단편들은 힘이 하나의 특정 방향으로 신치 바아에 가해질 때 단편들이 굴곡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는 힘이 반대 방향으로 신치 바아에 가해질 때, 단편들이 함께 모이고 더 이상 굴곡될 수 없도록, 신치 바아의 단편들을 서로에 대해 각도를 이룸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다양한 추가의 실시예에서, 버클은 호흡기를 스트랩에 의해 사용자에게 고정시키기 위해 호흡기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다양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버클은 많은 다른 물체 및 장치를 다른 사용자 및 다른 장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다른 물체 및 장치 상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한 장치는 개인용 음악 재생기와 같은 개인용 엔터테인먼트 장비, 또는 바지에서 사용하기 위한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그러한 물체는 홀터 모니터(Holter monitor) 또는 호흡기 마스크와 같은 의료 또는 안전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슬롯을 갖는 본체 및 슬롯에 대해 구성된 신치 바아를 갖는 버클을 제공한다. 신치 바아는 또한 상부에 위치된 스트랩을 지지하는 제1 위치 및 스트랩을 관통 통과시키기에 충분한 개방부를 제공하는 제2 위치를 갖고, 신치 바아는 장력이 상부에 가해질 때, 제1 위치로 복귀하여 스트랩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신치 바아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로 분리된다. 신치 바아가 제2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버클 본체에 대해 변형되어, 스트랩 또는 스트랩의 루프가 관통 통과하는 개방부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장력이 상부에 가해질 때 스트랩으로부터의 힘에 응답하여 제1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스트랩이 제1 방향으로 관통 통과하게 하는 개방부를, 제1 방향으로부터의 신치 바아에 대항한 힘에 응답하여 생성하도록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버클은 제1 부재 및 제2 부재가 제1 방향으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버클은 제1 부재 및 제2 부재가 제1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제1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제1 폐쇄 위치에서 상호맞물린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제1 위치에서 맞닿는다.
일 실시예에서, 버클은 주 평면을 갖고, 제1 방향은 주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제1 위치에서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주 평면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로 맞닿는다.
일 실시예에서, 버클은 제1 부재와 본체 사이에서 결합되는 제1 리빙 힌지, 및 제2 부재와 본체 사이에서 결합되는 제2 리빙 힌지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부재 및 제2 부재가 제1 방향으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1 리빙 힌지는 제1 부재에 대해 구성되고 제2 리빙 힌지는 제2 부재에 대해 구성되며, 버클은 제1 부재 및 제2 부재가 제1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제1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마스크, 스트랩, 및 버클을 갖는 호흡기를 제공한다. 버클은 슬롯을 갖고 마스크에 부착되는 본체, 및 슬롯에 대해 구성된 신치 바아를 갖는다. 신치 바아는 상부에 위치된 스트랩을 지지하는 제1 위치 및 스트랩을 관통 통과시키기에 충분한 개방부를 제공하는 제2 위치를 갖고, 신치 바아는 장력이 상부에 가해질 때, 제1 위치로 복귀하여 스트랩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슬롯과,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갖고 슬롯에 대해 구성된 신치 바아를 구비하는 버클에 스트랩을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신치 바아는 상부에 위치된 스트랩을 지지하는 제1 위치 및 스트랩을 관통 통과시키기에 충분한 개방부를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서 제공하는 제2 위치를 갖고,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장력이 상부에 가해질 때, 제1 위치로 복귀하여 스트랩을 지지한다. 본 방법은 신치 바아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개방부를 통해 스트랩의 일부분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신치 바아를 제1 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
도 1은 사용자의 입과 코 위에 위치된 굴곡성 부재를 갖는 버클을 구비한 호흡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
도 2는 도 1의 호흡기의 측면도.
<도 3>
도 3은 도 1의 호흡기의 여과 구조물의 도면.
<도 4>
도 4는 이완 위치에서의 리빙 힌지를 갖는 버클의 도면.
<도 5>
도 5는 개방 위치에서의 리빙 힌지를 갖는 버클의 도면.
<도 6>
도 6은 도 4 및 도 5의 버클의 리빙 힌지의 확대도.
<도 7>
도 7은 이완된 폐쇄 위치에서의 가요성 분할식 신치 바아를 갖는 버클의 도면.
<도 8>
도 8은 개방 위치에서의 가요성 분할식 신치 바아를 갖는 버클의 도면.
<도 9a>
도 9a는 신치 바아가 제1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로 버클을 통해 스트랩을 꿰어 넣는 제1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9b>
도 9b는 신치가 스트랩이 관통 통과된 제2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로 버클을 통해 스트랩을 꿰어 넣는 제2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9c>
도 9c는 신치 바아가 제1 폐쇄 위치로 복귀되어 스트랩을 상부에서 지지하는 상태로 버클을 통해 스트랩을 꿰어 넣는 제3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
도 10은 이완된 폐쇄 위치에서의 힌지식 단일편 신치 바아를 갖는 버클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
도 11은 개방 위치에서의 힌지식 단일편 신치 바아를 갖는 버클의 도 10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
도 12는 이완된 폐쇄 위치에서의 가요성 단일편 신치 바아를 갖는 버클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
도 13은 개방 위치에서의 가요성 단일편 신치 바아를 갖는 버클의 도 12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
도 14는 이완된 폐쇄 위치에서의 분할식 상호맞물림 신치 바아를 갖는 버클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
도 15는 개방 위치에서의 분할식 상호맞물림 신치 바아를 갖는 버클의 도 14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
도 16은 스트랩을 고정시키기 위한 분할식 신치 바아를 갖는 버클을 사용하기 위한 흐름도.
용어
이하에 기술되는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 의미를 가질 것이다:
"양분하다"는 2개의 대체로 동일한 부분들로 분할하는 것을 의미한다.
"중심선"은 전방으로부터 볼 때 마스크를 수직으로 양분하는 선을 의미한다(도 1).
"중심에서 이격되는"은 전방으로부터 볼 때 마스크 본체를 수직으로 양분하는 선 또는 평면을 따라 서로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의미한다.
"포함하다(또는 포함하는)"는 특허 용어에서 표준인 것과 같은 그의 정의를 의미하는데, "구비하다", "갖는", 또는 "함유하는"과 대체로 동의어인 개방형 용어이다. "포함하다", "구비하다", "갖는", "함유하는" 및 이들의 변형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개방형 용어이지만,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호흡기의 그의 의도된 기능을 제공하는 데 있어서의 성능에 대해 악영향을 미치는 것 또는 요소만을 배제한다는 점에서 반개방형 용어인 "본질적으로 ~로 이루어진"과 같은 더 좁은 용어를 사용하여 적합하게 설명될 수도 있다.
"오염물"은 대체로 입자(예를 들어, 유기 증기 등)인 것으로 여겨지지 않을 수 있지만 호기 유동 스트림 내의 공기를 포함하는 공기 내에 현탁될 수 있는 입자(먼지, 안개 및 연무를 포함함) 및/또는 다른 물질을 의미한다.
"가로방향 치수(crosswise dimension)"는 호흡기를 전방으로부터 볼 때 좌우로 호흡기를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치수이다.
"외부 기체 공간"은 내쉰 기체가 마스크 본체 및/또는 호기 밸브를 통해 이를 지나 통과한 후에 진입하는 주위의 대기 기체 공간을 의미한다.
"안면부 여과식"은 마스크 본체 자체가 그를 통과하는 공기를 여과하도록 설계되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마스크 본체에 부착되거나 그에 성형되는 별도의 식별가능한 필터 카트리지 또는 삽입 성형된 필터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필터" 또는 "여과 층"은 공기 투과성 재료의 하나 이상의 층을 의미하며, 층(들)은 그를 통과하는 공기 스트림으로부터 (입자와 같은) 오염물을 제거하는 주된 목적을 위해 구성된다.
"여과 구조물"은 주로 공기를 여과시키기 위해 설계되는 구성물을 의미한다.
"제1 측부"는, 호흡기를 수직으로 양분하는 평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되고 호흡기가 착용될 때 착용자의 볼 및/또는 턱의 영역 내에 존재할 마스크 본체의 영역을 의미한다.
"굴곡성 부재"는 실질적으로 굴곡되거나 구부러질 수 있는 부재를 의미한다.
"하니스"는 마스크 본체를 착용자의 안면 상에 지지하는 것을 보조하는 구조물 또는 부품들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동을 저지하다"는 정상적인 사용 조건 하에 존재하는 힘에 노출될 때 이동을 방해, 제한, 또는 허용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내부 기체 공간"은 마스크 본체와 사람의 안면 사이의 공간을 의미한다.
"리빙 힌지"는 메커니즘으로부터 연장하는 부재가 대체로 그를 중심으로 회전 유형의 방식으로 피봇되도록 하되, 부재 또는 힌지 조인트에 손상이 초래되지 않을 정도로 쉽게 피봇되도록 하는 메커니즘을 의미한다.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및 "종방향으로 이동하다"는 단지 손가락 압력만으로도 그에 응답하여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마스크 본체"는, 사람의 코와 입 위에 맞게 설계되며 외부 기체 공간으로부터 분리된 내부 기체 공간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는 공기 투과성 구조물을 의미한다.
"부재"는, 지지 구조물과 관련하여, 지지 구조물의 전체 구성 및 형상에 상당하게 기여하도록 크기 설정된, 개별적으로 및 쉽게 식별가능한 중실 부품을 의미한다.
"주연부"는 사람이 호흡기를 착용하고 있을 때 착용자의 안면에 대체로 근접하여 배치될 마스크 본체의 외부 에지를 의미한다.
"주름"은 자신 상으로 절첩되어 넣어지도록 설계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주름진"은 자신 상으로 절첩되어 넣어진 것을 의미한다.
"플라스틱"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주로 포함하고 또한 다른 성분을 함유할 수 있는 재료를 의미한다.
"복수"는 2개 이상을 의미한다.
"호흡기"는 착용자가 호흡할 청정 공기를 제공받도록 사람에 의해 착용되는 공기 여과 장치를 의미한다.
"제2 측부"는, 마스크를 수직으로 양분하는 평면 선으로부터 이격되고(제2 측부는 제1 측부에 대향됨) 호흡기가 착용될 때 착용자의 볼 및/또는 턱의 영역에 존재할 마스크 본체의 영역을 의미한다.
"지지 구조물"은, 정상적인 취급 하에서, 그의 원하는 형상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구조적 완전성을 갖도록, 그리고 그에 의해 지지되는 여과 구조물의 의도된 형상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설계되는 구성물을 의미한다.
"이격되는"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그 사이에 측정가능한 거리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횡방향으로 연장하는"은 대체로 가로방향 치수로 연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스트랩을 버클에 고정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한 비교적 적은 행위로 스트랩을 버클에 고정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랩을 고정시키기 위해 적은 행위를 요구하는 버클은 제조시의 효율 및 호흡기의 사용시 버클에 꿰어 넣는 효율을 개선할 수 있고, 위험한 상황에서 상해를 방지하고 생명을 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트랩이 미끄러져 통과하게 하는 개방부가 생성되게 허용하는 변형가능하게 분리가능한 신치 바아를 갖는 버클이 개발되었다. 개방부는 신치 바아 상에 힘을 가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고, 일단 스트랩이 통과되면, 개방부는 신치 바아 상에 대향 힘을 가함으로써 폐쇄될 수 있거나, 신치 바아는 본질적으로 개방부가 폐쇄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치 바아는 리빙 힌지에 의해 버클의 나머지부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신치 바아는 버클의 나머지부와 직접 연결될 수 있지만, 신치 바아가 굴곡되게 하는 재료 및 두께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버클은 호흡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버클은 호흡기의 보다 빠르고 보다 간편한 착용 및 탈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버클은 또한 버클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많은 다른 응용에서, 특히 물체를 다른 물체 또는 신체에 고정시키는 데 있어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응용은 다양한 장비들을 자신에게 매우 신속하게 고정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는 위급 상황의 의료진 및 응급 구조사의 응용으로부터, 일반적인 더 평범한 용도까지의 범위일 수 있다.
도 1은 사람의 코와 입 위에 착용되어 있는 호흡기(10)를 도시한다. 호흡기(10)는 마스크 본체(12) 및 하니스(14)를 포함한다. 마스크 본체(12)는 지지 구조물(16) 및 여과 구조물(18)을 구비한다. 지지 구조물(16)은 주연부(20), 제1 측부(22), 및 대향하는 제2 측부(24)를 포함한다. 지지 구조물(16)의 주연부(20)는,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지만, 호흡기(10)가 착용 중일 때 착용자의 안면과 접촉할 수 있다. 주연부(20)는 마스크 본체(12)의 주변부 둘레로 그리고 그에 인접하게 연속적으로 360°로 연장하는 부재 또는 부재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착용자의 안면은 편안한 맞춤이 달성되도록 단지 여과 구조물(18)의 내부 표면 또는 주변부 (또는 추가의 안면 시일(seal) 재료)와만 접촉할 것이다. 따라서, 여과 구조물(18)의 주변부 에지는 지지 구조물(16)의 주연부(20)를 약간 넘어 연장할 수 있다.
지지 구조물(16)은 또한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재(26)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재(26)는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재(26)의 종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는 임의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재(들)에 의해 측부(22, 24)들 사이에서 함께 결합되지 않고서, 마스크 본체(12)의 제1 측부(22)로부터 제2 측부(24)로 연장한다. 즉, 착용자가 그의 턱을 벌리거나 그의 입을 열 때 부재(26)가 부재(28)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부재(26)를 부재(28)에 결합시키는 구조적 부재가 없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 따라 유리하게 달성되는 종방향 이동은 특히 중심선(29)을 따라 두드러진다.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재(26, 28)는 중심선(29)으로부터 지지 구조물(16)의 각각의 측부(22, 24)로 이동하면서 서로를 향해 수렴한다. 호흡기를 전방으로부터 평면 상에 투영된 것과 같이 볼 때, 횡방향 치수는 일반적인 "x" 치수로 호흡기를 가로질러 연장하고, 종방향 치수는 일반적인 "y" 치수로 호흡기(10)의 하부와 상부 사이에서 연장한다. 그러한 평면 투영을 통해 볼 때,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재(26)는 일반적인 "y" 방향으로 부재(28)를 향해 그리고 부재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부재(26)는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재들이 함께 병합되는 제1 및 제2 측부(22, 24)에서보다 중심선(29)을 따라 더 긴 거리로 부재(28)를 향해 그리고 부재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한다.
하니스(14)는 하나 이상의 버클(34)에 의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제1 및 제2 스트랩(30, 32)을 포함한다. 하니스(14)는 제1 및 제2 측부(22, 24)에서 하니스 고정 플랜지 부재(35a, 35b)에서 마스크 본체(12)에 고정될 수 있다. 버클(34)은 스테이플 고정, 접착제 접합, 용접 등을 비롯한 다양한 방법에 의해 플랜지 부재(35a, 35b)에서 마스크 본체(12)에 고정될 수 있다. 버클은 또한 지지 구조물(16) 내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마스크 본체(12)는 또한 개방부(38)가 내부에 위치된 선택적인 프레임(36)을 포함한다. 프레임(36)은 호기 밸브(도시 안됨)를 마스크 본체(12)에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 또는 기초를 제공한다.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재(28, 40)들이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재(37)에 의해 프레임(36) 상에서 함께 결합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스크 본체(12)는 서로에 대해 그와 같이 결합되지 않은 부재(26, 28)와 다른 부재 사이의 비교적 자유로운 이동에 의해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서로를 향해 또는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을 보이는 하나 이상의 부재(2개, 3개, 4개, 5개 등)를 구비하는 것으로 고려되지만, 모든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재들이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각의 인접한 부재에 대해 그러한 거동을 보일 필요는 없다.
도 2는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재(26, 28)들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어 여과 구조물(18)이 주름형성가능한 영역(42)에서 이들 사이에서 주름지는 마스크 본체(12)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마스크 본체(12)의 지지 구조물(16)은 이동가능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재(26)가 부재(28)와 만나는 영역에 위치되는 리빙 힌지(4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리빙 힌지(44)는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재(26, 28)들이 더욱 쉽게 서로를 향해 이동되거나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도록 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서, 리빙 힌지(44)는 맹관(cul-de-sac) 형상을 갖는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리빙 힌지(44)는 또한 마스크(12)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립 구성으로 배향될 때, "y" 치수로 상부 및 하부 하니스 부착 플랜지(35a, 35b)들 사이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니스(14)(도 1)가 그의 힘을 (이러한 경우에, 플랜지(35a, 35b)에서) 마스크 본체 상에 가하는 지점 사이에 배치된 1개,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리빙 힌지가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측부(22 또는 24)로부터 떨어져 그들 사이에 위치되는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재를 갖지 않는 다른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재(46, 48, 49, 50)가 있다. 따라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재(40, 48)는 예를 들어 마스크 본체(12)가 확장 또는 수축되도록 하기 위해 종방향 치수로 이동될 수 있지만, 이들 부재는 부재(26)만큼 자유롭게 이동가능하지 않을 수 있는데. 왜냐하면 전자는 그들이 제1 및 2 측부 부분(22, 24)에서 함께 모이는 위치에 맹관 형상의 리빙 힌지가 없기 때문이다. 맹관 이외의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잘 알려진 리빙 힌지 기하학적 형상이 있음을 인식하고 이해하여야 한다. 2개의 부재들 사이의 여과 구조물 내의 주름의 결여는 또한 부재의 종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단지 하나의 그러한 리빙 힌지(44)가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재(26, 28, 46, 48, 49, 50)의 각각의 단부에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실제로 추가의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재들 사이에서 그러한 추가의 리빙 힌지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한다. 리빙 힌지는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재들이 만나는 위치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서로를 향해 또는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종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의도되는 부재들 사이에 어떠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재도 위치되지 않아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재(26, 28, 40, 46, 48, 49, 50) 각각은 중심선(29)으로부터 멀리 측부(22, 24) 각각을 향해 이동하는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수렴한다. 각각의 측부에서, 주연부 내의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재(즉, 부재(26, 28, 40, 46, 48))들은 측부로부터 볼 때 모든 부재들이 서로로부터 35 ㎜ 이하 이내에 있도록 서로를 향해 수렴할 수 있는 반면에, 동일한 부재들은 중심선(29)(도 1)에서 총 약 50 내지 100 ㎜로 중심 이격될 수 있다.
도 3은 여과 구조물(18)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 구조물(18)은 하나 이상의 커버 웨브(51a, 51b) 및 여과 층(52)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웨브(51a, 51b)는 여과 층으로부터 풀려 나올 수 있는 임의의 섬유를 포획하기 위해 여과 층(52)의 대향하는 면들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커버 웨브(51a, 51b)는 특히 착용자의 안면과 접촉하는 여과 구조물(18)의 면 상에 편안한 감촉을 제공하는 섬유를 선택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지지 구조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필터 층 및 커버 웨브의 구성은 이하에서 더 상세히 기술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리빙 힌지(110, 112)를 이용하는 버클(34)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체(100), 슬롯(102), 및 신치 바아(104)를 갖는 버클(34)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체(100)는 마스크 본체(12)의 플랜지 부재(35a, 35b)에 작동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플랜지 부재(35a, 35b)는 마스크 본체(12)의 구성요소가 아닐 수 있고, 본체(100)는 일반적으로 마스크 본체(12)에 작동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체(100)는 스테이플, 접착제,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본체(100)를 플랜지 부재(35a, 35b)에 고정시키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플랜지 부재(35a, 35b)에 작동식으로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신치 바아(104)는 제1 부재 또는 제1 부분(106) 및 제2 부재 또는 제2 부분(108)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제1 부분(106) 및 제2 부분(108)은 힌지(110, 112)에 의해 본체(100)에 연결된다. 힌지(110, 112)는 부분(106, 108)들이 이동 또는 회전하도록 허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힌지(110, 112)는 리빙 힌지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106, 108)들은 회전되지 않고, 신치 바아(104)는 제1 이완 위치에 있다. 부분(106, 108)들은 부분(106, 108)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힘이 가해질 때 이동 또는 회전할 수 있다. 신치 바아(104)가 이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스트랩(30, 32)이 슬롯(102)의 하나의 측부를 통해, 신치 바아(104) 위로, 그 다음 다시 슬롯(102)의 다른 측부 아래로 통과하도록 스트랩(30, 32)이 위치되면, 신치 바아(104)는 스트랩(30, 32)이 신치 바아(104)에 대해 이동하기 어렵도록 스트랩(30, 32)에 마찰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신치 바아(104)는 리지(ridge, 126) 또는 스트랩(30, 32)에 대하여 신치 바아(104)의 표면적 및 마찰 계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신치 바아(104)가 스트랩(30, 32)에 부여하는 마찰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다른 형상부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부분(106, 108)들은 서로 밀접하게 접촉하지 않지만, 대신에 스트랩(30, 32)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작은 비교적 작은 거리만큼 분리된다.
일 실시예에서, 버클 본체(100)는 길이가 대략 27.6 밀리미터이고, 폭이 대략 19.6 밀리미터이다. 슬롯(102)은 폭, 즉 버클 본체(100)를 횡단하는 폭이 대략 8.6 밀리미터이고; 길이, 즉 버클 본체(100)의 길이를 따른 길이가 대략 8.4 밀리미터이다. 버클 본체(100)는 높이가 대략 2.7 밀리미터이다.
도 5는 신치 바아(104)가 제2 이동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도 4에 도시된 버클(34)의 실시예의 다른 도면을 도시한다. 부분(106, 108)들은 힌지(110, 112) 상에서 회전하여, 개방부(114)를 생성하였다. 신치 바아(104)는 개방부(114)가 스트랩(30, 32)이 통과하도록 허용하기에 충분히 클 때, 이동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신치 바아(104)가 이동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스트랩(30, 32)은 개방부(114)를 통과할 수 있다. 일례로서, 루프가 스트랩(30, 32)에 형성될 수 있고, 스트랩(30, 32)의 루프의 단부는 제1 방향으로 개방부(114)를 통과할 수 있다. 일단 스트랩(30, 32)이 개방부(114)를 통과하면, 신치 바아(104)는 스트랩(30, 32)을 지지하기 위해 도 4의 이완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스트랩(30, 32)이 신치 바아(104) 상으로 이완됨에 따라, 또는 신치 바아(104)에 대항하여 스트랩(30, 32) 상에 장력이 가해질 때, 스트랩(30, 32)은 신치 바아(104)의 양측의 개방부(102)를 통과하는데, 이때 스트랩(30, 32)에 의해 형성된 루프의 단부는 신치 바아(104)에 의해 지지되어, 스트랩(30, 32)의 루프가 제1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슬롯(102)을 통해 다시 아래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신치 바아(104)의 부분(106, 108)들은 개방부(114)를 생성하기 위해 버클 본체(100)에 대해 대체로 상방으로 굴곡된다. 일 실시예에서, 부분(106 및/또는 108)은 부분(106 및/또는 108)의 평면 표면과 대체로 정렬된 이동을 대체로 유지하면서 대체로 상방으로 굴곡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러한 정렬이 요구되지 않음을 인식하고 이해하여야 한다. 부분(106 및/또는 108)은 그렇게 정렬되지 않는 방식으로 비틀리거나 구부러지거나 굴곡될 수 있다.
도 6은 본체(100)를 부분(106)에 연결하는 리빙 힌지(110)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리빙 힌지(110)는 부분(106)이 그의 이완 위치(122)에 대해 그의 개방 위치(124)로 일 방향(120)으로 회전할 수 있지만, 이완 위치(122)에 대해 방향(120)에 반대로 이동할 수 없도록, 본체(100) 및 부분(106)에 대해 위치된다. 이는 신치 바아(104)가 이동하게 하여 개방부(114)를 생성하게 하고, 그 다음 반대 방향으로 선회하지 않음으로써 스트랩(30, 32)을 지지하도록 허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리빙 힌지(110)는 도 4에서와 같이 리지(126)를 갖는 부분(106)의 주 표면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도 7 및 도 8은 가요성 부분(106, 108)을 갖는 버클(34)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체(100), 슬롯(102), 및 신치 바아(104)를 포함하는 버클(34)을 도시한다. 본체(100)는 마스크 본체(12)의 플랜지 부재(35a, 35b)에 작동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플랜지 부재(35a, 35b)는 마스크 본체(12)의 구성요소가 아닐 수 있고, 본체(100)는 일반적으로 마스크 본체(12)에 작동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체(100)는 스테이플, 접착제,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본체(100)를 플랜지 부재(35a, 35b)에 고정시키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플랜지 부재(35a, 35b)에 작동식으로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신치 바아(104)는 제1 부분(106) 및 제2 부분(108)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제1 부분(106) 및 제2 부분(108)은 본체(100)에 연결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치 바아(104)의 부분(106, 108)들은 제1 이완 위치에 있다.
도 8은 신치 바아(104)가 제2 이동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도 7에 도시된 버클(34)의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부분(106, 108)들은 부분(106, 108)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 상에 힘이 가해질 때 이동 또는 회전할 수 있다. 신치 바아(104)의 부분(106, 108)들은 제1 방향(120)으로 굴곡되어, 개방부(114)를 생성하였다. 신치 바아(104)가 이동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스트랩(30, 32)은 개방부(114)를 통과할 수 있다. 신치 바아(104)는 개방부(114)가 스트랩(30, 32)이 통과하도록 허용하기에 충분히 클 때 이동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일례로서, 루프가 스트랩(30, 32)에 형성될 수 있고, 스트랩(30, 32)의 루프의 단부는 제1 방향으로 개방부(114)를 통과할 수 있다.
일단 스트랩(30, 32)이 개방부(114)를 통과하면, 신치 바아(104)는 스트랩(30, 32)을 지지하기 위해 도 7의 이완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스트랩(30, 32)이 신치 바아(104) 상으로 이완됨에 따라, 또는 신치 바아(104)에 대항하여 스트랩(30, 32) 상에 장력이 가해질 때, 스트랩(30, 32)은 신치 바아(104)의 양측의 슬롯(102)을 통과하는데, 이때 스트랩(30, 32)에 의해 형성된 루프의 단부는 신치 바아(104)에 의해 지지되어, 스트랩(30, 32)의 루프가 제1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슬롯(102)을 통해 다시 아래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신치 바아(104)가 그러한 이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스트랩(30, 32)은 스트랩(30, 32)이 슬롯(102)의 하나의 측부를 통해, 신치 바아(104) 위로, 그 다음 다시 슬롯(102)의 다른 측부 아래로 통과하도록 위치되며, 신치 바아(104)는 스트랩(30, 32)이 신치 바아(104)에 대해 이동할 수 없도록, 스트랩(30, 32)에 마찰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신치 바아(104)는 리지(126) 또는 스트랩(30, 32)에 대하여 신치 바아(104)의 표면적 및 마찰 계수를 변경시키는 다른 형상부를 가질 수 있다. 게다가, 리지(127) 또는 슬롯(102)의 후방 에지에서 표면적 또는 마찰 계수를 변경시키는 다른 형상부는 스트랩(30, 32)이 스트랩(30, 32)의 고정 단부에 의해 버클 본체(100)에 대항하여 압착되는 스트랩(30, 32)의 자유 단부에서 마찰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부분(106, 108)들은 서로 밀접하게 접촉하지 않지만, 대신에 스트랩(30, 32)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작은 비교적 작은 거리만큼 분리된다. 일 실시예에서, 부분 또는 부재(106, 108)들 사이의 간극 거리는 대략 0.4 밀리미터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부분(106, 108)들은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한다.
일 실시예에서, 부재 또는 부분(106, 108)들은 제1 방향(120)으로 제2 또는 이동 위치로 자유롭게 굴곡되지만, 예컨대, 일방향 리빙 힌지인 리빙 힌지(110, 112)에 의해 또는 제1 위치에서 서로 접촉하는 부재(106, 108)들에 의해, 버클(34)의 주 평면 아래로 굴곡되거나 이동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방지된다. 각각의 예에서, 부재(106, 108)들은 제1 방향(120)과 반대인 방향으로 그들의 이완 위치로부터 실질적으로 편향될 수 없다.
버클(34) 내로 스트랩(30, 32)을 꿰어 넣는 공정이 도 9a,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되어 있다.
도 9a에서, 스트랩(30, 32)에서의 루프(130)가 여기서 고정 단부(132) 및 자유 단부(134)에 의해 나타내어져 있다. 고정 단부(132)는 착용자의 머리 후방으로 통과하는 스트랩(30, 32)의 부분이고, 마스크 본체(12)의 다른 측부에 고정 부착될 수 있거나, 가능하게는 버클 내로 꿰어 넣어질 때 스트랩(30, 32)의 고정 단부일 수 있다. 자유 단부(134)는 버클(34)에서 스트랩(30, 32)을 느슨하게 하거나 조임으로써 스트랩(30, 32)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착용자에게로 종료되어 착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스트랩(30, 32)의 단부이다.
루프(130)는 신치 바아(104)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또는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루프(130)를 슬롯(102) 내로 그리고 개방부(114)를 통해 상방으로 통과시킴으로써 버클(34) 내로 삽입되거나 꿰어 넣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신치 바아(104)는 아래로부터 신치 바아(104)에 대항하여 가압하는 루프(130)의 힘에 의해 제2 위치로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서, 2-갈래 기구로 이루어진 공구(도시되지 않음)가 사용되어 스트랩(30, 32)을 밀어 루프(130)를 형성하고 루프(130)를 신치 바아(104)에 대항하여 밀 수 있으며, 이는 신치 바아(104)를 제1 폐쇄 위치로부터 제2 개방 위치로 강제시킬 수 있다. 루프(130)가 개방부(114)를 통해 통과하거나 꿰어 넣어진 상태에서, 신치 바아(104)는 제1 폐쇄 위치로 자유롭게 복귀하거나, 경미할 수 있는 장력이 스트랩(30, 32)에 가해져 신치 바아(104)에 장력을 가하여 신치 바아(104)를 제2 폐쇄 위치로 당길 수 있다.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치 바아(104)가 제2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스트랩(30, 32)의 루프(130)는 신치 바아(104) 둘레에서 지지된다. 자유 단부(134)는 버클 본체(100)의 상부에서 또는 버클 본체와 고정 단부(132) 사이에서 버클(34)을 빠져 나온다. 자유 단부(134)가 버클 본체(100)와 고정 단부(132) 사이에서 본질적으로 포획된 상태에서, 장력이 자유 단부(134)에 인가될 때 마찰이 자유 단부(134)가 버클(34)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자의 신체에 대해 마스크 본체(12)를 형성한다. 자유 단부(134) 및 고정 단부(132)를 향해 대면하는 버클(34)의 단부는 착용자에 의해 들어올려져, 자유 단부(134)를 제 위치에 유지하는 마찰을 실질적으로 해제시키고 스트랩(30, 32)의 장력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되게 하여 착용자의 신체에 대한 마스크 본체(12)의 장력을 제거할 수 있다.
신치 바아(104)는 자유 단부(134)에 인가되는 마찰을 증가시키기 위해 리지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지는 또한 자유 단부(134)에 제공되는 마찰을 증가시키기 위해 슬롯(102)의 후방 에지에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신치 바아(104)가 단일편으로부터 제작되고, 도 4 및 도 5에 대해 예시된 분할식 다중 부재 신치 바아(104)와 대조적으로 단일 측부로부터 버클 본체(100)에 대해 힌지되는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 및 도 11에서, 신치 바아(104)는 버클 본체(100) 내에 위치되며, 도 10 및 도 11의 신치 바아(104)가 단일 유닛으로서 작동하고 리빙 힌지(136)를 통해 일 측부로부터만 힌지되어 개방부(114)를 생성하여 스트랩(30, 32)이 관통 통과하게 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신치 바아(104)와 유사하게 작동한다.
도 12 및 도 13은 신치 바아(104)가 단일편으로부터 제작되고, 도 7 및 도 8에 대해 예시된 분할식 다중 부재 신치 바아(104)와 대조적으로 단일 측부로부터 버클 본체(100)에 대해 변형가능한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 및 도 13에서, 신치 바아(104)는 버클 본체(100) 내에 위치되며, 도 12 및 도 13의 신치 바아(104)가 단일 유닛으로서 작동하고 리빙 힌지(136)를 통해 일 측부로부터만 굴곡되어 개방부(114)를 생성하여 스트랩(30, 32)이 관통 통과하게 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신치 바아(104)와 유사하게 작동한다.
도 14 및 도 15는 신치 바아(104)가 제2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제1 부재(106) 및 제2 부재(108)가 서로 상호맞물리는 에지를 갖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신치 바아(104)가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제1 부재(106, 108)로 형성되는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 부재(106) 및 제2 부재(108)는 장력이 스트랩(30, 32)으로부터 그 상부에 가해질 때, 예를 들어 스트랩(30, 32)이 신치 바아(104)를 제2 폐쇄 위치로 강제시킬 때 상호맞물릴 수 있다.
신치 바아(104)가 일 측부에서 힌지되는 하나의 부재 또는 측부들에서 힌지되어 중간에서 개방부를 형성하는 2개의 부재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다른 개수의 부재를 이용하는 다른 구성이 고려되고, 예컨대 버클 본체(100)에 대해 힌지되고/되거나 변형가능한 2개 초과의 부재가 고려된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해하여야 한다.
신치 바아(104)가 리빙 힌지 또는 리빙 힌지들에 의해 버클 본체(100)에 대해 변형가능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1개, 2개, 또는 그 이상의 단편의 신치 바아(104)가 스트랩(30, 32) 또는 루프(130)가 관통 통과하게 하기 위해 버클 본체에 대해 어떻게든 편향되고, 가능하게는 구부러지는 다른 구성이 고려되는 것을 또한 인식하고 이해하여야 한다.
신치 바아(104)가 제1 폐쇄 위치에서 시작하여 제2 개방 위치로 이동하고, 그 다음 제1 폐쇄 위치로 복귀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신치 바아(104)가 제1 위치로 정확하게 복귀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이 아님을 또한 인식하고 이해하여야 한다. 신치 바아(104)는 장력이 상부에 가해질 때, 스트랩(30, 32) 또는 루프(130)를 지지하는 위치로 이동하기만 하면 된다.
도 16은 스트랩(30, 32)을 버클(34)에 고정시키기 위한 흐름도이다. 신치 바아(104)의 부분(106, 108)들은 이동되어, 개방부(114)를 생성한다(단계 900). 일 실시예에서, 개방부(114)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스트랩(30, 32)을 신치 바아(104)에 대항하여 방향(120)으로 가압하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다. 다양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신치 바아(104)를 방향(120)으로 가압하거나 당기기 위한 다양한 허용가능한 도구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한 도구는 펜과 같은 임의의 일반적인 뾰족한 물체, 또는 버클(34)과 함께 사용하도록 맞춤 설계될 수 있는 물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단 개방부(114)가 생성되면, 스트랩(30, 32)의 일 부분이 슬롯(102) 내로 삽입되어(단계 902), 스트랩(30, 32)의 루프가 신치 바아(104) 위에 있게 되고, 신치 바아(104)가 폐쇄될 때, 스트랩(30, 32)의 일 부분은 스트랩(30, 32)의 나머지부에 대해 신치 바아(104) 위에 남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신치 바아 개방 단계(900)에서와 같이 개방부(114)를 생성하기 위해 스트랩(30, 32)을 신치 바아(104)에 대항하여 미는 행위는 스트랩 삽입 단계(902)에서와 같이 개방부 내로의 스트랩(30, 32)의 삽입과 동일한 행위의 일부일 수 있다.
일단 스트랩(30, 32)이 개방부(114)를 통해 슬롯(102) 내로 삽입되면, 신치 바아(104)의 개방부(114)가 폐쇄된다(단계 904).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은 버클(34)이 이용되는 일 실시예에서, 신치 바아(104)는 어떤 것이 신치 바아 개방 단계(900)에서 사용되었더라도 단순히 후퇴함으로써 폐쇄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은 버클(34)이 이용되는 추가의 실시예에서, 신치 바아(104)는 장력을 스트랩(30, 32)에 인가함으로써 폐쇄될 수 있으며, 이는 방향(120)과 반대로 신치 바아(104)에 힘을 인가함으로써 신치 바아(104)를 폐쇄할 수 있다. 신치 바아(104)를 개방하기 위해 어떠한 압력이 인가되었더라도 신치 바아(104) 및/또는 리빙 힌지(110, 112)의 요소들이 후퇴함으로써 신치 바아(104)를 폐쇄하기에 충분한 탄성을 가질 수 있음, 즉 후향 장력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음이 또한 고려된다.
대안적으로, 스트랩(30, 32) 상의 장력이 부분(106, 108)들을 결합시키고 신치 바아(104)에 힘을 인가하여 신치 바아를 폐쇄시키게 하기 위해 방향(120)과 반대의 별도의 힘이 신치 바아(104)에 인가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러한 힘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인가될 수 있거나, 일반적인 펜 또는 버클(34)과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된 맞춤 설계된 물품과 같은, 적합한 물품에 의해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굴곡성 부재를 갖는 버클 및 그러한 버클을 사용하는 호흡기를 위한 제어기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이 개시된 바와는 다른 실시예들로 실시될 수 있음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제한적이 아닌 설명을 목적으로 제시되었으며, 본 발명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38)

  1. 슬롯을 갖는 본체; 및
    상기 슬롯에 대해 구성된 신치 바아(cinch bar)를 포함하며,
    상기 신치 바아는 상부에 위치된 스트랩(strap)을 지지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스트랩을 관통 통과시키기에 충분한 개방부를 제공하는 제2 위치를 가지고,
    상기 신치 바아는 장력이 상부에 가해질 때, 상기 제1 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스트랩을 지지하는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치 바아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스트랩을 관통 통과시키기에 충분한 상기 개방부를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서 제공하는 버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장력이 상부에 가해질 때 상기 스트랩으로부터의 힘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버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스트랩이 제1 방향으로 관통 통과하게 하는 상기 개방부를,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의 상기 신치 바아에 대항한 힘에 응답하여 생성하도록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버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버클은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버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스트랩이 제1 방향으로 관통 통과하게 하는 상기 개방부를,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의 상기 신치 바아에 대항한 힘에 응답하여 생성하도록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버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위치에서 맞닿는 버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주 평면을 갖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주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주 평면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로 맞닿는 버클.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호맞물리는 버클.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본체 사이에서 결합되는 제1 리빙 힌지(living hinge), 및 상기 제2 부재와 상기 본체 사이에서 결합되는 제2 리빙 힌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버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리빙 힌지는 상기 제1 부재에 대해 구성되고 상기 제2 리빙 힌지는 상기 제2 부재에 대해 구성되며, 상기 버클은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버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스트랩이 상기 제1 방향으로 관통 통과하게 하는 상기 개방부를,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의 상기 신치 바아에 대항한 힘에 응답하여 생성하도록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버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치 바아는 상기 신치 바아의 일 측부에서 상기 본체와 굴곡가능하게 부착되는 버클.
  14. 마스크;
    스트랩; 및
    버클을 포함하고,
    상기 버클은
    슬롯을 갖고 상기 마스크에 부착되는 본체, 및
    상기 슬롯에 대해 구성된 신치 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신치 바아는 상부에 위치된 상기 스트랩을 지지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스트랩을 관통 통과시키기에 충분한 개방부를 제공하는 제2 위치를 가지고,
    상기 신치 바아는 장력이 상부에 가해질 때, 상기 제1 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스트랩을 지지하는 호흡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신치 바아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스트랩을 관통 통과시키기에 충분한 상기 개방부를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서 제공하는 호흡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장력이 상부에 가해질 때 상기 스트랩으로부터의 힘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호흡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스트랩이 제1 방향으로 관통 통과하게 하는 상기 개방부를,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의 상기 신치 바아에 대항한 힘에 응답하여 생성하도록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호흡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버클은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호흡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위치에서 맞닿는 호흡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주 평면을 갖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주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주 평면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로 맞닿는 호흡기.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호맞물리는 호흡기.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본체 사이에서 결합되는 제1 리빙 힌지, 및 상기 제2 부재와 상기 본체 사이에서 결합되는 제2 리빙 힌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호흡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스트랩이 제1 방향으로 관통 통과하게 하는 상기 개방부를,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의 상기 신치 바아에 대항한 힘에 응답하여 생성하도록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호흡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리빙 힌지는 상기 제1 부재에 대해 구성되고 상기 제2 리빙 힌지는 상기 제2 부재에 대해 구성되며, 상기 버클은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호흡기.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신치 바아는 상기 신치 바아의 일 측부에서 상기 본체와 굴곡가능하게 부착되는 호흡기.
  26. 슬롯 및 상기 슬롯에 대해 구성된 신치 바아 - 상기 신치 바아는 상부에 위치된 스트랩을 지지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스트랩을 관통 통과시키기에 충분한 개방부를 제공하는 제2 위치를 가지고, 상기 신치 바아는 장력이 상부에 가해질 때, 상기 제1 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스트랩을 지지함 - 를 갖는 버클에 스트랩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신치 바아를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스트랩의 일부분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신치 바아를 상기 제1 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신치 바아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스트랩을 관통 통과시키기에 충분한 상기 개방부를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서 제공하는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단계는 장력이 상기 스트랩에 가해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스트랩이 제1 방향으로 관통 통과하게 하는 상기 개방부를,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의 상기 신치 바아에 대항한 힘에 응답하여 생성하도록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위치에서 맞닿는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주 평면을 갖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주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주 평면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로 맞닿는 방법.
  33.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본체 사이에서 결합되는 제1 리빙 힌지, 및 상기 제2 부재와 상기 본체 사이에서 결합되는 제2 리빙 힌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스트랩이 제1 방향으로 관통 통과하게 하는 상기 개방부를,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의 상기 신치 바아에 대항한 힘에 응답하여 생성하도록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스트랩이 상기 제1 방향으로 관통 통과하게 하는 상기 개방부를,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의 상기 신치 바아에 대항한 힘에 응답하여 생성하도록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37.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단계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상호맞물리게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계는 상기 신치 바아의 일 단부에서 상기 신치 바아를 굴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07018928A 2008-02-06 2009-01-09 변형가능한 신치 바아를 갖는 버클 및 그러한 버클을 사용하는 호흡기, 및 방법 KR201001170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026,874 US8375951B2 (en) 2008-02-06 2008-02-06 Buckle and respirator using such buckle, having a deformable cinch bar, and method
US12/026,874 2008-0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087A true KR20100117087A (ko) 2010-11-02

Family

ID=40930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8928A KR20100117087A (ko) 2008-02-06 2009-01-09 변형가능한 신치 바아를 갖는 버클 및 그러한 버클을 사용하는 호흡기, 및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375951B2 (ko)
EP (1) EP2244598A2 (ko)
JP (1) JP2011510790A (ko)
KR (1) KR20100117087A (ko)
CN (1) CN101938922A (ko)
AU (1) AU2009210606A1 (ko)
BR (1) BRPI0905898A2 (ko)
MX (1) MX2010008604A (ko)
RU (1) RU2010133204A (ko)
WO (1) WO200909969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65058A1 (en) * 2008-09-18 2010-03-18 Moldex-Metric, Inc. Full face respirator mask
US20120017911A1 (en) 2010-07-26 2012-01-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tering face-piece respirator having foam shaping layer
CN102090759A (zh) * 2011-01-26 2011-06-15 陈曙东 约束带扣以及具备该约束带扣的安全带辅助约束带
US8707523B2 (en) * 2012-01-04 2014-04-29 Duraflex Hong Kong Limited Device for securing webbing
US9115826B2 (en) * 2013-10-17 2015-08-25 Tsun-Zong Wu Cable fastener with cable management function
WO2015179163A1 (en) 2014-05-22 2015-11-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ersonal protective device strap connecting buckle assembly
USD744088S1 (en) * 2014-05-22 2015-11-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spirator mask having a circular button
KR20160080821A (ko) * 2014-12-26 2016-07-08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스트랩 길이를 조절하는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 마스크
USD743536S1 (en) * 2015-02-27 2015-11-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spirator mask having a circular button
USD747795S1 (en) * 2015-02-27 2016-01-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spirator mask body
KR20200027353A (ko) * 2018-09-04 2020-03-1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946A (en) * 1934-03-28 1935-05-28 A J Donahue Corp Buckle and process of making same
US2278153A (en) * 1940-06-22 1942-03-31 Shaulson Joseph Adjustable lingerie buckle
US2224773A (en) * 1940-06-22 1940-12-10 Shaulson Joseph Buckle
US2276595A (en) * 1941-05-05 1942-03-17 Shaulson Joseph Adjustable buckle
GB970611A (en) 1962-02-15 1964-09-23 Raleigh Industrie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afety harness buckles
US3792702A (en) * 1972-04-10 1974-02-19 Ulmer & Co Soc Harness for rapidly placing in position a device such as a respirator mask
US4112521A (en) * 1975-01-21 1978-09-12 Uke Alan K Quick adjust strap for diver's face mask
US4117573A (en) * 1977-08-04 1978-10-03 Idemitsu Lion Co., Ltd. Packing band tightening device
US4171555A (en) * 1978-05-01 1979-10-23 Illinois Tool Works Inc. Buckle
DE2938720C2 (de) 1979-09-25 1982-05-19 Drägerwerk AG, 2400 Lübeck Atemhalbmaske für den Einmalgebrauch
US4395803A (en) * 1981-04-06 1983-08-02 American Cord & Webbing Co., Inc. Buckle
US4400855A (en) * 1981-06-15 1983-08-30 Stuart Bruce W Strapping buckle construction
US4454881A (en) * 1981-08-21 1984-06-19 Moldex/Metric Products, Inc. Multi-layer face mask with molded edge bead
US4525901A (en) * 1983-11-23 1985-07-02 American Cord & Webbing Co., Inc. Buckle having improved web securement
AU559643B2 (en) * 1983-12-29 1987-03-19 Nippon Notion Kogyo Co. Ltd. Adjustable strap fastener
US5237986A (en) * 1984-09-13 1993-08-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spirator harness assembly
US4807619A (en) * 1986-04-07 1989-02-2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silient shape-retaining fibrous filtration face mask
US4843689A (en) * 1987-06-29 1989-07-04 Gerhard Fildan Buckle for bands, belts and the like
US4790306A (en) * 1987-09-25 1988-12-1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spiratory mask having a rigid or semi-rigid, insert-molded filtration element and method of making
US5062421A (en) * 1987-11-16 1991-11-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spiratory mask having a soft, compliant facepiece and a thin, rigid insert and method of making
US4873972A (en) * 1988-02-04 1989-10-17 Moldex/Metric Products, Inc. Disposable filter respirator with inner molded face flange
US4951664A (en) * 1988-09-09 1990-08-28 Filcon Corporation Mask and method of manufacture
GB2266669B (en) * 1992-05-05 1996-03-27 Joseph Anthony Griffiths Breathing equipment for aircrew
US5464010A (en) * 1993-09-15 1995-11-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nvenient "drop-down" respirator harness structure and method of use
US5657493A (en) * 1994-03-25 1997-08-19 Dacor Corporation Diving mask with quick-release strap attachment
US5673690A (en) * 1996-03-26 1997-10-07 Better Breathing, Inc. Breathing mask
WO1999006116A1 (en) 1997-08-04 1999-02-1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iltering face mask having one or two straps
US6062221A (en) * 1997-10-03 2000-05-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rop-down face mask assembly
US6247210B1 (en) * 2000-01-24 2001-06-19 Illinois Tool Works Inc. Slip resistant web adjustment member
US6279847B1 (en) * 2000-03-16 2001-08-28 Constance F. Berger Belt shortening device with L-shaped spindle
US6367091B1 (en) * 2000-05-03 2002-04-09 Herman Chiang Swimming goggles
AUPQ880800A0 (en) 2000-07-17 2000-08-10 Australian Centre For Advanced Medical Technology Ltd Mask
GB0216284D0 (en) * 2002-07-15 2002-08-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Eye-wear articles for use with respiratory masks
EP1495785A1 (en) 2003-07-09 2005-01-12 Cheng-Yuan Chien Respirator mask
TWI270390B (en) * 2003-09-09 2007-01-11 Lee Yong Chuol Disposable dust protective mask
US7100249B2 (en) * 2003-09-26 2006-09-05 Lowe Alpine Holdings Limited Buckle
GB0327286D0 (en) 2003-11-24 2003-12-24 Griffiths Joseph A Respirator mask with adjustable visor
US8104472B2 (en) * 2004-03-26 2012-01-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Non-elastomeric respirator mask that has deformable cheek portions
JP2006102339A (ja) 2004-10-08 2006-04-20 Aibeau:Kk ゴーグルのストラップの長さ調節機構
US7155786B2 (en) * 2004-10-15 2007-01-02 Illinois Tool Works Inc Quick release buckle
NZ569226A (en) 2007-06-22 2010-02-26 Resmed Ltd Flexible forehead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99698A3 (en) 2010-07-22
JP2011510790A (ja) 2011-04-07
WO2009099698A2 (en) 2009-08-13
AU2009210606A1 (en) 2009-08-13
RU2010133204A (ru) 2012-03-20
EP2244598A2 (en) 2010-11-03
US8375951B2 (en) 2013-02-19
BRPI0905898A2 (pt) 2015-06-30
US20090193628A1 (en) 2009-08-06
CN101938922A (zh) 2011-01-05
MX2010008604A (es) 2010-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7087A (ko) 변형가능한 신치 바아를 갖는 버클 및 그러한 버클을 사용하는 호흡기, 및 방법
JP5739664B2 (ja) マスク本体支持構造と一体化したバックルを有するフィルタ式顔面装着呼吸マスク
US20210331008A1 (en) Flat-fold respirator having flanges disposed on the mask body
JP5747060B2 (ja) 把持可能なタブを備える、保守不要な平坦折り畳みレスピレータ
US7185653B2 (en) Disposable mask for dust protection
CN110101148B (zh) 具有鼻部缓冲构件的过滤式面罩呼吸器
JP6312703B2 (ja) ストラップ作動式折り畳みフランジを有するフィルタ式フェースピースレスピレータ
KR102558116B1 (ko) 호기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
US20090000624A1 (en) Respirator having a harness and methods of making and fitting the same
WO2008082700A2 (en) Respirator that uses a predefined curved nose foam
JP2015511153A (ja) 呼吸用腰ベルトのインターロックシステム
JP2011062521A (ja) 左右対称のしるしを有する水平平坦折り畳み式フィルタ式顔面装着呼吸マスク
US20090078268A1 (en) Buckle having a flexural strap attachment member and respirator using such buckle
JP7385961B2 (ja) 火災避難用の顔面マスク
EP3912502A1 (en) Filtering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Z2021435A3 (cs) Filtrační prostřede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