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6374A - 측면배출통로를 갖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측면배출통로를 갖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6374A
KR20100116374A KR1020090035048A KR20090035048A KR20100116374A KR 20100116374 A KR20100116374 A KR 20100116374A KR 1020090035048 A KR1020090035048 A KR 1020090035048A KR 20090035048 A KR20090035048 A KR 20090035048A KR 20100116374 A KR20100116374 A KR 20100116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ylinder
ring
coupling
discharg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6269B1 (ko
Inventor
변재삼
Original Assignee
변재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재삼 filed Critical 변재삼
Priority to KR1020090035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269B1/ko
Priority to EP09822162.5A priority patent/EP2342990A4/en
Priority to PCT/KR2009/005822 priority patent/WO2010047486A2/ko
Priority to CN200980141734.9A priority patent/CN102186371B/zh
Priority to US12/581,991 priority patent/US8245884B2/en
Publication of KR20100116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45D40/0075Jars with disp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는 간소한 구성부재로서 버튼부재와 피스톤부재의 축심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출실린더의 일측에 성형된 측면배출통로를 통하여 겔상의 화장품 토출이 제공되도록 하여 버튼부재의 가압작동의 정확성 및 가압에 따른 사용자의 손가락 접촉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보장되고, 장기간 사용에도 중요 승강부재의 편마모를 극소화하여 누출이 없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버튼부재의 가압 및 가압해제에 의해 상기 피스톤 및 축밸브가 동일 축심방향으로 승강 작동하면서 상기 배출실린더의 실린더실 내로 용기본체의 겔상 화장품을 흡입하고 배출실린더 일측의 측면배출로를 통하여 용기본체의 주입구에 결합한 배출캡의 배출통로를 통하여 화장품을 토출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버튼부재, 축심방향, 축밸브, 배출실린더, 측면배출통로, 단일관

Description

측면배출통로를 갖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AIRLESS TYPE COSMETICS VESSEL WITH A SIDE DISCHARGING PASSAGE}
본 발명은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성부품의 최소화에 의한 제조원가의 절감이 제공됨은 물론 버튼부재와 피스톤부재가 동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서 버튼부재의 반복적인 가압 작동에 의해 단일관으로 된 배출실린더의 실린더실에 유입된 화장품을 일측에 유도된 측면배출통로를 통하여 정확한 토출이 제공되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승강부재의 편마모현상 방지는 물론 화장품 누출 방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한 측면배출통로를 갖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는 액상(겔상) 화장품을 담은 용기부재의 상부에 조립된 캡의 내부에 구성된 펌핑기구의 작동, 즉 상부의 버튼부재의 가압에 의한 하강으로 실린더 내에 유입된 화장품을 토출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는 크게 2가지 방식으로 분류된다.
하나는 배출구 일체로 갖는 캡(버튼부재 기능)을 하강함으로써 배출구(노즐)이 유동하면서 펌핑기구의 내부에 유입(흡입)된 화장품을 토출하는 방식과,
다른 하나는 화장품 배출구가 고정된 상태에서 일측에 별도 작동하는 버튼부재의 누름작동에 의해 화장품을 유입하여 토출하는 방식이다.
전자의 노즐(배출구) 유동형 방식은 배출구(노즐)가 승강 작동함으로써 겔상의 화장품의 토출 시에 바르고자하는 피부의 정확한 부위에 토출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후자의 노즐 고정형 화장품 용기는 버튼부재의 누름작동에도 겔상의 화장품이 토출되는 노즐(배출구)의 이동이 없음으로 해서 화장품을 바르고자 하는 피부에 토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범주는 후자의 노즐고정형 방식에 속한다.
이러한 노즐 고정형 방식 화장품용기에 대하여 일본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특개평 제10-120054호 "주출용기(注出容器)(EJECTION CONTAINER)"(이하 선원기술 1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원기술 1은 내용물이 봉입 되어 변형 가능한 소재로 된 내용기를 외용기의 수납실에 수납하고, 상기 외용기에 주출구를 설치하며, 상기 수납실 안에 유체를 압송하고 상기 내용기를 가압하는 펌프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내용기의 내부에 연통하고 상기 주출구에 내용물을 유도한 주출로를 형성하고 상기 주출로에 상기 내용기의 내부에 공기가 유입한 것을 평상시 폐지하는 역지밸브를 구성한 것 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원기술 1은 외용기에 설치된 펌프수단의 가압에 의해 압축되는 유체에 의해 내용기를 수축하여 내용기의 수납실에 수용된 내용물을 주출구를 통하여 토출하는 것이어서, 반드시 내용기가 수축가능한 재질이어야 하고 동시에 내용기와 외용기 사이의 공간 기밀이 유지되어야 하며, 펌프수단의 가압에 의해 유체의 압축력을 유지하는 역지밸브와 내용기의 내부에 공기가 유입하는 것을 평상시 폐지하는 역지밸브의 구조를 갖추어야 함으로서, 구조의 복잡성이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특개평 제10-278956호 "액체 토출용기"(이하 선원기술 2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원기술 2는 용기체와, 상기 용기체 구경부 외면으로 끼움 된 장착통의 상판 중심에 양수관을 설치하고, 또한 소경실린더와 대경실린더를 기립해서 상기 대경실린더 하단 앞 부분으로 노즐을 돌출한 토출기 본체와, 상판으로 제1각통과 제2각통을 아래로 병설해서 상기 소경 및 대경실린더 안에 끼움 한 피스톤부재와, 상기 피스톤부재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코일스프링과, 대경실린더의 상단부 외면에 끼움 되어 피스톤부재의 빠져나감을 방지하는 방지통부재로 형성되었다.
이러한 선원기술 2는 소경실린더의 내면에서 접촉하여 승강하는 상기 제1각통의 하단부에 흡입밸브를 형성한 제1탄성변통과 상기 대경실린더의 내면과 소경실린더의 외면을 접촉하여 승강하는 제2각통의 하단부에 토출밸브를 형성한 제2탄성변통에 의해 내용물을 흡입하고 토출하는 방식이어서 장기간 사용에 따른 마모 및 변형에 의한 수밀성이 떨어져 내용물의 토출량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중앙의 양수관을 통하여 내용물을 상부로 흡입한 상태에서 상기 상판의 제1각통 및 제2각통과 소경실린더의 내, 외면을 지그재그로 경유하여 노즐로 토출하는 방식으로 상기 상판의 가압작동에 따른 부하가 많이 걸리어 손작동에 힘이 많이 드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특개평 제10-296141호 "펌프 디스펜서"(이하 선원기술 3이라 함)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 선원기술 3은 외통과, 상기 외통에 고정된 노즐관과, 상기 노즐관과 연통하고 외통내를 이동하는 이동통과, 상기 이동통에 접속되고 노즐관을 관통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상하이동가능한 가압체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통을 압입하는 것에 의해 외통의 단부로 흡입되었던 유동체가 노즐관으로 토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선원기술 3은 상기 노즐관의 내측을 기밀상태로 승강하는 가압체의 내측관 상단부에 돌출된 기밀편의 마모가 쉽게 발생하여 외측관과의 공간으로 내용물의 누출이 발생하는 단점과 가압체의 축심이동에 다른 지지력이 단순히 상기 외통의 상단 내측에 돌출된 환형 돌기에 의해 지지가 됨으로써 축심이동의 공간이 커서 편심이동이 쉽게 발생하여 편마모 발생으로 사용수명이 보장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311496호 "노즐고정형 디스펜서 용기"(이하 선원기술 4라 함)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원기술 4는 겔상의 화장품의 유출이 버튼에 결합한 펌핑스템의 승강 작동에 의해 실린더 내의 첵밸브를 개폐하여 상기 펌핑스템의 중앙통로를 통하여 토출헤드의 노즐을 통하여 토출하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선원기술 4는 상기 버튼이 상기 펌핑스템에 편심결합됨으로서 손가락의 누름공간이 좁아 내용물 토출에 따른 버튼의 펌핑작동을 위한 확실한 가압력이 제공되지 못하는 점, 상기 펌핑스템의 축심과 편심 가압작동에 의한 승강작동이 제공되어 균일한 축심방향의 가압(동일 축 방향으로의 가압)이 어려워 반복적으로 승강 작동하는 펌핑스템의 편마모 현상에 의해 화장품이 유출되는 단점 및 상기 펌핑스템과 버튼의 결합부분에 작용하는 편하중에 의한 변형으로 버튼의 가압작동시 소음이 발생되고 버튼의 승강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원기술 4는 첵밸브의 채용에 의한 피스톤로드 및 펌핑스템의 상승에 의해 겔상 화장품의 실린더 내 흡입이 이루어지고, 피스톤로드 및 펌핑스템의 하강에 의해 피스톤로드에 관통된 유출로 및 펌핑스템의 중앙통로를 통해 수직상승한 후 노즐을 통해 토출이 이루어짐으로써 버튼의 가압에 따른 부하가 심하고, 상기 실린더에 화장품이 흡입되어 충만된 상태에서 반복적인 수축 및 신장하는 첵밸브의 리턴스프링의 탄성변형으로 상기 버튼의 복귀 상승이 제대로 안 되는 오작동으로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선원기술 4는 선원기술 1 내지 3과 같이, 상기 펌핑스템, 피스톤로드의 하강거리에 대응하여 흡입된 화장품을 상부 관로로 상승시켜 토출하는 방식이어서 가압력이 커야하는 단점도 있다.
그리하여 본 출원인은 그리하여 본 출원인은 용기 내부의 화장품 배출을 피스톤의 축심방향이 아닌 일측에 형성된 배출관로를 통해 배출함과 동시에 버튼부재의 승강이 피스톤의 축심방향과 동일하게 제공되어 버튼부재의 작동에 따른 편심하중의 작용을 차단하여 승강부재 간의 편마모 방지에 의한 장기간 사용에도 화장품의 유출이 없어 수명 보장의 극대화와,
화장품의 배출이 일측에 유도된 배출관로에 의해 제공됨으로써 버튼부재가 피스톤과 동일한 축심이동에 의한 사용자의 손가락 접촉 점유율을 크게 할 수 있어 적은 힘의 가압에도 원활한 가압작용과 리턴스프링의 탄성복귀력이 버튼부재의 상승작동에만 활용되어 변형방지에 의한 버튼부재의 상승 오작동의 방지 및 장기간 사용에도 균일한 동작이 제공되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에 대하여 특허출원 제10-2008-0102597호로 선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본 출원인의 선 출원 기술은 구성부품 수가 많고 복잡한 성형부품으로 제공되어 제조원가를 상승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더욱이 측면배출로를 형성하기 위해 배출실린더를 지지하는 별도의 실린더받침 구성부품이 필요하고, 또한 이들 상호 간의 조립 및 측면배출로 형성을 위한 이중 관로 구조로 제공되어 복잡하고 조립 작업성의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 기술을 개선하여 구성부품의 최소화 및 구조의 단순화에도 용기 내부의 화장품 배출을 피스톤의 축심방향이 아닌 일측에 형성된 측면배출통로를 통해 배출함과 동시에 버튼부재의 승강이 피스톤의 축심방향과 동일하게 제공되어 버튼부재의 작동에 따른 편심하중의 작용을 차단하여 승강부재 간의 편마모를 방지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에도 불구하고 화장품의 유출이 없어 수명의 보장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화장품의 배출이 배출캡의 측면에 성형된 측면배출통로에 의해 제공되고, 버튼부재를 피스톤과 동일한 축심이동이 이루어지게 구성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접촉 점유율을 크게 할 수 있어 적은 힘의 가압에도 원활한 가압작용과 스프링의 탄성복귀력이 버튼부재의 상승작동에만 활용되어 변형방지에 의한 버튼부재의 상승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한 것에 특징적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버튼부재의 가압 및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승강작동이 동일한 축심이동으로 제공되어 승강부재인 피스톤 외주면과 배출실린더 내주면의 접촉부분 및 피스톤로드의 가이드축홈과 축밸브의 가이드축의 외주면의 접촉부분의 편마모가 극소화됨으로써 장기간 사용에도 균일한 동작이 제공되어 신뢰성이 보장되도록 한 것에 특징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버튼부재가 가압 해제에 의해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승하면서 결합로드에 고정결합된 피스톤로드에 축이동 가능케 결합한 축밸브가 마찰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배출실린더의 실린더실 하측의 하부유입구의 개폐시트를 막았던 내측개폐링이 실린더실 내에서 상승하여 개방하고, 동시에 축밸브의 외측개폐링이 배출실린더의 측면에 성형된 측면배출로를 밀폐하며, 피스톤의 연속 상승에 의해 겔상의 화장품을 배출실린더의 실린더실 내부에 일정량 흡입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버튼부재의 가압에 의해 상기 축밸브가 마찰 하강하여 축밸브의 외측개폐링이 배출실린더의 측면배출로를 개방함과 동시에 내측개폐링이 실린더실의 하부유입구의 개폐 시트에 밀착하여 폐쇄함으로써 상기 실린더실 내에 유입된 화장품이 용기본체 내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피스톤의 연속 압축 하강에 의해 상기 실린더실 내부의 화장품을 상기 배출실린더의 측면배출로를 경유하여 배출캡의 배출통로를 통하여 토출하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용기본체에 나사 결합한 배출캡에서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되고 결합로드로 승강 가능하게 축결합된 버튼부재와, 상기 결합로드와 동축으로 결합 고정된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로드에 결합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로드의 가이드홈에 가이드축으로 마찰이동 가능케 결합한 축밸브와, 상기 축밸브를 수용하는 실린더실을 갖고 일측에 상기 배출캡의 배출통로에 연통하는 측면배출로를 구비하며 상기 축밸브의 승강에 의해 교번적으로 개폐되는 상기 측면배출로 및 하부유입구를 구비한 배출실린더와,
상기 버튼부재의 가압 및 가압해제에 의해 상기 피스톤 및 축밸브가 동일 축방향으로 승강 작동하면서 상기 배출실린더의 실린더실 내로 용기의 화장품을 흡입하고 일측의 측면배출로를 통하여 배출캡의 배출통로를 통하여 화장품을 토출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일측에 유도되는 측면배출통로를 형성함으로써 버튼부재의 누름 점유율을 넓게 하여 버튼부재의 원활한 누름작동과 편리성이 보장되는 이점이 있다.
둘째, 펌핑기능의 버튼부재와 피스톤부재가 동일 축방향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서 모든 승강부재의 편마모 방지가 이루어져서 기밀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므로 화장품 누출이 방지되고 작동 부재의 내구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셋째, 버튼부재의 복귀(상승)작동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동축으로 조립된 버튼부재에 직접적으로 작용함으로 버튼부재의 복귀작동시 오작동이 없는 이점이 있다.
넷째, 피스톤 로드에 의해 축밸브가 배출실린더 내에서 승강되게 하여 배출실린더에 형성된 측면배출로와 하부유입구의 개폐가 교번적으로 동시에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화장품의 펌핑작동에 오작동이 없이 정확한 토출작동이 제공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측면배출통로를 갖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어셈블리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겔상의 화장품이 수용되는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배출캡(200)과, 상기 배출캡의 일측에서 승강자재로 조립된 버튼부재(300)와, 상기 버튼부재에 조립된 결합로드(310)와, 결합로드(310)에 결합된 피스톤로드(400)와, 상기 피스톤로드에 결합하는 피스톤(500)과, 상기 피스톤로드(400)에 마찰이동가능케 축결합하는 축밸브(600)와, 상기 피스톤(500)과 축밸브(600)를 수용하는 배출실린더(700)의 구성요소로 대별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용기본체(100)는 밑바닥에 진공피스톤(150)이 설치되어 있고, 충전된 겔상의 화장품(C)이 상기 버튼부재(300)의 압축 및 압축해제에 의한 펌핑작동으로 상기 배출실린더(700)의 실린더실(710)에 유입되는 화장품 량에 대응하여 내부용적이 감소하도록 상기 진공피스톤(150)은 상승하도록 되어 있고, 이러한 구조는 에어리스 타입의 용기 기술에서는 일반적인 기술임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7을 더욱 참조하여 설명하 면,
상기 배출캡(200)은 상기 용기본체(100)의 주입구 나사부(110)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210a)가 성형된 원통형 몸체(210)와, 상기 몸체의 중앙에 가로격판(230)으로 지지가 되고 수직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안내축관(220)과, 상기 가로격판(230)의 일측에 연결 성형 된 세로격판(240)에 의해 구획된 배출통로(250) 및 버튼수용공간(260)이 구비된다.
그리고 후술되는 배출실린더(700)의 중앙에 돌출된 플랜지(702)의 외주면에 돌출된 환형돌기(702a)와 맞결합하는 내주환홈(210b)이 상기 나사부(210)의 상측 내주면에 성형된다.
상기 안내축관(220)은 중공관으로서 상기 배출실린더(700) 상부가 끼움 고정되도록 상부에 결합홈(270)이 형성되고, 결합홈(270)에 결합된 배출실린더(70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내측면에 결합환홈(280)이 더욱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내축관(220)은 상기 결합홈(270)의 형성에 따라 내측에 걸림단부(271)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결합로드(310)의 축결합에 의한 하단 외주면에 돌출된 결합환돌기(310a)가 걸림되어 안내축관(220)으로부터 상방 이탈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안내축관(220)은 가로격판(230)에 의해 배출캡(200)의 중앙에 위치되고, 세로격판(240)에 의해 일측에 배출통로(250)가 성형되며, 세로격판(240)과 가로격판(230)과 안내축관(220)에 의해 버튼수용공간(260)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통로(250) 전단에는 노즐팁(290)이 조립되고, 상기 버튼수용공간(260)에는 상기 버튼부재(300)이 수용되되, 하부의 축심방향으로 돌출된 축돌기(301)를 상기 결합로드(31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320)에 억지끼움으로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안내축관(220)에 상기 결합로드(310)를 관통한 상태로 승강 가능케 조립된다.
이때, 상기 버튼부재(300)는 상기 가로격판(230)에 일측이 지지가 된 리턴스프링(350)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탄력설치되고, 상기 결합로드(310)의 하단 외주면에 돌출된 결합환돌기(310a)에 의해 상부 이탈이 차단된 상태로 상기 리턴스프링(350)의 탄발력에 의해 배출캡(200)의 상부면과 일치된 상태(동일 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조립된다.
여기에서 상기 결합로드(310)의 결합환돌기(310a)는 버튼부재(300)의 누름작동시에 피스톤로드(400)와 결합환돌기(310a) 사이에 설치된 피스톤(500)을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로드(310)는 버튼부재(300)의 하부에 돌출된 상기 축돌기(301)와 결합되도록 상부 중앙에 결합홈(320)이 성형되고, 하부 중앙에는 상기 피스톤로드(400)의 상부가 결합하는 하광상협의 결합축홈(330)이 성형 되고, 상부의 작은 지름의 상기 결합축홈의 내주면에는 결합환홈(330a)이 요설 되어 상기 피스톤로드(400)의 상부 외주면에 돌출된 결합환돌기(400a)로 맞결합되어 걸림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로드(400)는 버튼부재(300)의 상향이동시에 피스톤(500) 을 상방으로 이동 및 이탈을 방지하도록 플랜지(410)가 하단에 성형 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축밸브(600)를 안내하는 가이드축홈(420)이 관통성형되고, 이 가이드축홈(420)의 입구 내주면에 마찰돌기환(420a)이 돌출 성형 된다.
이때, 상기 플랜지(410)는 피스톤로드(410)의 승강작동에 따른 화장품(C)이 통과가능케 외주면에 요철돌기을 일체 성형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찰돌기환(420a)은 피스톤로드(400)의 승강시에 축밸브(700) 외주면과의 마찰작용에 의해 축밸브(600)가 피스톤로드(400)의 가이드축홈(420) 내에서 상,하로 승강 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피스톤로드(400)는 피스톤(500)을 상부로부터 결합한 다음 상기 버튼부재(300)에 미리 결합된 결합로드(310)를 배출캡(200)의 안내축관(220)에 결합한 상태에서 안내축관(220)의 하부로 넣어서 결합축홈(330)에 삽입하여 상부의 결합환돌기(400a)가 상기 결합환홈(330a)에 맞조립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500)은 내측링(510)과 외측링(520)의 내, 외주면 중앙부분에 성형 된 연결살(530)로 연결된 구조로서, 상기 외측링(520)은 상,하 중앙부분 외주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승강 작동시에 상, 하단이 탄력적으로 접촉되게 함으로서 실린더실(710)과의 밀착도를 증가시킨다. 즉 피스톤의 흡입, 압축이 증대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피스톤(500)은 상기 내측링(510)이 피스톤로드(400)의 외주면에 내주면으로 밀착 끼움된 상태에서 상부 외주면이 상기 결합로드(310)의 하부의 넓은 지름의 결합축홈(330)의 내주면에 끼움되고 상기 하단이 상기 피스톤로드(400) 의 플랜지(410)의 상면에 지지된 상태의 이탈방지로 조립된다.
이러한 피스톤(500)은 상기 버튼부재(300)의 누름작동에 의해 상기 배출캡(200) 안내축관(220) 중앙의 걸림단부(271)와 상기 피스톤로드(400)의 하부 플랜지(410) 사이에서 일정거리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피스톤(500)의 내측링(510)은 상단부가 상기 결합로드(310)의 하부에 성형 된 결합축홈(430)의 하측 큰 지름 내주면과 피스톤로드(400) 외주면 사이에 끼움 된 상태로 승강 가능하도록 피스톤로드(400)와 결합하고, 상기 결합로드(310)의 걸림환돌기(310a)가 상기 내, 외측링(510,520)을 연결한 보강살(530)의 상부를 가압하여 피스톤(500)의 하향 이동이 이루어지고, 피스톤(500)의 상향 이동은 외측링(520)이 안내축관(220)의 걸림단부(271)에 접촉되어 제한된다.
이렇게 피스톤(500)을 일정거리 승강 이동거리를 갖는 것은 후술 되는 축밸브(600)가 배출실린더(700)의 측면배출로(701b)와 개폐작동이 선행된 후에 피스톤의 압축 및 흡입작동을 구현하기 위함이다.
상기 축밸브(600)는 상기 피스톤로드(400)의 가이드홈(420)에 결합하는 가이드축(610)과, 상기 가이드축의 하부에 차단링(620)이 일체 돌출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차단링(620)은 내측개폐링(620a)과 외측개폐링(620b)이 일정간격 이격되고 방사상의 연결리브(620c)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연결리브(620c) 간의 개구를 통해 겔상의 화장품(C)이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측개폐링(620b)의 외주면에는 멈춤돌기(620d)가 일체 돌출되어 상기 후술 되는 배출실린더(700)의 실린더실(710)의 내부면에 형성된 걸림홈(710a)에서 걸림 되어 상승 및 하강이 제한 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축(610)의 지름은 상기 피스톤로드(400)의 가이드홈(420) 입구 내주면에 돌출된 마찰돌기환(420a)과 접촉되어 마찰이동하는 크기로 성형 된다.
상기 배출실린더(700)는 상광하협의 단차진 원통형 몸체(701)로 형성된 단일관으로서, 상부 확장관의 중앙 외주면에 플랜지(702)가 성형되고, 내부에는 피스톤(500), 피스톤로드(400) 및 축밸브(600)가 수용되어 이동되는 중공의 실린더실(710)이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실(710)로부터 플랜지(702)측으로 상기 배출캡의 배출통로(250)와 연통되어 화장품(C)이 토출되도록 몸체(701)에 연장된 측면배출로(701a)가 관통 성형되고, 하부 단차관에는 상기 실린더실(710)과 연통하여 하부 유입구(720)가 형성되고 상기 축밸브(600)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시트(720a)가 성형된다.
이때, 상기 개폐시트(720a)는 상기 축밸브(600)의 차단링을 구성하는 하단부의 내측개폐링(620a)이 접촉되어 폐쇄하도록 상기 작은 직경의 단차관으로 형성된하부유입구(720)의 상방의 단턱부분에 형성된다.
이러한 배출실린더(700)는 상기 배출캡(200)의 안내축관(220)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환홈(280)과 맞결합하도록 상기 상부의 몸체(701) 외주면에 결합환돌기(703)가 돌출 성형된다.
즉, 상기 배출실린더(700)는 상기 배출캡(200)의 안내축관(220) 결합홈(270) 에 상부가 끼움결합되는 한편, 상기 안내축관(220)의 결합환홈(280)과 몸체(701) 외주면의 결합환돌기(703)가 걸림 고정되어 배출실린더(700)와 배출캡(200)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조립에 의해 상기 실린더실(710)은 상기 축밸브(600)를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피스톤(500)의 외측링(520)이 내주면에 밀착수용되는 상태의 동일 축심방향(동일 축방향)으로 조립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실(710)의 하부유입구(720)는 상기 축밸브(600)의 승강작동에 의한 차단링(620)의 내측개폐링(620a)이 상기 개폐시트(720a)에 접촉 또는 분리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측면배출로(701a)는 외측개폐링(620b)의 승강 의해 개폐된다.
이렇게 조립된 배출실린더(700)는 상기 플랜지(702)의 하면에 패킹(P)을 개재 끼움 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캡(200)의 하부나사부(21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주입구 나사부(110)를 체결하여 용기본체(100)의 주입구가 외부와 기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버튼부재(300)의 가압(하강) 후, 리턴스프링(350)의 탄발력에 의한 상승의 작동에 의해 도 8과 같이, 상기 버튼부재(300)의 결합로드(310)에 고정 결합된 피스톤로드(400)가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피스톤로드(400)의 상승작동에 의해 상기 피스톤로드와 마찰이동 가 능케 축결합된 축밸브(600)가 먼저 상승하여 하단의 차단링(620) 중 외측개폐링(620b)이 배출실린더(700)의 측면배출로(701a)를 차단함과 동시에 내측개폐링(620a)이 배출실린더(700)의 하부유입구(720)의 개폐시트(720a)와 접촉이 해제되어 배출실린더(700)의 하부유입구(720)가 개방된다.
즉, 상기 피스톤로드(400)의 가이드홈(420)에 가이드축(610)으로 결합한 축밸브(600)가 마찰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배출실린더(700)의 측면배출로(701a)가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상태가 되고, 하부 유입구(720)는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전환되어 실린더실(710)로 화장품(C)이 유입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도 7의 확대도 참조).
그리고 상기 외측개폐링(620b)에 외측에 돌출 성형된 멈춤돌기(620d)가 실린더실(710) 내부에 성형된 걸림홈(710a)에 걸려서 더 이상의 상승이 차단되고 연결리브(720c)사이를 통해서 화장품(C)이 상방으로 유동 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과 동시에 피스톤(500)의 2차적인 연속 상승하여 상기 피스톤의 흡입작동(석션: suction )이 이루어지고, 이와 같은 흡입작동에 의해 화장품(C)은 배출실린더(700)의 하부유입구(20)를 통해 실린더실(710) 내부로 일정량이 흡입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9와 같이, 상기 버튼부재(300)의 가압에 의해 피스톤로드(400)가 동시에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로드(400)의 가이드홈(420)에 돌출된 마찰돌기환(420a)과 가이드축(610)이 접촉된 상태로 축결합된 상기 축밸브(600)를 마찰 하강시키게 된다.
이러한 축밸브(600)의 하강작동은 상기 가이드축(610)의 하부에 형성된 차단링(620)의 외측개폐링(620b)이 상기 배출실린더(700)의 상기 측면배출로(701a)를 개방시키고 동시에 내측개폐링(620a)이 하부유입구(720)의 개폐시트(720a)를 가압하여 상기 하부유입구(720)를 밀폐시킨다(도 10 확대도 참조).
그리고 상기 피스톤(500)이 연속하여 하강하면서 상기 배출실린더(700)의 실린더실(710)에 유입된 화장품(C)을 측면배출로(701a)를 통해 상기 배출캡(200)의 배출통로(250)를 경유하여 노즐팁(290)으로 토출된다.
이때 리턴스프링(350)은 압축된 상태이고 반발력은 최대가 된다.
다시 버튼부재(300)를 누르는 가압력을 해제하면 리턴스프링(350)의 반발력에 의해 버튼부재(300)는 신속히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도 7의 상태로 복귀된다.
즉, 도 8 및 도 9의 상태가 버튼부재(300)의 가압력 해제에 따라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기 화장품을 누출시키지 않고 장기간 안정적으로 작동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되는 본 발명은 단순한 구성부품으로서 구성부재 상호간이 상기 버튼부재(300)의 승강 작동에 의해 동일축심 방향으로 작동함으로써 편심하중의 배제에 의한 승강 작동의 원활성은 물론 편마모 방지에 의한 수명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버튼부재(300)의 승강 작동에 의해 화장품(C)의 토출경로를 측면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피스톤의 흡입(suction)기능의 증대 및 토출에 따른 압축작동이 극대화되어 화장품(C)의 흡입 및 토출이 용이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버튼부재(300)의 복원이 동일축심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350)에 의해 제공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화장품(C) 속에서 첵밸브 기능의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한 버튼부재의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가장 특징적인 기술은 상기 버튼부재(300)의 가압 및 가압해제에 의해 피스톤(500) 및 축밸브(600)가 동일 축심방향으로 승강 작동하면서 측면배출로(701a)와 하부유입구(720)를 동시에 개폐하는 반복작용에 의해 상기 배출실린더(700)의 실린더실(710) 내로 용기본체(100)에 충전된 화장품(C)을 흡입하고, 배출캡(200)의 배출통로(250)를 통하여 노즐팁(290)을 통하여 외부로 토출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2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도3의 결합단면도.
도 5는 도 4의 일부 발췌 확대도.
도 6은 도 5의 "F"부분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5의 "G"부분 확대 단면도.
도 8은 화장품이 배출실린더에 화장품이 유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버튼부재의 복귀(상승) 상태 단면도.
도 9는 도 8의 배출실린더에 유입된 화장품이 버튼부재의 누름작동에 의해 배출실린더의 측면배출통로, 배출캡의 배출통로, 노즐팁을 통해서 배출되는 상태 단면도.
도 10는 도 9의 "H" 부분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용기본체 200: 배출캡
210: 원통형 몸체 220: 안내축관
250: 배출통로 300: 버튼부재
310: 결합로드 400: 피스톤로드
410: 플랜지 420: 가이드홈
500: 피스톤 600: 축밸브
610: 가이드축 620: 차단링
700: 배출실린더 710: 실린더실
701a: 측면배출로 702: 플랜지
720: 하부유입구 720a: 개폐시트

Claims (10)

  1. 겔상의 화장품(C)이 수용되는 용기본체(100);
    상기 용기본체의 주입구 나사부(110)와 나사 결합하도록 하부에 나사부(210a)가 성형된 원통형 몸체(210)와, 이 몸체의 중앙에 가로격판(230)으로 지지가 되고 수직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안내축관(220)과, 상기 가로격판의 일측에 연결 성형 된 세로격판(240)에 의해 구획된 배출통로(250) 및 버튼수용공간(260)을 구비한 배출캡(200);
    상기 버튼수용공간(260)에 수용되는 리턴스프링(350)으로 탄력지지 되고, 축심방향으로 돌출된 축돌기(301)를 결합로드(31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320)에 억지끼움으로 조립하고 상기 안내축관(220)에 결합로드(310)를 관통하여 승강 가능케 축 결합한 버튼부재(300);
    상기 결합로드(310)의 축심방향으로 형성된 결합축홈(330)에 상부 끼움으로 결합고정되고 하부에 플랜지(410)를 구비한 피스톤로드(400);
    상기 피스톤로드의 플랜지(410)에 의해 하부이탈이 차단된 상태로 상,하로 일정거리 이동되게 결합로드(310)와 피스톤로드(400) 사이에 조립된 피스톤(500);
    상기 피스톤로드(400)의 가이드홈(420)에 결합하여 마찰이동하는 가이드축(610)과 상기 가이드축의 하부에 차단링(620)을 구비한 축밸브(700);
    상기 안내축관(220)에 조립 고정되어 상기 축밸브(600)를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피스톤(500)의 외주면이 내주면에 밀착 수용되며 상기 차단링(620)이 승강하 는 실린더실(710)과, 상기 실린더실의 중앙부 일측에 상기 배출캡(200)의 배출통로(250)에 연통하도록 측면배출로(701a)가 성형된 플랜지(702)와, 상기 실린더실(710)에 연통되어 상기 축밸브(600)의 차단링(620)의 승강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시트(720a)를 구비한 하부유입구(720)가 형성된 단일관의 배출실린더(700);
    를 포함하는 측면배출통로를 갖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300)의 가압 및 가압해제에 의해 상기 피스톤(500) 및 축밸브(600)가 동일 축심방향으로 승강작동하여 상기 배출실린더(700)의 하부유입구(720)을 통하여 실린더실(710) 내로 상기 용기본체(100)의 화장품(C) 유입하고 측면배출로(701a)를 통하여 상기 배출캡(200)의 배출통로(250)로 토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배출통로를 갖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실린더(700)는 상광하협의 단차진 원통형 몸체(701)로 형성된 단일관으로서, 상부 확장관의 중앙 외주면에 플랜지(702)가 성형되고,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500), 피스톤로드(400) 및 축밸브(600)가 수용되어 이동되는 중공의 실린더실(710)이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실(710)로부터 플랜지(702) 측으로 상기 배출캡의 배출통로(250)와 연통되어 화장품(C)이 토출되도록 상기 플랜지(702)에 연장된 측면배출로(701a)가 관통 성형되고, 하부 단차관에는 하부 유입구(720)가 형성되어 이의 상부에 상기 축밸브(600)의 차단링(620)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시트(720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배출통로를 갖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캡(200)은 상기 안내축관(220)의 상부 내측에 결합홈(270)과 결합환홈(280)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실린더(700)의 상부가 상기 결합홈(270)에 끼움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결합환홈(280)에 상기 배출실린더(700)의 상부 외주면에 돌출된 결합환돌기(703)가 맞결합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배출통로를 갖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300)는 상기 가로격판(230)에 일측이 지지가 된 리턴스프링(350)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탄력 설치되고, 상기 안내축관(220)에 관통 결합된 결합로드(310)의 하단 외주면에 돌출된 환형 걸림돌기편(310a)이 상기 결합홈(270)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단부(271)에 의해 상부 이탈이 차단된 상태로 상기 배출캡(200)의 상부면과 일치된 상태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배출통로를 갖 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400)는 외주면에 돌출된 결합환돌기(400a)가 상기 결합로드(310)의 결합홈(330)에 성형 된 결합환홈(330a)에 맞결합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배출통로를 갖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용기.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400)는 외주면이 요철돌기로 형성된 플랜지(410)가 하부에 성형 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가이드홈(420)이 관통 성형 되되, 상기 가이드홈의 입구 내주면에 마찰돌기환(420a)이 성형 되고, 상기 축밸브(600)의 가이드축(610)이 상기 마찰돌기환(420a)와의 마찰 접촉으로 승강이동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측면배출통로를 갖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밸브(600)는 상기 피스톤로드(400)의 가이드홈(420)에 결합하는 가이드축(610)과, 상기 가이드축의 하부에 상기 차단링(620)이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차단링(620)은 내측개폐링(620a)과 외측개폐링(620b)이 일정간격 이격되고 방사상의 연결리브(620c)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연결리브 간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겔상의 화장품(C)이 유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배출통로를 갖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용기.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축밸브(600)는 외측개폐링(620b)의 외주면에는 멈춤돌기(620d)가 일체 돌출되어 상기 배출실린더(700)의 실린더실(710)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홈(710a)에 걸림 되어 승강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배출통로를 갖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용기.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실린더(700)의 측면배출로(701a)는 상기 축밸브(600)의 승강에 의한 외측개폐링(620b)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개폐시트(720a)는 축밸브(600)의 내측 개폐링(620a)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배출통로를 갖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용기.
KR1020090035048A 2008-10-20 2009-04-22 측면배출통로를 갖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KR101036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048A KR101036269B1 (ko) 2009-04-22 2009-04-22 측면배출통로를 갖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EP09822162.5A EP2342990A4 (en) 2008-10-20 2009-10-12 CONTAINER FOR NON-AIR TYPE COSMETIC SUBSTANCE
PCT/KR2009/005822 WO2010047486A2 (ko) 2008-10-20 2009-10-12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CN200980141734.9A CN102186371B (zh) 2008-10-20 2009-10-12 无空气型化妆品容器
US12/581,991 US8245884B2 (en) 2008-10-20 2009-10-20 Airless type cosmetics vess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048A KR101036269B1 (ko) 2009-04-22 2009-04-22 측면배출통로를 갖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374A true KR20100116374A (ko) 2010-11-01
KR101036269B1 KR101036269B1 (ko) 2011-05-23

Family

ID=43403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048A KR101036269B1 (ko) 2008-10-20 2009-04-22 측면배출통로를 갖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2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959B1 (ko) * 2013-03-05 2015-02-04 (주)연우 잔량 개선을 위한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WO2015190715A1 (ko) * 2014-06-09 2015-12-17 (주)연우 노즐고정형 펌핑식 화장품용기
WO2021194017A1 (en) * 2020-03-23 2021-09-30 Jin Woo Kim Button-type cosmetic contai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012B1 (ko) * 2013-12-19 2015-02-06 (주) 이루팩 가압식 유체 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7779B2 (ja) * 2000-08-15 2005-05-18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図形データ生成方法、図形生成装置及びその構成品
KR20030087285A (ko) * 2002-05-08 2003-11-14 동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공정 장비의 링형 보트 탑 커버
JP3912672B2 (ja) * 2002-07-05 2007-05-09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画素欠陥検査方法
KR200312903Y1 (ko) 2002-11-29 2003-05-14 주식회사 두코 화장품용기의 펌프구조
JP2004299727A (ja) 2003-03-31 2004-10-28 Shiseido Co Ltd ディスペンサー容器
KR200387285Y1 (ko) 2005-04-02 2005-06-17 주식회사 태평양 고압가스로 피스톤을 밀어주는 화장품 용기
KR200404065Y1 (ko) 2005-09-20 2005-12-16 (주)민진 펌프식 포장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959B1 (ko) * 2013-03-05 2015-02-04 (주)연우 잔량 개선을 위한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WO2015190715A1 (ko) * 2014-06-09 2015-12-17 (주)연우 노즐고정형 펌핑식 화장품용기
WO2021194017A1 (en) * 2020-03-23 2021-09-30 Jin Woo Kim Button-type cosmetic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6269B1 (ko) 2011-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5884B2 (en) Airless type cosmetics vessel
KR101487191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JP2622795B2 (ja) 液体ポンプ分配器
KR101590865B1 (ko) 디스펜서 용기
US6170713B1 (en) Double spring precompression pump with priming feature
EP2641521B1 (en) Adaptive preload pump
JP5565891B2 (ja) 流動性物質用吐出装置
JP2014532013A (ja) スプレーポンプ
KR100935907B1 (ko)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MXPA05005607A (es) Bomba de precompresion de altura reducida.
KR101036269B1 (ko) 측면배출통로를 갖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KR102487773B1 (ko) 개선된 작동성을 갖는 제품 분배 장치
KR101138983B1 (ko)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KR200462943Y1 (ko) 용기용 펌핑장치
KR101387591B1 (ko) 단일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화장품 용기
KR100935909B1 (ko)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KR102338575B1 (ko) 펌프형 화장품 용기
ES2348798T3 (es) Dispositivo de distribucion de producto fluido.
KR200466221Y1 (ko) 화장품용기
IL142855A (en) Atomizing pump spray
JP2018015685A (ja) バネ蓄圧式噴霧ポンプ
US10850293B2 (en) Device for spraying liquid cosmetic mist
JP2004516398A (ja) 手動で作動するポンプアセンブリ
KR102517074B1 (ko) 에어리스 펌프형 화장품 용기
KR20100022603A (ko) 펌핑 노즐을 일체로 구비한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