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983B1 -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983B1
KR101138983B1 KR1020090093129A KR20090093129A KR101138983B1 KR 101138983 B1 KR101138983 B1 KR 101138983B1 KR 1020090093129 A KR1020090093129 A KR 1020090093129A KR 20090093129 A KR20090093129 A KR 20090093129A KR 101138983 B1 KR101138983 B1 KR 101138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ring
closing
assembled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3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5414A (ko
Inventor
변재삼
Original Assignee
변재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재삼 filed Critical 변재삼
Priority to KR1020090093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983B1/ko
Publication of KR20110035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5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45D40/0075Jars with disp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겔상의 화장품 흡입작동이 개별구성된 피스톤과 축밸브의 단계적인 상승에 의해 1차로 상기 축밸브가 화장품의 유입관로의 개방과 배출관로의 차단을 수행함과 동시에 2차로 피스톤의 연속상승에 의해 흡입하고, 화장품의 배출작동이 상기 축밸브의 1차 하강으로 화장품의 유입관로의 차단 및 배출관로의 개방을 수행함과 동시에 2차로 피스톤의 연속하강에 의한 압축 배출하도록 하여 화장품의 흡입 및 배출이 분리 구성된 축밸브와 피스톤의 단계별 흡입 및 배출작동에 의해 오작동이 없이 정밀작동을 제공한 것에 특징적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버튼부재의 하강작동에 연계하여 개폐노즐의 연계작동으로 노즐의 배출구를 개방하여 겔상의 화장품을 배출하고, 화장품의 배출 후에 버튼부재의 복귀(상승)작동과 연계하여 노즐의 배출구를 밀폐 차단하도록 함으로서 화장품 배출 후에 배출캡에 흡입된 상태로 있던 화장품의 외부 누출을 차단하여 휴대보관에 따른 오염 및 공기와의 접촉을 최대한 차단하여 화장품의 변질을 방지하고, 금속재의 스프링 사용의 배제에 의한 화장품의 변질 배제와 노즐의 배출구의 차단이 정확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보장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피스톤로드, 축밸브, 피스톤, 개별작동, 오작동, 개폐노즐, 변질

Description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AIRLESS TYPE C0SMETICS VESSEL}
본 발명은 버튼의 누름 및 누름 해제에 따른 화장품용기 내의 화장품을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화장품용기 내의 화장품 배출시에 피스톤과 축밸브의 단계적인 연속동작에 의해 오작동이 없이 화장품의 배출이 제공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보장되고, 화장품 배출 및 배출 차단이 개폐노즐의 정밀동작으로 정확성이 보장되어 사용의 편리성 및 사용 후 노즐의 배출구 폐쇄가 자동으로 이루어져 화장품 누출이 방지로 휴대보관의 안전성, 화장품의 오염 및 변질의 방지가 보장되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는 액상(겔상) 화장품을 담은 화장품용기 부재의 상부에 조립된 캡의 내부에 구성된 펌핑기구의 작동, 즉 상부의 버튼부재의 가압에 의한 하강으로 실린더 내에 흡입된 화장품을 배출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는 크게 2가지 방식으로 분류된다.
하나는 배출구 일체로 갖는 캡(버튼부재 기능)을 하강함으로써 배출구(노즐)이 유동하면서 펌핑기구의 내부에 흡입된 화장품을 배출하는 방식과,
다른 하나는 화장품 배출구가 고정된 상태에서 일측에 별도 작동하는 버튼부재의 누름작동에 의해 연동하는 펌핑기구에 의해 화장품을 흡입하고 고정노즐을 통하여 배출하는 방식이다.
전자의 노즐(배출구) 유동형 방식은 배출구(노즐)가 승강 작동함으로써 겔상의 화장품의 배출 시에 바르고자하는 피부의 정확한 부위에 배출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후자의 노즐 고정형 화장품 용기는 버튼부재의 누름작동에도 겔상의 화장품이 배출되는 노즐(배출구)의 이동이 없음으로 해서 화장품을 바르고자 하는 피부에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범주는 후자의 노즐고정형 방식에 속한다.
이러한 노즐 고정형 방식 화장품용기에 관련하여 일본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특개평 제10-120054호(공개일: 1998.05.12) "주출용기"(이하 선원기술 1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원기술 1은 외용기에 설치된 펌프수단의 가압에 의해 압축되는 유체에 의해 내용기를 수축하여 내용기의 수납실에 수용된 내용물을 주출구를 통하여 배출하는 것이어서, 반드시 내용기가 수축가능한 재질이어야 하고 동시에 내용기와 외용기 사이의 공간 기밀이 유지되어야 하며, 펌프수단의 가압에 의해 유체의 압축 력을 유지하는 역지밸브와 내용기의 내부에 공기가 유입하는 것을 평상시 폐지하는 역지밸브의 구조를 갖추어야 함으로서, 구조의 복잡성이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특개평 제10-278956호(공개일: 1998.10.20) "액체 배출용기"(이하 선원기술 2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원기술 2는 소경실린더의 내면에서 접촉하여 승강하는 상기 제1각통의 하단부에 흡입밸브를 형성한 제1탄성변통과 상기 대경실린더의 내면과 소경실린더의 외면을 접촉하여 승강하는 제2각통의 하단부에 배출밸브를 형성한 제2탄성변통에 의해 내용물을 흡입하고 배출하는 방식이어서 장기간 사용에 따른 마모 및 변형에 의한 수밀성이 떨어져 내용물의 배출량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중앙의 양수관을 통하여 내용물을 상부로 흡입한 상태에서 상기 상판의 제1각통 및 제2각통과 소경실린더의 내, 외면을 지그재그로 경유하여 노즐로 배출하는 방식으로 상기 상판의 가압작동에 따른 부하가 많이 걸리어 손작동에 힘이 많이 드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특개평 제10-296141호(공개일: 1998.11.10) "펌프 디스펜서"(이하 선원기술 3이라 함)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 선원기술 3은 노즐관의 내측을 기밀상태로 승강하는 가압체의 내측관 상단부에 돌출된 기밀편의 마모가 쉽게 발생하여 외측관과의 공간으로 내용물의 누출이 발생하는 단점과 가압체의 축심이동에 다른 지지력이 단순히 상기 외통의 상 단 내측에 돌출된 환형 돌기에 의해 지지가 됨으로써 축심이동의 공간이 커서 편심이동이 쉽게 발생하여 편마모 발생으로 사용수명이 보장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311496호 "노즐고정형 디스펜서 용기"(이하 선원기술 4라 함)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원기술 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겔상의 화장품의 유출이 버튼(70)에 결합한 펌핑스템(44)의 승강 작동에 의해 실린더(20) 내의 첵밸브(30)를 개폐하여 상기 펌핑스템(44)의 중앙통로를 통하여 배출헤드(60)의 노즐(62)을 통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선원기술 4는 상기 버튼(70)이 상기 펌핑스템(44)에 편심결합됨으로서 손가락의 누름공간이 좁아 내용물 배출에 따른 버튼의 펌핑작동을 위한 확실한 가압력이 제공되지 못하는 점, 상기 펌핑스템(44)의 축심(O)과 편심 가압작동에 의한 승강작동이 제공되어 균일한 축심방향의 가압이 어려워 반복적인 승강 작동하는 펌핑스템(44)의 편마모 현상에 의한 화장품이 유출되는 단점 및 상기 펌핑스템(44)과 버튼(70)의 결합부분에 편하중 작용에 의한 변형으로 버튼의 가압작동에 소음과 원활한 승강작동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첵밸브(30)의 채용에 의한 피스톤로드(40) 및 펌핑스템(44)의 상승에 의해 겔상의 화장품의 실린더(20) 내의 흡입이 이루어지고, 피스톤로드 및 펌핑스템의 하강에 의해 피스톤로드(40)에 관통된 유출로(42) 및 펌핑스템(44)의 중앙통로를 수직상승에 의해 노즐(62)을 통한 배출이 이루어짐으로써 버튼(70)의 가압에 따른 부하가 심하고, 상기 실린더(20)에 화장품이 흡입되어 충만한 상태에서 반복적인 수축 및 신장하는 첵밸브(30)의 리턴스프링(24)의 탄성변형으로 상기 버튼(70)의 복귀 상승이 제대로 안 되는 오작동으로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선원기술 1 내지 3과 같이, 상기 펌핑스템(44), 피스톤로드(40)의 하강거리에 대응하여 흡입된 화장품을 상부 관로로 상승시켜 배출하는 방식이어서 가압력이 커야 배출이 이루어지는 단점도 있다.
그리하여, 상기 선원기술 4의 단점을 해소하고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40633호(공개일: 2009. 04. 27) "화장품용기용 압출펌프"(이하 선원기술 5라 함)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원기술 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바디부(10)에 실린더(11)와 배출유로(14a)를 일체로 형성하는 한편, 버튼(23)의 승강작동에 연동하는 펌프피스톤(22)의 압축 및 흡입에 의해 유로를 반대로 개폐하는 내측개폐부(32)와 외측개폐부(35)를 갖는 밸브체(31)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선원기술 5는 상기 버튼(23)에 조립된 펌프피스톤(22)은 피스톤 기능의 밀폐스커트부(22b)가 일체 구성되어 상기 펌프피스톤(22)의 승강작동에 의해 실린더(11)의 중간저장실(실린더실)(11b) 내부에 흡입하고 압축에 의해 배출작동을 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원기술 5는 버튼(23)을 누르게 되면 밸브체(31)가 펌프피스톤(22)과 동시에 하강하여 내측개폐부(32)에 의해 실린더실(중간저장실)(11b)의 하측에 개구된 화장품 유입구(34)가 차단됨과 동시에, 외측개폐부(35)에 의해 차단되어 측면의 배출유로(14a)가 개방되고 실린더실(11b)에 흡입된 화장품이 노즐부(14)의 노즐공을 통하여 배출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선원기술 5는 상기 펌프피스톤(22)이 복귀스프링(25)에 의해 상승하면서 화장품용기(21) 내의 화장품의 흡입과 상기 펌프피스톤의 하강(압축)에 의해 배출작동이 제공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상기 펌프피스톤의 상승 시에 외측개폐부(35)의 배출유로(14a)의 차단 시점과 내측개폐부(32)의 하측 화장품유입구(34)의 개방 시점까지 배출유로(14a) 내에 흡입되어 있던 화장품과 용기 내에 충전된 화장품의 동시 흡입작동이 제공되는 점과, 상기 펌프피스톤(22)의 하강 시에 내측개폐부(32)에 의한 하측 화장품유입구의 차단와 외측개폐부(35)에 의한 배출유로(14a)의 개방시점까지 동시 압축작동에 의한 배출이 제공되는 점, 다시 말하여 상기 버튼(23)의 누름 및 누름 해제 시에 따른 화장품의 흡입 및 배출작동에 따른 정밀작동을 제공할 수 없었다.
즉, 상기 버튼(23)의 누름 및 누름 해제에 따른 화장품 용기 내에 충전된 화장품의 흡입과 흡입 후의 배출작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실용화에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선원기술 5는 겔상의 화장품을 배출구(노즐)을 통하여 배출한 후에 더 이상의 누출을 차단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되지 못하여 용기 사용 후에 배출유로 상에 흡입 상승하여 있던 겔상의 화장품이 휴대 보관 시에 흘러나와 핸드백 내 부를 오염시키는 단점 및 내부 오염의 단점이 있었다.
한편, 노즐을 통하여 겔상의 화장품을 배출한 후 노즐의 배출구를 차단하여 휴대보관의 안전성을 제공하는 '화장품용기의 노즐개폐장치'에 대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282746호(공고일: 2002. 07. 23)(이하 선원기술 6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원기술 6은 노즐공을 갖는 노즐관의 내부에 스프링에 의해 전진 지지되는 팁밸브의 노즐개폐수단을 구성하여 버튼부재의 가압에 의해 압축되는 화장품이 노즐관 내부에 유입되어 압축력에 의해 노즐공을 막고 있던 팁밸브를 전진 지지하는 스프링을 압축 후진하여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원기술 6은 노즐의 노즐공을 차단를 행하는 팁밸브의 지지가 금속재질의 압축스프링에 의해 제공됨으로서 금속재 스프링의 접촉에 의한 보관시에 화장품의 변질이 발생하는 단점과, 장기간 사용시에 비교적 매우 얇은 금속재 스프링의 탄성력 변질로 전진작동의 오작동으로 노즐 개폐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선원기술 6은 노즐고정형이 아닌 이동형으로서 버튼부재의 작동과 동시에 노즐관이 이동하면서 화장품의 배출이 제공되어 바르고자하는 피부의 정확한 부위에 배출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특히, 버튼부재의 가압에 의해 압축 상승하는 화장품의 배출관로가 피스톤과 피스톤밸브 사이에 형성된 매우 좁은 관로를 통해 수직 이동시키고, 이동된 화장품의 압력에 의해 스프링을 후진 압축하여 노즐관을 통하여 배출함으로서 버튼부재의 가압력이 매우 커야 하는 단점을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진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겔상의 화장품 흡입작동은 개별구성된 피스톤과 축밸브의 단계적인 상승에 의해 1차로 상기 축밸브가 화장품의 유입관로의 개방과 배출관로의 차단을 수행함과 동시에 2차로 피스톤의 연속상승에 의해 흡입하고,
화장품의 배출작동은 상기 축밸브의 1차 하강으로 화장품의 유입관로의 차단 및 배출관로의 개방을 수행함과 동시에 2차로 피스톤의 연속하강에 의해 압축하여 배출하도록 하여 화장품의 흡입 및 배출이 분리 구성된 축밸브와 피스톤의 단계별 흡입 및 배출작동에 의한 오작동이 없는 정밀작동을 제공한 것에 특징적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버튼부재의 하강작동에 연계하여 개폐노즐의 작동으로 노즐관의 배출구를 개방하여 겔상의 화장품을 배출하고, 화장품의 배출 후에 버튼부재의 복귀(상승)작동과 연계하여 노즐관의 배출구를 밀폐하여 차단하도록 함으로서, 화장품 용기 내부의 화장품 배출 후에 배출캡에 흡입된 상태로 있던 화장품의 외부 누출을 차단함으로써 휴대보관에 따른 오염을 방지하고, 금속재의 스프링 사용의 배제에 의한 화장품의 변질 방지와 노즐관의 배출구 차단이 정확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보장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버튼부재의 승강작동에 개별작동 하는 축밸브와 피스톤의 단계별 승강작동에 의해 겔상의 화장품을 배출실린더의 실린더실에 흡입과 압축에 의한 개폐노즐의 노즐관을 통해 배출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즉, 본 발명의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용기는,
화장품용기에 나사 조립되고, 개폐노즐이 조립되는 배출통로를 형성한 배출캡과, 상기 배출캡에서 수직방향으로 승강작동하고 압축스프링에 의해 복귀작동하는 버튼부재와, 상기 배출캡에 조립하는 실린더와, 상기 버튼부재와 축방향으로 조립하여 승강에 의한 펌핑작동으로 상기 화장품용기의 겔상 화장품을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실로 흡입하고 압축에 의해 흡입된 화장품을 배출통로로 배출하는 피스톤부재와, 상기 배출캡에 조립되어 상기 실린더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배출통로와 연통하는 안내통로를 형성하고 하부에 화장품유입구를 관통한 실린더받침으로 구성된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재는 상기 버튼부재에 조립된 결합로드에 조립되는 피스톤로드 및 상기 피스톤로드에 조립되어 상기 결합로드와 피스톤로드 사이에서 승강가능케 조립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로드의 내부에서 승강가능케 조립된 축밸브로 구성하되;
상기 버튼부재의 상승과 동시에 1차로 상기 축밸브가 연계상승으로 상기 실린더받침의 화장품유입구 개방 및 상기 안내통로를 차단하고, 2차로 상승하는 상기 피스톤로드에 조립된 피스톤에 의하여 화장품을 흡입하여 상기 실린더실에 흡입하고,
상기 버튼부재의 하강과 동시에 1차로 상기 축밸브가 연계하강으로 상기 실린더받침의 화장품유입구의 차단 및 상기 안내통로를 개방하고, 2차로 하강하는 상기 피스톤로드에 조립된 피스톤의 압축으로 상기 안내통로 및 배출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개폐노즐로 배출하도록 하여 화장품의 배출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한 것에 특징적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개폐노즐은 상기 버튼부재의 하강(가압)작동에 의해 노즐관의 배출구를 개방하여 배출하고, 버튼부재의 상승(복귀)작동에 의해 배출캡이 흡입된 상태로 있던 화장품의 외부 누출을 자동 차단하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적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상기 개폐노즐은 상기 노즐관의 내부에 조립된 개폐로드를 결합한 상기 버튼부재의 하강에 의해 상기 개폐로드가 버튼부재의 가이드슬롯에 안내되어 강제 후진으로 상기 노즐관의 배출구를 개방하고, 버튼부재의 상승(복귀)에 의해 상기 개폐로드가 버튼부재의 가이드슬롯에 안내되어 강제 전진으로 노즐관의 배출구를 차단하여 사용 후에 배출캡의 배출통로 및 노즐관에 차있는 화장품의 공기접촉 및 외부 누출을 방지하여 휴대보관의 안전성 및 변질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적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용기는 화장품용기 내에 충전된 겔상의 화장품의 사용에 따른 버튼부재의 승강작동에 연계하여 축밸브와 피스톤의 단계별 작동에 의한 실린더와 실린더받침 사이에 형성된 안내통로의 1차적인 개폐와 동시에 2차적으로 피스톤에 의한 승강작동으로 화장품 흡입과 배출을 제공함으로 화장품의 배출에 오작동이 없이 정밀하여 제품성을 극대화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 후 휴대보관에 따른 배출캡의 내부에 흡입된 화장품의 누출이 차단된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여 휴대기능의 핸드백, 가방으로 유출이 없어 오염이 방지되고, 공기접촉의 차단에 의한 화장품의 변질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 핵심요지는 축밸브와 분리되어 유동가능케 축결합한 피스톤의 작동이 버튼부재의 상승(화장품 흡입작동) 시에 1차적으로 상기 축밸브가 실린더와 실린더받침 사이에 형성된 안내통로를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받침의 화장품유입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축밸브의 연속상승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2차적으로 상승하면서 화장품을 흡입하여 실린더에 흡입하고,
버튼부재의 하강(화장품 배출작동) 시에 1차적으로 상기 축밸브가 실린더와 실린더받침 사이에 형성된 안내통로를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받침의 화장품유입구를 차단한 상태에서 축밸브의 연속하강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2차적으로 하강하면서 실린더실의 화장품을 압축하여 배출하도록 함으로서, 화장품 배출의 정밀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특정할 수 있다.
또한, 화장품의 배출에 따른 버튼부재의 승강작동과 연계하여 개폐노즐의 노 즐관의 개폐작동이 동시에 제공됨으로써 사용 후의 화장품이 노즐관을 통해 흘러나오는 것의 차단 및 공기에 의한 접촉차단으로 화장품의 변질방지, 스프링 사용의 배제와 장기간 사용에도 개폐노즐 개폐작동의 정밀 지속성이 제공되는 것으로 특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대해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단순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속함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참조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구성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용기는 겔상의 화장품이 수용되는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배출캡(200)과, 상기 배출캡의 배출통로(225)와 연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조립된 개폐노즐(280)과, 상기 배출캡(200)의 일측에서 승강자재로 조립되고 상기 개폐노즐(280)을 개폐작동하 는 버튼부재(300)와, 상기 버튼부재에 조립된 피스톤로드(400) 및 상기 피스톤로드에 결합하는 피스톤(500)의 피스톤부재(450), 상기 피스톤로드(400)에 마찰이동가능케 축 결합하는 축밸브(600)와, 상기 피스톤(500)과 축밸브(600)를 실린더실(710)에 수용한 상태로 조립된 실린더(700) 및, 상기 실린더 하부에 결합하는 실린더받침(800)의 구성요소로 크게 구분된다.
도 5는 발명 구성부재의 반 단면 분해사시도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8은 화장품의 실린더실 내의 흡입 전 초기상태 또는 버튼부재의 하강 후 복귀(상승)에 의한 실린더실 내에 화장품이 흡입된 상태도로서,
상기 용기본체(100)는 밑바닥에 진공피스톤(15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진공피스톤은 용기 내부에 충전된 겔상의 화장품을 상기 버튼부재(300)의 압축(하강) 및 압축해제(상승)에 의한 펌핑 작동시에 상기 실린더(700)의 실린더실(710)에 흡입되는 화장품 량에 대응하여 내부용적이 감소하도록 상승하고, 이러한 진공피스톤(150)의 구조 및 작동은 에어리스 타입의 화장품용기에서는 잘 알려진 기술임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여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구성부재인 배출캡과 버튼부재의 단면 분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배출캡(200)은 외부캡(210)의 내부에 내부캡(220)이 조립되어 구성된다.
상기 외부캡(210)은 상부에 버튼수용공간(211)과 상기 버튼수용공간에 관통 하여 결합관(212)이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버튼수용공간(211)에는 수평방향으로 노즐조립공(213)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내부캡(220)은 상기 외부캡(210)의 결합관(212)에 이탈방지로 조립되는 하부의 나사관(221)과, 상기 나사관의 일측 상부에 돌출하여 상기 노즐조립공(213)의 내측에 밀착한 상태로 버튼수용공간(211)에 관통 조립되는 지지관(22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나사관(221)은 상기 용기본체(100)의 주입구 나사 조립하는 나사부가 내주면에 성형되고, 중앙 내부에 가로격판(223)에 지지되어 하부 수직방향으로 안내축관(224)이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관(222)은 상기 나사관(221)의 내부와 연통하는 배출통로(225)를 갖는 중공관으로 성형되고, 상기 노즐조립공(213)과 일치된 상태로 상기 버튼수용공간(211)에 관통하는 기밀노즐공(226)이 관통된다.
이때, 상기 기밀노즐공(226)은 후단 내주면에 절곡 돌출된 탄력환(227)이 성형된다.
이러한 배출캡(200)에는 외부캡(210)에 형성된 노즐조립공(213) 및 내부캡(220)에 형성된 기밀노즐공(226)에 상기 개폐노즐(280)이 상기 버튼수용공간(211)에 관통한 상태로 조립된다.
도 9 및 도 10의 평단면도 및 이의 일부발췌 확대도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개폐노즐(280)은 상기 노즐조립공(213)과 기밀노즐공(226)에 조립되는 외부의 노즐관(270)과, 상기 노즐관의 내부에 전, 후진하면서 배출구(271)를 개폐하고 상기 기밀노즐공(226)을 관통하여 버튼수용공간(211)에 돌출 조립된 개폐로드(281)의 구성요소를 갖고 있다.
상기 노즐관(270)은 상기 배출구(271) 측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가이드편(272)이 돌출되어 상기 개폐로드(281)의 전단부 외주면을 지지하여 전, 후진 이동에 따른 유동이 없이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로드(281)는 상기 배출구(271)의 내주면에 밀착하는 전단면에서 일정거리 연장하여 후단부에 외향 탄력구조의 밀착환(282)과 상기 밀착환에서 연장되는 소직경의 연결로드(283)와 상기 연결로드 후단에 연결된 접동환(284)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밀착환(282)은 상기 기밀노즐공(226)의 탄력환(227)의 내주면에 밀착 끼움되어 전 후이동에 따른 버튼수용공간(211)과 배출통로(225)의 기밀이 제공되고, 상기 밀착환(282)과 접동환(284)은 상기 연결로드(283) 측에 대향하여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개폐로드(281)는 상기 노즐관(270)의 배출구(271)에 전단이 밀착 폐쇄된 상태에서 연결로드(283) 및 접동환(284)은 상기 버튼수용공간(211)에 돌출된 상태로 조립된다.
도 6의 단면 분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재(300)는 하부에 돌출된 조립관(301)에 결합로드(310)가 상부홈에 의해 억지끼움으로 조립되고, 도 8의 조립 단면도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로드(310)는 상기 안내축관(224)에 관통 조립하여 버튼수용공간(211)에서 일정거리 축이동으로 상기 버튼부재(300)의 승강작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버튼부재(300)는 상기 결합로드(310)에 끼움되고 상기 버튼부재(300)의 저면과 상기 내부캡(220)의 가로격판(223) 상면에 상,하단이 지지된 압축스프링(350)의 탄발력에 의하여 상승력을 갖되, 상기 결합로드(310)의 하단부에 돌출된 환형단턱(310a)이 상기 안내축관(224)의 하단부와의 걸림으로 상승상태에서 이탈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버튼부재(300)는 일측 주면벽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슬롯(31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슬롯에 상기 개폐로드(281)의 밀착환(282)과 접동환(284) 사이의 연결로드(283)에 끼움된 상태로 조립된다.
도 9 및 도10을 더욱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슬롯(311)이 형성되는 주면벽은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진 내향경사부로 연장된 가이드접동부(312)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재(300)의 상승상태에서 상기 가이드접동부(312)의 내향경사부 내측에 상기 개폐로드(281)의 접동환(284)이 경사면으로 밀착한 상태로 조립된다.
상기 밀착환(282)과 접동환(284)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로드(283)의 거리(폭) 및 직경은 상기 가이드슬롯(311)이 형성된 주면벽의 두께 및 개구간의 폭과 동일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슬롯(311)에 의한 가이드접동부(312)에 안내되어 접동 이동시에 유동이 방지된다.
도 8의 조립단면도 및 도 11의 일부 발췌 확대도에서 보면, 상기 결합로드(310)는 상부의 작은지름 홈과 하부의 큰지름 홈으로 형성된 단차상의 결합축홈(32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축홈의 작은지름 홈에 피스톤로드(400)가 억지끼움으로 조립 고정된다.
이러한 결합로드(310)과 피스톤로드(400) 간의 조립고정은 상호간 내,외주면에 형성된 돌기환 및 돌기홈에 의한 요철 구조로 제공된다.
상기 피스톤부재(450)는 피스톤로드(400)와 상기 피스톤로드에 조립되어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피스톤(500)으로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로드(400)는 하단부 외주면에 플랜지(410)가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가이드축홈(420)이 관통된 중공관이며, 상기 가이드축홈의 내주면에는 마찰돌기환(420a)이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피스톤로드(400)에는 상기 피스톤(500)이 축방향으로 이동(승강) 가능케 조립되되, 상기 플랜지(410)에 의하여 하부이탈이 방지되어 조립되고, 상기 배출캡(200)을 구성하는 내부캡(220)의 안내축관(224)의 하단부에 걸림되어 상부이동이 제한된 상태로 조립된다(도 12 참조).
상기 피스톤(500)은 내측링(510)과 외측링(520)의 내, 외주면 중앙부분에 성형된 연결살(530)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외측링(520)의 외주면은 상, 하단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승강 작동시에 상기 실린더(700)의 실린더실(710) 내주면에 밀착력을 높이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피스톤(500)은 상기 결합로드(310)의 하단과 상기 피스톤로드(400)의 하부 플랜지(410) 사이에서 일정거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으로 조립된다.
즉, 상기 피스톤(500)은 외측링(520)의 상단부가 상기 안내축관(224)의 하단부에 걸림되어 상승이 제한됨은 물론 내측링(510)의 상단부는 상기 결합로드(310)의 큰지름홈인 결합축홈(320) 내주면과 피스톤로드(4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끼움상태로 조립되어 상기 버튼부재(300)의 하강에 의해 연계작동하는 상기 결합로드(310)의 하단부가 상기 내,외측링(510,520)을 연결한 연결살(530)의 상부에 맞닿기 전까지는 하강이 억제된다.
이렇게 피스톤(500)이 일정거리의 축방향 이동거리를 갖는 것은 후술되는 축밸브(600)가 실린더(700)의 실린더실(710) 하부와 실린더받침(80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통로(225)에 안내하는 안내통로(a)의 입구부분 개폐작동이 선행된 후에 상기 피스톤(500)의 하강에 의한 화장품의 압축배출 및 상승에 의한 화장품의 흡입작동을 구현하기 위함이다.
도 13의 발췌 확대도를 더욱 참조하면, 상기 축밸브(600)는 상기 피스톤로드(400)의 가이드축홈(420)에 결합하는 가이드축(610)과, 상기 가이드축의 하부에 차단링부(620)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축밸브(600)는 도 12의 확대도에서 보여주듯이, 상기 피스톤로드(400)의 가이드축홈(420)의 내주면에 돌출된 마찰돌기환(420a)과 가이드축(610)의 외주면이 접촉되어 마찰이동으로 승강가능케 조립된다.
상기 차단링부(620)는 내측개폐돌기(620a)와 외측개폐링(620b)이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내측개폐돌기(620a)에서 연장된 방사상의 연결리브(620c)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연결리브(620c) 간의 개구를 통해 겔상의 화장품이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측개폐링(620b)의 외주면에는 멈춤돌기(620d)가 돌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700)는 상단 외주면에 상부플랜지(74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플랜지는 상기 배출캡(200)의 배출통로(225)에 연통하는 연결배출공(750)이 다수개 관통되며, 하단에 내부단턱(731)으로 연장되어 단차상으로 연장되어 흡출구(730)를 형성한 작은지름의 단차관(720)이 구성된다.
상기 단차관(720)은 내주면에 단턱(720a)이 형성되고 방사상으로 일정간격의 개구홈(721)이 형성된 요철관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실린더(700)는 상기 내부캡(220)의 안내축관(224)에 상기 실린더실(710)의 상단부가 억지끼움으로 조립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흡출구(730) 내주면에는 상기 축밸브(600)의 외측개폐링(620b)이 밀착된 상태에서 일정거리 상승케 조립된다.
이때, 상기 축밸브(600)는 상승 시에 상기 외측개폐링(620b)의 멈춤돌기(620d)가 상기 단턱(720a)에 걸림되어 상승이 억제됨과 동시에 상기 외측개폐링(620b)이 상기 개구홈(721)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고, 하강시에는 상기 개구홈(721)이 개방되고 상기 피스톤로드(400)의 플랜지(410) 하단부가 상기 실린더(700)의 단차관(720)의 내부단턱(731)에 맞닿기 전까지 상기 피스톤(500)의 하강 압축으로 상기 실린더실(710) 내에 흡입된 화장품을 상기 개구홈(721)을 통해 배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상기 축밸브(600)는 상기 실린더(700)와 후술되는 실린더받침(800)의 내부실(810)과의 사이에 형성된 안내통로(a)를 승강에 의해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받침(800)은 상기 내부실(810)의 상부에 상기 실린더(700)의 상부플랜지(740)을 수용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700)의 외주면과 일정간격 이격하여 상기 안내통로(a)를 형성한 상태로 상기 내부캡(220)의 나사관(221) 내주면에 조립되는 결합플랜지(820)와,
상기 내부실(810)의 하부에 연장하여 상기 실린더(700)의 단차관(720) 외주면에 밀착 조립되어 상기 안내통로(a)의 간격을 지지하고 상기 축밸브(600)의 차단링부(620), 즉 외측개폐링(620b)의 하단부의 내, 외주면을 밀착 수용하여 일정거리 승강가능한 안내환홈(831a)을 형성하여 내향으로 절곡된 절곡환(831) 및 상기 절곡환의 단부에서 내주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측개폐돌기(620a)의 하강에 의해 하단부와 밀착하여 화장품유입구(850)을 개폐하는 개폐시트(832)를 일체로 돌출 형성한 단차받침관(83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축밸브(600)는 상기 외측개폐링(620b)이 상기 실린더(700)의 단차관(720)의 내주면에 상단부가 밀착상태로 끼움되고, 하단부가 상기 실린더받침(800)의 절곡환(831) 사이에 형성된 안내환홈(831a)에 끼움된 상태로 조립되어 일정거리를 승강가능케 조립되어 상기 실린더(700)와 실린더받침(800) 사이에 형성된 안내통로(a)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개폐돌기(620a)는 상기 단차받침관(830)의 절곡환(831)의 개폐시트(832)에 승강에 의해 개폐하여 상기 화장품유입구(850)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받침(800)은 결합플랜지(820)의 하부 외주면에 끼움된 패킹(P)에 의해 내부캡(220)의 나사관(221)이 상기 용기본체(100)의 주입구 나사부에 나사조임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100)의 주입구는 외부와 기밀되고 상기 배출캡(200)의 내부와 연통된 상태에서 조립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1과 같이 버튼부재가 최대 상승된 초기상태 또는 내부에 화장품이 흡입된 상태에서 버튼부재(300)의 가압에 의한 하강 후 압축스프링(350)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버튼부재(300)의 결합로드(310)에 조립 고정된 피스톤부재(450)를 구성하는 피스톤로드(400)가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피스톤로드(400)의 상승작동에 의해 상기 피스톤로드와 마찰이동 가능케 축결합된 축밸브(600)이 1차로 상승하여 하단의 차단링부(620)가 상기 실린더(700)와 실린더받침(800) 사이에 형성된 안내통로(a)를 차단함과 동시에 실린더받침의 화장품유입구(850)를 개방한다.
이러한 작동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피스톤부재(450)를 구성하는 상기피스톤로드(400)는 상기 버튼부재(300)의 탄력지지하는 압축스프링(350)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여 자유롭게 이동가능케 결합된 피스톤(500)의 하부면에 플랜지(410)의 상부면이 맞닿는 상태로 상승하면서 가이드축홈(420)에 끼움된 축밸브(600)의 가이드축(610)을 마찰돌기환(420a)의 마찰접촉력에 의해 상승시키게 된다.
다시 말하여, 이러한 축밸브(600)의 1차 상승에 의해 상기 안내통로(a)를 차단링부(620)의 외측개폐링(620b)이 상승하여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받침(800)의 개폐시트(832)에 접촉하여 화장품유입구(850)를 차단하고 있던 내측개폐돌기(620a)가 동시에 상승하면서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개폐링(620b)의 외측에 단턱구조로 돌출된 멈춤돌기(620d)가 실린더(700)의 하부에 형성된 단차관(720)의 단턱(720a)에 걸림되어 상승이 차단되어 상기 외측개폐링(620b)의 상부가 실린더(700)의 흡출구(730)에 삽입 상승됨으로서 상기 단차관(720)에 형성된 방사상의 개구홈(721)이 차단되어 상기 안내통로(a)는 차단된다.(도 13 참조).
이러한 동작과 연계하여 상기 버튼부재(300)의 연속상승으로 상기 피스톤로드(400)가 2차로 상기 피스톤(500)을 강제적으로 끌고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피스톤(500)의 상승에 의해 실린더(700)의 실린더실(710)의 내주벽을 밀착 이동하면서 흡입작동(석션: suction)으로 화장품(C)을 실린더받침(800)의 화장품유입구(850)→ 축밸브(600)를 구성하는 상기 차단링부(620)의 내측개폐돌기(620a)와 외측개폐링(620b)을 연결하는 연결리브(620c) 사이의 개구→ 실린더(700)의 흡출구(730)를 통해 실린더실(710)에 일정량의 화장품을 흡입하여 충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캡(200)의 배출통로(225)와 연통상태로 연결된 개폐노즐(280)은 차단된 상태로 있게 된다.
즉, 상기 버튼부재(300)의 상승과 연계하여 상기 개폐노즐(280)은 강제적으로 차단된다.
상기 개폐노즐(280)은 후단부의 밀착환(282)과 접동환(284) 사이의 연결로드(283)에 상기 버튼부재(300)의 가이드슬롯(311)이 끼움 된 상태에서 상기 접동환(284)의 전면에 형성된 경사면이 상기 가이드슬롯(311)의 주면벽에 형성된 가이드접동부(312)의 내향경사부 내측에 밀착된 상태, 즉 상기 개폐로드(281)의 전단이 노즐관(270)의 배출구(271)를 막는 상태의 최대 전진상태로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버튼부재(300)의 가압에 의해 실린더(700)의 실린더실(710) 내에 흡입된 화장품을 배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버튼부재(300)의 초기 하강에 의해 1차로 축밸브(600)가 하강하여 실린더받침(800)의 화장품유입구(850)를 차단한 상태를 보여준다.
상기 버튼부재(300)의 하강에 의해 먼저 결합로드(310)의 결합축홈(320)에 조립 고정된 피스톤로드(400)가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로드(400)의 가이드축홈(420)에 돌출된 마찰돌기환(420a) 의 마찰력으로 1차로 축밸브(600)가 하강하게 된다.
도 16을 더욱 참조하면, 이러한 축밸브(600)의 1차 하강에 의해 상기 실린더(700)과 실린더받침(800) 사이에 형성된 안내통로(a)를 차단링부(620)의 외측개폐링(620b)이 실린더받침(800)의안내환홈(831a)에 하강하여 단차관(720)의 개구홈(721)을 개방함과 동시에 내측개폐돌기(620a)가 상기 실린더받침(800)의 개폐시트(832)에 밀착 접촉하여 화장품유입구(850)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버튼부재(300)에 조립된 결합로드(310) 하단부의 환형단턱(310a)은 상기 피스톤로드(400)에 이동가능케 조립된 피스톤(500)의 내측링(510)과 외측링(520) 사이의 연결살(530)의 상부면에 접촉한 상태로 있게 되고 (도 15 참조),
또한,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버튼부재(300)의 가이드슬롯(311)에 끼움된 개폐로드(281)의 접동환(284)을 가이드접동부(312)의 내향경사부가 하강하면서 후진하면서 개폐노즐(280)의 노즐관(270) 배출구(271)이 개방한다.
즉, 상기 버튼부재(300)의 하강과 연계하여 상기 개폐노즐(280)의 개폐로드(281)가 가이드슬롯(311)을 따라 가이드접동부(312)의 내향경사부로 연장된 상부수직부 내측에 접동환(284)이 위치되는 상태로 후진하여 상기 노즐관(270)의 배출구(271)를 개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버튼부재(300)를 최대 하강하게 되면, 2차로 피스톤(500)이 하강하면서 실린더(700)의 실린더실(710)에 흡입 충전된 화장품(C)을 개폐노즐(280)을 통하여 배출하게 된다.
도 19는 상기 버튼부재(300)가 최대 하강에 의해 2차로 피스톤(500)이 최대하강하여 실린더실(710) 내의 화장품(C)을 압축하여 개폐노즐(280)을 통한 배출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0은 발췌확대도로서,
상기 버튼부재(300)의 연속하강으로 상기 피스톤로드(400)의 플랜지(410) 하단부가 상기 실린더(700)의 단차관(720)의 내부단턱(731)에 맞닿기 전까지 2차로 상기 피스톤(500)을 강제적으로 가압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피스톤(500)의 하강에 의해 상기 실린더(700)의 실린더실(710)의 내주벽을 밀착 이동하면서 압축작동으로 화장품(C)을 흡출구(730)→ 단차관(720)의 개구홈(721)→ 안내통로(a)→ 연결배출공(750)→ 배출캡(200)의 배출통로(225)→ 개폐노즐(280)의 노즐관(270)의 배출구(271) 통하여 일정량의 화장품(C)을 통하여 배출하게 된다.
상기 구성과 작동례에 의한 본 발명의 핵심은 초기작동시에 버튼부재(300)의 가압(하강) 및 상승(복귀)에 의한 화장품(C)의 흡입 및 배출작동이 피스톤부재(450)를 구성하는 피스톤로드(400) 및 피스톤(500)과, 상기 피스톤로드(400)에 승강가능한 축밸브(600)의 순간적인 단계별 작동에 의한 정밀작동으로 오동작이 없도록 제공함은 물론, 개폐노즐(280)의 개폐를 연계작동으로 구성함으로서 사용 후에 화장품의 유출이 없도록 하여 휴대보관에 따른 보관수단의 오염방지 및 노즐관(270)의 내부에 충전된 화장품(C)과 공기접촉 차단으로 변질이 없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도 1은 종래의 에어리스 타입의 화장품용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에어리스 타입의 화장품용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구성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구성부재의 반 단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구성부재인 배출캡과 버튼부재의 단면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구성부재인 피스톤 및 피스톤로드, 축밸브, 실린더와 실린더받침의 반단면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조립상태 단면도로서, 화장품의 실린더실 내의 흡입 전 초기상태 또는 버튼부재의 하강 후 복귀(상승)에 의한 실린더실 내에 화장품이 흡입된 상태이다.
도 9는 도 8의 IV-IV선 방향에서 본 평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일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일부발췌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F"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G"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버튼부재가 중간 하강에 의해 1차로 축밸브가 하강하여 실린더받침의 화장품유입구를 차단한 상태의 단계를 보여주는 작동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H"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I"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V-V선 방향에서 본 평면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일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버튼부재가 최대 하강에 의해 2차로 피스톤이 최대 하강하여 실린더실 내의 화장품을 압축하여 개폐노즐을 통한 배출상태의 단계를 보여주는 작동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의 "J"부 발췌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용기본체 200: 배출캡
210: 외부캡 220: 내부캡
224: 안내축관 225: 배출통로
280: 개폐노즐 300: 버튼부재
311: 가이드슬롯 312: 가이드접동부
400: 피스톤로드 410: 플랜지
500: 피스톤 600: 축밸브
610: 가이드축 620: 차단링부
700: 실린더 710: 실린더실
800: 실린더받침 810: 내부실
820: 결합플랜지 830: 단차받침관

Claims (12)

  1. 화장품용기(100)에 나사 조립되고, 개폐노즐(280)이 조립되는 배출통로(225)를 형성한 배출캡(200)과, 상기 배출캡에서 수직방향으로 승강작동하고 압축스프링(350)에 의해 복귀작동하는 버튼부재(300)와, 상기 배출캡(200)에 조립하는 실린더(700)와, 상기 버튼부재(300)와 축방향으로 조립하여 승강에 의한 펌핑작동으로 상기 화장품용기(100)의 겔상 화장품(C)을 상기 실린더(700)의 실린더실(710)로 흡입하고 압축에 의해 흡입된 화장품을 배출통로(225)로 배출하는 피스톤부재(450)와, 상기 배출캡(200)에 조립되어 상기 실린더(700)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배출통로(225)와 연통하는 안내통로(a)를 형성하고 하부에 화장품유입구(850)를 관통한 실린더받침(800)으로 구성된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캡(200)은 외부캡(210)의 내부에 내부캡(220)이 조립되어 구성되되, 상기 외부캡(210)은 상부에 버튼수용공간(211)과 상기 버튼수용공간에 관통하여 결합관(212)이 하부로 돌출됨과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노즐조립공(213)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내부캡(220)은 상기 결합관(212)에 조립되는 하부의 나사관(221)과, 상기 나사관의 일측 상부에 돌출하여 상기 노즐조립공(213)의 내측에 밀착한 상태로 버튼수용공간(211)에 관통 조립되고 상기 나사관(221)의 내부와 연통하는 배출통로(225)를 갖는 중공관이며 상기 노즐조립공(213)과 일치된 상태로 상기 버튼수용공간(211)에 관통하는 기밀노즐공(226)이 관통된 지지관(222) 및, 중 앙 내부에 가로격판(223)에 지지되어 하부 수직방향으로 안내축관(224)이 돌출 구성되고,
    상기 개폐노즐(280)은 상기 노즐조립공(213) 및 기밀노즐공(226)에 조립되어 상기 버튼수용공간(211)에 관통 상태로 조립 구성되며,
    상기 피스톤부재(450)는 상기 버튼부재(300)에 조립된 결합로드(310)에 조립되는 피스톤로드(400), 및 상기 피스톤로드에 조립되어 상기 결합로드(310)와, 피스톤로드(400) 사이에서 승강가능케 조립된 피스톤(500)으로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로드(400)에는 내부에서 승강가능케 조립된 가이드축(610)과, 상기 가이드축의 하부에 상기 안내통로(a)를 개폐하는 차단링부(620)가 일체 형성된 축밸브(600)로 구성되되,
    상기 버튼부재(300)의 상승과 동시에 1차로 상기 축밸브(600)가 연계상승으로 상기 실린더받침(800)의 화장품유입구(850) 개방 및 상기 안내통로(a)를 상기 차단링부(620)가 차단하고, 2차로 상승하는 상기 피스톤로드(400)에 조립된 피스톤(500)에 의하여 화장품(C)을 흡입하여 상기 실린더실(710)에 흡입하고,
    상기 버튼부재(300)의 하강과 동시에 1차로 상기 축밸브(600)가 연계하강으로 상기 차단링부(620)에 의해 상기 실린더받침(800)의 화장품유입구(850)의 차단 및 상기 안내통로(a)를 개방하고, 2차로 하강하는 상기 피스톤로드(400)에 조립된 피스톤(500)의 압축으로 상기 안내통로(a) 및 배출통로(225)를 경유하여 상기 개폐노즐(280)로 배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400)는 하단부 외주면에 플랜지(410)가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가이드축홈(420)이 관통된 중공관이며, 상기 가이드축홈(420)의 내주면에는 마찰돌기환(420a)이 돌출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500)은 상기 플랜지(410)와 상기 내부캡(220)의 안내축관(224)의 하단부에 걸림되어 상, 하부 이동이 제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500)은 내측링(510)과 외측링(520)의 내, 외주면 중앙부분에 성형된 연결살(530)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외측링(520)의 외주면은 상, 하단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승강 작동시에 상기 실린더(700)의 실린더실(710) 내주면에 밀착력을 높이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축관(224)에 관통 결합된 결합로드(310)의 하단과 상기 피스톤로드(400)의 하부 플랜지(410) 사이에서 일정거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케 조립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500)은 상기 외측링(520)의 상단부가 상기 안내축관(224)의 하단부에 걸림되어 상승이 제한됨은 물론 상기 버튼부재(300)의 하강에 의해 연계작동하는 상기 결합로드(310)의 하단부가 상기 내,외측링(510,520)을 연결한 연결살(530)의 상부에 맞닿기 전까지는 하강이 억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밸브(600)의 차단링부(620)는 내측개폐돌기(620a)와 외측개폐링(620b)이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내측개폐돌기(620a)에서 연결된 방사상의 연결리브(620c) 간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개폐링(620b)의 외주면에는 멈춤돌기(620d)가 돌출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700)는 상기 내부캡(220)의 안내축관(224)에 실린더실(710)의 상단부가 억지끼움으로 조립 고정되고, 상단부는 상기 배출캡(200)의 배출통로(225)에 연통하는 연결배출공(750)이 다수개 관통된 상부플랜지(740)가 형성되며, 하단부는 내부단턱(731)으로 연장되어 단차상으로 연장되어 흡출구(730)를 형성하고 하단 내주면에 단턱(720a)을 갖고 방사상으로 개구홈(721)이 형성된 요철관의 작은지름의 단차관(720)이 형성되되,
    상기 흡출구(730) 내주면에는 상기 축밸브(600)의 외측개폐링(620b)이 밀착된 상태에서 일정거리 상승케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축밸브(600)는 상기 외측개폐링(620b)의 멈춤돌기(620d)가 상기 단턱(720a)에 걸림되어 상승이 억제됨과 동시에 상기 외측개폐링(620b)이 상기 개구홈(721)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고, 하강시에 상기 외측개폐링(620b)이 상기 개구홈(721)을 개방하고 상기 피스톤로드(400)의 플랜지(410) 하단부가 상기 실린더(700)의 단차관(720)의 내부단턱(731)에 맞닿기 전까지 상기 피스톤(500)의 하강 압축으로 상기 실린더실(710) 내에 흡입된 화장품을 상기 개구홈(721)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용기.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받침(800)은 내부실(810)의 상부에 상기 실린더(700)의 상부플랜지(740)을 수용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700)의 외주면과 일정간격 이격하여 상기 안내통로(a)를 형성한 상태로 상기 내부캡(220)의 나사관(221) 내주면에 조립되는 결합플랜지(820)와,
    상기 내부실(810)의 하부에 연장하여 상기 실린더(700)의 단차관(720) 외주면에 밀착 조립되어 상기 안내통로(a)의 간격을 지지하고 상기 축밸브(600)의 외측개폐링(620b)의 하단부의 내, 외주면을 밀착 수용하여 일정거리 승강가능한 안내환홈(831a)을 형성하여 내향으로 절곡된 절곡환(831) 및 상기 절곡환의 단부에서 내주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축밸브(600)의 내측개폐돌기(620a)의 하강에 의해 하단부와 밀착하여 화장품유입구(850)을 개폐하는 개폐시트(832)를 일체로 돌출 형성한 단차받침관(830)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축밸브(600)는 외측개폐링(620b)이 상기 실린더(700)의 단차관(720)의 내주면에 상단부가 밀착상태로 끼움됨과 동시에 하단부가 상기 실린더받침(800)의 절곡환(831) 사이에 형성된 안내환홈(831a)에 끼움된 상태로 조립되어 일정거리를 승강가능케 조립되어 상기 실린더(700)와 실린더받침(800) 사이에 형성된 안내통로(a)를 개폐하고, 상기 내측개폐돌기(620a)는 상기 단차받침관(830)의 절곡환(831)의 개폐시트(832)에 승강하여 상기 화장품유입구(850)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노즐공(226)은 후단 내주면에 절곡 돌출된 탄력환(227)이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노즐(280)은 상기 외부캡(210)의 노즐조립공(213)과 상기 내부캡(220)의 기밀노즐공(226)에 조립되는 외부의 노즐관(270)과, 상기 노즐관의 내부에 전, 후진하면서 배출구(271)를 개폐하고 상기 기밀노즐공(226)을 관통하여 상기 외부캡(210)의 버튼수용공간(211)에 돌출 조립된 개폐로드(281)로 구성되되,
    상기 개폐로드(281)는 상기 배출구(271)의 내주면에 밀착하는 전단면에서 일정거리 연장하여 후단부에 외향 탄력구조의 밀착환(282)과 상기 밀착환에서 연장되는 소직경의 연결로드(283)와 상기 연결로드 후단에 연결된 접동환(284)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로드(283) 및 접동환(284)이 상기 버튼수용공간(211)에 돌출된 상태로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로드(281)의 밀착환(282)은 상기 기밀노즐공(226)의 후단 내주면에 절곡 돌출된 탄력환(227)의 내주면에 밀착 끼움되어 전, 후이동에 따른 상기 외부캡(210)의 버튼수용공간(211)과 상기 내부캡(220)의 배출통로(225)의 기밀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300)는 상기 결합로드(310)의 하단에 돌출된 환형단턱(310a)에 의해 상기 안내축관(224)의 하단부와의 걸림으로 상부 이탈이 억제되고, 일측 주면벽에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진 내향경사부로 연장된 가이드접동부(312)가 형성된 가이드슬롯(311)에 상기 개폐노즐(280)의 노즐관(270)에 수용된 개폐로드(281)의 연결로드(283)에 끼움된 상태로 조립되며,
    상기 버튼부재(300)의 하강 및 상승에 따라서 상기 개폐로드(281)의 후단부에 형성된 밀착환(282)와 접동환(284)이 상기 가이드접동부(312)에 밀착된 상태로 전, 후진하여 상기 노즐관(270)의 배출구(271)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용기.
KR1020090093129A 2009-09-30 2009-09-30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KR101138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129A KR101138983B1 (ko) 2009-09-30 2009-09-30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129A KR101138983B1 (ko) 2009-09-30 2009-09-30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414A KR20110035414A (ko) 2011-04-06
KR101138983B1 true KR101138983B1 (ko) 2012-04-25

Family

ID=44043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3129A KR101138983B1 (ko) 2009-09-30 2009-09-30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9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295U (ko) * 2014-02-24 2015-09-03 (주)아모레퍼시픽 고무링이 삽입된 스크류 타입 에어리스 펌프 용기
KR102021064B1 (ko) * 2019-01-22 2019-09-11 박정애 복수의 토출부를 구비한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173B1 (ko) * 2013-03-18 2014-11-03 양경옥 약제 디스펜서
KR101571292B1 (ko) * 2014-06-09 2015-12-04 (주)연우 노즐고정형 펌핑식 화장품용기
CN108853667B (zh) * 2018-07-28 2023-10-13 苏州三剑医疗科技有限公司 易携带顶针式微型供氧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285Y1 (ko) 2005-04-02 2005-06-17 주식회사 태평양 고압가스로 피스톤을 밀어주는 화장품 용기
KR200430516Y1 (ko) 2006-08-18 2006-11-13 신왕철 화장액 분출용 에어리스 튜브
KR200430507Y1 (ko) 2006-08-18 2006-11-13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화장액 분출용 에어리스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285Y1 (ko) 2005-04-02 2005-06-17 주식회사 태평양 고압가스로 피스톤을 밀어주는 화장품 용기
KR200430516Y1 (ko) 2006-08-18 2006-11-13 신왕철 화장액 분출용 에어리스 튜브
KR200430507Y1 (ko) 2006-08-18 2006-11-13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화장액 분출용 에어리스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295U (ko) * 2014-02-24 2015-09-03 (주)아모레퍼시픽 고무링이 삽입된 스크류 타입 에어리스 펌프 용기
KR200485890Y1 (ko) 2014-02-24 2018-03-09 (주)아모레퍼시픽 고무링이 삽입된 스크류 타입 에어리스 펌프 용기
KR102021064B1 (ko) * 2019-01-22 2019-09-11 박정애 복수의 토출부를 구비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414A (ko)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2990A2 (en) Airless type cosmetic container
JP4216899B2 (ja) ノズルヘッド下降型真空密閉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容器
JP6145854B2 (ja) クリームタイプ化粧品容器
JP3679977B2 (ja) トリガー作動ポンプ式噴霧器およびその排出弁アセンブリー
KR101487191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631827B1 (ko) 펌프 타입 컴팩트 용기
JP5303195B2 (ja) 改良されたプライミングを有する、液体製品を投与するポンプ
KR101138983B1 (ko)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KR100999932B1 (ko) 유체 펌핑디스펜서
EP0145155B1 (en) Dispenser for a flowable product
EP2641521A2 (en) Adaptive preload pump
US6371337B2 (en) Dispensing member having an outlet valve formed by a differential piston
JPS6251150B2 (ko)
US4231493A (en) Lever pump with button actuator
KR100935907B1 (ko)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JPS6013666A (ja) 分配ポンプ
KR102017318B1 (ko) 디스펜서 펌프
KR20120004976U (ko) 액체용기용 펌핑디스펜서
KR100935909B1 (ko)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KR101387591B1 (ko) 단일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화장품 용기
KR101036269B1 (ko) 측면배출통로를 갖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KR200466221Y1 (ko) 화장품용기
JP2004516398A (ja) 手動で作動するポンプアセンブリ
KR102517074B1 (ko) 에어리스 펌프형 화장품 용기
KR20200052204A (ko) 방수 기능을 가진 액체용기용 펌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