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6317A - 아치형 단순교 - Google Patents

아치형 단순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6317A
KR20100116317A KR1020090034954A KR20090034954A KR20100116317A KR 20100116317 A KR20100116317 A KR 20100116317A KR 1020090034954 A KR1020090034954 A KR 1020090034954A KR 20090034954 A KR20090034954 A KR 20090034954A KR 20100116317 A KR20100116317 A KR 20100116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simple bridge
bridge
present
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성원기술개발(주)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원기술개발(주),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filed Critical 성원기술개발(주)
Priority to KR1020090034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6317A/ko
Publication of KR20100116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3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4/00Arch-type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대와 거더로 구성되는 단순교에 있어서, 상기 거더의 상면 또는 하면 및 상, 하면에 만곡면이 형성됨으로써, 시종점부의 토공을 적게 하며, 교좌부의 높이 40㎝의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지점부에 작용하는 최대 전단력에 따라 결정되는 가장 경제적인 단면으로 원형의 미려한 경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아치형 단순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 단순교는 교대와 거더로 구성되는 단순교에 있어서, 상기 거더의 상면은 만곡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하면은 평활면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90034954
아치형 단순교, 만곡면

Description

아치형 단순교{Arch simple bridge}
본 발명은 아치형 단순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거더의 상면 또는 하면, 상, 하면에 만곡면을 형성한 아치형 단순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순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의 교대(10) 상에 거더(20)의 양단이 지지하는 교량으로서, 이와 같은 단순교(B)는 부모멘트의 발생없이 중앙부에서 최대 정모멘트가 발생하며 지점부에 최대 전단력이 발생되는 구조계를 이룬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단순교(B)는 구조역학적으로 거더(20)의 형상은 이론적으로 모멘트의 형상과 일치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거더(20)의 상면과 하면이 공히 평활면을 형성함으로써, 하천이나 도로 횡단교량의 경우 단순교(B)와 도로의 종단이 일치되지 않아서, 불필요하게 시종점부의 토공을 많이 해야 하는 경제적인 문제점이 발생되고, 또한, 거더(20)의 지점부 형상이 불필요하게 확대되어 있으므로 단순교(B) 시공에 필요 이상의 공사비가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교대와 거더로 구성되는 단순교에 있어서, 상기 거더의 상면 또는 하면 및 상, 하면에 만곡면이 형성됨으로써, 시종점부의 토공을 적게 하며, 교좌부의 높이 40㎝의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지점부에 작용하는 최대 전단력에 따라 결정되는 가장 경제적인 단면으로 원형의 미려한 경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아치형 단순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 단순교는 교대와 거더로 구성되는 단순교에 있어서, 상기 거더의 상면은 만곡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하면은 평활면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 단순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하천이나 도로 횡단교량의 경우 반원형 교량과 도로의 종단이 일치됨으로써, 시종점부의 토공을 적게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직선형 단순교와는 달리 아치형 만곡형을 형성함으로써 교좌부의 높이 40㎝의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거더의 지점부 형상은 불필요한 확대없이 지점부에 작용하는 최대 전단력에 따라 결정되는 경제적인 단면으로 거더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만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가장 경제적인 단면으로 원형의 미려한 경관을 형성하며, 복부에 원형의 개구부를 설치하는 등 여러가지 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 단순교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 단순교(C)는 교대(10)와 거더(20)로 구성되는 단순교(B)에 있어서, 상기 거더(20)의 상면(22)은 만곡면(24b)을 갖도록 형성되고, 하면(26)은 평활면(28a)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 단순교(C)는 대부분의 직선형 단순교가 교대(10) 상에 설치되는 단순보로서, 부모멘트의 발생없이 중앙부에서 최대 정모멘트가 발생하며, 지점부에는 최대 전단력이 발생되는 구조계를 이룬다.
따라서, 단순교의 거더형상은 이론적으로 모멘트의 형상과 일치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 단순교(C)의 거더(10)의 상면을 만곡면으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하천이나 도로의 횡단 교량의 경우에는 시종점부의 토공을 적게 하기 위하여 아치형 단순교(C)와 도로의 종단이 일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거더(20)의 하면(26)의 양단부에는 일정한 형상으로 절취되는 절취부(30)가 형성된다.
즉, 상기 거더(20)의 지점부 형상은 불필요한 확대없이 지점에 작용하는 최대 전단력에 따라 결정되는 경제적인 단면을 형성하기 위해 절취부(30)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동일지간 대비 형고를 가진 교량에 비해 상기 절취부에 교좌장치를 높게 설치하여 홍수시 교량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더(20)의 복부(31)에는 일정한 형상을 갖는 개구부(32)가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32)의 주연부를 따라 보강재(34)가 고정 설치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한 개구부(32)는 바람의 이동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미려한 경관을 연출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개구부(32)의 외주면의 형상에 따라 보강재(34)를 설치하여 개구부(32)의 파손을 방지토록 한다.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 단순교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 단순교는 교대(10)와 거더(20)로 구성되는 단순교(B)에 있어서, 상기 거더(20)의 상면(22)은 평활면(24a)을 갖도록 형성되고, 하면(26)은 만곡면(28b)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거더(20)의 복부(31)에는 일정한 형상을 갖는 개구부(32)가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32)의 주연부를 따라 보강재(34)가 고정 설치된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 단순교(C)는 종래의 직선형 단순교와 거더(20)의 하면(26)을 만곡면(28b)을 형성함으로써, 교대(10)의 교좌부의 높이를 대략 40㎝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 단순교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 단순교는 교대(10)와 거더(20)로 구성되는 단순교(B)에 있어서, 상기 거더(20)의 상면(22)은 만곡면(24b)을 갖도록 형성되고, 하면(26)은 만곡면(28b)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거더(20)의 복부(31)에는 일정한 형상을 갖는 개구부(32)가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32)의 주연부를 따라 보강재(34)가 고정 설치된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 단순교(C)는 거더(20)의 상면(22)과 하면(26)이 모두 만곡면(24b, 28b)을 형성함으로써, 가장 경제적인 단면으로 원형의 미려한 경관을 형성하며, 복부(31)에 원형의 개구부(32)를 형성하는 등 여러가지 형상을 연출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단순교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 단순교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 단순교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 단순교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교대 20: 거더
22: 상면 24a: 평활면
24b: 만곡면 26: 하면
28a: 평활면 28b: 만곡면
30: 절취부 32: 개구부
34: 보강재
B: 단순교 C: 아치형 단순교

Claims (10)

  1. 교대(10)와 거더(20)로 구성되는 단순교(B)에 있어서,
    상기 거더(20)의 상면(22)은 만곡면(24b)을 갖도록 형성되고, 하면(26)은 평활면(28a)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형 단순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20)의 하면(26)의 양단부에는 일정한 형상으로 절취되는 절취부(3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형 단순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20)의 복부(31)에는 일정한 형상을 갖는 개구부(32)가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형 단순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32)에는 그 주연부를 따라 보강재(34)가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형 단순교.
  5. 교대(10)와 거더(20)로 구성되는 단순교(B)에 있어서,
    상기 거더(20)의 상면(22)은 평활면(24a)을 갖도록 형성되고, 하면(26)은 만 곡면(28b)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형 단순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20)의 복부(31)에는 일정한 형상을 갖는 개구부(32)가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형 단순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32)에는 그 주연부를 따라 보강재(34)가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형 단순교.
  8. 교대(10)와 거더(20)로 구성되는 단순교(B)에 있어서,
    상기 거더(20)의 상면(22)은 만곡면(24b)을 갖도록 형성되고, 하면(26)은 만곡면(28b)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형 단순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20)의 복부(31)에는 일정한 형상을 갖는 개구부(32)가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형 단순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32)에는 그 주연부를 따라 보강재(34)가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 로 하는 아치형 단순교.
KR1020090034954A 2009-04-22 2009-04-22 아치형 단순교 KR201001163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954A KR20100116317A (ko) 2009-04-22 2009-04-22 아치형 단순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954A KR20100116317A (ko) 2009-04-22 2009-04-22 아치형 단순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317A true KR20100116317A (ko) 2010-11-01

Family

ID=43403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954A KR20100116317A (ko) 2009-04-22 2009-04-22 아치형 단순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63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035B1 (ko) * 2016-05-11 2016-08-12 (주)신흥이앤지 대칭구조의 복합 거더
KR101678503B1 (ko) * 2016-09-22 2016-12-06 (주)신흥이앤지 금속관의 현수 구조로 이루어지는 교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035B1 (ko) * 2016-05-11 2016-08-12 (주)신흥이앤지 대칭구조의 복합 거더
KR101678503B1 (ko) * 2016-09-22 2016-12-06 (주)신흥이앤지 금속관의 현수 구조로 이루어지는 교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47412B1 (en) Seamless geotextile web with cellular structure for soil stabilization
KR20100116317A (ko) 아치형 단순교
MX345985B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el anclaje de una instalación de energía eólica.
EP3375938A1 (en) Seamless geotextile web with cellular structure for soil stabilization, and blank for producing same
KR101460595B1 (ko) 고정 정착장치를 이용한 피에스(p.s) 거더의 제작방법
CN110804959B (zh) 一种梁拱协同的石拱桥加固减载方法
KR101712140B1 (ko) 거더 구조물
KR101709209B1 (ko) 돌출형 케이블과 트러스구조로 변단면 구조를 보강하여 강성을 증대시킨 저형고 pc콘크리트빔 구조
KR101656318B1 (ko) 변단면 복합 트러스 거더교
KR20120031642A (ko) 어복형 외부 긴장 콘크리트 보
KR100561195B1 (ko) 복부에 보강리브가 부착된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JP2012167512A (ja) 補強材、構造物の補強構造及び構造物の補強方法
KR101659784B1 (ko) 해상풍력발전 콘크리트 기초구조물
JP2007315136A (ja) 既存杭と新設杭とを用いた基礎構造
JP2008144452A (ja) 既設建築物の耐震補強構造
KR101085760B1 (ko) 격자지보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JP2015197017A (ja) 継手構造、構造体
JP2011099201A (ja) 既設鉄筋コンクリート橋脚耐震補強構造
JP2017066714A (ja) スラブの鉄骨梁支持部補強構造
KR101618200B1 (ko) 가설지주와 인장재를 이용한 거더교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거더교
KR101085674B1 (ko) 격자지보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CN206554376U (zh) 型钢混凝土梁拉筋结构
KR101605010B1 (ko) 강성보강 거더
KR101311023B1 (ko) 복부 트러스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KR20090131443A (ko) 슬래브와 거더가 일체화된 강합성 교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921

Effective date: 2012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