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5828A -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가 설치된 전자동 리모콘 빨래건조대 - Google Patents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가 설치된 전자동 리모콘 빨래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5828A
KR20100115828A KR1020090034418A KR20090034418A KR20100115828A KR 20100115828 A KR20100115828 A KR 20100115828A KR 1020090034418 A KR1020090034418 A KR 1020090034418A KR 20090034418 A KR20090034418 A KR 20090034418A KR 20100115828 A KR20100115828 A KR 20100115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remote control
lower case
mosquito
laun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5897B1 (ko
Inventor
박술목
Original Assignee
박술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술목 filed Critical 박술목
Priority to KR1020090034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897B1/ko
Publication of KR20100115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06F57/125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for attachment to, or close to, the cei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0Collapsible han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천장에 부착되어 리모콘에 의해 건조봉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전자동 리모콘 빨래 건조대에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가 설치하여 모기의 서식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면서도다량의 음이온을 발생하여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가 설치된 전자동 리모콘 빨래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가 설치된 전자동 리모콘 빨래건조대는 천장에 부착되어 리모콘에 의해 건조봉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전자동 리모콘 빨래 건조대로서, 상기 전자동 리모콘 빨래 건조대에는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빨래건조대, 음이온발생램프, 모기퇴치용램프, 건조대, 송풍구

Description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가 설치된 전자동 리모콘 빨래건조대{Electronic automatic clothing drying apparatus with lamp to generate the nagative ion and lamp to repelling mosquito}
본 발명은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천장에 부착되어 리모콘에 의해 건조봉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전자동 리모콘 빨래 건조대에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가 설치하여 모기의 서식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면서도다량의 음이온을 발생하여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가 설치된 전자동 리모콘 빨래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모기는 여름철에만 출현하여 인간에게 피해를 입혔지만,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와 실내온도의 상승으로 인하여 겨울철에도 아파트등의 실내에서 모기가 자주 발견되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러한 모기는 아파트의 엘리베이트를 타고 올라오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최근 연구에 의하면 이러한 모기들의 대부분은 아파트 실내에서 서식하는 것으로서, 특히 수분이 많고 불결한 베란다나 세탁실은 모기가 서식하기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고, 이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모기가 아파트 실내에 출현하 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모기의 유충을 없애기 위해서 모기약을 뿌려도 모기약은 일시적으로 모기를 퇴치할 수 있는 효과는 있지만, 유충을 원천적으로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며, 아울러 모기약에 포함된 화학성분은 인체에 또 다른 유해요소가 되었다.
한편 겨울에는 외부온도가 낮은 관계로 아파트의 실내는 환기를 제대로 하지 않아서 실내의 공기는 각종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이 되기 쉽다. 특히 도심의 아파트에는 양이온이 많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양이온의 과다 존재는 인체에 나쁜 영향을 끼친다. 문제는 이러한 나쁜 공기는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빨래 건조대에 널려있는 수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빨래에 쉽게 포섭되고, 빨래에 포섭된 유해성분들은 피부를 자극하는 요소가 되었다. 특히 아이들의 옷에 남게되는 유해성분은 피부가 약한 아이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서 아토피, 알르레기, 호흡기질환 등을 발생시키고 있다.
지구 온난화와 실내온도의 상승으로 인하여 겨울철에도 모기가 아파트의 실내에서 발견되는데, 이러한 모기들은 대부분 습한 베란다 또는 세탁실에 번식하게 된다. 따라서 베란다 또는 세탁실에서 모기를 퇴치할 수 있다면 실내에 모기를 상당부분 없앨 수 있다.
한편 겨울철에는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실내공기가 오염이 되고, 이러한 오염된 실내공기와 세제로부터 기인한 유해성분들은 빨래에 부착되어서 피부가 약한 아이들에게 영향을 미쳐 아토피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빨래가 건조되는 장소에는 모기를 퇴치할 수 있는 수단과 음이온을 발생시켜서 공기를 정화하면서 오염물질을 어느정도는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이 설치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천장에 부착되어 리모콘에 의해 건조봉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전자동 리모콘 빨래 건조대에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가 설치하여 모기의 서식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면서도 다량의 음이온을 발생하여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가 설치된 전자동 리모콘 빨래건조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가 설치된 전자동 리모콘 빨래건조대는 천장에 부착되어 리모콘에 의해 건조봉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전자동 리모콘 빨래 건조대로서, 상기 전자동 리모콘 빨래 건조대에는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전자동 리모콘 빨래 건조대는 천장에 부착되며 리모콘에 의해 작동하는 모터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는 박스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양단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절첩간; 상기 개개의 절첩간의 하부에 연결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지지틀; 상기 지지틀 사이를 연결하며 빨래가 걸리는 건조봉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는 상기 본체에 상기 건조봉을 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음이온 발생램프는 램프소켓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베이스가 형성된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와 결합하고 상측으로 메탈섬유홈이 형성되어 있는 램프덮개; 하단은 상기 하부케이스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단은 LED 램프를 포함하는 회로부; 하단은 상기 하부케이스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램프덮개에 형성된 메탈섬유홈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메탈섬유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모기퇴치용 램프는 램프소켓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베이스가 형성된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타측으로 돌출된 진공관; 상기 하부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관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향을 발생시키는 방향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방향 카트리지는 상기 진공관과 인접하도록 일단이 결합수단을 통해 상기 하부케이스의 타측면에 설치되며 타단은 개방되어 내부에 방향원액이 채워지는 리필통, 상기 리필통의 개방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방향 원액을 흡수하면서 휘산시키는 소정두께의 다공질 흡수고무와, 상기 다공질 흡수고무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리필통의 개방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미세홀이 천공된 패킹고무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방향원액은 초피나무 또는 산초나무로 부터 제조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송풍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송풍기의 바람을 상기 건조봉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는 송풍구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빨래 건조대는 전자동 리모콘에 의해 작동되므로, 많은 노동력이 소모되는 빨래의 건조과정에서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빨래건조대는 모기퇴치램프를 가지고 있으므로, 별도의 부가적인 장치가 없이 모기의 주요 서식지에서의 모기가 살 수 없게 만드므로, 실내에서의 모기를 가장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다. 또한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램프의 열을 이용하여 방향원액을 휘산시키므로 별도의 에너지의 손실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빨래 건조대는 음이온 발생램프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숲속에서 많이 발견되고 도심에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음이온을 방출하여 공기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빨래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베란다에는 통상적으로 화분을 많이 키우는데, 본 발명에 의한 빨래건조대를 베란다에 설치하게 되면 다량의 음이온이 방출되고, 이로 인하여 식물의 성장이 촉진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송풍구를 통한 바람을 이용하여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에서 발생한 음이온과 모기향을 옷감에 깊숙이 침투시켜서 옷을 삶은 듯한 효과를 나타내고, 옷감의 올을 활성화시킨다. 나아가 음이온과 모기향이 베다란등의 내부에 골고루 퍼져서 그 효과를 전체적으로 넓게 퍼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빨래건조대는 천장에 부착되어 리모콘에 의해 건조봉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전자동 리모콘 빨래 건조대에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를 설치하여, 모기퇴치용 램프에 의해 따뜻하고 불결한 수분이 많은 아파트의 세탁실에서 모기의 서식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면서도 음이온 발생 램프에 의해 다량의 음이온을 발생시키면서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빨래 건조대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본 발명에서의 빨래 건조대는 편리성을 고려하여 리모콘에 의해 건조봉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전자동 리모콘 빨래 건조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동 빨래 건조대의 개략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자동 리모콘 빨래 건조대(10)의 일실시예는 본체(11), 절첩간(12), 지지틀(14), 건조봉(15), 리모콘(18)을 포함하고 있다.
본체(11)는 천장에 부착되는 박스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내부에는 절첩간(12)을 전자동으로 늘리고 줄이는데 사용하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하고 있다. 모터는 리모콘(18)에 의해 작동하게 된다.
절첩간(12)은 본체(11)의 양단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2개가 설치된다. 절첩간(12)은 자바라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모터에 의해 그 길이가 조절된다. 절첩간은 필요에 따라서는 2개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
지지틀(14)은 절첩간(12)의 하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지지틀(14)에는 건조봉(15)이 연결된다. 따라서 지지틀(14)은 건조봉(15)과 절첩간(12)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건조봉(15)은 2개의 지지틀(14) 사이에 연결된 부분으로서 실제로 빨래가 이 부분에 걸치게 된다. 건조봉(15)은 필요에 따라서 측면으로 연장된 보조 건조봉을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
리모콘(18)은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여 절첩간(12)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동 리모콘 빨래 건조대는 빨래 건조대에 음이온 발생 램 프와 모기퇴치용 램프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음이온 발생 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음이온 발생 램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이온 발생 램프(100)는 하부케이스(110), 램프덮개(120), 회로부(130), 메탈섬유(140)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케이스(110)는 하측으로 램프소켓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인 베이스(114)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으로 전원공급부(113)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
측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4각형상의 열방출홈(111)과 결합홈(112)을 형성한다.
또한, 램프덮개(120)는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결합홈(112)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단 내측으로 결합부(121)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측으로 메탈섬유홈(122)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케이스(110)와 램프덮개(120)의 결합은 일반적인 결합방법인 나사결합 또는 끼워맞춤 등으로 할 수 있으나, 간편한 결합과 분리를 위하여 끼워 맞춤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아울러, 회로부(130)는 상기 하부케이스(110)와 램프덮개(120) 사이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하측이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내측에 형성된 전원공급부(113)와 연결되어 지며, 상측으로 무드형의 빛과 열을 발생시키는 LED램프(131)를 구성한다.
그리고, 메탈섬유(140)는 하단부가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내측에 형성된 전원공 급부(113)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음이온발생회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단부가 음이온을 방출하도록 상기 램프덮개(120)에 형성된 메탈섬유홈(122)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메탈 섬유(140)는 은나노로 코팅되어 있으며,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램프덮개(120) 내측에 형성된 부분은 피복 처리되어 있다
전원이 인가되면 하부케이스(110)의 내측에 형성된 전원공급부(113)로 부터 음이온발생회로가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음이온발생회로와 연결되어 램프덮개(120)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메탈섬유(140)에서 다량의 음이온이 방사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전원공급부(113)로부터 회로부(130)가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회로부(130)의 상측에 형성된 LED램프(131)가 빛과 함께 열을 발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LED램프(130)에서 빛과 열이 지속적으로 발산되어 열기에 의해 기체분자운동이 활발해 지면, 상기 하부케이스(110)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열방출홈(111)을 통하여 열기가 방출되어 상기 메탈섬유(140)에서 방사되는 음이온을 실내로 확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실내로 확산되는 음이온은 산소분자(O2)와 반응하여 음이온 산소분자(O2-)가 되고, 음이온 산소분자(O2 -)로 만들어지면, 주변의 물분자들이 들러붙어 클러스터 음이온(O2 -(H2O)n)을 형성하여 넓은 범위에서 실내공기를 청정화하게 된다.
다음으로 모기퇴치용 램프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기퇴치용 램프는 램프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방향 카트리지의 모기퇴치성분을 휘산시킨다. 도 4는 모기퇴치용 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러한 작동을 위하여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모기퇴치용 램프는 케이스(210), 진공관(220), 방향카트리지(230)를 포함하고 있다.
케이스(210)는 외부전원과 연계된 소켓에 결합하기 위해 하측에 체결수단인 베이스(211)가 마련되며 상부가 개방된 하부케이스(212)와, 이 하부케이스(212)의 개방부를 덮도록 마련되며 진공관(220)이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다수개의 관통홀(214)이 천공된 상부커버(213)로 구별된다.
그리고 진공관(220)들의 단부는 케이스(210)에 내장된 안정기(미도시)와 연계되면서 밀폐되게 설치되며, 이들은 상부커버(213)의 관통홀(214)을 통해 케이스(210)의 타측에 돌출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U형상으로 벤딩된 3개의 진공관(220)들이 관통홀(214)을 관통하여 삼각형태를 유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방향 카트리지(230)는 진공관(220)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향을 발산시키기 위한 것으로, 진공관(220)들과 인접하도록 이들 사이 공간에 배치되며 내부에 방향 원액이 채워지는 리필통(231)과, 이 리필통(231)의 개방부를 순차적으로 막도록 결합되는 다공질 흡수고무(232), 패킹고무(233), 천연 코르크 마개(234)를 갖추고 있다.
리필통(231)은 일단이 결합수단(240)을 통해 케이스(210)의 타측면에 설치되며, 이의 타단은 개방되어 내부에 방향 원액이 채워지는 합성수지 원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리필통(231)에 채워지는 방향 원액은 상온에서 보다 고온에서 향 휘산율이 월등히 높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에서는 점등 시 진공관(220)의 온도인 90도 정도에서 향이 이상적으로 발산되도록 제조하였다. 결합수단(240)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나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방향원액은 인체에는 전혀 해가 없으면서도 모기퇴치효과를 보이고, 나아가 모기의 서식을 억제하여 유충번식을 막아 주는 효과가 있는 성분을 사용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의 모기퇴치제는 산초나무 또는 초피나무로부터 얻은 것을 사용한다.
산초나무는 운향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높이가 3-4m에 달하고 줄기와 가지에 낙엽이 변해 가시가 되어 불규칙하게 나있고 잎은 13-21개 정도의 잔잎으로 이루어진 겹잎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잎에서 특유의 향기가나고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형태의 돌기가 10개쯤 있다. 산초는 잎이나 열매 줄기를 깨물어서 조금 있다가 쏘는 맛이 없는 것이 특징이며 산초열매의 껍질을 천초라고도 한다. 향신료로는 덜 익은 파란열매를 따서 쓰기도 하지만 약용은 열매가 익어 갈라질 무렵에 채취한다. 건위 정장 구충해독작용이 있으므로 소화불량, 식체, 위하수, 위확장, 구토, 이질, 설사, 기침해소, 회충구재 등에 쓰인다.
초피나무는 지방에 따라 다소 부르는 명칭이 다르게 불러지기도 한다. 조피 나무(이북), 제피나무(경상도), 젠피나무(전라도), 지피나무, 남추나무, 진초나무 등이라고도 불리우나 이는 지방방언에 차일뿐 초피나무가 정확한 학명이다. 초피나무는 기름을 짜는용이 아니라 특유의 향과 톡 쏘는 맛이 있기 때문에 향신료나 음식첨가재, 양념으로 사용한다. 초피나무의 매운 성분과 향기는 사람한테는 거의 독성이 없지만 모기, 파리, 같은 곤충이나 생선 돼지 오리 같은 동물에게는 독성이 매우 강한편이다. 초피나무에는 강력한 항균 물질이 들어 있어 작은 곤충이나 유충 들을 박멸을 시키는데 높은 효과가 있다. 즉 유해세균이나 미세 박테리아살균에도 상당한 효과가 있다.
초피나무로부터 모기퇴치제 방향 원액을 제조하는 방법을 간단히 설명한다. 초피나무 열매가 초록빛에서 10월 정도면 연붉은 색을 띠면서 씨를 감싸고 있는 껍질이 검게 익는다. 이때 채취하여 그늘진 곳에다 자연 건조를 시키면 껍질과 열매가 분리된다. 이때 껍질만 추려서 추출기에 넣고 물과 산초열매를 1-1의 비율로 잠기게 한다음 120-125도의 온도로 상승시켜 7시간 끓인후 유압기에 짜서 모기퇴치제 방향 원액을 제조한다. 제조된 모기퇴치제 방향원액의 일정양을 카드러지에 주입을 시킨다. 마찬가지 과정으로 산초나무로부터 모기퇴치제를 제조한다.
다공질 흡수고무(232)는 리필통(231)의 개방부에 끼워져 방향 원액을 흡수하면서 휘산시키는 것으로, 이것은 실리콘 고무와 촉진제 및 발포제 등이 혼합된 혼합원료를 발포시킨 후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절단하여 이루어 진 것이다.
즉, 다공질 흡수고무(232)는 혼합원료 전체 중량에 대해 대체로 실리콘 고무 40 ~ 55%, 촉진제 5 ~ 10%, 발포제 15 ~ 25%, 지당 5 ~ 10%, 오일 1 ~ 2.5% 등을 혼합한 후 이를 발포시켜 제조한 것으로, 다공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다공질 흡수고무(232)를 리필통(231)의 개방단부에 끼워 설치하면, 방향 원액이 흘러 새는 것은 방지하되 방향 원액을 흡수하면서 서서히 휘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패킹고무(233)는 리필통(231)의 개방단부를 이중으로 막는 것으로, 이의 중앙부에는 0.05 ~ 1mm 직경을 갖는 미세홀(233a)이 상하로 연통되게 천공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다공질 흡수고무(232)에서 휘산되는 향은 패킹고무(233)의 미세홀(233a)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러한 미세홀(233a)은 방향 원액의 종류 및 휘산 정도에 따라 직경 및 개수를 다양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리필통(231)의 개방단부에는 패킹고무(233) 외측에 배치되도록 천연 코르크 마개(234)가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 이 코르크 마개(234)는 천연 코르크(cork)를 원형 마개 형태로 제작한 것으로, 자체 특성 상 향을 머금고 있으면서 서서히 휘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방향 원액이 채워진 리필통(231)의 개방단부에 다공질 흡수고무(232)와, 미세홀(233a)이 천공된 패킹고무(233)와, 천연 코르크 마개(234)가 순차적으로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방향 원액이 흘러 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빨래건조대는 상기된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가 본체에 결합하는 결합부에 송풍구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송풍구를 통하여 송풍바람이 나와서 빨래를 빨리 건조시키고, 모기퇴치향과 음이온을 옷의 섬유 깊숙이 침투시켜서 옷감을 삶지 않아도 유해 박테리아를 살균시키고 옷감의 올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에서 음이온 발생램프(100)는 본체(11)에 음이온 발생램프 결합구(110)에 결합되어 있고, 모기퇴치용 램프(200)는 본체(11)에 모기퇴치용 램프 결합구(210)에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음이온 발생램프 결합구(110)와 모기퇴치용 램프 결합구(210)에는 송풍구가 형성되어 있다. 송풍기는 본체(11)내부에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도 있으나, 편의상 본체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송풍구는 도 1과 같이 음이온 발생램프 결합구(110)와 모기퇴치용 램프 결합구(210)에 형성할 수도 있지만, 도 5와 같이 별도의 송풍구(300)를 만들 수 도 있다. 도 5는 별도의 송풍구를 구비한 본 발명에 의한 빨래건조대의 사시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1)에는 음이온 발생 램프(100)와 모기퇴치용 램프(200)이외의 별도의 송풍구(300)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의 음이온 발생 램프, 모기퇴치용 램프 및 송풍기는 별도의 스위치에 의해 온/오프 될 수도 있지만, 편의상 리모콘에 의해 온/오프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 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동 빨래 건조대의 개략도,
도 2는 음이온 발생 램프의 사시도,
도 3은 음이온 발생 램프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모기퇴치용 램프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별도의 송풍구를 구비한 본 발명에 의한 빨래건조대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주요부호의 설명>
10:전자동 리모콘 빨래 건조대
100:음이온발생램프
200:모기퇴치용램프
300:송풍구

Claims (6)

  1. 천장에 부착되어 리모콘에 의해 건조봉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전자동 리모콘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전자동 리모콘 빨래 건조대에는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가 설치된 전자동 리모콘 빨래건조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동 리모콘 빨래 건조대는
    천장에 부착되며 리모콘에 의해 작동하는 모터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는 박스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양단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절첩간;
    상기 개개의 절첩간의 하부에 연결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지지틀;
    상기 지지틀 사이를 연결하며 빨래가 걸리는 건조봉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는 상기 본체에 상기 건조봉을 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가 설치된 전자동 리모콘 빨래건조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발생램프는
    램프소켓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베이스가 형성된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와 결합하고 상측으로 메탈섬유홈이 형성되어 있는 램프덮개;
    하단은 상기 하부케이스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단은 LED 램프를 포함하는 회로부;
    하단은 상기 하부케이스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램프덮개에 형성된 메탈섬유홈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메탈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가 설치된 전자동 리모콘 빨래건조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기퇴치용 램프는
    램프소켓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베이스가 형성된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타측으로 돌출된 진공관;
    상기 하부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관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향을 발생시키는 방향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방향 카트리지는 상기 진공관과 인접하도록 일단이 결합수단을 통해 상기 하부케이스의 타측면에 설치되며 타단은 개방되어 내부에 방향원액이 채워지는 리필통, 상기 리필통의 개방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방향 원액을 흡수하면서 휘산시키는 소정두께의 다공질 흡수고무와, 상기 다공질 흡수고무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리필통의 개방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미세홀이 천공된 패킹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가 설치된 전자동 리모콘 빨래건조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원액은 초피나무 또는 산초나무로부터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가 설치된 전자동 리모콘 빨래건조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송풍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송풍기의 바람을 상기 건조봉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는 송풍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가 설치된 전자동 리모콘 빨래건조대.
KR1020090034418A 2009-04-21 2009-04-21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가 설치된 전자동 리모콘 빨래건조대 KR101055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418A KR101055897B1 (ko) 2009-04-21 2009-04-21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가 설치된 전자동 리모콘 빨래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418A KR101055897B1 (ko) 2009-04-21 2009-04-21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가 설치된 전자동 리모콘 빨래건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828A true KR20100115828A (ko) 2010-10-29
KR101055897B1 KR101055897B1 (ko) 2011-08-10

Family

ID=43134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418A KR101055897B1 (ko) 2009-04-21 2009-04-21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가 설치된 전자동 리모콘 빨래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8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0672A (zh) * 2016-09-13 2017-03-08 九牧智能厨卫(安徽)有限公司 一种具有移动功能的悬挂式晾衣架及其安装方法
CN115540550A (zh) * 2022-10-10 2022-12-30 会昌县鲜良食品有限公司 一种蒸制后米粉高效晾挂结构及其晾挂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55602A (zh) * 2013-05-20 2013-08-21 吴江龙硕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电动遥控升降式多功能阳台晒衣架
CN104302057A (zh) * 2014-10-23 2015-01-21 郑茂 一种遥控驱蚊led灯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325B1 (ko) * 2003-03-27 2005-06-29 (주)우리기술 빨래 건조대
KR200387548Y1 (ko) * 2004-11-15 2005-06-20 장보선 해충퇴치기가 장착된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조명램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0672A (zh) * 2016-09-13 2017-03-08 九牧智能厨卫(安徽)有限公司 一种具有移动功能的悬挂式晾衣架及其安装方法
CN115540550A (zh) * 2022-10-10 2022-12-30 会昌县鲜良食品有限公司 一种蒸制后米粉高效晾挂结构及其晾挂方法
CN115540550B (zh) * 2022-10-10 2024-02-06 会昌县鲜良食品有限公司 一种蒸制后米粉高效晾挂结构及其晾挂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5897B1 (ko)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3923A (en) Indoor humidifier and air purifier
KR101055897B1 (ko)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가 설치된 전자동 리모콘 빨래건조대
KR20150078928A (ko) 복합 기능을 갖는 천연 가습기
KR101414452B1 (ko) 항균 및 탈취 기능을 가진 침대용 매트리스
KR100559084B1 (ko) 식물-토양을 이용한 실내 공기 정화장치
CN208850301U (zh) 一种温室大棚用杀菌灭毒除湿装置及温室大棚
ES2355361T3 (es) Procedimiento de tratamiento antiácaros y antimicrobiano de materiales textiles.
CN204616839U (zh) 一种利用病原真菌防治农业害虫的诱染装置及菌粉喷洒器
CN101530278A (zh) 植物窗帘
KR101327687B1 (ko)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
JP3142142U (ja) 蒸散装置
KR200481418Y1 (ko) 편백나무 옹이를 포함하는 방향제
CN104621192A (zh) 天然植物防螨灭虫散香防除剂
KR101327364B1 (ko) 편백나무칩 가습기
CN201205373Y (zh) 一种高效杀菌、灭蚊装置
KR102163387B1 (ko) 해충 퇴치기
KR101682649B1 (ko) 습식 베이크아웃방식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방법
CN201042904Y (zh) 一种可诱杀昆虫的人造盆景
JP2006095103A (ja) 乾燥樹葉入り枕及び乾燥樹葉入り防虫芳香剤
CN102017937A (zh) 一种喷雾式驱蚊器
CN106676888A (zh) 一种驱蚊虫的面料
JP2005281153A (ja) 高機能多孔質物質
CN101176464A (zh) 配合空调扇使用的空气清新驱蚊剂
CN1535585A (zh) 消毒香
KR20120081705A (ko) 살균, 방충 및 탈취기능이 보강된 공기 정화액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