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687B1 -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 - Google Patents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687B1
KR101327687B1 KR1020110131306A KR20110131306A KR101327687B1 KR 101327687 B1 KR101327687 B1 KR 101327687B1 KR 1020110131306 A KR1020110131306 A KR 1020110131306A KR 20110131306 A KR20110131306 A KR 20110131306A KR 101327687 B1 KR101327687 B1 KR 101327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press
steam
container
extract
humid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4609A (ko
Inventor
최지영
Original Assignee
최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지영 filed Critical 최지영
Priority to KR1020110131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687B1/ko
Publication of KR20130064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10Devices on tubs for 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2033/068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편백나무 추출액을 용기에서 농축시킴과 가습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편백나무 추출증기에 의한 실내 정화, 세균의 증식 억제, 산림욕 효능 및 감기와 같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히터 및 상기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부에는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공간부에 결합하고 상부는 개방되며, 내부에 저장되는 물을 상기 히터로 가열시키는 용기;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하고 상면에 편백나무가 놓이며, 상기 편백나무가 증숙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에서 발생된 증기가 통과하는 구조를 가진 망부재; 및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하고, 상기 편백나무와의 증숙 과정을 거친 편백나무 추출증기의 일부는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단부 중앙에는 증기 배출공이 형성되며, 외부로 배출되지 않은 편백나무 추출증기는 내주면에서 응결되도록 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응결된 편백나무 추출증기는 상기 용기 내로 유입되어 편백나무 추출액이 되고, 상기 증숙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편백나무 추출액이 농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HUMIDIFIERS AND WOOD BATHING APPARATUS USING CHAMAECYPARIS OBTUSA}
본 발명은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편백나무 추출액을 용기에서 농축시킴과 동시에 피톤치드가 함유된 편백나무 추출증기에 의한 가습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편백나무 추출증기에 의한 실내 정화, 세균의 증식 억제, 산림욕 효능 및 감기와 같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는 노송나무라고도 하며, 겉씨식물 구과목 측백나무과의 상록교목으로서, 일본이 원산지이지만 개발을 통해 우리나라 남부 지방에서 조림수종(造林樹種)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으며, 특히 편백나무 특유의 향으로 인해 탈취제, 항균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편백나무에서 탈취 또는 항균 효과를 가지는 성분 중에는 대표적으로 피톤치드(phytoncide)가 있는데, 피톤치드는 수목이 미생물과 각종 균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발산하는 천연의 항균물질로서, 독특한 방향성(芳香性)을 가지며 강력한 공기정화력과 유해물질 중화작용이 있어, 심폐, 혈관, 호흡기 기능강화 및 피부 살균작용 등 여러 가지 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톤치드의 방출량과 함유된 성분은 수목마다 다르고 침엽수는 활엽수에 비해 두 배 이상의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편백나무의 피톤치드 방출량은 타 수목에 비하여 월등할 뿐만 아니라 그 효능도 뛰어난 것으로 학계에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피톤치드를 상품 등에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편백나무 특유의 향으로 인해 편백나무를 이용한 탈취제, 항균제 등의 상품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편백나무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추출액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직접 주거 공간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에서 가습 및 산림욕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에 대해서는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편백나무 추출액을 용기에서 농축시킴과 동시에 피톤치드가 함유된 편백나무 추출증기에 의한 가습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편백나무 추출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양과 응결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아토피 등의 피부질환을 예방하고,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편백나무를 이용한 추출액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편백나무 추출증기에 의한 실내 정화, 세균의 증식 억제, 산림욕 효능 및 감기와 같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편백나무를 이용한 추출액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는 히터 및 상기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부에는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공간부에 결합하고 상부는 개방되며, 내부에 저장되는 물 또는 편백나무 추출액을 상기 히터로 가열시키는 용기;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하고 상면에 편백나무가 놓이며, 상기 편백나무가 증숙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에서 발생된 증기가 통과하는 구조를 가진 망부재; 및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하고, 상기 편백나무와의 증숙 과정을 거친 편백나무 추출증기의 일부는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단부 중앙에는 증기 배출공이 형성되며, 외부로 배출되지 않은 편백나무 추출증기는 내주면에서 응결되도록 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응결된 편백나무 추출증기는 상기 용기 내로 유입되어 편백나무 추출액이 되고, 상기 증숙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편백나무 추출액이 농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의 덮개에는 상기 증기 배출공의 외주면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증기 조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의 용기 및 덮개는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하고, 결합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용기의 상단부가 끼워지도록 상측으로 요입된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상기 덮개의 하단과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의 덮개에는 증기 배출공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고 내부가 관통된 증기방향조절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의 용기 내의 편백나무 추출액은 90~98℃의 온도로 6~10시간 동안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의 용기의 하단부에는 상기 편백나무 추출액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관이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를 이용한 추출액은 상기 장치에 의해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에 의하면, 편백나무 추출액을 용기에서 농축시킴과 동시에 피톤치드가 함유된 편백나무 추출증기에 의한 가습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에 의하면, 편백나무 추출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양과 응결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에 의하면, 아토피와 같은 피부질환을 예방하고,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에 의하면, 편백나무 추출증기에 의한 실내 정화, 세균의 증식 억제, 산림욕 효능 및 감기와 같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의 제5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는 크게 히터(11)를 구비하는 몸체(10), 물을 저장하는 용기(30), 편백나무가 놓이는 망부재(50) 및 덮개(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히터(11) 및 상기 히터(11)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12)를 구비하고, 상부에는 개방된 공간부(13)가 형성되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공간부(13)에 결합하고 상부는 개방되며, 내부에 저장되는 물을 상기 히터(11)로 가열시키는 용기(30); 상기 용기(3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하고 상면에 편백나무가 놓이며, 상기 편백나무가 증숙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에서 발생된 증기가 통과하는 구조를 가진 망부재(50); 및 상기 용기(30)의 상부에 결합하고, 상기 편백나무와의 증숙 과정을 거친 편백나무 추출증기의 일부는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단부 중앙에는 증기 배출공(71)이 형성되며, 외부로 배출되지 않은 편백나무 추출증기는 내주면에서 응결되도록 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덮개(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응결된 편백나무 추출증기는 상기 용기(30) 내로 유입되어 편백나무 추출액이 되고, 상기 증숙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편백나무 추출액이 농축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몸체(10)에는 히터(11) 및 상기 히터(11)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12)를 구비한다. 상기 히터(11)는 상기 공간부(13)에 돌출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용기(30) 내의 유체인 물 내지 편백나무 추출액(E)과 직접 접하는 직접 가열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체와 접하지 않고 유체와 히터(11) 사이에 열 전달 매체를 통해 가열하는 간접 가열 방식에 비해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면을 통해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히터는 평판 형상의 히터로 구성하여, 상기 공간부의 하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몸체(10) 상부에는 상기 용기(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공간부(13)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13)를 이루는 테두리는 상기 용기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몸체(10)에는 전원 공급부, 상기 히터의 가열 시간을 조절하는 타이머, 용기 내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온도와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어부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자명한 사항에 해당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30)는 상기 몸체(10)의 공간부(13)에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용기(30)의 저면은 상기 공간부(13)로 돌출되는 히터(11)의 하면과 공간부(13)를 이루는 몸체(10)의 상면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용기(30)의 저면에서 히터(11)가 관통되는 부분은 실링(sealing) 처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용기(30)의 개방된 상부에는 망부재(50) 또는 덮개(7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용기(30)는 유리, 내열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또는 황토, 게르마늄 등과 같은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망부재(50)는 상기 용기(3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하고 상면에 편백나무가 놓이며, 상기 편백나무가 증숙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30)에서 발생된 증기가 통과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망부재(5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망(51) 및 상기 망(51)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틀(52)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망(51)은 금속 와이어 대신 부직포 또는 섬유 소재를 상기 틀에 끼울 수도 있다.
그리고, 망부재는 편백나무 추출증기 및 편백나무 추출액(E)의 출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면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평판 형상으로 구성되는 등 다양한 형태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망부재(50)의 상면에 놓이는 편백나무는 대략 5 내지 15cm의 크기로 절단된 편백나무 조각(T)을 사용할 수도 있고, 편백나무를 톱밥 또는 대패밥의 형태로 분쇄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편백나무 톱밥 또는 대패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증기의 통과가 비교적 용이한 섬유 또는 부직포 등으로 편백나무 톱밥 또는 대패밥을 담거나, 망부재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덮개(70)는 상기 용기(30) 및 망부재(50)의 상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덮개(70)는 편백나무 추출증기를 배출하도록 상단부 중앙 영역에 증기 배출공(71)이 형성되고, 편백나무 추출증기는 덮개의 내주면에서 물방울 형태로 서로 응결하여 아래로 낙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배출공(71)은 용기의 크기 및 배출되는 증기의 양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70)가 위로 볼록한 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증기 배출공(71)은 덮개(70) 상단면의 중앙 영역에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가 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예시에 불과하므로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덮개(70)에는 상기 증기 배출공(71)의 외주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증기 조절부(7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증기 조절부는 외부로 배출되는 편백나무 추출증기와 내부에서 응결하는 증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차단막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4a와 같이 증기 조절부(72)는 증기 배출공(71)의 외주면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요입되는 홈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도 4b와 같이, 덮개(70)의 상단부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거나 결합 형성되는 막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덮개(70)의 횡단면은 상부로 갈수록 줄어드는 형상이기 때문에, 하부에서 올라오는 편백나무 추출증기는 자연스럽게 덮개의 상부 중앙 영역으로 집중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외부의 압력보다 본 발명의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의 내부의 압력이 높기 때문에, 압력 차에 의해 다량의 편백나무 추출증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쉽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편백나무 추출증기의 배출에 의한 가습 장치와 편백나무 추출액의 제조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기능에 집중되는 것보다는 상기 두 가지 기능을 조화롭게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사용 목적에 따라 배출되는 편백나무 추출증기와 제조되는 편백나무 추출액의 상대적인 양을 적절히 가감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증기 조절부(72)은 돔 형상의 덮개(70)의 경우에 있어서, 과량의 편백나무 추출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편백나무 추출액의 양이 너무 적거나, 그 농축 정도가 너무 묽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30) 및 덮개(70)는 결합부재(40)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합부재(40)는 용기(30), 망부재(50) 및 덮개(70)가 서로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해주고, 내부의 증기가 결합 부분의 틈 사이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결합부재(40)의 하부에는 상기 용기(30)의 상단부가 끼워지도록 상측으로 요입된 결합홈(41)이 형성되고, 결합부재(40)의 상부에는 상기 덮개(70)의 하단과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단턱(42)이 형성되는 것이다.
즉, 결합홈(41)은 용기(30)와의 안정적인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 결합단턱(42)은 망부재(50) 및 덮개(70)가 용기(30)의 상부에 쉽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증기 배출공(71a)은 상기 덮개(70)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70)의 상단면, 구체적으로 증기 조절부(72a)의 중앙 영역에 손잡이(73)를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73)는 탈부착이 가능하게 부착될 수도 있고, 덮개(70)에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덮개(70)에는 상기 증기 배출공(71)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고 내부가 관통된 증기방향조절관(74)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기방향조절관(74)에 의해서 외부로 방출되는 편백나무 추출증기의 분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효율적으로 가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증기방향조절관(74) 하단부가 덮개(70)의 내부 공간으로 소정 길이만큼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한 도 4a 및 도 4b의 증기 조절부와 동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의 제5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기(30)의 하단부에는 상기 편백나무 추출액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관(31)이 삽입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배출관(31)을 설치함으로써, 분리되지 않는 몸체(10)와 용기(30)를 모두 들어서 편백나무 추출액을 꺼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간편하게 편백나무 추출액을 꺼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배출관(31)에는 밸브(32)를 설치하여 원하는 양만큼의 편백나무 추출액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를 이용한 추출액의 용도 및 효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내의 물 또는 편백나무 추출액은 90~98℃의 온도로 6~10시간 동안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음에는 용기 내에 순수한 물을 담게 되는데, 이때 히터에 의해 물이 가열되면서 서서히 증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온도 범위인 90~98℃는 용기 내에서의 편백나무 추출액의 평균 온도를 의미하고, 덮개에서 냉각되어 응결된 증기가 용기 내의 물 또는 편백나무 추출액에 혼합되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그리고 편백나무 추출액의 온도가 90℃ 미만으로 가열되는 경우에는 발생되는 증기의 양이 너무 적어 가습기능은 물론 편백나무 추출액의 농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편백나무 추출액의 온도가 98℃를 초과하여 가열되는 경우에는 에너지 효율이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또한 편백나무 추출액은 90~98℃의 온도에서 적어도 6~10시간 동안 농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6시간 미만으로 농축되는 경우에는 편백나무 추출액의 유효성분인 피톤치드의 추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10시간을 초과하여 가열 농축되는 경우에는 편백나무의 유효 성분이 거의 추출된 상태이므로 더 이상의 증숙 과정은 유효 성분의 추출에 불필요하다. 다만 가습 기능만을 위해서라면 10시간을 초과하여 가열시켜 편백나무 추출증기를 외부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편백나무 추출액 및 편백나무 추출증기에는 피톤치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먼저, 피톤치드(phytoncide)는 그리스어로 "식물"을 의미하는 phyton(식물)과 살균력을 의미하는 cide(살인자)를 합성한 말로서 "식물이 분비하는 살균물"을 의미한다. 모든 식물들은 자신을 방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동물들과 달리 이동할 수 없어 자기 방어를 하는 물질을 만드는데, 이러한 피톤치드는 편백나무, 측백나무 등에서 특히 많이 추출되며 방향성이 있는 항생물질의 총칭을 피톤치드라 하며 테르핀(terpene) 계통의 유기 화합물을 말한다.
최근에 많이 각광받고 있는 산림욕이란 피톤치드가 휘산되어 있는 상태의 대기에 인간이 접하는 것으로서, 피톤치드가 주목받는 이유는 해충, 병균, 곰팡이, 박테리아 등에는 치명적인 제거 역할을 하지만 인간에게는 유익하기 때문이다. 또한, 피톤치드의 효능은 크게 6가지 효능을 갖는데, 스트레스 완화작용, 강한 항균작용, 소취작용 및 유해한 성분의 중화, 진정작용, 알레르기 및 피부 질환 개선 작업, 면역기능 증대 작업 효능을 갖는다.
피톤치드는 특히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을 감소시켜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작용을 가진다. 그리고 피톤치드는 리스테리아균, 포도상구균, 캔디다균, 레지오넬라균에 대한 미생물 억제 능력을 가지고 있어, 항균 및 살균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피톤치드는 신축건물 입주시 두통, 눈과 목의 따가움, 아토피 피부염 및 비염 등 각종 알러지성 질환을 유발하는 포름알데히드와 톨루엔 등 유기화합물을 중화시키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알레르기 및 피부 질환 개선과 관련하여, 피톤치드는 아토피 피부염과 알러지의 원인 중 하나인 집먼지 진드기의 생육을 저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를 실내에서 사용함으로써, 피톤치드 성분을 함유하는 산림욕 효과와 함께 실내 습도 조절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 추출액을 샤워, 목욕시 물과 적정량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피부에 직접 도포함으로써 피부질환을 예방 및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몸체 11 : 히터
12 : 제어부 13 : 공간부
30 : 용기 31 : 배출관
32 : 밸브 40 : 결합부재
41 : 결합홈 42 : 결합단턱
50 : 망부재 51 : 망
52 : 틀 70 : 덮개
71 : 증기 배출공 72 : 증기 조절부
73 : 손잡이 74 : 증기방향조절관
E : 편백나무 추출액
T : 편백나무

Claims (7)

  1. 히터 및 상기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부에는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공간부에 결합하고 상부는 개방되며, 내부에 저장되는 물 또는 편백나무 추출액을 상기 히터로 가열시키는 용기;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하고 상면에 편백나무가 놓이며, 상기 편백나무가 증숙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에서 발생된 증기가 통과하는 구조를 가진 망부재; 및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하고, 상기 편백나무와의 증숙 과정을 거친 편백나무 추출증기의 일부는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단부 중앙에는 증기 배출공이 형성되며, 외부로 배출되지 않은 편백나무 추출증기는 내주면에서 응결되도록 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용기 및 덮개는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결합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용기의 상단부가 끼워지도록 상측으로 요입된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상기 덮개의 하단과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결된 편백나무 추출증기는 상기 용기 내로 유입되어 상기 편백나무 추출액이 되고, 상기 증숙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편백나무 추출액이 농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상기 증기 배출공의 외주면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증기 조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상기 증기 배출공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고 내부가 관통된 증기방향조절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의 물 또는 편백나무 추출액은 90~98℃의 온도로 6~10시간 동안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하단부에는 상기 편백나무 추출액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관이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
KR1020110131306A 2011-12-08 2011-12-08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 KR101327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306A KR101327687B1 (ko) 2011-12-08 2011-12-08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306A KR101327687B1 (ko) 2011-12-08 2011-12-08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609A KR20130064609A (ko) 2013-06-18
KR101327687B1 true KR101327687B1 (ko) 2013-11-08

Family

ID=48861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306A KR101327687B1 (ko) 2011-12-08 2011-12-08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6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668B1 (ko) * 2015-09-22 2016-10-14 이현팔 추출장치
KR20190129413A (ko) 2018-05-11 2019-11-20 김영우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기
KR20220028917A (ko) 2020-08-31 2022-03-08 이현팔 피톤치드 배출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764Y1 (ko) * 2016-06-29 2017-06-21 김종운 커피 찌꺼기를 이용한 커피향 발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249A (ko) * 2002-01-11 2003-07-18 주식회사 옵티라이더 휴대용 훈증안마기
KR100704147B1 (ko) * 2005-06-22 2007-04-06 이바도 살균형 가습기
KR20090109791A (ko) * 2008-04-16 2009-10-21 김종석 응축장치를 갖는 홍삼액 제조기
KR100930317B1 (ko) * 2009-07-30 2009-12-08 주식회사 현진기업 아토피 치료 및 심신안정에 도움이 되는 피톤치드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249A (ko) * 2002-01-11 2003-07-18 주식회사 옵티라이더 휴대용 훈증안마기
KR100704147B1 (ko) * 2005-06-22 2007-04-06 이바도 살균형 가습기
KR20090109791A (ko) * 2008-04-16 2009-10-21 김종석 응축장치를 갖는 홍삼액 제조기
KR100930317B1 (ko) * 2009-07-30 2009-12-08 주식회사 현진기업 아토피 치료 및 심신안정에 도움이 되는 피톤치드 발생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668B1 (ko) * 2015-09-22 2016-10-14 이현팔 추출장치
KR20190129413A (ko) 2018-05-11 2019-11-20 김영우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기
KR20220028917A (ko) 2020-08-31 2022-03-08 이현팔 피톤치드 배출기
KR102421169B1 (ko) * 2020-08-31 2022-07-14 이현팔 피톤치드 배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609A (ko) 201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687B1 (ko) 편백나무를 이용한 가습·산림욕 장치
US20050019269A1 (en) Mold eradication with Thyme solution and other essential oils
CN103430931B (zh) 文物熏蒸消毒方法
CN105309518A (zh) 一种驱蚊香薰精油
US20140246168A1 (en) Functional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functional air conditioning method
CN103004896A (zh) 用于驱蚊虫的中药香囊
KR101536538B1 (ko) 개미산을 이용한 꿀벌응애 구제제 및 구제용기
KR101414452B1 (ko) 항균 및 탈취 기능을 가진 침대용 매트리스
KR100930317B1 (ko) 아토피 치료 및 심신안정에 도움이 되는 피톤치드 발생장치
KR20160004878A (ko) 편백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599717B1 (ko) 친환경 항균 황토모르타르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2995492B (zh) 驱蚊纸巾制造方法
KR101331072B1 (ko) 솔잎과 편백나무 추출 피톤치드의 복합 자연 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KR101327364B1 (ko) 편백나무칩 가습기
KR101055897B1 (ko) 음이온 발생 램프와 모기퇴치용 램프가 설치된 전자동 리모콘 빨래건조대
KR20060011912A (ko) 원적외선방사 편백나무 온열침대
KR101238050B1 (ko) 편백나무입자를 가지는 항균 탈취용 시트주머니
KR100798888B1 (ko) 황토 흙을 이용한 실내장식품 및 그 이용방법
JP2022032601A (ja) C l tパネル板に囲繞された筐体の仮設建築物、及び、その居住性環境の管理を図る空気調和機、並びにその居住性環境の管理システム
KR101208056B1 (ko) 항균성 방향제를 이용한 스팀살균 좌변기 커버
CN106510231A (zh) 一种杀菌鞋柜
KR20110045915A (ko) 살균 및 세정기능이 보강된 탈취액 조성물
RU2737501C1 (ru) Способ дезодорирования
KR200481071Y1 (ko) 산림욕기
KR20120081705A (ko) 살균, 방충 및 탈취기능이 보강된 공기 정화액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