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649B1 - 습식 베이크아웃방식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방법 - Google Patents

습식 베이크아웃방식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649B1
KR101682649B1 KR1020150160852A KR20150160852A KR101682649B1 KR 101682649 B1 KR101682649 B1 KR 101682649B1 KR 1020150160852 A KR1020150160852 A KR 1020150160852A KR 20150160852 A KR20150160852 A KR 20150160852A KR 101682649 B1 KR101682649 B1 KR 101682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oil
hours
main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창직
Original Assignee
나눔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눔협동조합 filed Critical 나눔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50160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F24F11/001
    • F24F11/00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식 베이크아웃방식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시공 공간의 실내습도를 60 ~ 70%로 가습하고 실내온도를 30 ~ 40℃로 높혀 4 ~ 6시간 유지한 후 환기시키는 단계와; (b) 환기된 시공 공간을 폐쇄하고, 연막 소독기를 이용하여 연막 살균살포제를 연막 살포한 후 1 ~ 2 시간 유지시키는 단계와; (c) 초미립자 분사기를 이용하여 공기청정제를 실내공간 내부 및 가구에 분사한 후 1 ~ 2시간 유지시켜 시공완료하는 단계로 구성됨으로써, 시공 공간내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신속하게 방출시켜 제거하고 인체에 유해한 세균을 제독함과 함께 에어테라피를 수행하여 새집증후군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습식 베이크아웃방식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방법 {Method of purifying indoor air using wet Bake-out}
본 발명은 습식 베이크아웃방식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79616호(등록일자: 2007. 11. 20., 발명의 명칭: 베이크아웃 제어방법)는 벽체와 바닥과 천장에 의해 소정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공간을 가열하도록 가동되는 난방부와, 상기 벽체, 상기 바닥, 및 상기 천장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며 상기 공간 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도록 가동되는 환기부를 포함하는 상기 공간에서 베이크아웃(bake-out)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벽체, 상기 바닥, 및 상기 천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표면온도를 센싱하여 표면온도 측정값을 생성하고, 상기 환기부의 가동여부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표면온도 측정값을 미리 설정된 상한치 및 하한치와 비교하여, 상기 표면온도 측정값이 상기 하한치에서 상기 상한치 사이에 있을 경우 상기 환기부가 가동되면 상기 난방부를 정지시키고, 상기 환기부가 정지되면 상기 난방부를 가동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난방부를 가동 또는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베이크아웃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베이크아웃 수행시 자재의 화학물질 배출량을 증가시키고 화학물질이 자재에 재흡착하는 것을 방지하고, 실내 공간에 설치된 기존의 복사난방패널을 활용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겨울철에 베이크아웃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열기이 유출되어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접착제에 포함된 포름알데이드에 대한 저감효과가 미비한 근원적인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습도를 50 ~ 70%로 가습한 상태에서 실내온도를 30 ~ 40℃로 습식 베이크아웃한 후 연막살포 및 에어테라피를 수행하는 습식 베이크아웃방식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a) 시공 공간의 실내습도를 60 ~ 70%로 가습하고 실내온도를 30 ~ 40℃로 높혀 4 ~ 6시간 유지한 후 환기시키는 단계와; (b) 환기된 시공 공간을 폐쇄하고, 연막 소독기를 이용하여 연막 살균살포제를 연막 살포한 후 1 ~ 2 시간 유지시키는 단계와; (c) 초미립자 분사기를 이용하여 공기청정제를 실내공간 내부 및 가구에 분사한 후 1 ~ 2시간 유지시켜 시공완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공기청정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과초산 0.1 ~ 0.3 중량부, 송침유 1.5 ~ 4 중량부 중량부 및 에탄올 3 ~ 5 중량부를 함유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베이크아웃방식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a)단계 이전에, 상기 시공 공간의 외부 문을 잠근 상태에서 모든 가구의 문을 개방하고 서랍을 분리한 다음, 미립자 분사기를 이용하여 실내습도를 40 ~ 55%로 가습한 후 1 ~ 2시간 유지하는 (d)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연막 살균살포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액상 살균살포제 0.3 ~ 0.5 중량부 및 피톤치드 추출액 0.3 ~ 0.5 중량부를 함유하여 조성되어지되, 상기 액상 살균살포제는 식용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데카메트린 또는 싸이퍼메트린 1.5 ~ 5 중량부가 함유되어 조성되고, 상기 식용 오일은 콩기름 또는 카놀라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연막 살균살포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액상 살균살포제 0.3 ~ 0.5 중량부, 피톤치드 추출액 0.3 ~ 0.5 중량부 및 상기 공기청정제 0.7 ~ 2.0 중량부를 함유하여 조성되어지되, 상기 액상 살균살포제는 식용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데카메트린 또는 싸이퍼메트린 1.5 ~ 5 중량부가 함유되어 조성되고, 상기 식용 오일은 콩기름 또는 카놀라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공기청정제는 귤피 발효액 5 ~ 10 중량부 및 은행잎 추출액 1 ~ 2.0 중량부를 더 함유하되, 상기 귤피 발효액은, (1) 귤피(귤껍질) 100kg을 깨끗히 수세한 한 후, 30 ~ 50℃에서 8 ~ 14 시간 동안 건조하여 수분 함량이 3% 미만이 되도록 하고, (2) 건조된 귤피를 밀폐용기에 충전한 후 정제수 20kg, 식용 식초 2 ~ 3kg 및 설탕 10 ~ 13kg을 첨가하여 밀폐한 다음, 25 ~ 33℃에서 5 ~ 7일간 숙성 보관하고, (3) 밀폐용기를 개방하여 내용물을 여과한 후 식용 식초, 특히 감식초 5 ~ 10kg을 추가하여 -5 ~ 2℃에서 30 ~ 45일 저온 보관하여 제조되고, 상기 은행잎 혼합 추출액은, (가) 은행잎 200kg을 세정수로 1 ~ 3회 세척한 후, 그늘진 곳에서 건조하고, (나) 건조된 은행잎을 세단한 후, 15 ~ 23kg/cm2의 압력으로 압착하고, (다) 은행잎 압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알코올 85 ~ 145 중량부를 첨가한 후 밀폐 상태에서 30 ~ 33℃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8 ~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라) 개방 상태에서 40 ~ 45℃ 온도로 가열하여 에틸알코올을 배기시킨 다음, 은행잎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호호바 오일 1 ~ 2.3 중량부, 페퍼민트 오일 2 ~ 3.5 중량부, 일랑일랑 오일 3 ~ 3.3 중량부 및 천일염 5 ~ 7 중량부를 첨가한 후 4 ~ 8시간 교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시공 공간내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신속하게 방출시켜 제거하고 인체에 유해한 세균을 제독함과 함께 에어테라피를 수행하여 새집증후군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계단희석 감수성 검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습식 베이크아웃 방식을 통한 실내공기 정화방법은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거쳐 수행된다.
(a) 전처리
시공 공간인 주택, 사무실 또는 건물의 외부 문을 잠근 상태에서 모든 가구의 문을 개방하고 서랍을 분리한다. 그런 다음, 미립자 분사기를 이용하여 실내습도를 40 ~ 55%로 가습한 다음 1 ~ 2시간 유지한다.
(b) 습식 베이크아웃
가습된 시공 공간의 실내습도를 60 ~ 70%로 가습하고 실내온도를 30 ~ 40℃로 높혀 4 ~ 6시간 유지한 후 환기시킨다.
베이크아웃이란 실내온도를 인위적으로 30 ~ 40℃까지 가온하여 가구, 벽지 등에 잔존하는 화학물질의 방출을 가속화시킨 후 환기시켜 새집증후군을 야기하는 화학물질을 단기간에 배출하도록 실시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습식 베이크아웃은 실내습도를 60 ~ 70%로 가습하고 실내온도 30 ~ 40℃로 높혀 유해물질을 포함하는 화학물질이 방출되면 창문과 모든 출입구를 열어 환기함으로써 시공 공간 내에 충전된 화학물질을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습식 베이크아웃은 건조 상태의 오염원으로부터 가습을 통해 오염원 표면을 화학물질의 방출이 용이하도록 유연화시켜 초기 휘발성 화학물질 성분을 건식 베이크아웃 대비 20 ~30% 정도 더 효과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 연막살포 및 살균처리
환기된 시공 공간을 다시 폐쇄하고, 연막 소독기를 이용하여 연막 살균살포제를 연막 살포한 후 1 ~ 2 시간 유지시킨다.
본 실시예의 연막살포는 씽크대 밑, 건물구조물의 틈새, 가구 부착면, 기타 인체에 부해한 부유세균의 서식 가능성이 높은 곳에 용재의 연막살균 및 도포로 유해물질을 중화하고 유해세균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러한 연막살포에 사용되는 용재는 통상적인 경유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 시공시 질식, 호흡곤란 등을 유발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d) 에어테라피 시공
초미립자 분사기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제를 실내공간 내부 및 가구에 분사시공한 후 1 ~ 2시간 유지시켜 완료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에어테라피는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목적이며, 과초산과 솔잎에서 추출한 송침유를 함유하는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제를 활용한다.
과초산은 단 몇 방울만으로도 다양한 종류의 세균을 박멸하는 탁월한 유해세균제거 및 환경호르몬 등의 유기화합물을 분해 중화하는 효능이 입증되었다. 그리고 송침유는 솔잎을 증류하여 추출한 피톤치드 천연원액으로서 인공으로 합성한 화학향과는 차별화된 것으로, 오염된 실내공기를 숲속에서 살림욕하는 것과 같이 인체에 유익하고 편안한 실내환경을 구현한다.
1. 공기청정제 제조
실시예 1)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과초산 0.1 ~ 0.3 중량부, 송침유 1.5 ~ 4 중량부 중량부 및 에탄올 3 ~ 5 중량부를 함유하여 조성된다.
여기서, 송침유는 수산기라디칼이 주요 성분으로서, 아토피 피부염,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등에 작용하는 항산화제이며 강력한 산화력을 갖는다. 또한, 송침유는 포름알데히드 등 환경 호르몬을 바람직하게 분해하는 효능이 있다.
제조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송침유 1.5 ~ 4 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20 ~ 25℃ 온도에서 30 ~ 60분 동안 교반한다.
② 그런 다음, 과초산 0.1 ~ 0.3 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20 ~ 25℃ 온도에서 10 ~ 15분 동안 교반한다.
③ 마지막으로, 에탄올 3 ~ 5 중량부를 혼합하여 밀폐한 후 20 ~ 25℃ 온도에서 60 ~ 80분 동안 교반하여 완성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과초산 0.1 ~ 0.3 중량부, 송침유 1.5 ~ 4 중량부, 에탄올 3 ~ 5 중량부, 귤피 발효액 5 ~ 10 중량부 및 은행잎 추출액 1 ~ 2.0 중량부를 함유하여 조성된다.
제조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송침유 1.5 ~ 4 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20 ~ 25℃ 온도에서 30 ~ 60분 동안 교반한다.
② 그런 다음, 과초산 0.1 ~ 0.3 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20 ~ 25℃ 온도에서 10 ~ 15분 동안 교반한다.
③ 마지막으로, 에탄올 3 ~ 5 중량부를 혼합하여 밀폐한 후 20 ~ 25℃ 온도에서 60 ~ 80분 동안 교반한다.
④ 개방한 상태에서, 귤피 발효액 5 ~ 10 중량부 및 은행잎 추출액 1 ~ 2.0 중량부를 혼합한 후 5 ~ 10℃ 온도에서 120 ~ 180분 동안 교반한 다음 밀폐시켜 완성한다.
(가) 귤피 발효액 제조방법
(a) 먼저, 귤피(귤껍질) 100kg을 깨끗히 수세한 한 후, 30 ~ 50℃에서 8 ~ 14 시간 동안 건조하여 수분 함량이 3% 미만이 되도록 한다.
(b) 건조된 귤피를 밀폐용기에 충전한 후 정제수 20kg, 식용 식초 2 ~ 3kg 및 설탕 10 ~ 13kg을 첨가하여 밀폐한 다음, 25 ~ 33℃에서 5 ~ 7일간 숙성 보관한다.
(c) 밀폐용기를 개방하여 내용물을 여과한 후 식용 식초, 특히 감식초 5 ~ 10kg을 추가하여 -5 ~ 2℃에서 30 ~ 45일 저온 보관하여 귤피 발효액을 제조한다.
(나) 은행잎 혼합 추출액 제조방법
(a) 은행잎 200kg을 세정수로 1 ~ 3회 세척한 후, 그늘진 곳에서 건조한다.
(b) 건조된 은행잎을 10mm(가로) X 10mm(세로) 크기로 세단한 후, 15 ~ 23kg/cm2의 압력으로 압착한다.
(c) 은행잎 압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알코올 85 ~ 145 중량부를 첨가한 후 밀폐 상태에서 30 ~ 33℃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8 ~ 12시간 동안 교반한다.
(d) 마지막으로, 개방 상태에서 40 ~ 45℃ 온도로 가열하여 에틸알코올을 배기시킨 다음, 은행잎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호호바 오일 1 ~ 2.3 중량부, 페퍼민트 오일 2 ~ 3.5 중량부, 일랑일랑 오일 3 ~ 3.3 중량부 및 천일염 5 ~ 7 중량부를 첨가한 후 4 ~ 8시간 교반하여 최종 은행잎 혼합 추출액을 완성한다.
2. 연막 살균살포제 제조
본 발명의 연막 살균살포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액상 살균살포제 0.3 ~ 0.5 중량부를 함유하여 조성된다.
여기서, 액상 살균살포제는 식용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데카메트린 또는 싸이퍼메트린 1.5 ~ 5 중량부가 함유되어 조성된다.
그리고 식용 오일은 콩기름 또는 카놀라유이다.
데카메트린은 인체에 해가 없고 해충에게는 강력한 살충 효과가 있으며 열과 태양빛 등에 의해 1개월 이내에 자연 분해되는 약제이고, 싸이퍼메트린은 합성 퍼레스로이드계에 속하는 살충제로서, 모기, 집파리 구제용으로 세계보건기구가 권장하고 있는 약제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연막 살균살포제는 공기청정제 0.7 ~ 2.0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조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청정제는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연막 살균살포제는 피톤치드 추출액 0.3 ~ 0.5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 자동분사기를 이용한 에어테라피 분사의 세균번식억제 및 살균효과 분석
본 실험은 실시예 1의 공기청정제를 기준으로 한다.
연구방법 및 절차
(가) 대상 균주
대장균(Escherichia coli)
살모넬라균(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비브리오균(vibrio vulificus)
바실러스균(bacillus subtilis)
효모균(Saccharomyces cerevisiae)
(나) 액체 배지에서 MIC(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최소 억제 농도법)을 이용한 공기청정제의 살균효과 측정
1) 대장균(Escherichia coli), 살모넬라균(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비브리오균(vibrio vulificus), 바실러스균(bacillus subtilis)은 37℃, LB 배지에서 배양하며, 효모균(Saccharomyces cerevisiae)은 30℃, YPD 배지에서 배양한다.
2)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12시간(효모균은 24시간) 배양한 균주를 동일한 액체 배지에 1:100 비율로 희석하여 OD600=0.6 (mid-log phase, 약 2 ~ 3시간)까지 배양한다.
3) 배양한 균주를 각각 다른 농도의 공기청정제를 포함하는 배지에 1:100 비율로 희석하여 12시간(효모균은 24시간) 이상 배양하여 균의 성장을 관찰한다(도 1 참조).
(다) 한천 배지에서 자동분사기로 공기청정제를 분사 후 살균효과 측정
1) 대장균, 살모넬라균, 황색포도상구균, 비브리오균, 바실러스균은 37℃, LB 배지에서 배양하며, 효모균은 30℃, YPD 배지에서 배양한다.
2) 12시간(효모균은 24시간) 이상 배양한 균주를 1:100 비율로 희석하여 OD600=0.6 (mid-log phase)까지 배양한다.
3) 대장균, 살모넬라균, 황색포도상구균, 바실러스균, 효모균은 1000배 희석, 비브리오균은 희석하지 않고 0.1ml을 한천배지(agar plate)에 도말한다.
4) 균이 도말된 한천배지에 자동분사기를 이용하여 10초간 에어테라피를 분사 후 37℃에서 12시간(효모균은 30℃에서 48시간) 이상 배양하여 균의 성장을 확인되었다(도 2 참조).
(라) 실험결과
본 실험결과는 독립적으로 3번 중복 실험한 결과입니다.
최초 실험 결과 공기청정제는 균의 살균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제조되고 시간이 오래되었기 때문에 시료의 변성이 의심되어 새로 제조된 시료를 이용하여 본 실험에 앞서 추가 실험으로 액체배지에서 공기청정체 조성물(송침유 혼합제)의 살균효과를 측정해 보았다.
추가 실험) 액체 배지에서 MIC(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최소 억제 농도법)을 이용한 공기청정제의 살균효과 측정
1) 제조되고 시간이 오래된 공기청정제는 1/10의 농도가 포함된 배지에서 비브리오균과 바실러스균을 제외한 나머지 균의 성장이 관찰되었다(도 2 참조).
2) 공기청정제는 하기 표 1, 도 2 및 도 3과 같이, 1/10의 농도가 포함된 배지에서 실험에 이용된 모든 균의 성장이 억제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112015111772537-pat00001
본 실험) 한천 배지에서 자동분사기로 공기청정제를 분사후 살균효과 측정
균이 도말된 한천배지에 자동분사기를 이용하여 10초간 에어테라피를 분사하면 균의 성장이 억제되는 것이 관찰되었다(도 4 내지 도 6 참조).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분명하다.

Claims (5)

  1. (a) 시공 공간의 실내습도를 60 ~ 70%로 가습하고 실내온도를 30 ~ 40℃로 높혀 4 ~ 6시간 유지한 후 환기시키는 단계와;
    (b) 환기된 시공 공간을 폐쇄하고, 연막 소독기를 이용하여 연막 살균살포제를 연막 살포한 후 1 ~ 2 시간 유지시키는 단계와;
    (c) 초미립자 분사기를 이용하여 공기청정제를 실내공간 내부 및 가구에 분사한 후 1 ~ 2시간 유지시켜 시공완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공기청정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과초산 0.1 ~ 0.3 중량부, 송침유 1.5 ~ 4 중량부 중량부 및 에탄올 3 ~ 5 중량부를 함유하여 조성되고,
    상기 연막 살균살포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액상 살균살포제 0.3 ~ 0.5 중량부 및 피톤치드 추출액 0.3 ~ 0.5 중량부를 함유하여 조성되어지되,
    상기 액상 살균살포제는 식용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데카메트린 또는 싸이퍼메트린 1.5 ~ 5 중량부가 함유되어 조성되고, 상기 식용 오일은 콩기름 또는 카놀라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베이크아웃방식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이전에, 상기 시공 공간의 외부 문을 잠근 상태에서 모든 가구의 문을 개방하고 서랍을 분리한 다음, 미립자 분사기를 이용하여 실내습도를 40 ~ 55%로 가습한 후 1 ~ 2시간 유지하는 (d)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베이크아웃방식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막 살균살포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액상 살균살포제 0.3 ~ 0.5 중량부, 피톤치드 추출액 0.3 ~ 0.5 중량부 및 상기 공기청정제 0.7 ~ 2.0 중량부를 함유하여 조성되어지되,
    상기 액상 살균살포제는 식용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데카메트린 또는 싸이퍼메트린 1.5 ~ 5 중량부가 함유되어 조성되고, 상기 식용 오일은 콩기름 또는 카놀라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베이크아웃방식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제는 귤피 발효액 5 ~ 10 중량부 및 은행잎 추출액 1 ~ 2.0 중량부를 더 함유하되,
    상기 귤피 발효액은,
    (1) 귤피(귤껍질) 100kg을 깨끗히 수세한 한 후, 30 ~ 50℃에서 8 ~ 14 시간 동안 건조하여 수분 함량이 3% 미만이 되도록 하고,
    (2) 건조된 귤피를 밀폐용기에 충전한 후 정제수 20kg, 식용 식초 2 ~ 3kg 및 설탕 10 ~ 13kg을 첨가하여 밀폐한 다음, 25 ~ 33℃에서 5 ~ 7일간 숙성 보관하고,
    (3) 밀폐용기를 개방하여 내용물을 여과한 후 식용 식초, 특히 감식초 5 ~ 10kg을 추가하여 -5 ~ 2℃에서 30 ~ 45일 저온 보관하여 제조되고,
    상기 은행잎 혼합 추출액은,
    (가) 은행잎 200kg을 세정수로 1 ~ 3회 세척한 후, 그늘진 곳에서 건조하고,
    (나) 건조된 은행잎을 세단한 후, 15 ~ 23kg/cm2의 압력으로 압착하고,
    (다) 은행잎 압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알코올 85 ~ 145 중량부를 첨가한 후 밀폐 상태에서 30 ~ 33℃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8 ~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라) 개방 상태에서 40 ~ 45℃ 온도로 가열하여 에틸알코올을 배기시킨 다음, 은행잎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호호바 오일 1 ~ 2.3 중량부, 페퍼민트 오일 2 ~ 3.5 중량부, 일랑일랑 오일 3 ~ 3.3 중량부 및 천일염 5 ~ 7 중량부를 첨가한 후 4 ~ 8시간 교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베이크아웃방식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방법.
KR1020150160852A 2015-11-17 2015-11-17 습식 베이크아웃방식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방법 KR101682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852A KR101682649B1 (ko) 2015-11-17 2015-11-17 습식 베이크아웃방식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852A KR101682649B1 (ko) 2015-11-17 2015-11-17 습식 베이크아웃방식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2649B1 true KR101682649B1 (ko) 2016-12-05

Family

ID=57576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852A KR101682649B1 (ko) 2015-11-17 2015-11-17 습식 베이크아웃방식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6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8301A (zh) * 2018-07-20 2018-12-18 杭州奇麟正维环境技术有限公司 空气净化方法及设备
KR102290123B1 (ko) 2020-04-02 2021-08-17 김영민 베이크아웃 기반의 실내 공기 정화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616B1 (ko) * 2006-05-22 2007-11-26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베이크아웃 제어방법
KR101527513B1 (ko) * 2014-02-05 2015-06-09 나눔협동조합 송침유를 함유한 공기청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57244B1 (ko) * 2014-11-20 2015-10-02 주식회사 한스클린 새집증후군 방지를 위한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시공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616B1 (ko) * 2006-05-22 2007-11-26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베이크아웃 제어방법
KR101527513B1 (ko) * 2014-02-05 2015-06-09 나눔협동조합 송침유를 함유한 공기청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57244B1 (ko) * 2014-11-20 2015-10-02 주식회사 한스클린 새집증후군 방지를 위한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시공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8301A (zh) * 2018-07-20 2018-12-18 杭州奇麟正维环境技术有限公司 空气净化方法及设备
KR102290123B1 (ko) 2020-04-02 2021-08-17 김영민 베이크아웃 기반의 실내 공기 정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7932B2 (en) Method for removing or treating harmful biological organisms and chemical substances
CN103444797B (zh) 畜禽舍消毒熏蒸剂及其制备方法
CN103301497A (zh) 一种食用菌接种室和培养室的空气消毒方法
KR101682649B1 (ko) 습식 베이크아웃방식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방법
JP6576643B2 (ja) 揮発性閉鎖空間防害虫剤
EP0024304B1 (de) Vorrichtung zur Sterilisation von Matratzen und grossvolumigen Bett-Textilien
CN111066808A (zh) 一种瓷砖防蟑剂及其制备方法、瓷砖防蟑方法、防蟑瓷砖
WO2008006035A2 (en) Method for removing or treating harmful biological organisms and chemical substances
CN105519588B (zh) 一种消毒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8974566A (zh) 一种提高中药材或饮片质量与效期的节能环保贮存方法
CN110917376A (zh) 一种环保型薄荷乳酸菌发酵液及其制备方法
CN106822962A (zh) 灭蝇快速降温除臭丸
KR100917739B1 (ko) 건축내장제에 바르는 유해물질 차단제의 제조방법
Harry et al. Fumigation with methyl bromide—Applications in the poultry industry—A review
CN204745058U (zh) 一种中药材微波灭菌装置
CN107337887A (zh) 一种防止松材线虫病扩散的液体快速成膜剂
DE19618210C2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Bekämpfen von Schädlingen
CN107580923A (zh) 智能温室臭氧防病机
CN104984373A (zh) 一种古籍重要文献杀虫灭菌方法
CN106729881A (zh) 含有橙色素的固体清新剂
CN109329324A (zh) 一种增强禽畜免疫力的熏香片及其制备方法
CN104824046A (zh) 一种天然驱蚊香薰藤油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6860897A (zh) 檀香醇快速驱蚊除臭丸
KR101044660B1 (ko) 향 지속성 방향제가 함유된 건축용 도료
KR20100087824A (ko) 향 지속성 방향제가 함유된 건축용 백 시멘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