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7824A - 향 지속성 방향제가 함유된 건축용 백 시멘트 - Google Patents

향 지속성 방향제가 함유된 건축용 백 시멘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7824A
KR20100087824A KR1020090006830A KR20090006830A KR20100087824A KR 20100087824 A KR20100087824 A KR 20100087824A KR 1020090006830 A KR1020090006830 A KR 1020090006830A KR 20090006830 A KR20090006830 A KR 20090006830A KR 20100087824 A KR20100087824 A KR 20100087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aroma
weight
parts
white 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6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1188B1 (ko
Inventor
김종우
이삼근
Original Assignee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90006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188B1/ko
Publication of KR20100087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8Fats; Fatty oils; Ester 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22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80Optical properties, e.g. transparency or reflexibility
    • C04B2111/802White c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 지속성 방향제가 함유된 건축용 백 시멘트에 관한 것으로서,
다공성 물질인 활성탄이나 분자체에 송유, 정향 추출액 또는 쑥 농축액을 흡착하여 이루어지는 향 지속성 방향제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향 지속성 방향제를 건축용 백 시멘트에 혼합하여 사용하면, 신선한 자연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항균, 항진균 및 탈취 성능이 뛰어나 새집증후군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건축, 방향제, 백 시멘트, 송유, 정향 추출액, 쑥 농축액, 활성탄, 분자체

Description

향 지속성 방향제가 함유된 건축용 백 시멘트{An architectural white cement radiating continuant aroma}
본 발명은 향 지속성 방향제가 함유된 건축용 백 시멘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공성 물질인 활성탄이나 분자체(Molecular sieves)에 송유(Pine Oil), 정향 추출액 또는 쑥 농축액을 흡착함으로써 지속적으로 향을 발산하는 특성이 있는 방향제를 함유하는 건축용 백 시멘트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건축에서는 단열과 방음이 중요시되면서 주거용이나 업무용 공간은 외부와 차단되어 자연 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현대문명이 발달하면서 사람은 주로 실내에 거주하는 시간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자고 있는 경우에는 매우 밀폐된 공간에서 호흡을 하고 있다. 평상시에 성인 기준으로 분당 12회 호흡하고 한 번의 호흡으로 약 0.5ℓ의 공기를 흡입한다고 가정하여 계산하면, 하루에 약 8,640ℓ정도의 공기를 흡입한다. 흡입한 공기는 폐에 있는 조직과 직접 접촉하므로, 향과 같은 휘발성 물질은 호흡시 공기와 같이 폐까지 도달할 수 있어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향은 사람의 건강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면과 감성적인 면 모 두에 영향을 끼치며, 좋은 향은 인간에게 심신을 상쾌하게 한다. 이런 이유로 향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오래전부터 종교적 목적뿐 아니라 치료와 위생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현재에도 화장품과 목욕제품 등 일상용품에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다. 향이 나는 오일은 식물이나 동물로부터 얻은 천연 향과 인공적인 합성에 의한 향으로 구분이 되며,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이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천연향은 식물 혹은 동물에서부터 추출, 압출 혹은 증류하여 얻으며, 인공 향은 화학적인 합성으로 제조한다. 실내에 좋은 냄새를 유지하기 위하여 향수, 방향제, 방향성 양초, 수지용 향료 등 많은 제품들이 상품화 되어 왔다.
한편, 화장실, 욕실, 주방에서 타일과 타일 사이의 줄눈 시공시 백시멘트를 사용한다.
백시멘트는 오래 사용하다 보면 오염되는 문제가 있으며, 세균, 곰팡이, 미생물 등이 번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한국특허공개 제2001-0044300호에서는 항균 발수 타일 줄눈 몰탈 및 시공방법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타일 줄눈의 곰팡이균의 서식을 막아주는 항균 효과가 있지만, 탈취나 방향성 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지속적으로 향을 발산하는 방향제를 함유함으로써 항균, 항진균 및 탈취 성능이 우수하면서 신선한 자연향이 풍기는 향 지속성 방향제가 함유된 건축용 백 시멘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건축용 백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향 지속성 방향제가 3 내지 20 중량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지속성 방향제가 함유된 건축용 백 시멘트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향 지속성 방향제는 활성탄 또는 분자체(Molecular Sieves) 중 어느 하나 100중량부에 대하여 송유(Pine Oil), 정향 추출액 또는 쑥 농축액 중 어느 하나가 50 내지 80 중량부 흡착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향 지속성 방향제를 함유한 건축용 백 시멘트는 신선한 자연 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항균, 항진균 및 탈취 성능이 뛰어나 새집증후군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향 지속성 방향제가 함유된 건축용 백 시멘트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향 지속성 방향제가 함유된 건축용 백 시멘트는,
건축용 백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향 지속성 방향제 3 내지 20 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건축용 백 시멘트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어떠한 건축용 백 시멘트도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향 지속성 방향제는 3 내지 20 중량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3 중량부 이하 혼합되면 방향성이 미약한 단점이 있으며, 20 중량부 이상 혼합되면 백 시멘트의 성능을 약화시키는 단점이 있다.
상기 향 지속성 방향제에 포함되는 향료는 인공적인 향을 배제하고 순수 자연향인 송유, 정향 추출액 또는 쑥 농축액을 사용하였다.
상기 송유, 정향 추출액 또는 쑥 농축액의 자연향은 인체에 유익한 좋은 향을 발산하지만, 빨리 휘발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다공성 물질인 활성탄 또는 분자체에 상기 자연향을 흡착함으로써, 지속적으로 향을 발산하는 특징을 갖는 방향제를 개발하였다.
상기 향 지속성 방향제는,
활성탄 또는 분자체(Molecular Sieves) 중 어느 하나 100중량부에 대하여 송유(Pine Oil), 정향 추출액 또는 쑥 농축액 중 어느 하나가 50 내지 80 중량부 흡착되어 이루어진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충분한 방향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향이 지나치게 강한 단점이 있다.
솔잎은 잡냄새를 없애며 세균 억제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솔잎은 방향성, 엽록소작용, 항균성 및 멜라닌 생성억제작용 등에 대한 약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솔잎의 주요성분은 엽록소와 비타민A, 비타민C 로서 혈액을 정화하고 괴혈병을 예방하는 효능이 있다. 엽록소는 혈액 생산이나 육아 발육에 좋으며 특히 솔잎에 포함된 옥시파르티민산은 세포를 젊어지게 하여 노화를 방지하며 젊음을 유지시켜 주는 강력한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밖에도 단백질 조지방과 인, 철, 효소, 미네랄 등 특수한 유효성분이 많이 들어 있다. 또한 솔잎에는 타닌 성분이 들어 있어 클로로필을 분리하여 피부 질환 고약의 원료로 이용되기도 하며 설사를 멈추는 작용에도 쓰이며, 감기 기운이 있을 때 효과적이며, 또한 피로가 쉽게 풀리고 머리가 맑아진다.
상기 송유는 솔잎, 잔가지 및 솔방울을 증기 증류하여 얻을 수 있으며, 방향요법, 탈취제, 항균제, 소독제 및 방부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송유의 휘발성 물질을 GC-M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로 분석한 결과, 알파-피넨(Alpha-pinene)을 비롯하여 고리형 테레핀 알코올, 에테르, 에 스테르 및 지방족탄화수소 등의 혼합물이었다. 송유는 저 농도에서는 인체에 무해하고 자극적이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송유 중에서 상쾌한 향이 나는 테레핀 (terepineol) 오일은 3개의 이성질체 (알파, 베타, 감마 테레핀)의 혼합물이다. 송유에서 발산되는 향기 즉 테레핀유의 피톤치드를 맡으면, 정신을 맑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및 피로해소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향은 정향나무의 꽃봉오리를 말린 한약재를 말하며,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맵고 독은 없다. 정향은 매우 향기로운 향이 나며, 비위를 다스리며 허리와 무릎을 덥게하고 술독과 풍독을 없애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정향 추출액은 정향의 잎이나 줄기를 증기 증류하여 얻을 수 있으며, 방향요법, 항균제, 항진균제, 모기 퇴치제, 방부제, 천연 진통제, 기관지염, 감기 등에 사용되는 한약재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정향 추출액의 휘발성 물질을 GC-M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로 분석한 결과, 주 성분은 유게놀(eugenol)이었으며, 그 외에도 에스테르 등 기타 물질 등이 혼합되어 있었다. 정향 추출액은 소량 사용할 경우 인체에 무해하며, 치통의 진통제로 사용되고 있다. 유게놀은 미국 식약청(FDA)에서 발암성과 임산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안전성을 인정받은 물질이다(US FDA, 1978).
쑥은 그 성질이 따뜻하여 허한성의 출혈병증, 월경통, 월경부조, 태동불안, 복통 등에 효과가 있다. 쑥의 주성분은 칼슘, 섬유, 비타민 A,비타민 B, 비타민 C 등이다.
상기 쑥 농축액은 가열용기에 쑥과 물을 넣고 물이 절반 정도로 감소될 때까 지 가열한 후 여과기에 의해 쑥 농축액을 분리하여 얻는다.
숯은 목재를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고 가열하거나, 또는 공기를 아주 적게 하여 가열하였을 때 생기는 고체 생성물로써 숯의 다공성 구조와 원적외선 방출, 음이온발생으로 흡착, 탈취, 습도조절, 결로방지, 부패방지, 방충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숯은 열로서 나무속의 가스를 뽑아내어 탄화시킨 것으로서 목탄이라고도 하며, 그 재료로는 일반적으로 재질이 단단한 나무가 사용된다.
상기 활성탄은 탄화된 숯의 가장 큰 특성인 흡착력을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해 600℃ ~ 900℃의 수증기를 가하여 숯을 화학적, 물리적으로 열처리하여 재가공한 제품이다. 숯은 탄화과정에서 작은 구멍들이 생기게 된다. 숯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 작은 구멍들이 많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다시 600℃ ~ 900℃의 온도에서 같은 공정을 한 번 더 거치게 하는데, 이 과정을 활성화라고 한다.
상기 분자체는 제올라이트를 가공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올라이트는 규산알루미늄 수화물인 광물로서 현무암이나 휘록음회암 등 염기성 화성암의 공동 속이나 열극에서 산출되며, 결정 구조적으로 각 원자의 결합이 느슨하여, 그 사이를 채우고 있는 수분을 고열로 방출시켜도 골격은 그대로 있으므로 다른 미립 물질을 흡착하는 분자체로 사용할 수가 있다.
활성탄 또는 분자체는 다공성 물질로서, 활성탄 또는 분자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송유, 정향 추출액 또는 쑥 농축액 중 어느 하나를 흡착할 경우, 오랫동안 지 속적으로 신선한 자연향이 발산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나,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는 본 발명의 실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1] 송유의 균류에 대한 생장저해효과 실험
Potato Dextrose Agar(PDA) 배지에 일정농도의 송유(Pine Oil)를 가해 배지를 제조한 후 균류를 배양하였다. 인체 병원균인 Fusarium graminearum과 Aspergillus fumigatus를 시험균주로 사용하였다. 직경 0.8㎝의 균사체 또는 포자를 취하여 배지 중앙에 접종한 후 28℃에서 5일간 배양한 후 균사체의 직경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를 도1 에 나타내었다.
도1 에 나타나 있듯이, Fusarium graminearum의 경우 50% 생장저해 농도가 송유 0.15㎕/㎖ 정도였으며, Aspergillus fumigatus의 경우 50% 생장저해 농도가 송유 0.2㎕/㎖ 로 측정되었다.
도1 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송유에는 인체에 해로운 병원균의 생장저해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1] 분자체에 송유를 흡착한 향 지속성 방향제가 함유된 백 시멘트 제조
백 시멘트는 상용 백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다공성 물질인 분자체는 120℃ 오븐에서 24시간 이상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막자사발로 분쇄한 후 사용하였다.
분자체 분말 0.08g ~ 0.45g 과 송유추출액 0.06g ~ 0.36g 을 잘 혼합한 후에 상용 백 시멘트 4g과 물 1㎖ 를 첨가하여 최대한 균일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송유의 함량 농도별로 4개의 시료(1.5, 2.3, 4.6, 9.0 w/w%)를 제조하였다. 각 시료를 직경 10㎜, 높이 15㎜인 원기둥 틀에 넣고 경화 시킨 후 원기둥의 시료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시료의 건조 후 무게는 1.78g 이었다.
[실시예2] 활성탄에 송유를 흡착한 향 지속성 방향제가 함유된 백 시멘트 제조
백 시멘트는 상용 백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다공성 물질인 숯은 120℃ 오븐에서 24시간 이상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막자사발로 분쇄한 후 사용하였다.
숯 분말 0.08g ~ 0.45g 과 송유추출액 0.06g ~ 0.36g 을 잘 혼합한 후에 상용 백 시멘트 4g과 물 1㎖ 를 첨가하여 최대한 균일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송유의 함량 농도별로 4개의 시료(1.5, 2.3, 4.6, 9.0 w/w%)를 제조하였다. 각 시료를 직경 10㎜, 높이 15㎜인 원기둥 틀에 넣고 경화 시킨 후 원기둥의 시료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시료의 건조 후 무게는 1.78g 이었다.
[실험예2] 실시예1 에서 제조한 백 시멘트의 향 지속성 실험
실시예1 에서 제조한 분자체에 송유를 흡착한 향 지속성 방향제가 함유된 백 시멘트에 대해 Tekmar 사의 purge and trap 을 사용하여 25℃ 에서 15분간 휘발하는 물질을 포집한 후 GC-MS로 분석하였다. 송유를 함유한 백 시멘트의 경우 각 GC-MS의 TIC(total ion chromatography)에서 알파-테레핀의 면적을 동일 조건에서 일정량의 데케인(decane, C10H24 )을 분석한 TIC의 해당 피크의 면적을 상대 비교하여 백 시멘트 시료의 휘발성 물질을 정량화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도2 에 나타내었다.
도2 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자체에 송유를 흡착시킨 향 지속성 방향제를 함유한 백 시멘트의 경우, 향의 강도는 시료 제조 후 약 100일까지 서서히 감소한 후, 그 이후 향의 강도가 증가하며 시료 제조 후 약 180일부터 향이 감소하여 약 300일까지 향이 지속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처음 향의 양이 반으로 되는 기간은 첨가한 송유의 양에 따라 다르며, 송유의 첨가량이 4.6 w/w%인 경우 향이 반으로 감소하는 기간은 약 7개월 정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3] 실시예2 에서 제조한 백 시멘트의 향 지속성 실험
실시예2 에서 제조한 활성탄에 송유를 흡착한 향 지속성 방향제가 함유된 백 시멘트에 대해 실험예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3 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활성탄에 송유를 흡착시킨 향 지속 성 방향제를 함유한 백 시멘트의 경우에도, 향의 강도는 시료 제조 후 약 100일까지 서서히 감소한 후, 그 이후 향의 강도가 증가하며 시료 제조 후 약 180일부터 향이 감소하여 약 300일까지 향이 지속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처음 향의 양이 반으로 되는 기간은 첨가한 송유의 양에 따라 다르며, 송유의 첨가량이 4.6 w/w%인 경우 향이 반으로 감소하는 기간은 약 7개월 정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험결과를 종합하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향 지속성 방향제를 함유한 건축용 백 시멘트는 송유를 함유함으로써 항균 효과가 있으며, 다공성 물질인 분자체 또는 활성탄에 송유를 흡착함으로써 방향성의 지속시간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향 지속성 방향제가 함유된 건축용 백 시멘트는 지속적으로 신선한 자연향을 발산하는 효과가 있으며, 항균, 항진균 및 탈취 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도1은 송유의 균류에 대한 생장저해효과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2는 분자체에 송유를 흡착한 향 지속성 방향제가 함유된 백 시멘트의 향 지속성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3은 활성탄에 송유를 흡착한 향 지속성 방향제가 함유된 백 시멘트의 향 지속성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Claims (2)

  1. 건축용 백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향 지속성 방향제 3 내지 20 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지속성 방향제가 함유된 건축용 백 시멘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 지속성 방향제는 활성탄 또는 분자체(Molecular Sieves) 중 어느 하나 100중량부에 대하여 송유(Pine Oil), 정향 추출액 또는 쑥 농축액 중 어느 하나가 50 내지 80 중량부 흡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지속성 방향제가 함유된 건축용 백 시멘트.
KR1020090006830A 2009-01-29 2009-01-29 향 지속성 방향제가 함유된 건축용 백 시멘트 KR101071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830A KR101071188B1 (ko) 2009-01-29 2009-01-29 향 지속성 방향제가 함유된 건축용 백 시멘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830A KR101071188B1 (ko) 2009-01-29 2009-01-29 향 지속성 방향제가 함유된 건축용 백 시멘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824A true KR20100087824A (ko) 2010-08-06
KR101071188B1 KR101071188B1 (ko) 2011-10-10

Family

ID=42754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830A KR101071188B1 (ko) 2009-01-29 2009-01-29 향 지속성 방향제가 함유된 건축용 백 시멘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1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688B1 (ko) * 2021-01-29 2021-06-07 주식회사 한수도로산업 아스팔트 냄새제거 및 골재 탈리 방지용 아스팔트 개질재 및 아스팔트 혼합물
KR102477171B1 (ko) * 2021-09-17 2022-12-12 김종순 단열성능을 갖는 몰탈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872B1 (ko) 2002-05-24 2005-10-17 한승호 황토를 주재로 한 몰탈 및 그 제조방법
KR100656828B1 (ko) * 2006-08-31 2006-12-13 청우산업 주식회사 장석과 백 시멘트와 펄프를 이용한 황토 판재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688B1 (ko) * 2021-01-29 2021-06-07 주식회사 한수도로산업 아스팔트 냄새제거 및 골재 탈리 방지용 아스팔트 개질재 및 아스팔트 혼합물
KR102477171B1 (ko) * 2021-09-17 2022-12-12 김종순 단열성능을 갖는 몰탈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1188B1 (ko) 201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371B1 (ko) 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탈취 조성물
CN101391108B (zh) 一种中药空气清新抑菌剂及其制备方法
CN109464691B (zh) 一种空气清新剂、空气清新器及其制作方法
KR101536762B1 (ko) 친환경 실내용 탈취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실내용 탈취제
KR101439385B1 (ko) 탈취 및 살균력이 우수한 피톤치드 성분이 함유된 천연 조성물
KR101319479B1 (ko) 일정한 발산농도로 장기간 균일한 발산특성을 나타내는 피톤치드 함유 방향성 복합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방향제 패키지
CN101218928B (zh) 利用天然植物精油制造驱蚊熏香产品的方法
CN105727337A (zh) 一种中药抑菌空气清新剂及其制备方法
KR100719857B1 (ko) 탈취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071188B1 (ko) 향 지속성 방향제가 함유된 건축용 백 시멘트
KR101221104B1 (ko) 노인 악취 제거를 위한 천연식물추출 배합 조성물
CN104875693A (zh) 一种天然驱蚊植物与活性矿物质组合的汽车用前围隔音垫
KR102176499B1 (ko) 항균성 방향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성 방향제
CN106342916A (zh) 一种白蚁防治喷剂
KR101044660B1 (ko) 향 지속성 방향제가 함유된 건축용 도료
CN104924953A (zh) 一种具有提神健脑功能的汽车脚垫组件
KR102540377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식물 추출 항균 조성물
KR20110045915A (ko) 살균 및 세정기능이 보강된 탈취액 조성물
CN103548885A (zh) 土荆芥蚊香及其制备方法
KR101632866B1 (ko) 천연 약용식물 에션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환경호르몬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훈연방법
KR100419316B1 (ko) 탈취제의 제조방법
KR100785427B1 (ko) 천연 생약 원료성분으로 제공되는 곤충기피 훈향제
CN113749129A (zh) 空气清新剂兼驱虫液及其制备方法
KR20100087822A (ko) 향 지속성 방향제가 함유된 건축용 실리콘 실란트
CN106176336B (zh) 聚六亚甲基双胍消毒剂与复方中草药蚊蝇驱避剂二合一凝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