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5636A - 책상 겸용 침대 - Google Patents

책상 겸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5636A
KR20100115636A KR1020090034313A KR20090034313A KR20100115636A KR 20100115636 A KR20100115636 A KR 20100115636A KR 1020090034313 A KR1020090034313 A KR 1020090034313A KR 20090034313 A KR20090034313 A KR 20090034313A KR 20100115636 A KR20100115636 A KR 20100115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bed
frame
sides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2510B1 (ko
Inventor
최진호
Original Assignee
최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1020090034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510B1/ko
Publication of KR20100115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2Combinations of bedsteads with other furniture or with accessories, e.g. with bedside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0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와 책상을 겸용 사용하는 책상 겸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양측 기대(5)(5') 사이로 하부에 책상 상판(12)이 안착되는 책상 프레임(10)과, 상부에 후방 양측이 힌지(21) 결합되고 양측이 가스쇼바(30)로 연결되어 상하 회동 절첩되는 침대 프레임(20)으로 구성하되; 상기 침대 프레임(20)과 책상 프레임(10)의 양측에는 상호 견인 부재(50)로 연결하여 상기 침대 프레임을 상하 회동 절첩함과 동시에 책상 프레임이 승하강 이동하도록 제공하므로서, 상기 침대와 책상의 상하 설치에 따른 공간 효율성이 우수하고, 침대의 설치 높이가 낮아져 침대에 오르, 내림이 용이함은 물론 침대에서 상체를 일으켜 활동함에 따른 편리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침대, 책상, 겸용, 공간 효율성, 견인, 사용 편리성

Description

책상 겸용 침대{Bed combined table}
본 발명은 침대와 책상을 겸용 사용하는 책상 겸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침대와 책상 프레임을 상하로 형성하여 침대 사용은 물론 침대의 상하 회동 절첩과 동시에 책상 상판이 상승되어 겸용 사용하도록 구성하므로 상기 침대와 책상의 상하 공간 효율성이 우수하고, 이로 인해 침대 높이가 낮아 침대 오르, 내림이 용이하며 침대에서 상체를 일으켜 활동함에 따른 편리성이 우수한 책상 겸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침대와 책상은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가구이다.
이와 같이 침대와 책상은 실내에서 각각의 공간에 설치되어 각각의 용도에 맞게 사용되기 때문에 실내 공간이 협소한 기숙사, 고시촌, 원룸 등에서 설치 사용에 큰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침대와 책상을 겸용 사용할 수 있는 책상 겸용 침대가 개시된 바 있다.
먼저, 실용신안등록 제296947호에서는 양측 기대의 내부 중앙을 연결하는 지 지대 상부에 책상 상판을 안착 설치하고, 상기 양측 기대의 상부에 침대를 안착 설치하되, 상기 침대는 양측 기대와 가스쇼바로 연결되어 상하 회동 절첩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것은 책상 상부에 침대가 설치되어 실내 공간이 협소한 문제는 해결하게 되나, 상하 공간 효율성이 저하되므로 실내 공간의 천정이 낮은 곳에서의 설치 사용이 곤란한 문제점, 그리고 침대 위치가 높아 침대의 오르, 내림이 불편하고별도의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야 하는 비 효율적인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러한 책상 겸용 침대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특허출원 제2002-88017호에서는 책상의 상판 상부에 침대 프레임을 설치하되, 상기 책상 양측에서 가스쇼바로 연결하여 침대를 상하 회동 절첩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것은 책상 상부에 침대 프레임을 안착 설치하여 침대는 물론 침대를 상하 회동 절첩하여 책상으로 겸용사용하는 것으로 전술한 것에 비해 상하 공간 효율성이 우수하나 이 또한 최소 책상 높이 상부 위치로 침대를 회동 절첩 가능케 설치 구성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상하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여전히 갖고 있었다.
즉, 책상 상부로 침대가 안착 설치됨에 따라 상하 공간 효율성의 극대화에 한계를 갖는 문제, 이로 인해 침대의 오르, 내림이나 침대 위에서의 활동 등이 불편하고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여전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침대와 책상 프레임을 상하로 형성하여 침대 사용은 물론 침대의 상하 회동 절첩과 동시에 책상 상판이 상승되어 겸용 사용하도록 구성하므로 상기 침대와 책상의 상하 공간 효율성이 우수하고, 이로 인해 침대 높이가 낮아 침대 오르, 내림이 용이하고 침대에서 상체를 일으켜 활동함에 따른 편리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양측 기대 사이로 하부에 책상 상판이 안착되는 책상 프레임과, 상부에 후방 양측이 힌지 결합되고 양측이 가스쇼바로 연결되어 상하 회동 절첩되는 침대 프레임으로 구성하되; 상기 침대 프레임과 책상 프레임의 양측에는 상호 견인 부재로 연결하여 상기 침대 프레임을 상하 회동 절첩함과 동시에 책상 프레임이 승하강 이동하도록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견인 부재는 책상 프레임 측방에서 전후를 삼각형태로 지지하는 링크 상단과 침대 프레임의 측방을 와이어로 연결하되, 상기 와이어는 기대에 설치된 도르레에 의해 수직 안내되어 책상 프레임을 일정하게 승하강 하도록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책상 프레임의 양측 전후단에는 상하로 복수 롤러를 마련하여 양측 기대의 내측에 형성되는 레일홈을 따라 상하 안내 이동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책상 프레임의 상승된 위치에 상기 롤러를 전후 안내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롤러 지지홈을 형성하여 책상 프레임을 상승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밀어 롤러가 롤러 지지홈에 안착 지지하도록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침대 프레임의 일측에 전후로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 전방 하부에 가로 지지대를 설치하고, 통상의 사다리의 상단에 전후 회동가능케 힌지 결합된 걸이구의 안내고리를 상기 가이드봉에 안내되도록 삽입 설치하되, 상기 사다리가 가로 지지대에 수평, 수직으로 지지 설치되도록 출몰 사용하도록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침대프레임 측방에는 이불거치대를 구성하되, 상기 이불거치대는 내측이 힌지 결합되어 가스쇼바에 의해 수평, 수직으로 절첩 사용하도록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침대와 책상 프레임을 상하로 형성하여 침대 사용은 물론 침대의 상하 회동 절첩과 동시에 책상 상판이 상승되어 겸용 사용하도록 구성하므로 상기 침대와 책상의 상하 공간 효율성이 우수하고, 이로 인해 침대 높이가 낮아 사다리를 이용하여 침대 오르, 내림이 용이하며 침대에서 상체를 일으켜 활동함에 따른 편리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책상 겸용 침대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기대(5)(5') 사이로 하부에 책상 상판(12)이 안착되는 책상 프레임(10)과, 상부에 후방 양측이 힌지(21) 결합되고 양측이 가스쇼바(30)로 연결되어 상하 회전 절첩되는 침대 프레임(20)으로 구성하되,
상기 침대 프레임(20)과 책상 프레임(10)의 양측에는 상호 견인 부재(50)로 연결하여 상기 침대 프레임을 상하 회동 절첩함과 동시에 책상 프레임이 승하강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침대 프레임(20)를 최소 높이로 형성하되 침대 프레임의 상하 회동 절첩에 따라 책상 프레임(10)을 사용 높이로 승하강 이동하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견인 부재(50)는 책상 프레임(10) 측방에서 전후를 삼각형태로 지지하는 링크(51) 상단과 침대 프레임(20)의 측방을 와이어(52)로 연결하되, 상기 와이어는 기대에 설치된 도르레(55)에 의해 수직 안내되어 책상 프레임을 일정하게 승하강 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책상 프레임(10)의 양측 전후단에는 상하로 복수 롤러(14)를 마련하여 양측 기대(5)(5')의 내측에 형성되는 레일홈(7)을 따라 상하 안내 이동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책상 프레임(10)의 상승된 위치에 상기 롤러(14)를 전후 안내하는 지지플레이트(15)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롤러 지지홈(16)을 형성하여 책상 프레임을 상승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밀어 롤러(7)가 롤러 지지홈(16)에 안착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침대 프레임(20)의 일측에 전후로 가이드봉(25)(25)과 상기 가이드봉 전방 하부에 가로 지지대(26)를 설치하고, 통상의 사다리(40)의 상단에 전후 회동가능케 힌지(46) 결합된 걸이구(45)의 안내고리(47)를 상기 가이드봉(25)(25)에 안내되도록 삽입 설치하되,
상기 사다리(40)가 가로 지지대(26)에 수평, 수직으로 지지 설치되도록 출몰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양측 기대(5)(5') 사이에는 좌우 연결지지대(6)가 연결되어 침대의 좌우 쏠림이나 비틀림 등의 변형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침대프레임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이불거치대(60)를 구성하되, 상기 이불거치대는 내측이 힌지(62) 결합되어 가스쇼바(65)에 의해 수평, 수직으로 절첩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불거치대는 지지봉을 연결 형성하므로 상기 지지봉에 옷걸이 등을 거치하는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로서, 13은 기대 후방에 설치되는 책꽂이 부재, 25는 양측 기대상에 설치되어 침대 프레임(20)의 전방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 28은 메트리스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로 사용된다.
이때, 침대 프레임(20)의 일측 하부에 전후 수평으로 삽입 위치된 사다리를 전방으로 인출하여 경사 설치 사용하게 된다.
이는 상기 사다리(40)를 전방으로 인출함에 따라 상기 사다리의 상단에 힌지(46) 연결된 걸이구(45)의 안내고리(47)가 가이드봉(25)(25)을 따라 전방으로 안내 인출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사다리를 걸이구(45)의 힌지(46)를 중심으로 전방 회동시켜 가로 지지대(26)에 지지되는 상태로 수직 설치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 상기 침대 프레임(20)은 그 높이가 최소 높이로 마련된다.
즉, 상기 침대 프레임(20) 하부의 책상 프레임(10)이 사용 높이에서 하강되게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침대 프레임(20)을 최소 높이로 위치하도록 함이 가능하 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침대 프레임(20)의 높이가 최소 높이로 마련되기 때문에 상하 공간 효율성이 우수함은 물론 침대 높이가 낮아 사다리(40)를 이용하여 침대 오르, 내림이 용이하고, 침대에서 상체를 일으켜 활동함에 따른 편리성이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침대로 사용하다가 책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40)를 원위치 시킨다.
이는 수직 설치된 사다리(40)를 상단 걸이구(45)의 힌지(46)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가이드봉(25)(25)에 수평 상태로 위치시킨 상태로 사다리를 후방으로 밀어삽입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사다리는 걸이구(45)의 안내고리(47)가 가이드봉(25)(25)을 따라 후방으로 안내 삽입되고 사다리 하부는 가로 지지대(26)에 안착되는 상태로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다리(40)가 원위치 조립된 상태에서 침대 프레임(20)을 가스쇼바(30)와 함께 힌지(21)를 중심으로 상향 회동시켜 절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침대 프레임(20)의 양측과 견인 부재(50)로 상호 연결된 책상 프레임(10)이 침대 프레임의 상향 회동과 동시에 상승 이동하게 된다.
특히, 상기 책상 프레임(10)은 침대 프레임(20)과 와이어(52)로 연결되어 상승되되, 상기 와이어가 기대상의 도르레(55)에 수직 안내됨과, 상기 와이어 하단이 책상 프레임(10)의 측방 전후를 링크(51)에 의해 삼각 형태로 지지함과, 침대 프레 임(20)의 양측 전후단에서 상하 복수 롤러(14)가 기대의 내측에 형성되는 안내홈(7)을 따라 수직 안내됨에 의해 책상 프레임(10)을 일정하게 상승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책상 프레임(10)은 사용 높이로 상승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책상 프레임(10)을 후방으로 살짝 밀어주게 되면 상기 책상 프레임(10)의 양측 전후로 설치된 롤러(14)는 상기 롤러와 동일 높이로 수평설치된 지지플레이트(15)를 따라 이동하되,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롤러 지지홈(16)에 롤러(14)가 삽입되면서 걸려 책상 프레임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책상 프레임(10)은 양측의 견인 부재(50)는 물론 지지플레이트(15)에 지지되는 상태로 지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책상으로 사용하다가 다시 침대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책상 프레임(10)을 후방으로 살짝 밀어주는 것에 의해 상기 책상 프레임(10)의 롤러(14)가 지지플레이트(15)의 롤러 지지홈(16)에서 이탈되어 원위치 됨과 동시에 침대 프레임(20)을 힌지(12)를 중심으로 전방 회동시켜 원위치 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책상 프레임(10)은 침대 양측의 견인 부재(50)에 의해 하강 안내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침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침대프레임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이불거치대(60)를 구성하여 이불이나 벼개 등을 설치하되, 상기 가스쇼바(65)에 의해 내측 힌지(62)를 중심으로 수평, 수직 절첩되어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더우기, 상기 이불거치대는 중앙에 지지봉(63)을 연결 형성하므로 상기 지지 봉에 옷걸이 등을 거치하는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구조는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책꽂이 부재를 따로 분리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책상과 일체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침대 및 책상이 수동으로 작동을 하도록 설명하고 있으나,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측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평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5': 기대 10: 책상 프레임
12: 책상 상판 20: 침대 프레임
30: 가스쇼바 50: 견인 부재
14: 롤러 7: 레일홈
13: 책꽂이 부재 51: 링크
52: 와이어 55: 도르레
15: 지지플레이트 16: 롤러 지지홈
25: 가이드봉 26: 가로 지지대
40: 사다리 45: 걸이구
60: 이불거치대

Claims (5)

  1. 양측 기대(5)(5') 사이로 하부에 책상 상판(12)이 안착되는 책상 프레임(10)과, 상부에 후방 양측이 힌지(21) 결합되고 양측이 가스쇼바(30)로 연결되어 상하 회동 절첩되는 침대 프레임(20)으로 구성되는 책상 겸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 프레임(20)과 책상 프레임(10)의 양측에는 상호 견인 부재(50)로 연결하여 상기 침대 프레임을 상하 회동 절첩함과 동시에 책상 프레임이 승하강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겸용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부재(50)는 책상 프레임(10) 측방에서 전후를 삼각형태로 지지하는 링크(51) 상단과 침대 프레임(20)의 측방을 와이어(52)로 연결하되, 상기 와이어는 기대에 설치된 도르레(55)에 의해 수직 안내되어 책상 프레임을 일정하게 승하강 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겸용 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 프레임(10)의 양측 전후단에는 상하로 복수 롤러(14)를 마련하여 양측 기대(5)(5')의 내측에 형성되는 레일홈(7)을 따라 상하 안내 이동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책상 프레임(10)의 상승된 위치에 상기 롤러(14)를 전후 안내하는 지지플레이트(15)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롤러 지지홈(16)을 형성하여 책상 프레임을 상승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밀어 롤러(7)가 롤러 지지홈(16)에 안착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겸용 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 프레임(20)의 일측에 전후로 가이드봉(25)(25)과 상기 가이드봉 전방 하부에 가로 지지대(26)를 설치하고, 통상의 사다리(40)의 상단에 전후 회동가능케 힌지(46) 결합된 걸이구(45)의 안내고리(47)를 상기 가이드봉(25)(25)에 안내되도록 삽입 설치하되,
    상기 사다리(40)가 가로 지지대(26)에 수평, 수직으로 지지 설치되도록 출몰 사용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겸용 침대.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프레임의 측방에는 이불거치대(60)를 구성하되, 상기 이불거치대는 내측이 힌지 결합되어 가스쇼바(65)에 의해 수평, 수직으로 절첩 사용하도록 이루 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겸용 침대.
KR1020090034313A 2009-04-20 2009-04-20 책상 겸용 침대 KR101062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313A KR101062510B1 (ko) 2009-04-20 2009-04-20 책상 겸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313A KR101062510B1 (ko) 2009-04-20 2009-04-20 책상 겸용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636A true KR20100115636A (ko) 2010-10-28
KR101062510B1 KR101062510B1 (ko) 2011-09-06

Family

ID=43134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313A KR101062510B1 (ko) 2009-04-20 2009-04-20 책상 겸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5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5300A (en) * 2011-10-05 2013-04-10 Craig Robinson Combination bed apparatus
CN103284495A (zh) * 2013-05-31 2013-09-11 南昌大学 一种组合式家具
CN112471817A (zh) * 2020-12-25 2021-03-12 方春 一种方便学习的学生床
CN112545242A (zh) * 2020-11-18 2021-03-26 南城弘天实业有限公司 一种带安全护栏可储物功能的公寓床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218B1 (ko) * 2021-03-08 2023-02-08 이경환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5816Y2 (ko) 1977-10-24 1980-10-27
US6401276B1 (en) 2000-01-03 2002-06-11 Loren Sherman Transfigurable furniture unit
KR200296947Y1 (ko) 2002-08-21 2002-12-05 장용건 침대 겸용 책상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5300A (en) * 2011-10-05 2013-04-10 Craig Robinson Combination bed apparatus
GB2495300B (en) * 2011-10-05 2016-02-24 Craig Robinson A combination bed apparatus
CN103284495A (zh) * 2013-05-31 2013-09-11 南昌大学 一种组合式家具
CN112545242A (zh) * 2020-11-18 2021-03-26 南城弘天实业有限公司 一种带安全护栏可储物功能的公寓床
CN112545242B (zh) * 2020-11-18 2023-12-22 重庆民意家具制造有限公司 一种带安全护栏可储物功能的公寓床
CN112471817A (zh) * 2020-12-25 2021-03-12 方春 一种方便学习的学生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2510B1 (ko) 201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510B1 (ko) 책상 겸용 침대
CN103796556A (zh) 三合一床沙发
CN201743231U (zh) 多功能升降茶几
JP2013031577A (ja) ソファ兼ベッド機能を有する多用途家具
CN102940410A (zh) 一种多功能椅子
CN106108484A (zh) 一种推拉折叠式上下床
RU155984U1 (ru) Кровать с подъёмным механизмом и ящиком для белья
CA2878573C (en) A folding sofa bed
CN209106547U (zh) 一种座椅下悬挂式书柜
CN208875788U (zh) 一体双人电动床架
CN208974487U (zh) 按摩椅骨架
CN201234735Y (zh) 一种多功能双人课桌
KR20100080119A (ko) 다기능 책장
CN205994082U (zh) 一种双层床的上床板与下床板的连接结构
CN206261255U (zh) 一种设置有帘子的新型公寓床
CN204580535U (zh) 一种座椅及包含该座椅的组合式家具
CN207803861U (zh) 一种吊床
KR200466444Y1 (ko) 선반이 구비된 침대
CN208211811U (zh) 一种新型可调节靠椅
US4031577A (en) Convertible sofa bed
CN104856489A (zh) 一种室外凳子
CN219088680U (zh) 一种前桌后椅式连体午休课桌椅
CN201591308U (zh) 一种可调椅背休闲椅
CN213282284U (zh) 一种家用多功能床
CN216316673U (zh) 一种具有储物功能的折叠沙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