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915A - 가입자국-기반 승인 제어를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 Google Patents

가입자국-기반 승인 제어를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4915A
KR20100114915A KR1020107019508A KR20107019508A KR20100114915A KR 20100114915 A KR20100114915 A KR 20100114915A KR 1020107019508 A KR1020107019508 A KR 1020107019508A KR 20107019508 A KR20107019508 A KR 20107019508A KR 20100114915 A KR20100114915 A KR 20100114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es
threshold
uplink
downlink
subscriber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9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9186B1 (ko
Inventor
톰 친
규천 이
칼 구앙밍 쉬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114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0Negotiating bandwid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입자국-기반 승인 제어를 위한 방법은 상기 가입자국에서 새로운 접속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자원 이용가능성에 기초하여 상기 새로운 접속이 승인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새로운 접속이 승인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면 상기 새로운 접속에 대한 요청을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입자국-기반 승인 제어를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METHODS AND SYSTEMS FOR SUBSCRIBER STATION-BASED ADMISSION CONTROL}
본 출원은 2008년 2월 1일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Mobile Terminal Based Admission Control in the WiMAX Radio Bandwidth Management"인 미국 임시특허출원 번호 제61/025,663호에 우선권을 주장하며, 전술한 출원은 모든 목적들을 위해 참조에 의해 본원에 완전히 통합된다.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가입자국-기반 승인 제어를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음성 및/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지칭한다. 가입자국들의 예들은 셀룰러 폰들, PDA들, 핸드헬드 장치들, 무선 모뎀들, 랩탑 컴퓨터들, 개인용 컴퓨터들 등을 포함한다. 가입자국은 대안으로, 이동국, 이동 단말, 액세스 단말, 원격국, 사용자 단말, 단말, 가입자 유닛, 사용자 장비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다수의 가입자국들에 통신을 제공할 수 있고, 각각의 가입자국은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될 수 있다. 기지국은 대안으로,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또는 일부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가입자국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상에서의 송신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다. 업링크(또는 역방향 링크)는 가입자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의 통신을 지칭하며, 다운링크(또는 순방향 링크)는 기지국으로부터 가입자국으로의 통신을 지칭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자원들(예, 대역폭 및 송신 전력)은 다중 가입자국들 간에 공유될 수 있다. 다양한 다중 액세스 기술들이 알려져 있는데, 이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분할 다중 접속(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을 포함한다.
가입자국-기반 승인 제어를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가입자국에서 새로운 접속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자원 이용가능성에 기초하여 상기 새로운 접속이 승인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새로운 접속이 승인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면 상기 새로운 접속에 대한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요청은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가입자국은 전자 전기 기술자 협회(IEEE) 802.16 표준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승인 제어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이 또한 개시된다. 상기 가입자국은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되는 명령들을 포함한다.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가입자국에서 새로운 접속에 대한 요구(demand)가 존재한다고 결정하도록 실행가능하다. 상기 명령들은 또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자원 이용가능성(resource availability)에 기초하여 상기 새로운 접속이 승인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실행가능할 수 있다. 상기 명령들은 또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새로운 접속이 승인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면 상기 새로운 접속에 대한 요청(request)을 송신하도록 실행가능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은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가입자국은 전자 전기 기술자 협회(IEEE) 802.16 표준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승인 제어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이 또한 개시된다. 상기 가입자국은 상기 가입자국에서 새로운 접속에 대한 요구(demand)가 존재한다고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입자국은 또한 자원 이용가능성(resource availability)에 기초하여 상기 새로운 접속이 승인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입자국은 또한 상기 새로운 접속이 승인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면 상기 새로운 접속에 대한 요청(request)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은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가입자국은 전자 전기 기술자 협회(IEEE) 802.16 표준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입자국-기반 승인 제어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이 또한 개시된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은 명령들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명령들은 상기 가입자국에서 새로운 접속에 대한 요구(demand)가 존재한다고 결정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들은 또한, 자원 이용가능성(resource availability)에 기초하여 상기 새로운 접속이 승인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들은 또한, 상기 새로운 접속이 승인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면 상기 새로운 접속에 대한 요청(request)을 송신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은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가입자국은 전자 전기 기술자 협회(IEEE) 802.16 표준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WiMAX 네트워크에서 프레임의 구조의 특정 양상들을 보여주는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WiMAX 네트워크에서 프레임의 구조의 추가적인 양상들을 보여주는 예를 도시한다;
도 3a는 기지국 및 가입자국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의 예, 및 기지국 및 가입자국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특정 유형들의 통신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4는 승인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새로운 접속들에 관하여 승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의 예를 도시한다;
도 5a는 도 5의 방법에 대응하는 기능 플러스 수단(means-plus-function) 블록들을 도시한다;
도 6은 새로운 대역폭 요청에 관하여 승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 6a는 도 6의 방법에 대응하는 기능 플러스 수단 블록들을 도시한다;
도 7은 새로운 접속들에 관하여 승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대안의 방법을 도시한다;
도 7a는 도 7의 방법에 대응하는 기능 플러스 수단 블록들을 도시한다;
도 8은 새로운 대역폭 요청에 관하여 승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대안의 방법을 도시한다;
도 8a는 도 8의 방법에 대응하는 기능 플러스 수단 블록들을 도시한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들 및 장치들은 광대역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용될 수 있다. 용어 "광대역 무선"은 주어진 영역에 대해 무선, 음성, 인터넷, 및/또는 데이터 네트워크 액세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지칭한다.
전자 전기 기술자 협회(Institute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s, IEEE) 802.16 광대역 무선 액세스 표준에 대한 워킹 그룹은 광대역 무선 메트로폴리탄 영역 네트워크의 글로벌 배치를 위한 공식 스펙들을 준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비록 표준들의 802.16 패밀리가 공식적으로는 WirelessMAN으로 호칭되지만, WiMAX 포럼을 칭하는 산업군에 의해서 "WiMAX"(이는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를 의미한다)로 호칭되어 왔다. 따라서, 용어 "WiMAX"는 긴 거리에 대해 높은 처리량의 광대역 접속들을 제공하는 표준-기반 광대역 무선 기술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예들의 일부는 WiMAX 표준들에 따라 구성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관련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예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WiMAX는 OFDM(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및 OFDMA(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기술에 기초한다. OFDMA는 다양한 하이-데이터-레이트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최근에 널리 채택되어 온 디지털 다중-반송파 변조 기술이다. OFDM을 이용하여, 송신 비트 스트림은 다수의 더 낮은-레이트의 서브스트림들로 분할된다. 각각의 서브스트림은 다수의 직교 서브반송파들 중 하나를 이용하여 변조되고 다수의 병렬 서브채널들 중 하나를 통해 송신된다. OFDMA는 사용자들이 상이한 시간 슬롯들에서 서브반송파들을 할당받는 다중 접속 기술이다. OFDMA는 광범위하게 변하는 애플리케이션들, 데이터 레이트들, 및 서비스 품질 요건들로 다수의 사용자들을 수용할 수 있는 유연한 다중-액세스 기술이다.
도 1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는 다수의 셀들(102)을 위한 통신을 제공하며, 상기 셀들 각각은 기지국(104)에 의해 서비스된다. 기지국(104)은 가입자국들(106)과 통신하는 고정국일 수 있다. 기지국(104)은 대안으로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또는 일부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은 네트워크(100) 도처에 분산된 다양한 가입자국들(106)을 도시한다. 가입자국들(106)은 고정(즉, 정지)되어 있거나 이동될 수 있다. 가입자국들(106)은 대안으로 이동국들, 이동 단말들, 액세스 단말들, 원격국들, 사용자 단말들, 단말들, 가입자 유닛들, 사용자 장비,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가입자국들(106)은 셀룰러 폰들, PDA들, 핸드헬드 디바이스들, 무선 모뎀들, 랩탑 컴퓨터들, 개인용 컴퓨터들 등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다양한 알고리즘들 및 방법들이 기지국들(104)과 가입자국들(106) 사이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에서의 송신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들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분할 다중 접속(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등에 따라 기지국들(104)과 가입자국들(106) 사이에 송신 및 수신될 수 있다.
기지국(104)으로부터 가입자국(106)으로의 송신을 용이하게 하는 통신 링크는 다운링크(108)로 지칭될 수 있고, 가입자국(106)로부터 기지국(104)으로의 송신을 용이하게 하는 통신 링크는 업링크(110)로 지칭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다운링크(108)는 순방향 링크 또는 순방향 채널로 지칭될 수 있고, 업링크(110)는 역방향 링크 또는 역방향 채널로 지칭될 수 있다.
셀(102)은 다중 섹터들(112)로 분할될 수 있다. 섹터(112)는 셀(102) 내의 물리적 커버리지 영역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 내의 기지국들(104)은 셀(102)의 특정 섹터(112) 내에 전력의 흐름을 집중시키는 안테나들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WiMAX 네트워크에서 프레임(214)의 구조의 특정 양상들을 보여주는 예를 도시한다. WiMAX 네트워크에서, 프레임(214)은 일정한 길이의 시간 간격이다. 시분할 듀플렉스(TDD) 동작을 위하여, 각각의 프레임(214)은 다운링크(DL) 서브-프레임(216) 및 업링크(UL) 서브-프레임(218)으로 분할된다. 다운링크 서브-프레임(216)은 프리앰블(228)에서 시작한다.
WiMAX 네트워크에서, 슬롯(224)은 대역폭을 사용자들에게 할당하는 가장 작은 유닛이다. 슬롯(224)은 슬롯 지속시간(226)(즉, 특정 개수의 심볼들(222)) 동안의 서브채널(220)(즉, 서브캐리어들(225)의 그룹)이다.
도 3은 WiMAX 네트워크에서 프레임(314)의 구조의 특정 추가적 양상들을 보여주는 예를 도시한다. 프레임(314)은 가드 간격(guard interval, 346)에 의해 분리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316) 및 업링크 서브-프레임(318)을 포함한다. 프레임(314)은 L개의 서브채널들(320)을 통해 송신된다. 프레임(314) 내에는 총 M개의 심볼들(322)이 존재하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316)에는 N개의 심볼들(322) 및 업링크 서브-프레임(318)에는 M-N개의 심볼들이 존재한다.
다운링크 서브-프레임(316)은 프리앰블(328)을 포함한다. 프리앰블(328)은 물리 계층 절차들, 예를 들어,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 및 초기 채널 추정을 위해 사용된다. 다운링크 서브-프레임(316)은 또한 프레임 제어 헤더(FCH, 330)를 포함한다. FCH(330)는 프레임(314) 구성 정보, 예를 들어 MAP 메시지 길이, 변조 및 코딩 방식, 및 사용가능한 서브캐리어들(225)을 제공한다.
다수의 사용자들이 프레임(314) 내의 데이터 영역들을 할당받고, 이들 할당들은 다운링크 MAP 메시지(332) 및 업링크 MAP 메시지(336) 내에 지정된다. MAP 메시지들(332, 336)은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버스트 프로파일을 포함하며, 이는 사용되는 변조 및 코딩 방식을 정의한다.
다운링크 서브-프레임(316)은 또한 다수의 다운링크 버스트들(334a-d)을 포함한다. 제1 다운링크 버스트(334a)는 전형적으로 업링크 MAP 메시지(336)이다. 다운링크 버스트들(334a-h)은 변하는 크기 및 타입일 수 있고, 여러 사용자들에 대한 데이터를 반송할 수 있다.
업링크 서브-프레임(318)은 다수의 업링크 버스트들(338a-h)을 포함하며, 이들은 상이한 사용자들로부터의 것들이다. 업링크 서브-프레임은 또한 레인징 채널(ranging channel, 342)을 포함하며, 이는 네트워크 진입 동안뿐만 아니라 이후에도 주기적으로 폐루프 주파수, 시간, 및 전력 조정들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레인징 채널(342)은 또한 업링크 대역폭 요청들을 행하기 위해 가입자국들(106)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업링크 서브-프레임(318)은 또한 기지국(104)에서 스케줄러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채널-품질 정보를 피드백하기 위하여 가입자국들(106)에 대한 채널-품질 표시자 채널(CQICH, 344)을 포함한다. CQICH(344)는 또한 고속 피드백 채널(344)로 지칭될 수도 있다. 업링크 서브-프레임(318)은 또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긍정응답(ACK) 채널(340)을 포함하며, 이는 다운링크 긍정응답들을 피드백하기 위하여 가입자국들(106)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a는 기지국(304A) 및 가입자국(306A)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3a는 또한 기지국(304A) 및 가입자국(306A)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특정 유형들의 통신의 예들을 도시한다.
기지국(304A)은 가입자국(306A)에 폴링(polling) 대역폭을 할당할 수 있다(302A). 폴링 대역폭은 기지국(304A)으로 대역폭 요청들(308A)을 송신하기 위하여 가입자국(306A)에 의해 사용되는 대역폭이다. 기지국(304A)은 가입자국(306A)으로 폴링 대역폭 할당(310A)을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304A)은 UL-MAP(336)에서 가입자국(306A)의 기초 접속 식별자(CID)를 표시할 수 있다.
가입자국(306A)은 폴링 대역폭 할당이 이용되지만 초과되지는 않도록, 대역폭 요청들(308A)이 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들을 선택할 수 있다(312A). 가입자국(306A)은 그 후 기지국(304A)으로 하나 이상의 대역폭 요청들(308A)을 송신할 수 있다.
수신되는 대역폭 요청들(308A)에 기초하여, 기지국(304A)은 업링크 대역폭의 하나 이상의 허가(grant, 314A)들을 가입자국(306A)에 제공할 수 있다. 가입자국(306A)은 수신되는 허가들(314A)에 따라서 데이터(316A)를 기지국(304A)에 송신할 수 있다.
도 4는 승인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406)의 예를 도시한다. 가입자국(406)은 프로세서(44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448)는 범용 단일- 또는 다중-칩 마이크로프로세서(예, ARM), 특수용 마이크로프로세서(예,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마이크로제어기,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448)는 중앙처리유닛(CPU)으로 지칭될 수 있다. 비록 단지 하나의 프로세서(448)가 도 4의 가입자국(406)에 도시되었지만, 대안의 구조에서는, 프로세서들(448)의 조합(예, ARM 및 DSP)이 사용될 수 있다.
가입자국(406)은 또한 메모리(4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50)는 전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일 수 있다. 메모리(450)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광학 저장 매체, RAM 내의 플래시 메모리 장치들, 프로세서와 함께 포함되는 온-보드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등과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것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명령들(464) 및 데이터(462)는 메모리(450) 내에 저장될 수 있다. 명령들(464)은 후술될 다양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하여 프로세서(448)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명령들(464)을 실행하는 것은 메모리(450) 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462)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가입자국(406)은 또한 송신기(454) 및 수신기(456)를 포함하여 가입자국(406) 및 기지국(304A)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허용할 수 있다. 송신기(454) 및 수신기(456)는 집합적으로 트랜시버(452)로 지칭될 수 있다. 안테나(458)는 트랜시버(452)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가입자국(406)은 또한 다수의 송신기들(454), 다수의 수신기들(456), 다수의 트랜시버들(452) 및/또는 다수의 안테나들(458)을 포함할 수 있다.
가입자국(406)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이 하나 이상의 버스들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고, 버스는 전력 버스, 제어 신호 버스, 상태 신호 버스, 데이터 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료화를 위하여, 다양한 버스들은 도 4에서 버스 시스템(460)으로서 도시된다.
가입자국(406)은 IEEE 802.16 표준(즉, WiMAX)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450) 내에 저장된 명령들(464)은 IEEE 802.16 표준에 따른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명령들(466)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메모리(450) 내에 저장된 데이터(462)는 IEEE 802.16 표준에 따른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데이터(468)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50) 내의 데이터(462)는 가입자국(406)에 의해 현재 유지되는 활성(active) 접속들(47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들(470)에 대해 유지되는 정보는 다양한 접속들(470)의 데이터 전달 서비스 유형들(472) 및 방향(473)(다운링크(108) 또는 업링크(110) 중 하나)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스포트 접속들에 대한 다음의 데이터 전달 서비스 유형들(472)이 IEEE 802.16 표준에 정의되어 있다: UGS(unsolicited grant service), ERT-VR(extended real-time variable rate), RT-VR(real-time variable rate), NRT-VR(non-real-time variable rate), 및 BE(best effort).
자발적 허가 서비스(unsolicited grant service)는 일정한 비트 레이트에서 고정-크기의 데이터 패킷들을 지원하도록 설계된다. 실시간 가변 레이트(real-time variable rate)는 실시간 서비스 플로우들을 지원하도록 설계된다(예, 스트리밍 비디오). 비-실시간 가변 레이트(non-real-time variable rate)는 최소 보장 레이트에서 가변-크기 데이터 허가들을 요하는 지연 허용(delay-tolerant) 데이터 스트림들을 지원하도록 설계된다(예, FTP). 최선의 노력(best-effort) 서비스는 최소 서비스-레벨 보장을 요하지 않는 데이터 스트림들을 지원하도록 설계된다(예, 웹 브라우징). 확장 실시간 가변 레이트(extended real-time variable rate)는 가변 데이트 레이트들을 가지지만 보장된 데이터 레이트 및 지연을 요하는 실시간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하도록 설계된다(예, 무음 억제(silence suppression)를 구비한 VoIP).
메모리(450) 내의 데이터(462)는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현재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216)에서의 슬롯들(224)의 퍼센트를 표시하는 파라미터(47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파라미터(474)는 본 명세서에서 p_DL(n)(474)으로 지칭될 수 있고, 여기서 n은 현재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216)을 표시한다. 이 파라미터 p_DL(n)(474)은 DL-MAP 메시지(332)를 판독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메모리(450) 내의 데이터(462)는 또한 송신을 위해 할당되고 있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216) 당 슬롯들(224)의 평균 퍼센트를 표시하는 파라미터(47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파라미터(476)는 본 명세서에서 Ap_DL(n)(476)으로 지칭될 수 있다. Ap_DL(n)(476)은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항 a는 지수 평균 인자(477)이다. 지수 평균 인자(477)는 현재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216) 또는 업링크 서브-프레임(218)이 이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216) 또는 업링크 서브-프레임(218)에 대해 가중되어야 하는 정도에 의존할 수 있다. 지수 평균 인자(477)는 가입자국(406)이 모바일(mobile)인지 고정(stationary)인지 여부, 얼마나 빨리 가입자국(406)이 이동하고 있는지(가입자국(406)이 모바일인 경우), 등에 의존할 수 있다. 지수 평균 인자(477)는 메모리(450) 내에 저장되는 데이터(462) 가운데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Ap_DL(n)(476)은 현재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216)(n)에서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슬롯들(224)의 퍼센트 및 이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216)(n-1)의 슬롯들의 평균 퍼센트에 기초하여 결정되었다. 그러나, Ap_DL(n)(476)은 셋 이상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216)에서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슬롯들(224)의 퍼센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450) 내의 데이터(462)는 다수의 이전 다운링크 서브-프레임(216)(예, n, n-1, n-2, n-3,…등)에서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슬롯들(224)의 퍼센트를 표시하는 추가적인 파라미터들(474)을 저장할 수 있다. 일반적인 식 Ap_DL(n)(476)은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002
메모리(450) 내의 데이터(462)는 또한 다양한 데이터 전달 서비스 유형들(472)의 접속들(470)을 위한 다운링크 대역폭 요구를 표시하는 QoS 파라미터들(478)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대역폭 관련 QoS 파라미터들(478)은 BW_DL(478)로 지칭될 수 있다. UGS 데이터 전달 유형(472)에 대한 BW_DL(478a)은 최대 지속 트래픽 레이트(Maximum Sustained Traffic Rate)와 동일할 수 있다. RT-VR 데이터 전달 유형(472)에 대한 BW_DL(478b)도 또한 최대 유지 트래픽 레이트와 동일할 수 있다. ERT-VR 데이터 전달 유형(472)에 대한 BW_DL(478c)도 또한 최대 유지 트래픽 레이트와 동일할 수 있다. NRT-VR 데이터 전달 유형(472)에 대한 BW_DL(478d)는 최소 보유 트래픽 레이트(Minimum Reserved Traffic Rate)와 동일할 수 있다. BE 데이터 전달 유형(472)에 대한 BW_DL(478e)은 대역폭을 보유할 필요가 없으므로 0과 같을 수 있다.
최대 지속 트래픽 레이트 및 최소 보유 트래픽 레이트는 가입자국(406)에서 공급될 수 있는 QoS 파라미터들이다. 접속(470)이 설정될 때, 더 높은 계층이 WiMAX 프로토콜 계층으로 방향(다운링크(108) 또는 업링크(110) 중 하나), 데이터 전달 서비스 유형(UGS, RT-VR, ERT-VR, NRT-VR, 또는 BE), QoS 파라미터들 등과 같은 접속(470)의 속성들을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450) 내의 데이터(462)는 또한 다운링크 무선-인터페이스(air interface) 용량을 표시하는 파라미터(4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파라미터(480)는 C_DL(480)으로 지칭될 수 있다. C_DL(480)은 가입자국(406)에서 사전-공급될 수 있다.
메모리(450) 내의 데이터(462)는 또한 새로운 접속들(470)이 승인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다운링크(108)에 대응하는 임계값을 표시하는 파라미터(4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파라미터(482)는 Threshold_DL (482)로 지칭될 수 있다. Threshold_DL(482)은 가입자국(406)에서 사전-공급될 수 있다.
메모리(450) 내의 데이터(462)는 또한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현재의 업링크 서브-프레임(218)에서 슬롯들(224)의 퍼센트를 표시하는 파라미터(48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파라미터(486)는 p_UL(n)(486)으로 지칭될 수 있고, 여기서 n은 현재의 업링크 서브-프레임(218)을 표시한다. 이 파라미터 p_UL(n)(486)은 UL-MAP 메시지(336)를 판독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메모리(450) 내의 데이터(462)는 또한 송신을 위해 할당되고 있는 업링크 서브-프레임(216) 당 슬롯들(224)의 평균 퍼센트를 표시하는 파라미터(488)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파라미터(488)는 본 명세서에서 Ap_UL(n)(488)으로 지칭될 수 있다. Ap_UL(n)(488)은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003
항 a는 지수 평균 인자(477)이다. 상기 예에서, Ap_UL(n)(488)은 현재의 업링크 서브-프레임(218)에서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슬롯들(224)의 퍼센트 및 이전의 업링크 서브-프레임(218)(n-1)의 슬롯들의 평균 퍼센트에 기초하여 결정되었다. 그러나, Ap_UL(n)(488)은 셋 이상의 업링크 서브-프레임(218)에서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슬롯들(224)의 퍼센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450) 내의 데이터(462)는 다수의 이전 업링크 서브-프레임(218)(예, n, n-1, n-2, n-3, … 등)에서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슬롯들(224)의 퍼센트를 표시하는 추가적인 파라미터들(488)을 저장할 수 있다. 일반적인 식 Ap_UL(n)(488)은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004
메모리(450) 내의 데이터(462)는 또한 다양한 데이터 전달 서비스 유형들(472)의 접속들(470)을 위한 업링크 대역폭 요구를 표시하는 파라미터들(49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파라미터들(490)은 BW_UL(490)로 지칭될 수 있다. UGS 유형(472)에 대한 BW_UL(490a)은 최대 지속 트래픽 레이트(Maximum Sustained Traffic Rate)와 동일할 수 있다. RT-VR 유형(472)에 대한 BW_UL(490b)도 또한 최대 유지 트래픽 레이트와 동일할 수 있다. ERT-VR 데이터 전달 유형(472)에 대한 BW_UL(490c)도 또한 최대 유지 트래픽 레이트와 동일할 수 있다. NRT-VR 유형(472)에 대한 BW_UL(490d)는 최소 보유 트래픽 레이트(Minimum Reserved Traffic Rate)와 동일할 수 있다. BE 유형(472)에 대한 BW_UL(490e)은 대역폭을 보유할 필요가 없으므로 0과 같을 수 있다.
메모리(450) 내의 데이터(462)는 또한 업링크 무선-인터페이스 용량을 표시하는 파라미터(49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파라미터(492)는 C_UL(492)로 지칭될 수 있다. C_UL(492)은 가입자국(406)에서 사전-공급될 수 있다.
메모리(450) 내의 데이터(462)는 또한 새로운 접속들(470)이 승인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업링크(110)에 대응하는 임계값을 표시하는 파라미터(49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파라미터(494)는 Threshold_UL (494)로 지칭될 수 있다. Threshold_UL(494)은 가입자국(406)에서 사전-공급될 수 있다.
메모리(450) 내의 데이터(462)는 또한 새로운 대역폭 요청들(308A)이 송신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업링크(110)에 대응하는 임계값을 표시하는 파라미터(49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파라미터(496)는 Threshold_UL_1(496)로 지칭될 수 있다. Threshold_UL_1(496)은 가입자국(406)에서 사전-공급될 수 있다.
메모리(450) 내의 명령들(464)은 또한 새로운 접속들(470)에 관한 승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498)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50) 내의 명령들(464)은 또한 대역폭 요청들(308A)에 관하여 승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499)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새로운 접속들(470)에 관하여 승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500)의 예를 도시한다. 가입자국(406)은 도시된 방법(500)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입자국(406)의 프로세서(448)는 도시된 방법(500)을 실행하기 위하여 가입자국(406)의 메모리(450)에 저장되는 접속 승인 제어 명령들(498)을 실행할 수 있다.
방법(500)은 가입자국(406)에서의 거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502)를 포함할 수 있다. 새로운 다운링크 접속(470)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고 결정되면(504), 방법(500)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고 있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216) 당 슬롯들(224)의 평균 퍼센트(즉, Ap_DL(n)(476))를 결정하는 단계(506)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500)은 또한 새로운 접속(470)을 위한 다운링크 대역폭 요구(즉, BW_DL(478))를 결정하는 단계(508)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500)은 또한, 다운링크 무선-인터페이스 용량(즉, C_DL(480))을 결정하는 단계(510)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500)은 또한 다음의 수식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512)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00005
수식 (3)의 값은 그 후 다운링크 임계값(Threshold_DL(482))과 비교될 수 있다. 수식 (3)의 값이 Threshold_DL(482)보다 작다고 결정되면(514), 새로운 접속(470)이 승인되어야 하고 이 새로운 접속을 설정하기 위하여 요청이 기지국(104)으로 송신될 수 있다(516). 그러나, 수식 (3)의 값이 Threshold_DL(482)보다 작지 않다고 결정되면(514), 새로운 접속(470)이 승인되지 않아야 한다고 결정될 수 있다(518).
방법(500)은 새로운 업링크 접속(470)에 대한 요구가 존재함을 결정하는 단계(522)를 포함할 수 있다. 새로운 업링크 접속(470)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고 결정되면(522), 방법(500)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고 있는 업링크 서브-프레임(218) 당 슬롯들(224)의 평균 퍼센트(즉, Ap_UL(n)(488))를 결정하는 단계(524)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500)은 또한 새로운 접속(470)을 위한 업링크 대역폭 요구(즉, BW_UL(490))를 결정하는 단계(526)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500)은 또한, 업링크 무선-인터페이스 용량(즉, C_UL(492))을 결정하는 단계(528)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500)은 또한 다음 수식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530)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00006
수식 (4)의 값은 그 후 업링크 임계값(Threshold_UL(494))과 비교될 수 있다. 수식 (4)의 값이 Threshold_UL(494)보다 작다고 결정되면, 새로운 접속(470)이 승인되어야 하고 이 새로운 접속을 설정하기 위하여 요청이 기지국(104)으로 송신될 수 있다(516). 그러나, 수식 (4)의 값이 Threshold_UL(494)보다 작지 않다고 결정되면, 새로운 접속(470)이 승인되지 않아야 한다고 결정될 수 있다(518).
따라서, 도 5는 새로운 접속(470)이 자원 이용가능성에 기반하여 승인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가입자국(406)이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용어 자원 이용가능성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의 자원들이 이용되고 있는 정도,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의 혼잡의 레벨을 지칭한다.
전술한 도 5의 방법(500)은 도 5a에 도시된 기능 플러스 수단 블록들(500A)에 대응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5에 도시된 블록들(502 내지 532)은 도 5a에 도시된 기능 플러스 수단 블록들(502A 내지 532A)에 대응한다.
도 6은 새로운 대역폭 요청(308A)에 관하여 승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600)을 도시한다. 가입자국(406)은 도시된 방법(600)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입자국(406)의 프로세서(448)는 도시된 방법(600)을 실행하기 위하여 가입자국(406)의 메모리(450)에 저장되어 있는 대역폭 요청 승인 제어 명령들(499)을 실행할 수 있다.
방법(600)은 가입자국(406)에서의 거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602)를 포함할 수 있다. 새로운 대역폭 요청(308A)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고 결정되면(604), 방법(600)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고 있는 업링크 서브-프레임(218) 당 슬롯들(224)의 평균 퍼센트(즉, Ap_UL(n)(488))를 결정하는 단계(606)를 포함할 수 있다. Ap_UL(n)(488)의 값은 그 후 임계값(즉, Threshold_UL_1(496))과 비교될 수 있다. Ap_UL(n)(488)이 Threshold_UL_1(496)보다 크다고 결정되면, 대역폭 요청(308A)이 송신되지 않아야 한다고 결정될 수 있다(610). 그러나, Ap_UL(n)(488)이 Threshold_UL_1(496)보다 작다고 결정되면, 대역폭 요청(308A)이 송신되어야 한다고 결정될 수 있고, 대역폭 요청(308A)은 기지국(304A)으로 송신될 수 있다(612).
따라서, 도 6은 대역폭 요청(308A)이 자원 이용가능성에 기반하여 승인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가입자국(406)이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다. 전술한 것처럼, 용어 자원 이용가능성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의 자원들이 이용되고 있는 정도,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의 혼잡의 레벨을 지칭한다. 전술한 도 6의 방법(600)은 도 6a에 도시된 기능 플러스 수단 블록들(600A)에 대응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6에 도시된 블록들(602 내지 612)은 도 6a에 도시된 기능 플러스 수단 블록들(602A 내지 612A)에 대응한다.
도 7은 새로운 접속들(470)에 관하여 승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대안의 방법(700)을 도시한다. 가입자국(406)은 도시된 방법(700)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입자국(406)의 프로세서(448)는 도시된 방법(700)을 실행하기 위하여 가입자국(406)의 메모리(450)에 저장되는 접속 승인 제어 명령들(498)을 실행할 수 있다.
방법(700)은 가입자국(406)에서의 거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702)를 포함할 수 있다. 새로운 다운링크 접속(470)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고 결정되면(704), 방법(700)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고 있는 현재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216)에서 슬롯들(224)의 퍼센트(즉, p_DL(n)(474))를 결정하는 단계(706)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700)은 또한 새로운 접속(470)을 위한 다운링크 대역폭 요구(즉, BW_DL(478))를 결정하는 단계(708)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700)은 또한, 다운링크 무선-인터페이스 용량(즉, C_DL(480))을 결정하는 단계(710)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700)은 또한 다음의 수식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712)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00007
수식 (5)의 값은 그 후 다운링크 임계값(Threshold_DL(482))과 비교될 수 있다. 수식 (5)의 값이 Threshold_DL(482)보다 작다고 결정되면(714), 새로운 접속(470)이 승인되어야 하고 이 새로운 접속을 설정하기 위하여 요청이 기지국(104)으로 송신될 수 있다(716). 그러나, 수식 5의 값이 Threshold_DL(482)보다 작지 않다고 결정되면(714), 새로운 접속(470)이 승인되지 않아야 한다고 결정될 수 있다(718).
방법(700)은 새로운 업링크 접속(470)에 대한 요구가 존재함을 결정하는 단계(722)를 포함할 수 있다. 새로운 업링크 접속(470)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고 결정되면(722), 방법(700)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고 있는 현재의 업링크 서브-프레임(218)에서 슬롯들(224)의 퍼센트(즉, p_UL(n)(486))를 결정하는 단계(724)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700)은 또한 새로운 접속(470)을 위한 업링크 대역폭 요구(즉, BW_UL(490))를 결정하는 단계(726)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700)은 또한, 업링크 무선-인터페이스 용량(즉, C_UL(492))을 결정하는 단계(728)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700)은 또한 다음 수식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730)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00008
수식 (6)의 값은 그 후 업링크 임계값(Threshold_UL(494))과 비교될 수 있다. 수식 (6)의 값이 Threshold_UL(494)보다 작다고 결정되면, 새로운 접속(470)이 승인되어야 하고 이 새로운 접속을 설정하기 위하여 요청이 기지국(104)으로 송신될 수 있다(716). 그러나, 수식 (6)의 값이 Threshold_UL(494)보다 작지 않다고 결정되면, 새로운 접속(470)이 승인되지 않아야 한다고 결정될 수 있다(718).
따라서, 도 7은 새로운 접속(470)이 자원 이용가능성에 기반하여 승인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가입자국(406)이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다. 전술한 것처럼, 용어 자원 이용가능성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의 자원들이 이용되고 있는 정도,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의 혼잡의 레벨을 지칭한다. 전술한 도 7의 방법(700)은 도 7a에 도시된 기능 플러스 수단 블록들(700A)에 대응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7에 도시된 블록들(702 내지 732)은 도 7a에 도시된 기능 플러스 수단 블록들(702A 내지 732A)에 대응한다.
도 8은 새로운 대역폭 요청(308A)에 관하여 승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대안의 방법(800)을 도시한다. 가입자국(406)은 도시된 방법(800)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입자국(406)의 프로세서(448)는 도시된 방법(800)을 실행하기 위하여 가입자국(406)의 메모리(450)에 저장되어 있는 대역폭 요청 승인 제어 명령들(499)을 실행할 수 있다.
방법(800)은 가입자국(406)에서의 거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802)를 포함할 수 있다. 새로운 대역폭 요청(308A)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고 결정되면(804), 방법(800)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현재의 업링크 서브-프레임(218)에서 슬롯들(224)의 퍼센트(즉, p_UL(n)(486))를 결정하는 단계(806)를 포함할 수 있다. p_UL(n)(486)의 값은 그 후 임계값(즉, Threshold_UL_1(496))과 비교될 수 있다. p_UL(n)(486)이 Threshold_UL_1(496)보다 크다고 결정되면, 대역폭 요청(308A)이 송신되지 않아야 한다고 결정될 수 있다(810). 그러나, p_UL(n)(486)이 Threshold_UL_1(496)보다 작다고 결정되면, 대역폭 요청(308A)이 송신되어야 한다고 결정될 수 있고, 대역폭 요청(308A)은 기지국(104)으로 송신될 수 있다(812).
따라서, 도 8은 대역폭 요청(308A)이 자원 이용가능성에 기반하여 승인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가입자국(406)이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전술한 것처럼, 용어 자원 이용가능성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의 자원들이 이용되고 있는 정도,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의 혼잡의 레벨을 지칭한다. 전술한 도 8의 방법(800)은 도 8a에 도시된 기능 플러스 수단 블록들(800A)에 대응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8에 도시된 블록들(802 내지 812)은 도 8a에 도시된 기능 플러스 수단 블록들(802A 내지 812A)에 대응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결정"은 매우 다양한 행위들을 포함하며, 따라서 "결정"은 계산, 컴퓨팅, 프로세싱, 유도, 조사, 검색(예를 들어, 표,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의 검색), 확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은 수신(예를 들어, 정보를 수신), 액세스(예를 들어, 메모리 내의 데이터를 액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정"은 해결(resolving), 선택(selecting), 선정(choosing), 확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 "~에 기반하여"는 명시적으로 달리 지정되지 않는 한 "~에만 기반하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해서, 구 "~에 기반하여"는 "~에만 기반하여"와 "적어도 ~에 기반하여" 모두를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코드" 및 "명령들"은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판독가능 표현(statement)(들)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용어들 "코드" 및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함수들, 프로시저들,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과 관련하여 기재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반도체(ASIC),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신호(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디자인된 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으나,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조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과 관련하여 기재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저장매체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저장 매체의 일부 예들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휴대용 디스크, CD-ROM, 등을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단일 명령, 또는 많은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고 여러 상이한 코드 세그먼트들에 대해, 상이한 프로그램들 사이에, 그리고 다수의 저장 매체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저장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프로세서에 결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내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은 기재된 방법을 성취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계들 또는 행위들을 포함한다. 방법 단계들 및/또는 행위들은 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서로 교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단계들 또는 행위들의 특정 순서가 지정되지 않는 한, 특정 단계들 및/또는 행위들의 순서 및/또는 사용은 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될 수 있다.
기재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로서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한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운반하거나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disk 및 disc은 컴팩트 disc(CD), 레이저 disc, 광 disc, DVD, 플로피 disk, 및 블루-레이®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disk들은 통상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disc들은 레이저를 통해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들은 송신 매체를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적외선, 무선(radio),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송신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radio),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송신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5 - 도 8에 도시된 것들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들 및/또는 기술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들은 적용가능할 때 가입자국 및/또는 기지국에 의해 다운로드 및/또는 달리 획득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들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버에 결합될 수 있다. 대안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방법들은 저장 수단들(예,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콤팩트 디스크(CD) 또는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어서, 가입자국 및/또는 기지국은 디바이스에 저장 수단들을 결합 또는 제공할 때 다양한 방법들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들 및 기술들을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청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정확한 구조 및 컴포넌트들로 제한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청구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배열, 동작 및 세부적인 시스템들, 방법들, 및 장치들에 있어서 다양한 수정들, 변경들 및 변화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40)

  1. 가입자국에 의해 구현되는, 가입자국-기반 승인 제어를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가입자국에서 새로운 접속에 대한 요구(demand)가 존재한다고 결정하는 단계;
    자원 이용가능성(resource availability)에 기초하여 상기 새로운 접속이 승인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새로운 접속이 승인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면 상기 새로운 접속에 대한 요청(request)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입자국-기반 승인 제어를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접속이 승인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송신을 위해 할당되고 있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당 슬롯들의 평균 퍼센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송신을 위해 할당되고 있는 업링크 프레임 당 슬롯들의 평균 퍼센트를 결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입자국-기반 승인 제어를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Ap_DL(n) + BW_DL / C_DL < Threshold_DL인 경우, 새로운 다운링크 접속이 승인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며;
    여기서, Ap_DL(n)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고 있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당 슬롯들의 평균 퍼센트를 표시하고;
    BW_DL은 상기 새로운 다운링크 접속에 대한 다운링크 대역폭 요구를 표시하고;
    C_DL은 다운링크 무선-인터페이스 용량을 표시하고; 그리고
    Threshold_DL은 다운링크 임계값을 표시하는,
    가입자국-기반 승인 제어를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Ap_UL(n) + BW_UL / C_UL < Threshold_UL인 경우, 새로운 업링크 접속이 승인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며;
    여기서, Ap_UL(n)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고 있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당 슬롯들의 평균 퍼센트를 표시하고;
    BW_UL은 상기 새로운 업링크 접속에 대한 업링크 대역폭 요구를 표시하고;
    C_UL은 업링크 무선-인터페이스 용량을 표시하고; 그리고
    Threshold_UL은 업링크 임계값을 표시하는,
    가입자국-기반 승인 제어를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접속이 승인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현재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슬롯들의 퍼센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현재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슬롯들의 퍼센트를 결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입자국-기반 승인 제어를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p_DL(n) + BW_DL / C_DL < Threshold_DL인 경우, 새로운 다운링크 접속이 승인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며;
    여기서, p_DL(n)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현재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슬롯들의 퍼센트를 표시하고;
    BW_DL은 상기 새로운 다운링크 접속에 대한 다운링크 대역폭 요구를 표시하고;
    C_DL은 다운링크 무선-인터페이스 용량을 표시하고; 그리고
    Threshold_DL은 다운링크 임계값을 표시하는,
    가입자국-기반 승인 제어를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p_UL(n) + BW_UL / C_UL < Threshold_UL인 경우, 새로운 업링크 접속이 승인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며;
    여기서, p_UL(n)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현재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슬롯들의 퍼센트를 표시하고;
    BW_UL은 상기 새로운 업링크 접속에 대한 업링크 대역폭 요구를 표시하고;
    C_UL은 업링크 무선-인터페이스 용량을 표시하고; 그리고
    Threshold_UL은 업링크 임계값을 표시하는,
    가입자국-기반 승인 제어를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국에 의해 송신될 대역폭 요청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고 결정하는 단계;
    자원 이용가능성에 기초하여 상기 대역폭 요청이 송신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대역폭 요청이 송신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면, 상기 대역폭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가입자국-기반 승인 제어를 위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Ap_UL(n) < Threshold_UL_1인 경우, 상기 대역폭 요청이 송신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며, 여기서, Ap_DL(n)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고 있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당 슬롯들의 평균 퍼센트를 표시하고, Threshold_UL_1은 대역폭 요청 임계값을 표시하는,
    가입자국-기반 승인 제어를 위한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p_UL(n) < Threshold_UL_1인 경우, 상기 대역폭 요청이 송신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며, 여기서, p_UL(n)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현재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슬롯들의 퍼센트를 표시하고, Threshold_UL_1은 대역폭 요청 임계값을 표시하는,
    가입자국-기반 승인 제어를 위한 방법.
  11. 승인 제어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으로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되는 명령들
    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가입자국에서 새로운 접속에 대한 요구(demand)가 존재한다고 결정하고;
    자원 이용가능성(resource availability)에 기초하여 상기 새로운 접속이 승인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새로운 접속이 승인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면 상기 새로운 접속에 대한 요청(request)을 송신하도록
    실행가능한,
    승인 제어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접속이 승인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고 있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당 슬롯들의 평균 퍼센트를 결정하는 것; 및
    송신을 위해 할당되고 있는 업링크 프레임 당 슬롯들의 평균 퍼센트를 결정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승인 제어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
  13. 제 11 항에 있어서,
    Ap_DL(n) + BW_DL / C_DL < Threshold_DL인 경우, 새로운 다운링크 접속이 승인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며;
    여기서, Ap_DL(n)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고 있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당 슬롯들의 평균 퍼센트를 표시하고;
    BW_DL은 상기 새로운 다운링크 접속에 대한 다운링크 대역폭 요구를 표시하고;
    C_DL은 다운링크 무선-인터페이스 용량을 표시하고; 그리고
    Threshold_DL은 다운링크 임계값을 표시하는,
    승인 제어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
  14. 제 11 항에 있어서,
    Ap_UL(n) + BW_UL / C_UL < Threshold_UL인 경우, 새로운 업링크 접속이 승인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며;
    여기서, Ap_UL(n)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고 있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당 슬롯들의 평균 퍼센트를 표시하고;
    BW_UL은 상기 새로운 업링크 접속에 대한 업링크 대역폭 요구를 표시하고;
    C_UL은 업링크 무선-인터페이스 용량을 표시하고; 그리고
    Threshold_UL은 업링크 임계값을 표시하는,
    승인 제어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접속이 승인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현재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슬롯들의 퍼센트를 결정하는 것; 및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현재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슬롯들의 퍼센트를 결정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승인 제어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
  16. 제 11 항에 있어서,
    p_DL(n) + BW_DL / C_DL < Threshold_DL인 경우, 새로운 다운링크 접속이 승인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며;
    여기서, p_DL(n)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현재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슬롯들의 퍼센트를 표시하고;
    BW_DL은 상기 새로운 다운링크 접속에 대한 다운링크 대역폭 요구를 표시하고;
    C_DL은 다운링크 무선-인터페이스 용량을 표시하고; 그리고
    Threshold_DL은 다운링크 임계값을 표시하는,
    승인 제어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
  17. 제 11 항에 있어서,
    p_UL(n) + BW_UL / C_UL < Threshold_UL인 경우, 새로운 업링크 접속이 승인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며;
    여기서, p_UL(n)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현재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슬롯들의 퍼센트를 표시하고;
    BW_UL은 상기 새로운 업링크 접속에 대한 업링크 대역폭 요구를 표시하고;
    C_UL은 업링크 무선-인터페이스 용량을 표시하고; 그리고
    Threshold_UL은 업링크 임계값을 표시하는,
    승인 제어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또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가입자국에 의해 송신될 대역폭 요청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고 결정하고;
    자원 이용가능성에 기초하여 상기 대역폭 요청이 송신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대역폭 요청이 송신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면, 상기 대역폭 요청을 송신하도록
    실행가능한,
    승인 제어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
  19. 제 18 항에 있어서,
    Ap_UL(n) < Threshold_UL_1인 경우, 상기 대역폭 요청이 송신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며, 여기서, Ap_DL(n)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고 있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당 슬롯들의 평균 퍼센트를 표시하고, Threshold_UL_1은 대역폭 요청 임계값을 표시하는,
    승인 제어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
  20. 제 18 항에 있어서,
    p_UL(n) < Threshold_UL_1인 경우, 상기 대역폭 요청이 송신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며, 여기서, p_UL(n)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현재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슬롯들의 퍼센트를 표시하고, Threshold_UL_1은 대역폭 요청 임계값을 표시하는,
    승인 제어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
  21. 승인 제어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으로서,
    상기 가입자국에서 새로운 접속에 대한 요구(demand)가 존재한다고 결정하기 위한 수단;
    자원 이용가능성(resource availability)에 기초하여 상기 새로운 접속이 승인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새로운 접속이 승인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면 상기 새로운 접속에 대한 요청(request)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승인 제어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접속이 승인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고 있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당 슬롯들의 평균 퍼센트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송신을 위해 할당되고 있는 업링크 프레임 당 슬롯들의 평균 퍼센트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승인 제어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
  23. 제 21 항에 있어서,
    Ap_DL(n) + BW_DL / C_DL < Threshold_DL인 경우, 새로운 다운링크 접속이 승인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며;
    여기서, Ap_DL(n)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고 있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당 슬롯들의 평균 퍼센트를 표시하고;
    BW_DL은 상기 새로운 다운링크 접속에 대한 다운링크 대역폭 요구를 표시하고;
    C_DL은 다운링크 무선-인터페이스 용량을 표시하고; 그리고
    Threshold_DL은 다운링크 임계값을 표시하는,
    승인 제어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
  24. 제 21 항에 있어서,
    Ap_UL(n) + BW_UL / C_UL < Threshold_UL인 경우, 새로운 업링크 접속이 승인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며;
    여기서, Ap_UL(n)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고 있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당 슬롯들의 평균 퍼센트를 표시하고;
    BW_UL은 상기 새로운 업링크 접속에 대한 업링크 대역폭 요구를 표시하고;
    C_UL은 업링크 무선-인터페이스 용량을 표시하고; 그리고
    Threshold_UL은 업링크 임계값을 표시하는,
    승인 제어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접속이 승인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현재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슬롯들의 퍼센트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현재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슬롯들의 퍼센트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승인 제어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
  26. 제 21 항에 있어서,
    p_DL(n) + BW_DL / C_DL < Threshold_DL인 경우, 새로운 다운링크 접속이 승인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며;
    여기서, p_DL(n)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현재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슬롯들의 퍼센트를 표시하고;
    BW_DL은 상기 새로운 다운링크 접속에 대한 다운링크 대역폭 요구를 표시하고;
    C_DL은 다운링크 무선-인터페이스 용량을 표시하고; 그리고
    Threshold_DL은 다운링크 임계값을 표시하는,
    승인 제어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
  27. 제 21 항에 있어서,
    p_UL(n) + BW_UL / C_UL < Threshold_UL인 경우, 새로운 업링크 접속이 승인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며;
    여기서, p_UL(n)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현재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슬롯들의 퍼센트를 표시하고;
    BW_UL은 상기 새로운 업링크 접속에 대한 업링크 대역폭 요구를 표시하고;
    C_UL은 업링크 무선-인터페이스 용량을 표시하고; 그리고
    Threshold_UL은 업링크 임계값을 표시하는,
    승인 제어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국에 의해 송신될 대역폭 요청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고 결정하기 위한 수단;
    자원 이용가능성에 기초하여 상기 대역폭 요청이 송신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대역폭 요청이 송신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면, 상기 대역폭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승인 제어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
  29. 제 28 항에 있어서,
    Ap_UL(n) < Threshold_UL_1인 경우, 상기 대역폭 요청이 송신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며, 여기서, Ap_DL(n)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고 있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당 슬롯들의 평균 퍼센트를 표시하고, Threshold_UL_1은 대역폭 요청 임계값을 표시하는,
    승인 제어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
  30. 제 28 항에 있어서,
    p_UL(n) < Threshold_UL_1인 경우, 상기 대역폭 요청이 송신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며, 여기서, p_UL(n)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현재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슬롯들의 퍼센트를 표시하고, Threshold_UL_1은 대역폭 요청 임계값을 표시하는,
    승인 제어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가입자국.
  31. 가입자국-기반 승인 제어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가입자국에서 새로운 접속에 대한 요구(demand)가 존재한다고 결정하기 위한 코드;
    자원 이용가능성(resource availability)에 기초하여 상기 새로운 접속이 승인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새로운 접속이 승인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면 상기 새로운 접속에 대한 요청(request)을 송신하기 위한 코드
    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접속이 승인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는,
    송신을 위해 할당되고 있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당 슬롯들의 평균 퍼센트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 및
    송신을 위해 할당되고 있는 업링크 프레임 당 슬롯들의 평균 퍼센트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3. 제 31 항에 있어서,
    Ap_DL(n) + BW_DL / C_DL < Threshold_DL인 경우, 새로운 다운링크 접속이 승인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며;
    여기서, Ap_DL(n)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고 있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당 슬롯들의 평균 퍼센트를 표시하고;
    BW_DL은 상기 새로운 다운링크 접속에 대한 다운링크 대역폭 요구를 표시하고;
    C_DL은 다운링크 무선-인터페이스 용량을 표시하고; 그리고
    Threshold_DL은 다운링크 임계값을 표시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4. 제 31 항에 있어서,
    Ap_UL(n) + BW_UL / C_UL < Threshold_UL인 경우, 새로운 업링크 접속이 승인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며;
    여기서, Ap_UL(n)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고 있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당 슬롯들의 평균 퍼센트를 표시하고;
    BW_UL은 상기 새로운 업링크 접속에 대한 업링크 대역폭 요구를 표시하고;
    C_UL은 업링크 무선-인터페이스 용량을 표시하고; 그리고
    Threshold_UL은 업링크 임계값을 표시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접속이 승인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는,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현재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슬롯들의 퍼센트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 및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현재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슬롯들의 퍼센트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6. 제 31 항에 있어서,
    p_DL(n) + BW_DL / C_DL < Threshold_DL인 경우, 새로운 다운링크 접속이 승인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며;
    여기서, p_DL(n)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현재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슬롯들의 퍼센트를 표시하고;
    BW_DL은 상기 새로운 다운링크 접속에 대한 다운링크 대역폭 요구를 표시하고;
    C_DL은 다운링크 무선-인터페이스 용량을 표시하고; 그리고
    Threshold_DL은 다운링크 임계값을 표시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37. 제 31 항에 있어서,
    p_UL(n) + BW_UL / C_UL < Threshold_UL인 경우, 새로운 업링크 접속이 승인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며;
    여기서, p_UL(n)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현재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슬롯들의 퍼센트를 표시하고;
    BW_UL은 상기 새로운 업링크 접속에 대한 업링크 대역폭 요구를 표시하고;
    C_UL은 업링크 무선-인터페이스 용량을 표시하고; 그리고
    Threshold_UL은 업링크 임계값을 표시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8.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가입자국에 의해 송신될 대역폭 요청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고 결정하기 위한 코드;
    자원 이용가능성에 기초하여 상기 대역폭 요청이 송신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대역폭 요청이 송신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면, 상기 대역폭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코드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9. 제 38 항에 있어서,
    Ap_UL(n) < Threshold_UL_1인 경우, 상기 대역폭 요청이 송신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며, 여기서, Ap_DL(n)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고 있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당 슬롯들의 평균 퍼센트를 표시하고, Threshold_UL_1은 대역폭 요청 임계값을 표시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0. 제 38 항에 있어서,
    p_UL(n) < Threshold_UL_1인 경우, 상기 대역폭 요청이 송신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며, 여기서, p_UL(n)은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현재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슬롯들의 퍼센트를 표시하고, Threshold_UL_1은 대역폭 요청 임계값을 표시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KR1020107019508A 2008-02-01 2009-01-30 가입자국-기반 승인 제어를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KR101179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66308P 2008-02-01 2008-02-01
US61/025,663 2008-02-01
US12/131,912 US8693408B2 (en) 2008-02-01 2008-06-02 Methods and systems for subscriber station-based admission control
US12/131,912 2008-06-02
PCT/US2009/032685 WO2009099957A1 (en) 2008-02-01 2009-01-30 Methods and systems for subscriber station-based admission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915A true KR20100114915A (ko) 2010-10-26
KR101179186B1 KR101179186B1 (ko) 2012-09-03

Family

ID=40932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9508A KR101179186B1 (ko) 2008-02-01 2009-01-30 가입자국-기반 승인 제어를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693408B2 (ko)
EP (1) EP2253169A1 (ko)
JP (2) JP2011511581A (ko)
KR (1) KR101179186B1 (ko)
CN (1) CN101933379B (ko)
BR (1) BRPI0906671A2 (ko)
CA (1) CA2713721A1 (ko)
RU (1) RU2518376C2 (ko)
TW (1) TW200948122A (ko)
WO (1) WO20090999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5631B2 (en) * 2008-12-18 2011-06-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load-adaptive backoff for WiMAX ranging
EP3334215B1 (en) 2010-04-22 2019-08-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ngestion/overload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N107078862B (zh) 2014-10-13 2021-06-25 瑞典爱立信有限公司 Harq过程反馈的灵活配置
EP3207651B1 (en) 2014-10-13 2018-06-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rq feedback reporting based on mirrored information copied from resource-assignment message
US10523583B2 (en) 2016-09-16 2019-12-31 At&T Mobility Ii Llc Media-aware radio access network packet scheduling
SG11202002184TA (en) * 2017-09-15 2020-04-2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resources
JP7002657B2 (ja) 2017-12-28 2022-01-20 北京小米移動軟件有限公司 伝送方向情報を確定する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6376A (en) 1996-12-13 1999-04-20 Ericsson Inc. Optimal use of logical channels with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6226277B1 (en) 1997-10-14 2001-05-01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admitting new connections based on usage priorities in a multiple access system for communications networks
KR100272109B1 (ko) 1998-08-21 2000-11-15 윤종용 효율적 무선 자원 할당을 위한 무선통신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US6925068B1 (en) * 1999-05-21 2005-08-02 Wi-La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bandwidth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738625B1 (en) * 2000-05-11 2004-05-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homing and resource sharing in communications networks
EP1327374B1 (en) * 2000-10-09 2009-07-22 Spyder Navigations L.L.C. Service priorities in multi-cell network
GB0114965D0 (en) * 2001-06-19 2001-08-08 Nokia Corp Radio resource management
JP3788908B2 (ja) 2000-12-28 2006-06-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受付制御装置及びその新規接続受付制御方法
KR100547852B1 (ko) 2002-01-09 2006-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 수락 방법
JP4032028B2 (ja) * 2002-02-08 2008-01-16 富士通株式会社 局側装置および局側装置におけるリソース割当方法並びに移動通信システム
US7317682B2 (en) 2003-09-04 2008-01-08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Passive and distributed admission control method for ad hoc networks
CN100488111C (zh) 2005-05-15 2009-05-13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终端感知业务的wimax动态qos实现方法
EP1739902B1 (en) * 2005-06-27 2016-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transmission of data packets in a multichanne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GB2427980B (en) * 2005-07-01 2007-10-10 Toshiba Res Europ Ltd Means and method of allocating channel bandwidth
JP4612523B2 (ja) 2005-10-13 2011-0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
JP4750607B2 (ja) * 2006-04-05 2011-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70259692A1 (en) * 2006-04-17 2007-11-08 Muthaiah Venkatachalam Radio resource management architectures for internet protocol based radio access networks with radio resource control in base stations
US20070298808A1 (en) * 2006-06-27 2007-12-27 Vic Pan Managing wireless backhaul communications
JP4943072B2 (ja) 2006-06-29 2012-05-30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及び基地局装置
KR20090023050A (ko) * 2007-08-29 2009-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통신시스템에서 부하균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7933557B1 (en) * 2007-12-05 2011-04-26 Cellco Partnership Methodology to analyze sector capacity in data-only mobile-wireles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48122A (en) 2009-11-16
US8693408B2 (en) 2014-04-08
CN101933379B (zh) 2014-11-05
BRPI0906671A2 (pt) 2018-01-16
RU2518376C2 (ru) 2014-06-10
JP2011511581A (ja) 2011-04-07
US20090197611A1 (en) 2009-08-06
JP5547353B1 (ja) 2014-07-09
KR101179186B1 (ko) 2012-09-03
CN101933379A (zh) 2010-12-29
WO2009099957A1 (en) 2009-08-13
EP2253169A1 (en) 2010-11-24
CA2713721A1 (en) 2009-08-13
RU2010136701A (ru) 2012-03-20
JP2014140221A (ja)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408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iority-based service requests, grants for service admission and network congestion control
US867041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ra-user quality of service uplink scheduling
JP5547353B1 (ja) 加入者局ベースのアドミッション制御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1716648B2 (en) Congestion control for NR V2X
KR101223974B1 (ko) 서비스-기반 업링크 폴링 기법들의 품질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RU2791300C2 (ru) Способ, аппаратура и терминал передачи услу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