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756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4756A
KR20100114756A KR1020090033305A KR20090033305A KR20100114756A KR 20100114756 A KR20100114756 A KR 20100114756A KR 1020090033305 A KR1020090033305 A KR 1020090033305A KR 20090033305 A KR20090033305 A KR 20090033305A KR 20100114756 A KR20100114756 A KR 20100114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odule structure
display
display modul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3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4756A/ko
Publication of KR20100114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둘러싸는 캐비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제공되며, 일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대하여 일정 거리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모듈 구조물; 상기 제1구조물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2모듈 구조물; 및 상기 제2모듈 구조물에 고정되는 제3모듈 구조물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기기이다. 근래에는 2차원 평면으로 그 형상이 가능한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다수 출시되고 있다. 이들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실내공간을 차지하는 부피가 작으며, 무게가 가볍고, 취급이 편리하기 때문에 소비자로부터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구비되어 화상이 표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일례로 액정 디스플레이(LCD) 모듈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는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동에 관여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지지 구조를 형성하는 다수의 모듈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상기 모듈 구조물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둘러싸는 캐비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제공되며, 일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대하여 일정 거리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모듈 구조물; 상기 제1구조물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2모듈 구조물; 및 상기 제2모듈 구조물에 고정되는 제3모듈 구조물을 포함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3모듈 구조물이 상기 제2모듈 구조물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고정됨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진동이 상기 제3모듈 구조물로 직접 전달되거나, 상기 제3모듈 구조물에 가해지는 외력 또는 진동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직접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모듈 구조물이 상기 제1모듈 구조물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상기 제2모듈 구조물의 안착이 용이하게 가이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모듈 구조물이 상기 제1모듈 구조물의 형상에 적합한 형상으 로 다수 회 절곡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제2모듈 구조물에 의한 상기 제3모듈 구조물의 고정 구조의 강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모듈 구조물이 가이드되는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 측으로 함몰되어 위치됨에 따라서, 다른 모듈 구조물과의 간섭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모듈 구조물과 상기 다른 모듈 구조물과의 간의 간섭이 방지됨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모듈 구조물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 및 상기 제1모듈 구조물과 각각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배면 및 상기 제1모듈 구조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진동이 제2모듈 구조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은 실시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한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30)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전면을 보호하는 전면 패널(10)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배면을 보호하는 배면 캐비닛(40)과, 상기 전면 패널(10)에 고정되고, 후면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 및 상기 배면 캐비닛(40)이 고정되는 패널 고정부(2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스탠드(5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에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일례로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이하 LCD 모듈)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aply panel, 이하 PDP 모듈)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10)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을 통하여 제공되는 영상이 시청될 수 있도록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되거나,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투명 재질의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0)이 투명 재질의 판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전면 패널(10)은 일례로 강화 유리 또는 수지상 부재와 같은 투명하고 일정 수준의 강도를 지는 어떤 종류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전면 패널(10)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10)의 테두리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0)의 배면(111)에는 상기 패널 고정부(20)가 접착 고정되며, 상기 전면 패널(10)의 전면에서 상기 패널 고정부(20)가 보이지 않도록 불투명한 재질의 필름층 또는 잉크층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패널(10)의 배 면(11)에는,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이 PDP 모듈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PDP 모듈에서 전방으로 방사되는 전자파를 차폐하기 접지용 가스켓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 고정부(20)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 및 상기 리어 캐비닛(40)에 대한 상기 전면 패널(10)의 고정 위치를 제공하며, 상기 전면 패널(10)의 배면 테두리부를 따라서 둘러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고정부(12)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패널 고정부(12)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널 고정부(20)는 일례로 내부가 개구된 사각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 고정부(20)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 또는 상기 배면 캐비닛(40)에 대한 고정 위치를 제공하도는 다수의 프레임이 분리된 상태 형성되어, 상기 전면 패널(10)의 배면(11)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배면 캐비닛(40)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을 후방에서 둘러싸며, 상기 배면 캐비닛(4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출력 단자유닛(35)(도3참조)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단자홀(4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면 캐비닛(40)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에서 방사되는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금속 재질의 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면 캐비닛(40)에 별도의 쉴드 부재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배면 캐비닛(40)이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전자파를 차폐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에 구비되는 모듈 구조물(32,33,34,35,36,38,39)(도3참조)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배면(31)에 구비되는 다수의 모듈 구조물(32,33,34,35,36,39)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전면에서는 외부에서 입력된 신호에 의한 영상이 출력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배면(31)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구동에 관여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지지 구조를 구성하는 상기 모듈 구조물(32,33,34,35,36,38,39)이 제공된다.
상기 모듈 구조물(32,33,34,35,36,38,39)은, 상기 모듈 구조물(32,33,34,35,36,38,39)의 일면이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배면(31)에서 일정 거리 후방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모듈 구조물(32,33,34,35,36,38,39)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배면(31)이 형성하는 평면에 대하여 일정 높이 만큼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모듈 구조물(32,33,34,35,36,38,39)은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배면에 직접 고정되거나, 상기 모듈 구조물(32,33,34,35,36,38,39) 중 다른 하나의 모듈 구조물(32,33,34,35,36,39)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에 직접 고정되는 모듈 구조물을 제1모듈 구조물로, 상기 모듈 구조물(32,33,34,35,36,38,39) 중 다른 하나의 모듈 구조물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에 고정되는 모듈 구조물을 제3모듈 구조물로, 상기 제3모듈 구조물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에 고정시키는 모듈 구조물을 제2모듈 구조물로 칭한다.
상기 모듈 구조물(32,33,34,35,36,38,39)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에 대한 수직 및 수평 방향 지지력을 제공하는 수평 및 수직 프레임(32,33)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에 대한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모듈 구동부(34)와, 외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의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입출력 단자유닛(35)과, 상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배출하기 위한 히트 싱크부(39)와, 상기 수평 프레임(32) 및 상기 히트 싱크부(39)에 의하여 안착 위치가 가이드 되며, 상기 입출력 단자 유닛(35)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에 고정 시키기 위한 연결 부재(36) 및 보조 연결부재(38)(도4참조)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일례로 상기 수평 프레임(32) 및 상기 히트 싱크부(39)는 상기 제1모듈 구조물로, 상기 연결 부재(36) 및 상기 보조 연결부재(38)는 제2모듈 구조물로, 상기 입출력 단자 유닛(35)은 상기 제3모듈 구조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평 프레임(32)과 상기 히트 싱크부(39)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입출력 단자유닛(35)은 상기 히트 싱크부(39)의 상방측에 위치되며, 일례로 인쇄회로기판(PCB)로 형성된 단자유닛 몸체(351)와, 상기 단자부 몸체(351)의 일면에 구비되어 외부의 케이블이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거나, 외부에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메인 단자부(352)와, 상기 메인 단자부(352)에 케이블이 접속되는 방향과 절곡된 방향으로 케이블이 접속되도록 하기 위한 사이드 단자부(35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단자유닛 몸체(351)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연결 부재(36)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홀(355)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연결 부재(36)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 부재(36)는 일례로 금속 재질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 부재(36)의 일부는 다른 일부에 비하여 융기된다.
상기 연결 부재(36)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에 대하여 밀착된 위치에 위치되는 제1 및 제2함몰부(361,362)와, 상기 제1 및 제2함몰부(361,362)에 대하여 일정 높이 만큼 융기된 제1 및 제2가이드부(363,364)와, 상기 연결 부재(36)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 부재 고정부(366)과, 상기 연결 부재(36)의 타측에 형성된 걸림부(365)와, 상기 연결 부재(36)의 일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구조물 고정부(368)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363,364)는 각각 상기 제1함몰부(361)과 상기 제2함몰부(362) 사이, 상기 제2함몰부(362)와 상기 걸림부(365)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함몰부(362)와 상기 걸림부(365)에 비하여 상방으로 융기되도록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363,364)가 형성된 길이는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363,364)가 가이드되는 상기 제1모듈 구조물의 너비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조물 고정부(368)는 상기 제2함몰부(362)의 일면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조물 고정부(368)가 돌출된 높이는 상기 제2가이드부(364)가 융기된 높이에 대응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조물 고정부(368)가 상기 제2함몰부(362)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상기 제3모듈 구조물이 구비되는 위치에 따라서, 다른 함몰부 또는 가이드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조물 고정부(368)가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다수의 구조물 고정부(368)가 각기 다른 높이로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 부재(36)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연결 부재 고정부(366)에는 일례로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연결 부재(36)의 일측을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부재(36)의 타측에 형성된 상기 걸림부(365)는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에 형성된 홈,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을 둘러싸는 상기 패널 고정부(20) 또는 상기 배면 캐비닛(30)에 걸려 상기 연결 부재(36)의 타측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363,364)가 가이드되는 상기 제1모듈 구조물은 일례로 상기 수평 프레임(32) 및 히트 싱크부(39)로 설명되며, 상기 제3모듈 구조물은 일례로 상기 입출력 단자유닛(35)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상기 제1가이드부(363) 및 상기 제2가이드부(364)가 융기된 높이는 각각 상기 수평 프레임(32) 및 상기 히트 싱크부(39)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후방으로 돌출된 높이에 대응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연결 부재(36)가 상기 입출력 단자유닛(35)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구성을 설명한다.
도 6은 도 4의 B-B 선도에 따라 절개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모듈 구조물인 상기 수평 프레임(32)과 상기 히트 싱크부(39)는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배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부재(36)는 상기 수평 프레임(32) 및 상기 히트 싱크부(39)가 배친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 부재(30 및 상기 수평 프레임(32)의 상면 측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배면(31)에 고정된다.
상기 제1가이드부(363)는 상기 수평 프레임(32)의 일부를 둘러싸는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2가이드부(364)는 상기 히트 싱크부(39)의 일부를 둘러싸는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 부재(36)의 안착 위치를 가이드 한다.
상기 연결 부재(36)가 상기 수평 프레임(32) 및 상기 히트 싱크부(39)에 의하여 가이드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부재(36)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연결 부재 고정부(366)는 상기 배면(31)에 돌출 형성된 고정 보스(311)과 정렬된다. 그리고, 일례로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71)가 상기 연결 부재 고정부(366)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 보스(31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연결 부재(36)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36)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가이드부(363)는 상기 수평 프레임(32)에 대하여 각각 일정 거리(d1)만큼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부재(36)가 상기 배면(31)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부재(36)의 제1 및 제2함몰부(361,362)는,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363,364)에 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배면(31)에 인접하여 위치되며,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배면(31)에 대하여 일정 거리(d2) 이격된 상태로 위치된다.
한편, 상기 입출력 단자부(35)는 상기 연결 부재(36)의 상기 제2가이드부(364)의 상측면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입출력 단자부(35)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입출력 단자부(35)의 고정홀(355)은 상기 구조물 고정부(368)에 대응되는 위치에 정렬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홀(355)에는 일례로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72)가 관통되며, 상기 고정홀(355)을 관통한 상기 체결부재(72)가 상기 구조물 고정부(368)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에 대한 상기 입출력 단자부(35)의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단자부(35)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 부재(36)에 대응되는 형상의 상기 보조 연결 부재(38)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연결 부재(38)의 구성은 상기 연결 부재(36)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부재(36)의 안착 위치를 가이드하는 상기 제1모듈 구조물은 상기 수평 프레임(32) 및 상기 히트 싱크부(39)로 설명되고, 상기 제3모듈 구조물은 상기 입출력 단자부(35)로 설명되고 있으나, 상기 제1모듈 구조물 또 는 제3모듈 구조물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의 내부 구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에 구비되는 어떠한 모듈 구조물로 제공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3모듈 구조물이 상기 제2모듈 구조물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에 고정됨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진동이 상기 제3모듈 구조물로 직접 전달되거나, 상기 제3모듈 구조물에 가해지는 외력 또는 진동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로 직접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모듈 구조물이 상기 제1모듈 구조물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에 대한 상기 제2모듈 구조물의 안착이 용이하게 가이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모듈 구조물이 상기 제1모듈 구조물의 형상에 적합한 형상으로 다수 회 절곡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제2모듈 구조물에 의한 상기 제3모듈 구조물의 고정 구조의 강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모듈 구조물이 가이드되는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배면(31) 측으로 함몰되어 위치됨에 따라서, 다른 모듈 구조물과의 간섭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모듈 구조물과 상기 다른 모듈 구조물과의 간의 간섭이 방지됨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모듈 구조물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배면(31) 및 상기 제1모듈 구조물과 각각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배면(31) 및 상기 제1모듈 구조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진동이 제2모듈 구조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도 4의 B-B 선도에 따라 절개된 단면도.

Claims (10)

  1.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둘러싸는 캐비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제공되며, 일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대하여 일정 거리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모듈 구조물;
    상기 제1구조물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2모듈 구조물; 및
    상기 제2모듈 구조물에 고정되는 제3모듈 구조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듈 구조물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을 향하여 함몰된 함몰부;
    상기 제1모듈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에 둘러지는 가이드부; 및
    상기 제3모듈 구조물이 고정되기 위한 구조물 고정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모듈 구조물과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 모듈 구조물의 일부에 둘러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대하여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와 상기 가이드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함몰부의 적어도 일측에 절곡된 형상으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함몰부에 대하여 일정 높이만큼 융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고정부는 상기 함몰부의 상면에 제공되며, 상기 가이드부가 융기된 높이만큼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듈 구조물은 상기 제2모듈 구조물의 하면 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3모듈 구조물은 상기 제2모듈 구조물의 상면 측에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듈 구조물의 일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홀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듈 구조물의 타측에는 상기 캐비닛에 걸려 지지되기 위한 걸림부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0033305A 2009-04-16 2009-04-16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1147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305A KR20100114756A (ko) 2009-04-16 2009-04-16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305A KR20100114756A (ko) 2009-04-16 2009-04-16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756A true KR20100114756A (ko) 2010-10-26

Family

ID=43133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305A KR20100114756A (ko) 2009-04-16 2009-04-16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47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5084B2 (en)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EP3598217B1 (en) Display apparatus
EP2887661A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image
KR101014730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1953205B1 (ko)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EP2853938A1 (en) Image display device
CN109661810B (zh) 显示装置
KR20100114756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8064829A (ja) 表示装置
JP2014071368A (ja) 表示装置、及び該表示装置を用いたテレビ
KR20100122305A (ko) 디스플레이 기기
KR101014464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1001950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1716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88657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066136A (ko) 액정표시장치
JP7332498B2 (ja) 電子機器
US20150177555A1 (en) Display apparatus
KR2011008326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91113B1 (ko) 슬림형 대화면 시현기
KR100901616B1 (ko) 수납장치 및 이를 가지는 표시장치
JP2021117331A (ja) 表示装置
JP2013126032A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100081428A (ko) 디스플레이 기기
KR101354599B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