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659A - 농작물 지지용 밴드 - Google Patents

농작물 지지용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4659A
KR20100114659A KR1020090033143A KR20090033143A KR20100114659A KR 20100114659 A KR20100114659 A KR 20100114659A KR 1020090033143 A KR1020090033143 A KR 1020090033143A KR 20090033143 A KR20090033143 A KR 20090033143A KR 20100114659 A KR20100114659 A KR 20100114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band
elastic piece
support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구
Original Assignee
(주)일륭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륭금속 filed Critical (주)일륭금속
Priority to KR1020090033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4659A/ko
Publication of KR20100114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6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2Tree-b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 지지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 호형으로 벤딩된 탄성편(10)의 양단에 상기 탄성편(10)의 벤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둥글게 벤딩된 걸림편(11,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지주 및 지지용 와이어(또는 노끈)에 체결 및 분리 제거가 용이하고, 이에 따라 수거가 용이하다.
또한, 체결상태가 견고하고, 외력에 의해 임의로 체결상태가 해제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농작물의 줄기를 지지할 수 있다.
줄기 지지구, 줄기 고정구, 줄기 고정 밴드, 줄기 지지 밴드

Description

농작물 지지용 밴드{band for supporting crop}
본 발명은 농작물의 줄기를 지주나 지지용 와이어(또는 노끈)에 결속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된 농작물 지지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 중, 예를 들어 고추 등과 같은 작물은 줄기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지주를 세우고 이에 줄기를 결속하여 지지해주어야만 쓰러지지 않고 직립 상태를 유지하여 올바른 성장이 가능하다.
또한 포도, 호박, 토마토, 참외, 오이 등의 덩굴 줄기를 가진 작물의 경우에도, 일정 간격으로 지주를 세우고 그 지주 사이에 수평으로 지지용 와이어(또는 노끈)를 연결하여, 상기 지주와 지지용 와이어(또는 노끈)에 줄기를 결속시켜 지지해줌으로써 줄기의 올바른 성장을 유도하고 재배가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농작물의 줄기를 상기 지주 등에 결속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노끈이나 철사를 사용하여 단순히 묶어 주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런데, 상기 노끈이나 철사는 일일이 묶거나 꼬아주어야만 하므로 설치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재배 종료 후, 지지 구조물의 해체 시 통상 절단하여 제거하므로 재사용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거되지 않은 잔해들이 경작지에 묻혀 토양 오염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종래의 노끈이나 철사의 경우에는 작물의 줄기에 선 접촉되므로 줄기의 국소 부위에 하중이 집중됨에 따라 연약한 작물의 줄기에 쉽게 상처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설치와 분리 제거 및 수거가 용이하여 작업이 간단해지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작물 줄기의 상처 유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농작물 지지용 밴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호형으로 벤딩된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의 양단에 각각 연장 성형되고, 상기 탄성편의 벤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둥글게 벤딩된 걸림편;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양쪽 걸림편 중 일측 걸림편은 상기 탄성편의 일측 단부 중앙에 형성되고, 그 반대쪽의 걸림편은 상기 탄성편 타측 단부의 상부와 하부에 상부편과 하부편으로 분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편과 하부편의 사이는 반대쪽의 걸림편이 통과할 수 있는 폭을 가진다.
또한, 상기 상부편 및 하부편과 그 사이에 삽입되는 반대쪽 걸림편의 사이에 갭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편은 양측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밴드가 자체의 형상과 탄성에 의해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지주와 지지대의 지지용 와이어(또는 노끈)에 체결되므로 설치 및 분리 제거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밴드의 분리 제거가 용이하므로 농작물 재배 종료 후, 지지구조물 철거 시 밴드를 절단하지 않고 수거할 수 있으며, 내부식성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 중 수분에 의해 약간의 표면 부식(녹)만 발생할 뿐 큰 물성 변화를 일으키지 않으므로 다음 해에도 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거가 용이하여 전량 재 수거가 가능하므로 수거되지 않고 경작지에 남겨지는 잔존물에 의해 토양이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밴드가 작물의 줄기에 면 접촉되므로 하중의 국소 부위 집중을 막아 작물의 줄기에 상처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일측 걸림편이 상호 이격된 상부편과 하부편으로 이루어지고 그 각각이 지지구조물에 면 접촉되므로 외력에 의한 비틀림 회전에 견고하게 저항함으로써 체결상태가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자연적으로 해제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지지용 밴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를 구부린 상태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지지용 밴드는 탄성과 내부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박판을 커팅(cutting) 및 벤딩(bending)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을 사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플라스틱 재질일 경우에는 가능한 태양광에 대한 내부식성이 우수한 물성을 가진 재료를 사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호형으로 부드럽게 벤딩(bending)된 직사각형 탄성편(10)의 양단에 각각 지주, 지지대에 설치된 지지용 와이어 등에 걸려지는 걸림편(11,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쪽 걸림편(11,12)들은 탄성편(10)의 벤딩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즉, 탄성편(10)이 형성하는 가상 원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둥글게 벤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편(10)의 양측 부분을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눌러 상기 양쪽 걸림편(11,12)을 상호 엇갈려 지나치도록 교차시킨 뒤, 그 걸림편(11,12)의 사이에 지주를 끼우고 탄성편(10)을 누르고 있던 손을 떼면 탄성편(1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걸림편(11,12)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오므려지면서 지주를 강하게 가압함으로써 그 가압력에 의해 상기 지주에 밴드의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편(10)은 지면에 대해 수직 상방으로 성장하는 줄기를 감싸 지지한다.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밴드가 지지대 사이에 연결된 지지용 와이어 또는 노끈에 체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상기 탄성편(10)은 지지용 와이어나 노끈을 따라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성장하는 줄기를 수용하여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편(10)은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이는 수용되는 농작물 줄기의 반경방향 성장이 탄성편(10)에 의해 억제(탄성편(10)이 오므려져 줄기를 감싸는 원형의 고리부를 형성하므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줄기의 완전 성장 상태의 직경을 감안하여 적절한 길이의 탄성편(10)을 갖는 밴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양쪽 걸림편(11,12) 중 일측의 걸림편(11)은 상기 탄성편(10)의 일측 단부가 중앙을 향해 폭(본 명세서에서 폭은 상변과 하변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연장되다가 일정한 폭으로 연장 성형된 것으로 1개로 이루어진다.
반면, 반대쪽의 걸림편(12)은 상기 탄성편(10)의 타측 단부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서 일정한 폭으로 연장 성형된 상부편(12a)과 하부편(12b)의 2개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상부편(12a)과 하부편(12b) 사이는 상기 반대쪽의 걸림편(11)이 통과할 수 있는 폭(W)을 가진다.
또한, 상기 걸림편(11)과 상기 상부편(12a)의 사이 및 상기 걸림편(11)과 상 기 하부편(12b) 사이에 각각의 갭(gap; g)이 존재하도록 하되, 그 갭(g)을 충분한 크기로 형성하여(예를 들어 약 2 ~ 4 mm 이상) 걸림편(11)이 상기 상부편(12a)과 하부편(12b)의 사이로 보다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편(10)의 상변(10a)과 하변(10b)은 탄성편(10) 전체의 폭이 양쪽 단부로 갈수록 넓어지고 중앙부분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완만하게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탄성편(10)이 양측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편(10)의 중앙 부분 매스(mass)량이 감소되어 탄성편(10)을 오므릴 때 필요한 힘의 크기가 감소되므로 밴드를 지주 및 와이어에 체결할 때 과도한 힘을 줄 필요가 없게 되어 밴드 체결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매스량의 감소는 탄성편(10)의 복원력 또한 감소시켜 걸림편(11,12)에 의한 밴드의 고정력을 감소시키므로 밴드가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양으로 적절히 조절되어야만 한다.
또한, 상기 탄성편(10)의 상변(10a)과 하변(10b)을 상기와 같이 오목하게 형성하지 않고, 도 6과 같이 상호 평행한 단순한 직선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에는 제작이 보다 용이하다.
이제,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밴드의 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지주(30)는 밴드 설치 전에 농작물의 줄기(20)에 인접하여 먼저 땅에 박혀져 있다.
설치 전의 밴드는 도 1과 같이 탄성편(10)의 양단부가 벌어져 있는 상태로 서, 상기 탄성편(10)이 농작물의 줄기(20)를 감싸도록 오므려서 탄성편(10)으로 형성된 원형의 고리 내부에 줄기(20)를 위치시킨다.
그 상태에서 상기 탄성편(10)의 양단을 더욱 오므려 일측 걸림편(11)이 타측의 걸림편(12) 즉, 상부편(12a)과 하부편(12b)의 사이로 엇갈려 지나치도록 한 뒤, 그 걸림편(11,12)들의 단부 사이에 벌어진 틈으로 상기 지주(30)를 삽입하고 탄성편(10)를 놓으면, 탄성편(1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걸림편(11,12)들이 지주(30)를 사이에 두고 오므려지면서 지주(30)를 파지하여 그 가압력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지주(30)에 밴드가 고정되고, 밴드에 의해 농작물의 줄기(20)가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탄성편(10)은 소정의 폭(밴드의 크기에 따라 대략 1~ 6cm 정도)을 가지고 있어서 줄기가(20)가 밴드에 면 접촉함으로써 즉, 보다 넓은 면적으로 안정적으로 감싸줄 수 있음으로써 줄기(20)의 국소 면적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줄기(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편(11,12)들 역시 소정의 폭(밴드의 크기에 따라 대략 0.3 ~ 2 cm 정도)을 가지고 있어서 지주(30)에 면 접촉함으로써 파지 면적이 증가되어 체결 상태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일측 걸림편(12)이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 상부편(12a)과 하부편(12b)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밴드가 걸림편(11,12)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비틀려져 회전되면서 걸림편(11,12)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지주(30)로부터 밴드가 분리되 는 현상이 방지된다.
즉, 상기 상부편(12a)과 하부편(12b)에 의해 탄성편(10)의 일측 단부가 2개소에서 지주(30)에 접촉되므로 밴드의 비틀림 회전을 억제할 수 있게 됨으로써 밴드의 체결상태가 자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설치 상태에서 예기치 않은 외력에 의한 비틀림 회전 현상이 발생할 때 상기 걸림편(11,12) 상호간에 걸림이 발생함으로써 밴드의 비틀림 회전이 불가하게 되며, 이로써 밴드의 자연 해제 현상이 완전하게 방지된다.
도 8은 한 쌍의 지지대(40)를 세우고, 양쪽 지지대(40)의 사이에 지지용 와이어(45)를 다수 연결한 지지구조물의 예이다.
도 7의 지주(30)가 고추와 같은 작물의 줄기를 안정적으로 직립시키기 위한 것이라면, 도 8의 지지구조물은 포도와 같은 작물의 덩굴 줄기를 관리가 용이하도록 수평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의 지지구조물이 설치된 경우에도, 각각 크기가 다른 밴드를 이용하여 작물의 원 줄기를 지지대(40)에 수직 상태로 고정할 수 있고, 원 줄기로부터 분기된 다수의 덩굴 줄기(20)를 상기 지지용 와이어(45)에 수평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작물의 생장 특성에 따라 줄기를 적절한 방식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작물의 생육이 보다 활발해짐은 물론, 작물의 재배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지지용 밴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를 구부린 상태의 정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2의 또 다른 실시예,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지지용 밴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탄성편 11,12 : 걸림편
12a : 상부편 12b : 하부편
20 : 줄기 30 : 지주
40 : 지지대 45 : 지지용 와이어

Claims (5)

  1. 호형으로 벤딩된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의 양단에 각각 연장 성형되고, 상기 탄성편의 벤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둥글게 벤딩된 걸림편;
    을 포함하는 농작물 지지용 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쪽 걸림편 중 일측 걸림편은 상기 탄성편의 일측 단부 중앙에 형성되고, 그 반대쪽의 걸림편은 상기 탄성편 타측 단부의 상부와 하부에 상부편과 하부편으로 분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용 밴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편과 하부편의 사이는 반대쪽의 걸림편이 통과할 수 있는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용 밴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편 및 하부편과 그 사이에 삽입되는 반대쪽 걸림편의 사이에 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용 밴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양측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용 밴드.
KR1020090033143A 2009-04-16 2009-04-16 농작물 지지용 밴드 KR201001146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143A KR20100114659A (ko) 2009-04-16 2009-04-16 농작물 지지용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143A KR20100114659A (ko) 2009-04-16 2009-04-16 농작물 지지용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659A true KR20100114659A (ko) 2010-10-26

Family

ID=43133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143A KR20100114659A (ko) 2009-04-16 2009-04-16 농작물 지지용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46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7903A (ko) * 2021-07-06 2023-01-13 김유경 작물지주 결착용 클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7903A (ko) * 2021-07-06 2023-01-13 김유경 작물지주 결착용 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86734A1 (en) Method for adjusting and stabilizing a support for a plant
KR101103038B1 (ko) 덩굴 식물 재배용 지지대
KR20100006940U (ko) 농작물 지지용 집게
KR20100114659A (ko) 농작물 지지용 밴드
WO2017122191A1 (en) Dual-purpose clip
KR200496864Y1 (ko) 위치조절이 용이한 가지지지부를 갖는 과실수용 지주대
KR20100089998A (ko) 농작물 지지용 클립
KR200481883Y1 (ko) 농작물 지지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탈착식 연결클립
KR20170017858A (ko) 농작물 지지용 결속구
AU2018264021B2 (en) Plant support
KR20170002877U (ko) 고추나무 지지용 끈 고정핀
KR200444010Y1 (ko) 농작물 지주목
KR20150000875U (ko) 농작물 지지대
KR20160011317A (ko) 농작물 지지용 결속구
CN209914626U (zh) 一种园林树木固定装置
CN104521679A (zh) 一种抵防香蕉树受台风灾害的装置和方法
KR101493929B1 (ko) 농작물 고정타이
KR20090003371U (ko) 과실나무 지지대
JP5896523B2 (ja) 軟白部を有する葉菜類の生産方法
CN108811946A (zh) 植株落蔓方法以及植株落蔓系统
CN209845833U (zh) 一种园林果树果实防护装置
US20130185994A1 (en) Plant support stake
KR102511215B1 (ko) 고추대 지지구
JP3100273U (ja) 各種ネット・植物栽培用支柱
KR20090000407U (ko) 농작물 지지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