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3367A - 사행방지기구가 구비된 컨베이어장치 - Google Patents

사행방지기구가 구비된 컨베이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3367A
KR20100113367A KR1020090031905A KR20090031905A KR20100113367A KR 20100113367 A KR20100113367 A KR 20100113367A KR 1020090031905 A KR1020090031905 A KR 1020090031905A KR 20090031905 A KR20090031905 A KR 20090031905A KR 20100113367 A KR20100113367 A KR 20100113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support
conveyor
support frame
meand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9714B1 (ko
Inventor
김용철
정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플랜트
정래진
김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플랜트, 정래진, 김용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플랜트
Priority to KR1020090031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714B1/ko
Publication of KR20100113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2Guides for slidin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4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rollers which are moved, e.g. over a supporting surface, by the traction element to effect conveyance of loads or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8Drums, rollers, or wheels with self-contained driving mechanisms, e.g. motors and associat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83Position of the load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컨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장치는 컨베이어벨트(30)의 양측과 상면이 사행방지기구(60)의 가이드블록(61)과 가이드플레이트(63)에 의해 지지되어 컨베이어벨트(30)에 사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프레임에 구비된 지지대(50)의 상면이 컨베이어벨트(3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컨베이어벨트(30)의 하부면에 묻은 잔유물을 털어냄으로써, 주변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gure P1020090031905
컨베이어, 사행방지, 가이드, 롤러, 휠

Description

사행방지기구가 구비된 컨베이어장치{conveyor}
본 발명은 벨트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사행방지기구가 구비된 컨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석이나 모래 흙, 등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피이송물을 다른 장소로 이송하는 데 사용되는 컨베이어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양단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된 한쌍의 풀리(20)와, 상기 풀리(20)에 걸려진 컨베이어벨트(30)와, 상기 컨베이어벨트(30)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로울러(4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풀리(20)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구동모터가 연결되어, 구동모터로 상기 풀리(20)를 회전시켜 컨베이어벨트(30)가 풀리(20)를 따라 순환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일단 상측에 구비된 공급호퍼(2)를 통해 컨베이어벨트(30)의 상면에 피이송물을 공급하면, 피이송물은 컨베이어벨트(30)와 함께 이송된 후, 타단에 구비된 배출덕트(3)를 통해 배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컨베이어장치는 종류에 따라 수십m의 짧은 것부터 몇Km에 달할 만큼 긴 것까지 다양한 길이의 제품이 있으며, 이러한 컨베이어장치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벨트(30) 역시 길이가 매우 길게 되므로, 풀리(20)를 구동시켜 컨베이어벨트(30)를 순환 또는 정, 역회전 시킬 때 컨베이어벨트(30)의 중간부가 좌우로 요동을 치는 사행현상이 발생되어, 풀리(20)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사행현상이 과도하게 발생될 경우, 컨베이어벨트(30)에 의해 이송되는 피이송물이 컨베이어벨트(30)에서 쏟아지게 되는 경우도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벨트(30)는 상기 풀리(20)의 구동에 의해, 상면에 올려진 피이송물을 이송한 후 풀리(20)의 둘레면을 따라 하강되어 상하면이 뒤집어 진 상태로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상하면이 뒤집힌 상태로 복귀되는 컨베이어벨트(30)의 하부면에는 컨베이어벨트(30)에 의해 이송된 피이송물의 잔유물이 남게 되며, 이러한 잔유물은 컨베이어벨트(30)의 이송경로를 따라 지속적으로 낙하되어 컨베이어장치가 설치된 위치의 하부 전체가 지저분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벨트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사행방지기구가 구비된 컨베이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양단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된 한쌍의 풀리(20)와, 상기 풀리(20)에 걸려진 컨베이어벨트(30)와, 상기 컨베이어벨트(30)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로울러(40)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30)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장착된 가이드블록(61)과, 상기 가이드블록(61)의 상부에 구비되며 선단부가 상기 컨베이어벨트(30)의 중앙부로 연장되어 컨베이어벨트(30)의 양측 상면을 지지하는 가이드플레이트(63)를 포함하는 사행방지기구(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상면이 상기 컨베이어벨트(30)의 하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벨트(3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대(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행방 지기구(60)는 상기 지지대(5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사행방지기구(60)에는, 상기 가이드블록(61)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50)에 고정되어 가이드블록(6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63)가 고정결합되는 지지부재(6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50)는,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되며 상면이 컨베이어벨트(30)의 하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금속재의 지지대본체(51a,52a)와, 상기 지지대본체(51a,52a)의 상면에 구비되며 컨베이어벨트(3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컨베이어벨트(30)를 지지하는 합성수지재의 미끄럼부재(51b,5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장치는 컨베이어벨트(30)의 양측과 상면이 사행방지기구(60)의 가이드블록(61)과 가이드플레이트(63)에 의해 지지되어 컨베이어벨트(30)에 사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프레임에 구비된 지지대(50)의 상면이 컨베이어벨트(3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컨베이어벨트(30)의 하부면에 묻은 잔유물을 털어냄으로써, 주변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컨베이 어장치를 곡선형태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내지 도 8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장치는,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양단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된 한쌍의 풀리(20)와, 상기 풀리(20)에 걸려진 컨베이어벨트(30)와, 상기 컨베이어벨트(30)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로울러(40)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일단 상측에 구비된 공급호퍼(2)를 통해 컨베이어벨트(30)의 상면에 피이송물을 공급하면, 피이송물은 컨베이어벨트(30)와 함께 이송된 후, 타단에 구비된 배출덕트(3)를 통해 배출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벨트(30)는 폐루프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풀리(20)의 둘레면에 걸려지므로, 상측에 위치되어 공급호퍼(2)를 통해 공급된 피이송물(1)을 이송하는 이송구역(31)과, 상기 풀리(20)를 따라 회전하강되어 상하가 뒤집힌 상태로 초기위치로 복귀되는 복귀구역(32)을 갖는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벨트(30)의 이송구역(31)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이송구역지지로울러(41)는,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된 상부프레임(11)에 3개의 로울러를 양단이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배치하여 컨베이어벨트(30)의 이송구역(31) 양측이 중앙부에 비해 상측으로 들어올려진 U자형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므로써 컨베이어벨트(30)에 의해 이송되는 피이송물(1)이 컨베이어벨트(30)의 양측으로 흘러내 리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벨트(30)의 복귀구역(32)을 지지하는 복귀구역지지로울러(42)는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된 하부프레임(12)에 길이가 긴 직선상의 로울러를 수평방향으로 배치하여 컨베이어벨트(30)의 복귀구역(32)이 평면을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10)에는, 상면이 상기 컨베이어벨트(30)의 하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벨트(3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대(50)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50)의 상면 양단에는 컨베이어벨트(30)의 사행을 방지하는 사행방지기구(60)가 더 구비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대(50)는,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되며 상면이 컨베이어벨트(30)의 하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금속재의 지지대본체(51a,52a)와, 상기 지지대본체(51a,52a)의 상면에 구비되어 컨베이어벨트(30)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합성수지재의 미끄럼부재(51b,52b)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벨트(30)의 이송구역(31)의 하부면은 상기 이송구역지지로울러(41)에 의해 지지되어 양측이 상측으로 들어올려진 U자형을 이루고, 상기 복귀구역(32)의 하부면은 상기 복귀구역지지로울러(42)에 의해 지지되어 평면을 이루어, 서로 다른 형상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5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벨트(30)의 이송구역(31) 하부면을 지지하는 이송구역지지 대(51)와, 상기 컨베이어벨트(30)의 복귀구역(32) 하부면을 지지하는 복귀구역지지대(52)로 나뉘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송구역지지대(51)의 지지대본체(51a)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상기 이송구역지지로울러(41)의 배치형태와 같이 U자형을 이루도록 양단이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절곡 또는 만곡되어, 상면에 구비된 미끄럼부재(51b)가 컨베이어벨트(30)의 이송구역(31)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복귀구역지지대(52)의 지지대본체(52a)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복귀구역지지로울러(42)의 형태와 같이 상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져, 상면에 구비된 미끄럼부재(52b)가 컨베이어벨트(30)의 복귀구역(32)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미끄럼부재(51b,52b)는 표면이 매끄러워 마찰계수가 낮으면서 강도가 높은 판형상의 고분자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이송구역지지대(51)와 복귀구역지지대(52)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로울러(40)의 사이에 하나씩 위치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며, 특히, 상기 복귀구역지지대(52)는 도 2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풀리(20)에 근접되도록 지지프레임(10)의 양단에 각각 더 구비되어, 피이송물(1)을 이송한 후 상기 풀리(20)를 경유하여 하강되므로써 상하로 뒤집힌 상태로 복귀구역(32)에 진입되는 컨베이어벨트(30)의 하부면이 상기 복귀구역지지대(52)를 통과한 후 복귀구역(32)으로 진입하도록 한다.
상기 사행방지기구(60)는, 도 5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벨트(30)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지지대(50)에 장착된 가이드블록(61)과, 상기 가이드블록(61)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50)의 상면에 고정되어 가이드블록(6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62)와, 상기 가이드블록(61)의 상부에 구비되며 선단부가 상기 컨베이어벨트(30)의 중앙부로 연장되어 컨베이어벨트(30)의 양측 상면을 지지하는 가이드플레이트(63)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블록(61)은 두께가 상기 컨베이어벨트(30)의 두께보다 조금 두꺼운 원판형으로 구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지지부재(62)가 결합되는 상하방향의 관통공(61a)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미끄럼부재(51b,52b)와 같이 경질이면서 표면이 매끄러운 합성수재로 제작된다. 상기 지지부재(62)는 상하방향 길이가 상기 가이드블록(61)의 두께보다 긴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관통공(61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합성수지재의 스페이서(62a)와, 상기 스페이서(62a)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50)에 고정되는 한쌍의 나사부재(62a)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블록(61)이 스페이서(62a)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63)는 사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기단부가 상기 스페이서(62a)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부재(62)의 나사부재(62a)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블록(61)과 컨베이어벨트(30)의 상측으로 조금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50)의 지지대본체(51a,52a)의 상면에는, 미끄럼부재(51b,52b)가 상면전체를 덮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나사부재(62a)는 하단이 상기 미끄럼부재(51b,52b)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본체(51a,52a)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컨베이어장치는 상기 컨베이어벨트(30)가 풀리(20)를 따라 이송되면서 중간부가 좌우방향으로 요동치는 사행현상이 발생되려고 할 경우, 컨베이어벨트(30)의 양측면이 상기 사행방지기구(60)의 가이드블록(61)의 둘레면에 걸려 요동치지 않도록 지지되어 사행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블록(61)은 상기 지지부재(62)의 스페이서(62a)를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가이드블록(61)의 둘레면이 컨베이어벨트(30)와 마찰되어 마모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블록(61)의 상부에는 컨베이어벨트(30)의 양측 상면을 지지하는 가이드플레이트(63)가 구비되므로, 컨베이어벨트(30)가 좌우로 요동치는 힘이 강하여 컨베이어벨트(30)의 양측면이 상기 가이드블록(61)을 타고 넘으려고 할 때 상기 가이드플레이트(63)가 컨베이어벨트(30)의 양측 상면을 하측으로 누름으로써, 컨베이어벨트(30)의 사행현상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잇다.
또한, 상기 사행방지기구(60)는 상기 컨베이어벨트(3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대(50)의 양측에 구비되므로, 사행현상 발생시 측면이 상기 사행방지기구(60)에 의해 막힌 컨베이어벨트(30)의 중앙부가 하측으로 볼록하게 휘어지면서 사행방지기구(6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지지대(50)는 상면이 컨베이어벨트(30)의 하부면에 밀착되므로, 풀리(20)의 둘레면을 경유하여 상하가 뒤집어진 상태로 복귀되는 컨베이어벨트(30)의 하부면이 상기 복귀구역지지대(52)의 상면을 밀착된 상태로 통과하게 되며, 이 때, 복귀구역지지대(52)가 컨베이어벨트(30)의 하부면에 묻어있는 잔유물을 긁어내어 제거한다. 따라서, 컨베이어벨트(30)에 묻어있는 잔유물이 컨베이어벨트(30)가 경로를 따라 임의의 장소에서 낙하되어 컨베이어장치의 하부 전체가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컨베이어장치의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복귀구역지지대(52)의 하측에 집진백 등을 설치하여, 복귀구역지지대(52)에 의해 제거되어 낙하되는 잔유물을 수집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컨베이어장치는 일직 형태로 제작될 수밖에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장치는 상기 사행방지기구(60)의 가이드블록(61)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벨트(30)의 향측이 지지되므로, 컨베이어장치를 곡선형태, 즉, 중간부가 완만하게 커브진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가이드블록(61)은 상기 지지부재(6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가이드블록(61)을 지지대(50)의 양단 상면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63)를 상기 가이드블록(61)의 상면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사행방지기구(60)의 구성이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으나, 컨베이어벨트(30)에 의해 가이드블록(61)이 빨리 마모되어, 가이드블록(61)을 자주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도 1은 종래의 컨베이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컨베이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컨베이어장치의 지지로울러 및 컨베이어벨트를 도시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컨베이어장치의 지지대를 도시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컨베이어장치의 이송구역지지대와 사행방지기구를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에 다른 컨베이어장치의 복귀구역지지대와 사행방지기구를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컨베이어장치의 사행방지기구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다른 컨베이어장치의 사행방지기구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Claims (4)

  1.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양단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된 한쌍의 풀리(20)와, 상기 풀리(20)에 걸려진 컨베이어벨트(30)와, 상기 컨베이어벨트(30)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로울러(40)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30)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장착된 가이드블록(61)과, 상기 가이드블록(61)의 상부에 구비되며 선단부가 상기 컨베이어벨트(30)의 중앙부로 연장되어 컨베이어벨트(30)의 양측 상면을 지지하는 가이드플레이트(63)를 포함하는 사행방지기구(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행방지기구가 구비된 컨베이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상면이 상기 컨베이어벨트(30)의 하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벨트(3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대(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행방지기구(60)는 상기 지지대(50)의 상면 양단에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행방지기구가 구비된 컨베이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행방지기구(60)에는, 상기 가이드블록(61)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50)에 고정되어 가이드블록(6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63)가 고정결합되는 지지부재(6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행방지기구가 구비된 컨베이어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50)는,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되며 상면이 컨베이어벨트(30)의 하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금속재의 지지대본체(51a,52a)와, 상기 지지대본체(51a,52a)의 상면에 구비되며 컨베이어벨트(3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컨베이어벨트(30)를 지지하는 합성수지재의 미끄럼부재(51b,5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행방지기구가 구비된 컨베이어장치.
KR1020090031905A 2009-04-13 2009-04-13 사행방지기구가 구비된 컨베이어장치 KR101039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905A KR101039714B1 (ko) 2009-04-13 2009-04-13 사행방지기구가 구비된 컨베이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905A KR101039714B1 (ko) 2009-04-13 2009-04-13 사행방지기구가 구비된 컨베이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367A true KR20100113367A (ko) 2010-10-21
KR101039714B1 KR101039714B1 (ko) 2011-06-08

Family

ID=43132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905A KR101039714B1 (ko) 2009-04-13 2009-04-13 사행방지기구가 구비된 컨베이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97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5177A (zh) * 2019-03-14 2019-05-17 华中农业大学 一种水田土壤黏附力测量仪
CN111093868A (zh) * 2017-10-24 2020-05-01 星精密株式会社 车床
KR20220121009A (ko) * 2021-02-24 2022-08-31 주식회사 대흥플랜텍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물 이탈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1001B2 (ja) * 2001-03-15 2004-09-2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ヤのトラフ接続構造
KR101118299B1 (ko) * 2004-12-28 2012-03-22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사행 조정장치
KR100880499B1 (ko) * 2006-12-21 2009-01-28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사행 방지장치
KR20090030288A (ko) * 2009-03-04 2009-03-24 박태진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3868A (zh) * 2017-10-24 2020-05-01 星精密株式会社 车床
CN109765177A (zh) * 2019-03-14 2019-05-17 华中农业大学 一种水田土壤黏附力测量仪
CN109765177B (zh) * 2019-03-14 2022-06-28 华中农业大学 一种水田土壤黏附力测量仪
KR20220121009A (ko) * 2021-02-24 2022-08-31 주식회사 대흥플랜텍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물 이탈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9714B1 (ko)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726B1 (ko) 운송설비의 운송물 탑재 유도장치
KR101778362B1 (ko) 절단스크랩 분리수거장치
KR101039714B1 (ko) 사행방지기구가 구비된 컨베이어장치
KR20090030516A (ko) 컨베이어 리턴벨트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US3476232A (en) Permanent magnetic conveyor and elevator
KR20010041431A (ko) 농산물 선별 이송 메커니즘
KR20070064203A (ko) 벨트 컨베이어
CN210150181U (zh)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输送机
KR101344337B1 (ko) 철편 선별장치
KR101188085B1 (ko) 벨트 사행 방지형 컨베이어 장치
JP4784327B2 (ja) スクレーパ装置
KR20130046568A (ko) 벨트 컨베이어용 청소장치
KR101399858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KR101553151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KR10094669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
KR200476357Y1 (ko) 선별기의 이송장치용 브라켓
KR200431392Y1 (ko) 선별기용 벨트 콘베이어의 벨트 청소날
KR101424430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KR101245312B1 (ko) 원료탄 장입 장치
JP3197901U (ja) 流動物搬送装置
KR100815800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조정장치
CN209367200U (zh) 皮带输送机清扫器
KR100878626B1 (ko) 벨트사행에 따른 벨트 편중 방지장치
JP2016183031A (ja) ベルトコンベア
KR20220002894U (ko)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캐리어 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