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3019A - Draining plate assembly - Google Patents

Draining plate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3019A
KR20100113019A KR1020100001439A KR20100001439A KR20100113019A KR 20100113019 A KR20100113019 A KR 20100113019A KR 1020100001439 A KR1020100001439 A KR 1020100001439A KR 20100001439 A KR20100001439 A KR 20100001439A KR 20100113019 A KR20100113019 A KR 20100113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s
plate assembly
base plate
support pillars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4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23955B1 (en
Inventor
홍종인
Original Assignee
홍종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인 filed Critical 홍종인
Publication of KR20100113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0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9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25Draining membranes, sheets or fabric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ith dim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PURPOSE: A drain board assembly is provided to strengthen the joint between a base concrete layer and support pillars by contacting auxiliary pillars of a landing plate to the top of the base concrete layer where main support pillars of a base plate do not contact. CONSTITUTION: A drain board assembly(10) comprises a base plate(20) and a landing plate(50). The base plate comprises a main body(21), main support pillars(22) and guide portions(23). The main support pillars are recessed downward from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guide portions are perforated to be located between the main support pillars. The landing plate comprises auxiliary support pillars(51) which are respectively inserted in the guide portions and lowered along the guide portions when placing a top concrete layer, and connecting members(52) connecting the auxiliary support pillars together.

Description

배수판 조립체{draining plate assembly}Draining plate assembly

본 발명은 배수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기초 콘크리트층과 지지기둥들 사이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수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plate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ainage plate assembly capable of improving workability and improving adhesion between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and support pillars.

일반적으로 배수판은 내 방수용으로 지하구조물의 침투수 처리를 위한 것으로, 기초 콘크리트층과 상부 콘크리트층의 사이에 설치되어 지하층의 습기 및 결로 그리고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배수판은 지하층 구조물, 지하 항온 항습실, 지하벙커, 유물 전시실 및 보관소, 터널, 지하철, 수영장, 지하 주차장, 전기실, 기계실 등에 설치되어 불완전한 지하의 방수 하자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해주고, 이중 슬라브 공법 대체 시 지하터파기 및 잔토처리량을 감소시켜 공사기간 및 공사비를 줄일 수 있게 해준다.In general, the drainage plate is for infiltra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for waterproofing,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base concrete layer and the upper concrete layer to prevent moisture, condensation and leakage of the basement layer. These drain boards are installed in underground structures, underground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rooms, underground bunkers, relic exhibition halls and storage rooms, tunnels, subways, swimming pools, underground parking lots, electrical rooms, and machine rooms to prevent incomplete underground waterproof defects. In case of replacement, it can reduce the construction time and cost by reducing the amount of underground digging and residual soil treatment.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5-0110305호에는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지하층 바닥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배수판은 평판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지지기둥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로 콘크리트가 배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구성을 가진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5-0110305 discloses a drainage plate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asement floor using the same. The disclosed drainage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plate at regular intervals, and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so that concrete is discharg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illar.

이러한 배수판은 콘크리트가 기초콘크리트층과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의 사이로 유입되어 배수판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차단하게 되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며, 나아가서는 지하층의 결로 및 습기 방지 기능이 상대적으로 저하된다. 또한 지지기둥의 강도가 약화되어 상재하중(상부콘크리트층의 타설을 위한 인력하중 및 부설자재 하중)에 의해 배수판이 함몰될 수 있다. Such drainage plate prevents water from flowing smoothly by blocking the space formed by the drainage plate due to the inflow of concrete between the base concrete layer and the upper protective concrete layer. . In addition, the strength of the support pillar is weakened so that the drain plate may be recessed by the load of the floor (gravitation load and subsidiary material load for placing the upper concrete layer).

등록 실용신안 제 0311092호에는 배수 방습판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배수 방습판은 배수본체의 상부에 상부돌기가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고, 방습을 위한 통기성을 갖기 위해 상기 상부돌기의 일측에 유입공이 상기 배수본체 하부와 연결되도록 관통 형성된다.The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311092 discloses a water proof damp plate. The disclosed drainage moisture proof plate is formed to protru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upper protrusion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rainage body, and is formed to penetrate the inlet hole on one side of the upper protrusion to b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drainage body in order to have breathability for moisture proofing.

그리고 등록 실용신안 제 0383509호에는 결로 방지용 배수판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결로 방지용 배수판은 내부에 빈 공간을 갖고 그 단부에 개방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하부 지지기둥을 가진 하부배수판과, 상기 하부배수판 위에 보온 단열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지지기둥들의 사이에 다수개의 상부지지기둥이 부착되어 배수판의 형상이 계란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383509 discloses a condensation preventing drain board. The disclosed condensation preventing drainage plate has a lower drainage plate having a plurality of lower support pillars having an empty space therein and having an opening portion at an end thereof, and a plurality of upper support pillars between the lower support pillars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on the lower drainage plate. It is attached so that the shape of the drain board may have an egg plate shape.

상술한 바와 같은 배수판의 상부측에 상부 콘크리트가 시공되어 기초콘크리트층과 상부 콘크리트층의 사이를 단절시키게 되므로 기초콘크리트층의 표면이 평활하지 않은 경우 배수판의 지지기둥 단부가 기초콘크리트의 상면에 접촉되지 않고 현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배수판 상에 상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인력 및 설비하중으로 배수판이 함몰 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준치 이상의 강도를 가져야 한다. 그러므로 상부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쉽게 변형(플랙시블 하지 못하므로 변형되지 못함)되지 못하고 지지기둥의 단부가 현가되는 것이다. As the upper concrete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drainage plate as described above, the base concrete layer and the upper concrete layer are disconnected. Therefore, when the surface of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is not smooth, the end of the support pillar of the drainage plate does not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concrete. There is a problem that is suspended. It should have strength above the standard to prevent the drain plate from sinking or breaking due to manpower and equipment load for placing the upper concrete on the drain plate. Therefore, the end of the support pillar is suspended because it is not easily deformed due to the load of the upper concrete.

이와 같이 지지기둥의 단부가 기초콘크리트층의 상면에 접촉되지 않은 경우 상부 기초 콘크리트층에 상대적으로 큰 반복 하중(차량 및 인력하중)이 가하여지게 되면 상부 기초 콘크리트층에 부등침하 및 균열이 발생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균열은 집수정의 물이 역류되거나 유입되는 침출수가 많은 경우 상기 기초 콘크리트 층의 상부에 물이 고이게 되는데, 이 물이 균열된 부위로 역류하게 된다. 또한 주변의 정상적인 상부 기초 콘크리트에 반복하중이 가하여 질 때 이 균열로 인하여 주변 콘크리트 층에 추가적인 연쇄 균열이 발생되며 나아가서는 심각한 하자의 요인으로 이어지게 된다.In this way, if the end of the support pillar is not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if a relatively large repetitive load (vehicle and attraction load) is applied to the upper foundation concrete layer, an uneven settlement and crack may occur or damage the upper foundation concrete layer. There is a problem. Such cracking causes water to accumulate in the upper part of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when the water of the sump flows backward or flows in, and the water flows back to the cracked portion. In addition, when the cyclic load is applied to the normal upper foundation concrete around, this crack creates additional chain cracks in the surrounding concrete layer, which in turn causes serious defects.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인은 결로 방지용 배수판을 특허출원 제 2007-0010291호로 출원하여 등록 받은바 있으며, 본 발명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후속 출원들을 하기에 이르렀다. In view of this point, the present inventor has filed and registered a condensation preventing drainage plate as a patent application No. 2007-0010291, and has continued to develop the present invention to reach subsequent applications.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상부 콘크리트층의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의 자중에 의해 랜딩플레이트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하강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의 메인기둥들 중 기초 콘크리트층의 상부면과 접촉되지 않은 지역에 랜딩 플레이트의 보조 지지기둥이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수판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is relatively simple, the landing plate is lowered to the base plate by the weight of the concrete when the concrete of the upper concrete layer, the base of the main pillars of the base plat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ainage plate assembly capable of improving bearing capacity by bringing an auxiliary support column of a landing plate into contact with an area not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a concrete lay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호 간의 적층성을 향상시켜 운반이 용이한 배수판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ainage plate assembly that is easy to transport by improving the stackability of each oth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랜딩플레이트의 하강 시 이송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보조 지지기둥들의 하강 시 정도 차이에 의해 인접하는 보조 지지기둥이 당겨져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판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conveying force when the landing plate is lowered, and the drain plate assembly which can prevent the adjacent auxiliary support pillars are pulled up by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fall of the auxiliary support pillars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In provid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 콘크리트층의 타설 시 상부 콘크리트층이 기초 콘크리트층의 주위로 확산되어 유로를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조 지지기둥과 기초 콘크리트층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수판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upper concrete layer spreads around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when placing the upper concrete layer to prevent the flow path and drain plate assembly that can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auxiliary support column and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In provid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배수판 조립체는 Drainage plate assembly in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인입되어 하방으로 돌출되는 메인 지지기둥들과, 상기 메인 지지기둥들의 사이에 위치되며 관통된 가이드부들을 가지는 베이스 플레이트와;A base plate having a main body portion, main support pillars drawn from the main body portion and protruding downwards, and a guide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main support pillars and penetrated therethrough;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며 상부 콘크리트층의 타설 시 콘크리트의 자중에 의해 가이드부를 따라 하강하는 보조 지지기둥들과, 상기 보조 지지기둥들을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가지는 랜딩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And a landing plate inserted into the guide part and having auxiliary support pillars descending along the guide part by the weight of concrete when the upper concrete layer is placed, and at least one connection member interconnecting the auxiliary support pillars. It is characterized by tha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보조지지기둥의 하강 시 상기 연결부재가 하강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의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인입홈이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late is formed with an inlet groove formed along the trajectory of the connection member so that the connection member can be lowered when the auxiliary support pillar is lowered.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메인지지기둥과 랜딩 플레이트의 보조 지지기둥들은 원뿔형 또는 다각뿔로 형성되거나 원뿔형과 다각 뿔이 결합된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 지지기둥들에는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보조지지기둥들 상호이동에 따른 변위량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연결부재가 파상으로 형성되거나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된 밴딩부를 구비하여 길이 방향으로의 보조 지지부재 상호간의 이동에 따른 변위량을 흡수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The main support pillar formed on the base plate and the auxiliary support pillars of the landing plate may be formed of a conical shape or a polygonal pyramid or a conical shape and a polygonal horn coupled thereto. The auxiliary support pillars are formed with an incision groove cut downward from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connection member further includes a buffer for absorbing the amount of displacement due to mutual movement of the auxiliary support pillars. The shock absorb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bending portion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in a wave shape or bent upwards or downwards to absorb an amount of displacement due to movement between the auxiliary support memb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대안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는 Alternatively drain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인입되어 하방으로 돌출되며 격자 상으로 배열되며 복수개의 단위기둥들로 이루어진 메인 지지기둥들과, 상기 메인지지기둥들과 엇갈리게 격자 상으로 배열되며 관통된 가이드부들을 가지는 베이스 플레이트와;It has a main body portion, the main support pillars drawn from the main body portion protruding downwards and arranged in a lattice shape, and a guide portion penetrated in a lattice shape alternately with the main support pillars A base plate;

상기 가이드 부재에 삽입되며 상부 콘크리트층의 타설 시 콘크리트의 자중에 의해 가이드부를 따라 하강하는 보조 지지기둥들과, 상기 보조 지지기둥들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구비한 랜딩플레이트를 구비하며, And a landing plate inserted into the guide member and having supporting pillars descending along the guide portion by the weight of concrete when the upper concrete layer is poured, and at least one connecting member interconnecting the ends of the auxiliary pillars. ,

상기 메인 지지기둥들 사이에 상기 연결부재의 궤적을 따라 인입되는 인입홈이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groove is formed along the trajectory of the connection member between the main support pillars.

상기 연결부재에는 보조지지기둥들 상호간의 인장력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연결부재가 파상으로 형성되거나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된 밴딩부를 구비하여 길이 방향으로의 보조 지지부재 상호간의 이동에 따른 변위량을 흡수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 지지기둥의 단부에는 콘크리트가 흘러 기초 콘크리트층의 상면과 결합될 수 있도록 토출공이 형성될 수 도 있다.The connecting member further includes a buffer for absorbing the tensile force between the auxiliary support pillars. The shock absorb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bending portion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in a wave shape or bent upwards or downwards to absorb an amount of displacement due to movement between the auxiliary support memb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a discharge hole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auxiliary support pillar to allow concrete to flow and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본 발명은 배수판 조립체는 상부 콘크리트층과 기초 콘크리트층의 사이에 설치되어 베이스 플레이트의 메인지지기둥이 기초 콘크리트 층의 상면에 접촉되지 않음으로써 발생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 할 수 있으며, 제조가 간단하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품의 양산성이 양호하고, 본원 발명은 랜딩플레이트의 보조 지지기둥이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기초 콘크리트층의 상면에 접촉되지 않음으로써 발생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ain plate assembly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concrete layer and the base concrete layer can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 caused by the main support column of the base plate is not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concrete layer, and is easy to manufacture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mass production of the product is good,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problem caused by not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because the auxiliary support pillar of the landing plate can move independent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의 분리 시사도,
도 2 및 도 3은 배수판 조립체의 일부절제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배수판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메인 지지기둥의 다른 실시예들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리체의 다른 실시예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의 사용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배수판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배수판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을 보인 것으로, 관통공 주위에 리브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ainage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in plate assembly,
4A and 4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drain plate assembly is installed;
5 to 7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other embodiments of the main support pillar,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as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rainage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rain plate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drainage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rain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rainage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ain plate assembly shown in FIG. 13 is installed;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rainage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ain plate assembly shown in FIG. 15 is installed;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in which a rib is formed around the through hole. FIG.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는 건축물의 굴토 된 지층 위에 잔토, 자갈 또는 버럭 등의 굴토 마감면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버림 콘크리트층과 기초 콘크리트층을 소정의 높이로 형성하고, 이 기초 콘크리트층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 콘크리트 층의 형성 시 콘크리트에 의해 보조 지지기둥이 하강하여 기초 콘크리트에 대해 메인 및 보조 지지기둥이 접촉되지 않는 것이 방지된다. The drainage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ast concrete layer and a foundation concrete layer, which are sequentially installed on a crushed ground surface such as xantry, gravel, or a pile, on a crushed ground layer of a buil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is installed on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In this way, when the upper concrete layer is formed, the auxiliary supporting column is lowered by the concrete to prevent the main and auxiliary supporting columns from contacting the basic concrete.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1 to 3 show an embodiment of a drain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10)는 본체부(21)에 소정의 간격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메인 지지기둥(22)과 메인 지지기둥(22)의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부(23)를 가지는 베이스 플레이트(20)와, 상기 가이드부(23)에 삽입되며 상부콘크리트층(100)의 타설 시 콘크리트의 자중에 의해 가이드부(23)를 따라 하강하는 보조 지지기둥(51)들과, 상기 보조 지지기둥(51)들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52)를 구비한 랜딩플레이트(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rainage plate assembl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guide portion formed between the main support pillar 22 and the main support pillar 22 extending downward in the body portion 2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 Base plate 20 having a 23 and the auxiliary support pillars 51 which are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23 and descend along the guide portion 23 by the weight of concrete when the upper concrete layer 100 is placed And a landing plate 50 having at least one connection member 52 interconnecting the ends of the auxiliary support pillars 51.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메인 지지기둥(22)들은 베이스 플레이트(20)의 본체부(21)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입되어 본체부(21)를 하면으로 돌출됨으로써 콘크리트가 주입되는 인입부(22a)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The plurality of main support pillars 22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base plate 20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main body portion 21 of the base plate 20, and are insert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thereof to move the main body portion 21.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let portion 22a into which concrete is injected by being protruded to the lower surface is formed.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지지기둥(22)은 외형이 원뿔 또는 다각 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단면이 별의 보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지지기둥은 단위면적(가이드 부 사이에 하나의 메인 지지기둥이 형성되는 면적)에 다수개의 독립된 단위 지지기둥들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단위 지지기둥들의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 외주면에 파형으로 주름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6참조)As shown in FIGS. 5 to 7, the main support pillar 22 may have a conical shape or a polygonal horn shape, and a cross section thereof may be formed in a star shape. In addition, the main support pillar may be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unit support pillars in a unit area (the area where one main support pillar is formed between the guide portions). In this case, the cross-sections of the unit support pillars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corrugated form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ee FIG. 6).

그리고 상기 메인 지지기둥(22)에 형성되는 메인 지지기둥의 배열은 격자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23)는 상기 메인 지지기둥(22)들의 사이에 격자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지지기둥(22)들은 수직열과 수평열의 교차점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23)는 이들을 연결하는 수직열과 수평열의 교차점에 각각 형성된다.The main support pillars formed on the main support pillars 22 may be arranged in a lattice shape, and the guide part 23 may be arranged in a lattice shape between the main support pillars 22. That is, the main support pillars 22 are form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vertical column and the horizontal column, respectively, and the guide portion 23 is form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vertical column and the horizontal column connecting them.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본체부에는 상기 보조 지지기둥(51)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52)와 대응되는 부위에 본체부(21)의 상변으로부터 인입되어 형성되는 인입홈(24)이 형성된다. 상기 인입홈(24)은 본체부(21)에 형성된 가이드부(23)들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홈이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본체부(21)에 인입홈(24)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지지기둥(51)의 하단부에 신축부(57)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신축부(57) 보조 지지기둥(5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개로 제작되어 상기 보조 지지기둥(51)에 콘크리트의 자중에 의해 하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base plate 20 is formed an inlet groove 24 formed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member 52 for connecting the auxiliary support pillars 51 is drawn from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21. . The inlet groove 24 may be formed radially so as to interconnect the guide portions 23 formed in the body portion 21. In addition, the guide groove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formed. For example, when the inlet groove 24 is not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21, the elastic portion 57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auxiliary support pillar 51 as shown in FIG. 4A.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ortion 57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auxiliary support column 51, and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to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lowered by the weight of concrete in the auxiliary support column 51.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지지기둥(51)의 단부는 상대적으로 얇게 성형되어 변형이 가능한 변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보조 지지기둥(51)은 실질적으로 메인 지지기둥의 길이보다 변형부에 의해 더 길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지지기둥 보다 상대적으로 보조 지지기둥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보조 지지기둥(51)이 쉽게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변형부를 구현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4B, an end portion of the auxiliary support pillar 51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thin, and may further include a deformation part that is deformable. The auxiliary support pillar 51 may be substantially deformed than the length of the main support pillar. It can be longer by wealth. In addition, by forming the length of the auxiliary support pillar relatively longer than the main support pillar, the auxiliary support pillar 51 can be easily deformed by the load of concrete, thereby implementing the deformation portion.

한편, 본체부(21)에는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복수개의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리브(25)는 인입홈(24)과 가이드부(23) 및 지지기둥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25)는 인입홈(24)의 양측에 형성되어 연결부재를 파지할 수 있는 홈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Meanwhile, a plurality of ribs may be formed in the body portion 21 to improve structural strength. The rib 25 may be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a portion where the inlet groove 24, the guide part 23, and the support pillar are not form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illustrated in FIGS. 8 and 9, the ribs 25 may b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inlet groove 24 to be used as grooves for holding the connection member.

그리고 상기 본체부(21)에 형성된 가이드부(23)는 본체부(21)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의 가장자리에 립(2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립(23a)은 상기 보조 지지기둥(51)을 가이드 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립은 관통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보조 지지기둥(51)이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원활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불연속 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guide part 23 formed in the main body 21 may have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main body 21, and a lip 23a may be formed at an edge thereof. The lip 23a can be any structure as long as it can guide the auxiliary support pillar 51. The lip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or may be discontinuously formed so that the auxiliary support pillar 51 can be smoothly lowered by the load of the concrete.

한편, 상기 본체부(21)에 형성된 가이드부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립(23a)의 하단부측 가장자리에 내측으로 연장되는 둘레턱(23b)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둘레턱(23b)은 연속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조 지지기둥(51)의 상부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둘레턱(23b)에 걸리는 플랜지부(51a)가 형성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0, the guide part formed in the main body part 21 may have a circumferential jaw 23b extending inwardly at the lower end side edge of the lip 23a formed at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The peripheral jaw 23b may be formed continuously and discontinuously. In this case, a flange portion 51a that is caught by the circumferential jaw 23b is formed at an upper side edge of the auxiliary support pillar 51.

그리고 상기 랜딩 플레이트(50)는 도 1, 도 8, 9,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가이드부(23)에 삽입되는 되는 보조 지지기둥(51)과 이들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인입홈(24)에 삽입되는 연결부재(52)를 구비하는데, 상기 연결부재(52)에는 상기 가이드부(23)로 보조 지지기둥(52)들이 하강함에 따른 변위량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53)를 구비한다. 상기 완충부는 연결부재(53)가 파상으로 밴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And the landing plate 50 is the auxiliary support pillar 51 is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23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1, 8, 9, 10 and interconnecting them and the retracting groove 24 The coupling member 52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member 52, and the coupling member 52 includes a shock absorbing portion 53 for absorbing the displacement amount as the auxiliary support pillars 52 descend to the guide portion 23. The shock absorbing portion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connecting member 53 in a wave shape.

그리고 상기 보조 지지기둥(51)은 가이드 부(23)를 따라 하강 시 가이드부와 보조 지지기둥(51)의 직경 차이에 의해 하강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절개부(55)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절개부(55)는 그 형상이 v 자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절개부의 형성은 랜딩 플레이트의 적층시 그 부피를 줄 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auxiliary support pillar 51 is a predetermined length cut portion 55 from the upper end downward to prevent the lowering is interfered by the difference in the diameter of the guide portion and the auxiliary support pillar 51 when descending along the guide portion 23. ) May be formed, and the cutout portion 55 may have a shape of a v shape. The formation of the cutout can reduce its volume upon stacking of the landing plate.

그리고 상기 보조지지기둥(51)의 상단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립(23a)의 하단부측 가장자리에 내측으로 형성된 둘레턱(23b)과 결합되는 플랜지부(51a)가 형성되는데, 이 플랜지부가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support pillar 51 is formed with a flange portion 51a which is engaged with the circumferential jaw 23b formed inward at the lower edge side edge of the lip 23a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formed continuously.

그리고 상기 보조 지지기둥(51)은 하면에는 복수개의 토출공(56)이 형성되어 미세한 콘크리트가 유출되어 기초 콘크리트층(200)의 상면과 접촉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도 11참조) 여기에서 상기 보조 지지기둥의 형상은 상기 메인 지지기둥과 같이 원뿔형 또는 다각뿔로 형성되거나 원뿔형과 다각 뿔이 결합된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auxiliary support column 51 may have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56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to allow fine concrete to flow out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200. The shape of the auxiliary support pillar may be formed in a conical shape or a polygonal pyramid like the main support pillar or in a state in which the conical shape and the polygonal horn are coupled.

도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배수판 조립체를 나타내 보였다.Figure 12 shows a drain plate assembly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배수판 조립체는 보조 지지기둥(51)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52)가 절곡되어 상기 메인지지기둥(22)의 인입부(22a)에 인입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는 베이스 플레이트(20)에 대해 보조 지지기둥(51)이 하강함에 따라 연결부재(52)에 작용하는 길이 방향으로의 변위량이 메인 지지기둥(22)의 인입부(22a)에 인입된 연결부재가 펼쳐지면서 흡수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rainage plate assembly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52 connecting the auxiliary support pillars 51 is bent and drawn into the inlet 22a of the main support pillar 22. This structure is a connection in which the amount of displac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ting on the connecting member 52 as the auxiliary support column 51 descends relative to the base plate 20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portion 22a of the main support column 22. As the member unfolds, it has a structure that can absorb i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수판 조립체(10)는 상기 기초 콘크리트층(200)과 상부 콘크리트층(100)의 사이에 설치되어 지하수를 집수정으로 빠르게 배수시키고, 상기 상부 콘크리트층(100) 상부에 결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결로 방지용 배수판 조립체(10)는 굴토 된 지층 위에 잔토, 자갈 또는 버럭 등으로 굴토 마감면에 형성된 버림콘크리층이 형성된 기초콘크리층(200)의 상면에 설치된다. The drainage plate assembly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between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200 and the upper concrete layer 100 to quickly drain the groundwater to the sump, and condensation occurs on the upper concrete layer 100. Will be prevented. The condensation preventing drainage plate assembly 1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200 on which the discarded concrete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xcavation surface of the excavation ground, such as xantry, gravel, or a block on the excavated ground layer.

즉, 기초 콘크리트층(200)의 상면에 베이스 플레이트(20)들을 평면상으로 배열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랜딩플레이트(50)를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부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에 상기 보조 지지기둥(51)들이 가이드부(23)에 삽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연결부재(52)가 인입홈(24)에 인입되도록 한다. That is, the base plates 20 are arranged in a pla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200. In this state, the landing plate 5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20. At this time, the auxiliary support pillars 51 are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23, and the connection member 52 is drawn in. To be pulled into (24).

상기와 같이 배수판 조립체(10)가 완료된 상태에서 상부 콘크리트층의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와 같이하면, 베이스 플레이트(20)에 형성된 메인 지지기둥(22)과 랜딩플레이트(50)에 형성된 보조 지지기둥(51)에 콘크리트가 삽입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where the drainage plate assembly 10 is completed, the concrete for pouring the upper concrete layer is poured. In this way, concrete is inserted into the main support pillar 22 formed in the base plate 20 and the auxiliary support pillar 51 formed in the landing plate 50.

이 과정에서 상기 보조 지지기둥(51)은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하강하여 기초 콘크리트(200)의 상면에 밀착된다. 이때에 상기 보조 지지기둥(51)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52)는 인입홈(24)에 삽입되고, 보조지지기둥(51)들의 하강으로 인한 위치 이동량을 완충부 즉, 파형으로 형성된 완충부(53)가 펼쳐지면서 흡수하게 된다. In this process, the auxiliary support column 51 is lowered by the load of the concret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concrete 200. At this time, the connecting member 52 for connecting the auxiliary support pillars 51 is inserted into the inlet groove 24, and the shock absorbing portion (that is, the buffer portion formed in a waveform, that is, the position movement amount due to the lowering of the auxiliary support pillars 51) 53) stretched out and absorbed.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52)가 상기 메인 지지기둥(20)의 인입부(22a)에 삽입되는 경우 이 연결부재(52)가 펼쳐지면서 상술한 변위량을 흡수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2, when the connecting member 52 is inserted into the inlet 22a of the main support pillar 20, the connecting member 52 is unfolded to absorb the above-described displacement amount.

이러한 작용으로 기초 콘크리트층(200)의 상면이 불균일하여도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이드부(23)에 대해 보조 지지기둥(51)은 콘크리트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그 단부가 기초 콘크리트층(200)의 상면에 접촉된다. Even if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200 is non-uniform by this action, the auxiliary support column 51 is lowered by the weight of the concrete relative to the guide portion 23 of the base plate, and the end thereof is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200. Is in contact with.

그리고 보조 지지기둥(51)의 하면에는 토출공(56) 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기초 콘크리트층(200)의 상면에 보조 지지지둥(51)의 하면에 일부 접촉되어 있다 하여도 토출공(56)으로 콘트리트가 일부 배출되어 보조 지지기둥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도 10참조)In addition, since the discharge hole 56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support pillar 51, the discharge hole 56 may be partially contacted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support pillar 5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200. As a result, the concrete is partially discharged, thereby improving the supporting force of the auxiliary support pillar (see FIG. 10).

도 13 및 도 1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13 and 14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drain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10)는 관통공(61)을 가지는 베이스 플레이트(6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의 관통공(61)에 삽입되며 콘크리트의 자중에 의해 변형 가능한 지지기둥(71)을 가지는 랜딩 플레이트(7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rainage plate assembl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base plate 60 having a through hole 61 and the through hole 61 of the base plate 60 and deformed by the weight of concrete. It has a landing plate 70 with a support pillar 71.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61)들은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배열되고, 이들의 사이에는 제1 종방향 인입부(62)들과 제1횡방향 인입부(63)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종방향 인입부(62)와 제1횡방향 인입부(63)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1,2홀컵지지부(64)(65)들이 형성된다. 상기 제 1,2홀컵지지부(64)(65)는 하면으로 연장되어 되어 돌출된 것으로 기초 콘크리트 바닥면과 베이스 플레이트(60)를 이격시키게 된다. 상기 제 1홀컵지지부(64)는 상기 제1종방향 인입부(62)와 제1횡방향 인입부(63)의 교차부위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2홀컵지지부(65)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1,2홀컵지지부(64)(65)는 상면으로부터 인입된 인입부(64a)(65a)가 형성된다. 상기 제1,2홀컵지지부(64)(65)에는 반드시 인입부가 형성될 필요는 없다. 또한 제1,2 홀컵지지부의 개수는 이상에 한정하지 않는다.13, the through holes 61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as shown in FIG. 13, between the first longitudinal inlet portions 62 and the first transverse portion. Directional leads 63 are formed. In addition, first and second hole cup support portions 64 and 65 extending downward are formed in the first longitudinal lead portion 62 and the first transverse lead portion 63. The first and second hole cup support portions 64 and 65 extend to the bottom surface to protrude from the base concrete floor surface and the base plate 60. The first hole cup supporting portion 64 is form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longitudinal drawing portion 62 and the first transverse drawing portion 63 and is formed relative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hole cup supporting portion 65. do. The first and second hole cup support portions 64 and 65 have inlet portions 64a and 65a drawn from an upper surface thereof. The first and second hole cup support portions 64 and 65 do not necessarily have an inlet portion. The number of first and second hole cup support portions is not limited to the above.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의 가장자리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스커트부(66)가 형성된다. 이 제1스커트부(66)와 인접하는 베이스 플레이트(60)의 스커트부에는 이들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유닛(80)이 설치된다. 상기 결합유닛(80)은 제1스커트부(66)에 결합돌기(81)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베이스 플레이트(60)의 제1스커트부(66)에는 상기 결합돌기(81)와 결합되는 결합공(82)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의 제1스커트부(66)에는 인접하는 변을 이루는 가장자리에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것이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A first skirt 66 extending downward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base plate 60. A coupling unit 80 for coupling them is provided in the skirt portion of the base plate 60 adjacent to the first skirt portion 66. The coupling unit 80 has a coupling protrusion 81 formed on the first skirt portion 66, and the coupling protrusion 81 is coupled to the first skirt portion 66 of the base plate 60 corresponding thereto. Coupling hole 82 is formed. In the first skirt portion 66 of the base plate 60, the engaging projection and the coupling groove are formed alternately on the edge forming the adjacent side, but this is not necessarily formed.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둑판 배열식의 관통공(61)들이 형성되고, 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간격유지를 위한 제 1,2홀컵지지부 대신에 관통공(61)들의 사이에 간격유지리브(68)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base plate as shown in Figure 15 through-hole arrangement of the checkerboard arrangement is formed,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instead of the first and second hole cup support for maintaining the gap through hole 61 Spacing holding rib 68 may be formed between the ().

그리고 도 17에 도시되 바와 같이 제 1,2홀컵지지부(64)(65)가 형성된 상태에서 관통공(61)의 주변부에 베이스 플레이트(60)에 작용하는 상부 하중에 대항하는 강성증가를 위해 보강리브(67)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67)는 베이스 플레이트(60)의 하면에 형성된 것으로 기재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층에 영향을 받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다양한 위치에 형성가능하다. As shown in FIG. 17,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hole cup support portions 64 and 65 are formed, reinforcement for increasing rigidity against the upper load acting on the base plate 60 in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61. Ribs 67 may be formed. The reinforcing rib 67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6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at various positions within a range not affected by the lamination.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와 결합되는 랜딩플레이트(7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 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박판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의 관통공(61)과 대응되는 측에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입되어 돌출되는 지지기둥(71)들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기둥(71)은 상면으로부터 콘크리트가 주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인입되어 하면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기둥(71)의 상면 가장자리와 랜딩플레이트(70)의 경계부위에는 신축부(72)가 형성되는데, 상기 신축부(72)는 환형 코러게이트 형상의 주름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신축부(72)는 환형 코러게이트 형상의 주름으로 한정되지 않고 콘크리트의 자중에 의해 신출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신축부(72)는 지지기둥의 하면 또는 외주면에 주름의 형태 또는 자바라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landing plate 70 coupled to the base plate 60 is formed as a thin plate relatively thinner than the base plate 60, and is lowered from an upper surface on a sid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61 of the base plate 60. Support pillars 71 are introduced to protrude into the formed. The support pillar 7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surface is inserted to protrude into the lower surface so that concrete can be injected from the upper surface. And the stretched portion 72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edge of the support pillar 71 and the landing plate 70, the stretched portion 72 is formed by forming an annular corrugated corrugation. The stretchable portion 72 is not limited to an annular corrugated corrugation, and may be any structure as long as it can be stretched by its own weight of concrete. The stretching portion 7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wrinkles or bellows on the bottom o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그리고 상기 랜딩플래이트(70)에는 상기 제1종방향 인입부(63)와 제1횡방향인입부(62)와 대응되는 측에 상면으로부터 인입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측으로 돌출되는 제 2종방향 인입부(73)와 제 2횡방향인입부(7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2홀컵지지부(64)(65)와 대응되는 랜딩플레이트(70)에는 상면으로부터 인입되어 상기 제1홀컵지지(64)로 삽입되는 제 3홀컵지지부(75)가 형성된다. 상기 제 3홀컵지지부(75)와 랜딩플레이트의 상면과 경계부위에는 상기 지지기둥(71)에 형성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신축부(72)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홀컵지지부(65)가 상면으로부터 인입되어 형성된 경우에는 이와 대응되는 측에 콘크리트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 2홀컵지지부(65)로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제 4홀컵지지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anding plate 70 has a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protruding toward the base plate 60 by being drawn from an upper surface on a sid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ngitudinally extending portion 63 and the first transversely extending portion 62. An inlet portion 73 and a second transverse inlet portion 74 are formed. In addition, a third hole cup support part 75 is formed in the landing plate 70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hole cup support parts 64 and 65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cup support 64. An upper portion and a boundary portion of the third hole cup support portion 75 and the landing plate may be formed to have an elastic portion 72 tha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formed on the support pillar 71. In addition, when the second hole cup support part 65 is drawn in from the upper surface, the fourth hole cup support part (not shown) which can be inserted into and supported by the second hole cup support part 65 by the weight of concrete on the side corresponding thereto. ) May be formed.

그리고 상기 랜딩플레이트(7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 2스커트부(77)가 형성될 수 있는데,이 제 2스커트부(77)는 베이스 플레이트(60)의 제 1스커트부와 결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랜딩 플레이트(70)의 스커트부(77)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들을 상호 결합하는 결합유닛(80)과 간섭을 고려하여 형성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skirt portion 77 may be formed at an edge of the landing plate 70, and the second skirt portion 77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kirt portion of the base plate 60.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kirt portion 77 of the landing plate 70 is not formed in consideration of interference with the coupling unit 80 that couples the base plates 60 to each other.

상기 랜딩플레이트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61)과 대응되는 측에 지지기둥(78)이 형성되고, 이 지지기둥(78)과 랜딩플레이트의 상면 가장자리에 상술한 바와 같은 신축부(79)가 형성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landing plate, as shown in FIG. 15, a support pillar 78 is formed at a sid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61, and the support pillar 78 and the stretch plate as described above are formed at the upper edge of the landing plate. A portion 79 may be formed.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배수판 조립체(10)의 시공은 다음과 같다. 먼저 기초 콘크리트층(200)의 상면에 베이스 플레이트(60)들을 상호 결합하여 평면상으로 배열 설치한다. 이때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는 제 1,2홀컵지지부(64)(65)들에 의해 1차적으로 기초 콘크리트층(200)과 베이스 플레이트(6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The construction of the drainage plate assembly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First, the base plates 60 are coupled to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200 and installed in a planar arrangement. At this time, the base plate 60 primarily maintains the gap between the base concrete layer 200 and the base plate 60 by the first and second hole cup support portions 64 and 65.

이 상태에서 상기 랜딩플레이트(70)를 베이스 플레이트(60)의 상부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에 상기 지지기둥(71)들이 베이스 플레이트(60)의 관통공(61)에 삽입되고, 상기 제 1홀컵지지부(64)에 상기 제 3홀컵지지부(75)가 각각 삽입되도록 한다. In this state, the landing plate 70 is installed on the base plate 60. At this time, the support pillars 71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61 of the base plate 60, and the first hole cup is provided. The third hole cup support 75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64, respectively.

상기와 같이 배수판 조립체(10)가 완료된 상태에서 상부 콘크리트층의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where the drainage plate assembly 10 is completed, the concrete for pouring the upper concrete layer is poured.

이와 같이하면, 랜딩플레이트(70)에 형성된 지지기둥(71)에 콘크리트가 삽입됨으로써 콘크리트의 자중에 의해 기초 콘크리트의 상면에 접촉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기초콘크리트의 인입된 부위는 신축부(72)가 신장됨으로써 기초콘크리트의 상면에 지지기둥(71)의 단부가 접촉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3홀컵지지부(75)에 콘크리트가 유입됨으로써 제 3홀컵지지부(75)가 제 1홀컵지지부(64)와 밀착되며, 나아가서 랜딩 플레이트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한다.In this way, the concrete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illar 71 formed in the landing plate 70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concrete by the weight of the concrete. In this process, the retracted portion 72 extends the portion of the foundation concrete tha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d of the support pillar 7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concrete. As the concrete flows into the third hole cup support 75, the third hole cup support 7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hole cup support 64, thereby preventing excessive deformation of the landing plate.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에는 하면으로 돌출되어 기초콘크리트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제 1,2홀컵지지부(64)(65) 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유지부재(68)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의 하중이 베이스 플레이트(60)의 일측에 작용한다하여도 베이스 플레이트(60)의 일측이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base plate 60 is provided with a first and second hole cup supporting portions 64 and 65 or a gap maintaining member 68 as shown in FIG. 15 to protrude toward the bottom surface and maintain a gap with the base concrete. Therefore, even if the load of the operator acts on one side of the base plate 60, it is possible to prevent one side of the base plate 60 to be lift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에 의하면,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지지기둥들의 단부가 불균일한 기초 콘크리트층 표면과 연속되게 접촉하도록 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상부 콘크리트의 크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양산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시공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rainage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s of the supporting pillars which are provided to be elevated relative to the base plate can be constructed so as to be in continuous contact with the uneven base concrete layer surface, and furthermore, the occurrence of cracks in the upper concrete.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mass production and construction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and the cost of construction can be reduc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본원 발명의 배수판은 각종 건축 구조물의 기초공사에 널이 이용 가능하다.
The drain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the basic construction of various building structures.

Claims (14)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인입되어 하방으로 돌출되는 메인 지지기둥들과, 상기 메인 지지기둥들의 사이에 위치되며 관통된 가이드부들을 가지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며 상부 콘크리트층의 타설 시 콘크리트의 자중에 의해 가이드부를 따라 하강하는 보조 지지기둥들과, 상기 보조 지지기둥들을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가지는 랜딩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 조립체.
A base plate having a main body portion, main support pillars drawn from the main body portion and protruding downwards, and a guide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main support pillars and penetrated therethrough;
And a landing plate inserted into the guide part and having auxiliary support pillars descending along the guide part by the weight of concrete when the upper concrete layer is placed, and at least one connection member interconnecting the auxiliary support pillars. Drainage plat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보조지지기둥의 하강 시 상기 연결부재가 하강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의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인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plate drain plat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groove formed along the trajectory of the connection member so that the connection member can be lowered when the auxiliary support pillar is lower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보조지지기둥들 상호간의 인장력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ng member further comprises a shock absorbing portion for absorbing the tension between the auxiliary supporting pillars.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연결부재가 파상으로 형성되거나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된 밴딩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3,
The shock absorbing portion is a drain plat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in a wave shape or bent upwardly or downwardly.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연결부재가 절곡되어 인접하는 메인지지기둥의 인입부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3,
The shock absorbing portion is drainage plat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member is bent and positioned in the inlet portion of the adjacent main support pilla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기둥의 단부에는 콘크리트의 자중에 의해 길이가 변형되는 변형부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End portion of the auxiliary support pilla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 plat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eformation portion that is deformed by the weight of the concrete.
제 1항 및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기둥에는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개된 복수개의 절개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3,
The auxiliary support pilla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cisions cut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drainage plate assembly.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인입되어 하방으로 돌출되며 격자상으로 배열되며 복수개의 단위기둥들로 이루어진 메인 지지기둥들과, 상기 메인지지기둥들과 엇갈리게 격자 상으로 배열되며 관통된 가이드부들을 가지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삽입되며 상부 콘크리트층의 타설 시 콘크리트의 자중에 의해 가이드부를 따라 하강하는 보조 지지기둥들과, 상기 보조 지지기둥들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구비한 랜딩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지지기둥들 사이에 상기 연결부재의 궤적을 따라 인입되는 인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 조립체.
It has a main body portion, the main support pillars drawn from the main body portion protruding downwards and arranged in a lattice shape, and a guide portion penetrated in a lattice shape alternately with the main support pillars A base plate;
And a landing plate inserted into the guide member and having supporting pillars descending along the guide portion by the weight of concrete when the upper concrete layer is poured, and at least one connecting member interconnecting the ends of the auxiliary pillars. ,
Drainage plat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groove is formed along the trajectory of the connecting member between the main support pillars.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보조지지기둥들 상호간의 인장력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necting member further comprises a shock absorbing portion for absorbing the tension between the auxiliary supporting pillars.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기둥에는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개된 복수개의 절개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8,
The auxiliary support pilla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cisions cut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drainage plate assembly.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면으로 돌출되어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제 1,2홀컵지지부를 가지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관통공들에 삽입되며 상부에 신축부를 가지는 지지기둥들을 가지는 랜딩프레이트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 조립체.
A base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and having a first and second hole cup support portions for protruding to a lower surface to maintain a gap;
And a landing plat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and having support pillars having an elastic part at an upper portion thereof.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 1홀컵지지부에 삽입되는 제 3홀컵지지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 조립체.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landing plate includes a third hole cup support portion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cup support portio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제 1스커트부가 형성되고, 이 제 1스커트부와 인접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스커트부를 결합하는 결합유닛을 구비하여 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 조립체.
12. The method of claim 11,
A first skirt portion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base plate, and the drain plate assembly comprising a coupling unit for coupling the first skirt portion of the base plate adjacent to the first skirt portio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관통공과 이의 주위에 보강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배수판 조립체.
12. The method of claim 11,
Drainage plat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rib is formed around the through-hole and the base plate.
KR1020100001439A 2009-04-10 2010-01-07 draining plate assembly KR10112395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31108 2009-04-10
KR1020090031108 2009-04-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019A true KR20100113019A (en) 2010-10-20
KR101123955B1 KR101123955B1 (en) 2012-03-23

Family

ID=43132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1439A KR101123955B1 (en) 2009-04-10 2010-01-07 draining plate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95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289A (en) * 2021-11-26 2023-06-02 주식회사성진종합건설 Draining Plate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050B1 (en) * 2015-08-17 2016-07-20 박인구 Drainage plate for bottom of undergroun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333B1 (en) 2005-01-14 2006-01-10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Drain board structure for under ground basement
KR200438940Y1 (en) 2006-10-19 2008-03-11 박옥교 Fixing Structure of Drain Board for Wall Structure
KR200436636Y1 (en) 2006-10-19 2007-09-14 박옥교 Drain Board Construction With Wire Mash
KR101366139B1 (en) * 2009-02-26 2014-03-10 홍종인 draining plate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289A (en) * 2021-11-26 2023-06-02 주식회사성진종합건설 Draining Plat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3955B1 (en)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6420A (en) Method of constructing underground structure to be newly built
JP5490300B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KR101123955B1 (en) draining plate assembly
JP5496121B2 (en) Water storage space forming block
KR100882320B1 (en) Draining plate
KR101366139B1 (en) draining plate assembly
KR102059055B1 (en) fanel for sound insulation
RU108473U1 (en) SEISMIC RESISTANT BUILDING
KR101325717B1 (en) draining plate assembly
KR101247790B1 (en) drainage board combining structure for under ground basement
KR100967496B1 (en) Device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JP2015218562A (en) Ground improvement method
CN209874039U (en) Basement deformation joint structure
JP6395529B2 (en) Foundation structure of horizontally recoverable building
JP6553855B2 (en) Building foundation structure and building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KR102600671B1 (en) Draining Plate Assembly
KR101315377B1 (en) Offshor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tructuring method
KR100999410B1 (en) Assembled wale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he same
CN110528534A (en) Ruggedized construc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for pattern foundation pit supporting structure
KR101692151B1 (en) A deck support frame
JP2010159586A (en) Structure of section around earthen floor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JP3381066B2 (en) Existing building seismic isolation method and seismic isolation building
JP7194626B2 (en) Station platform reinforcement structure
CN217537360U (en) Embedded column base node for improving punching bearing capacity of steel reinforced concrete column bottom plate
KR101608286B1 (en) Composite Pile with PHC Pile and Steel Beam P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