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1732A - 동화상 부호화 및 복호 장치 - Google Patents

동화상 부호화 및 복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1732A
KR20100111732A KR1020107018994A KR20107018994A KR20100111732A KR 20100111732 A KR20100111732 A KR 20100111732A KR 1020107018994 A KR1020107018994 A KR 1020107018994A KR 20107018994 A KR20107018994 A KR 20107018994A KR 20100111732 A KR20100111732 A KR 20100111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ignal
image
image signal
rounding off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8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키 야스다
타케시 츄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00111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7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7Filters, e.g. for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37Motion inside a coding unit, e.g. average field, frame or block dif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0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 H04N19/82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involving filtering within a prediction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동화상 부호화 장치는 동화상 복호 장치에서의 필터처리를 위한 필터계수를 설정하고, 필터처리에서의 연산의 라운딩(rounding)을 제어하는 라운딩 오프셋을 설정하는 설정부와, 필터계수 및 라운딩 오프셋의 정보를 부호화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부호화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화상 부호화 및 복호 장치{TIME-VARYING IMAGE ENCODING AND DECODING DEVICE}
본 발명은, 동화상 복호 장치에서 행해지는 필터처리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및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된 필터처리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호화상에 필터처리를 행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호화상에 필터처리하는 화상을 출력하는 기술로서, 부호화 장치에서 입력화상과 복호화상에 필터처리를 행함으로써 얻어지는 화상과의 오차를 최소화하도록 필터를 설계하고, 이 필터의 정보를 송신하며, 복호장치에서는 그 필터정보를 이용해서 복호화상에 필터처리를 행함으로써 얻어지는 화상을 출력하는 기술이 있다(S. Wittmann and T. Wedi, "Post-filter SEI message for 4:4:4 coding", JVT of ISO/IEC MPEG & ITU-T VCEG, JVT-S030, April 2006(이하 Wittmann이라 칭함)). 이것에 의해, 복호장치에서는 입력화상과의 오차가 적은 출력화상을 얻을 수가 있다.
유사한 기술로서, Wittmann과 마찬가지의 처리에 더하여 복호화상에 필터처리를 행하여 얻어지는 화상을 예측화상의 생성 시에 참조화상으로서 이용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참조화상과 입력화상의 오차가 적어지기 때문에, 다음의 프레임을 예측할 때에 예측오차를 삭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의 기술에 있어서 필터처리를 정수 제산(除算)에 의해 행하는 경우, 라운딩 오차(rounding error)가 생긴다. 따라서, 정수 제산에 의한 필터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과 입력화상의 오차를 적게 하기 위해서는, 필터계수뿐만 아니라 라운딩에 대해서도 화상에 맞추어 제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널리 이용되고 있는 사사오입(四捨五入)에 의한 라운딩에서는, 화상에 맞추어 라운딩을 제어할 수 없다.
필터처리의 라운딩 오차의 축적을 회피하는 기술로서, 필터처리의 라운딩에 있어서 절상(切上), 절사(切捨)를 선택하는 기술이 있다(일본 특개평11-69362호 공보). 이 기술에서는, 부호화 장치로부터 복호장치로 절상, 절사를 지정하는 기술이 송신된다. 다만,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절상, 절사뿐이고, 오사육입(五捨六入)과 같은 라운딩을 행할 수는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는 화상에 맞추어 라운딩을 자유로이 제어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화상에 맞추어 라운딩을 자유로이 제어함으로써, 입력화상과 참조화상의 오차 및 입력화상과 출력화상의 오차를 감소시키는 동화상 부호화·복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태양(態樣)은, 동화상 복호 장치에서의 필터처리를 위한 필터계수를 설정하고, 필터처리에서의 연산의 라운딩(rounding)을 제어하는 라운딩 오프셋을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필터계수 및 상기 라운딩 오프셋의 정보를 부호화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부호화부를 갖춘 동화상 부호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필터계수 및 라운딩 오프셋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취득부와, 상기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복호화상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얻어진 상기 필터계수 및 상기 라운딩 오프셋을 이용해서 상기 복호화상신호의 복호화상에 필터처리를 행하는 필터처리부를 갖춘 동화상 복호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제1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신호처리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제2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복호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제2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복호 장치의 신호처리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제2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복호 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제3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제4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복호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도 1을 이용해서 제1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입력화상신호(101)는 신호처리기(110)로 입력된다. 신호처리기(110)는 예측기(114)로부터 예측화상신호(108)를 받고, 이 예측화상신호(108)와 입력화상신호(101)의 잔차신호를 계산하며, 이 잔차신호를 계수로 변환하여 잔차정보(102)를 생성한다. 또, 신호처리기(110)는 예측화상신호(108)와 잔차신호로부터 국소복호화상신호(103)를 생성한다. 신호처리기(110)의 국소복호화상신호 출력단은 프레임 메모리(111)에 접속되고, 그 잔차정보 출력단은 가변길이 부호화기(115)에 접속된다. 프레임 메모리(111)는 국소복호화상신호(103)를 축적한다. 예측기(114)는 프레임 메모리(111)에 기억된 화상신호로부터 예측화상신호를 생성한다.
신호처리기(110)는 도 2에 나타내어져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는 감산기(120), 직교변환기(121), 양자화기(122), 역양자화기(123), 역직교변환기(124) 및 가산기(125)에 의해 구성된다.
프레임 메모리(111)는 필터·라운딩 오프셋 설계기(112) 및 필터처리기(113)에 접속된다. 필터·라운딩 오프셋 설계기(112)는 입력화상신호(101) 및 국소복호화상신호(104)로부터 필터계수 및 라운딩 오프셋을 설계하고, 필터계수(105) 및 라운딩 오프셋(126)을 생성한다. 필터처리기(113)는 필터계수(105) 및 라운딩 오프셋(126)을 이용해서 국소복호화상신호(104)에 대해 필터처리를 행하여, 화상신호(106)를 생성한다.
가변길이 부호화기(115)는, 잔차정보(102), 필터계수(105) 및 라운딩 오프셋(126)을 가변길이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109)를 출력한다.
상기 구성의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작용을 도 3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입력화상신호(101)는 신호처리기(110)로 입력된다. 신호처리기(110)에서는, 예측화상신호(108)와 입력화상신호(101)의 잔차신호가 생성되고(S11), 잔차신호를 직교변환한 잔차정보(예컨대 DCT 계수; 102)가 생성되어 출력된다(S12). 또, 예측화상신호(108)와 잔차신호로부터 국소복호화상신호(103)가 생성되어 출력된다(S13). 잔차정보(102)는 가변길이 부호화기(115)로 입력되고, 국소복호화상신호(103)는 프레임 메모리(111)에 축적된다.
여기서 신호처리기(110)의 예에 대해 도 2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입력화상신호(101)가 신호처리기(110)로 입력된다. 입력화상신호(101)는 감산기(120)로 입력된다. 감산기(120)에서는, 입력화상신호(101)와 예측화상신호(108)의 차분을 취함으로써 잔차신호(116)가 생성된다. 직교변환기(121)에서는, 잔차신호(116)에 직교변환이 실시되어 변환계수(117)가 생성된다. 양자화기(122)에서는 변환계수(117)가 양자화된다. 양자화된 변환계수는, 한쪽에서 잔차정보(102)로서 가변길이 부호화기로 입력되고, 다른쪽에서 역양자화기(123)에 의해 역양자화된 후, 역직교변환기(124)에서 역직교변환된다. 가산기(125)에서는, 재생된 잔차신호(119)와 예측화상신호(108)가 가산됨으로써 국소복호화상신호(103)가 생성된다. 국소복호화상신호(103)는 프레임 메모리(111)에 기억된다.
프레임 메모리(111)로부터 독출(讀出: 읽어냄)되는 국소복호화상신호(104)는, 필터·라운딩 오프셋 설계기(112) 및 필터처리기(113)로 입력된다. 필터·라운딩 오프셋 설계기(112)에서는 입력화상신호(101) 및 국소복호화상신호(104)로부터 필터계수 및 라운딩 오프셋이 설계된다(S14). 즉, 필터·라운딩 오프셋 설계기(112)는 동화상 복호 장치에서의 필터처리를 위한 필터계수의 설정 및 필터처리 연산의 라운딩을 제어하는 라운딩 오프셋의 설정을 행한다. 필터계수(105) 및 라운딩 오프셋(126)은 필터처리기(113) 및 가변길이 부호화기(115)로 입력된다.
필터·라운딩 오프셋 설계기(112)에 있어서 필터가 설계되면, 필터처리가 행해진다. 즉, 필터처리기(113)에 있어서, 필터계수(105) 및 라운딩 오프셋(126)을 이용해서 국소복호화상신호(104)에 대해 필터처리를 행하여, 화상신호(106)를 생성한다(S15).
화상신호(106)는 프레임 메모리(111)에 축적된다. 프레임 메모리(111)에 축적된 화상신호가 참조화상신호(107)로서 독출되고, 예측기(114)로 입력된다. 예측기(114)에서는, 참조화상신호(107)를 이용해서 예측이 행해져 예측화상신호(108)가 생성된다(S16). 예측화상신호(108)는 신호처리기(110)로 입력된다. 가변길이 부호화기(115)에서는, 잔차정보(102), 필터계수(105) 및 라운딩 오프셋(126)이 가변길이 부호화되어 그들의 부호를 포함하는 부호화 데이터(109)가 생성된다(S17).
필터처리기(113)에서는 다음 식으로 필터처리가 행해진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Sfit(x,y)는 필터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의 위치(x,y)의 화소값, S(x,y)는 국소복호화상의 위치(x,y)의 화소값, N은 미리 결정된 자연수이다. hij (int), δ( int ), D는 정수값이고, hij ( int )는 필터계수, δ( int )는 라운딩 오프셋, D는 미리 결정된 값이다. 제산은 정수 제산으로 한다. hij ( int ), δ( int )는 필터·라운딩 오프셋 설계기(112)에서 설정된 값이 입력된다. 식 (1)은 필터처리 대상 화소(x,y)의 주변에 위치하는 화소의 값의 가중치 합에, 설정된 라운딩 오프셋 δ( int )를 더한 값에 대해 정수 제산을 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필터계수 hij ( int )가 가중치 합의 가중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필터처리는 장치화의 간편성, 고속화의 관점으로부터 비트 시프트 연산을 이용해서 행해진다. 비트 시프트 연산을 이용하는 경우, D=2n으로서, 다음 식이 이용된다.
Figure pct00002
필터·라운딩 오프셋 설계기(112)에서는, 필터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과 입력화상의 오차가 적어지도록 hij ( int ), δ( int )를 설정한다. 오차로서는, 예컨대 프레임 단위의 2승 오차
Figure pct00003
를 이용할 수가 있다. 여기서, Sorg(x,y)는 입력화상의 위치(x,y)의 화소, X, Y는 각각 프레임 내의 x좌표, y좌표의 집합이다. 2승 오차를 최소로 하는 필터계수를 구하는 방법으로서 Wiener-Hopf 방정식을 푸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터계수 hij ( int ), 라운딩 오프셋 δ( int )가 정수값이라고 하는 제약이 있기 때문에, 상기의 방법을 기본으로 한 근사방법에 의해 필터계수 hij ( int ), 라운딩 오프셋 δ( int )를 구한다. 처음에 식 (1)을 다음 식으로 근사한다.
Figure pct00004
여기서, hij는 hij ( int )/D의 근사값, δ는 (δ( int )-D/2)/D의 근사값에 상당한다. 한편, D/2는 정수 제산을 부동소수점 제산으로 근사하기 위한 값이다.
식 (4)를 이용하면, 필터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과 입력화상의 2승 오차
Figure pct00005
를 최소로 하는 hij, δ는 식 (5)를 hij, δ로 편미분한 값을 0으로 두고 얻어지는 방정식을 풂으로써 얻어진다. 즉, hij, δ에 관한 방정식
Figure pct00006
을 풀면 좋다. hij는 hij ( int )/D의 근사값, δ는 (δ( int )-D/2)/D의 근사값에 상당하기 때문에, 예컨대 다음 식에 따라 필터계수 hij ( int ), 라운딩 오프셋 δ( int )가 구해진다.
Figure pct00007
x는 x를 넘지 않는 최대의 정수를 나타낸다.
이제까지 설명한 방법에 의해, hij ( int ), δ( int )가 프레임 단위로 구해져 필터계수(105) 및 라운딩 오프셋(126)으로서 출력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상에 맞추어 라운딩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라운딩 오프셋을 고정의 값으로 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동화상 복호 장치에서 얻어지는 출력화상과 입력화상의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입력화상과 참조화상의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예측효율이 향상된다.
(제2실시형태)
도 4를 이용해서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복호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 동화상 복호 장치는 가변길이 복호기(210), 신호처리기(211), 프레임 메모리(212), 예측기(213) 및 필터처리기(214)에 의해 구성된다. 가변길이 복호기(210)는 부호화 데이터(201)를 복호하고, 잔차정보(202), 필터계수(209), 라운딩 오프셋(208)을 출력한다. 신호처리기(211)는 잔차정보(202)를 기초로 잔차를 재생하고, 이 잔차와 예측기(213)로부터의 예측화상신호(207)로 복호화상신호(203)를 생성한다. 프레임 메모리(212)는 복호화상신호(203)를 축적한다. 예측기(213)는 프레임 메모리(212)에 기억된 화상신호로부터 예측화상신호(207)를 생성한다.
신호처리기(211)는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역양자화기(217), 역직교변환기(218) 및 가산기(219)에 의해 구성된다. 역양자화기(217)는 잔차정보(202)를 역양자화하여 변환계수(215)를 생성한다. 역직교변환기(218)는 변환계수(215)를 역직교변환하여 잔차신호(216)를 생성한다. 가산기(219)는 예측화상신호(207)와 잔차신호(216)를 가산하여 복호화상신호(203)를 생성한다
상기 구성의 동화상 복호 장치의 작용을 도 6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복호대상의 부호화 데이터(201)로서, 제1실시형태의 도 1의 동화상 부호화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109)가 축적계 또는 전달계를 거쳐 가변길이 복호기(210)로 입력된다. 복호대상의 부호화 데이터(201)에는, 잔차정보, 필터계수, 라운딩 오프셋의 정보의 부호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의 각 부호는 가변길이 복호기(210)에 의해 복호됨으로써, 잔차정보(202), 필터계수(209), 라운딩 오프셋(208)이 출력된다(S21). 잔차정보(202)는 신호처리기(211)로, 필터계수(209) 및 라운딩 오프셋(208)은 필터처리기(214)로 입력된다. 신호처리기(211)에서는 잔차정보(202)를 기초로 잔차가 재생되고, 예측화상신호(207)와 재생된 잔차로부터 복호화상신호(203)가 생성된다(S22).
여기서 신호처리기(211)의 예에 대해 도 4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부호화 데이터는 도 2를 이용해서 설명한 화상신호처리기(110)를 가진 제1실시형태의 부호화 장치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한다. 잔차정보(202)로서 양자화된 변환계수가 역양자화기(217)로 입력된다. 양자화된 변환계수는 역양자화기(217)에 의해 역양자화된 후, 역직교변환기(218)에 의해 역직교변환됨으로써, 잔차신호(216)가 생성된다. 가산기(219)에서는, 잔차신호(216)에 예측화상신호(207)가 가산됨으로써 복호화상신호(203)가 얻어진다.
복호화상신호(203)는 프레임 메모리(212)에 축적되고, 프레임 메모리(212)로부터 독출되는 복호화상신호(204)는 필터처리기(214)로 입력된다. 필터처리기(214)에서는, 제1실시형태의 필터처리기(113)와 마찬가지로 필터계수(209) 및 라운딩 오프셋(208)을 이용해서 복호화상신호(204)에 대해 필터처리가 행해져 화상신호(205)가 생성된다(S23). 화상신호(205)는 프레임 메모리(212)에 축적됨과 더불어 출력신호로서 출력된다. 프레임 메모리(212)에 축적된 화상신호는 참조화상신호(206)로서 독출되어 예측기(213)로 입력된다. 예측기(213)에서는, 참조화상신호(206)를 이용해서 예측이 행해져 예측화상신호(207)가 생성된다. 예측화상신호(207)는 신호처리기(211)로 입력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상에 맞추어 라운딩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라운딩 오프셋을 고정의 값으로 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동화상 부호화 장치에서 부호화된 입력화상과 출력화상의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입력화상과 참조화상의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예측효율이 향상된다.
(제3실시형태)
도 7을 이용해서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의 필터처리기(113)는 설치되어 있지 않고, 예측기(310)에서는 참조화상신호(304)로서 국소복호화상신호(303)를 이용해서 예측화상신호(305)가 생성된다.
즉, 도 7의 동화상 부호화 장치에 따르면, 입력화상신호(301)가 신호처리기(308)로 입력되면, 신호처리기(308)는 예측화상신호(305)와 입력화상신호(301)의 잔차신호를 생성하고, 잔차신호를 변환한 잔차정보(302)를 생성한다. 또, 신호처리기(308)는 예측화상신호(305)와 잔차신호로부터 국소복호화상신호(303)를 생성한다. 잔차정보(302)는 가변길이 부호화기(311)로 입력되고, 국소복호화상신호(303)는 프레임 메모리(309)에 축적된다.
프레임 메모리(309)에 기억된 국소복호화상신호(303)는 참조화상신호(304)로서 예측기(310)로 입력됨과 더불어 필터·라운딩 오프셋 설계기(312)로 입력된다. 필터·라운딩 오프셋 설계기(312)에서는, 입력화상신호(301) 및 국소복호화상신호(304)로부터 필터계수 및 라운딩 오프셋이 설계된다. 이때, 필터·라운딩 오프셋 설계기(312)는 동화상 복호 장치에 있어서 복호화상에 필터처리가 행해져 얻어지는 화상과 입력화상의 오차가 적어지도록 필터계수, 라운딩 오프셋을 설정한다. 필터·라운딩 오프셋 설계기(312)의 동작은 제1실시형태의 필터·라운딩 오프셋 설계기(112)와 마찬가지로 하면 좋다. 필터계수(307) 및 라운딩 오프셋(313)은 가변길이 부호화기(311)로 입력되어 부호화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상에 맞추어 라운딩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라운딩 오프셋을 고정의 값으로 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동화상 복호 장치에서 얻어지는 출력화상과 입력화상의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4실시형태)
도 8을 이용해서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다만, 필터처리기(413)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406)가 프레임 메모리(411)에 축적되지 않고, 예측기(412)에서는 참조화상신호(404)로서 복호화상신호(403)를 이용해서 예측화상신호(405)가 생성된다.
즉, 도 8의 동화상 복호 장치에 따르면, 부호화 데이터(401)가 가변길이 복호기(409)로 입력되면, 가변길이 복호기(409)는 부호화 데이터(401)를 복호하고, 잔차정보(402), 필터계수(408), 라운딩 오프셋(407)을 출력한다. 잔차정보(402)는 신호처리기(410)로, 필터계수(408) 및 라운딩 오프셋(407)은 필터처리기(413)로 입력된다. 신호처리기(410)에서는 잔차정보(402)를 기초로 잔차를 재생하고, 예측기(412)의 예측화상신호(405)와 재생된 잔차로부터 복호화상신호(403)를 생성한다. 복호화상신호(403)는 프레임 메모리(411)에 축적된다. 프레임 메모리(411)의 복호화상신호(403)는 예측기(412)로 참조화상신호(404)로서 입력된다. 예측기(412)는 이 참조화상신호(404)를 이용해서 예측화상신호(405)를 생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상에 맞추어 라운딩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라운딩 오프셋을 고정의 값으로 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동화상 부호화 장치에서 부호화된 입력화상과 출력화상의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에 맞추어 라운딩을 자유로이 제어함으로써, 입력화상과 참조화상의 오차 및 입력화상과 출력화상의 오차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기재한 본 발명의 수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킬 수 있고, 또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한 프로그램으로서 자기 디스크(플렉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디스크(CD-ROM, DVD 등),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록매체에 격납하여 반포(頒布)할 수도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는, 통신 미디어, 축적 미디어 및 방송 미디어 등에서의 화상압축처리에 사용된다.
110 --- 신호처리기
111 --- 프레임 메모리
112 --- 필터·라운딩 오프셋 설계기
113 --- 필터처리기
114 --- 예측기
115 --- 가변길이 부호화기

Claims (9)

  1. 동화상 복호 장치에서의 필터처리를 위한 필터계수를 설정하고, 필터처리에서의 연산의 라운딩(rounding)을 제어하는 라운딩 오프셋을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필터계수 및 상기 라운딩 오프셋의 정보를 부호화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부호화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입력화상신호와 예측화상신호를 신호처리하여 국소복호화상을 생성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동화상 복호 장치에서의 필터처리를 위해 설정된 상기 필터계수 및 상기 라운딩 오프셋을 이용해서 상기 국소복호화상에 필터처리를 행하는 필터처리부,
    상기 필터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을 참조화상으로서 축적하는 화상축적부 및,
    축적된 화상을 이용해서 상기 예측화상신호를 생성하는 예측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처리부는, 상기 국소복호화상 상에서 필터처리 대상 화소의 주변에 위치하는 화소의 값의 가중치 합에 상기 라운딩 오프셋을 더한 값에 대해 정수 제산을 행함으로써 상기 필터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입력화상신호와 상기 예측화상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잔차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필터계수 및 상기 라운딩 오프셋의 정보와 더불어 상기 잔차정보를 부호화하여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필터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과 입력화상의 오차가 적어지도록 상기 라운딩 오프셋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입력화상신호와 상기 국소복호신호를 이용해서 필터계수 및 라운딩 오프셋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7.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필터계수 및 라운딩 오프셋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취득부와,
    상기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복호화상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얻어진 상기 필터계수 및 상기 라운딩 오프셋을 이용해서 상기 복호화상신호의 복호화상에 필터처리를 행하는 필터처리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을 참조화상으로서 축적하는 축적부 및,
    축적된 화상을 이용해서 상기 예측화상신호를 생성하는 예측부를 갖추되,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상기 예측화상신호를 이용해서 상기 복호화상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처리부는, 상기 복호화상 상에서 필터처리 대상 화소의 주변에 위치하는 화소의 값의 가중치 합에 상기 라운딩 오프셋을 더한 값에 대해 정수 제산을 행함으로써 상기 필터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KR1020107018994A 2008-04-30 2009-04-30 동화상 부호화 및 복호 장치 KR201001117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19151 2008-04-30
JP2008119151 2008-04-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732A true KR20100111732A (ko) 2010-10-15

Family

ID=41255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8994A KR20100111732A (ko) 2008-04-30 2009-04-30 동화상 부호화 및 복호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00329335A1 (ko)
EP (1) EP2271113A4 (ko)
JP (1) JPWO2009133938A1 (ko)
KR (1) KR20100111732A (ko)
CN (1) CN101960857A (ko)
AU (1) AU2009240883A1 (ko)
BR (1) BRPI0909151A2 (ko)
CA (1) CA2718341A1 (ko)
MX (1) MX2010009616A (ko)
RU (1) RU2010137683A (ko)
WO (1) WO20091339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01932A1 (en) * 2009-12-18 2018-04-04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filter and decod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1775A (en) * 1997-04-17 2000-07-18 Sharp Kabushiki Kaisha Video-coding device and video-decoding device
JP2998741B2 (ja) * 1997-06-09 2000-01-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動画像の符号化方法、該方法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みと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動画像の符号化装置
JP2001275110A (ja) * 2000-03-24 2001-10-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動的なループ及びポストフィルタリング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IL164176A0 (en) * 2002-04-23 2005-12-18 Nokia Corp Method and device for indicating quantizer parameters in a video coding system
US20040179610A1 (en) * 2003-02-21 2004-09-16 Jiuhuai Lu Apparatus and method employing a configurable reference and loop filter for efficient video coding
JP4284265B2 (ja) * 2004-11-02 2009-06-24 株式会社東芝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動画像復号化装置および動画像復号化方法
JP2006211152A (ja) * 2005-01-26 2006-08-10 Hokkaido Univ 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装置、画像符号化方法、画像復号方法、画像符号化用プログラム、画像復号用プログラム
CN101491101B (zh) * 2006-07-18 2011-11-16 汤姆森许可贸易公司 用于自适应参考滤波的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909151A2 (pt) 2018-02-06
WO2009133938A1 (ja) 2009-11-05
EP2271113A4 (en) 2011-10-26
CA2718341A1 (en) 2009-11-05
CN101960857A (zh) 2011-01-26
US20100329335A1 (en) 2010-12-30
RU2010137683A (ru) 2012-06-10
JPWO2009133938A1 (ja) 2011-09-01
MX2010009616A (es) 2010-09-30
EP2271113A1 (en) 2011-01-05
AU2009240883A1 (en)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963B1 (ko) 동영상의 무손실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6220023B2 (ja) 画像予測復号方法
JP3863510B2 (ja) 動きベクトル符号化/復号化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365567B1 (ko) 영상의 예측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20120230405A1 (en) Video coding methods and video encoders and decoders with localized weighted prediction
US9167271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dynamic image encod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dynamic image decod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and encoding/decoding system and method
US20130022124A1 (en) Image encoding device, image decoding device, image encoding method, and image decoding method
KR20060121535A (ko) 블록화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그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WO2010076856A1 (ja) 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動画像復号化方法
KR20090087767A (ko)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KR100928325B1 (ko) 영상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2006511164A (ja) 弾性記憶
KR20140022122A (ko) 율―왜곡 최적화를 이용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117000B1 (ko)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JP4367354B2 (ja) 画像符号化装置
KR20100111732A (ko) 동화상 부호화 및 복호 장치
KR20080013843A (ko) 동영상의 무손실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319916B1 (ko) 움직임 추정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방법및 장치
WO2011105230A1 (ja) フィルタ係数符号化装置、フィルタ係数復号装置、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復号装置、および、データ構造
JP7444599B2 (ja) イントラ予測装置、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872929B2 (ja)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復号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動画像復号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153802A (ja) 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動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
JP2024003175A (ja) 画像復号装置、画像復号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523494B2 (ja)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復号装置
JP3884410B2 (ja) ディジタル信号符号化の量子化ステップサイズ決定方法およびディジタル信号符号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