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000B1 -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000B1
KR101117000B1 KR1020090030239A KR20090030239A KR101117000B1 KR 101117000 B1 KR101117000 B1 KR 101117000B1 KR 1020090030239 A KR1020090030239 A KR 1020090030239A KR 20090030239 A KR20090030239 A KR 20090030239A KR 101117000 B1 KR101117000 B1 KR 101117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ffset
prediction
block
intra prediction
de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1836A (ko
Inventor
임성창
이하현
최해철
정세윤
김종호
조숙희
최진수
홍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30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000B1/ko
Publication of KR20100111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Adaptive entropy coding, e.g.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AVLC] or 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67Motion estimation based on rate distortion crite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부호화 장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현재 블록에 대해 율 왜곡 최적화 방법을 이용하여 예측 모드와 오프셋을 선택하는 율 왜곡 최적화부; 상기 현재 블록의 부호화된 주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 모드로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화면 내 예측부; 및, 상기 예측 블록과 상기 오프셋을 픽셀단위로 덧셈하여 오프셋 보상한 예측 블록 생성하는 오프셋 보상부를 포함한다.
오프셋, 인트라, 화면 내 예측

Description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USING INTRA PREDICTION OFFSET}
본 발명은 화면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면 내 예측 방법의 성능 개선을 통하여 화면 부호화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면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8-F-011-01, 과제명: 차세대DTV 핵심기술개발(표준화연계)-무안경개인형 3D방송기술개발(계속)].
영상의 부호화/복호화에 관한 H.264/AVC에 의하면, 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화면을 매크로블록 단위로 나누어 연속된 이미지정보를 이용한 화면 간 예측 (inter prediction) 방법과 다른 영상의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하나의 영상에서 발생하는 영상의 특징에 따른 화면 내 예측(intra prediction) 방법을 이용하여 부호화한다. 이 때, 율-왜곡 최적화를 이용하여 매크로블록(macroblock, MB)의 부호화에서 발생한 비트의 양과 원 영상(original image)과 예측된 영 상(predicted image)의 오류의 크기를 고려하여 하나의 예측 모드를 선택한다. 화면 내 예측은 영상의 매크로블록을 부호화하기 위해서 다른 영상을 참조하는 것이 아니고, 부호화하고자 하는 매크로 블록과 공간적으로 인접한 픽셀 값을 이용하여 부호화하고자 하는 매크로블록에 대한 예측 값을 계산한 후, 이 예측 값과 원 영상의 픽셀 값의 차를 부호화한다.
화면 내 예측을 수행한 후 화면 내 예측된 블록과 원 영상 내의 부호화해야 될 블록의 차를 구하여 잔여 블록을 생성하게 된다. 이 잔여 블록은 정수 여현 변환(integer cosine transform)과 양자화(quantization)을 거쳐서 양자화된 변환 계수(quantized transformed coefficient)는 엔트로피 부호화(entropy coding)되어 저장되거나 전송되고, 이 계수들은 다시 역양자화되고 정수 여현 역변환을 거쳐 예측된 블록과의 합을 통해 복원된 블록(reconstructed block)이 되어 차후에 부호화할 블록의 참조 블록(reference block)이 된다. 이 때, 양자화와 역양자화 과정으로 인해, 원 영상 블록 내의 신호와 참조 블록 내의 신호는 차이가 발생하여 차후에 부호화할 블록에서 정확한 화면 내 예측을 수행할 수 없어서 부호화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면을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할 때 화면 내 예측 (intra prediction)에서 예측된 블록(predicted block)에 오프셋 (offset)값을 더하여 화면 내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는 방법 및 그 장치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면을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할 때 화면 내 예측을 통해 예측된 예측 블록에 율 왜곡이 최소인 오프셋 값을 더하여 화면 내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부호화 장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현재 블록에 대해 율 왜곡 최적화 방법을 이용하여 예측 모드와 오프셋을 선택하는 율 왜곡 최적화부; 상기 현재 블록의 부호화된 주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 모드로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화면 내 예측부; 및, 상기 예측 블록과 상기 오프셋을 픽셀단위로 덧셈하여 오프셋 보상한 예측 블록 생성하는 오프셋 보상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복호화 장치는, 비트 스트림를 수신하면, 상기 비트 스트림을 엔트로피 복호화하여 변환계수와 오프 셋을 추출하는 엔트로피 복호화부; 및, 이전에 복호화한 주변 블록을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예측 블록 생성하고, 상기 예측 블록과 상기 오프셋을 픽셀단위로 덧셈하여 오프셋 보상한 예측 블록 생성하는 화면내 보상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에서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부호화 방법은,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현재 블록에 대해 율 왜곡 최적화 방법을 이용하여 예측 모드와 오프셋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의 부호화된 주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 모드로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 블록과 상기 오프셋을 픽셀단위로 덧셈하여 오프셋 보상한 예측 블록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에서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복호화 방법은, 비트 스트림를 수신하면, 상기 비트 스트림을 엔트로피 복호화하여 변환계수와 오프셋을 추출하는 단계; 이전에 복호화한 주변 블록을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예측 블록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 블록과 상기 오프셋을 픽셀단위로 덧셈하여 오프셋 보상한 예측 블록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화면을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할 때 화면 내 예측을 통해 예측된 예측 블록에 율 왜곡이 최소인 오프셋 값을 더하는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확성을 높이고 비트율 절감을 통한 영상 부호화 압축률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후 설명에서 매크로블록(macroblock, MB)을 블록으로 표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화면을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할 때 화면 내 예측을 통해 예측된 예측 블록에 율 왜곡이 최소인 오프셋 값을 더하여 화면 내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아래에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부호화 장치와 복호화 장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부호화하는 화면 부호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현재 블록에 대해 율 왜곡 최적화 방법을 이용하여 예측 모드와 오프셋을 선택하는 율 왜곡 최적화부(100), 상기 현재 블록의 부호화된 주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 모드로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화면 내 예측부(110) 및, 상기 예측 블록과 상기 오프셋을 픽셀단위로 덧셈하여 오프셋 보상한 예측 블록 생성하는 오프셋 보상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부호화 장치는 차분부(120), 변환 및 양자화 부(130) 및, 엔트로피 부호화부(150)를 더 포함한다.
율 왜곡 최적화부(100)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현재 블록에 대해 율 왜곡 최적화(rate-distortion optimiz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예측 모드와 오프셋을 선택한다. 율 왜곡 최적화부(100)는 모든 화면 내 예측 모드(예측을 위한 방향과 블록의 크기(4×4, 8×8, 16×16)를 모두 고려)에 대해서 일정한 값의 범위 I(임의의 음수) ~ J(임의의 양수) 내의 오프셋 중 율 왜곡 값이 최소인 오프셋을 선택한다. 이때, 오프셋들은 K(임의의 자연수)개만큼 존재할 수 있으며, 각 오프셋은 N×M 크기의 블록에 적용된다. 여기서, 율 왜곡 최적화란 블록단위의 원래의 영상과 복원된 영상간의 화질의 왜곡(distortion)과 비트량(rate)를 고려해 최소의 율 왜곡을 구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화면 내 예측부(110)는 현재 블록의 부호화된 주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 모드로 예측 블록을 생성한다. 오프셋 보상부(140)는 예측 블록과 오프셋을 픽셀단위로 덧셈하여 오프셋 보상한 예측 블록 생성한다. 이때, 도 1에서는 화면내 예측부(110)와 오프셋 보상부(140)를 구분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오프셋 보상부(140)를 화면내 예측부(110) 내에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Figure 112009021078731-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09021078731-pat00002
은 오프셋이 더해진 오프셋 보상 예측 블록이고,
Figure 112009021078731-pat00003
은 예측 블록이고,
Figure 112009021078731-pat00004
는 오프셋 값이며, i와 j는 블록 내의 위치를 나 타낸다. 예측 블록의 크기는 N(임의의 자연수)×M(임의의 자연수)으로 나타낼 수 있다.
차분부(120)는 현재 블록과 오프셋 보상부(140)에서 생성한 오프셋 보상한 예측 블록의 차를 계산하여 차분 블록을 생성한다.
변환 및 양자화부(130)는 차분 블록을 이산 코사인 변환하고 양자화하여 양자화된 변환계수를 생성한다. 이후, 엔트로피 부호화부(150)는 양자화된 변환계수와 오프셋 보상부(140)로부터 수신한 선택한 오프셋을 엔트로피 부호화한다. 이때, 엔트로피 부호화부(150)는 선택한 오프셋을 율 왜곡 최적화부(100)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엔트로피 부호화부(150)는 오프셋 값을 부호화할 때 선택한 오프셋을 무손실 혹은 손실 부호화할 수 있다. 도 1은 무손실 부호화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따라서, 손실 부호화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변환 및 양자화부(130)를 통해 선택한 오프셋을 양자화하고 이후, 엔트로피 부호화부(150)에서 엔트로피 부호화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복호화하는 화면 복호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는 비트 스트림를 수신하면, 상기 비트 스트림을 엔트로피 복호화하여 변환계수와 오프셋을 추출하는 엔트로피 복호화부(200) 및, 이전에 복호화한 주변 블록을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예측 블록 생성하고, 상기 예측 블록과 상기 오프셋을 픽셀단위로 덧셈하여 오프셋 보상한 예측 블록 생성하는 화면내 보상부(230)를 포함한다. 또한, 복호화 장치는 역양자화 및 역변환부(210), 오프셋 보상부(220), 가산부(240) 및, 루프 필터(250)를 더 포함한다.
엔트로피 복호화부(200)는 비트 스트림를 수신하면, 상기 비트 스트림을 엔트로피 복호화하여 변환계수와 오프셋을 추출한다. 그리고, 역양자화 및 역변환부(210)는 추출한 변환 계수를 역양자화하고 역 이산 코사인 변환하여 차분 블록 획득한다.
오프셋 보상부(220)는 엔트로피 복호화부(200)로부터 추출한 오프셋을 수신하여 화면내 보상부(230)로 제공한다. 화면내 보상부(230)는 이전에 복호화한 주변 블록을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예측 블록 생성하고, 오프셋 보상부(220)로부터 수신한 오프셋과 예측 블록을 픽셀단위로 덧셈하여 오프셋 보상한 예측 블록 생성한다. 이때, 도 2에서는 화면내 보상부(230)와 오프셋 보상부(220)를 구분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오프셋 보상부(220)를 화면내 보상부(230)내에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가산부(240)는 차분 블록과 오프셋 보상한 예측 블록을 더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후, 루프 필터(250)는 가산부(240)로부터 제공받은 영상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이산 코사인 변환과 양자화시 발생할 수 있는 블록킹 현상을 감쇄하여 필터링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도 2에서 오프셋을 추출하여 이용하는 과정은 오프셋이 무손실 압축되었을 때이고, 만약 오프셋이 손실 압축된 경우 역양자화 및 역변환부(210)를 통해 오프셋을 역양자화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부호화/복호화 방법을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화면 부호화 장치에서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부호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는 S300단계에서 부호화할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S302단계로 진행하여 율 왜곡 최적화부에서 예측 모드와 오프셋를 선택한다. 이때, 선택한 오프셋은 현재 블록에 대한 오프셋들 각각의 율 왜곡 값들 중에서 그 값이 최소가 된다.
그리고, 부호화 장치는 S304단계로 진행하여 예측 모드로 상기 현재 블록의 부호화된 주변 정보를 이용하여 화면 내 예측을 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한다. 그리고, 부호화 장치는 S306단계로 진행하여 예측 블록과 오프셋을 픽셀단위로 덧셈하여 오프셋 보상한 예측 블록을 생성한다. 그리고, 부호화 장치는 S308단계로 진행하여 영상 데이터의 현재 블록과 오프셋 보상한 예측 블록의 차를 계산하여 차분 블록을 생성한다. 그리고, 부호화 장치는 S310단계로 진행하여 차분 블록을 이산 코사인 변환하고 양자화하여 양자화된 변환계수를 생성한다. 이후, 부호화 장치는 S312단계로 진행하여 양자화된 변환계수와 오프셋을 각각 엔트로피 부호화 하여 복호화 장치로 송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화면 복호화 장치에서 화면 내 예측 오 프셋을 이용한 복호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는 S400단계에서 비트 스트림를 수신하면, S402단계로 진행하여 비트 스트림을 엔트로피 복호화하여 변환계수와 오프셋을 추출한다.
그리고, 복호화 장치는 S404단계로 진행하여 변환 계수를 역양자화하고 역 이산 코사인 변환하여 차분 블록 획득한다. 그리고, 복호화 장치는 S406단계로 진행하여 이전에 복호화한 주변 블록을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예측 블록 생성한다. 그리고, 복호화 장치는 S408단계로 진행하여 예측 블록과 오프셋을 픽셀단위로 덧셈하여 오프셋 보상한 예측 블록을 생성한다. 그리고, 복호화 장치는 S419단계로 진행하여 차분 블록과 오프셋 보상한 예측 블록을 더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후, 복호화 장치는 S412단계로 진행하여 영상 데이터를 루프 필터링하여 이산 코사인 변환과 양자화시 발생할 수 있는 블록킹 현상을 감쇄하여 필터링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 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부호화하는 화면 부호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복호화하는 화면 복호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화면 부호화 장치에서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부호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화면 복호화 장치에서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복호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10)

  1.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현재 블록에 대해 율 왜곡 최적화 방법을 이용하여 예측 모드와 오프셋을 선택하는 율 왜곡 최적화부;
    상기 현재 블록의 부호화된 주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 모드로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화면 내 예측부; 및
    상기 예측 블록과 상기 오프셋을 픽셀단위로 덧셈하여 오프셋 보상한 예측 블록 생성하는 오프셋 보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한 오프셋은,
    양자화와 엔트로피 부호화를 이용해 손실 부호화되거나, 엔트로피 부호화를 이용해 무손실 부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부호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과 상기 오프셋 보상한 예측 블록의 차를 계산하여 차분 블록을 생성하는 차분부;
    상기 차분 블록을 변환하고 양자화하여 양자화된 변환계수를 생성하는 변환 및 양자화부; 및
    상기 선택한 오프셋과 상기 양자화된 변환계수를 엔트로피 부호화하는 엔트로피 부호화부를 더 포함하는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부호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한 오프셋은,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해 오프셋들 각각의 율 왜곡 값들 중에서 상기 율 왜곡 값이 최소가 되는 오프셋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부호화 장치.
  4. 비트 스트림를 수신하면, 상기 비트 스트림을 엔트로피 복호화하여 변환계수와 오프셋을 추출하는 엔트로피 복호화부; 및
    이전에 복호화한 주변 블록을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예측 블록 생성하고, 상기 예측 블록과 상기 오프셋을 픽셀단위로 덧셈하여 오프셋 보상한 예측 블록 생성하는 화면내 보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셋은,
    손실 부호화되었으면 엔트로피 복호화와 역양자화한 후 획득되며, 무손실 부호화되었으면 엔트로피 복호화 후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복호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계수를 역양자화 역변환하여 차분 블록 획득하는 역양자화 및 역변환부; 및
    상기 차분 블록과 상기 오프셋 보상한 예측 블록을 더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가산부를 더 포함하는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복호화 장치.
  6.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현재 블록에 대해 오프셋들 각각의 율 왜곡 값들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오프셋들 각각의 상기 율 왜곡 값들을 중에서 상기 율 왜곡 값이 최소가 되는 오프셋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한 오프셋은,
    양자화와 엔트로피 부호화를 이용해 손실 부호화되거나, 엔트로피 부호화를 이용해 무손실 부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에서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부호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현재 블록에 대해 율 왜곡 값을 최소화 하는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의 부호화된 주변 정보를 이용하고 상기 예측 모드로 화면 내 예측을 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과 상기 예측 블록의 차를 계산하여 차분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차분 블록을 변환하고 양자화하여 양자화된 변환계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오프셋과 상기 양자화된 변환계수를 엔트로피 부호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부호화 장치에서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부호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한 오프셋은,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해 오프셋들 각각의 율 왜곡 값들 중에서 상기 율 왜곡 값이 최소가 되는 오프셋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에서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부호화 방법.
  9. 비트 스트림를 수신하면, 상기 비트 스트림을 엔트로피 복호화하여 변환계수와 오프셋을 추출하는 단계;
    이전에 복호화한 주변 블록을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예측 블록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 블록과 상기 오프셋을 픽셀단위로 덧셈하여 오프셋 보상한 예측 블록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셋은,
    손실 부호화되었으면 엔트로피 복호화와 역양자화한 후 획득되며, 무손실 부호화되었으면 엔트로피 복호화 후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에서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복호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계수를 역양자화 역변환하여 차분 블록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차분 블록과 상기 오프셋 보상한 예측 블록을 더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호화 장치에서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복호화 방법.
KR1020090030239A 2009-04-08 2009-04-08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1117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239A KR101117000B1 (ko) 2009-04-08 2009-04-08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239A KR101117000B1 (ko) 2009-04-08 2009-04-08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836A KR20100111836A (ko) 2010-10-18
KR101117000B1 true KR101117000B1 (ko) 2012-03-16

Family

ID=43131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239A KR101117000B1 (ko) 2009-04-08 2009-04-08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0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6958A1 (ko) * 2016-10-04 2018-04-12 주식회사 케이티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US10721493B2 (en) 2013-10-24 2020-07-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encod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37513B (zh) * 2017-01-20 2021-07-23 浙江大学 一种帧内预测像素生成方法和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5472A (ko) * 2003-06-25 2006-05-23 톰슨 라이센싱 변위된 프레임 차분을 이용하여 가중된 예측 추정을 위한방법 및 장치
KR20080108773A (ko) * 2007-06-11 2008-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 컬러 보상을 이용한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2009010943A (ja) 2007-06-26 2009-01-15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画像の逆トーンマッピングの方法とシステム、および画像の逆トーンマッピングを実行するコーデッ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5472A (ko) * 2003-06-25 2006-05-23 톰슨 라이센싱 변위된 프레임 차분을 이용하여 가중된 예측 추정을 위한방법 및 장치
KR20080108773A (ko) * 2007-06-11 2008-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 컬러 보상을 이용한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2009010943A (ja) 2007-06-26 2009-01-15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画像の逆トーンマッピングの方法とシステム、および画像の逆トーンマッピングを実行するコーデック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1493B2 (en) 2013-10-24 2020-07-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encod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18066958A1 (ko) * 2016-10-04 2018-04-12 주식회사 케이티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9804624A (zh) * 2016-10-04 2019-05-24 株式会社Kt 用于处理视频信号的方法和设备
US11218726B2 (en) 2016-10-04 2022-01-04 K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signal
US11700392B2 (en) 2016-10-04 2023-07-11 K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836A (ko) 2010-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56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
KR101365567B1 (ko) 영상의 예측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830352B1 (ko) 스킵모드를 이용한 동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83742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based on intra prediction
US100340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images considering low frequency components
US9288495B2 (en) Adaptive secondary prediction-based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US200601593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frequency transform coefficients in video codec, video encoder and decoder having the apparatus, and encoding and decoding method using the method
US202300293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eference picture set of image
WO2008004768A1 (en)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301289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an image using a reference picture
KR20090087767A (ko)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US83061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
KR20090090152A (ko) 영상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WO20080569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based on intra prediction
KR101449683B1 (ko) 움직임 벡터 해상도 제한을 이용한 움직임 벡터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117000B1 (ko) 화면 내 예측 오프셋을 이용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0953B1 (ko) 카메라 영상의 복호화 정보 기반 영상 재 부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재부호화 시스템
KR101796876B1 (ko) 움직임 추정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US20240163452A1 (en) Video encoding device, video decoding device, video encoding method, video decoding method, and video system
CN113132734B (zh) 一种编码、解码方法、装置及其设备
WO2022184110A1 (zh) 用于图像编码的方法、电子设备、存储介质和记录介质
KR101365571B1 (ko) 인트라 예측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