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0723A -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10723A KR20100110723A KR1020100006921A KR20100006921A KR20100110723A KR 20100110723 A KR20100110723 A KR 20100110723A KR 1020100006921 A KR1020100006921 A KR 1020100006921A KR 20100006921 A KR20100006921 A KR 20100006921A KR 20100110723 A KR20100110723 A KR 201001107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tal plate
- insulator
- secondary battery
- cap assembly
- bas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4 jell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4—Lid or cover comprising an axial bore for receiving a central current collec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2—Deta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5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7—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crimp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9—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welding, brazing or solder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71—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using adhesives or sealing ag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Abstract
본 기재의 이차 전지는, 제1 금속판; 상기 제1 금속판과 결합되어 육면체의 5면을 구성하고, 공동(空洞)과 상기 공동을 향해 개구된 상기 육면체의 제6 면을 형성하는 개구부를 정의하는 제2 금속판; 상기 공동에 위치하며, 상기 개구부와 가까운 쪽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발전소자; 및 인슐레이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캡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금속판 또는 제2 금속판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적어도 2개의 대향하는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기재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차 전지의 과열에 의한 폭발을 방지하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저용량의 이차 전지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용량 전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의 일종으로 발전소자의 외측을 밀폐하기 위해 알루미늄 소재에 폴리프로필렌 코팅을 한 파우치(pouch)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차전지의 파우치 방식은 알루미늄 및 폴리프로필렌의 변형 때문에 파우치의 외형의 성형에 한계가 있어 6~7mm 이상 두께로 구성하기 어렵다. 그리고 알루미늄의 소재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아 제조 단가가 향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이차 전지의 내부에 이상 과열 발생시에 폭발의 위험도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차 전지의 밀폐를 위한 소재를 알루미늄을 대체한 금속소재로 형성하고, 레이저 용접 등으로 결합하여 제조 원가를 낮추고 두께를 보다 두껍게 구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이차 전지의 과열에 따른 폭발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제1 금속판; 상기 제1 금속판과 결합되어 육면체의 5면을 구성하고, 공동(空洞)과 상기 공동을 향해 개구된 상기 육면체의 제6 면을 형성하는 개구부를 정의하는 제2 금속판; 상기 공동에 위치하며, 상기 개구부와 가까운 쪽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발전소자; 및 인슐레이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캡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금속판 또는 제2 금속판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적어도 2개의 대향하는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금속판 및 제2 금속판은 알루미늄 이외의 금속, 철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금속판과 제2 금속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베이스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적어도 한 방향으로 상기 각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금속판과 제2 금속판은 상기 플랜지부에서 용접으로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금속판과 제2 금속판은 상기 플랜지부에서 크림핑(crimpring)으로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리드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리드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복수의 삽입홀을 가지며, 상기 전극리드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한 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리드와 접촉하며 상기 복수의 삽입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개구부에 억지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공동을 향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진 측면은 1도 내지 10도의 범위 내의 각도로 테이퍼질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진 측면은 대향하는 두 테이퍼진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어셈블리는 상기 인슐레이터의 부분 용융으로 상기 제1 금속판과 제2 금속판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금속판과 제2 금속판은 용접 공정으로 서로 고정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용접 공정으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될 수 있다.
상기 캡 어셈블리는 용접으로 상기 제1 금속판과 제2 금속판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캡 어셈블리는 에폭시로 코팅되고, 상기 제1 금속판과 제2 금속판에 에폭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는 100℃와 130℃ 사이의 녹는점을 갖는 고분자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소재의 녹는점은 110℃일 수 있다.
캡 어셈블리는 관통홀을 가지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금속판과 제2 금속판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적어도 2개의 대향하는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측벽과, 상기 각각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차 전지의 밀폐 구성을 위한 소재로 금속소재를 이용하고, 레이저 용접 등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어 경제성이 향상된다.
이차 전지의 밀폐 구성을 위한 소재로 금속소재를 이용하여 8mm 이상의 두께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차 전지의 내부에 과열 발생시에 탬 어셈블리가 자동으로 깨지도록 하여, 과열에 의한 폭발을 방지하여 안정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의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캡 어셈블리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발전소자와 캡 어셈블리의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캡 어셈블리의 전극리드와 인슐레이터 간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캡 어셈블리의 전극리드와 인슐레이터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인슐레이터의 삽입홀이 형성된 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캡 어셈블리의 전극리드와 인슐레이터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캡 어셈블리의 전극리드와 인슐레이터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캡 어셈블리의 전극리드와 인슐레이터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의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캡 어셈블리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발전소자와 캡 어셈블리의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캡 어셈블리의 전극리드와 인슐레이터 간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캡 어셈블리의 전극리드와 인슐레이터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인슐레이터의 삽입홀이 형성된 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캡 어셈블리의 전극리드와 인슐레이터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캡 어셈블리의 전극리드와 인슐레이터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캡 어셈블리의 전극리드와 인슐레이터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베이스부재(“제1 금속판”)와, 베이스부재에 용접 결합되어 베이스부재와의 사이에 장착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재(“제2 금속판”)와, 장착 공간에 장착되는 발전소자와, 발전소자의 양극 및 음극에서 각각 연장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각각 결합되는 전극리드와 전극리드에 결합되고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의 사이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하는 캡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캡 어셈블리는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의 사이에 억지 끼움 결합되고,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의 용접 결합시에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의 사이에서 융착 결합될 수 있다.
캡 어셈블리는,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의 사이에 장착시에 에폭시가 도포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는 길이 방향의 양측에서 폭 방향으로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폴리프로필렌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에는 장착 공간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발전소자는 스택형 또는 젤리롤형일 수 있다. 커버부재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베이스부재는 커버부재가 안착되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된 플랜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커버부재는 가장자리가 베이스부재 방향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선단에는 커버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베이스부재는 커버 플랜지부가 결합되는 베이스 플렌지부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캡 어셈블리에서, 전극리드에는 인슐레이터 방향으로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인숄레이터에는 길이 방향의 일측은 평면을 갖고 대향되는 일측은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평면에는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전극리드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은 도 1의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캡 어셈블리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발전소자와 탬 어셈블리의 결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베이스부재(10)와, 베이스부재(10)에 용접 결합되어 베이스부재(10)와의 사이에 장착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재(20)와, 장착 공간에 장착되는 발전소자(30)와, 발전소자(30)의 양극 및 음극에서 각각 연장된 연결부재(31, 32)과, 연결부재(31, 32)에 각각 결합되는 전극리드(41, 42)와 전극리드(41, 42)에 결합되고 베이스부재(10)와 커버부재(20)의 사이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43)를 포함하는 캡 어셈블리(4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재(10)는 모서리를 갖는 다각형을 이루고, 내부에는 발전소자(30)의 장착을 위한 인입부(11) 또는 측벽이 형성된다. 이러한 인입부(11)는 결합되는 커버부재(20)와의 사이에 장착 공간을 형성하여 발전소자(30)가 장착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베이스부재(10)는 모서리를 갖는 다각형으로 예시하였지만, 모서리 없는 둥근 형태로도 형성 가능하다. 물론, 베이스부재(10)가 모서리 없는 둥근 형태로 형성되어도 내부에는 인입부(11)가 형성되어 발전소자(30)의 장착이 가능하다.
베이스부재(10)의 측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된 베이스 플랜지부(13)가 형성된다. 베이스 플랜지부(13)에는 커버부재(20)가 장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상기 베이스 플랜지부(13) 없이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부재(20)는 베이스부재(10)에 용접으로 결합된다. 커버부재(2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베이스부재(10)의 상측에 안착되어 가장자리를 따라 용접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커버부재(20)와 베이스부재(10)의 결합을 통해 내부에는 장착 공간이 형성되어 발전소자(30)가 장착 가능하다. 커버부재(20)와 베이스부재(10)의 용접은 아크용접과 가스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 등이 가능하며, 이중의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고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베이스부재(10) 및 커버부재(20)는 강재(鋼材, steel material)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테인레스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부재(20)와 베이스부재(10)를 용접으로 결합함에 의해, 종래 알루미늄 소재의 적용을 대체하여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는 다양한 금속 소재의 적용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적은 비용이 소요되는 금속 소재의 적용이 가능하여 제조 단가를 낮춤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20) 및 베이스부재(10)는 용접으로 결합함을 예시 하였지만, 크림핑(crimping) 공정에 의한 결합도 가능하다.
커버부재(20)와 베이스부재(10)의 결합으로 형성된 장착 공간에는 발전소자(30)가 장착된다.
발전소자(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택형 또는 젤리롤형으로 장착될 수 있다. 스택형 발전소자 및 젤리롤형 발전소자는 공지된 것으로서 그 구성 및 그 자세한 작동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생략한다. 발전소자(30)의 일측에는 발전소자의 양극 및 음극에서 각각 연장된 연결부재(31, 32)이 돌출된다. 연결부재(31, 32)에는 캡 어셈블리(40)가 결합된다.
도 4는 캡 어셈블리의 전극리드와 인슐레이터 간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어셈블리(40)는 연결부재(31, 32)(도 1 및 도 3에 도시됨)에 각각 결합되는 전극리드(41, 42)와, 전극리드(41, 42)에 결합되고 베이스부재(10)와 커버부재(20)의 사이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43)를 포함한다.
전극리드(41, 42)는 연결부재(31, 32)에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전극리드(41, 42)는 인슐레이터(43)를 관통하여 연결부재(31, 32)에 연결 가능하다. 전극리드(41, 42)는 연결부재(31, 32)의 음극 및 양극에 각각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장착된다.
인슐레이터(43)는 전극리드(41, 42)를 지지하며, 베이스부재(10)와 커버부재(20)의 결합된 측면으로 장착된다. 이를 위해, 베이스부재(10)와 커버부재(20)의 결합된 측면에는 개구부(12)가 형성된다. 개구부(12)는 베이스 플랜지(13) 가 형성되지 않는 베이스부재(10)의 측면에 형성된다.
인슐레이터(43)는 개구부(12)에 억지 끼움 방법으로 장착된다. 이를 위해 인슐레이터(43)는 개구부(12)의 개구된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슐레이터(43)는 모서리를 갖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폭 방향의 측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43)의 테이퍼 형성면은 길이 방향의 상측과 하측에서 폭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슐레이터(43)의 테이퍼 각도(α)는 1도 내지 10도의 각도 범위로 형성 가능하다. 이러한 인슐레이터(43)의 테이퍼 각도는 1도 미만일 경우에는 개구부(12)에서의 끼움 압력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테이퍼 각도가 10도를 초과하면 개구부(12)와 인슐레이터(43)의 사이에 과다한 압력이 작용된다. 따라서 인슐레이터(43)의 테이퍼 각도를 1 도 내지 10 도의 각도 범위 내로 형성되도록 하여 인슐레이터(43)가 개구부에 억지 끼움 결합이 용이하도록 한다.
인슐레이터(43)가 개구부(12)에 억지 끼움이 가능하도록 폴리프로필렌 소재로 형성된다. 인슐레이터(43)가 폴리프로필렌 소재로 형성됨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개구부(12)에 억지 끼움 결합 하기 위함과 더불어, 이차 전지(100)의 폭발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폴리프로필렌은 110℃ 이상에는 녹는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이차 전지의 이상 발생에 의한 온도 상승이 이루어지면, 인슐레이터(43)가 녹아서 이차 전지(100)의 개구부(12)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이차 전지(100)의 내부는 개구부(12)의 개방에 따라 압력 강하가 발생됨으로써, 급작스러운 폭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성이 향상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슐레이터(43)의 소재를 폴리프로필렌으로 한정하였지만, 110℃의 근접된 온도, 예를 들어 100℃와 130℃ 사이의 온도에서 녹는 고분자 소재로 대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인슐레이터(43)의 장착시에 에폭시(미도시)를 장착 보조 매개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캡 어셈블리(40)는 커버부재(20)와 베이스부재(10)의 용접 결합시에 개구부(12)에로 억지 끼움과 더불어 열 압착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억지 끼움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캡 어셈블리(40)와 접하고 있는 커버부재(20)와 베이스부재(10)에 외부로부터 열을 가하여 에폭시 및 인슐레이터를 부분적으로 녹임으로써 열 압착이 가능하다.
또한, 인슐레이터(43)에는 발전소자(30)를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홀(45)이 형성 가능하다. 이러한 관통홀(45)은 이차 전지의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함이다. 관통홀(45)에는 개폐부재(47)가 장착되어, 관통홀(45)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관통홀(45)은 인슐레이터(43)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복수개로 형성된다.
개폐부재(47)는 이차 전지(100)의 충전 또는 방전시에 이차전지의 내부에 가스가 발생되면, 관통홀(45)을 개방하여 가스의 제거가 가능하게 한다. 또한, 관통홀(45)에는 벤트(vent)(미도시)가 장착되어 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짐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베이스부재(10)에 커버부재(20)를 금속소재로 제조하고 베이스부재(10)와 커버부재(20)를 용접으로 결합함으로써, 8mm 이상의 두께를 갖는 이차 전지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작용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베이스부재(10)에 커버부재(20)를 용접으로 결합한다. 베이스부재(10)와 커버부재(20)의 사이 공간에는 발전소자(30)가 장착된다. 베이스부재(10)와 커버부재(20)의 용접 결합을 통해 이차 전지는 8mm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 가능하다.
여기서, 베이스부재(10)와 커버부재(20)의 측면에는 개구부(12)가 형성되고, 용접 과정에서 캡 어셈블리(40)가 억지 끼움 및 열 융착에 의해 결합된다. 인슐레이터(43)는 이차 전지의 과다한 온도상승이 이루어지면, 녹아서 개구부(12)를 개방하여 폭발을 방지한다.
다음, 캡 어셈블리(40)의 인슐레이터(43)에 형성된 관통홀(45)을 통해서 전해액이 공급된다. 관통홀(45)에는 개폐부재(47)가 장착될 수 있으므로 관통홀(45)의 선택적인 개폐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차 전지는 8mm 이상의 두께로 제작이 용이하고, 압력 이상시에도 폭발됨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는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120)는 측면으로 커버 플랜지부(121)가 형성된다. 커버 플랜지부(121)는 커버부재(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된 선단에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 플랜지부(121)는 베이스 부재(10')의 베이스 플랜지부(13')에 접하며 용접으로 결합된다. 상기 커부부재(120)는 상기 커버 플랜지부(121)가 이로부터 연장되는(도 6에 도시됨) 인입부 또는 측벽을 포함하거나, 선택적 실시예로, 인입부는 포함하고 커버 플랜지부(121)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캡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인슐레이터의 삽입홀이 형성된 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는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캡 어셈블리(340)는 전극리드(341)에 복수개의 돌출부(345)가 형성된다. 그리고, 인슐레이터(43)에는 돌출부(345)가 삽입되는 삽입홀(347)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극리드(341, 342)와 인슐레이터(343)는 돌출부(345)가 삽입홀(347)에 끼움에 의해 결합이 가능하다.
여기서, 인슐레이터(343)는 삽입홀(347)이 형성되는 일측(A)은 평면이고, 평면에 대향되는 다른 일측(B)은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극리드(341)의 결합과 함께 개구부(12)에 억지 끼움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캡 어셈블리(440)의 전극리드와 인슐레이터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캡 어셈블리(440)는 인슐레이터(443)에 전극리드(441, 442)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전극리드(441, 442)에는 적어도 1 이상의 홀(441a, 442a)이 형성된다. 상기 홀(441a, 442a)은 관통공으로 형성되거나 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극리드(441, 442)가 인슐레이터(443)에 결합될 때 결합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즉, 인슐레이터(443)가 탄성을 가지므로 상기 홀(441a, 442a)의 형성으로 인해 상기 전극리드(441, 442)는 삽입방향으로 상기 인슐레이터(443)와의 사이에 마찰력이 커지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캡 어셈블리(540)의 전극리드와 인슐레이터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캡 어셈블리(540)는 인슐레이터(543)에 전극리드(541, 542)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인슐레이터(543)에는 베이스부재 및 커버부재와 접하는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그루브(543a)가 형성된다. 이러한 그루브(543a)는 2 이상 나란히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캡 어셈블리(540)의 삽입 후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캡 어셈블리의 전극리드와 인슐레이터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캡 어셈블리(640)는 인슐레이터(643)에 전극리드(641, 642)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인슐레이터(643)에는 베이스부재 및 커버부재와 접하는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금속제 케이스(646)가 씌워진다. 이러한 인슐레이터(643)는 상기 베이스부재 및 커버부재와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베이스부재 11...인입부
13...베이스 플랜지부 20...커버부재
30...발전소자 31, 32...연결부재
40...캡 어셈블리 41, 42...전극리드
43...인슐레이터 45...관통홀
13...베이스 플랜지부 20...커버부재
30...발전소자 31, 32...연결부재
40...캡 어셈블리 41, 42...전극리드
43...인슐레이터 45...관통홀
Claims (20)
- 제1 금속판;
상기 제1 금속판과 결합되어 육면체의 5면을 구성하고, 공동(空洞)과 상기 공동을 향해 개구된 상기 육면체의 제6 면을 형성하는 개구부를 정의하는 제2 금속판;
상기 공동에 위치하며, 상기 개구부와 가까운 쪽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발전소자; 및
인슐레이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캡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금속판 또는 제2 금속판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적어도 2개의 대향하는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판 및 제2 금속판은 알루미늄 이외의 금속, 철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판과 제2 금속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베이스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적어도 한 방향으로 상기 각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판과 제2 금속판은 상기 플랜지부에서 용접으로 서로 고정되는 이차 전지.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판과 제2 금속판은 상기 플랜지부에서 크림핑(crimpring)으로 서로 고정되는 이차 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리드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장착되는 이차 전지.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리드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복수의 삽입홀을 가지며, 상기 전극리드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장착되는 이차 전지.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한 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리드와 접촉하며 상기 복수의 삽입홀을 가지는 이차 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개구부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이차 전지.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공동을 향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갖는 이차 전지.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진 측면은 1도 내지 10도의 범위 내의 각도로 테이퍼진 이차 전지.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진 측면은 대향하는 두 테이퍼진 측면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어셈블리는 상기 인슐레이터의 부분 용융으로 상기 제1 금속판과 제2 금속판에 고정되는 이차 전지.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판과 제2 금속판은 용접 공정으로 서로 고정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용접 공정으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되는 이차 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어셈블리는 용접으로 상기 제1 금속판과 제2 금속판에 고정되는 이차 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어셈블리는 에폭시로 코팅되고, 상기 제1 금속판과 제2 금속판에 에폭시로 고정되는 이차 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는 100℃와 130℃ 사이의 녹는점을 갖는 고분자 소재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소재의 녹는점은 110℃인 이차 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캡 어셈블리는 관통홀을 가지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판과 제2 금속판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적어도 2개의 대향하는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측벽과, 상기 각각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6656809P | 2009-04-03 | 2009-04-03 | |
US61/166,568 | 2009-04-03 | ||
US12/628,184 | 2009-11-30 | ||
US12/628,184 US9029007B2 (en) | 2009-04-03 | 2009-11-30 |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first and second metallic plates coupled together and a cap assembly including an insul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0723A true KR20100110723A (ko) | 2010-10-13 |
KR101173861B1 KR101173861B1 (ko) | 2012-08-14 |
Family
ID=42295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6921A KR101173861B1 (ko) | 2009-04-03 | 2010-01-26 | 이차 전지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9029007B2 (ko) |
EP (1) | EP2237342B1 (ko) |
JP (1) | JP5289370B2 (ko) |
KR (1) | KR101173861B1 (ko) |
CN (1) | CN101859883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19556A1 (ko) * | 2016-01-07 | 2017-07-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2차전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94024B1 (ko) | 2009-11-18 | 2011-12-19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전지 |
KR101914562B1 (ko) | 2011-12-09 | 2018-12-2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KR102361705B1 (ko) * | 2015-03-03 | 2022-02-1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커버를 갖는 이차 전지 |
WO2019096856A1 (de) * | 2017-11-14 | 2019-05-23 | Varta Microbattery Gmbh | Dünne, sekundäre miniaturzelle mit metallischem, mittels eines kunststoffdeckels verschlossenem gehäus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
US12011606B2 (en) | 2019-12-31 | 2024-06-18 | Medtronic, Inc. | Intermediate member with protrusions for medical device battery assemblies |
JP7208200B2 (ja) * | 2020-09-09 | 2023-01-18 |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電池および該電池が備える電池ケースと、該電池ケースを構築するための電池ケース部材 |
CN114335822B (zh) * | 2020-09-24 | 2023-10-13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电芯组件及其制备方法、电池、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554813A (en) | 1969-02-07 | 1971-01-12 | Esb Inc | Method for sealing an electrochemical cell |
US4047790A (en) * | 1976-01-07 | 1977-09-13 | General Electric Company | Insulative header assembly with feed through terminals |
JPS6338253A (ja) | 1986-08-04 | 1988-02-18 | Nec Kyushu Ltd | 半導体装置 |
JPS6338253U (ko) * | 1986-08-29 | 1988-03-11 | ||
JPH1147920A (ja) | 1997-07-24 | 1999-02-23 | Showa Alum Corp | アルミニウム製電池ケースの接合方法 |
EP0917218B1 (en) | 1997-11-05 | 2006-03-01 | Philips Consumer Communications France | A battery unit and a portable battery-operated device including such a battery unit |
KR100300428B1 (ko) | 1999-05-06 | 2001-09-26 | 김순택 | 이차전지 |
KR100322096B1 (ko) | 1999-11-02 | 2002-02-06 | 김순택 | 리튬 폴리머 전지 |
KR100625962B1 (ko) | 2000-02-16 | 2006-09-2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
DE60307750T2 (de) * | 2002-05-08 | 2006-12-14 | Nissan Motor Co., Ltd., Yokohama | Sekundärzellenmodu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
US7141332B2 (en) * | 2002-07-23 | 2006-11-28 | Kejha Joseph B | Lightweight prismatic packaging structure for electrochemical devices and assembly method of the same |
JP3695435B2 (ja) * | 2002-09-03 | 2005-09-14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ラミネート外装扁平型電池 |
JP4191469B2 (ja) | 2002-12-18 | 2008-12-03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角形電池 |
JP4786159B2 (ja) | 2004-09-22 | 2011-10-05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電池収納容器及びその組立方法 |
KR100614397B1 (ko) | 2004-10-28 | 2006-08-2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US20060099501A1 (en) | 2004-10-28 | 2006-05-11 | Kim Ka Y | Secondary battery |
KR100614358B1 (ko) | 2004-10-28 | 2006-08-2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캔형 이차 전지 |
KR100646528B1 (ko) | 2004-11-29 | 2006-11-1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 |
KR100649218B1 (ko) | 2005-08-22 | 2006-11-2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JP4722015B2 (ja) | 2005-12-29 | 2011-07-13 |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 ポリマー電池パック |
KR101243580B1 (ko) | 2006-05-24 | 2013-03-2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폴리머 전지 팩 |
CN2904308Y (zh) | 2006-05-24 | 2007-05-23 | 殷世抒 | 安全防爆硬壳锂离子二次电池 |
KR101308217B1 (ko) | 2007-01-23 | 2013-09-1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
2009
- 2009-11-30 US US12/628,184 patent/US9029007B2/en active Active
-
2010
- 2010-01-26 KR KR1020100006921A patent/KR10117386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2-03 CN CN201010110436.8A patent/CN101859883B/zh active Active
- 2010-03-02 EP EP10155157.0A patent/EP2237342B1/en active Active
- 2010-03-29 JP JP2010075516A patent/JP5289370B2/ja active Activ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19556A1 (ko) * | 2016-01-07 | 2017-07-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2차전지 |
US10644285B2 (en) | 2016-01-07 | 2020-05-05 | Lg Chem, Ltd. | Secondary batter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237342A1 (en) | 2010-10-06 |
CN101859883B (zh) | 2014-07-02 |
JP5289370B2 (ja) | 2013-09-11 |
US20100255364A1 (en) | 2010-10-07 |
KR101173861B1 (ko) | 2012-08-14 |
JP2010245042A (ja) | 2010-10-28 |
US9029007B2 (en) | 2015-05-12 |
EP2237342B1 (en) | 2013-08-28 |
CN101859883A (zh) | 2010-10-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3861B1 (ko) | 이차 전지 | |
EP2228852B1 (en) | Rechargeable battery comprising current collecting plates with improved structure | |
KR102273643B1 (ko) | 이차 전지 | |
KR102425218B1 (ko) | 이차 전지 | |
JP4493623B2 (ja) | 二次電池 | |
KR101683209B1 (ko) | 이차 전지 | |
EP2521207A2 (en) | Rechargeable Battery | |
KR20160021406A (ko) | 이차 전지 | |
KR102306448B1 (ko) | 이차전지 | |
US20090269620A1 (en) | Battery pack | |
KR20150047417A (ko) | 퓨즈부를 갖는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 |
US10396338B2 (en) | Battery | |
KR20130110048A (ko) | 이차 전지 | |
KR101275785B1 (ko) | 이차 전지 | |
KR20140125657A (ko) | 이차전지 | |
KR20120124026A (ko) | 이차전지 | |
KR101147175B1 (ko) | 이차전지 | |
KR102340114B1 (ko) | 이차 전지 | |
KR20160150235A (ko) | 이차 전지 모듈 | |
KR20060112034A (ko) | 이차 전지 | |
KR20150073738A (ko) |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모듈 | |
KR20160107416A (ko) | 커버를 갖는 이차 전지 | |
CN102088105B (zh) | 二次电池 | |
KR102284570B1 (ko) | 이차 전지 | |
KR20130115594A (ko) | 이차 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