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0676A - 세탁물 처리기기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0676A
KR20100110676A KR1020090029136A KR20090029136A KR20100110676A KR 20100110676 A KR20100110676 A KR 20100110676A KR 1020090029136 A KR1020090029136 A KR 1020090029136A KR 20090029136 A KR20090029136 A KR 20090029136A KR 20100110676 A KR20100110676 A KR 20100110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inner tank
detergent
laun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2558B1 (ko
Inventor
이상준
김영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9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558B1/ko
Publication of KR20100110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0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6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washing or rinsing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내조의 바닥면을 향해 세제수를 급수하는 세제수 공급부와, 내조의 내측면을 향해 세탁수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함께 구비하여 세탁 성능 및 헹굼성능이 개선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 및 제어방법{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조의 바닥면을 향해 세제수를 급수하는 세제수 공급부와, 내조의 내측면을 향해 세탁수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함께 구비하여 세탁 성능 및 헹굼성능이 개선된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물과 세제의 화학적 분해 작용과 물과 세탁물간의 마찰 등 물리적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약칭함)에 묻은 오염물질을 분리해내는 세탁장치와, 젖은 세탁물을 탈수하여 건조시키는 건조장치, 세탁물을 가열된 증기를 분사하여 세탁물로 인한 알러지를 방지하고, 세탁물을 간편하게 세탁하는 리프레셔 등, 세탁물에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가하여 세탁물을 처리하는 각종 장치를 통칭한다.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의 일종인 세탁장치는, 그 구조와 세탁방식에 따라 교반식(agitator type)과 드럼식(drum type) 및 와권식(pulsator type)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세탁장치는, 통상 세척 행정, 헹굼 행정 및 탈수 행정을 순차적으로 수 행하면서 세탁물을 세탁하게 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한 행정 중에서 소정의 행정만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적당한 세탁방법으로 세탁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세탁장치는 내조의 바닥면을 향해서 세탁수가 급수되기 때문에, 내조 내의 세탁물이 충분히 적기 위해서는 세탁물이 모두 잠길 잠길 수 있도록 일정 수위 이상의 세탁수가 급수 되어야 한다. 따라서, 세탁물을 적시기 위해서 많은 양의 세탁수가 필요하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부담하게 되는 수도세, 전기세 등의 경비 부담이 과도해지고, 내조를 회전시키는 모터에 걸리는 부하가 커져 세탁 효율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특히, 세탁과정 중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는 탈수행정 이후에 추가로 세탁수가 급수되는 시에, 탈수해정으로 인하여 내조의 측면에 달라 붙게 되는 세탁물을 효과적으로 적시지 못하여 헹굼성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내조의 바닥면 및 내측면을 향해 세탁수를 분사하여 헹굼 성능을 향상시키고, 헹굼시 필요한 세탁수의 양을 절감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매달리며 포가 출입할 수 있도록 상측이 개구된 외조와, 수 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외조 내에 배치되는 내조와, 세제박스를 경유한 세탁수를 상기 내조의 바닥면을 향해 분사하는 세제수 공급부와, 상기 세제박스를 경유하지 않은 세탁수를 상기 내조의 내측면을 향해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세제수 공급부와 상기 분사부는 각각의 분사방향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분사부의 분사시 상기 내조가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 급수 행정시, 상기 세제수 공급부 및 분사부를 통해 세탁수가 분사될 수 있고, 헹굼 급수 행정시, 상기 분사부 만을 통해 세탁수가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은 포를 출입하기 위한 개구홀이 형성된 탑커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탑커버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조는, 포를 출입하기 위한 개구홀이 형성된 외조 커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외조 커버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는, 상기 외조로부터 출수된 세탁수를 순환시켜 상기 내조로 안내하는 순환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순환유로를 통해 안내된 세탁수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내조의 바닥면을 향해 세제와 혼합된 세탁수가 분사되고, 상기 내조의 내측면을 향해 세제와 혼합되지 않는 세탁수가 분사되는 (a)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내조의 측면에 달라 붙어 있는 세탁물을 효과적으로 헹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내조의 측면 및 바닥면을 향해 입체적으로 세탁수를 분사하여 세탁물을 고르게 젖도록 할 수 있고, 세탁 및 헹굼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내조의 고속회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내조의 내측면에 달라 붙은 세탁물을 향해 세탁수를 직접 분사하여 세탁물을 효과적으로 헹굴 수 있음과 아울러, 헹굼시 소요되는 세탁수의 양 및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세탁 급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4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세탁 급수 행정시 세탁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헹굼 급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은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헹굼 급수 행정시 세탁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과, 캐비닛(11)의 상측에 구비된 탑커버(12)와, 캐비닛(11) 내에 매달리며 포가 출입할 수 있도록 상측이 개구된 외조(22)와, 포를 출입하기 위한 개구홀이 형성되고 외조(22)의 상부에 구비되는 외조 커버(28)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외조(22) 내에 배치되는 내조(21)와, 내조(21)에 세탁물을 입출하기 위 해 캐비닛(1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도어(15)와, 탑커버(12)에 장착되어 내조(21)로 세제수를 급수하는 세제수 공급부(40) 를 포함한다. 세제수 공급부(40)는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박스(14)와, 세제박스(14)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세제박스(14)를 경유한 세탁수가 내조(21)로 급수되도록 안내하는 세제박스 하우징(44)을 포함한다. 또한, 탑커버(12)에는 세제박스(14)를 경유하지 않은 세탁수를 내조(21)의 내측면을 향해 분사하는 분사부(34)가 구비된다. 또한, 탑커버(12)에는 컨트롤패널(미도시)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작동명령을 처리하는 제어부(13)가 구비될 수 있다.
세제박스 하우징(44)에는 급수유로(17)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세제박스(14)로 분배되도록 복수의 분배홀(44h)이 형성될 수 있다. 급수유로(17)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를 단속하는 급수밸브(18)와, 외조(22)로부터 세탁수를 배수시키도록 배수유로(54) 및 배수 조절 밸브(53)가 구비된다.
내조(21)에는 세탁수가 외조(22)와 내조(21) 사이를 순환할 수 있도록 복수의 수공(미표시)이 형성된다. 내조(21)의 바닥에는 담수된 세탁수에 회전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16)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외조(22)는 지지부재(23)에 의해 캐비닛(11) 내에 매달리며, 지지부재(23)의 일단에는 완충역할을 하는 댐퍼(25)가 구비된다. 외조(22)의 하측에는 내조(21) 및 펄세이터(16)를 선택적으로 정, 역회전시키는 클러치(51)와, 모터(52)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52)의 구동력을 밸트(미표기)를 통해 전달하여 내조(21)를 회전시키는 간접 구동 방식이나, 이와는 다르게 모터(52)가 직접 내조(21)를 회전시키는 직접 구동 방식도 가능하 다.
세제수 공급부(40)는 내조(21)의 바닥면을 향해서 대략 하방향으로 세탁수를 급수하고, 분사부(34)는 내조(21)의 내측면을 향해서 대략 대각선 방향으로 세탁수를 분사한다. 분사부(34)는 세탁물을 고르게 적실 수 있도록 샤워식으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사노즐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고 한다.)에 의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세제수 공급부(40)에 의해 급수되는 세탁수와 분사부(34)에 의해 분사되는 세탁수가 서로 간섭받지 않도록, 세제수 공급부(40)의 급수방향과 분사부(34)의 분사방향은 서로 간섭받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세제수 공급부(40) 및 분사부(34)는 탑커버(12)에 배치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세제수 공급부(40) 및 분사부(34)의 배치 위치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세제수 공급부(40)는 세탁수가 내조(21)의 바닥면을 향해서 분사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분사부(34)는 세탁수가 내조(34)의 내측면을 향해 분사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분사부(34)는 외조 커버(28)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작동이 실시되면, 다양한 방법으로 세탁수의 급수가 이루어 진다. 제어부(13)는 진행 중인 급수 행정에 따라 세제수 공급부(40) 및 분사부(34) 중 적어도 하나가 세탁수를 급수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급수 행정이라 함은 내조(21) 내로 세탁수의 급수가 이루어지는 모든 행정을 포함하며, 보다 상세하게, 내조(21)에 수용된 포의 세척을 위해 세제와 함께 세탁수가 급수되는 세탁 급수 행정, 내조(21) 내의 포를 헹구기 위해 세탁수가 급수되는 헹굼 급수 행정을 포함한다. 한편, 세탁 행정 또는 헹굼 행정 중에 내조(21) 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탈수가 이루어 지고, 다시 내조(21)로 세탁수가 급수되기도 하는데 이 역시 상기 헹굼 급수 행정에 포함된다.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을 통해 세탁 코스, 세탁 시간 등을 설정하고,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작동이 개시되면, 포를 세탁하기 위해 세제가 공급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세제박스(14)를 경유하며 세제와 혼합된 세탁수(이하, '세제와 혼합된 세탁수'를 '세제수'라고 한다.)가 세제수 공급부(40)를 통해 내조(21)의 바닥면을 향해 급수되고, 동시에 분사부(34)를 통해 세제박스(14)를 경유하지 않은 세탁수가 내조(21)의 내측면을 향해 분사된다.
한편, 헹굼 급수 행정시에는 분사부(34) 만을 통해서 세탁수가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분사부(34)에 의해 분사되는 세탁수는 넓게 퍼지면서 포에 직접 닿기 때문에, 세탁수양의 줄이면서도 포를 효과적으로 헹굴 수 있다. 또한, 분사부(34)에 의해 내조(21)의 내측면을 향해 세탁수가 분사되기 때문에, 내조(21)의 고속 회전으로 인한 원심력에 의해 내조(21)의 내측면에 달라 붙어 있는 포를 효과적으로 헹굴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내조(21)의 바닥면을 향해 세탁수를 급수하고 급수된 세탁수가 차오르면서 포를 적시는 방식이기 때문에 내조(21)의 내측면에 달라 붙어 있는 포를 헹구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세탁수가 소비되었고, 헹굼에 쓰 이면서 오염된 세탁수가 여전히 내조에 남게 되어 포가 다시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 내조 내의 오염된 세탁수를 배수시키고 다시 깨끗한 세탁수를 급수하는 과정이 수회 반복되어야 하고, 이로 인해 소비되는 세탁수의 양이 더욱 증가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내조(21) 내의 포에 직접 세탁수를 분사하여 소비되는 세탁수의 양을 줄이고, 포를 헹구면서 오염된 세탁수는 내조(21)에 형성된 수공을 통해 외조(22)로 출수된 후 배수유로(54)를 통해 외부로 배수시킴으로써, 포의 재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4 및 도6을 참조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세제수 공급부(40) 및 분사부(34)로 선택적으로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조절부는, 세제수 공급부(40)로 급수되는 세탁수를 단속하는 제 1 급수 밸브(40) 및 분사부(34)로 급수되는 세탁수를 단속하는 제 2 급수 밸브(26)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 행정시에는, 세제수 공급부(40) 및 분사부(34)에 의해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급수 밸브(24) 및 제 2 급수 밸브(26)가 개방되고, 헹굼 행정시에는, 분사부(34)에 의해서만 세탁수가 분사되도록 제 1 급수 밸브(24)는 폐쇄되고, 제 2 급수 밸브(26)가 개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200)의 분사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8은 세탁물 처리기기(200)의 분사시 세탁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거 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세탁물 처리기기(200)는 외조(22)로부터 출수된 세탁수를 순환시켜 내조(21)로 안내하는 순환유로(36)를 더 포함하고, 분사부(34)는 순환유로(36)를 통해 안내된 세탁수를 분사한다. 이때, 순환유로(36) 상에는 세탁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펌프(38)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분사부(34)는 탑커버(12)에 배치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조 커버(28)를 포함한 다양한 위치에 배칠될 수 있음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분사부(34)의 분사 시기는 반드시 헹굼 급수 행정에 한정되지 않으며, 세탁 행정 및/또는 헹굼 행정 중에도 순환수를 분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특히, 세탁 행정 중에 순환수를 이용하여 포를 향해 세탁수를 고압으로 분사함으로써 세탁성능이 향상됨과 아울러, 세탁수의 소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세탁물 처리기기의 작동이 개시되면, 내조(21) 내로 세제와 함께 세탁수를 급수된다. 즉, 세제박스(14)를 경유하며 세제와 혼합된 세탁수가 내조(21)의 바닥면을 향해 급수되고, 분사부(34)는 내조(21)의 내측면을 향해 세제와 혼합되지 않은 세탁수를 분사한다.(S10) 이후, 내조(21) 및/또는 펄세이터(16)가 교반회전하면서 포가 세탁되는 세탁 행정이 진행되고, 상기 세탁 행정의 진행 중 간헐적으로, 또는 상기 세탁 행정이 완료 된 후 내조(21)가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포의 탈수가 이루어지는 간이탈수가 진행된다.(S20) 상기 간이탈수 완 료후 내조(21) 내로 다시 세탁수가 공급되는데 이때는 분사부(34)를 통해 내조(21)의 내측면을 향해 세제와 혼합되지 않은 세탁수가 분사됨으로써, 포를 헹구게 된다. 이때, 분사부(34)에 의해 분사되는 세탁수가 포에 골고루 닿도록 하기 위해 내조(21)가 회전된다.(S30)
한편, 포를 헹구면서 오염된 세탁수는 내조(21)의 수공을 통해 외조(22)로 출수되고 다시 외부로 배수된다.(S40) 이후, 설정된 세탁코스에 따라 탈수행정(S50) 및 건조 행정(S60)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 후 모든 세탁과정이 완료되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세탁물 처리기기의 세탁 급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4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세탁 급수 행정시 세탁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헹굼 급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은 세탁물 처리기기의 헹굼 급수 행정시 세탁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분사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분사시 세탁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세탁물 처리기기 11: 캐비닛
12: 캐비닛 커버 21: 내조
22 외조 28: 외조 커버
34: 분사부 40: 세제수 공급부
14: 세제박스 44: 세제박스 하우징
36: 순환유로 38: 순환펌프

Claims (15)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매달리며 포가 출입할 수 있도록 상측이 개구된 외조;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외조 내에 배치되는 내조;
    세제박스를 경유한 세탁수를 상기 내조의 바닥면을 향해 급수하는 세제수 공급부; 및
    상기 세제박스를 경유하지 않은 세탁수를 상기 내조의 내측면을 향해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세탁 급수 행정시, 상기 세제수 공급부 및 분사부를 통해 세탁수를 급수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헹굼 급수 행정시, 상기 분사부 만을 통해 세탁수가 분사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포를 출입하기 위한 개구홀이 형성된 탑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탑커버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조는,
    포를 출입하기 위한 개구홀이 형성된 외조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외조 커버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조로부터 출수된 세탁수를 순환시켜 상기 내조로 안내하는 순환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순환유로를 통해 안내된 세탁수를 분사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수 공급부의 급수 방향과 상기 분사부의 분사방향은 서로 간섭되지 않는 세탁물 처리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의 분사 시 상기 내조가 회전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수 공급부 및 상기 분사부로 선택적으로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조절부는,
    상기 세제수 공급부로 급수되는 세탁수를 단속하는 제 1 급수 밸브; 및
    상기 분사부로 급수되는 세탁수를 단속하는 제 2 급수 밸브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세탁 행정시, 상기 제 1 급수 밸브 및 제 2 급수 밸브가 개방되고,
    헹굼 행정시, 상기 제 1 급수 밸브는 폐쇄되고, 제 2 급수 밸브가 개방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2. 외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내조의 바닥면을 향해 세제와 혼합된 세탁수가 급수되고, 상기 내조의 내측면을 향해 세제와 혼합되지 않는 세탁수가 분사되는 (a)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조 내의 세탁수가 배수되는 (b)단계; 및
    상기 내조의 내측면을 향해 세제와 혼합되지 않은 세탁수가 재분사되는 (c)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내조가 회전되는 (c-1)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조로부터 출수되어 순환하는 세탁수를 상기 내조의 내측면을 향해 분사하는 (d)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
KR1020090029136A 2009-04-03 2009-04-03 세탁물 처리기기 및 제어방법 KR101082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136A KR101082558B1 (ko) 2009-04-03 2009-04-03 세탁물 처리기기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136A KR101082558B1 (ko) 2009-04-03 2009-04-03 세탁물 처리기기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676A true KR20100110676A (ko) 2010-10-13
KR101082558B1 KR101082558B1 (ko) 2011-11-10

Family

ID=43131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136A KR101082558B1 (ko) 2009-04-03 2009-04-03 세탁물 처리기기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255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9995A (ko) * 2015-10-02 2017-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CN107012638A (zh) * 2015-10-02 2017-08-04 Lg电子株式会社 洗衣机
KR20170100406A (ko) * 2016-02-25 2017-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35767A (ko) * 2015-10-02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US10167589B2 (en) 2015-10-02 2019-01-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rinsing cycle of washing machine
US10738404B2 (en) 2015-10-02 2020-08-11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021827B2 (en) 2015-10-02 2021-06-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994B1 (ko) * 2000-10-19 200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탁수 재순환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9995A (ko) * 2015-10-02 2017-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CN107012638A (zh) * 2015-10-02 2017-08-04 Lg电子株式会社 洗衣机
CN107059355A (zh) * 2015-10-02 2017-08-18 Lg电子株式会社 洗衣机
KR20180035767A (ko) * 2015-10-02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US10167589B2 (en) 2015-10-02 2019-01-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rinsing cycle of washing machine
US10513817B2 (en) 2015-10-02 2019-12-24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US10626537B2 (en) 2015-10-02 2020-04-21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US10738404B2 (en) 2015-10-02 2020-08-11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7012638B (zh) * 2015-10-02 2020-09-01 Lg电子株式会社 洗衣机
US11021827B2 (en) 2015-10-02 2021-06-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20170100406A (ko) * 2016-02-25 2017-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2558B1 (ko)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558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제어방법
KR102196184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EP2987902B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650103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3515557A (ja) エコすすぎ工程及び中間工程を有する洗濯方法
KR100739612B1 (ko)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세탁방법
CN101851838B (zh) 洗衣机洗毛绒玩具的方法
RU2461676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ой (варианты)
KR20130018068A (ko) 신발 세척장치
KR20110022294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2487868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11940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620437B1 (ko) 세탁방법 및 세탁기
KR20110053081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10114480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
KR101154952B1 (ko) 드럼세탁기 및 드럼세탁기의 제어방법
US20110056029A1 (en) Rinsing method of washing machine
KR102013187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CN107012652B (zh) 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
KR101016293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128811B1 (ko) 세탁장치
KR20040011305A (ko) 세탁기의 샤워 커넥터
US20130025072A1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method to increase chemical action
KR101647723B1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0134840Y1 (ko) 드럼 세탁기의 수류 고압분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