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0133A -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0133A
KR20100110133A KR1020090028549A KR20090028549A KR20100110133A KR 20100110133 A KR20100110133 A KR 20100110133A KR 1020090028549 A KR1020090028549 A KR 1020090028549A KR 20090028549 A KR20090028549 A KR 20090028549A KR 20100110133 A KR20100110133 A KR 20100110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monitoring
event message
vi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7326B1 (ko
Inventor
김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to KR1020090028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326B1/ko
Publication of KR20100110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0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2Arrangements for observation, testing or troubleshooting
    • H04H20/14Arrangements for observation, testing or troubleshooting for monitoring program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33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users' behaviour or opin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컨텐츠 시청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메시지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유효 응답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시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을 유도하고, 컨텐츠 시청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 이벤트, 사용자 응답, 유효

Description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Method for monitoring view of contents}
본 발명은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유효하게 시청하고 있는지를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방송 서비스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제공하였으나, 근래에는 디지털 방식으로 제공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 서비스는 고화질 서비스가 가능하며 또한 비디오의 압축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채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발달에 따라 날씨, 뉴스, 증권, 이메일,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ic Program Guide: EPG), TV 쇼핑, 뱅킹, 전화 서비스 및 인터넷 검색과 같이 단지 방송을 시청하는 것뿐만 아니라 방송과 직접, 간접적으로 관련된 데이터(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근래에 디지털 방송 서비스는 실시간 서비스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VOD(Video On Demand) 서비스까지 제공하고 있다.
나아가, 하드디스크에 디지털로 압축된 데이터를 기록하여 재생하는 PVR(Personal Video Recorder)이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는 컨텐츠를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근래에는 과거와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 다양한 장르의 컨텐츠가 제공되고 있으며, 특히 다양한 교육 컨텐츠가 제공되고 있다.
교육 컨텐츠의 시청에 있어서, 부모가 자녀와 함께 있는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근래에는 부모 모두 사회 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아 부모는 자녀의 교육 컨텐츠 시청을 바로 확인할 수 없다.
이를 위해, 부모가 차후에 자녀의 교육 컨텐츠 시청을 모니터링하여 자녀의 교육 컨텐츠 시청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자녀가 단순히 해당 컨텐츠를 재생했는지 여부, 컨텐츠가 제공되는 채널을 선택해놓은 것만을 확인하여 교육 컨텐츠의 시청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것으로는 자녀의 컨텐츠 시청을 유도할 수 없다.
이는 자녀가 컨텐츠 재생 또는 컨텐츠 제공 채널만을 선국해놓기만 하고 다른 일을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녀가 교육 컨텐츠를 집중하여, 즉 유효하게 시청하고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교육 컨텐츠에만 제한됨이 없이 방송 사업자 또는 광고주는 자신들이 제공하는 컨텐츠를 사용자가 어느 정도로 집중하여 시청하고 있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싶어하며, 이를 통해 컨텐츠의 유효 시청자 또는 구매자를 확인하여 타겟 광고를 하고자 한다.
이러한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은 TV를 통한 방송 서비스 이외에 인터넷 등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에 연결되는 서버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컨텐츠를 유효하게 시청하고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보상을 통해 사용자에게 컨텐츠의 시청을 유도할 수 있는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시청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메시지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유효 응답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시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이벤트 메시지 생성 모듈; 및 상기 이벤트 메시지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유효 응답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시청을 모니터링하는 시청 모니터링 모듈을 포함하는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서로 다른 시점에 사용자의 의식적인 응답을 요구함으로써 사용자가 컨텐츠 시청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응답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유효하게 시청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응답에 상응하게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 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에 관한 것으로서, 동영상으로 제공되는 컨텐츠를 사용자가 유효하게 시청하고 있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는 교육 컨텐츠뿐만 아니라, 일반 방송 컨텐츠 및 광고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방송 채널을 통해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컨텐츠,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되는 컨텐츠 및 PVR에 녹화된 컨텐츠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가 방송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 시스템은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2)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미리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소정 컨텐츠를 방송하는 헤드엔드(Head-end)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다양한 방송 채널에 대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AV 신호)를 미리 설정된 포맷으로 변환하며, 이를 방송과 관련된 데이터를 결합한 방송 신호를 사용자 단말(102)로 전송한다.
또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각 컨텐츠에 대한 스케줄링 기능, 가입자 이외에 다른 사용자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수신 제한을 위한 스크램블링을 수행한다.
나아가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상향 채널을 통한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통신 서버(예를 들어, 리턴 패스 서버)를 구비하면서 인터넷 서비스 및 각종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이 헤드엔드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인터넷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서버 또는 파일서버일 수도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사용자 단말(102)은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이 전송하는 방송 신호 중 소정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2)은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며, 데이터와 결합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셋톱박스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데스크탑, 노트북, 그밖에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를 디코딩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2)에는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하,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 이라 함)이 설치된다.
여기서,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컨텐츠인 경우, 사용자가 편성 정보를 확인하여 설정한 컨텐츠일 수 있으며, PVR에 저장된 컨텐츠인 경우, 사용자가 시간을 설정하여 재생 예약한 컨텐츠일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컨텐츠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 관리자 가 시청 반응 또는 광고 효과 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설정한 컨텐츠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102)에서 소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사용자에게 소정 행위를 요구하고, 이에 대해 유효한 사용자 응답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컨텐츠 시청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예를 들어, 30분짜리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랜덤한 시점에 하나 이상의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이벤트 메시지는 사용자에게 소정 행위를 요구하기 위한 메시지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소정 위치에 소정 시간 동안 출력된다.
또한, 이벤트 메시지는 소정의 키 코드(key 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메시지는 "5번(key code) 키를 누르시오" 라는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메시지는 단순히 하나의 키를 입력하는 요구뿐만 아니라, "2+5에 해당하는 값을 5초 이내에 누르시오" 와 같이 연산 결과에 상응하는 키 코드의 입력을 요구할 수 있으며, 시간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시간 정보는 사용자 응답의 제한 시간을 의미한다.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하나 이상의 이벤트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수신하며, 사용자 응답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유효한 응답인지 여부는 요구한 키 코드가 수신되는지 여부 및 사용자 응답이 제한 시간 내에 수신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컨텐츠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응답을 통계 처리하여 보상 여부를 결정한다.
컨텐츠 시청에 따른 보상은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동안 복수의 이벤트 메시지에 대해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의 유효한 사용자 응답이 있는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 대한 보상은 사용자에게 다른 컨텐츠의 시청을 허가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보상에 따라 사용자는 컨텐츠를 주의 깊게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교육 컨텐츠인 경우, 학생인 사용자는 원하는 다른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해 유효한 응답을 입력하려고 노력할 것이므로 사용자의 학습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이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02)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사용자 단말(102)이 미리 탑재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사용자 단말(102)에 설치되는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에서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102)과 연동하여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을 직접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02)에서 소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동안, 서로 다른 시점에 이벤트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2)로 전송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102)은 이벤트 메시지를 출력하며, 이에 상응하는 사용자 응답을 수신한다.
수신된 사용자 응답 정보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송되며,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컨텐츠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 사용자 응답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유효하게 컨텐츠를 시청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상응한 보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을 위한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림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컨텐츠 설정 모듈(300), 채널 모니터링 모듈(302), 시청 모니터링 모듈(304) 및 보상 처리 모듈(306)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설정 모듈(300)은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에 대한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컨텐츠 설정 모듈(300)은 부모가 자녀의 교육 컨텐츠 시청을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보호자인 부모가 사용자인 자녀를 위한 컨텐츠를 설정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 설정 모듈(300)은 각 방송 채널의 편성 정보를 이용하여 보호자의 컨텐츠 선택을 위한 메뉴를 출력한다.
교육 컨텐츠 시청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컨텐츠 설정 모듈(300)은 보호자의 요청 시, 각 방송 채널의 교육 컨텐츠에 대한 편성 정보만을 이용하여 컨텐츠 선택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
보호자가 이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컨텐츠 설정 모듈(300)은 보호자가 선택한 교육 컨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컨텐츠 관련 정보는 컨텐츠 이름(즉, 프로그램 이름), 방송 채널 및 시작 시간에 관한 정보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설정 모듈(300)은 사용자 단말(102)이 PVR 기능을 내장하거나 또는 별도의 PVR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PVR에 녹화된 컨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보호자는 녹화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컨텐츠 설정 모듈(300)은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파일 이름 및 보호자가 입력한 컨텐츠 시작 시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 설정 모듈(300)은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를 보호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경우에 구비되며, 만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 방송 사업자 또는 광고주의 요청에 따라 모니터링 대상을 결정하는 경우에는 생략될 수도 있다.
채널 모니터링 모듈(302)은 사용자의 시청 채널을 모니터링한다.
우선, 채널 모니터링 모듈(302)은 보호자가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시청 모니터링을 요청한 경우, 요청된 컨텐츠의 시작 시간을 모니터링하며, 요청된 컨텐츠의 시작 시간이 도래하는 경우, 현재 사용자가 시청 중인 방송 채널이 상기한 컨텐츠가 제공되는 방송 채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사용자가 요청된 컨텐츠의 시작 시간 이후에 다른 방송 채널을 시청하고 있다면, 화면 상에 요청된 컨텐츠의 시작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
상기한 알림 메시지는 컨텐츠의 이름 및 방송 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채널 모니터링 모듈(302)은 보호자가 PVR에 저장된 컨텐츠를 모니터링 대상 컨텐츠로 설정한 경우, 해당 시간에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설정된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지 않다면 동일하게 컨텐츠 시작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채널 모니터링 모듈(302)은 사용자가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컨텐츠를 계속적으로 시청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컨텐츠의 시청 도중 다른 방송 채널로 전환하는 경우, 채널 모니터링 모듈(302)은 다른 방송 채널로의 전환 시점 및 다시 모니터링되는 컨텐츠의 방송 채널로 복귀하는 시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시청 모니터링 모듈(304)은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사용자가 유효하게 시청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청 모니터링 모듈(304)은 이벤트 메시지 생성 모듈(400), 응답 유효 검증부(402) 및 타이머 모듈(40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메시지 생성 모듈(400)은 타이머 모듈(404)과 연동하여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동안 사용자에게 소정 행위를 요구하기 위한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벤트 메시지 생성 모듈(400)은 컨텐츠 디스플레이 시간 동안 서로 다른 시점에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랜덤한 시점에 서로 다른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시간이 30분인 경우, 이벤트 메시지 생성 모듈(400)은 컨텐츠 시작 후 1분/7분/15분/21분/26분과 같이 랜덤한 간격으로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벤트 메시지는 사용자에게 소정 행위를 요구하는 것으로서, 키 코드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벤트 메시지는 리모트 컨트롤러 상에 구비된 버튼에 상응하는 키 코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이벤트 메시지에서 키 코드는 랜덤하게 설정될 수 있다.
시간 정보는 사용자의 응답을 위한 제한 시간이며, 해당 시간 안에 사용자가 응답한 경우에만 유효한 응답으로 처리된다.
상기한 예에서 이벤트 메시지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생성될 수 있다.
이벤트 메시지 종류
No. 시간 이벤트 메시지
1 1분 5를 10초 내에 누르시오
2 7분 #을 10초 내에 누르시오
3 15분 5×2를 30초 내에 누르시오
4 21분 5+3을 30초 내에 누르시오
5 26분 1을 연속 두 번 15초 내에 누르시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벤트 메시지 생성 모듈(400)은 서로 다른 키 코드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메시지는 상기한 1번 및 2번과 같이 '5', '#'과 같이 단순히 하나의 키 코드의 입력을 요구할 수도 있으나,3번 및 4번과 같이 소정의 연산 결과 입력을 요구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하나 이상의 키 코드의 연속적인 입력을 요구할 수도 있다.
응답 유효 검증부(402)는 상기와 같은 이벤트 메시지에 상응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응답의 유효 여부를 판단한다.
응답 유효 검증부(402)는 사용자의 응답이 수신되는지, 수신된 키 코드가 이벤트 메시지에서 요구하는 키 코드인지, 그리고 타이머 모듈(404)과 연동하여 정해진 제한 시간 내에 사용자 응답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 응답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응답 유효 검증부(402)는 아래의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 응답에 대한 유효 응답 리스트를 생성한다.
유효 응답 리스트
No. 시간 사용자 응답
1 1분
2 7분 ×
3 15분
4 21분
5 26분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청 모니터링 모듈(304)은 화면 정지 제어 모듈(406)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화면 정지 제어 모듈(406)은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컨텐츠가 녹화 중이거나 또는 녹화된 컨텐츠가 재생 중인 경우에 포함될 수 있다.
화면 정지 제어 모듈(406)은 이벤트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유효한 응답이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컨텐츠 재생이 일시 정지(pause)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유효하지 않은 응답은 사용자의 무응답을 포함하며, 일시 정지를 위한 미리 설정된 횟수는 1이상으로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면 정지 후 소정 시간 후에 이벤트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한 이벤트 메시지에 상응하여 유효한 응답을 수신되는 경우에 화면 정지 제어 모듈(406)은 다시 컨텐츠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가 컨텐츠 시청 중에 다른 채널로 전환하는 경우에도 화면 정지 제어 모듈(406)은 일시 정지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보상 처리 모듈(306)은 상기와 같은 유효 응답 리스트를 이용하여 보상 여부를 결정한다.
보상 처리 모듈(306)은 유효 응답 리스트를 통해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의 유효한 응답을 한 경우 또는 유효한 응답을 한 비율에 따라 보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 보상 정보는 다른 컨텐츠에 대한 시청 허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컨텐츠는 교육과 관련이 없는 컨텐츠일 수 있으며, 유료 VOD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교육 컨텐츠를 유효하게 시청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이전에 시청 제한된 방송 채널의 시청 또는 유료 VOD 컨텐츠의 무료 시청을 허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메시지가 총 10개인 경우, 사용자의 유효 응답이 적어도 7개 이상이 경우, 사용자에게 보상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전체 이벤트 메시지 중 사용자의 유효한 응답이 수신된 비율에 따라 서로 다른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1시간의 컨텐츠에 대해 10개의 이벤트 메시지 중 유효한 사용자 응답이 10개인 경우에는 1시간짜리 다른 컨텐츠를, 5개인 경우에는 30분짜리 다른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 유효한 응답의 비율에 따라 1시간짜리 컨텐츠의 시청 허가 시간이 다르게 결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랜덤하게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에 대해 사용자의 유효한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이용하여 컨텐츠 시청을 모니터링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컨텐츠를 유효하게 시청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나아가 유효한 시청으로 확인된 경우 적절한 보상을 제공하기 때문에 컨텐츠 시청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사용자 단말(102)에 설치된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에서 컨텐츠 시청을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시청의 모니터링은 사용자 단말(102)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에서 직접 수행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모니터링 판단 모듈(500), 이벤트 메시지 생성 모듈(502), 네트워크 통신 모듈(504) 및 보상 처리 모듈(506)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판단 모듈(500)은 사용자 단말(102)에 제공되는 컨텐츠 중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컨텐츠는 방송 사업자 또는 광고주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이벤트 메시지 생성 모듈(502)은 해당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102)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동안 랜덤하게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한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생성된 이벤트 메시지를 네트워크 통신 모듈(504)을 통해 사용자 단말(102)로 전송한다.
이벤트 메시지는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102)로 선택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상에 이벤트 메시지를 출력한다.
사용자 단말(102)은 상기와 같은 이벤트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이를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2)은 각 사용자 응답을 개별적으로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고, 이와 달리 컨텐츠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 전체 사용자 응답을 한번에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보상 처리 모듈(506)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또는 한번에 수신되는 사용자 응답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보상 여부를 결정한다.
하기에서는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 과정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6 내지 도 7은 보호자가 실시간으로 제공될 교육 컨텐츠를 모니터링 대상으로 설정하고, 사용자 단말(102)에 설치된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이 교육 컨텐츠 시청을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의 사전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보호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컨텐츠 선택을 위한 메뉴를 출력한다(단계 600).
단계 600에서,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하루 또는 소정 기간 동안의 편성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선택을 위한 메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 방송 채널의 교육 컨텐츠에 대한 편성 정보만을 이용한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보호자가 선택한 교육 컨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단계 602).
단계 602에서 저장되는 컨텐츠 관련 정보는 컨텐츠 이름 (즉, 프로그램 이름), 방송 채널 및 시작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교육 컨텐츠의 시작 시간이 도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604).
해당 교육 컨텐츠가 시작되는 경우,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즉 자녀가 현재 시청하고 있는 채널이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채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606).
현재 시청 채널이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채널인 경우,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을 수행한다(단계 608).
한편, 현재 시청 채널이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채널이 아닌 경우,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교육 컨텐츠가 시작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단계 610).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의 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교육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동안(단계 700),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컨텐츠 시작 후 소정 시점에 제1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한다(단계 702).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이벤트 메시지는 사용자에게 소정 행위를 요구하기 위한 메시지이다.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제1 이벤트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응답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704).
사용자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사용자 응답이 유효한지 여부를 검증한다(단계 706).
단계 706은 제1 이벤트 메시지에서 요구되는 키 코드가 수신되는지 여부 또는 정해진 제한 시간 내에 응답을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다음으로,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컨텐츠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708), 컨텐츠 디스플레이가 계속 중인 경우, 단계 702로 복귀한다.
이후, 제2 이벤트 메시지에 대해 단계 704 내지 706을 반복 수행한다.
한편, 단계 708에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되는 경우,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복수의 이벤트 메시지에 대한 유효 응답을 이용하여 보상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710).
사용자에게 보상이 제공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화면 상에 보상 정보를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출력한다(단계 712).
단계 712에서 화면상에 출력되는 보상 정보는 사용자가 현재 시점에서 이용 가능한 다른 채널의 컨텐츠 정보 또는 유료 VOD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메시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림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청 모니터링 모듈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의 사전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의 본 과정을 도시한 도면.

Claims (13)

  1. 컨텐츠 시청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메시지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유효 응답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시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복수의 이벤트 메시지가 랜덤한 시점에 출력되는 기록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메시지는 랜덤하게 설정된 키 코드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록매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복수의 이벤트 메시지에 대해 사용자의 응답이 수신되 는지 여부, 상기 이벤트 메시지에 포함된 키 코드에 상응하는 키 코드가 수신되는지 여부 및 미리 설정된 제한 시간 내에 사용자 응답이 수신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유효 응답 리스트를 생성하는 기록매체.
  5. 제4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의 유효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다른 컨텐츠의 시청을 허가하는 보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기록매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벤트 메시지에 대한 유효 응답의 비율에 따라 다른 보상 정보가 생성되는 기록매체.
  7. 제1항에 있어서,
    컨텐츠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컨텐츠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상기 컨텐츠 관련 정보는 컨텐츠의 이름, 채널 정보 및 시작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더 수행하는 기록매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시작 시간이 도래하는 경우, 사용자가 다른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다른 컨텐츠를 시청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시작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기록매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방송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인 경우, 상기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중 사용자가 다른 방송 채널로 전환 또는 상기 컨텐츠가 제공되는 채널로의 복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방송 채널로의 전환 시점 및 상기 컨텐츠의 방송 채널로의 복귀 시점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기록매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개인 비디오 녹화기에 저장된 컨텐츠인 경우 또는 상기 컨텐츠가 녹화중인 경우, 상기 이벤트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유효 응답이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컨텐츠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기록매체.
  11.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이벤트 메시지 생성 모듈; 및
    상기 이벤트 메시지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유효 응답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시청을 모니터링하는 시청 모니터링 모듈을 포함하는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시청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모니터링 판단 모듈을 더 포함하는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메시지 생성 모듈을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랜덤한 시점에 복수의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복수의 이벤트 메시지 각각은 랜덤하게 설정된 키 코드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090028549A 2009-04-02 2009-04-02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607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549A KR101607326B1 (ko) 2009-04-02 2009-04-02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549A KR101607326B1 (ko) 2009-04-02 2009-04-02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133A true KR20100110133A (ko) 2010-10-12
KR101607326B1 KR101607326B1 (ko) 2016-03-29

Family

ID=43130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549A KR101607326B1 (ko) 2009-04-02 2009-04-02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3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806B1 (ko) * 2011-03-04 2011-04-27 주식회사 씨케이앤비 방송 및 광고 콘텐츠 모니터링 자동화 시스템
KR20150018749A (ko) * 2013-08-08 2015-02-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원 추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기록매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806B1 (ko) * 2011-03-04 2011-04-27 주식회사 씨케이앤비 방송 및 광고 콘텐츠 모니터링 자동화 시스템
WO2012121513A2 (ko) * 2011-03-04 2012-09-13 주식회사 씨케이앤비 방송 및 광고 콘텐츠 모니터링 자동화 시스템
WO2012121513A3 (ko) * 2011-03-04 2012-12-20 주식회사 씨케이앤비 방송 및 광고 콘텐츠 모니터링 자동화 시스템
KR20150018749A (ko) * 2013-08-08 2015-02-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원 추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7326B1 (ko) 201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18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rected television and radio advertising
US87761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gging and reporting television viewing
CN101455080B (zh) 记录播放装置、系统以及服务器
US20070168884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
US95912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advertising via network generated overlays
US20090228910A1 (en) Method for authenticating the presence of a viewer during a presentation of video content
KR100883766B1 (ko) 휴대 단말기의 피아이피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ip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838708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tailoring an interactive game associated with a media content instance to a user
US102375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viewership of broadcast programming
JP2005347806A (ja) 電子機器および該電子機器にて実行される番組情報取得方法
JP3957131B2 (ja) 番組出力方法および番組配信システム
JP5253497B2 (ja) データストリームのサマリーの生成を可能に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607326B1 (ko) 컨텐츠 시청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541540B1 (ko) 컨텐츠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4487250B2 (ja) コマーシャル放送システム及び受信装置
JP3576547B2 (ja) ネットワーク上のメタ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
JP7228204B2 (ja) 記録再生装置
JP4738371B2 (ja) 番組出力方法及び視聴者端末装置
JP2021180440A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番組再生方法
JP5284529B1 (ja) 番組受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4015758A (ja) 放送テロップ効果測定方法
KR20160057616A (ko) 타임라인 제한 장치 및 방법
JP2013183443A (ja) コンテンツ視聴制御方法、放送システム、録画再生機及びプログラム
JP2002152619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