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0129A -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0129A
KR20100110129A KR1020090028544A KR20090028544A KR20100110129A KR 20100110129 A KR20100110129 A KR 20100110129A KR 1020090028544 A KR1020090028544 A KR 1020090028544A KR 20090028544 A KR20090028544 A KR 20090028544A KR 20100110129 A KR20100110129 A KR 20100110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 venom
composition
skin
burns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9550B1 (ko
Inventor
한상미
이광길
여주홍
박관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090028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550B1/ko
Priority to GB0916573A priority patent/GB2469154A/en
Priority to JP2009218986A priority patent/JP2010241786A/ja
Publication of KR20100110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0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550B1/ko
Priority to JP2012261417A priority patent/JP2013060455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57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0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plant or 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157Wound bandages for burns or skin trans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387Plasters use skin protection
    • A61F2013/00391Plasters use skin protection from irradiation, e.g. su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19Plasters containing means for physical therapy, e.g. cold or magn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rd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Botan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처, 염증 및 화상 등으로 인해 손상된 피부 세포의 재생을 촉진할 수 있으며, 주름 및 노화 방지에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차 감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뛰어난 성질을 이용하여 봉독을 함유한 연고제, 드레싱제, 패취제 또는 화장품을 포함한다.
봉독, 상처, 화상

Description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of comprising bee-venoms for treating wounds or burns}
본 발명은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외상이나 화상 후의 정상적인 상처치유과정은 지혈 단계(hemostasis), 염증 단계(inflammatory phase), 증식 단계 및 상처 수축(wound contraction) 단계를 거치는데, 각 단계에서 정상적인 균형이 맞지 않을 경우 상처치유가 늦어지거나, 상처 치유 후 흉터를 남기게 된다. 창상 치유의 각 과정에는 염증세포, 각질세포, 섬유아세포 등에서 분비되는 여러 종류의 성장인자 혹은 사이토카인과 함께 작용하여 창상 치유에 관여한다. 즉, 창상 치유 과정에서는 상처부위의 염증세포가 분비하는 매개체들의 신호에 의해서 대식세포들이 상처부위로 모여들고, 사이토카인 등을 분비하면, 상처부위에서 섬유아세포 등의 이동과 증식이 진행되면서 손상된 상처부위의 진피층이 기질을 형성하면서 상처부위가 치유된다. 반 면, 2차 감염 등으로 염증 세포 등의 이상 증식이 있는 상처에는 TNF-α, Interlukin-8 등 여러 종류의 염증 유도성 사이토카인 등이 분비되게 되면서, 각질층 형성세포 등의 증식 속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반흔의 교정은 피부재생과 더불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러한 반흔의 교정 혹은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특히 면역학, 결합조직의 생화학, 세포의 성장인자 등에 대한 이해 및 발달과 함께 최근 상당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도 피부재생에 있어 반흔을 없앨 방법은 없는 실정이다.
또한, 피부 화상은 심한 부종을 유발하여 혈관의 투과성 증가로 혈관 내 정수압이 감소하게 되어 허혈성 손상을 일으키게 될 뿐만 아니라 화상 피부 조직은 부분층 화상과 전층 화상의 경우 식피술을 시행해야하는 어려움도 뒤따르게 된다. 피부 화상 치료에는 열 때문에 세포가 파괴되고 조직이 괴사한 열 손상으로 인한 전신적인 열액역학적, 대사적, 영양학적, 그리고 면역학적인 관점에서 조치가 필요하므로 여러 가지 합성의약품 및 천연재료를 성분으로 하는 치료제가 사용된다. 심한 화상의 경우에는 무균 바셀린 가제로 상처를 감싸고 2차 감염을 막기 위해 페니실린, 설파제 등과 같은 항생제 요법을 장기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회복 후에도 외형상, 기능상 심한 후유증이 남는 것이 문제이다.
또한, 상처 또는 화상 치료, 또는 수술 후 창상 감염은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회복 기간을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사망률이 높은 패혈증 등 심한 합병증을 초래하며 개인이나 국가 간에 막대한 경제적 인적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가장 좋은 치료법은 예방으로서 치료 전후 무균조작을 하며, 면역능력을 증가시키거나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항생제 과신에 따른 기존 항생제의 남용으로 인한 항생제 내성균의 출현으로 아직도 피부 상처, 화상 및 수술 후 합병증의 많은 부분을 세균감염이 차지하고 있다.
마누카벌꿀을 함유한 상처 치료용 드레싱의 경우 피부세포의 재생 효과가 매우 뛰어나지만 반흔 형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전은 갖고 있지 않다. 또한, 벌꿀의 특성상 끈적거림이 있어 환부에 착용 시 불쾌감을 줄 수도 있다. 무엇보다도 상처로 인한 진물 발생 시 산도에 의한 벌꿀의 약효가 감소되며, 연고 및 드레싱 등의 의약품 제조시 감마선 및 고압멸균 과정 이후 약효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국내산 꿀벌(Apis mellifera)의 봉독은 전기 충격법을 이용한 봉독채집장치를 이용하여 꿀벌의 피해 없이 순수한 봉독만을 다량으로 채취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동결 건조하여 정제 봉독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봉독은 다양한 성분이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중 펩타이드가 항염증과 항균작용, 강력한 진통작용, 면역증강 등의 역할을 한다. 봉독은 그람 음성 및 양성균에 대해 모두 항균작용을 보이나, 특히 그람 양성균에서 더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봉독에 대한 대부분의 약리작용은 전체 독성분, 단일 주요 성분군의 활성에 기인한다. 이와 같은 봉독의 성분 및 효능은 다음과 같이 알려져 있다.
① 면역계 질환의 치료 : 대부분의 면역성 질환의 치료에 봉독은 효과를 보이는데 이는 봉독이 포유동물의 면역계를 자극해서 질병과 성공적으로 싸울 수 있게 한다. 봉독의 주된 두 가지 면역 작용은 유기체의 생체계를 자극하는 것이 고 다음 순서로는 생체의 방어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② 항염증 작용 : 봉독의 주성분들이 염증 억제에 매우 유효하게 작용한다. 특히, 관절염의 경우 멜리틴과 아파민을 주입했을 경우 현저하게 부종이 억제 되었다. 단백효소 억제제와 아돌라민 처리에도 부종이 15 ~ 40 % 억제되었다.
③ 신경독 효과 : 벌에 쏘이면 통증과 염증을 유발하는데 이를 유발하는 물질들은 포유동물에 있어서는 희피반응 즉 진통제를 개발하는데 있어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봉독 속의 아파민의 작용에 의해서 진통작용을 하는데 각종 신경통, 관절염 및 류마티스성 관절염, 통풍, 근육통 등에 진통작용이 강하고 치료효과도 높다.
④ 용혈작용 : 봉침의 작용 중에서 가장 뛰어난 효과중의 하나가 용혈작용이다. 멜리틴, 포스포리파아제 등의 작용에 의해서 타박상, 내출혈 등의 어혈을 흡수 배설 시키고 조직의 새로운 혈액과 산소 및 영양을 공급하여 치료와 용혈작용을 한다.
⑤ 혈관확장작용 : 히스타민성 물질의 작용으로 모세혈관, 소동맥, 소정맥 특히 내장 혈관을 확장시키는데 효과가 크다. 따라서, 냉증, 동상, 근육통 등의 질환을 치료한다.
⑥ 혈압강하작용 : 히스타민성 물질의 작용에 의해서 혈압을 내리게 하는 강력한 작용을 한다. 특히, 2억 5천만분의 1의 농도에서도 혈압강하작용이 있으며, 본태성고혈압 등의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⑦ 자율신경조절작용 : 인체에 스트레스를 계속 받게 되면 교감신경과 부교 감신경의 자율신경에 난조가 와서 이것이 많은 병의 원인이 된다. 이 자율신경을 정상화 하는데 필요한 물질인 카테콜아민과 아세칠콜린이 봉독 속에 함유되어 있으며 이 물질은 뇌세포 전달물질이 때문에 심신증 갱년기 장애 스트레스성 질환 치료에 효과적이다.
⑧ 항균작용 : 항세균 및 항진균 작용이 매우 뛰어나며 바이러스성 종양 등에도 효과적이다. 특히 치주염, 편도선염, 다래끼, 화농성 질환에 치료 효과가 높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봉독의 우수한 항균력에 착안하여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새로운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처, 염증 또는 화상 등으로 인해 손상된 피부 세포의 재생을 촉진하고, 항염 효과 및 2차 감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뛰어난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조성물을 이용하여 연고제, 드레싱제, 패취제 또는 화장품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봉독은 상처, 염증 또는 화상 등으로 인해 손상된 피부의 상처부위가 덧나지 않는 치료를 위해 피부 세포의 재생을 촉진하며, 이에 필요한 콜라겐의 합성과 피부세포 증식의 성장인자인 EGF와 VEGF의 발현을 촉진하고, 자외선 조사에 의해 손상된 피부 세포에서 MMP-1과 MMP-3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주름 및 노화 방지에 우수하며, 치료 후 남는 반흔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2차 감염 원인 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뛰어난 성질을 이용하여 봉독을 함유한 연고제, 드레싱제, 패취제 및 화장품을 개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료용 조성물은 심한 화상과 각종 피부 상처 또는 각종 피부 질환 및 외상으로 고통 받는 환자의 치료뿐만 아니라 국내산 봉독의 고부가가치용도 개발로 인한 양봉 농가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것이다.
본 발명은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상기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의 성분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은 항염증 작용, 신경독 작용, 용혈작용, 혈관확장작용, 혈압강하작용, 자율신경조절작용 등이 우수하여 면역계 질환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0.001 ~ 10 %(w/v)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0.001 %(w/v) 미만이면 봉독에 대한 효과가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0 %(w/v)를 초과하면 세포독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은 환부 도포 및 상기 봉독의 흡수를 돕기 위하여 젤 매트릭스와 같은 생흡수성 재료인 미립자 또는 섬유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치료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젤 매트릭스로는 젤화가 가능한 통상의 재료가 모두 사용 가능하며, 그 중 알긴산염(Alginat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등 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료용 조성물은 피부외용제 형태로 투여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페이스트, 크림, 겔, 파우더, 스프레이, 용액, 유탁액, 현탁액 등의 액제, 연고제, 드레싱제, 패취제 등의 제형으로 투여가능하다.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 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 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같은 제형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바람직하게 1 일당 0.1 ~ 1 mg/kg(체중)이다.
본 발명에 따른 봉독은 약리 효과 및 항균 작용이 우수하여 상처 또는 화상으로 인한 피부세포의 빠른 재생과 2차 감염으로 인한 염증과 세균 감염으로 인한 반흔의 형성을 줄일 수 있는 연고제, 드레싱제, 패취제 등을 개발하여 상처와 화상으로 인해 고통받는 환자 및 동물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MMP-1, MMP-3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주름 및 노화 방지에 우수하며 콜라겐의 합성과 피부세포 증식의 성장인자인 EGF와 VEGF의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우수한 품질의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또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를 포함한다. 상기 봉독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제, 보조제 및 첨가제를 사용하여 액체 또는 고체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액체 또는 고체 형태의 화장품으로는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화장수, 크림제, 로숀제 및 입욕제 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 으로 사용되는 기제, 보조제, 및 첨가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물,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스테아르산, 글리세롤, 세틸알코올 및 유동 파라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든 자료는 SAS(SAS enterprise guide 3.0)의 Duncan's t-test를 이용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제제예 1 ~ 4 : 봉독 제조
국내산 꿀벌(Apis mellifera)을 전기 충격법을 이용한 봉독채집장치(청진테크, 한국)를 이용하여 꿀벌의 피해 없이 순수한 봉독만을 다량으로 채취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동결 건조하여 정제 봉독을 얻었다. 정제된 봉독은 액체크로마토그래피(AKTA explorer, Amersham Pharmacia Biotech USA)를 사용하여 봉독 표준품인 시그마산 꿀벌독, 멜리틴, 아파민, 포스포리파아제와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봉독(B)은 시판중인 봉독(A)과 비교할 때, 봉독의 주요 성분인 멜리틴(M: Melittin), 아파민(A: Apamin) 및 포스포리파아제 A2(PA2: Phospholipase A2)의 성분이 거의 동일함을 도 6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 : 피부 상처 모델에서 재생율 및 성장 인자 발현량 시험
세포배양 100 mm 디쉬에 1차 배양 피부세포인 HDF(Human Dermal Fibroblast) 세포가 80 % 증식했을 때 멸균된 이쑤시개를 이용하여 10 mm의 폭으로 세포에 상처를 주고, 봉독을 0.01 ~ 10 ㎍/㎖ 주입한 후 세포 재생을 확인하였다.
이때, 세포의 증식을 측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MTT(methylthiazole-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분석 방법과 Diff quic stain 을 이용하여 세포염색 후 현미경으로 확인하였으며, 콜라겐 합성량은 콜라겐 분석 키트(collagen assay kit), 그리고 세포 증식에 관여하는 성장인자인 표피 재생 인자(EGF, Epidermal growth factor)와 혈관내피 성장인자(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발현량은 효소결합 면역흡수 분석법(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 A, 도 1 B, 도 1 C 및 도 1 D와 같다.
관찰 결과,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 처리한 경우 세포 재생이 촉진되었고, 콜라겐의 생성량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피부세포 성장인자인 EGF와 VEGF 생성량이 각각 2배 이상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세포의 형태적인 모양에 있어서도 정상적으로 생장하였다.
실시예 2 : 피부 화상 모델에서 재생율 시험
1차 배양 피부세포인 HDF(Human Dermal Fibroblast)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피부 화상을 유도하였다. 구체적으로 피부 화상과 주름 생성의 원인인 UVA (ultraviolet A : 320 ~ 380 nm)(630 mJ/cm2)와 UVB(280 ~ 350 nm)(100 mJ/cm2)를 사용하여, 세포배양 100 mm dish에 HDF 세포가 80 % 증식했을 때 30 분 동안 조사하였다. 이후 새로운 배지와 함께 봉독 0.01 ~ 10 ㎍/㎖ 을 주입한 후 세포 재생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는 도 2 A, 도 2 B 및 도 2 C와 같았다. 이때, 세포증식 효과는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관찰 결과, UVA와 UVB에 의해 손상된 피부세포의 세포 재생율과 콜라겐 생성량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자외선 UVB에 의해 손상된 피부세포에 상기 치료용 조성물을 처리하여 광노화 유발 주요 인자인 MMP(Matrix metalloproteinases)-1과 MMP-3의 발현이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 인해 자외선 UVA와 UVB 조사로 인한 세포손상으로부터 봉독이 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세포재생률과 콜라겐의 합성이 촉진되었으며, 특히 UVB에 의한 광노화 촉진 효소인 MMP-1과 MMP-3의 생성을 크게 억제함으로써 주름 및 노화 방지에 우수하리라 예상된다. 또한, 형태학적으로도 매우 빠르게 정상 세포로 생장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 상처 또는 화상 후 2 차 감염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
상처, 화상 및 수술 후 치료 기간 중에 쉽게 감염되기 쉬운 대표적인 병원균인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대장균(Escherichia coli), 코아굴라세(Coagulase staphylococci), 스타필로코 키(Coliform bacilli) 에 대한 항균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봉독의 최소생육저지농도(MIC, Minimal inhibitor concentration)를 검정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세균 MIC 값(ug/ml)
Staphylococcus aureus 0.06
Pseudomonas aeruginosa 1.25
Escherichia coli 0.25
Coagulase staphylococci 1.25
Coliform bacilli 2.5
관찰 결과, 봉독을 함유한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의 항균 효과가 봉독을 함유하지 않은 치료용 조성물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 온도, 산도 및 감마선 조사에 의한 안정성 시험
온도에 의한 안정성 실험
젤매트릭스나 부용제로 사용되는 재료 특성상 가온이 필요할 경우 온도에 따른 봉독의 성분 및 효과에 대한 안정성이 필요하므로 봉독을 50 ~ 100 ℃에서 1 ~ 12 시간 동안 방치한 후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성분의 변화 및 효과를 관찰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 표 3과 같다.
구분 처리 온도 (℃)
실온 50 70 100
MIC(ug/ml) 0.06 0.06 0.06 0.06
관찰 결과, 100 ℃에서 그 성분이 변하지 않았으며,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에 대한 항균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산도에 의한 안정성 실험
심한 상처 및 화상 치료 시 발생하는 진물 등으로 인한 산도 변화에 따른 봉독의 성분 및 약리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봉독의 산도를 pH 2, 5 및 10 에서의 성분의 변화와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분 산도 (pH)
2 5 9
MIC(ug/ml) 0.06 0.06 0.06
관찰 결과, 본 발명의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은 산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감마선 조사에 의한 안정성 실험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모든 소재는 멸균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0, 3 및 5 KGy 감마선을 조사한 후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성분변화 및 효과를 관찰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 표 5와 같았다.
구분 감마선 (KGy)
0 3 5
MIC(ug/ml) 0.06 0.06 0.512
관찰 결과, 5 KGy에서 항균력이 다소 감소하였지만, 본 발명의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은 감마선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봉독의 독성 시험
봉독에 대한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봉독 0.5 ~ 5 mg/kg을 24 마리의 생쥐에게 복강 내 투여하여 행동 관찰 후 24 시간 생존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봉독을 2 ~ 3 mg/kg을 투여한 생쥐 6 마리 중 3 마리가 생존하고 나머지 3 마리는 희생당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1 mg/kg 미만의 용량을 투여한 생쥐의 경우는 모두 생존하였으며, 행동 관찰상 약물을 투여하지 않았던 생쥐와 비교하여 통계학상의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할 때, 생쥐에서 봉독의 대략적인 반수가 생존할 독성 용량은 2.5 mg/kg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6 : 봉독의 피부자극 측정시험
본 발명의 봉독의 피부자극 정도는 다음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봉독 0.01 ~ 20 ㎍/㎖를 함유하는 패취제를 제조하고 그 시료를 생쥐 20 마리에게 1 마리 당 찰과피부 2개소와 비찰과피부 2 개소로하여 찰과피부 1 개소와 비찰과피부 1 개소에 각각 패취 1 개씩을 1 회 도포하였으며, 무처치 대조구에는 처치하지 않고 그대로 도포하였다. 도포 후 적용부는 가제로 덮은 후 비자극성 테이프로 잘 고정하여 24 시간 적용시켰다. 적용 종료 후에는 미온수를 이용해 도포부를 가볍게 세정해 주었다. 시험물질 적용 종료 후 적용의 패취를 제거하여 24 시간 및 72 시간째에 홍반과 부종형성 등의 자극성 유무를 관찰하였다. 피부반응의 평가는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기준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결과에 대한 자극성의 정도 판정은 다음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드레이즈(Draiz)의 P.I.I.(Primary Irritation Index)의 산출방법에 따랐다.
피부자극정도(P.I.I.) 자극 구분
< 2 저자극(Midly irritating)
2 ~ 5 중자극(Moderately irritating)
>5 심한 자극(Severely irritating)
24 시간 동안 동물피부에 조성물을 부착하여 홍반(erythema)과 부종(edema)을 평가하여 P.I.I(Primary irritation in dex) 값으로 피부자극의 정도를 수치화하여 그 값이 0 이면 무자극(non irritating), 2 이하이면 저자극(mildly irritating), 2 ∼ 5 사이이면 중자극(moderately irritating), 5 이상이면 심한자극(severely irritating)으로 평가하여 2 이하의 값을 가지는 조성물만이 경피투여용 조성물로 선택될 수 있다.
관찰 결과, 봉독을 0.01 ~ 20 ㎍/㎖ 투여한 생쥐 10 마리의 P.I.I. 평균값은 2.1이었고, 봉독을 0.01 ~ 10 ㎍/㎖ 투여한 생쥐 10 마리의 평균 P.I.I의 평균값은 약 0.4로 봉독을 10 ㎍/㎖ 미만으로 함유한다면 피부에 자극이 없으리라 판단된다.
제제예 1 : 드레싱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봉독 0.1 g과 알긴산염 1 g을 골고루 혼합하고, 증류수 5 ml를 넣어 잘 섞은 후, 60 ℃ 온도의 핫플레이트 상에서 투명해질 때까지 잘 섞고 유리판으로 옮겨 유리막대를 이용하여 얇게 펴주었다. 이때, 봉독과 알긴산염 및 물의 비율은 치료하고자하는 상처 또는 화상 부위, 상태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며, 드레싱의 크기, 두께, 공극 등은 어떠한 형태로든 제조 가능하다. 또한, 알긴산염을 대신하여 히알루론산 등과 같은 통상의 젤 매트릭스 재료가 사용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드레싱은 도 5와 같다.
제제예 2 : 연고제의 제조
상기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연고제를 제조하였다.
[조성]
봉독 1.0 중량%, 밀납 10 중량%, 폴리솔베이트-60 5.0 중량%, 피이지-60 경화피마자유 2.0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 바셀린 5.0 중량%, 유동파라핀 10.0 중량%.
제제예 3 : 패취제의 제조
상기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패취제를 제조하였다.
[조성]
봉독 1.2 중량%, 헥실렌글리콜 20.0 중량%, 디에킬아민 0.7 중량%, 폴리아크릴산 1.0 중량%, 아황산나트륨 0.1 중량%,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1.0 중량%, 폴리히드록시에틸렌세틸스테아릴에테르 1.0 중량%, 점성의 파라핀 오일 2.5 중량%, 카프릴산에스테르/카프르산에스테르 2.5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400 3.0 중량%, 탈이온수 100 중량%.
제제예 4 : 화장품의 제조
상기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조성]
유효성분 1 mg, 글리세린 3.0 mg, EDTA 0.05 mg, 벤조페논-9 0.04 mg,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0.2 mg, 트리에탄올아민 0.18 mg, 옥시도테세스-25 0.6 mg,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0 mg, 방부제 0.01 mg, 향료 0.01 mg, 정제수 잔량.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은 세포 재생이 뛰어나고 주름 및 노화 방지에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담체(carrier), 부형제(forming agent), 희석제(dilute) 등과 혼합하여 연고, 드레싱의 피부외용제 또는 화장품을 제공하여 피부 질환 및 외상으로 고통 받는 환자의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도 1 A는 피부세포인 HDF(Human Dermal Fibroblast)에 인위적으로 상처를 낸 후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을 처리했을 경우의 세포 재생 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1 B는 피부세포인 HDF에 인위적으로 상처를 낸 후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을 처리했을 경우의 콜라겐 생성 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1 C는 피부세포인 HDF에 인위적으로 상처를 낸 후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을 처리했을 경우의 세포성장인자인 EGF의 생성 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1 D는 피부세포인 HDF에 인위적으로 상처를 낸 후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을 처리했을 경우의 세포성장인자인 VEGF의 생성 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2 A는 피부세포인 HDF에 자외선 조사(UVA, UVB)로 인한 화상 후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을 처리했을 경우의 콜라겐 생성 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2 B는 피부세포인 HDF에 자외선 조사(UVB)로 인한 화상 후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을 처리했을 경우의 노화 및 주름생성인자인 MMP-1과 MMP-3 억제의 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피부세포인 HDF에 상처 또는 자외선 조사(UVB) 전 , 후 그리고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을 처리했을 경우와 무처리구 세포의 형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채취 직후 봉독을 100 ℃에서 12 시간 중탕한 후, pH 2 및 pH 9로 조정한 봉독, 감마선 조사(3 KGry) 후 봉독에 대한 액체크로마토그래피 성분을 분석 한 그림이다.
도 5는 제조예에서 제조한 봉독을 함유한 알긴산 드레싱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시판봉독과 본 발명의 제제예에서 제조된 봉독의 주요 성분을 비교한 그림이다.

Claims (4)

  1.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드레싱제, 연고제 또는 패취제로 제형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
  3.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4.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 또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KR1020090028544A 2009-04-02 2009-04-02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 KR101099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544A KR101099550B1 (ko) 2009-04-02 2009-04-02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
GB0916573A GB2469154A (en) 2009-04-02 2009-09-21 Compositio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wounds and burns comprising bee venom as an active agent
JP2009218986A JP2010241786A (ja) 2009-04-02 2009-09-24 ハチ毒を有効成分とする創傷又は火傷治療用組成物
JP2012261417A JP2013060455A (ja) 2009-04-02 2012-11-29 ハチ毒を有効成分とする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544A KR101099550B1 (ko) 2009-04-02 2009-04-02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129A true KR20100110129A (ko) 2010-10-12
KR101099550B1 KR101099550B1 (ko) 2011-12-28

Family

ID=41278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544A KR101099550B1 (ko) 2009-04-02 2009-04-02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2010241786A (ko)
KR (1) KR101099550B1 (ko)
GB (1) GB246915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3178A1 (en) * 2012-01-04 2013-07-11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Method for purifying bee venom on mass scale
WO2014081255A1 (ko) * 2012-11-26 2014-05-30 (주)비센 봉독의 지용성 분획을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76176B1 (ko) * 2016-02-17 2018-07-09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봉독 추출물 함유 경피투과 패치
KR20190018337A (ko) * 2017-08-14 2019-02-22 한국 한의학 연구원 아파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풍성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9674772A (zh) * 2019-02-28 2019-04-26 大理大学 一种胡蜂针贴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06530B (zh) * 2012-12-20 2014-10-29 中国科学院南海海洋研究所 一种具有防晒功效的蜂毒组合物
WO2015025112A1 (en) * 2013-08-23 2015-02-26 Mitchell Deborah Composition for skin comprising queen bee veno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596246A1 (ru) * 1976-12-30 1978-03-05 Центральный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Курортологии И Физиотерапии Способ лечени послеожоговых келлоидных и каллезных рубцов
JP2809458B2 (ja) * 1989-04-13 1998-10-08 ヴェスパ・ラボラ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膜翅目昆虫毒、タンパク様あるいはポリペプチド成分、あるいはタンパク様あるいはポリペプチド成分のアナログを含む薬剤を用いた、哺乳類の感染症の処置に用いる方法および組成物
RU2051669C1 (ru) * 1991-02-27 1996-01-10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Цветень" Крем для кожи лица "медуница"
RU2140256C1 (ru) * 1997-06-10 1999-10-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й центр "Сибирская природная косметика" 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дидилия"
FR2775594B1 (fr) * 1998-03-06 2002-12-27 Oreal Utilisation d'un compose inhibant l'activite d'un canal sodium ou d'un canal calcium dans une composition a usage topique
AU6039199A (en) * 1998-09-14 2000-04-03 Pan Pacific Pharmaceuticals, Inc. Useful properties of a bee venom protein and gene encoding same
CN1274596A (zh) * 1999-05-20 2000-11-29 双柏县毒蜂养殖研究会 复方蜂毒搽剂及其制备方法
JP3989188B2 (ja) * 2001-04-27 2007-10-10 クリストファー・エム・キム 蜂針を用いない蜂毒療法
CN1704431A (zh) * 2004-06-04 2005-12-07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蜂毒肽及其应用
CN101305981A (zh) * 2008-07-11 2008-11-19 扬州三邦天然保健品有限公司 蜂肽焕颜洁面净肤膏及其制作方法
CN101305980A (zh) * 2008-07-11 2008-11-19 扬州三邦天然保健品有限公司 蜂肽焕颜紧致赋活眼霜及其制作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3178A1 (en) * 2012-01-04 2013-07-11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Method for purifying bee venom on mass scale
WO2014081255A1 (ko) * 2012-11-26 2014-05-30 (주)비센 봉독의 지용성 분획을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25018B1 (ko) * 2012-11-26 2014-08-01 (주)비센 봉독의 지용성 분획을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76176B1 (ko) * 2016-02-17 2018-07-09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봉독 추출물 함유 경피투과 패치
KR20190018337A (ko) * 2017-08-14 2019-02-22 한국 한의학 연구원 아파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풍성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9674772A (zh) * 2019-02-28 2019-04-26 大理大学 一种胡蜂针贴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9550B1 (ko) 2011-12-28
GB2469154A (en) 2010-10-06
JP2010241786A (ja) 2010-10-28
GB0916573D0 (en) 2009-10-28
JP2013060455A (ja)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9550B1 (ko)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
RU2571063C2 (ru) Полисахарид семени тамаринда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лечении микробных инфекций
Upadhyay et al. Ixora coccinea enhances cutaneous wound healing by upregulating the expression of collagen and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US20100003311A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US20110301118A1 (en) Methods of treatment utilising glucan formulations
KR101790618B1 (ko) 염증 질환의 치료에서의 사용을 위한 타마린드 씨 다당류
US20170072024A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a carbohydrate, glucose oxidase and zinc oxide
CN107670027B (zh) 治疗皮肤病况的组合物和方法
US20200405637A1 (en) Oil-based wound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De Silva et al. “Smart” polymer enhances the efficacy of topical antimicrobial agents
KR20150134325A (ko) 국소 항균 피부과용 조성물
JP6026540B2 (ja) 種々の原因の末梢性潰瘍の治療用組成物
CN104474536A (zh) 仙鹤草鲜药治疗创伤伤口制剂
CN112334142A (zh) 包含β-葡聚糖、甘氨酸及4′,6,7-三甲氧基异黄酮的创伤治疗或皮肤活性用药学组合物
US10722535B2 (en) Compositions derived from Cohn fraction paste and use thereof
US20160367605A1 (en) Healing composition and use thereof
RU2404745C2 (ru) Гидрофильна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ожогов (варианты)
CN111714396A (zh) 一种含依克多因的组合物及其在激光美容中的应用
EP3806883B1 (en) Enhancement of antibacterial actions of a depsipeptide antibiotic using synergistic amounts of boric acid
KR20220059777A (ko) 뱀독 첨가에 의한 숙성된 밍크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
Eyarefe Healing potentials of Nigerian bee propolis on met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ed skin wound of wistar rats
US10905729B1 (en)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wound treatment
RU2781402C2 (ru) Ниосомальный антимикробный гель для лечения диабетических язв, ран, ожогов, в том числе инфицированных антибиотико-резистентными микроорганизмами
EP4070798A1 (en) Chronic wound healing composition and application thereof
RU2697255C1 (ru) Ранозаживляющий гель с хлоргексидином биглюконатом для лечения животных с повреждениями кож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