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0041A - 모터의 원심스위치구조 - Google Patents

모터의 원심스위치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0041A
KR20100110041A KR1020090028406A KR20090028406A KR20100110041A KR 20100110041 A KR20100110041 A KR 20100110041A KR 1020090028406 A KR1020090028406 A KR 1020090028406A KR 20090028406 A KR20090028406 A KR 20090028406A KR 20100110041 A KR20100110041 A KR 20100110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r
slider
motor
sliding contact
movabl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8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0041A/ko
Publication of KR20100110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00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7/00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Asynchronous induction generators
    • H02K17/02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 H02K17/30Structural association of 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with auxiliary electric devices influenc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tor or controlling the motor, e.g. with impedances or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7/00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Asynchronous induction generators
    • H02K17/02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 H02K17/12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for multi-phase current
    • H02K17/14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for multi-phase current having windings arranged for permitting pole-chan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상기동형 모터의 기동을 위한 원심스위치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마찰이 주로 일어나는 칼라의 외형을 돌극형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가동레버의 슬라이딩 접촉부와의 마찰을 감소시킴으로써 원심스위치의 수명이 향상되어 모터 및 해당제품의 수명 및 신뢰성을 확보함에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모터의 원심스위치 구조는 모터의 샤프트에 축결합해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그 직경이 확대된 칼라(Collar)가 형성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칼라에 접촉해서 하우징의 내부의 주권선과 보조권선을 개폐하도록 장착된 스프링 스위치와, 일측은 상기 슬라이더의 칼라에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스프링 스위치에 접촉되며 스프링에 탄성지지되어 상기 칼라의 가압상태에 따라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힌지 결합된 가동레버와, 상기 가동레버가 회동하면서 상기 스프링 스위치의 개폐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가 삽입매몰되어서 고정되는 고정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모터,원심스위치,슬라이더,마찰

Description

모터의 원심스위치구조 { Structure of Centrifugal Switch for Motor }
본 발명은 모터의 원심스위치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터의 원심스위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돌극형 형상을 가진 칼라가 형성된 원심스위치내의 슬라이더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칼라와 가동레버의 모터의 원심스위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사용전원에 따라 직류모터 및 교류모터로 구분되며, 상기 교류모터에 유도모터,동기모터 및 정류자모터 등이 있으며, 유도모터는 다시 3상유도모터와 단상유도모터로 구분된다.
그중에서도 유도(Induction)모터는 교류모터의 일종으로서 에어컨,냉장고,세탁기 등의 가전제품의 구동을 위해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도모터는 고정자(Stator,이하 스테이터)와 회전자(Rotor 또는 Armature, 이하 회전자)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며, 스테이터의 권선(Coil)에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회전 자기장(Rotating Magnetic Field)에 의해서 회전자에 회전토크(Torque)가 발생하는 원리로 작동하며, 상기 토크에 의해 회전자가 회전하는 힘을 회전동력으로 이용하게 된다
상기 유도모터에서 상기 스테이터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자의 축중심에 압입되어 상기 회전자가 회전함에 따라, 그 회전력을 소정의 장치 등에 전달하는 회전축(Shaft)이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도모터는 회전자의 권취 형태에 따라서 구리나 알루미늄 환봉이 회전자 도체를 형성하는 농형 유도모터(Squirrel Cage Induction Motor)와, 회전자에도 스테이터와 마찬가지로 권취되어 있는 권선형 유도모터(Wound Rotor Induction Motor)가 있다.
일반적으로 유도전동기는 모터 하우징이나 프레임 등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자(Stator)와, 상기 고정자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위치하는 회전자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상기 회전자는 다수개의 타발 작업된 원형 강판에 형성된 회전자 코어의 외주면의 안쪽에 형성된 다수개의 슬롯 내부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도체바와 상기 각각의 도체바의 상,하 양단측에서 각 도체바와 일체로 결합하는 엔드링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단상유도모터는 일반적으로 그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며 단상전원을 얻기가 비교적 용이하나, 단상전원만으로는 위상각이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스스로 가동할수가 없어서 기동토오크를 발생하기 위해서는 캐패시터 (Capacitor) 나 원심스위치(Centrifugal Switch) 같은 기동장치를 이용해야만 한다.
특히 원심스위치를 이용해서 기동하는 방식인 분상기동형의 단상유도모터의 경우에 있어서, 기동에 있어서 보조권선(Sub. Coil)을 전기각 90˚의 위치의 위상각을 둠으로써, 기동후 동기속도의 75~80%에 도달하면 원심력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주권선(Main Coil)만으로 동작해 정상운전이 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원심스위치를 이용한 분상기동형모터의 경우, 그 구성부품중에서 모터의 샤프트와 축결합하는 슬라이더의 칼라와 접점스위치를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작동레버의 슬라이딩 접촉부간의 마찰로 인해서 상기 원심스위치의 수명이 좌우되게 되고, 결국 모터와 제품전체의 수명과도 직결되게 된다.
따라서, 모터 및 제품의 신뢰성 및 수명과 관련해서 원심스위치의 상기 슬라이더 칼라와 작동레버의 슬라이딩 접촉부간의 마찰로 인한 원심스위치의 손상 으로 인한 수명 및 신뢰성 문제가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의 원심스위치구조와 관련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극형 형상의 칼라를 구비한 슬라이더와 가동레버의 슬라이딩 접촉부를 구비한 모터의 원심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원심스위치구조는, 모터의 샤프트에 축결합해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그 직경이 확대된 칼라(Collar)가 형성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칼라에 접촉해서 하우징의 내부의 주권선과 보조권선을 개폐하도록 장착된 스프링 스위치와, 일측은 상기 슬라이더의 칼라에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판스프링 스위치에 접촉되며 스프링에 탄성지지되어 상기 칼라의 가압상태에 따라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힌지 결합된 가동레버와, 상기 가동레버가 회동하면서 상기 판스프링 스위치의 개폐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판스프링 스위치가 삽입매몰되어서 고정되는 고정홈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동레버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칼라와 접촉을 하는 슬라이딩 접촉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칼라 직경과 대응되는 곡률반경을 가지고 있으며, 돌극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의 칼라는 방사상으로 일정간격마다 홈이 형성되는 돌극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의 칼라와 상기 가동레버의 슬라이딩 접촉부는 방사상으로 일정간격마다 홈이 형성되는 돌극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레버의 슬라이딩 접촉부의 각 돌극의 양 모서리가 라운드(Round)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의 칼라에 형성된 각 돌극의 양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 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레버의 슬라이딩 접촉부의 각 돌극의 양 모서리가 모따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의 칼라에 형성된 각 돌극의 양 모서리가 모따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원심스위치구조에 의하면, 모터의 샤프트와 축결합을 하고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기 슬라이더의 칼라와 상기 가동 레버의 슬라이딩 접촉부간의 접촉면적을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써 마찰면적을 최소화하여 마찰에 따른 마모현상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데 된다.
따라서, 마찰면적을 최소화하여 마모현상을 줄임으로써, 마모로 인한 접촉불량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스프링 스위치의 접촉불량으로 인한 문제를 해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발명에 의할때, 원심스위치의 수명이 향상되는 효과와 더불어, 모터과 적용제품의 수명이 향상되며, 신뢰성이 확보된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변경,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건조기 또는 세탁기용 모터(1)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종류의 모터(1)에 관해서도 모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1)를 구성하는 부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터(1)는 대략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하 브라켓(100,600)의 결합에 의해서 외형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모터(1)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원판형 형상의 얇은 강판을 적층해서 구성된 고정자 코어(미도시)의 안쪽의 원주상에 방사상으로 구비된 다수개의 슬롯(미도시) 내부를 인슐레이터(Insulator)(미도시)로 감싸서 절연을 한 다음에, 전원이 인가되면 자기장을 형성하는 마그넷 코일을 권취해서 구성된 고정자(300)가 가운데 위치한다.
상기한 고정자(300)의 속이 빈 내경부에는 회전자(미도시)가 위치한다.
상기 회전자(미도시)는 상기한 회전자 코어(미도시)와 동일한 두께를 가진 원통형상의 회전자 코어(미도시)를 적층한 후, 상기 회전자 코어(미도시)에 형성된 슬롯(미도시)의 내부공간에 금속 도체로 제조된 다수개의 도체바(260)가 구비되고, 상기 도체바(미도시)의 상,하측으로 엔드링(미도시)이 결합하여서 구성된다.
그런 다음에는 상기 회전자 코어(미도시)의 축중심에는 샤프트(200)를 축결합시키고, 상기 회전자 코어(미도시)의 상,하측으로 부터 이격된 거리에는, 원활한 회전운동을 위해서 베어링(Bearing)(미도시)을 구비하여서 회전자(미도시)를 구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자(미도시)의 상측에는 상기 고정자(30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내부에 위치하는 모터(1) 구성부품을 외부 환경으로 부터 차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상측 브라켓(Bracket)(100)이 위치한다.
상기 상측 브라켓(Bracket)(100)은 상기 고정자(300)의 형상과 대응되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축중심에는 샤프트(20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샤프트 게이트(1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일측의 외주면상으로는 하측 브라켓(600)과의 스크류(Screw)(미도시) 결합을 위한 다수개의 보스(Boss)부(110)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자(300)의 하측에는 상기 상측 브라켓 (10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하측 브라켓(600)이 구비된다.
이렇게 구비된 하측 브라켓(600)은 상기 고정자(300)와 상기 회전자(미도시)를 외부환경으로 부터 보호하는 기능과 아울러 사용되는 제품상에 취부결합해서 고정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하측 브라켓(600)은 상기 상측 브라켓(10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상의 일측에는 상기 상측 브라켓(100)과의 결합을 위한 다수개의 보스(Boss)부(610)가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100,600)과 고정자(300)의 사이에는 모터의 운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모터(1)의 운전열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팬(400)이 상기 샤프트(200)와 축결합을 통해서 구비된다.
상기 상,하측 브라켓(100,600)은 외부환경으로 부터 내부 구성부품들을 보호하기 위해서 일정한 강도와 내구성을 필요로 하므로, 그 재질은 알루미늄,철판 또는 강화 플라스틱 등이 사용된다.
이렇게 구비된 구성 부품들이 상기 상,하측 브라켓(100,6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한 보스부(110,610)를 다수개의 스크류(미도시)를 이용해서 결합,고정된다.
상기 고정자(300)에 권취된 마그넷 코일의 일측과 결선된 하나 이상의 리드와이어 끝단에 연결된 터미널단자(546)는 상기 상,하측 브라켓(100,600)의 일측에 부착된 원심스위치(500)의 고정부에 구비된 상대 터미널단자(546)에 결합한다.
상기 원심스위치(500)는 일정한 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서 보조권선에서 주권선으로 회로구성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렇게 구성된 모터(1)의 샤프트(200)의 일측단에 사용제품에서 필요로 하는 부하가 연결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회전자(미도시)의 회전운동을 통해서 필요로 하는 동력이 제품으로 전달된다.
도 2는 상기 원심스위치(500)와 모터(1)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고정자(300)의 내경부에는 상기 회전자가 위치하고, 상기 회전자의 내경과 축결합해서 상기 회전자의 상하 양측으로 돌출된 상기 샤프트(200)의 일측과 상기 원심스위치(500)의 슬라이더(520)(Slider)가 축결합을 통해서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더(520)는 크게 슬라이더(520)와 한쌍의 원심추(526) 그리고 상기 한쌍의 원심추(526)가 상호 이탈하지 아니하고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한쌍의 스프링(52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520)의 외경부에는 가동 레버(541)와 직접 접촉을 하게되는 칼라(522)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상하 브라켓(100,600)의 일측에 고정,부착되고 상기 슬라이더(520)의 칼라(522)와 접촉을 하게 되는 가동 스위치(540)가 구비된다.
상기 가동 스위치(540)는 다수개의 판스프링 스위치(542)와 이를 수용하는 하우징(543)과 상기 하우징(543)에는 상기 판스프링 스위치(542)가 수용되는 고정홈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43)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더(520)의 칼라(522)에 의해서 동작되는 가동 레버(541)가 구비된다.
상기 가동 레버(541)의 끝단에는 상기 슬라이더(520)의 칼라(522)와 마찰 접촉을 하게 되는 슬라이딩 접촉부(548)가 구비된다.
도 3 은 원심스위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는 원심스위치의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모터(1)의 샤프트(200)와 축결합을 하는 원판형 형상 을 가진 슬라이더(520)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더(520)의 외경부에는 상기 가동 스위치(540)의 가동 레버(541)와 접촉하는 상기 칼라(522)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더(520)의 상측에는, 상기 가동 스위치(540)가 위치한다.
상기 가동 스위치(540)는 다수개의 판스프링 스위치(542)가 상호 연결되어서 위치하고, 상기 판스프링 스위치(542)가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판스프링 스위치(542)와 고정홈은 소정의 내부공간을 갖즌 하우징(543) 내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543)에 의해서 외부환경으로 부터 차폐되고, 이물질이나 오염 등으로 부터 보호된다.
상기 하우징(543)에 힌지결합되는 힌지축(549)을 기준으로 하우징(543)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칼라(522)와 접촉되도록 슬라이딩 접촉부(548) 및 하우징(543)내측으로 돌출된 접점작동부(545)로 이루어진 가동 레버(541)가 구비된다.
상기 가동 레버(541)는 상기 접점작동부(545)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547)과, 그 일측이 권선단자에 연결되도록 고정되고 탄성을 갖도록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접점작동부(545)에 근접하도록 장착된 판스프링 스위치(542)가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판스프링 스위치(542)는 상기 가동 스위치(540)의 타측단에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판스프링 스위치(542)와 도체 연결된 권선단자에 각각 연결된 다.
그리고, 상기 접점작동부(545)의 끝단부에는 상기 각 판스프링 스위치(542)가 개폐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가압하기 위해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가압돌부(544)가 각각의 판스프링 스위치(542)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원심스위치가 작동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모터(1)의 회전자와 축결합된 샤프트(200)의 정지시에는 상기 원심추(526)가 스프링(524)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샤프트(200)에 인접하게 초기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더(520)는 가이드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가동 레버(541)의 슬라이딩 접촉부(548)는 상기 칼라(522)에 의해서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접점작동부(545)의 끝단에 형성된 상기 각각의 가압 돌부가 상기 각각의 판스프링 스위치(542)를 가압하여 그 끝단부가 각각 연결된 권선단자에 연결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각 권선에 전원이 인가되어서 상기 모터(1)의 회전자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모터(1)의 회전속도가 동기속도 대비 대략 70~80%에 다다르게 되면, 상기 원심추(526)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상기 스프링(524)의 인장력보다 커지게 된다.
이때, 상기 원심추(526)의 일측은 가이드를 따라서 외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더(520)와 상대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타측은 가이드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더(520)는 모터(1)의 샤프트(200)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가이드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동 레버(541)의 슬라이딩 접촉부(548)를 가압하고 있던 상기 칼라(522)가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548)의 가압상태가 해지되고, 상기 접점작동부(545)를 탄성지지하던 상기 스프링(547)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가동 레버(541)가 회동하게 된다.
상기 가동 레버(541)가 회동하면서, 상기 접점작동부(545)의 끝단에 형성된 각각의 가압돌부(544)도 상기 각각의 판스프링 스위치(542)의 가압상태를 해지하게 되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가동 레버(541)가 장착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각 판스프링 스위치(542)는 각각의 권선과 연결상태가 바뀌게 된다. 즉, 보조권선과의 연결상태가 오프상태로 바뀌면서, 주권선과의 연결상태로 변경되면서, 주권선에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서만 상기 모터(1)의 샤프트(200)가 회전을 하는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도 5는 원심스위치의 슬라이더(520)의 칼라(522)와 가동 레버(541)의 슬라이딩 접촉부(548)간의 작동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원심스위치는 상기 모터(1)가 회전할 때 상기 원심추(526)가 일정한 회전수 이상에서 원심력에 의해서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이를 잡아당기는 상기 스프링(524)이 잡아당기는 상태로 있다가, 상기 모터(1)의 작동이 멈추면 스프링(524)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원심추(526)가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장시간 사용시 상기 슬라이더(520)의 칼라(522)와 상기 가동 레버(541)의 슬라이딩 접촉부(548)간의 마찰로 인한 접촉면의 마모가 발생하게 되어서 상기 판 스프링 스위치(542)의 접촉불량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도 6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스위치의 슬라이더(520)의 칼라(522)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상기 슬라이더(520)의 칼라(522)와 상기 가동 레버(541)의 슬라이딩 접촉부(548)간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칼라(522)를 가진 슬라이더(520)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슬라이더(520)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더(520)의 직경이 확장되어서 원판형 형상을 가진 칼라(522)가 구비된다.
상기 칼라(522)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진 원판형 형상을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칼라(522)의 외주면 상에 돌극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칼라(522)의 외주면상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거리마다 외주면상에 홈이 형성된 돌극형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각 돌극의 양 모서리 부분은 모따기 처리가 되거나 라운드(Round)처리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1)가 일정속도 이상으로 회전을 하는 경우 원심력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칼라(522)로 부터 상기 가동 레버(541)의 슬라이딩 접촉부(548)가 이탈될 때, 그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기 칼라(522)부의 외경보다 점차 감소하는 외경을 가지도록 라운드 처리되거나 혹은 모따기 처리가 된다.
상기 슬라이더(520)의 칼라(522)는 상기 모터(1)의 샤프트(200)와 축결합을 위해서 상기 샤프트(200)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가진 축결합부가 있고, 상기 축결결합부에는 상기 샤프트(200)와 결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축의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칼라(522)는 상기 축결합부와 다수개의 리브에 의해서 연결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슬라이더(520)의 칼라(522)는 상기 가동 레버(541)의 슬라이딩 접촉부(548)와의 접촉면적을 현저하게 줄이게 되어서 마찰로 인한 마모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모터의 구성 사시도이다.
도 2는 원심스위치와 모터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원심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원심스위치의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원심스위치의 슬라이더의 칼라와 가동 레버의 슬라이딩 접촉부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스위치의 슬라이더의 칼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모터 100 상측 브라켓
120 샤프트 게이트 200 샤프트
300 고정자 400 팬(Fan)
500 원심스위치 520 슬라이더
522 칼라 524 스프링
526 원심추 540 가동 스위치
541 가동 레버 542 판스프링 스위치
543 하우징 544 가압돌부
545 접점작동부 546 터미널단자
547 힌지축 548 슬라이딩 접촉부
600 하측브라켓

Claims (8)

  1. 모터의 샤프트에 축결합해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그 직경이 확대된 칼라(Collar)가 형성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칼라에 접촉해서 하우징(543)의 내부의 주권선과 보조권선을 개폐하도록 장착된 판스프링 스위치와,
    일측은 상기 슬라이더의 칼라에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판스프링 스위치에 접촉되며 스프링에 탄성지지되어 상기 칼라의 가압상태에 따라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힌지 결합된 가동레버와,
    상기 가동레버가 회동하면서 상기 판스프링 스위치의 개폐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판스프링 스위치가 삽입매몰되어서 고정되는 고정홈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원심스위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레버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칼라와 접촉을 하는 슬라이딩 접촉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칼라 직경과 대응되는 곡률반경을 가지고 있으며, 돌극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원심스위치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칼라는 방사상으로 일정간격마다 홈이 형성되는 돌극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원심스위치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칼라와 상기 가동레버의 슬라이딩 접촉부는 방사상으로 일정간격마다 홈이 형성되는 돌극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원심스위치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레버의 슬라이딩 접촉부의 각 돌극의 양 모서리가 라운드(Round)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원심스위치구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칼라에 형성된 각 돌극의 양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원심스위치구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레버의 슬라이딩 접촉부의 각 돌극의 양 모서리가 모따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원심스위치구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칼라에 형성된 각 돌극의 양 모서리가 모따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원심스위치구조.
KR1020090028406A 2009-04-02 2009-04-02 모터의 원심스위치구조 KR201001100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406A KR20100110041A (ko) 2009-04-02 2009-04-02 모터의 원심스위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406A KR20100110041A (ko) 2009-04-02 2009-04-02 모터의 원심스위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041A true KR20100110041A (ko) 2010-10-12

Family

ID=43130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406A KR20100110041A (ko) 2009-04-02 2009-04-02 모터의 원심스위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00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717B1 (ko) * 2012-09-21 2014-02-26 주식회사 로텍 속도 감응식 슬립링
KR20190101716A (ko) * 2018-02-23 2019-09-02 뉴모텍(주) Bldc 건조기 모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717B1 (ko) * 2012-09-21 2014-02-26 주식회사 로텍 속도 감응식 슬립링
KR20190101716A (ko) * 2018-02-23 2019-09-02 뉴모텍(주) Bldc 건조기 모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2786B1 (ko) 모터의 절연구조
KR20100110041A (ko) 모터의 원심스위치구조
CN106921246B (zh) 内转子型电机
KR100688158B1 (ko) 두 개의 회전자를 갖는 전동기
RU2421865C1 (ru) Однофазный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ь
EP3688864B1 (en) Variable reluctance actuator
KR102176372B1 (ko) 권선 절환 가능한 전동기
EP0049986A1 (en) Electric motor
KR100438626B1 (ko) 단자대를 구비한 아웃터 로터 타입 단상 유도 전동기
CN111354597B (zh) 用于中压断路器的致动器
CN112671137A (zh) 一种无刷电机
KR100619783B1 (ko) 역회전 방지기능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덕션모터
US11658530B2 (en) Modular brushless DC (BLDC) motor construction
KR101784110B1 (ko) 비엘디씨 모터
CN210327343U (zh) 食物垃圾处理器及低型分马力dc有刷马达
KR200191760Y1 (ko) 팬과 원심 스위치가 일체로 형성된 단상 전동기
KR100315085B1 (ko) 로터리/리니어 유도전동기
RU2249293C1 (ru) Торцовая электрическая асинхронная машина
RU2267855C2 (ru)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ь
CN106257805B (zh) 低压直流电机、吸尘器滚刷及家用电器
EP3671795A1 (en) Actuator for a medium voltage circuit breaker
KR200175866Y1 (ko) 모터의 보빈
KR200175867Y1 (ko) 모터의 보빈
Appleby Single-phase Motors
JPH11113230A (ja) 2極同期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