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9898A - 치아 교정기 - Google Patents

치아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9898A
KR20100109898A KR1020107012249A KR20107012249A KR20100109898A KR 20100109898 A KR20100109898 A KR 20100109898A KR 1020107012249 A KR1020107012249 A KR 1020107012249A KR 20107012249 A KR20107012249 A KR 20107012249A KR 20100109898 A KR20100109898 A KR 20100109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braces
arrangement
tooth
misalig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2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9655B1 (ko
Inventor
조셉 진티
Original Assignee
클리어스마일 홀딩스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07906489A external-priority patent/AU2007906489A0/en
Application filed by 클리어스마일 홀딩스 피티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클리어스마일 홀딩스 피티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109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배열의 교정을 위한 치아 교정기(20)에 관한 것이다. 치아 교정기(20)는 치열궁에 안착되는 몸체(22)를 포함한다. 몸체(22)는 적어도 일부분이 탄성 변형가능하고 치열궁에 탄성 변형되면서 안착되는 안착 상태를 가진다. 몸체(22)는 치열궁에 안착될 때 탄성 변형에 의해 교정력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에 적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몸체(22)는 각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가 교정하는 방향으로 치아의 치관 아랫 부분 또는 인접 부분에 교정력이 적용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치아 교정기{A dental appliance}
본 발명은 치아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의 배열을 교정하는 치아 교정기 및 치아 교정기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치아의 배열을 교정하는 치아 교정기를 성형하는 방법 및 치아 배열을 교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아 교정기와 같은 치과 또는 치과 교정 기기는 치아의 배열을 교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기들은 많은 환자들, 특히 성인들에 의해 보기 좋지 않은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치아 교정기의 알려진 대체품으로는 환자의 아치형 치아에 착용되는 마우스 가드(Mouthguard)와 같이 치아에서 제거할 수 있는 기기 등이 있다. 이러한 기기 타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이 되고, 어긋난 배열의 치아를 포함한 아치 형상의 치아에 착용될 때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설계된다. 탄성 변형이 된다는 장점에 의해 기기는 어긋난 배열의 치아에 교정력을 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타입의 치아 교정기는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지므로, 치아 교정기는 환자의 외모에 심미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교정기를 구성하는 물질 때문에, 단일의 교정기에 의해 치아의 교정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다수의 순차적인 치아 교정기(e.g. 40)가 치아 배열을 교정하는 데에 요구되고, 특히 중요한 교정이 필요한 부분에 요구된다. 이러한 타입의 치아 교정기의 또 다른 장점은 치아 교정기의 구성이 치아 교정기가 자연스럽게 올바르게 치열궁에 안착될 수 없는 성질을 가진다는 점이다. 치아 교정기가 치열궁에 올바르게 안착되도록 힘을 가할 때, 한편으로 치아 교정기에 손상이 갈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환자의 잇몸조직에 이상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아 교정기에 의해 치아에 가해지는 과도한 힘은 잇몸뿌리의 흡수를 가져올 수 있고, 어떠한 경우네는 치아에 피가 공급되는 것을 제한할 수도 있다. 또한, 치아의 변색으로 치아의 생명력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치아 교정기가 치열궁에 올바르게 안착되도록 하고 치아에 적절하게 힘을 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치아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치아의 치열궁에 안착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탄성 변형되며, 상기 치열궁에 안착될 때 탄성 변형이 일어나면서 안착되는 상태를 가지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치열궁에 안착될 때 탄성 변형에 의한 교정력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에 가하는데, 상기 교정력은 각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치관 아랫 부분 또는 인접 부분에 가해져 각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가 교정되도록 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에는 치아가 수용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안착된 상태로 탄성 변형되는 안착 전 상태를 가지는데,
상기 홈은 상기 몸체가 안착 전 상태일 때 배열 후 위치에서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수용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배열 전 위치에서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홈은 요구되는 배열 후 위치와 배열 전 위치에서 어긋난 배열의 치아를 동시 수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는 안착된 상태에서, 배열 전 위치와 요구되는 배열 후 위치에서 각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치관을 동시 수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치아 교정기는 제거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치아 교정기는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치아 교정기는 전부분이 투명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치아 교정기는 구강 내 사용에 적합한 물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치아 교정기는 상기 홈이 적어도 대부분의 치열궁을 수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치아 교정기는 상기 홈이 모든 치열궁을 수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은, 상기 몸체가 안착 전 상태와 안착 상태에 있을 때 치아의 현재 위치에서 교정이 요구되지 않는 배열의 치아를 수용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치열궁의 일반적인 윤곽을 따르는 껍질 형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는 치열궁의 윤곽을 따르는 상대적으로 얇은 벽으로 둘러싸인 껍질 형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는 단면으로 보았을 때 윗니에 사용될 경우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아랫니에 사용될 경우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는, 치아의 혀면과 연결되는 혀부와; 상기 치아의 얼굴면과 연결되는 얼굴부; 및 상기 혀부와 얼굴부를 연결하고 치아의 단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가 안착 전 상태로부터 안착 상태로 변형될 때, 어긋난 배열의 치아와 연결된 혀부와 얼굴부의 일부분은 상기 연결부에 대하여 상기 혀부와 연결부의 다른 하나로부터 떨어져서 탄성 변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긋난 배열의 치아와 연결된 상기 연결부의 일부는, 치아가 배열 전 위치와 요구되는 배열 후 위치에 있을 때 각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단부를 충분히 넓게 동시에 커버함으로써, 어긋난 배열의 치아를 포함한 치열궁에 상기 치아 교정기의 올바른 안착을 허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치열궁에 안착된 치아 교정기와 함께 각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에 작용하는 교정력은 상기 혀부와 얼굴부 중의 어느 하나가 탄성 변형됨에 의해, 치관의 아래 부분 또는 인접 부분에 적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혀부와 얼굴부를 가진 소성 변형가능한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혀부와 얼굴부는 서로 마주하며, 상기 혀부와 얼굴부 중에 어느 하나는 다른 어느 하나로부터 떨어져서 탄성 변형이 가능하고, 두 부분 사이에 수용되는 아치 형상의 치아와 함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를 가진 치열궁에 상기 몸체의 안착을 허용함으로써,
상기 몸체의 탄성 변형가능한 부분은 상기 혀부와 얼굴부 중 다른 어느 하나를 향해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에 교정력을 적용하고, 상기 몸체의 변형가능한 부분은 교정력이 적용됨에 의하여 상기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치관 하부에 상기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치관 상부에 가해지는 힘을 넘어서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 번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를 가진 치열궁에 안착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치열궁에 안착될 때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이동을 위한 아치 형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에 교정력을 적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치아 교정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에 1mm 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네 번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를 가진 치열궁에 안착되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치열궁에 안착될 때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해 강한 교정력이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치관 상부보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치관 하부에 강한 교정력을 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를 가진 치열궁에 안착되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치열궁에 안착될 때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해 교정력이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치관 하부에 아치 형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에 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여섯 번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각각은 안착 전 상태와 안착 상태를 가지고, 치아 배열을 점진적으로 교정하기 위해 연속하여 사용되는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수개의 치아 교정기를 포함한다.
상기 홈에 의해 각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치관 하부의 수용까지 영향을 미치는, 하나의 치아 교정기 몸체의 안착 전 상태는 세트에서 다음의 치아 교정기 몸체의 안착 상태와 대응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곱 번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각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요구되는 배열 후 위치를 포함하는 배열 전 위치에서 치열궁의 3차원 표현을 조작하는 단계; 및 조작된 3차원 표현의 치열궁에 기초하여 치아 교정기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3차원 표현의 조작은 각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버려진 부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조작된 표현은 배열 전 위치에서의 각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일부분과 배열 후 위치에서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전부분을 표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된 모델은 어긋난 위치에서의 각각의 치아의 상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형 방법은 상기 3차원 표현의 조작 이전에, 배열 전 위치에서의 치열궁의 3차원 표현을 창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차원 표현은 X-ray와 같은 사진에 의해 창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차원 표현은 디지털 방식으로 창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차원 표현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모델의 형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차원 표현은 수동으로 창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차원 표현은 물리적 모델의 형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치아 교정기 세트를 성형할 때, 각각의 치아 교정기를 성형한 후에 3차원 표현을 조작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여덟 번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치관 하부에 탄성 변형가능한 치아 교정기에 의하여 교정력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교정 방법은 하나의 치아보다 많은 치아의 배열을 동시에 교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 변형가능한 치아 교정기가 치열궁에 올바르게 안착되어 치아를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고, 치열궁에 안착될 때 탄성 변형에 의해 교정력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에 적용되어 치아에 무리를 주지 않고 교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기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치아 교정기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환자의 치열궁 하부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치열궁의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 2를 중첩한 것을 보인 도면.
도 6 내지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치아의 배열을 교정하는 동안에 변화되는 단계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면을 참조하면, 치아 배열의 교정을 위한 치아 교정기의 도면 부호는 20번으로 지정되었다. 상기 치아 교정기(20)는 일반적인 방식의 마우스가드(mouthguard)와 같이 치아의 치열궁(齒列弓; an arch of teeth, 치아를 포함한 잇몸뼈)에 필요에 따라 안착되고 제거될 수 있는 기기이고, 치아의 어긋남을 교정하기 위해 탄성을 가진다. 이하에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되겠지만, 상기 치아 교정기(20)는 치아의 교정이 요구되는 치아의 특정 세트에 따라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치아 교정기(20)는 치아 교정기(20)가 치열궁에 안착될 때 수용하는 홈(24)이 형성된 가늘고 긴 몸체(22)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투명하고 얇은 벽으로 둘러싸인 껍질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치열궁의 형상(아치 형상)에 대응된다. 상기 치아 교정기(20)는 도면에 도식적으로 나타나 바와 같이 치열궁의 형상을 가진다. 이 점에 있어서, 단면도로 보았을 때 상기 몸체(22)는 치아의 형상에 의해 후치(posterior teeth)와 연결된 부분은 U자 형상을 가지고, 전치(anterior teeth)와 연결된 부분은 V자 형상을 가진다.
상기 몸체(22)는 혀부(26; lingual portion)와 얼굴부(28; facial portion) 및 상기 혀부(26)와 얼굴부(28)를 연결하는 연결부(30)를 포함한다. 상기 혀부(26), 얼굴부(28) 및 연결부(30)는 일체로 성형되므로, 상기 치아 교정기(20)는 일체형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몸체(22)의 홈(24)은 상기 혀부(26), 얼굴부(28) 및 연결부(30)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치아 교정기(20)의 도시된 실시예는 하부에 위치한 치열궁(아랫니 측)만 도시하였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몸체(22)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혀부(26)의 자유단과 얼굴부(28) 사이에 해당하는 단부는 상기 홈(24)으로 치아가 삽입되도록 개구된다. 상기 몸체(22)의 내면, 즉 상기 홈(24)을 둘러싼 면은 일반적으로 아치 형상의 윤곽을 가진다. 그래서, 도시된 것과 다르게, 상기 몸체(22)는 매끈하게 윤곽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환자의 두 개의 중심 아랫니(32,34)와 하나의 측면 아랫니(36)는 평면도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는 단지 치아의 윗부분만 도시한 것이고, 환자의 잇몸 부분은 생략되었다. 상기 치아(32,34,36)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하게 도시하도록 적용하였다. 어긋난 배열 상태인 중심 치아(32)는 도면에서 배열 전 위치는 점선으로 표시되었고, 배열 후 위치는 실선으로 표시되었다. 배열 전의 치아(32)는 환자의 입의 내부와 마주하는 혀면(32.1)을 가지고, 환자의 입의 외부와 마주하는 얼굴면(32.2)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상기 치아(34,36)는 도면부호 34.1, 34.2, 36.1, 36.2로 각각 지정된 혀면 및 얼굴면을 가진다. 상기 몸체(22)의 혀부(26)는 상기 혀면(32.1, 34.1, 36.1)과 연결되고 상기 얼굴부(28)는 상기 얼굴면(32.2, 34.2, 36.2)과 연결된다. 도면에서 보시다시피, 상기 치아(32)의 배열은 바깥 또는 얼굴 방향(화살표 38의 방향)으로 치아(32)를 이동시켜 상기 치아(34,36)에 관하여 교정이 필요하다.
상기 치아 교정기(20)는 구강내 사용에 적합한 물질로 구성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특히, 도시된 예에서, 어긋난 배열의 치아(32)와 연결된 혀부(26)는 적어도 일부분이 몸체(22)의 길이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술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몸체(22)는 치아에 안착 전 상태(도 2,5,10)를 가지고, 특히 상기 혀부(26)에 의하여 안착 상태(도 6)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치아 교정기(20)는 치열궁에 적절하게 안착된다. 안착 전 상태(도 5 참조)에서 상기 홈(24)은 배열 후 위치에 동시에 어긋난 배열의 치아(32)의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배열 전 위치에서 치아(32)의 치관(the crown of the tooth; 잇몸 밖으로 드러난 이의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수용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몸체(22)의 연결부(30)는 배열 전 위치와 배열 후 위치 모두에서 치아(32)의 끝부분을 충분히 넓게 동시에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몸체(22)가 안착 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혀부(26)는 상기 얼굴부(28)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안착 상태로 몸체(22)를 변형시키기 위해, 상기 혀부(26)는 연결부(30)에 대해 변형된다. 상기 몸체(22)의 개구된 하단은 안착 상태로 진행되면서 몸체(22)의 변형에 의해 넓혀진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치아 교정기(20)의 성형시에 배열 후 위치뿐만 아니라 어긋난 배열의 치아(32)의 배열 전 위치(점선으로 표시)도 고려된다. 특히, 상기 치아 교정기(20)의 성형시에 아치형의 치아의 3차원 표현은 각각의 치아의 현재 위치를 통해 만들어진다. 즉,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경우 배열 전의 위치를 고려하여 만들어진다. 그 다음에 3차원 표현은 배열 후 위치에서 아치형의 각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형상을 포함하도록 조작된다. 그리고, 배열 전 위치에서 각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하부를 버리거나 배제시킨다. 요구되는 배열 각도에 따른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배열 후 위치는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최종 요구 위치가 될 수 있다. 또는 중간 배열 위치가 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몸체(22)에는 홈(24)의 성형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홈(24)은 몸체(22)의 안착 전 상태에서 어긋난 배열의 치아(32)의 치관 단부를 동시에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배열 후 위치에서 치아(32)뿐만 아니라 배열 전 위치도 고려한다. 그리고, 상기 홈(24)은 상기 몸체(22)의 안착 후 상태에서 배열 전후 위치에서 치아(32)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표현은 물리적 모델의 형상이고, 상기 치아 교정기(20)의 성형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표현은 디지털 모델의 형상(컴퓨터 시뮬레이션 모델)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22)는 몸체(22)가 치열궁 쪽에 안착될 때, 안착 상태로 변형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2)의 탄성 구조로 인하여 상기 홈(24)은 배열 전 상태에서 어긋난 배열의 치아(32)를 수용한다. 치아의 배열이 교정됨으로써 치아(32)는 홈(24)의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치열궁에 상기 몸체(22)가 안착된 상태에서 얼굴부(28)는 얼굴면(34.2, 36.2)과 밀착된다. 차례로, 혀부(26)는 화살표 방향(38)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혀면(32.1)과 밀착된다. 특히 상기 치아(32)의 상단부 또는 상부는 홈(24)의 내면과 밀착된다. 상기 몸체(22)가 안착 전 상태로부터 안착 상태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상기 혀부(26)와 연결부(30) 사이의 변형 각도는 점차 증가한다. 상기 몸체(22)가 안착 전 상태로 돌아옴으로써, 상기 변형 각도는 점차 감소하고 상기 치아(32)는 배열 후 상태로 교정된다.
상기 치아(32)의 치관 아랫부분 또는 인접부분에 적용되는 교정력, 즉, 치아(32)의 단부에 반대방향으로 가해지는 강한 교정력에 의하여 상기 치아(32)는 전체가 배열이 교정된다.
치아의 어긋난 배열의 정도에 따라,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점진적인 교정을 제공하는 치아 교정기(20)가 연속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1mm 만큼 치아를 교정하는 것은 하나의 치아 교정기(20)에 의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트로 된 치아 교정기(20)는 하나의 치아 교정기(20)의 몸체(22)의 안착 전 상태는 다음의 교정기(20) 세트의 몸체(22)의 안착 상태와 대응된다. 즉, 상기 교정기(20)는 하나의 교정기(20)를 사용한 후에 사용될 수 있다.
치아 교정기의 성형에 대해 다시 간단하게 설명하면, 치아 교정기(20) 세트의 성형시에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중간 배열 위치는 고려되고, 상기 중간 위치는 다양한 치아 교정기(20)의 성형시에도 고려될 것이다. 즉, 치아 교정기(20)의 성형에 사용되는 모델은 각각의 치아 교정기(20)의 성형 후에 처리될 것이다.
이상에서는 아랫니의 전치 부분을 주로 설명하였지만, 윗니와 아랫니 중 어떠한 치아의 배열을 교정하는 것에도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에서는 치아(32)가 얼굴 또는 바깥 방향으로 교정된다고 설명하였지만, 상기 치아 교정기(20)는 치아(32)를 혀 또는 안쪽 방향으로 교정하는 데에도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사실, 어긋난 배열의 치아는 동시에 얼굴 및 혀 방향으로 각각 교정될 수 있다. 어긋난 배열의 병진 이동(혀 또는 얼굴 방향)을 다룬 본 실시예에도 불구하고, 치아 교정기는 치아의 회전 이동(치아의 종축에 대한 회전)에도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치아 교정기(20)는 치아를 측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고, 하나 또는 다수의 병진, 회전 및 측면 운동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치아 교정기의 특정한 구성 때문에,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중요한 이동이 하나의 치아 교정기의 사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치아에 적절하게 안착되는 치아 교정기 때문에, 교정력이 예측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교정기 사용으로 인한 위험 및/또는 외력에 기인한 환자의 잇몸조직에 대한 위험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20 : 치아 교정기 22 : 몸체
24 : 홈 26 : 혀부
28 : 얼굴부 30 : 연결부
32,34,36 : 어긋난 배열의 치아
32.1, 34.1, 36.1 : 혀면 32.2, 34.2, 36.2 : 얼굴면

Claims (38)

  1. 치아의 치열궁에 안착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탄성 변형되며, 상기 치열궁에 안착될 때 탄성 변형이 일어나면서 안착되는 상태를 가지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치열궁에 안착될 때 탄성 변형에 의한 교정력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에 가하는데, 상기 교정력은 각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치관 아랫 부분 또는 인접 부분에 가해져 각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가 교정되도록 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치아가 수용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안착된 상태로 탄성 변형되는 안착 전 상태를 가지는데,
    상기 홈은 상기 몸체가 안착 전 상태일 때 배열 후 위치에서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수용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배열 전 위치에서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홈은 요구되는 배열 후 위치와 배열 전 위치에서 어긋난 배열의 치아를 동시 수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안착된 상태에서, 배열 전 위치와 요구되는 배열 후 위치에서 각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치관을 동시 수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교정기는 제거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교정기는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교정기는 전부분이 투명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교정기는 구강 내 사용에 적합한 물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교정기는 상기 홈이 적어도 대부분의 치열궁을 수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교정기는 상기 홈이 모든 치열궁을 수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몸체가 안착 전 상태와 안착 상태에 있을 때 치아의 현재 위치에서 교정이 요구되지 않는 배열의 치아를 수용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치열궁의 일반적인 윤곽을 따르는 껍질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치열궁의 윤곽을 따르는 상대적으로 얇은 벽으로 둘러싸인 껍질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단면으로 보았을 때 윗니에 사용될 경우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아랫니에 사용될 경우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치아의 혀면과 연결되는 혀부와;
    상기 치아의 얼굴면과 연결되는 얼굴부; 및
    상기 혀부와 얼굴부를 연결하고 치아의 단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가 안착 전 상태로부터 안착 상태로 변형될 때, 어긋난 배열의 치아와 연결된 혀부와 얼굴부의 일부분은 상기 연결부에 대하여 상기 혀부와 연결부의 다른 하나로부터 떨어져서 탄성 변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어긋난 배열의 치아와 연결된 상기 연결부의 일부는, 치아가 배열 전 위치와 요구되는 배열 후 위치에 있을 때 각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단부를 충분히 넓게 동시에 커버함으로써, 어긋난 배열의 치아를 포함한 치열궁에 상기 치아 교정기의 올바른 안착을 허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치열궁에 안착된 치아 교정기와 함께 각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에 작용하는 교정력은 상기 혀부와 얼굴부 중의 어느 하나가 탄성 변형됨에 의해, 치관의 아래 부분 또는 인접 부분에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19. 혀부와 얼굴부를 가진 소성 변형가능한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혀부와 얼굴부는 서로 마주하며, 상기 혀부와 얼굴부 중에 어느 하나는 다른 어느 하나로부터 떨어져서 탄성 변형이 가능하고, 두 부분 사이에 수용되는 아치 형상의 치아와 함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를 가진 치열궁에 상기 몸체의 안착을 허용함으로써,
    상기 몸체의 탄성 변형가능한 부분은 상기 혀부와 얼굴부 중 다른 어느 하나를 향해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에 교정력을 적용하고, 상기 몸체의 변형가능한 부분은 교정력이 적용됨에 의하여 상기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치관 하부에 상기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치관 상부에 가해지는 힘을 넘어서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20.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를 가진 치열궁에 안착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치열궁에 안착될 때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이동을 위한 아치 형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에 교정력을 적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치아 교정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에 1mm 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2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를 가진 치열궁에 안착되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치열궁에 안착될 때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해 강한 교정력이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치관 상부보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치관 하부에 강한 교정력을 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22.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를 가진 치열궁에 안착되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치열궁에 안착될 때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해 교정력이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치관 하부에 아치 형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에 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23. 각각은 안착 전 상태와 안착 상태를 가지고, 치아 배열을 점진적으로 교정하기 위해 연속하여 사용되는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수개의 치아 교정기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기 세트.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 의해 각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치관 하부의 수용까지 영향을 미치는, 하나의 치아 교정기 몸체의 안착 전 상태는 세트에서 다음의 치아 교정기 몸체의 안착 상태와 대응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세트.
  25. 각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요구되는 배열 후 위치를 포함하는 배열 전 위치에서 치열궁의 3차원 표현을 조작하는 단계; 및
    조작된 3차원 표현의 치열궁에 기초하여 치아 교정기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기의 성형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표현의 조작은 각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버려진 부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조작된 표현은 배열 전 위치에서의 각각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일부분과 배열 후 위치에서의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전부분을 표현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의 성형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된 모델은 어긋난 위치에서의 각각의 치아의 상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의 성형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방법은 상기 3차원 표현의 조작 이전에, 배열 전 위치에서의 치열궁의 3차원 표현을 창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의 성형 방법.
  29. 제 25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표현은 X-ray와 같은 사진에 의해 창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의 성형 방법.
  30. 제 25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표현은 디지털 방식으로 창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의 성형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표현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모델의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의 성형 방법.
  32. 제 25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표현은 수동으로 창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의 성형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표현은 물리적 모델의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의 성형 방법.
  34. 제 25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교정기 세트를 성형할 때, 각각의 치아 교정기를 성형한 후에 3차원 표현을 조작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의 성형 방법.
  35. 어긋난 배열의 치아의 치관 하부에 탄성 변형가능한 치아 교정기에 의하여 교정력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방법은 하나의 치아보다 많은 치아의 배열을 동시에 교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방법.
  37. 도 1 내지 도 5와 관련하여 설명된 치아 교정기.
  38. 도 6 내지 도 10과 관련하여 설명된 치아 교정 방법.
KR1020107012249A 2007-11-27 2008-11-10 치아 교정기 KR101509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7906489 2007-11-27
AU2007906489A AU2007906489A0 (en) 2007-11-27 A dental appliance
PCT/AU2008/001665 WO2009067731A1 (en) 2007-11-27 2008-11-10 A dental appli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898A true KR20100109898A (ko) 2010-10-11
KR101509655B1 KR101509655B1 (ko) 2015-04-06

Family

ID=40677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2249A KR101509655B1 (ko) 2007-11-27 2008-11-10 치아 교정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651857B2 (ko)
EP (2) EP2214585A1 (ko)
JP (2) JP2011504768A (ko)
KR (1) KR101509655B1 (ko)
CN (1) CN101896134B (ko)
AU (1) AU2008329535B2 (ko)
CA (1) CA2706291C (ko)
MY (1) MY160697A (ko)
NZ (1) NZ585015A (ko)
WO (1) WO200906773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9166A1 (en) * 2017-10-06 2019-04-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MOVABLE DENTAL APPARATUS COMPRISING A SPRING ELEMENT
US11058516B2 (en) 2017-10-06 2021-07-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rthodontic palatal expander including split beams
US11446117B2 (en) 2017-10-06 2022-09-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movable dental appliance including positioning memb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5635A1 (en) * 2008-09-02 2010-03-04 Align Technology, Inc. Shape engineered aligner - auto shaping
US20100129763A1 (en) 2008-11-24 2010-05-27 Align Technology, Inc. Sequential sports guard
WO2019069164A1 (en) 2017-10-06 2019-04-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MOVABLE DENTAL APPARATUS COMPRISING RIDERS
WO2019069162A1 (en) 2017-10-06 2019-04-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MOVABLE DENTAL APPARATUS COMPRISING SPRING BREATHERS
CN112869894B (zh) * 2019-11-29 2023-10-27 正雅齿科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壳状牙齿矫治器的设计方法、制备系统及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79780A (en) * 1945-11-23 1949-08-23 Remensnyder Orrin Orthodontic appliance
US5163840A (en) * 1990-06-25 1992-11-17 Bourke Kevin J Method and apparatus for dental treatment
WO1994010935A1 (en) * 1992-11-09 1994-05-26 Ormco Corporation Custom orthodontic applianc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JPH11507852A (ja) * 1995-06-09 1999-07-13 クシック オルソペディック システム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整形外科的傾斜器具および方法
US5692894A (en) * 1996-04-08 1997-12-02 Raintree Essix, Inc. Thermoformed plastic dental retainer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6450807B1 (en) 1997-06-20 2002-09-17 Align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teeth
US5975893A (en) * 1997-06-20 1999-11-02 Align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incrementally moving teeth
US5876199A (en) * 1997-08-28 1999-03-02 Ortho-Tain, Inc. Appliance adapted to fit many mouth and tooth sizes for orthodontic correction and other uses
WO2001080762A2 (en) * 2000-04-25 2001-11-01 Align Technology, Inc. Embedded features and methods of a dental appliance
US6524101B1 (en) * 2000-04-25 2003-02-25 Align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s for varying elastic modulus appliances
US6702575B2 (en) 2002-04-03 2004-03-09 Jack Keith Hilliard Orthodontic aligner auxiliary system
US6830450B2 (en) * 2002-04-18 2004-12-14 Align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engagement between aligners and teeth
US6790036B2 (en) * 2002-05-23 2004-09-14 Neil John Graham Orthodontic tooth repositioner
JP2005527320A (ja) * 2002-05-30 2005-09-15 オルソ−テイ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製歯領域及び/または予測歯領域を有する患者の歯並びを矯正するための歯科矯正装置及び矯正方法
US7104790B2 (en) * 2002-05-31 2006-09-12 Cronauer Edward A Orthodontic appliance with embedded wire for moving teeth and method
AU2003247718A1 (en) 2002-07-03 2004-01-23 University Of Connecticut Advanced thermoplastics for orthodontics
JP2008532563A (ja) 2004-03-25 2008-08-21 ドロール オーソ‐デザイン リミテッド 歯科矯正用装置および方法
CA2583560C (en) * 2004-10-14 2012-08-07 Christopher John Farrell Oral appliance
US20060177789A1 (en) * 2005-02-04 2006-08-10 O'bryan Robert Orthodontic system
US20060188834A1 (en) * 2005-02-18 2006-08-24 Hilliard Jack K Method for creating features in orthodontic aligner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9166A1 (en) * 2017-10-06 2019-04-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MOVABLE DENTAL APPARATUS COMPRISING A SPRING ELEMENT
US11058516B2 (en) 2017-10-06 2021-07-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rthodontic palatal expander including split beams
US11173015B2 (en) 2017-10-06 2021-11-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movable dental appliance including spring member
US11446117B2 (en) 2017-10-06 2022-09-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movable dental appliance including positioning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06291A1 (en) 2009-06-04
JP2011504768A (ja) 2011-02-17
JP2014050752A (ja) 2014-03-20
EP2214585A1 (en) 2010-08-11
JP5798172B2 (ja) 2015-10-21
KR101509655B1 (ko) 2015-04-06
CN101896134A (zh) 2010-11-24
MY160697A (en) 2017-03-15
US20100266975A1 (en) 2010-10-21
US8651857B2 (en) 2014-02-18
NZ585015A (en) 2011-10-28
WO2009067731A1 (en) 2009-06-04
CA2706291C (en) 2014-07-08
EP2397104A1 (en) 2011-12-21
AU2008329535B2 (en) 2011-09-29
CN101896134B (zh) 2014-05-07
AU2008329535A1 (en) 200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61622A1 (en) Dental appliance binding structure
JP7127092B2 (ja) 再位置決め顎エレメントを有する歯科器具
EP3383310B1 (en) Dental appliances with repositioning jaw elements
KR20100109898A (ko) 치아 교정기
US20180132975A1 (en) Dental appliance with repositioning jaw elements
EP3586791B1 (en)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KR20180119521A (ko) 저작성 치아 교정기와 그 제조 방법
US20110005527A1 (en) Orthodontic appliances
KR20050004257A (ko) 중복 치아 부분 및/또는 예상 치아 부분을 갖는 치과기구,및 환자의 치아 위치를 교정하는 방법
CN110584805B (zh) 一种颌位性凹面畸形矫治系统及其设计方法
JP2021527491A (ja) 患者の歯の歯科矯正治療のための歯科矯正システム、患者の歯の歯科矯正治療のための装置を配置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かかる歯科矯正システムの装置の使用
KR20190019847A (ko) 치아 교정기
EP2873389B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dental correction splint and resulting splint
CN215606409U (zh) 牙科器械及壳状矫正器
CN210931950U (zh) 一种牙齿矫治器、矫治器套组以及壳状牙科矫治系统
CN114052950B (zh) 壳状牙齿矫治器的设计方法及制备方法
CN220001955U (zh) 用于下颌前导的矫治装置及矫治系统
CN216570272U (zh) 壳状牙科器械、壳状牙科矫治器套组及牙科矫治系统
CN217660203U (zh) 用于错颌畸形治疗的牙科器械、牙科器械套组及牙科矫治系统
KR102370004B1 (ko) 치열 교정 장치
WO2022205761A1 (zh) 牙科器械、壳状矫正器及其制作方法
CN114681079A (zh) 链状壳体矫治器及其设计方法和使用方法
CN115887030A (zh) 牙齿矫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