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9808A -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 - Google Patents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9808A
KR20100109808A KR1020090028275A KR20090028275A KR20100109808A KR 20100109808 A KR20100109808 A KR 20100109808A KR 1020090028275 A KR1020090028275 A KR 1020090028275A KR 20090028275 A KR20090028275 A KR 20090028275A KR 20100109808 A KR20100109808 A KR 20100109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support
frame
cylinder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휘
Original Assignee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8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9808A/ko
Publication of KR20100109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8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30Moving or transporting modules or hull blocks to assembly sites, e.g. by rolling, lifting or fl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81Vibration isolation or damping elements or arrangements, e.g. elastic support of deck-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0Mounting of propulsion plant or unit, e.g. for anti-vibrat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 B63C2005/027Stages, platforms, or seats suspended adjacent ship hulls on cables, chains, or the like, e.g. boatswain's chai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1/00Supports: r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 몸체(10)와, 몸체(10) 양측부에 설치되는 승강용실린더(60)와, 승강용실린더(60)에 설치되는 바퀴(11)와, 하부에 이동용받침대(21)가 구비되며 몸체(10)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20)과, 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되어 프로펠러(P)를 지지하는 제1·2지지기둥(30,30')과, 제1지지기둥(30)에 설치되는 프로펠러지지실린더(40)와, 프로펠러지지실린더(40)에 고정되는 봉형상의 제1프로펠러거치대(35)와, 프로펠러지지실린더(40)에 대향되는 제2지지기둥(30')에 설치되는 봉형상의 제2프로펠러거치대(35')와, 몸체(10)와 프레임(20)에 연결되어 몸체(10) 또는 프레임(20)을 이동시키는 제1·2프레임이동실린더(50,50')를 포함하는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에 있어서, 제1프로펠러거치대(35) 또는 제2프로펠러거치대(35')를 감싸면서 삽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체결부(72)와, 완충재질로 체결부(72)의 외면에 형성되어 프로펠러(P)와 맞닿는 평판 형상의 받침부(71)로 구성된 보호패드(70)가 보강구비되어, 프로펠러의 손상을 방지하며, 프로펠러의 규격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프로펠러 거치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CAR FOR ASSEMBLING SHIP PROPELLER}
본 발명은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 프로펠러를 안전하게 옮길 수 있는 선박 프롤펠라 조립용 대차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선박에 프로펠러 조립하기 위해서는 선박 후미까지 프로펠러를 이동시켜야 하며, 이러한 이동을 위해 프로펠러 이동용 대차가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이 프로펠러를 이동하는 대차(등록번호 10-2003-0021549)를 발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자가 발명한 종래의 대차를 요약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은 상기 대차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종래의 대차를 설명한다.
상기 대차는, 몸체(10)와, 하부에 이동용받침대(21)가 구비되며 몸체(10)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20)과, 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되며 프로펠러(P) 너비만큼 떨어져 상호 대향되는 제1·2지지기둥(30,30')과, 제1지지기둥(30) 또는 제2지지기둥(30')의 상부에 설치되어 프로펠러(P)를 지지하는 프로펠러지지실린더(40)와, 프레임(20)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제1·2프레임이동실린 더(50,50')와, 바퀴(11)가 고정되어 몸체(10)에 설치되는 승강용실린더(6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2지지기둥(30,30')은,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2하부기둥(31,31')과, 제1·2하부기둥(31,31')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2상부기둥(32,32')과, 하부기둥(30,30')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기둥실린더(33)와, 지지기둥실린더(33)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제1·2하부기둥(31,31') 내부에 배치되며 제1·2상부기둥(32,32')의 높이를 조절하는 다수의 받침대(34')와, 제1·2상부기둥(32,32')의 상부 또는 프로펠러지지실린더(40)에 설치되는 제1·2프로펠러거치대(35,35')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기둥실린더(33) 및 받침대(34')가 제1지지기둥(30)에만 설치되었지만, 제2지지기둥(30')에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펠러지지실린더(40)는, 제1지지기둥(30)의 제1상부기둥(32) 상부에 설치되는 수평패널(HP)을 매개로 제1지지기둥(30)의 제1상부기둥(32)에 설치되어, 제1프로펠러거치대(35)를 수평이동시킨다. 이때, 프로펠러지지실린더(40)는 제1지지기둥(30)의 제1상부기둥(32)에 직접 설치될 수 도 있다. 한편, 본 실시에서는 프로펠러지지실린더(40)가 제1지지기둥(30)에 설치되었지만, 제2지지기둥(30')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평패널(HP) 또는 프로펠러지지실린더(40)에는 작업자가 제1·2지지기둥(30,30')의 제1·2프로펠러거치대(35,35')에 오를 수 있도록 사다리(L)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평패널(HP) 또는 프로펠러지지실린더(4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발판(F)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발판(F)은 3단으로 접을 수 있어, 이동시에는 부피를 줄이고 작업시에는 넓은 발판 면적을 작업자에게 제공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제1·2프레임이동실린더(50,50')는, 일단이 프레임(20) 측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프레임(20)의 측부에 대응되는 몸체(10) 측부에 설치되어, 프레임(20)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때, 각각의 제1·2프레임이동실린더(50,50')는, 프레임(20)의 양측부 전후방에 위치하도록 나란히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1·2프레임이동실린더(50,50') 중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포트에는 유압조절밸브(51,52)가 설치된다.
상기 유압조절밸브(51,52)는, 제1프레임이동실린더(50)의 유압의 공급 및 차단을 통해 프레임(20)의 배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제1프레임이동실린더(50)의 유압을 차단하고, 다른 하나의 제2프레임이동실린더(50')를 작동시키면, 각각의 제1·2프레임이동실린더(50,50')로부터의 피스톤 행정거리가 상호 차이나면서, 프레임(20)의 배치위치가 달라진다.
상기 승강용실린더(60)는, 몸체(10)에 설치된다. 이때, 바퀴(11)는 몸체(10)의 측부에 설치되는 승강부재(M)의 하단에 이어지고, 승강부재(M)는 승강용실린더(60)의 피스톤에 연결되어, 승강용실린더(60)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승강된다. 따라서, 바퀴(11)는 승강용실린더(60)의 작동에 따라 레일(R)로부터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주행중 장애물이 있거나 대차를 샤프 트(S)의 중심선에 일치시키기 어려운 경우, 대차를 레일(R)에 가로질러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종래의 발명에 따른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대차가 설치된 상태에서, 프로펠라(P)의 수평거치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프로펠러지지실린더(40)를 동작시키면, 제1프로펠러거치대(35)가 이동하면서 프로펠러(P)의 수평거치위치가 조절된다.
이후, 기중기 등을 이용해 프로펠러(P)를 제1·2지지기둥(30,30')의 제1·2프로펠러거치대(35,35')에 안착시킨 후, 대차를 이동시킨다.
한편, 대차의 이동중 장애물 등이 나타나면, 프레임(20)의 이동용받침대(21) 하부에 받침목(W)을 위치시키고, 승강용실린더(60)를 동작시키면, 몸체(10)의 바퀴(11)가 레일(R)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몸체(10)가 프레임(20) 아래에 연결된 채 지면에 떠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각각의 제1·2프레임이동실린더(50,50')를 동시에 동작시켜 프레임(20)과 제1·2지지기둥(30,30')를 이송한다. 즉, 프레임(20)과 제1·2지지기둥(30,30')은 고정된 상태에서 몸체(10)만 레일(R)을 가로질러 이송하는 것이다. 그후, 바퀴(11) 아래에 레일(R)을 설치하고, 승강용실린더(60)을 작동시켜 바퀴(11)를 레일(R) 위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받침목(W)을 제거하면, 몸체(10)는 지면에 지지되고, 프레임(20)은 몸체(10) 상부에 얹힌 채 지면에서 떠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다시 제1·2프레임이동실린더(50,50')를 동시에 작동시켜 프레임(20)을 이송한다. 즉, 제1·2프레임이동실린더(50,50')에 의하여 대차 몸체(10)와 프레임(20)은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를 반복 하여 대차를 레일(R)에 가로질러 이송할 수 있다.
계속해서 프로펠러(P) 설치위치에 도착하면, 프로펠라(P)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제1지지기둥(30)의 지지기둥실린더(33)를 동작시켜, 프로펠러(P)의 상하위치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제1·2프레임이동실린더(50,50')를 동작시켜, 각각의 제1·2프레임이동실린더(50,50')의 피스톤 행정거리를 조절하면, 프레임(20)이 좌우로 틀어지면서 프로펠러(P)의 위치가 조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발명에 따른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는 몸체(10)와 프레임(20)의 상대적 이동에 의하여 레일(R)을 가로질러 이동할 수 있어 프로펠러(P)를 더욱 편리하게 이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로펠러(P)의 설치위치에서 제1·2프레임이동실린더(50,50'), 지지기둥실린더(33) 등을 통하여 샤프트(S)와 프로펠러(P) 사이의 상하 좌우틈새를 미세 조정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는, 제1·2지지기둥(30,30')의 제1·2프로펠러거치대(35,35)에 프로펠러(P)가 얹혀지면, 프로펠러(P)의 자체 하중에 의해, 제1·2프로펠러거치대(35,35')와 프로펠러(P)가 맞닿는 부분에 상당 한 응력집중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프로펠러(P)에 많은 손상이 발생하였다.
특히, 상기 레일(R)로에서 또 다른 레일(R)로 프로펠러(P)를 옮길 시, 작은 충격에도 프로펠러(P)에는 강력한 외력이 작용해, 프로펠러(P)의 손상이 더욱더 심하였다.
또한, 상기 제1·2지지기둥(30,30')의 제1·2프로펠러거치대(35,35')는 프로펠러(P)의 규격에 상관없이 단순히 프로펠러(P)를 지지하는 기능만 있어서, 제1·2프로펠러거치대(35,35')의 모서리부와 프로펠러(P)가 맞닿을 시 프로펠러(P)에 많은 손상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는, 프로펠러(P)를 이동하는데 있어, 프로펠러(P)에 많은 스크래치를 발생시킨다. 이에, 선주로부터 새로운 프로펠러(P)를 요구하는 불만이 발생하였으며, 문제해결을 위해 많은 시일이 소요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프로펠러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프로펠러를 장착위치까지 이송함에 있어서 프로펠러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와, 몸체 양측부에 설치되는 승강용실린더와, 승강용실린더에 설치되는 바퀴와, 하부에 이동용받침대가 구비되며 몸체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프로펠러를 지지하는 제1·2지지기둥과, 제1지지기둥에 설치되는 프로펠러지지실린더와, 프로펠러지지실린더에 고정되는 봉형상의 제1프로펠러거치대와, 프로펠러지지실린더에 대향되는 제2지지기둥에 설치되는 봉형상의 제2프로펠러거치대와, 몸체와 프레임에 연결되어 몸체 또는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제1·2프레임이동실린더를 포함하는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에 있어서, 제1프로펠러거치대 또는 제2프로펠러거치대를 감싸면서 삽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체결부와, 완충재질로 체결부의 외면에 형성되어 프로펠러와 맞닿는 평판 형상의 받침부로 구성된 보호패드가 보강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펠러가 프로펠러거치대에 직접 맞닿지 않아, 프로펠러의 손상을 방지하며, 프로펠러의 규격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프로펠러 거치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지지대와 보호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지지대와 보호패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로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종래 발명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이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이, 몸체(10)와, 몸체(10)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20)과, 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되며 프로펠러(P) 너비만큼 떨어져 상호 대향되는 제1지지기둥(30)과, 지지기둥(40)의 상부에 설치되어 프로펠러(P)를 지지하는 프로펠러지지실린더(40)와, 프레임(20)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제1·2프레임이동실린더(50,50')와, 바퀴(11)가 고정되어 몸체(10)에 설치되는 승강용실린더(60)를 포함하여, 프로펠러(P)를 이송시키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프로펠러지지실린더(40)에 고정되는 제1프로펠러거치대(35)는 직육면체 형상의 고정패널(FP)을 매개로 프로펠러지지실린더(40)에 고정되어, 프로펠러(P)를 향하도록 돌출된다. 또한, 상기 제2지지기둥(30')의 제2상부기둥(32')에 고정되는 제2프로펠러거치대(35')는 직육면체 형상의 고정패널(FP)를 매개로 제2상부기둥(32')의 상부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2프로펠러거치대(35,35')는 원형봉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제1·2프로펠러거치대(35,35')에 보호패드(70)에 삽입할 시 보호패드(70)의 위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어, 프로펠러(P)가 보호패드(70)와 안정적으로 접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제1·2프로펠러거치대(35,35')는, 프로펠러(P)와 보호패드(70)가 안정적으로 접하도록 고정패널(FP)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2프로펠러거치대(35,35')를 환봉 형상으로 하였지만, 삼각기둥 또는 사각기둥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각의 제1·2프로펠러거치대(35,35')의 위치는, 프로펠러(P)의 규격에 맞도록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보호패드(70)는, 프로펠러(P)와 접하는 받침부(71)와, 제1·2프로펠러거치대(35,35')에 고정되는 환 형상의 체결부(72)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71)는, 충분한 완충력을 갖는 탄성재질로서, 프로펠러(P)와 제1·2프로펠러거치대(35,35')간의 접촉을 최대한 막기 위하여 직사각형 형상을 이룬다. 이때, 받침부(71)는 체결부(72) 보다 외부로 더 돌출되어 더욱더 프로펠러(P)와 제1·2프로펠러거치대(35,35') 간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72)는, 충분한 신축력과 완충력을 갖는 탄성재질로서, 상부가 받침부(71)와 연결되며, 제1·2프로펠러거치대(35,35')에 끼워져, 보호패드(70)가 제1·2프로펠러거치대(35,35')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체결부(72)는 환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체결부(72)를 돌림으로써 받침부(71)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와 같이, 각각의 보호패드(7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프로펠러(P)와 보호패드(70)가 안정적으로 접촉하게 하여, 프로펠러(P)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의 조립이 종료를 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종래의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에 의하여 프로펠러가 운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도,
도 4는 종래의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에 있어서 좌우 틈새 조정 작업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종래의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의 지지기둥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프로펠러 전단위치의 지지기둥을 (b)는 프로펠러 후단위치의 지지기둥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접이식 안전 발판의 전개된 상태(a)와 접혀진 상태(b)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의 보호패드와 프로펠러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에 프로펠러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의 작용을 나타내기 위한 작용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 몸체 20; 프레임
30,30'; 제1·2지지기둥 40; 프로펠러지지실린더
50,50'; 제1·2프레임이동실린더 60; 승강용시린더
70; 보호패드 71; 받침부
72; 체결부

Claims (2)

  1. 몸체(10)와, 몸체(10) 양측부에 설치되는 승강용실린더(60)와, 승강용실린더(60)에 설치되는 바퀴(11)와, 하부에 이동용받침대(21)가 구비되며 몸체(10)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20)과, 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되어 프로펠러(P)를 지지하는 제1·2지지기둥(30,30')과, 제1지지기둥(30)에 설치되는 프로펠러지지실린더(40)와, 프로펠러지지실린더(40)에 고정되는 봉형상의 제1프로펠러거치대(35)와, 프로펠러지지실린더(40)에 대향되는 제2지지기둥(30')에 설치되는 봉형상의 제2프로펠러거치대(35')와, 몸체(10)와 프레임(20)에 연결되어 몸체(10) 또는 프레임(20)을 이동시키는 제1·2프레임이동실린더(50,50')를 포함하는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에 있어서,
    제1프로펠러거치대(35) 또는 제2프로펠러거치대(35')를 감싸면서 삽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체결부(72)와, 완충재질로 체결부(72)의 외면에 형성되어 프로펠러(P)와 맞닿는 평판 형상의 받침부(71)로 구성된 보호패드(70)가 보강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펠러거치대(35) 또는 제2프로펠러거치대(35')가 원형봉 형상을 가지며,
    보호패드(70)의 체결부(71)가 환형상을 이뤄 제1프로펠러거치대(35) 또는 제2프로펠러거치대(35')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
KR1020090028275A 2009-04-01 2009-04-01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 KR201001098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275A KR20100109808A (ko) 2009-04-01 2009-04-01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275A KR20100109808A (ko) 2009-04-01 2009-04-01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808A true KR20100109808A (ko) 2010-10-11

Family

ID=43130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275A KR20100109808A (ko) 2009-04-01 2009-04-01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98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8152A (zh) * 2020-07-22 2020-11-20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船舶分段底面自动焊接平台
CN113601465A (zh) * 2021-07-21 2021-11-05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推进器的安装工装
CN114436162A (zh) * 2021-12-13 2022-05-06 友联船厂(蛇口)有限公司 一种活动式螺旋桨拆装平台装置及拆装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8152A (zh) * 2020-07-22 2020-11-20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船舶分段底面自动焊接平台
CN111958152B (zh) * 2020-07-22 2022-04-19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船舶分段底面自动焊接平台
CN113601465A (zh) * 2021-07-21 2021-11-05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推进器的安装工装
CN114436162A (zh) * 2021-12-13 2022-05-06 友联船厂(蛇口)有限公司 一种活动式螺旋桨拆装平台装置及拆装方法
CN114436162B (zh) * 2021-12-13 2024-05-14 友联船厂(蛇口)有限公司 一种活动式螺旋桨拆装平台装置及拆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029B1 (ko) 구조 개선된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
US8801085B2 (en) Impact-protection canopy
US20160304329A1 (en) Lifting device
US20200173185A1 (en) Deck and hoist for use in construction
KR101615107B1 (ko) 탑승함 구조
CN202574372U (zh) 一种副车架和具有该副车架的随车起重运输车
KR20100109808A (ko)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
JP4397716B2 (ja) 重量物の載置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CN105172656A (zh) 一种装卸输送车
JP2006233574A (ja) 重量物の搬送載置方法及び搬送載置装置
WO2007113441A3 (fr) Vehicule elevateur pour des charges et des personnes travaillant en hauteur
CN207468132U (zh) 一种物流运输用可折叠式叉车
CN216681969U (zh) 机车变流器模块拆装装置
CN202879449U (zh) 半挂车用支腿安装座
JP6234831B2 (ja) 昇降ローラー付運搬用台車
CN104278864A (zh) 机车整备作业平台
US10011465B2 (en) Mobile crane, support device, and assembly process for a support device
KR100681661B1 (ko) 러더 혼 탑재 전용 서포트 타워
KR20130000862A (ko) 프로펠러 탑재용 대차
KR20220028320A (ko) 선박용 고소작업차
KR101061185B1 (ko) 철도차량의 컨트롤 데스크 조립용 이송장치
JP2015020638A (ja) 車両積載式荷台
CN205034212U (zh) 一种用于全悬浮式叉车护顶架装配的合装装置
KR20130000823U (ko) 고소 작업용 장치
CN213140688U (zh) 一种手动简易式装卸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