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9274A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9274A
KR20100109274A KR1020090027814A KR20090027814A KR20100109274A KR 20100109274 A KR20100109274 A KR 20100109274A KR 1020090027814 A KR1020090027814 A KR 1020090027814A KR 20090027814 A KR20090027814 A KR 20090027814A KR 20100109274 A KR20100109274 A KR 20100109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function
input
mobile terminal
touch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7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0484B1 (ko
Inventor
민병만
조성윤
김회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90027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484B1/ko
Priority to EP09174657.8A priority patent/EP2237138A3/en
Priority to US12/611,050 priority patent/US8922494B2/en
Priority to CN2010101264456A priority patent/CN101853122B/zh
Publication of KR20100109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06F1/169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the I/O peripheral being a secondary touch screen used as control interface, e.g. virtual buttons or sli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표시 기능과 입력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제1 터치 디바이스와,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제2 터치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에 대한 제1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 상의 복수의 지점들을 포함하는 궤적을 형성하는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되는 제2 터치 입력에 대응되어 있는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기능의 실행을 중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동 단말기, 터치 디바이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터치 디바이스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터치 디바이스들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복수의 터치 디바이스들에 대한 동작을 조합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터치 디바이스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가 다양한 제품의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터치 디바이스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의 제스쳐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제어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터치 디바이스의 다양한 조작 방식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식을 다양하게 개발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터치 디바이스들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복수의 터치 디바이스들에 대한 동작을 조합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표시 기능과 입력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제1 터치 디바이스와,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제2 터치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에 대한 제1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 상의 복수의 지점들을 포함하는 궤적을 형성하는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되는 제2 터치 입력에 대응되어 있는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기능의 실행을 중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표시 기능과 입력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제1 터치 디바이스와, 각 영역마다 미리 지정된 서로 다른 정보 입력 기능이 대응되어 있는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제2 터치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에 표시된 제1 객체에 대한 제1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를 통해, 터치 궤적 입력과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터치 지점 입력 중 어느 하나의 입력을 선택적으로 수신한 경 우, 상기 수신된 입력에 대응되고 상기 제1 객체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해제된 경우 상기 기능의 실행을 중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3 양상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물리적으로 서로 분리된 제1 및 제2 터치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에 대한 제1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 상에서 궤적을 형성하는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되는 제2 터치 입력에 대응되어 있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기능의 실행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란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터치 디바이스들에 대한 동작을 조합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오동작을 방지하고, 다양한 동작들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기능들의 할당이 가능하고, 새로운 개념의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식을 소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새로운 재미와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 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 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 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 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어폰잭(116)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잭(116)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출력되는 음향을 들을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 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 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후술하는 제2 터치 디바이스(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133)는, 입력 기능만을 수행하는 터치 패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133)는, 입력 기능 및 표시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터치 스크린일 수도 있다.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133)는, 리어 케이스(102)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133)는, 그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이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133)의 전체 영역(138)이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133)에는, 숫자/문자/기호와 같은 정보들이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및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 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133)와는 다른,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 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을 통하여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낸다. 도 3a가 단말기 바디을 세로로 배치시킨 경우(portrait)라면, 도 3b는 단말기 바디을 가로로 배치시킨 경우(landscape)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 바디의 배치 방향에 따라 출력 화면이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b는 휴대 단말기에서 텍스트 입력 모드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출력창(135a)과 입력창(135b)이 표시된다. 입력창(135b)에는 문자, 기호, 숫자들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소프트키(135c)들이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소프트키(135c)들은 쿼티(QWERTY)키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를 통하여 소프트키(135c)들이 터치 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출력창(135a)에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터치 패드(135)를 통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을 통한 터치 입력에 비하여 터치시 소프트키(135c)가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가 투명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위치한 손가락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를 스크롤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135)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근접 센서(141)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센서(141)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에 포인터가 접근할 때 근접신호가 출력되는 거리를 검출거리라고 하는데, 간단하게는 상기 검출거리가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사용함으로써 각 근접센서에서 출력되는 근접신호를 비교하면 상기 근접 깊이를 알 수 있 다.
도 4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3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그리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근접거리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 터치 디바이스와 제2 터치 디바이스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100)를 가정한다. 상기 제 1 터치 디바이스는 표시 기능과 입력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상기 제2 터치 다바이스는,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물론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가 입력 기능과 표시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요소들과의 일관성을 위해,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로 가정하고,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를 상기 터치 패드(133)로 가정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표시 기능과 입력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이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터치는, 근접 터치와 직접 터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도 5 및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151)를 통해 제1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S100],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 디바이 스(133)를 통해 궤적을 형성하는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S110].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한다[S120].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예를 들면, 드래그(drag) 동작 또는 플리킹(flicking)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133)에 손가락을 대고 움직이거나, 손가락을 대고 튕기는 동작을 함으로써, 상기 제2 터치 입력을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133)에 전달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S100 단계 내지 상기 S120 단계가 수행되는 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대기 화면 또는 바탕 화면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이 실행되는 예들이다. 도 8 내지 도 13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으로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이 실행되는 예들이다.
<애플리케이션 진입>
도 6은,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상기 기능이 전화번호부로 진입하는 기능인 경우이다.
도 6(a)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151)를 통해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을 수신한다[S10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이 유지된 상태(즉,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151)에 대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133)로부터 상기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S110].
도 6(a)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터치 지점(11)이 특정 방향을 가지는 궤적을 형성한다(S10 또는 S11).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상기 터치 지점(11)을 터치한 후, 위로(S10) 또는 아래로(S11) 드래그할 수 있다.
도 6(b)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터치 입력(S10 또는 S11)을 수신함에 따라, 전화번호부를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151)에 표시할 수 있다[S120].
도 7은,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상기 기능이, 음악 재생기(21)를 활성화시키는 기능인 경우이다.
도 7(a)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151)를 통해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을 수신한다[S10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133)로부터 상기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S110].
도 7(a)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터치 지점(11)이 특정 방향을 가지는 궤적을 형성한다(S12 또는 S13).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상기 터치 지점(11)을 터치한 후, 위로(S12) 또는 아래로(S13) 드래그할 수 있다.
도 7(b)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터치 입력(S12 또는 S13)을 수신함에 따라, 음악 재생기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음악 재생기에 대응되는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 21)을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151)에 표시할 수 있다[S120].
<애플리케이션으로 진입한 후 기능 실행>
본 발명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 중 특정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특정 애플리케이션으로 진입한 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방법 및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미지 뷰어( image viewer )
도 8 및 도 9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 중 이미지 뷰어로 진입한 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능이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8(a)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미지 뷰어를 활성화하고 상기 이미지 뷰어에 제1 이미지(30a)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151)를 통해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을 수신한다[S100].
본 문서의 전체에 걸쳐서,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151)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은,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151)에 표시된 특정 객체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이 이루어지는 지점은, 상기 제1 이미지(30a) 내부의 특정 지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터치 입력의 조합에 의해 실행되는 기능은, 상기 특정 객체와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중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미리 대응되어 있는 기능일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8 및 도 9는, 상기 이미지 뷰어를 통해 표시된 객체(예를 들어, 사진과 같은 이미지)의 표시 배율 을 조정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본 문서의 전체에 걸쳐서, 상기 S120 단계에서 실행되는 기능은,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이루는 상기 궤적의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왼쪽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오른쪽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서로 다른 기능이 각각 대응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133)로부터 상기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S110].
도 8(a)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상(上) 방향을 가지는 궤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제1 터치 지점(11a)을 터치한 후, 제2 터치 지점(11b)까지 드래그할 수 있다.
도 8(b)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1 이미지(30a)를 소정 배율로 확대하여(30b) 표시할 수 있다[S120].
상기 S12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지점을 고려하여 상기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이 이루어진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이미지(30a)를 확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이 이루어지는 지점이 달라지면, 확대 배율은 동일할 수 있으나, 도 8(b)에 도시된 확대 결과(30b)는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형성하는 궤적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이미지(30a)의 확대 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터치 입 력이 형성하는 궤적의 길이가 길수록 상기 제1 이미지(30a)의 확대 배율은 커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형성하는 궤적의 길이에 관계없이 상기 제1 이미지(30a)를 미리 정해진 배율로 확대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경우와는 반대로, 상기 이미지 뷰어에 표시된 이미지를 축소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이다.
도 9(a)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151)에 표시된 상기 제1 이미지(30b)에 대해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을 수신한다[S10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133)로부터 상기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S110].
도 9(a)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하(下) 방향을 가지는 궤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제3 터치 지점(11c)을 터치한 후, 제4 터치 지점(11d)까지 드래그할 수 있다.
도 9(b)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1 이미지(30b)를 소정 배율로 축소하여(30c) 표시할 수 있다[S120].
상기 S12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지점(10)을 고려하여 상기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이 이루어진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이미지(30b)를 축소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이 이루어지는 지점이 달라지면, 축소 배율은 동일할 수 있으나, 도 9(b)에 도시된 축소 결과(30c)는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형성하는 궤적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이미지(30b)의 축소 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형성하는 궤적의 길이가 길수록 상기 제1 이미지(30b)의 축소 배율은 커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형성하는 궤적의 길이에 관계없이 상기 제1 이미지(30b)를 미리 정해진 배율로 축소할 수 있다.
맵 애플리케이션( map application )
도 10 및 도 11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 중 맵 애플리케이션으로 진입한 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능이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10 및 도 11은, 상기 맵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된 객체(예를 들어, 맵)의 표시 배율을 조정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맵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상기 맵 애플리케이션에 제1 맵(31a)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151)를 통해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을 수신한다[S10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133)로부터 상기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S110].
도 10(a)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상(上) 방향을 가지는 궤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제5 터치 지점(11e)을 터치한 후, 제6 터치 지점(11f)까지 드래그할 수 있다.
도 10(b)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1 맵(31a)를 소정 배율로 확대하여(31b) 표시할 수 있다[S120].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지점을 고려하여 상기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이 이루어진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맵(31a)를 확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형성하는 궤적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맵(31a)의 확대 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형성하는 궤적의 길이가 길수록 상기 제1 맵(31a)의 확대 배율은 커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형성하는 궤적의 길이에 관계없이 상기 제1 맵(31a)를 미리 정해진 배율로 확대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경우와는 반대로, 상기 맵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맵을 축소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이다.
도 11(a)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151)에 표시된 상기 제1 맵(31b)에 대해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을 수신한다[S10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133)로부터 상기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S110].
도 11(a)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하(下) 방향을 가지는 궤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제7 터치 지점(11g)을 터치한 후, 제8 터치 지점(11h)까지 드래그할 수 있다.
도 11(b)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1 맵(31b)을 소정 배율로 축소하여(31c) 표시할 수 있다[S120].
상기 S12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지점(10)을 고려하여 상기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이 이루어진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맵(31b)을 축소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이 이루어지는 지점이 달라지면, 축소 배율은 동일할 수 있으나, 도 11(b)에 도시된 축소 결과(31c)는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형성하는 궤적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맵(31b)의 축소 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형성하는 궤적의 길이가 길수록 상기 제1 맵(31b)의 축소 배율은 커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형성하는 궤적의 길이에 관계없이 상기 제1 맵(31b)을 미리 정해진 배율로 축소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web browser )
도 12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웹 브라우저로 진입한 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능이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12는, 상기 웹 브라우저를 통해 표시된 객체(예를 들어, 웹 문서)를 스크롤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웹 브라우저를 활성화하고 상기 웹 브라우저를 통해 특정 웹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웹 문서(32a)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151)를 통해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을 수신한다[S10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133)로부터 상기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S110].
도 12(a)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하(下) 방향을 가지는 궤적(S1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터치 입력(S15)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웹 문서(32a)를 상(上) 방향으로 스크롤하여(32b) 표시할 수 있다[S120].
도 12(a)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상(上) 방향을 가지는 궤적(S14)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터치 입력(S14)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웹 문서(32a)를 하(下) 방향으로 스크롤하여(32c) 표시할 수 있다[S120].
상기 S120 단계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수행되는 방향(S14 또는 S15)에 따라 상기 스크롤 방향은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방향이 달라질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터치 입력(S14 또는 S15)이 형성하는 궤적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웹 문서(32a)가 스크롤되는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형성하는 궤적의 길이가 길수록 상기 제1 웹 문서(32a)가 스크롤되는 양이 많아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터치 입 력(S14 또는 S15)이 형성하는 궤적의 길이에 관계없이 상기 제1 웹 문서(32a)를 미리 정해진 양만큼 스크롤할 수 있다.
객체 이동
도 13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 중 특정 객체를 표시할 수 있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으로 진입한 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특정 객체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3(a)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특정 객체(33a)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151)를 통해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을 수신한다[S10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133)로부터 상기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S110].
도 13(a)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상(上) 방향을 가지는 궤적(S16)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터치 입력(S16)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특정 객체(33a)를 상(上) 방향으로 이동하여(33b) 표시할 수 있다[S120].
도 13(a)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왼쪽 방향을 가지는 궤적(S17)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터치 입력(S17)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특정 객체(33a)를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여(33c) 표시할 수 있다[S120].
도 13(a)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하(下) 방향을 가지는 궤적(S18)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터치 입력(S18)을 수신함에 따라, 상 기 특정 객체(33a)를 하(下) 방향으로 이동하여(33d) 표시할 수 있다[S120].
도 13(a)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오른쪽 방향을 가지는 궤적(S19)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터치 입력(S19)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특정 객체(33a)를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여(33e) 표시할 수 있다[S12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터치 입력(S16 내지 S19)이 형성하는 궤적의 길이에 따라 상기 특정 객체(33a)가 이동되는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형성하는 궤적의 길이가 길수록 상기 특정 객체(33a)가 이동되는 거리가 길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터치 입력(S16 내지 S19)이 형성하는 궤적의 길이에 관계없이 상기 특정 객체(33a)를 미리 정해진 양만큼 이동할 수도 있다.
아이콘에 대해 제1 터치 입력(10)이 이루어지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문서에서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은,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151)에 표시된 제1 객체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은, 상기 제1 객체와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중 궤적을 이루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미리 대응되어 있는 기능일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이 이루어지는 객체가 특정 기능이 대응되어 있는 아이콘인 경우를 상정하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 내지 도 16은,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이 이루어지는 객체가 아이콘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상기 아이콘은,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특성 또는 값을 조절하기 위한 기능이 대응되어 있을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14는, 불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특성 또는 값을 조절하는 경우이고, 도 15 및 도 16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특성 또는 값을 조절하는 경우이다.
도 14(a)는 영상 촬영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화면의 예이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영상 촬영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카메라(121)를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카메라(121)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35)을 프리뷰(preview) 형태로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151)에 표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영상 촬영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영상 특성 및/또는 음향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영상 특성의 예를 들면, 해상도, 샤프니스(sharpness), 채도, 콘트라스트(contrast),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노출 보정, ISO 값 등이 있다. 상기 음향 특성의 대표적인 예를 들면, 볼륨(volume)이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151)에 상기 기능이 실행되는 정도를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제2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형성하는 상기 궤적에 의존하여 상기 제2 객체를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151)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b)는 화이트 밸런스를 조절하는 메뉴가 선택된 화면의 예이다. 도 14(b)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화이트 밸런스를 조절하는 메뉴창(4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뉴창(40)은, 복수 개의 서브 메뉴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객체로서 상기 서브 메뉴들 중 어느 하나의 서브 메뉴를 지시하는 인디케이터(41)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메뉴창(40)이 표시된 영역을 통해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을 수신하고[S100],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133)로부터 상기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11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형성하는 궤적의 방향에 따라 상기 인디케이터(41)를 상기 복수 개의 서브 메뉴들 간에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133) 상에서 손가락을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인디케이터(41)를 현재 지시하는 서브 메뉴에서 오른쪽에 이웃한 서브 메뉴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인디케이터(41)를 이동시키는 서브 메뉴들의 개수를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형성하는 궤적의 길이에 의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형성하는 궤적의 길이에 관계없이, 상기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할 때마다 상기 수신된 제2 터치 입력의 방향성만을 고려하여 상기 인디케이터(41)를 1개의 서브 메뉴에 대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해제되면(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133)에서 손가락을 떼는 경우), 상기 메뉴창(40)을 화면에서 삭제함과 동시에, 상기 인디케이터(41)가 현재 지시하는 서브 메뉴에 해당하는 화이트 밸런스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5a, 도 15b 및 도 16은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화면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에서, 동영상의 재생, 일시 정지, 뒤로 감기, 앞으로 감기 등과 같은 동영상 재생 제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재생 제어 기능은,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제어 아이콘(50)에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현재 재생 중인 또는 재생 준비중인 동영상의 전체 구간을 표시하는 제1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 51)와, 현재 표시 또는 재생 중인 영상이 상기 전체 구간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제1 위치 인디케이터(52)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재생 제어 아이콘(50)이 표시된 영역을 통해 상기 제1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S100],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133)를 통해 상기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S110].
상기 제어부(180)는,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시계 방향의 궤적을 형성하는 경우(S30a), 상기 제1 위치 인디케이터(52)를 상기 제1 프로그레스 바(51) 상에서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서(S30b), 현재 표시 중인 영상을 해당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반시계 방향의 궤적을 형성하는 경우(S31a), 상기 제1 위치 인디케이터(52)를 상기 제1 프로그레스 바(51) 상에서 왼쪽으로 이동시키면서(S31b), 현재 표시 중인 영상을 해당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위치 인디케이터(52) 및 상기 표시 중인 영상을 이동시키는 정도를,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형성하는 궤적의 길이에 의존할 수 있다.
한편,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이루어야 하는 궤적의 형태를 안내하는 인디케이터(60)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인디케이터(60)를 통해 상기 터치된 아이콘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입력하여야 하는 궤적의 형태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a 및 도 15b에서, 사용자가 직선 형태의 터치 궤적을 입력하는 경우, 기능 실행이 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가 원 형태의 터치 궤적을 입력하여야, 기능 실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6은, 상기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재생 중인 영상과 동기화되어 있는 음향의 볼륨을 제어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볼륨 제어 기능은,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륨 제어 아이콘(55)에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출력 가능한 볼륨 구간을 표시하는 제2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 56)와, 현재 출력 중인 음향의 볼륨이 상기 전체 볼륨 구간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제2 위치 인디케이터(57)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볼륨 제어 아이콘(55)이 표시된 영역을 통해 상기 제1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S100],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133)를 통해 상기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한 다[S110].
상기 제어부(18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시계 방향의 궤적을 형성하는 경우(S32a), 상기 제2 위치 인디케이터(57)를 상기 제2 프로그레스 바(51) 상에서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서(S32b), 현재 출력 중인 음향의 볼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반시계 방향의 궤적을 형성하는 경우(S33a), 상기 제2 위치 인디케이터(57)를 상기 제2 프로그레스 바(51) 상에서 왼쪽으로 이동시키면서(S33b), 현재 출력 중인 음향의 볼륨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각 실시예들에서 실행되는 기능은, 상기 제1 터치 입력 및/또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해제 여부에 따라 그 실행이 중단되거나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해제되는지를 판단하여[S130],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해제된 경우 상기 S120 단계에서 실행되는 기능을 중단할 수 있다[S160]. 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120 단계에서 기능이 실행된 후에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해제 여부와 관계없이 실행 중단 명령을 수신하기 전까지는, 상기 기능 실행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경우,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S140], 상기 제1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S120 단계로 회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해제되는지를 판단하여[S150],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해제된 경우, 상기 S120 단계에서 실행 중인 기능을 중단할 수 있다.[S160].
즉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해제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S120 단계를 수행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해제 여부에 의존하여 상기 S120 단계를 수행하는 모드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17 및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133)는, 각 영역마다 미리 지정된 서로 다른 정보 입력 기능이 대응되어 있는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각각 서로 다른 숫자, 문자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의 입력 기능이 대응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133)에는 각각 서로 다른 숫자, 문자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복수의 영역들 각각에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151)를 통해 제1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S200],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 디바이 스(133)를 통해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S210]. 상기 S210 단계에서 수신되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지점 터치일 수도 있고 궤적 터치일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모드가 제3 모드인지 제4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220].
상기 제3 모드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지점 터치인 경우와 궤적 터치인 경우를 구분하여 기능을 실행하는 모드이다. 상기 제4 모드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지점 터치인 경우와 궤적 터치인 경우에 동일한 기능을 실행하는 모드이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22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제3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지점 터치인지 궤적 터치인지를 판단한다[S23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23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지점 터치인 경우 제1 기능을 실행하고[S250],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궤적 터치인 경우 제2 기능을 실행한다[S240].
상기 제1 기능과 상기 제2 기능은, 서로 다른 기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탕 화면 또는 대기 화면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1 터치 입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133) 상에서 "5"가 인쇄된 영역을 지점 터치하면, 도 6과 같이 전화번호부로 진입할 수 있다. 그리고 바탕 화면 또는 대기 화면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1 터치 입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133) 상에서 임의의 방향성을 갖는 궤적 터치를 입력하면, 도 7과 같이 음악 재생기를 활성화시킬 수 잇다.
상기 S250 단계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이루 어지는 영역마다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1"이 인쇄되어 있는 영역에 대해 이루어지는 경우와, "3"이 인쇄되어 있는 영역에 대해 이루어지는 경우에, 각각 실행되는 기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S240 단계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방향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방향성에 의존하는 기능 실행에 관하여는, 도 5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자세하게 설명한 바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22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제4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지점 터치인지 궤적 터치인지에 관계없이, 대응되어 있는 기능을 실행한다[S260]. 예를 들어, 도 16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133)를 통한 궤적 터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위치 인디케이터(57)를 조절함으로써 음향의 볼륨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133)에 인쇄된 숫자들을 각각 터치함으로써(예를 들어, "2"와 "0"을 차례대로 터치함), 자신이 원하는 수준의 음향 볼륨이 설정되도록(음향 볼륨이 20이 됨)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해제되는지를 판단하여[S270],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해제된 경우 상기 S240 단계 내지 상기 S260 단계에서 실행 중인 기능을 중단할 수 있다[S280].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 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도 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상기 제1 터치 입력(10)이 이루어지는 객체가 아이콘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들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1: 제1 터치 디바이스(디스플레이부, 터치 스크린)
133: 제2 터치 디바이스(터치 패드)
180: 제어부

Claims (22)

  1. 표시 기능과 입력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제1 터치 디바이스와,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제2 터치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에 대한 제1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 상의 복수의 지점들을 포함하는 궤적을 형성하는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되는 제2 터치 입력에 대응되어 있는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기능의 실행을 중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기능의 실행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해제와 관계없이, 상기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되는 기능은,
    상기 궤적의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입력은,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에 표시된 제1 객체에 대해 이루어지고,
    상기 실행되는 기능은, 상기 제1 객체와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중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미리 대응되어 있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되는 기능은,
    상기 제1 객체의 표시 배율을 재조정하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되는 기능은,
    상기 제1 객체를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 상에서 이동시키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지점을 고려하여 상기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는, 상기 기능이 대응되어 있는 아이콘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에 상기 기능이 실행되는 정도를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제2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형성하는 상기 궤적에 의존하여 상기 제2 객체를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 상에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은,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특성 또는 값을 조절하기 위한 기능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은,
    영상 특성 및 음향 특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표시 기능과 입력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제1 터치 디바이스와, 각 영역마다 미리 지정된 서로 다른 정보 입력 기능이 대응되어 있는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제2 터치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에 표시된 제1 객체에 대한 제1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를 통해, 터치 궤적 입력과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터치 지점 입력 중 어느 하나의 입력을 선택적으로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된 입력에 대응되고 상기 제1 객체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해제된 경우 상기 기능의 실행을 중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되는 기능은,
    상기 수신된 입력이 상기 터치 궤적 입력인 경우, 상기 터치 궤적 입력의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각각 서로 다른 숫자, 문자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의 입력 기능이 대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되는 기능은,
    상기 제1 객체의 표시 배율을 재조정하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되는 기능은,
    상기 제1 객체를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 상에서 이동시키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되는 기능은,
    상기 제1 객체를 즐겨찾기 목록에 등록시키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되는 기능은,
    상기 제1 객체와 관련된 특성 또는 값을 변화시키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 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는,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이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 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에 대응되어 있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궤적의 형태를 안내하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1. 물리적으로 서로 분리된 제1 및 제2 터치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디바이스에 대한 제1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 상에서 궤적을 형성하는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되는 제2 터치 입력에 대응되어 있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기능의 실행을 중단하는 단계를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디바이스는, 각각 서로 다른 숫자, 문자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의 입력 기능이 대응되어 있는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터치 지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되는 터치 지점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090027814A 2009-03-31 2009-03-31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510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27814A KR101510484B1 (ko) 2009-03-31 2009-03-31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EP09174657.8A EP2237138A3 (en) 2009-03-31 2009-10-30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2/611,050 US8922494B2 (en) 2009-03-31 2009-11-02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0101264456A CN101853122B (zh) 2009-03-31 2010-02-26 移动终端以及控制移动终端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27814A KR101510484B1 (ko) 2009-03-31 2009-03-31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274A true KR20100109274A (ko) 2010-10-08
KR101510484B1 KR101510484B1 (ko) 2015-04-08

Family

ID=42320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27814A KR101510484B1 (ko) 2009-03-31 2009-03-31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22494B2 (ko)
EP (1) EP2237138A3 (ko)
KR (1) KR101510484B1 (ko)
CN (1) CN101853122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6319A (ko) * 2012-10-10 201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KR20140054746A (ko) * 2012-10-29 2014-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화면 제어 방법
US9007319B2 (en) 2012-10-08 2015-04-14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area of flexible display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same
KR20160100187A (ko) * 2015-02-13 2016-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터치 입력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70020871A (ko) * 2014-06-16 2017-02-24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터치 인에이블 디바이스에 의한 데이터 송신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360728B2 (en) 2012-10-10 202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cont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84693A1 (en) 2010-10-01 2012-04-05 Imerj LLC Modals in dual display communication devices
US7844915B2 (en) 2007-01-07 2010-11-30 Apple Inc.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for scrolling operations
US20080168402A1 (en) 2007-01-07 2008-07-10 Christopher Blumenberg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for Gesture Operations
US20080168478A1 (en) 2007-01-07 2008-07-10 Andrew Platzer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for Scrolling
KR100815523B1 (ko) * 2007-02-08 2008-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음악 재생 및 표시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US8416196B2 (en) 2008-03-04 2013-04-09 Apple Inc. Touch event model programming interface
US8717305B2 (en) 2008-03-04 2014-05-06 Apple Inc. Touch event model for web pages
US8645827B2 (en) 2008-03-04 2014-02-04 Apple Inc. Touch event model
US8566044B2 (en) 2009-03-16 2013-10-22 Apple Inc. Event recognition
US8285499B2 (en) 2009-03-16 2012-10-09 Apple Inc. Event recognition
US9684521B2 (en) 2010-01-26 2017-06-20 Apple Inc. Systems having discrete and continuous gesture recognizers
US8566045B2 (en) 2009-03-16 2013-10-22 Apple Inc. Event recognition
US9311112B2 (en) 2009-03-16 2016-04-12 Apple Inc. Event recognition
US10216408B2 (en) 2010-06-14 2019-02-2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user interface objects based on view hierarchy
KR101735614B1 (ko) * 2010-08-12 2017-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9046992B2 (en) * 2010-10-01 2015-06-02 Z124 Gesture controls for multi-screen user interface
US20120110517A1 (en) * 2010-10-29 2012-05-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sture recognition
US20120166944A1 (en) 2010-12-23 2012-06-28 Stephen Hayden Cotterill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Between Two User Interfaces
KR101802522B1 (ko) 2011-02-10 2017-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의 화면변경방법
KR20120091975A (ko) * 2011-02-10 2012-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정보 표시 장치 및 그의 정보 표시 방법
EP3734404A1 (en) 2011-02-10 2020-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touch-screen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842906B1 (ko) 2011-02-10 2018-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의 화면 변경방법
US9298363B2 (en) 2011-04-11 2016-03-29 Apple Inc. Region activation for touch sensitive surface
JP5360140B2 (ja) * 2011-06-17 2013-12-0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閲覧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制御方法
US20130027315A1 (en) * 2011-07-25 2013-01-31 Arther Sing Hook Teng Techniques to display an input device on a mobile device
US8760406B2 (en) * 2012-04-03 2014-06-24 Motorola Mobility Llc Edge to edge qwerty keypad for a handheld device
JP2014010777A (ja) * 2012-07-02 2014-01-20 Fujitsu Ltd 表示プログラム、表示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101527039B1 (ko) 2012-11-01 2015-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9160915B1 (en) * 2013-01-09 2015-10-13 Amazon Technologies, Inc. Modifying device functionality based on device orientation
KR102047696B1 (ko) * 2013-02-20 2019-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D743432S1 (en) * 2013-03-05 2015-11-17 Yandex Europe Ag Graphical display device with vehicle navigator progress bar graphical user interface
US9733716B2 (en) 2013-06-09 2017-08-15 Apple Inc. Proxy gesture recognizer
CN103324347B (zh) * 2013-06-27 2017-09-2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多触控面板的移动终端的操作方法和系统
US20150205511A1 (en) * 2014-01-17 2015-07-23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50205492A1 (en) * 2014-01-20 2015-07-23 John B. Nobil Navigating audio content and selecting portions thereof using circular dial on user interface
KR102226817B1 (ko) * 2014-10-01 2021-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WO2016129772A1 (en) 2015-02-13 2016-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touch input
KR20170046969A (ko) * 2015-10-22 2017-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11124236B (zh) * 2018-10-30 2023-04-28 斑马智行网络(香港)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和机器可读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9122B2 (en) * 2004-07-30 2013-07-02 Apple Inc.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JP2001134382A (ja) 1999-11-04 2001-05-18 Sony Corp 図形処理装置
GB2386979A (en) * 2002-03-26 2003-10-01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Computing apparatus having two hinged screens
US6775560B2 (en) * 2002-05-31 2004-08-10 Lavaflow, Llp Cellular telephone having a touch screen user interface
US20050114825A1 (en) * 2003-11-24 2005-05-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aptop computer including a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laptop computer
US7925996B2 (en) * 2004-11-18 2011-04-1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ple input connecting user interface
US8077153B2 (en) * 2006-04-19 2011-12-13 Microsoft Corporation Precise selection techniques for multi-touch screens
KR101146042B1 (ko) * 2006-05-22 2012-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회전형 메뉴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메뉴제어 방법
KR100827115B1 (ko) * 2006-12-04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리보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TW200828089A (en) * 2006-12-29 2008-07-01 Inventec Appliances Corp Method for zooming image
KR20080084156A (ko) * 2007-03-15 2008-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및 장치
KR101377949B1 (ko) * 2007-04-13 2014-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브젝트 검색 방법 및 오브젝트 검색 기능을 갖는 단말기
WO2008138046A1 (en) * 2007-05-11 2008-11-20 Rpo Pty Limited Double touch inputs
US8947364B2 (en) * 2007-08-20 2015-02-03 Synaptics Incorporated Proximity sensor device and method with activation confirmation
US20090079699A1 (en) 2007-09-24 2009-03-26 Motorola, Inc. Method and device for associating objects
WO2009049331A2 (en) * 2007-10-08 2009-04-16 Van Der Westhuizen Willem Mork User interface
US9274681B2 (en) * 2008-03-26 2016-03-01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1315593B (zh) * 2008-07-18 2010-06-16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触控式移动运算装置与应用于其上的触控方法
US20100053111A1 (en) * 2008-09-04 2010-03-0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ulti-touch control for touch sensitive display
EP2237140B1 (en) * 2009-03-31 2018-12-2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07319B2 (en) 2012-10-08 2015-04-14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area of flexible display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same
KR20140046319A (ko) * 2012-10-10 201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US11360728B2 (en) 2012-10-10 202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content
KR20140054746A (ko) * 2012-10-29 2014-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화면 제어 방법
KR20170020871A (ko) * 2014-06-16 2017-02-24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터치 인에이블 디바이스에 의한 데이터 송신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00187A (ko) * 2015-02-13 2016-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터치 입력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22494B2 (en) 2014-12-30
EP2237138A2 (en) 2010-10-06
CN101853122B (zh) 2013-09-18
EP2237138A3 (en) 2016-11-23
KR101510484B1 (ko) 2015-04-08
US20100245267A1 (en) 2010-09-30
CN101853122A (zh)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927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9804763B2 (en) Mobi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of mobile terminal
EP2637086B1 (en) Mobile terminal
EP2889746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0012563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0012989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KR2010005423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맵 표시 방법
KR20100016842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시지처리 방법
KR20100131605A (ko) 메뉴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00028239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00050948A (ko) 단말기 및 그 인터넷 이용 방법
KR20120122639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1004565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아이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00063545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수기 메모 방법
KR2010006225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KR20100038858A (ko)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아이콘의 제어방법
KR20100051454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터치 감도 설정방법
KR2010007142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41331A (ko) 광센서가 내장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응용방법
KR2010003997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무선 통신 채널 변경 방법
KR20100050828A (ko)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0013286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스처 입력 처리방법
KR2010004193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맵 제공 방법
KR2012004225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모지 기능 수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00063553A (ko) 이동단말기의 리스트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