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9156A - 경도성 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멤브레인 필터 - Google Patents

경도성 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멤브레인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9156A
KR20100109156A KR1020090027610A KR20090027610A KR20100109156A KR 20100109156 A KR20100109156 A KR 20100109156A KR 1020090027610 A KR1020090027610 A KR 1020090027610A KR 20090027610 A KR20090027610 A KR 20090027610A KR 20100109156 A KR20100109156 A KR 20100109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ness
membrane filter
raw water
membrane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7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영
김연국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7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9156A/ko
Publication of KR20100109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1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10Spiral-wound membrane modules
    • B01D63/12Spiral-wound membrane modules comprising multiple spiral-wound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Ca 이온, Mg 이온 등 경도성 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멤브레인 필터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멤브레인 필터는, 외주면에 다수의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와 연결된 정수 유출구가 형성된 중앙관; 상기 중앙관에 권취되며 정수가 흐르는 통로를 구비하는 여과부재; 상기 여과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원수가 흐르는 통로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여과부재에 정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원수 스페이서; 및 상기 원수 스페이서를 흐르는 원수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며, 원수 중에 포함된 경도성 물질을 제거하는 경도제거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도물질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경도성 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멤브레인 필터에 의하면 경도성 물질로 인하여 멤브레인 필터에 스케일이 발생하고 기공이 막히는 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멤브레인 필터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멤브레인 필터, 경도성 물질, 양이온교환수지, 나권형 모듈, 경도물질 제거부

Description

경도성 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 Capable of Reducing Dissolved Solid}
본 발명은 공급된 물을 여과하는 멤브레인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수 중에 포함된 Ca 이온, Mg 이온 등 경도성 물질(경도유발물질)을 제거하여 그 수명을 늘릴 수 있는, 경도성 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멤브레인 필터에 관한 것이다.
근래 환경오염 특히, 수질 오염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면서,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수기의 사용이 늘고 있다.
이러한 정수기 중에서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는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는 농도가 진한 쪽에 인위적인 압력을 가함으로써 고농도의 용액 속의 용매인 물이 삼투막을 통과하여 저농도쪽으로 이동토록 하는 인위적인 작용을 이용하여 정수를 수행하는 필터이다.
도 1에는 이러한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0)는 여러가지 종류의 막이 중앙의 중앙관(20) 둘레에 나선형으로 권취된 나권형 모듈(spiral wound type module)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0)는 여과부재(30) 사이에 원수 스페이서(40)를 배치하고, 이들을 중앙관(20) 둘레에 나선형으로 권취하게 되며, 외주면에는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외막(50)으로 둘러싸여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원수 스페이서(40)를 통하여 유입된 원수 중 여과부재(30)의 표면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정수는 여과부재(30)의 중심을 따라 이동하여 중앙관(20)에 형성된 개구(21)를 통하여 중앙관(20)의 일측에 형성된 정수 유출구(22)를 통하여 배출된다. 또한, 원수 스페이서(40)를 통하여 유입된 원수 중 여과부재(30)의 표면을 통과하지 못하여 농축된 생활용수는 원수 스페이서(40)를 통하여 계속 이동하여 중앙관(20) 둘레에 구비된 생활용수 유출구(23)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때, 상기 여과부재(30)는 제1막(31)과 제2막(33) 사이에 정수 스페이서(32)가 설치되어 제1막(31) 또는 제2막(33)을 통과한 정수가 정수 스페이서(32)를 따라 중앙관(20) 측으로 점점 이동하여 중앙관(20)의 개구(21)를 통하여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제1막(31)과 제2막(33) 중 하나의 막을 역삼투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양측의 막을 모두 역삼투막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0)는 0.0001미크론의 역삼투막으로 이루어져 납, 비소와 같은 중금속은 물론 나트륨, 각종 병원균 등을 걸러주게 되며 역삼투막을 통과한 정수는 정수관과 연결되고, 농축된 생활용수는 생활용수관(드레인관)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0)는 미세한 기공이 막히게 되면 필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게 된다. 즉,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등의 금속이온과 같은 경도성 물질(경도유발 물질)로 인하여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0)에 스케일이 많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필터 막힘 현상이 나타나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0)의 수명이 크게 단축된다.
그러나, 통상적인 정수기에서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0)에 전단에 설치되는 세디먼트필터나 프리카본 필터는 경도성 물질을 거의 제거할 수 없거나 제거량이 극히 미미하므로,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0)는 경도성 물질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그 수명이 단축될 수밖에 없었다.
특히, 원수에 경도성 물질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지역의 경우에는 멤브레인 필터(10)의 수명 단축이 더욱 확연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는 다른 방식의 멤브레인 필터가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등의 금속이온과 같은 경도성 물질(경도유발 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필터 내부에 경도성 물질 제거부를 구비하는, 경도성 물질 제거가 가능한 멤브레인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도성 물질(경도유발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멤브레인 필터의 표면에 스케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그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멤브레인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주면에 다수의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와 연결된 정수 유출구가 형성된 중앙관; 상기 중앙관에 권취되며 정수가 흐르는 통로를 구비하는 여과부재; 상기 여과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원수가 흐르는 통로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여과부재에 정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원수 스페이서; 및 상기 원수 스페이서를 흐르는 원수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며, 원수 중에 포함된 경도성 물질을 제거하는 경도제거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도물질 제거부;를 포함하는 경도성 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멤브레인 필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여과부재는 상기 원수 스페이서를 흐르는 원수와 접촉하는 제1막 및 제2막과, 상기 제1막과 제2막 사이에 배치되어 정수가 흐르는 통로가 되는 정수 스페이서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경도물질 제거부는 상기 원수 스페이서와, 상기 제1막과 제2막 중 적어도 하나의 막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도물질 제거부는 상기 경도제거물질을 함유하는 투수성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도물질 제거부는 상기 경도제거물질이 상기 제1막 또는 제2막의 표면에 코팅되거나 도포되거나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경도물질 제거부는 상기 경도제거물질이 상기 원수 스페이서의 표면에 코팅되거나 도포되거나 부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도제거물질은 양이온 교환수지 또는 탄산칼슘(CaCO3)을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막과 제2막 중 적어도 하나의 막은 역삼투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멤브레인 필터의 내부에 경도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경도물질 제거부를 설치함으로써 칼슘이온, 마그네슘 이온 등 경도성 물질로 인하여 멤브레인 필터에 스케일이 발생하고 기공이 막히는 현상을 최소화함 으로써 멤브레인 필터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멤브레인 필터 내부에 경도물질 제거부를 설치함으로써 멤브레인 필터의 크기가 증대되지 않더라도 경도물질 제거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멤브레인 필터 내부에 경도물질 제거부를 권취함으로써 경도물질 제거부의 설치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역삼투막을 갖는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 뿐만 아니라 통상의 여과부재를 갖는 멤브레인 필터에서도 경도성 물질을 제거하여 멤브레인 필터의 표면에 스케일이 형성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도성 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멤브레인 필터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멤브레인 필터의 외주면 부분의 막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멤브레인 필터의 외주면 부분의 막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멤브레인 필터의 외주면 부분의 막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때, 도 4 내지 도 6은 멤브레인 필터의 외주면 부분의 막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중앙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즉, 도 4 내지 도 6은 중앙부분 측에 해당하는 도면 위쪽으로 여과부재(130)부터 원수 스페이서(140)까지의 경도물질제거부(160)를 포함한 부재가 반복하여 형성된 구조와 중앙관(120)을 생략한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도성 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멤브레인 필터(100)에 대해 살펴본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멤브레인 필터(100)는 여러가지 종류의 막이 중앙의 중앙관(120) 둘레에 나선형으로 권취된 나권형 모듈(spiral wound type module)을 형성한다.
즉, 상기 멤브레인 필터(100)는 중앙관(120)과, 상기 중앙관(120) 둘레에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여과부재(130)와, 상기 여과부재(130) 사이에 설치되어 원수가 흐르는 통로를 제공하는 원수 스페이서(140)와, 상기 원수 스페이서(140)를 흐르는 원수와 접촉하여 원수 중에 포함된 경도성 물질을 제거하는 경도물질 제거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앙관(120)은 외주면에 여과부재(130)를 통해 여과된 정수가 중앙관(120) 내부로 유입되도록 다수의 개구(121)가 형성된 중공 원통형상을 갖는다. 상기 개구(121)에 유입된 정수는 중앙관(120)의 내부를 흘러 중앙관(120)의 일측(또는 양측)에 형성된 정수 유출구(122)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러한 중앙관(120) 둘레에는 정수가 흐르는 통로를 구비하는 여과부재(130)가 나선형태로 권취된다.
상기 여과부재(130)는 일 예로서, 원수 스페이서(140)를 흐르는 원수와 접촉하는 제1막(131) 및 제2막(133)과, 상기 제1막(131)과 제2막(133) 사이에 배치되어 정수가 흐르는 통로가 되는 정수 스페이서(13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막(131)과 제2막(133) 중 적어도 하나는 원수 스페이서를 흐르는 원수를 여과하는 여과막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만약, 일측의 막이 여과막으로서 사용된다면 타측은 여과막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정수가 다시 원수 스페이서(140) 측으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차단막으로 기능하게 된다.
이러한 막(131,133)은 경도성 물질 제거로 인한 효과를 가장 잘 달성할 수 있도록 기공의 크기가 가장 작으며 경도성 물질로 인하여 막 표면의 스케일이 다수 발생할 수 있는 역삼투막[RO(reverse-osmosis) 멤브레인]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나선형상으로 권취가능하다면 이러한 막(131,133)의 종류는 멤브레인 표면의 기공 크기나 재질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필터 멤브레인으로 사용되는 MF(micro-filtration) 멤브레인, UF(ultra-filtration) 멤브레인, NF(nano-filtration) 멤브레인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정수 스페이서(132)는 제1막(131)과 제2막(133) 사이에 배치되어 정수가 흐르는 통로를 제공함으로써 중앙관(120)의 개구(121) 및 정수 유출구(122) 측으로 정수가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정수 스페이서(132)는 제1막(131)과 제2막(133)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메쉬망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구체적인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원수 스페이서(140)는 여과부재(130) 사이에 배치되어 원수가 흐르는 통로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여과부재(130)에 정수가 유입되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원수 스페이서(140)의 경우에도 여과부재(130)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메쉬망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그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경도물질 제거부(160)는 상기 원수 스페이서(140)를 흐르는 원수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며, 원수 중에 포함된 경도성 물질을 제거하는 경도제거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경도물질 제거부(160)에 함유되는 경도제거물질은 양이온교환수지 또는 탄산칼슘(CaCO3)을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양이온 교환수지는 원수 중에 포함되어 있는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등의 경도성 물질(경도유발 물질)과 이온교환을 하여 경도성 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탄산칼슘(CaCO3)은 멤브레인에 스케일을 유발하는 가장 큰 원인이 되는 칼슘 이온(Ca+2)의 이온성을 줄여 칼슘 분자로 석출되게 하거나 칼슘이온이 경도물질 제거부(160)에 포함되어 있는 탄산칼슘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경도성 물질인 칼슘이온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분자 형태로 석출된 칼슘은 원수 스페이서(140)를 통과하여 생활용수 배출구(123)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경도물질 제거부(160)에 포함된 양이온교환수지 또는 탄산칼슘(CaCO3)을 통하여 경도성 물질을 제거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여과부재(130)의 제1막(131) 또는 제2막(133) 표면과 접촉하는 경도성 물질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어 막 표면의 스케일 형성 및 기공막힘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도물질 제거부(160)는 원수가 여과부재(130)의 제1막(131) 또는 제2막(133)과 접촉하기 이전에 경도성 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원수 스페이서(140)와, 제1막(131)과 제2막(133) 중 적어도 하나의 막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도물질 제거부(160)는 상기 경도제거물질을 함유하는 투수성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나선형태로 권취 가능한 투수성 시트에 경도제거물질(양이온 교환수지 또는 탄산칼슘)을 분말형태로 도포하거나 코팅하거나 부착하여 경도제거물질을 함유하는 시트를 형성하고, 이러한 투수성 시트를 여과막으로서 기능하는 제1막(131)[및/또는 제2막(133)]과 원수 스페이서(140) 사이에 권취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막으로서 기능하는 제1막(131)[및/또는 제2막(133)]에 직접 경도제거물질(양이온 교환수지 또는 탄산칼슘)을 분말형태로 도포하거나 코팅하여 경도물질 제거부(16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양이온 교환수지 등의 경도제거물질을 제1막(131) 또는 제2막(133)의 응고과정에서 부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수 스페이서(140)의 표면에 직접 경도제거물질(양이온 교환수지 또는 탄산칼슘)을 분말형태로 도포하거나 코팅하여 경도물질 제거부(16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양이온 교환수지 등의 경도제거물질을 원수 스페이서(140)의 제조공정 중 응고과정에서 부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멤브레인 필터(100)의 외주면은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외막(150)으로 둘러싸여 멤브레인 필터(100)의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멤브레인 필터는 나권형 모듈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경도물질 제거부가 설치된 상태로 권취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멤브레인 필터의 크기가 증대되지 않더라도 경도물질 제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도물질 제거부의 설치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도성 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멤브레인 필터(100)의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원수 스페이서(140)로 유입된 원수 중 여과부재(130)의 여과막[제1막(131) 또는 제2막(133)] 표면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정수는 여과부재(130)의 중심에 형성된 정수 스페이서(132)를 따라 이동하여 중앙관(120)에 형성된 개구(121)를 통하여 중앙관(120)의 일측에 형성된 정수 유출구(122)를 통하여 배출된다. 또한, 원수 스페이서(140)를 통하여 유입된 원수 중 여과부재(130)의 표면을 통과하지 못하여 농축된 생활용수는 원수 스페이서(140)를 통하여 계속 이동하여 중앙관(120) 둘레에 구비된 생활용수 유출구(123)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때, 원수 스페이서(140)를 흐르는 원수 중에 포함된 경도성 물질은 경도물질 제거부(160)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경도물질 제거부(160)에 양이온 교환수지가 포함된 경우, 양이온 교환수지가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등의 경도성 물질(경도유발 물질)과 이온교환을 하여 경도성 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경도물질 제거부(160)에 탄산칼슘(CaCO3)이 포함된 경우, 스케일을 유발하는 가장 큰 원인이 되는 칼슘 이온(Ca+2)의 이온성을 줄여 칼슘 분자로 석출되게 하거나 칼슘이온이 탄산칼슘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경도성 물질인 칼슘이온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분자 형태로 석출된 칼슘은 원수 스페이서(140)를 통과하여 생활용수 배출구(123)로 배출되므로, 여과부재(130) 표면에 스케일 형성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도성 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멤브레인 필터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멤브레인 필터의 외주면 부분의 막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멤브레인 필터의 외주면 부분의 막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멤브레인 필터의 외주면 부분의 막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멤브레인 필터 120... 중앙관
121... 개구 122... 정수 유출구
123... 생활용수 유출구 130... 여과부재
131... 제1 막 132... 정수 스페이서
133... 제2 막 140... 원수 스페이서
150... 외막 160... 경도물질 제거부

Claims (8)

  1. 외주면에 다수의 개구(12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121)와 연결된 정수 유출구(122)가 형성된 중앙관(120);
    상기 중앙관(120)에 권취되며 정수가 흐르는 통로를 구비하는 여과부재(130);
    상기 여과부재(130) 사이에 배치되어 원수가 흐르는 통로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여과부재(130)에 정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원수 스페이서(140); 및
    상기 원수 스페이서(140)를 흐르는 원수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며, 원수 중에 포함된 경도성 물질을 제거하는 경도제거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도물질 제거부(160);
    를 포함하는 경도성 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멤브레인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130)는 상기 원수 스페이서(140)를 흐르는 원수와 접촉하는 제1막(131) 및 제2막(133)과, 상기 제1막(131)과 제2막(133) 사이에 배치되어 정수가 흐르는 통로가 되는 정수 스페이서(13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성 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멤브레인 필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도물질 제거부(160)는 상기 원수 스페이서(140)와, 상기 제1막(131)과 제2막(133) 중 적어도 하나의 막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성 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멤브레인 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도물질 제거부(160)는 상기 경도제거물질을 함유하는 투수성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성 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멤브레인 필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도물질 제거부(160)는 상기 경도제거물질이 상기 제1막(131) 또는 제2막(133)의 표면에 코팅되거나 도포되거나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성 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멤브레인 필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도물질 제거부(160)는 상기 경도제거물질이 상기 원수 스페이서(140)의 표면에 코팅되거나 도포되거나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성 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멤브레인 필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도제거물질은 양이온 교환수지 또는 탄산칼슘(CaCO3)을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성 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멤브레인 필터.
  8.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막(131)과 제2막(133) 중 적어도 하나의 막은 역삼투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성 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멤브레인 필터.
KR1020090027610A 2009-03-31 2009-03-31 경도성 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멤브레인 필터 KR201001091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610A KR20100109156A (ko) 2009-03-31 2009-03-31 경도성 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멤브레인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610A KR20100109156A (ko) 2009-03-31 2009-03-31 경도성 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멤브레인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156A true KR20100109156A (ko) 2010-10-08

Family

ID=43130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7610A KR20100109156A (ko) 2009-03-31 2009-03-31 경도성 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멤브레인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915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698B1 (ko) * 2013-03-07 2014-12-0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도성 스페이서를 포함한 나권형 수처리 필터
WO2018062712A1 (ko) * 2016-09-28 2018-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역삼투압 필터 모듈
KR20190114577A (ko) 2018-03-30 2019-10-10 강경구 역삼투압식 수처리 방식이 적용된 정수장치
KR102072648B1 (ko) * 2019-07-10 2020-02-03 김순성 농업용 정수기
EP3733258A1 (en) 2019-05-03 2020-11-04 Microfilter Co., Ltd. Filter assembly capable of adjusting elimin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flow-variable bypass flow path
US11484817B1 (en) 2021-04-15 2022-11-01 Microfilter Co., Ltd. Filter assembly capable of adjusting elimin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flow-variable bypass flow path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698B1 (ko) * 2013-03-07 2014-12-0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도성 스페이서를 포함한 나권형 수처리 필터
WO2018062712A1 (ko) * 2016-09-28 2018-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역삼투압 필터 모듈
KR20190114577A (ko) 2018-03-30 2019-10-10 강경구 역삼투압식 수처리 방식이 적용된 정수장치
EP3733258A1 (en) 2019-05-03 2020-11-04 Microfilter Co., Ltd. Filter assembly capable of adjusting elimin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flow-variable bypass flow path
KR20200128302A (ko) 2019-05-03 2020-11-12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유량 가변형 바이패스 유로를 구비하여 경도성 물질의 제거율 조절이 가능한 필터 어셈블리
KR102072648B1 (ko) * 2019-07-10 2020-02-03 김순성 농업용 정수기
US11484817B1 (en) 2021-04-15 2022-11-01 Microfilter Co., Ltd. Filter assembly capable of adjusting elimin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flow-variable bypass flow pat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9156A (ko) 경도성 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멤브레인 필터
JP2009233591A (ja) 浄水器
US20150375174A1 (en) Integrated ultrafiltration and reverse osmosis desalination systems
US200600969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itioning water
JP2004141846A (ja) 分離膜モジュールの運転方法及び分離膜装置
WO2017159303A1 (ja) 高硬度排水の処理方法
KR20080010909A (ko) 섬유여과기 내에 침지식 분리막 모듈을 일체화한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JP2004050081A (ja) 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逆浸透膜モジュール及び逆浸透膜装置
JP2008302333A (ja) 造水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9076827A (ja) 水処理設備及び水処理方法
JP3838689B2 (ja) 水処理システム
KR100463251B1 (ko) 전기투석장치가 부착된 정수시스템
AU2017210540B2 (en) Filter system
KR20170023626A (ko) 수처리용 트리코트 여과수로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역삼투압 필터 모듈
AU2017213474B2 (en) Filter system
KR20100106858A (ko) 화학반응에 의한 잔류염소 제거가 가능한 정수기
JP2006130496A (ja) 水処理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7426478B2 (ja) 選択型両端集水機能を有するフィルタ構造体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濾過方法
KR100717867B1 (ko) 직수방식 정수기, 이온수기 및 직수방식 이온수기의정수방법
JP2009233566A (ja) 浄水器
KR20150041395A (ko) 2 배열로 구성된 ro/nf 분리막 시스템의 화학 세정 방법
CN213771568U (zh) 苦咸水过滤系统
KR20100106857A (ko) 경도성 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정수기
CN211078699U (zh) 一种陶瓷滤芯阻垢装置
KR101954761B1 (ko) 수질 여과용 전처리 필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