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8729A - 토크 로터 및 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토크 로터 및 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8729A
KR20100108729A KR1020090026887A KR20090026887A KR20100108729A KR 20100108729 A KR20100108729 A KR 20100108729A KR 1020090026887 A KR1020090026887 A KR 1020090026887A KR 20090026887 A KR20090026887 A KR 20090026887A KR 20100108729 A KR20100108729 A KR 20100108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magnet
tube
circumferential surface
diamet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9774B1 (ko
Inventor
김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90026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774B1/ko
Priority to DE102010012905A priority patent/DE102010012905A1/de
Priority to US12/748,130 priority patent/US8482177B2/en
Priority to JP2010076124A priority patent/JP5207322B2/ja
Priority to CN201010155411XA priority patent/CN101854097B/zh
Publication of KR20100108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2Impregnating, heating or drying of windings, stators, rotors or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7/0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 H02K37/1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 H02K37/12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37/14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 H02K37/18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of homopolar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09Dynamoelectric machine
    • Y10T29/49012R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Permanent Field Magnets Of Synchronous Machinery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크 로터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N극과 S극이 교대로 반복되며 자력을 형성하는 환형의 형상으로,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 또는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요홈부가 구비되어 있는 마그넷과; 마그넷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외주면에는 상기 돌기부 또는 요홈부에 각각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요홈부 또는 돌기부가 구비되어 있고, 일측 단부에는 마그넷의 일측 단부가 안착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 플렌지가 형성되어 있는 요크; 및 요크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대경부와 이로부터 직경이 축소되며 연장형성되는 소경부를 구비하되, 대경부의 단부에는 스토퍼 플렌지에 안착된 마그넷의 타측 단부가 안착되는 결합 플렌지가 형성되어 있는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토크 로터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요크와 마그넷을 결합시킨 후 체결구조 구비를 위한 플라스틱 사출성형 공정에 의해 플라스틱이 요크와 마그넷 사이로 유입되어 마그넷의 진원을 나쁘게 하거나 온도팽창계수 차이에 의해 마그넷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요크와 마그넷이 서로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토크 센서, 토크 로터, 요크, 포지션 로터, 마그넷

Description

토크 로터 및 이의 제작방법{Torque R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토크 로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요크와 마그넷을 결합시킨 후 체결구조 구비를 위한 플라스틱 사출성형 공정에 의해 플라스틱이 요크와 마그넷 사이로 유입되어 마그넷의 진원을 나쁘게 하거나 온도팽창계수 차이에 의해 마그넷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요크와 마그넷이 서로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토크 로터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조향휠(핸들)의 조향력을 경감하여 조향 상태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동력보조 조향장치가 사용되는데, 이와 같은 동력보조 조향장치에는 기존에 유압을 이용한 유압식 조향장치(HPS; Hydraulic Power Steering System)가 차량에 널리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유압을 사용하던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조향력을 쉽게 해주며 환경친화적인 전동식 조향장치(EPS; Electronic Power Steering System)가 차량에 보편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동식 조향장치(EPS)는 차속센서, 조향 앵글 센서 및 조향 토크 센서 등에서 감지한 차량의 운행조건에 따라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에서 모터를 구동시켜 저속 운행시에는 가볍고 편안한 조향감을 부여하고, 고속 운행시에는 무거운 조향감과 더불어 양호한 방향 안정성을 부여하며, 조향휠의 회전각에 따른 조속한 조향휠의 복원력을 제공하여 비상 상황에서 급속한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최적의 조향 조건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전동식 조향장치는 운전자의 조향휠 회전력을 하측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조향휠과 기어박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조향컬럼의 외부에 모터가 설치되어 그 내부의 조향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조향휠 조타에 따른 운전자의 조향력을 보조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전동식 조향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식 조향장치(100)는 조향휠(102)로부터 양측 바퀴(126)까지 이어지는 조향 계통(130) 및 조향 계통(130)에 조향 보조 동력을 제공하는 보조 동력 기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향 계통(130)은 일측이 조향휠(102)에 연결되어 조향휠(102)과 함께 회전하고 타측은 한 쌍의 유니버설 조인트(104)를 매개로 피니언축(108)에 연결되는 조향축(10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피니언축(108)은 랙-피니언 기구부(110)를 통해 랙바(112)에 연결되고, 랙바(112)의 양단은 타이로드(122)와 너클암(124)을 통해 차량의 바퀴(126)에 연결된다.
보조 동력 기구(140)는 운전자가 조향휠(102)에 가하는 토크를 감지하고 감지된 토크에 비례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토크 센서(142)와, 토크 센서(142)로 부터 전해지는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전자 제어 장치(144), 전자 제어 장치(144)로부터 전해지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보조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46) 및 모터(146)에서 발생한 보조 동력을 조향축(106)에 전달하기 위하여 웜 기어(152) 및 웜휠 기어(156)을 구비한 감속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종래의 토크 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토크 센서(142)는 토크 로터(220), 포지션 로터(230), 자기량 검출부(240), 전자제어장치, 하우징(25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토크 센서(142)는 조향축의 입력축(180)과 출력축(140)의 토크를 측정하여 전자제어장치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전자제어장치에서 구동 모터를 작동시켜 조향 보조력을 제공하게 되는데, 최근에는 자기장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토크의 변화를 측정하는 비접촉식이 많이 사용된다.
토크 로터(220)는 마그넷(225)이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어 있는 몸체부(224)와 몸체부(224)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입력축 삽입공(221)과 입력축 삽입공(221)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수개 형성되는 압착부(222) 및 압착부(222)에 끼워지는 압착링(2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224)는 통상 환형 고리 형상의 요크(미도시)에 플라스틱 등을 사출 성형하여 만드는데, 그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N극과 S극이 교대로 반복되는 마그넷(225)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N극과 S극은 N극이 6회, S극이 6회 교대로 반복되거나 또는 N극이 8 회, S극이 8회 교대로 반복되는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포지션 로터(230)의 중앙에는 토크 로터(220)가 내주하는 토크 로터 삽입부(239)와 출력축(140)의 일단이 끼워지는 출력축 결합부(237)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스테이터(231)와 연결되는 상부자성체(236)와, 하부 스테이터(232)와 연결되는 하부자성체(235)가 토크 로터 삽입부(239)의 둘레를 따라 교대로 반복하여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 스테이터(231)와 이에 연결되어 있는 상부자성체(236)는 N극으로 자화된 철판이고 하부 스테이터(232)와 이에 연결되어 있는 하부자성체(235)는 S극으로 자화되어 있는 철판이다. 여기서 N극과 S극의 위치는 바뀔 수 있다.
자기량 검출부(240)는 포지션 로터(230)의 외주면 일측에 끼워지고 포지션 로터(230)의 상, 하부 스테이터(231, 232) 사이에 상, 하로 구비되는 컨센트레이터(2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자기량 검출부(240)와 포지션 로터(230)는 상대회전이 가능하다.
전자 제어장치는 자기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자속의 변화량을 받아 이를 근거로 구동 모터를 제어하여 운전자의 조향력을 보조하게 된다.
하우징(255)은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50)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며 포지션 로터(230)와 자기량 검출부(240)를 감싸게 된다.
토션바(205)는 입력축(180)과 출력축(140)에 압입된 후 핀에 의해 고정되고, 운전자가 조향휠을 회전시킴에 따라 조향휠과 연결되는 입력축(180)이 회전하게 되며, 입력축(180)과 토션바(305)를 매개로 연결되는 출력축(140)이 연동하여 회전하 게 된다.
이 때, 입력축(180)과 출력축(140) 사이에 비틀림이 발생하게 되면 출력축(140)에 압입되어 고정된 포지션 로터(230)와 입력축(180) 사이에 회전각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위와 같이 회전 각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면 포지션 로터(230)의 원주를 따라 교대로 반복하여 구비되어 있는 상부자성체(236) 및 하부자성체(235)와 마그넷(225)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던 자기장이 변화하게 되고, 그러면 토크 센서의 컨센트레이터(242)에서 모아진 자속(Flux)이 기판(241)에 설치된 두 개의 홀 IC 칩(243, 245)을 통과하는 양으로 토크를 측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토크 로터는 요크와 마그넷을 결합시킨 후 입력축과의 체결구조 구비를 위한 플라스틱 사출성형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때 플라스틱이 요크와 마그넷 사이로 유입됨으로써, 마그넷의 진원을 나쁘게 하여 포지션 로터와의 사이에서 자기장의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요크와 마그넷의 결합이 불안정하여 충격이나 온도팽창계수 차이에 의해 요크와 마그넷이 서로 헛도는 현상으로 토크 측정값의 오류가 발생되거나, 마그넷이 파손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래 요크와 마그넷을 결합시킨 후 체결구조 구비를 위한 플라스틱 사출성형 공정에 의해 플라스틱이 요크와 마그넷 사이로 유입되어 마그넷의 진원을 나쁘게 하거나 온도팽창계수 차이에 의해 마그넷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요크와 마그넷이 서로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토크 로터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N극과 S극이 교대로 반복되며 자력을 형성하는 환형의 형상으로,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 또는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요홈부가 구비되어 있는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외주면에는 상기 돌기부 또는 요홈부에 각각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요홈부 또는 돌기부가 구비되어 있고, 일측 단부에는 상기 마그넷의 일측 단부가 안착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 플렌지가 형성되어 있는 요크; 및 상기 요크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대경부와, 입력축에 삽입되는 소경부, 및 대경부로부터 소경부까지 직경이 축소되며 연결 형성되는 경사부를 구비하되, 상기 대경부의 단부에는 상기 스토퍼 플렌지에 안착된 마그넷의 타측 단부가 안착되는 결합 플렌지가 형성되어 있는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토크 로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그넷의 내주면과 요크의 외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마그넷의 돌기부 또는 요홈부를 각각 상기 요크의 요홈부 또는 돌기부에 삽입하면서 마그넷의 단부를 요크의 단부에 구비된 스토퍼 플렌지에 안착시켜 마그넷과 요크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요크의 내측에 상기 튜브를 삽입하여 상기 요크의 단부를 상기 튜브의 단부에 구비된 결합 플렌지에 안착시켜 요크와 튜브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요크와 마그넷을 결합시킨 후 체결구조 구비를 위한 플라스틱 사출성형 공정에 의해 플라스틱이 요크와 마그넷 사이로 유입되어 마그넷의 진원을 나쁘게 하거나 온도팽창계수 차이에 의해 마그넷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요크와 마그넷이 서로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토크 로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조립된 상태의 토크 로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토크 로터(300)는 N극과 S극이 교대로 반복되며 자력을 형성하는 환형의 형상으로,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313), 또는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요홈부(317)가 구비되어 있는 마그넷(320)과; 상기 마그넷(320)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외주면에는 상기 돌기부(313) 또는 요홈부(317)에 각각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요홈부(317) 또는 돌기부(313)가 구비되어 있고, 일측 단부에는 상기 마그넷(320)의 일측 단부가 안착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 플렌지(315)가 형성되어 있는 요크(310); 및 상기 요크(310)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대경부(331)와, 입력축(180)에 삽입되는 소경부(337), 및 대경부(331)로부터 소경부(337)까지 직경이 축소되며 연결 형성되는 경사부(339)를 구비하되, 상기 대경부(331)의 단부에는 상기 스토퍼 플렌지(315)에 안착된 마그넷(320)의 타측 단부가 안착되는 결합 플렌지(335)가 형성되어 있는 튜브(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토크 로터(300)는 마그넷(320)과 요크(310) 및 튜브(330)로 구성되는데, 이들 부품이 서로 이탈되어 헛돌면서 발생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돌기부(313)와 요홈부(317), 접착제, 코킹(333) 등의 결합 구조를 구비한 특징이 있다.
마그넷(320)은 소정의 폭을 갖는 환형의 고리 형상으로, 재질의 성질상 파손이 일어나기 쉬우므로 요크(310)에 결합되어 지지되어 보호되는데,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N극과 S극이 교대로 반복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마그넷(320)의 자성은 통상적으로 N극이 6회, S극이 6회 교대로 반복되거나, N극이 8회, S극이 8회 교대로 반복되는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마그넷(320)의 내주면에는, 마그넷(320)이 요크(310)와 서로 분리되어 회전하면서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시 필요한 토크 측정값의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313), 또는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요홈부(317)가 구비되어 있다.
마그넷(320)과 결합되는 요크(310)는, 환형의 마그넷(320)과 밀착 결합되어 마그넷(3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환형으로 형성되며, 마그넷(320)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외주면에는 마그넷(32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313) 또는 요홈부(317)에 각각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요홈부(317) 또는 돌기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즉, 마그넷(320)에 돌기부(313)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요홈부(317)가 형성되고, 마그넷(320)에 요홈부(317)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돌기부(미도시)가 형성되게 된다.
이렇게 마그넷(320)과 요크(310)에 형성되는 돌기부(313) 또는 요홈부(317)는 마그넷(320)과 요크(310)가 결합되어 서로 분리되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 하나 이상씩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마그넷(320)에 돌기부(313)와 요홈부(317) 모두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요크(310)에 요홈부(317)와 돌기부(313)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요크(310)의 일측 단부에는 마그넷(320)의 일측 단부가 안착되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토퍼 플렌지(31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요크(310)의 내측에 결합되는 튜브(330)는, 직경이 일정한 대경부(331)와 소경부(337), 이들 대경부(331)와 소경부(337)를 연결 형성하는 경사부(339)로 구성되며, 대경부(331)는 요크(310)의 내주면에 밀착 결합되고 소경부(337)는 조향축과 연결되는 입력축(180)에 결합되게 된다.
또한, 대경부(331)의 단부에는 요크(310)의 스토퍼 플렌지(315)에 안착된 마그넷(320)의 타측 단부가 안착되는 결합 플렌지(335)가 형성되어 있어서, 마그넷(320)의 축방향 이탈을 방지하게 되어 있고, 요크(310)와 튜브(330)의 결합부위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본딩 결합함으로써 요크(310)와 튜브(330)가 서로 헛돌면서 발생되는 토크 측정값의 오류를 방지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요크(310)와 튜브(330)에는, 본딩 공정이 누락되거나 온도나 환경의 변화 등으로 접착제의 본딩력이 저하되어 요크(310)와 튜브(330)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요크(310)의 내주면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미도시), 또는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요홈부(317)가 구비되고, 튜브(330)의 외주면에는 요크(310)에 구비된 돌기부(미도시) 또는 요홈부(317)에 각각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요홈부(미도시) 또는 돌기부(313)가 구비되어 있어서, 이들 돌기부(313)와 요홈부(317)가 서로 삽입되며 결합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에 추가적으로 요크(310)와 튜브(3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요크(310)의 스토퍼 플렌지(315)와 튜브(330)의 대경부(331) 외측 사이를 코킹(333)하여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따라서, 토크 로터(300)가 포지션 로터(230)의 중앙에 내주하며 회전할 때, 마그넷(320)과 요크(310), 요크(310)와 튜브(330) 사이에 헛도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들 부품의 축방향 이탈도 방지하게 되는 이중 보완 구조를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토크 로터(300)의 제작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넷(320)의 내주면과 요크(310)의 외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S510)와; 상기 마그넷(320)의 돌기부(313) 또는 요홈부(317)를 각각 상기 요크(310)의 요홈부(미도시) 또는 돌기부(313)에 삽입하면서 마그넷(320)의 단부를 요크(310)의 단부에 구비된 스토퍼 플렌지(315)에 안착시켜 마그넷(320)과 요크(310)를 결합하는 단계(S520); 및 상기 요크(310)의 내측에 상기 튜브(330)를 삽입하여 상기 요크(310)의 단부를 상기 튜브(330)의 단부에 구비된 결합 플렌지(335)에 안착시켜 요크(310)와 튜브(330)를 결합하는 단계(S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마그넷(320)과 요크(310)를 결합할 때 이들이 서로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제를 도포하여 결합하는데, 마그넷(320)의 돌기부(313) 또는 요홈부(317)를 각각 상기 요크(310)의 요홈부(미도시) 또는 돌기부(313)에 삽입하면서 마그넷(320)의 단부를 요크(310)의 스토퍼 플렌지(315)에 안착시킨다.
이렇게 마그넷(320)과 요크(310)가 결합되면, 요크(310)의 단부를 상기 튜브(330)의 단부에 구비된 결합 플렌지(335)에 안착시켜 결합시킨다.
여기서, 요크(310)와 튜브(330)를 결합하는 단계는, 요크(310)의 내주면과 튜브(330)의 외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본딩 결합하게 되는데,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요크(310)의 돌기부(313) 또는 요홈부(317)을 각각 튜브(330)의 요홈부(317) 또는 돌기부(313)에 삽입하면서 요크(310)의 단부를 튜브(330)의 단부에 구비된 결합 플렌지(335)에 안착시켜 요크(310)와 튜브(330)를 결합시킨다.
또한, 요크(310)와 튜브(330)를 결합한 후, 요크(310)의 스토퍼 플렌지(315)와 튜브(330)의 대경부(331) 외측 사이를 코킹(333)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요크와 마그넷을 결합시킨 후 체결구조 구비를 위한 플라스틱 사출성형 공정에 의해 플라스틱이 요크와 마그넷 사이로 유입되어 마그넷의 진원을 나쁘게 하거나 온도팽창계수 차이에 의해 마그넷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요크와 마그넷이 서로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동식 조향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토크 센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토크 로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조립된 상태의 토크 로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토크 로터 310: 요크
313: 돌기부 315: 스토퍼 플렌지
317: 요홈부 320: 마그넷
330: 튜브 331: 대경부
333: 코킹 335: 결합 플렌지
337: 소경부 339: 경사부

Claims (7)

  1. N극과 S극이 교대로 반복되며 자력을 형성하는 환형의 형상으로,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 또는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요홈부가 구비되어 있는 마그넷;
    상기 마그넷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외주면에는 상기 돌기부 또는 요홈부에 각각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요홈부 또는 돌기부가 구비되어 있고, 일측 단부에는 상기 마그넷의 일측 단부가 안착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 플렌지가 형성되어 있는 요크; 및
    상기 요크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대경부와, 입력축에 삽입되는 소경부, 및 대경부로부터 소경부까지 직경이 축소되며 연결 형성되는 경사부를 구비하되, 상기 대경부의 단부에는 상기 스토퍼 플렌지에 안착된 마그넷의 타측 단부가 안착되는 결합 플렌지가 형성되어 있는 튜브;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토크 로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 또는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요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튜브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기부 또는 요홈부에 각각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요홈부 또는 돌기부가 구비되어, 이들 돌기부와 요홈부가 서로 삽입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로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와 튜브는 상기 요크의 스토퍼 플렌지를 상기 튜브의 대경부 외측에 코킹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로터.
  4. 마그넷의 내주면과 요크의 외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마그넷의 돌기부 또는 요홈부를 각각 상기 요크의 요홈부 또는 돌기부에 삽입하면서 마그넷의 단부를 요크의 단부에 구비된 스토퍼 플렌지에 안착시켜 마그넷과 요크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요크의 내측에 상기 튜브를 삽입하여 상기 요크의 단부를 상기 튜브의 단부에 구비된 결합 플렌지에 안착시켜 요크와 튜브를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와 튜브를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요크의 내주면과 상기 튜브의 외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본딩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와 튜브를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요크의 돌기부 또는 요홈부을 각 각 상기 튜브의 요홈부 또는 돌기부에 삽입하면서 요크의 단부를 튜브의 단부에 구비된 결합 플렌지에 안착시켜 요크와 튜브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와 튜브를 결합한 후, 상기 요크의 스토퍼 플렌지와 상기 튜브의 대경부 외측 사이를 코킹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
KR1020090026887A 2009-03-30 2009-03-30 토크 로터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279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887A KR101279774B1 (ko) 2009-03-30 2009-03-30 토크 로터 및 이의 제작방법
DE102010012905A DE102010012905A1 (de) 2009-03-30 2010-03-26 Drehmomentroto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12/748,130 US8482177B2 (en) 2009-03-30 2010-03-26 Torque ro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0076124A JP5207322B2 (ja) 2009-03-30 2010-03-29 トルクロータ及びその製作方法
CN201010155411XA CN101854097B (zh) 2009-03-30 2010-03-30 转矩转子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887A KR101279774B1 (ko) 2009-03-30 2009-03-30 토크 로터 및 이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729A true KR20100108729A (ko) 2010-10-08
KR101279774B1 KR101279774B1 (ko) 2013-07-04

Family

ID=42783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887A KR101279774B1 (ko) 2009-03-30 2009-03-30 토크 로터 및 이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82177B2 (ko)
JP (1) JP5207322B2 (ko)
KR (1) KR101279774B1 (ko)
CN (1) CN101854097B (ko)
DE (1) DE102010012905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2236A1 (ko) * 2014-08-28 2016-03-0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토크 센서 장치
WO2016032237A1 (ko) * 2014-08-28 2016-03-0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토크 센서 장치
KR20160027275A (ko) * 2014-08-28 2016-03-10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토크 센서 장치
KR20160027274A (ko) * 2014-08-28 2016-03-10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토크 센서 장치
KR20160081135A (ko) 2014-12-30 2016-07-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센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각 센싱장치
JP2016148680A (ja) * 2011-04-25 2016-08-18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トルクセンサーのローター
KR20170022858A (ko) * 2016-04-29 2017-03-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로터, 이를 포함하는 토크 센서와 전동식 조향장치
KR20170082912A (ko) * 2016-01-07 2017-07-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로터, 이를 포함하는 토크 센서와 전동식 조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2866B1 (ko) 2011-08-25 2018-05-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마그네트 이탈 방지구조
KR101821320B1 (ko) 2014-04-03 2018-01-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토크 센서
KR102293351B1 (ko) * 2014-12-30 2021-08-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센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각 센싱장치
US9810592B2 (en) 2015-08-20 2017-11-07 Lg Innotek Co., Ltd. Rotor, and torque sensor and electronic power stee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656078B1 (ko) * 2016-07-19 2024-04-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센서 장치
US20180086364A1 (en) * 2016-09-23 2018-03-29 Mando Corporation Steering column for vehicle
US10214089B2 (en) * 2016-10-18 2019-02-26 Richard Chi-Hsueh Energy efficient vehicle
KR101939393B1 (ko) * 2018-05-17 2019-01-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마그네트 이탈 방지구조
KR102106294B1 (ko) * 2018-09-21 2020-05-04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
JP7447714B2 (ja) 2020-07-10 2024-03-12 日本精工株式会社 トルクセンサ及びステアリ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4525A (en) * 1983-06-27 1986-06-10 General Electric Company Rotatable assembly for a dynamoelectric machine
JPS62203537A (ja) * 1986-02-28 1987-09-08 Hitachi Ltd 電動機用回転子
JPH0681437B2 (ja) * 1987-05-19 1994-10-12 三菱電機株式会社 磁石発電機
JPH03253249A (ja) * 1990-02-28 1991-11-12 Daido Steel Co Ltd 永久磁石を用いたモータ用回転子
JPH05300679A (ja) * 1992-04-17 1993-11-12 Asmo Co Ltd モータのロータ止着構造
JPH0641380U (ja) * 1992-09-11 1994-05-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永久磁石ローター
JPH09191589A (ja) * 1996-01-12 1997-07-22 Fuji Electric Co Ltd 回転電機の磁石付回転子
JP3809978B2 (ja) * 1997-07-22 2006-08-16 株式会社ミツバ 回転電機のマグネット固定方法
JP2000055752A (ja) * 1998-08-03 2000-02-25 Kayaba Ind Co Ltd トルク検出装置
DE10008539C2 (de) * 2000-02-24 2003-02-27 Bosch Gmbh Robert Messvorrichtung zur berührungslosen Erfassung eines Drehwinkels oder eines Drehmoments
TW513841B (en) * 2000-04-04 2002-12-11 Bosch Gmbh Robert Rotor
JP2003174745A (ja) * 2001-12-06 2003-06-20 Nidec Shibaura Corp ブラシレスdcモータ用回転子
JP2007244151A (ja) * 2006-03-10 2007-09-20 Jtekt Corp モータ
JP2007240496A (ja) * 2006-03-13 2007-09-20 Kayaba Ind Co Ltd トルクセンサ
JP4899737B2 (ja) * 2006-09-14 2012-03-21 日立電線株式会社 トルクセンサ
JP2008104311A (ja) * 2006-10-20 2008-05-01 Honda Motor Co Ltd 磁石回転子
KR100915365B1 (ko) * 2007-10-25 2009-09-03 영 춘 정 무정류자 모터의 회전자
KR101172095B1 (ko) * 2007-07-04 2012-08-10 주식회사 만도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
CN101257229A (zh) * 2008-04-11 2008-09-03 佛山市顺德区金泰德胜电机有限公司 一种永磁转子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48680A (ja) * 2011-04-25 2016-08-18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トルクセンサーのローター
WO2016032236A1 (ko) * 2014-08-28 2016-03-0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토크 센서 장치
WO2016032237A1 (ko) * 2014-08-28 2016-03-0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토크 센서 장치
KR20160027275A (ko) * 2014-08-28 2016-03-10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토크 센서 장치
KR20160027274A (ko) * 2014-08-28 2016-03-10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토크 센서 장치
US10067015B2 (en) 2014-08-28 2018-09-04 Ls Automotive Technologies Co., Ltd. Torque sensor device
US10088377B2 (en) 2014-08-28 2018-10-02 Ls Automotive Technologies Co., Ltd. Torque sensor device
KR20160081135A (ko) 2014-12-30 2016-07-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센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각 센싱장치
KR20170082912A (ko) * 2016-01-07 2017-07-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로터, 이를 포함하는 토크 센서와 전동식 조향장치
KR20170022858A (ko) * 2016-04-29 2017-03-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로터, 이를 포함하는 토크 센서와 전동식 조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9774B1 (ko) 2013-07-04
DE102010012905A1 (de) 2010-12-30
JP2010237211A (ja) 2010-10-21
US8482177B2 (en) 2013-07-09
CN101854097B (zh) 2012-12-05
JP5207322B2 (ja) 2013-06-12
US20100244606A1 (en) 2010-09-30
CN101854097A (zh)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9774B1 (ko) 토크 로터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128608B1 (ko) 토크 앵글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조향장치
US8397588B2 (en) Torque angle sensor and electronic power ste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6745802B2 (ja) トルクセンサー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操舵角センシング装置
US8418570B2 (en) Torque sensor
KR101098117B1 (ko) 토크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EP2832626B1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KR20100006435U (ko) 일렉트릭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CN107406095A (zh) 用于向机电动力转向系统的转向轴中引入辅助扭矩的设备
JP2009106125A (ja) モータの回転角検出装置
KR20150029943A (ko) 전동식 조향장치의 토크 센서
KR20150034984A (ko) 스테이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토크 센서
KR101208178B1 (ko) 토크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조향장치
KR101172095B1 (ko) 토크 로터의 제작방법
KR102327340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102293351B1 (ko) 토크센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각 센싱장치
KR20120053166A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KR20120139968A (ko) 토크 센서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20090093422A (ko) 토크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조향장치
KR100621346B1 (ko) 축 연결 부재를 가지는 감속기구를 구비한 자동차의 전기식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1033958B1 (ko) 토크 센서의 고정방법
JP2012194144A (ja) トルクセンサ
KR20100031352A (ko) 토크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조향장치
JP2008279809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708942B1 (ko) 토크앵글센서와 컬럼하우징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