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8433A - 이동국 및 기지국장치 - Google Patents

이동국 및 기지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8433A
KR20100108433A KR1020107018189A KR20107018189A KR20100108433A KR 20100108433 A KR20100108433 A KR 20100108433A KR 1020107018189 A KR1020107018189 A KR 1020107018189A KR 20107018189 A KR20107018189 A KR 20107018189A KR 20100108433 A KR20100108433 A KR 20100108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interval
uplink shared
mobile station
downlink control
share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8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7012B1 (ko
Inventor
히로유키 이시이
아닐 우메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00108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이동국(100)은, 수신한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1 시간간격에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부(1110)와,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3 시간간격에서 수신한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2 시간간격에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재송부(110)를 구비하고, 제3 시간간격이, 이동국(100)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과 겹쳐있는 경우에, 송신부(110)는, 제1 시간간격에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고, 그리고, 재송부(110)는, 제2 시간간격에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이동국 및 기지국장치 {MOBILE STATION AND BASE ST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기지국장치에 의해서 지시된 제1 시간간격에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고,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2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국, 및, 이동국으로부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지국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방식의 이동국 및 기지국장치에 관한 것이다.
WCDMA 방식이나 HSDPA 방식의 후계가 되는 통신 방식, 즉, LTE 방식이, WCDMA 방식의 표준화단체 3GPP에 의해 검토되고 있다.
상기 LTE 방식에서는, 무선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가 이용되고,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가 이용된다.
OFDMA는, 특정의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여, 각 주파수대 상에 데이터를 실어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OFDMA에 의하면, 서브캐리어를, 주파수 상에서 일부 서로 겹치면서도 서로 간섭하지 않게 촘촘히 나열함으로써, 고속 전송을 실현하고, 주파수의 이용효율을 올릴 수 있다.
또, SC-FDMA는, 특정의 주파수대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이동국간에 다른 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복수의 이동국간에 있어서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는 전송방식이다. SC-FDMA에 의하면, 송신전력의 변동이 작아지는 특징을 가짐으로써, 이동국의 저소비 전력화 및 넓은 커버리지를 실현할 수 있다.
LTE 방식은,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모두, 1개 내지 2개 이상의 물리채널을 복수의 이동국에서 공유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이다. 상기 복수의 이동국에서 공유되는 채널은, 일반적으로, 공유채널(shared channel)이라 불리고 있다.
LTE 방식에서는, 상향링크의 공유채널(물리채널)을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이라 부르며, 하향링크의 공유채널(물리채널)을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이라 부른다.
또, 상향링크의 공유채널(트랜스포트채널)을 'UL-SCH: Uplink Shared Channel'이라 부르며, 하향링크의 공유채널(트랜스포트채널)을 'DL-SCH: Downlink Shared Channel'이라 부른다.
그리고, 상술한 공유채널을 이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는, 서브프레임(Sub-frame)(LTE에서는, 1ms)마다, 어느 이동국장치에 대해서 상술한 공유채널을 할당하는지를 시그널링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서브프레임은, 일반적으로는, 'TTI(송신시간간격: Transmission Time Interval')라 불려도 좋다.
상기 시그널링에 이용되는 제어채널은, LTE 방식에서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라 불린다.
또한, 상술한 PDCCH는, '하향 L1/L2 제어채널(DL L1/L2 Control Channel)' 또는 '하향링크 제어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이라 불려도 좋다.
예를 들어,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 상에서 송신되는 정보에는, '하향링크 스케줄링정보 또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인포메이션(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Uplink Scheduling Grant)', '송신전력 제어 커맨드 비트(Transmission Power Control command Bit)' 등이 포함된다.
또, 하향링크에 있어서는, HARQ 인디케이터 채널을 통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관한 HARQ 인디케이터(ACK(Acknowledgement)/NACK(Nagative Acknowledgement)가 송신된다.
상기 HARQ 인디케이터 채널은, 물리채널로서는, '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PHICH)'이다.
상술한 하향링크 스케줄링정보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가, 어느 이동국에 대해서 상술한 공유채널을 할당하는가에 대해서 시그널링하기 위한 정보에 상당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하향링크 스케줄링정보에는,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에 관한 '하향링크의 리소스 블록(Resource Block)의 할당 정보'나 '이동국(UE)의 ID'나 '스트림의 수'나 '프리코딩 벡터(Precoding Vector)에 관한 정보'나 '데이터 사이즈'나 '변조 방식'이나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하향링크 스케줄링정보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라 불려도 좋으며, '하향링크 어사인먼트정보'라 불려도 좋다.
예를 들어, 상술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는,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에 관한 '상향링크의 리소스의 할당 정보'나 '이동국(UE)의 ID'나 '데이터 사이즈'나 '변조 방식'이나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정보'나 '업링크 MIMO(Uplink MIMO)에 있어서의 디모듈레이션 레퍼런스 시그널(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의 정보' 등이 포함된다.
그런데, LTE 방식의 상향링크에서는, HARQ의 방식으로서, 동기형의 하이브리드 자동재송제어(Synchronous HARQ)가 적용되고 있다.
즉,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을 통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초회 송신의 타이밍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타이밍에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정한 주기로 재송된다.
도 1에 있어서는, 8 서브프레임의 주기로, 상향링크 공유신호가 재송되고 있다. 또한, 상향링크 공유신호는, 8 서브프레임 이외의 주기에서 재송되어도 좋다.
또,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은, HARQ 인디케이터, 또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기지국장치로부터 이동국에 대해서 지시된다.
HARQ 인디케이터에 의해,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이 지시되는 경우에는, 이동국은, 전회의 송신과 같은 리소스블록 및 변조방식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한다.
한편,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이 지시되는 경우에는, 이동국은, 상기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지정되는 리소스블록 및 변조방식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한다.
LTE 방식의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HARQ 제어에 관해서, 도 2를 이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HARQ의 처리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02(서브프레임 #i)(i는, i>0의 정수)에 있어서, 기지국장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이용하여, 이동국에, 서브프레임 #i+4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지시한다.
204(서브프레임 #i+4)에 있어서, 이동국은, 기지국장치에 대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고, 기지국장치는,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여 복호를 시도한다.
206(서브프레임 #i+8)에 있어서, 기지국장치는, 상기 복호결과에 기초하여, HARQ 인디케이터 또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장치는,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복호결과가 OK이었던 경우에는, HARQ 인디케이터(ACK)를 송신한다.
혹은, 기지국장치는, 해당 이동국의 송신버퍼 내에 신규로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신규로 송신해도 좋다.
한편, 기지국장치는,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복호결과가 NG였던 경우에는, HARQ 인디케이터(NACK)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한다.
206(서브프레임 #i+8)에 있어서, HARQ 인디케이터 채널을 통해서 NACK가 송신된 경우, 또는,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가 송신된 경우, 이동국은, 서브프레임 #i+12에 있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한다(208).
또한, 206(서브프레임 #i+8)에 있어서, HARQ 인디케이터 채널을 통해서 ACK가 송신된 경우, 또는, 신규의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가 송신된 경우, 204에서 송신된 상향링크 공유신호는, 서브프레임 #i+12에 있어서 재송되지 않는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이동국은,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셀로부터 인접 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를 전환하는 핸드오버(HO: Handover)가 수행된다.
그리고, 이동국은, 상기 핸드오버에 앞서서, 핸드오버처(target)의 후보가 되는 인접 셀에 있어서의 통신품질을 측정하고, 측정결과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품질로서는, 레퍼런스 신호의 수신레벨이나 수신 SINR 등이 상정된다.
기지국장치로의 측정보고는, '메저먼트 리포트(Measurement Report)'에 의해서 수행된다.
기지국장치는, 메저먼트 리포트에 기초하여, 이동국이 핸드오버해야 하는 것을 결정하고,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메시지가, 이동국에 '핸드오버 커맨드(Handover command)'로서 통지된다.
여기에서, 핸드오버처의 셀은, 동일 시스템 내의 동일 주파수의 셀 뿐 아니라, 동일 시스템 내의 다른 주파수의 셀일지도 모르며,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을 사용하고 있는 셀일지도 모른다.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고 있는 셀의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핸드오버원(source)과 다른 주파수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핸드오버처 셀의 주파수는, 핸드오버원 셀의 주파수와 다르다.
도 3은, 이(異)주파수의 셀간의 핸드오버가 수행되는 상황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3에서는, 제1 주파수(f1)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 및 제2 주파수(f2)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을 포함하는 LTE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과, f1 및 f2와는 다른 주파수(f3)를 사용하는 WCDMA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이동국은, 무선신호 처리부를 하나밖에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주파수의 각각에 대해서 동시에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재권 셀(서빙 셀)의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의 셀(이주파수 셀)에 있어서의 측정을 수행하는 경우, 수신 주파수를 다시 동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지국장치가, 이동국에 대해서, 측정을 위한 갭 기간을 통지하고, 이동국은, 해당 갭 기간에 있어서, 이주파수 셀에 있어서의 측정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기지국장치는, RRC 메저먼트 컨트롤에 의해, '갭 기간의 길이'나 '갭 기간이 찾아오는 주기'나 '이주파수 셀의 주파수' 등이, 이동국에 대해서 통지하고, 이동국은, 지정된 갭 기간 사이에, 이주파수 셀에 있어서의 측정(주파수의 변경, 동기채널의 포착, 품질측정, 주파수의 변경 등의 처리를 포함하는)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갭 기간은, 갭 기간이라 불려도 좋다. 도 4에, 상기 갭 기간의 이미지도를 나타낸다. 도 4에 있어서는, 갭 기간의 길이가 '6ms'인 갭 기간이, 40ms 주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이주파수 측정'은, 이주파수의 셀을 서치하고, 상기 셀에 있어서의 통신품질을 측정할 뿐 아니라, 이(異)RAT의 셀을 서치하고, 상기 셀에 있어서의 통신품질을 측정하는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국은, 갭 기간에, 이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결과로서, 상술한 갭 기간에 있어서는, 재권 셀(서빙 셀)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없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갭 기간이 존재하는 경우의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HARQ 제어에 대해서, 도 5를 이용하여 설명을 수행한다.
도 5에 있어서는, 갭 기간이 서브프레임 #i+1로부터 서브프레임 #i+6에 있어서 설정되어 있다. 즉,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i+4)이, 갭 기간에 포함되어 있다.
이 경우, 502(서브프레임 #i)에 있어서, 기지국장치가,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이용하여, 이동국에 대해서, 서브프레임 #i+4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지시했다고 해도, 이동국은, 504에 있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송신을 수행할 수 없다.
즉, 이동국은, 504에 있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송신을 스킵(skip)한다. 상기의 경우, 이동국은, 508에 있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수행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여기에서, 508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송신은, 실질적으로는, 초회의 송신이 되나, HARQ의 송신횟수라는 점에서는, 2회째의 송신이 된다.
그러나, 상술한 갭 기간이 존재하는 경우의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HARQ 제어방법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갭 기간은,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604)을 포함하고 있지는 않으나,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관한 HARQ 인디케이터 또는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606)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의 제어방법이 명확화되어 있지 않다.
둘째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갭 기간이,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604), 및,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관한 HARQ 인디케이터 또는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606)의양방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의 제어방법이 명확화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갭 기간이 존재하는 경우의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HARQ 제어방법에 관해서, 효율적으로, 그리고, Robust한 HARQ 제어를 실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국 및 기지국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은, 기지국장치에 의해서 지시된 제1 시간간격(time interval)에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고,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2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간격을 지시하는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수신부와,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부와,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3 시간간격에서,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수신부와,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재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시간간격이,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과 겹쳐있는 경우에,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1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재송부는, 상기 제2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의 특징은, 기지국장치에 의해서 지시된 제1 시간간격에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고,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2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간격을 지시하는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수신부와,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부와,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3 시간간격에서,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수신부와,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재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시간간격이,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과 겹쳐있는 경우에,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1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그리고, 상기 재송부는,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제2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의 특징은, 기지국장치에 의해서 지시된 제1 시간간격에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고,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2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간격을 지시하는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수신부와,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부와,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3 시간간격에서,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수신부와,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재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시간간격이,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과 겹쳐있는 경우에,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1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그리고, 상기 재송부는, 상기 제2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의 특징은, 기지국장치에 의해서 지시된 제1 시간간격에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고,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2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간격을 지시하는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수신부와,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부와,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3 시간간격에서,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수신부와,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재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시간간격이,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과 겹쳐있는 경우에, 상기 재송부는, 상기 제2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3 및 4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재송부는, 제3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3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의해서 지정되어 있는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에서, 상기 제3 하향링크 제어신호는,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4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이며,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는,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 또는 HARQ 인디케이터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4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은, 같은 주파수의 인접 셀, 다른 주파수의 인접 셀, 혹은, 다른 시스템의 인접 셀에 있어서의 수신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시간간격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5의 특징은, 이동국으로부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대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시간간격을 지시하는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송신부와, 상기 제1 시간간격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의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송신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수신부와, 상기 제1 수신부에 있어서의 수신결과에 기초하여,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3 시간간격에서,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송신부와, 상기 제2 시간간격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의해서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재송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시간간격이,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과 겹쳐있는 경우에, 상기 제1 수신부는, 상기 제1 시간간격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송신부는, 상기 제3 시간간격에 있어서,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그리고, 상기 제2 수신부는, 상기 제2 시간간격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부가, 상기 제1 시간간격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수신에 실패한 경우, 상기 제2 송신부는,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과 겹치지 않는 시간간격에 있어서, 제3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제2 수신부는, 상기 제3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의해서 지시된 시간간격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의해서 상기 제3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재송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6의 특징은, 이동국으로부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대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시간간격을 지시하는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송신부와, 상기 제1 시간간격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의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송신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수신부와, 상기 제1 수신부에 있어서의 수신결과에 기초하여,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3 시간간격에서,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송신부와, 상기 제2 시간간격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의해서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재송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시간간격이,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과 겹쳐있는 경우에, 상기 제1 수신부는, 상기 제1 시간간격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상기 제2 송신부는, 상기 제3 시간간격에 있어서,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그리고, 상기 제2 수신부는, 상기 제2 시간간격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7의 특징은, 기지국장치에 의해서 지시된 제1 시간간격에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고,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2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간격을 지시하는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수신부와,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부와,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3 시간간격에서,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수신부와,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재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시간간격이,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과 겹쳐있는 경우에, 상기 제2 수신부는,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정보로서 긍정응답을 수신했다고 간주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8의 특징은, 이동국으로부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대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시간간격을 지시하는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송신부와, 상기 제1 시간간격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의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송신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수신부와, 상기 제1 수신부에 있어서의 수신결과에 기초하여,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3 시간간격에서,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송신부와, 상기 제2 시간간격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의해서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재송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시간간격이,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과 겹쳐있는 경우에, 상기 제2 송신부는,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정보로서 긍정응답을 송신했다고 간주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LTE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공유채널 신호가 재송되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LTE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HARQ 재송제어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은, 이주파수 셀간의 핸드오버 제어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이주파수 셀간의 핸드오버 제어에 있어서의 갭 기간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는, 갭 기간이 존재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HARQ 재송제어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갭 기간이 존재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HARQ 재송제어의 문제점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은, 갭 기간이 존재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HARQ 재송제어의 문제점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국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기지국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패턴 1)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패턴 1)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패턴 2)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패턴 2)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패턴 3)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패턴 3)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패턴 4)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패턴 5)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패턴 6)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패턴 7)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패턴 8)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패턴 9)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패턴 10)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패턴 11)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1000)은, 예를 들어, LTE 방식이 적용되어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이며, 복수의 이동국(1001 내지 100n)과, 복수의 이동국(1001 내지 100n)과의 사이에서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200)와, 기지국장치(200) 및 코어 네트워크(400)에 접속되어 있는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상위국)(300)를 구비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는, MME/SGW(Mobility Management Entity/Serving Gateway)라 불려도 좋다.
또한, 상술한 LTE 방식은, 'Evolved UTRA and UTRAN, 혹은, Super 3G' 방식이라 불려도 좋다. 여기에서, 복수의 이동국(1001 내지 100n)은,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의 사이에서, LTE 방식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이동국(1001, 1002, 1003, … 100n)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 기능, 상태를 가지기 때문에, 특단의 단서가 없는 한, 이동국(100)으로서 설명을 진행한다.
이동통신시스템(1000)은,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OFDMA(주파수분할 다원접속)를 이용하고,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SC-FDMA(싱글 캐리어-주파수분할 다원접속)를 이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LTE 방식에 있어서의 통신채널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향링크에서는, 각 이동국(100)에서 공유하여 사용되는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과,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 이용된다.
하향링크에서는, 상술한 PDCCH 내에 맵핑되는 하향링크 스케줄링정보에 의해,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에 맵핑되는 유저의 정보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가 통지되고, 상기 PDCCH 내에 맵핑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에 맵핑되는 유저의 정보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가 통지된다.
또,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에 의해, 유저 데이터가 전송된다. 또한,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에 의해, 트랜스포트 채널로서는, DL-SCH가 전송된다.
또한, 하향링크에서는,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관한 HARQ 인디케이터가, HARQ 인디케이터 채널을 통해서 송신된다. 상기 HARQ 인디케이터 채널은, 물리채널로서는, '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PHICH)'이다.
HARQ 인디케이터에 의해 통지되는 정보는, 긍정응답인 'ACK: Acknowlege ment'이나, 부정응답인 'NACK: Nagative Acknowledgement'이어도 좋다.
상향링크에서는, 각 이동국(100)에서 공유하여 사용되는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과, LTE 방식용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이 이용된다.
또한, 상향링크 제어채널에는,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과 시간 다중되는 채널, 및,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과 주파수 다중되는 채널의 2 종류가 있다.
상향링크에서는, LTE 방식용의 상향제어채널에 의해, 하향링크에 있어서의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의 스케줄링이나, 적응 변조·부호화(AMCS: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에 이용하기 위한 하향링크의 품질정보(CQI: Channel Quality Indicator)나,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의 송달확인정보(HARQ ACK information)가 전송된다.
또,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에 의해, 유저데이터가 전송된다. 또한,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에 의해, 트랜스포트 채널로서는, UL-SCH가 전송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국(100)은, 송수신 안테나(101)와, 앰프부/수신부(102)와, L1 수신부(103)와, MAC 처리부(DL)(104)와, RLC/PDCP 처리부(DL)(105)와, 애플리케이션(106)과, 호처리부/Measurement부(107)와, 앰프부/송신부(108)와, L1 송신부(109)와, MAC 처리부(UL)/UL-HARQ 제어부(110)와, RLC/PDCP 처리부(UL)(111)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MAC 처리부(DL)(104)는, 기지국 장치로부터, 제1 시간간격(제1 기간)을 지시하는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초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MAC 처리부(DL)(104)는, 기지국장치로부터,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3 시간간격에서,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 또는 HARQ 인디케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MAC 처리부(DL)(104)는, 기지국 장치로부터, 제3 하향링크 제어신호(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MAC 처리부(UL)/UL-HARQ 제어부(110)는, 기지국장치(200)에 의해서 지시된 제1 시간간격에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고,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2 시간간격에서 해당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MAC 처리부(UL)/UL-HARQ 제어부(110)는, MAC 처리부(DL)(104)에 의해서 수신된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1 시간간격에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MAC 처리부(UL)/UL-HARQ 제어부(110)는, MAC 처리부(DL)(104)에 의해서 수신된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2 시간간격에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MAC 처리부(UL)/UL-HARQ 제어부(110)는, MAC 처리부(DL)(104)에 의해서 수신된 제3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의해서 지시되어 있는 시간간격에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기지국장치(200)는, 송수신 안테나(201A)와, 앰프부/수신부(201)와, L1 수신부(202)와, MAC 처리부(UL)/UL-HARQ 제어부(203)와, RLC/PDCP 처리부(UL)(204)와, 전송로 인터페이스(205)와, 호처리부/Measurement 제어부(206)와, RLC/PDCP 처리부(DL)(207)와, MAC 처리부(DL)(208)와, L1 송신부(209)와, 앰프부/송신부(21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MAC 처리부(UL)/UL-HARQ 제어부(203)는, 이동국(100)으로부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MAC 처리부(UL)/UL-HARQ 제어부(203)는, 제1 시간간격에 있어서, 이동국(100)에 의해서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송신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MAC 처리부(UL)/UL-HARQ 제어부(203)는, 제2 시간간격에 있어서, 이동국(100)에 의해서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재송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MAC 처리부(DL)(208)는, 이동국(100)에 대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시간간격을 지시하는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MAC 처리부(DL)(208)는, MAC 처리부(UL)/UL-HARQ 제어부(203)에 있어서의 수신결과에 기초하여,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3 시간간격에서,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
이하, 도 11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수행되는 구체적인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HARQ 제어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패턴 1>
패턴 1의 HARQ 제어에 대해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패턴 1의 HARQ 제어는, 제1 시간간격이, 갭 기간(이동국(100)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measurement gap))과 겹쳐있지 않으나, 제3 시간간격이, 갭 기간과 겹쳐있는 경우의 HARQ 제어이다.
여기에서, 갭 기간(메저먼트 갭 기간)은, 같은 주파수의 인접 셀, 다른 주파수의 인접 셀, 혹은, 다른 시스템의 인접 셀에 있어서의 수신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시간간격이다.
상기의 경우, 이동국(100)은, 제1 시간간격(도 11에 있어서의 908A, 서브프레임 #i+4)에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고, 제2 시간간격(도 11에 있어서의 908A, 서브프레임 #i+12)에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동국(100)은, 제3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도 11에 있어서의 910A, 서브프레임 #i+16), 해당 제3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의해서 지시되어 있는 시간간격(도 11에 있어서의 912A, 서브프레임 #i+20)에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기지국장치(200)는, 제1 시간간격(도 11에 있어서의 908A, 서브프레임 #i+4)에 있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고, 제3 시간간격(도 11에 있어서의 906A, 서브프레임 #i+8)에 있어서,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그리고, 제2 시간간격(도 11에 있어서의 908A, 서브프레임 #i+12)에 있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갭 기간이,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나,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관한 HARQ 인디케이터 또는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서, 그리고,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복호결과(904A에 있어서의 복호결과)가 NG였던 경우의 기지국장치(200) 및 이동국(10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902A(서브프레임 #i)(i는, i>0의 정수)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이용하여, 이동국(100)에 대해서, 서브프레임 #i+4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지시한다.
904A(서브프레임 #i+4)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기지국장치(200)에 대해서,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을 통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고, 기지국장치(200)는,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복호를 수행한다. 도 11의 예에서는, 상기 복호의 결과는 NG인 것으로 한다.
906A(서브프레임 #i+8)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이동국(100)에 대해서, HARQ 인디케이터도,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도 송신하지 않는다.
이는, 서브프레임 #i+8이, 이동국(100)의 갭 기간에 포함되어 있으며, HARQ 인디케이터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했다고 해도, 이동국(100)은, 상기 HARQ 인디케이터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할 수 없기 때문이다.
908A(서브프레임 #i+12)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904A에 있어서 송신한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 경우, 이동국(100)은, 906A에 있어서, HARQ 인디케이터 채널에 의해, ACK가 통지되었다고 간주해도 좋다. 즉, 이동국은, 906A에 있어서, HARQ 인디케이터 채널에 의해, ACK를 통지받은 경우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또, 기지국장치(200)도, 908A에 있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가 재송되지 않는다고 상정하고, 해당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복호처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갭 기간과 겹치지 않는 서브프레임(시간간격)에 있어서, 예를 들어, 910A(서브프레임 #i+16)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이용하여, 이동국(100)에 대해서, 서브프레임 #i+20에 있어서, 904A에 있어서 송신된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수행하는 것을 지시한다.
912A(서브프레임 #i+20)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기지국장치(200)에 대해서, 904A에 있어서 송신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고, 기지국장치(200)는, 재송된 해당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고 복호를 수행한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910A에 있어서는, 기지국장치(200)는, 이동국(100)에 대해서, 상향링크의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했으나, 910A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이동국(100)에 대해서, 상향링크의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어, 기지국장치(200)는, 상향링크의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는 무선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또는,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위한 무선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동국(100)에 대해서, 상향링크의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이동국(100)은, 912A에 있어서, 904A에 있어서 송신된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는, 906A에 있어서, HARQ 인디케이터 채널에 의해 ACK가 송신된 경우와 동일한 동작이 된다(910B 및 912B와 동일한 동작이 된다).
이 경우도, 또한, 그 다음의 재송 타이밍,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i+24에 있어서는, 904A에 있어서 송신된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의 스케줄링 그랜트가 송신된 경우에는, 이동국(100)은, 서브프레임 #i+28에 있어서, 904A에 있어서 송신된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수행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처리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시간간격 및 제2 시간간격의 양방이, 갭 기간과 겹쳐있는 경우에 적용되어도 좋다. 본 처리에 있어서는, 제2 시간간격(도 12에 있어서의 908A, 서브프레임 #i+12)에 있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가 송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고, 그리고, 도 11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패턴 2>
패턴 2의 HARQ 제어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패턴 2의 HARQ 제어는, 제1 시간간격이, 갭 기간(이동국(100)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과 겹쳐있지 않으나, 제3 시간간격이, 갭 기간과 겹쳐있는 경우의 HARQ 제어이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갭 기간이,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나,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관한 HARQ 인디케이터 또는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서, 그리고,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복호결과(904B에 있어서의 복호결과)가 OK였던 경우의 기지국장치(200) 및 이동국(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902B(서브프레임 #i)(i는, i>0의 정수)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이용하여, 이동국(100)에 대해서, 서브프레임 #i+4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지시한다.
904B(서브프레임 번호 #i+4)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기지국장치(200)에 대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고, 기지국장치(200)는,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복호를 수행한다. 도 13에 있어서는, 상기 복호의 결과는 OK인 것으로 한다.
906B(서브프레임 #i+8)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이동국(100)에 대해서, HARQ 인디케이터도,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도 송신하지 않는다.
이는, 서브프레임 #i+8이, 이동국(100)의 갭 기간에 포함되어 있으며, HARQ 인디케이터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했다고 해도, 이동국(100)은, 상기 HARQ 인디케이터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할 수 없기 때문이다.
908B(서브프레임 #i+12)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904B에 있어서 송신한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 경우, 이동국(100)은, 906B에 있어서, HARQ 인디케이터에 의해, ACK를 통지했다고 간주해도 좋다. 즉, 이동국(100)은, 906A에 있어서, HARQ 인디케이터 채널에 의해, ACK를 통지받은 경우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또, 기지국장치(200)도, 908B에 있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가 재송되지 않는다고 상정하고,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복호처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910B(서브프레임 #i+16)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이동국(100)에 대해서, 904B에 있어서 송신된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수행하는 것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는 송신하지 않는다.
이는, 904B에 있어서 송신된 상향링크 공유신호는, 이미 올바르게 복호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912B(서브프레임 #i+20)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기지국장치(200)에 대해서, 아무것도 송신하지 않는다.
또한, 910B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이동국(100)에 대해서, 신규의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해도 좋다. 이 경우, 912B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기지국장치(200)에 대해서,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기초하여, 신규의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상술한 처리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시간간격 및 제2 시간간격의 양방이, 갭 기간과 겹쳐있는 경우에 적용되어도 좋다. 본 처리에 있어서는, 제2 시간간격(도 14에 있어서의 908B, 서브프레임 #i+12)에 있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가 송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고, 그리고, 도 13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1 및 도 13에 있어서는 기지국장치(200) 및 이동국(100)의 처리를 정리하면, 이동국(100)은,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대한 HARQ 인디케이터, 또는,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가 송신되는 타임프레임(time frame)(서브프레임)이, 갭 기간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가 올바르게 복호되었다고 간주하고,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즉, 이동국(100)은, 갭 기간에 포함되어 있던 HARQ 인디케이터 채널이 ACK를 통지했다고 간주한다. 이 경우,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는, 상향링크의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재송이 지시될 때까지, 재송되지 않는다.
또, 기지국장치(200)는, 상술한 상향링크 공유신호가 올바르게 복호되지 않은 경우(904A)에는, 그 후의 타이밍(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의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지시한다(910A).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패턴 1/2)의 효과는, 이하와 같다.
LTE 방식의 상향링크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오류율이 10%∼30%가 되도록, AMC(적응변조·부호화)가 수행되기 때문에, 904A 또는 904B에 있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가 올바르게 복호되는 확률이, 상향링크 공유신호가 올바르게 복호되지 않는 확률보다도 높다.
따라서, 906A에 있어서 송신되어야 하는 HARQ 인디케이터가 ACK라고 간주하고, 908A 또는 908B에 있어서, 904A 또는 904B에 있어서 송신된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908A 또는 908B의 무선 리소스를, 그 밖의 이동국, 혹은, 이동국(100)의 신규의 데이터 송신에 할당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결과로서, 효율적인 통신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설령, 904A에 있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가 올바르게 복호되지 않는 경우에도, 910A 및 912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후의 타이밍(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의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904A에 있어서 송신된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지시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재송의 기회가 잃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904A에 있어서, 906A에 있어서 송신되어야 하는 HARQ 인디케이터가 ACK라고 간주해도 문제를 발생하지 않는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HARQ 인디케이터가 ACK이다, 혹은, ACK라고 간주한다'란, '상향링크 공유신호가 올바르게 수신된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직후의 재송 타이밍에서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유보할지도 모르는 것'을 의미한다고 해석되어도 좋다.
그리고,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받은 것을 조건으로, 재송이 수행된다.
따라서, 이동국(100)이, 이 정의에 의한 ACK를 받았다, 혹은, 상기 ACK를 받았다고 간주했다고 해도, 송신완료의 상향링크 공유신호 내의 데이터를 파기하면 안 되며, 재송버퍼에 보유해 둘 필요가 있다.
이동국(100)은, 기지국장치(200)로부터 ACK를 받았다 혹은 ACK를 받았다고 간주한 HARQ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신규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지시받은 경우, 또는, HARQ의 재송횟수가 최대 재송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술한 송신완료의 상향링크 공유신호 내의 데이터를 파기하게 된다.
또, 도 11 및 도 13에 있어서, 초회 송신의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대한 HARQ 인디케이터 또는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가, 갭 기간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냈으나, 2회째 송신 이후의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대한 HARQ 인디케이터 또는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가, 갭 기간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동일한 처리가 적용된다.
이 경우, 902A 및 902B에 있어서의 상향링크의 스케줄링 그랜트는, 재송을 지시하는 HARQ 인디케이터여도 좋으며,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의 스케줄링 그랜트여도 좋다.
<패턴 3>
패턴 3의 HARQ 제어에 대해서, 도 15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패턴 3의 HARQ 제어는, 제1 시간간격이, 갭 기간(이동국(100)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과 겹쳐있지 않으나, 제3 시간간격이, 갭 기간과 겹쳐있는 경우의 HARQ 제어이다.
상기의 경우, 이동국(100)은, 제1 시간간격(도 15에 있어서의 1004, 서브프레임 #i+4)에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그리고, 제2 시간간격(도 15에 있어서의 1008, 서브프레임 #i+12)에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갭 기간이,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있지는 않으나,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관한 HARQ 인디케이터 또는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의 기지국장치(200) 및 이동국(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002(서브프레임 #i)(i는, i>0의 정수)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이용하여, 이동국(100)에 대해서, 서브프레임 #i+4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지시한다.
그러나, 1004(서브프레임번호 #i+4)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기지국장치(200)에 대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또, 기지국장치(200)는,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수신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는,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관한 HARQ 인디케이터 또는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i+8이, 이동국(100)의 갭 기간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설령, 이동국(100)이,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했다고 해도, 해당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대한 HARQ 인디케이터 또는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가, 갭 기간에 의해, 수신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 그 자체의 송신이 캔슬(cancel)된다.
1006(서브프레임 #i+8)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이동국(100)에 대해서, HARQ 인디케이터도,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도 송신하지 않는다.
이는, 서브프레임 #i+8이, 이동국(100)의 갭 기간에 포함되어 있으며, HARQ 인디케이터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했다고 해도, 이동국(100)은, 상기 HARQ 인디케이터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할 수 없기 때문이다.
1008(서브프레임 #i+12)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1004에 있어서 송신될 것이었던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 경우, 이동국(100)은, 1006에 있어서, HARQ 인디케이터 채널에 의해, ACK가 통지되었다고 간주해도 좋다. 즉, 이동국은, 1006에 있어서, HARQ 인디케이터 채널에 의해, ACK를 통지받은 경우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또, 기지국장치(200)도, 1008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가 재송되지 않는다고 상정하고,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복호처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1010(서브프레임 #i+16)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이용하여, 이동국(100)에 대해서, 서브프레임 #i+20에 있어서, 1004에 있어서 송신될 것이었던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수행하는 것을 지시한다.
1012(서브프레임 #i+20)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기지국장치(200)에 대해서, 1004에 있어서 송신될 것이었던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고, 기지국장치(200)는, 재송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고 복호한다. 또한, 1012 이후의 HARQ 제어는, 통상의 HARQ 제어와 동일해진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101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이동국(100)에 대해서, 상향링크의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했으나, 101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이동국(100)에 대해서, 상향링크의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어, 기지국장치(200)는, 상향링크의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는 무선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또는, 상술한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위한 무선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동국(100)에 대해서, 상향링크의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이동국(100)은, 1012에 있어서, 1004에 있어서 송신될 것이었던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는, 1006에 있어서, HARQ 인디케이터 채널에 의해 ACK가 송신된 경우와 동일한 동작이 된다.
이 경우도, 또한, 그 다음의 재송 타이밍,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i+24에 있어서는, 1004에 있어서 송신될 것이었던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의 스케줄링 그랜트가 송신된 경우에는, 이동국은, 서브프레임 #i+28에 있어서, 1004에 있어서 송신될 것이었던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수행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처리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시간간격 및 제2 시간간격의 양방이, 갭 기간과 겹쳐있는 경우에 적용되어도 좋다. 본 처리에 있어서는, 제2 시간간격(도 16에 있어서의 1008, 서브프레임 #i+12)에 있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가 송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고, 그리고, 도 15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5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200) 및 이동국(100)의 처리를 정리하면, 이동국(100)은,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대한 HARQ 인디케이터 또는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가 송신되는 타임프레임(서브프레임)이, 갭 기간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송신 그 자체를 정지한다.
또, 이동국(100)은, 갭 기간에 포함되어 있던 HARQ 인디케이터 채널이 ACK를 통지했다고 간주하고, 그 후의 처리를 수행한다. 즉,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재송이 지시될 때까지, 이동국(100)은,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 기지국장치(200)는, 그 후의 타이밍에서, 상향링크의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지시한다(1010).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HARQ 인디케이터가 ACK이다, 혹은, ACK라고 간주한다'란, '상향링크 공유신호가 올바르게 수신된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직후의 재송 타이밍에서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유보할지도 모르는 것'을 의미한다고 해석되어도 좋다.
그리고,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받은 것을 조건으로, 재송이 수행된다.
따라서, 이동국(100)이, 이 정의에 의한 ACK를 받았다, 혹은, 상기 ACK를 받았다고 간주했다고 해도, 송신완료의 상향링크 공유신호 내의 데이터를 파기하면 안 되며, 재송버퍼에 보유해 둘 필요가 있다.
이동국(100)은, 기지국장치(200)로부터 ACK를 받았다 혹은 ACK를 받았다고 간주한 HARQ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신규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지시받은 경우, 또는, HARQ의 재송횟수가 최대 재송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술한 송신완료의 상향링크 공유신호 내의 데이터를 파기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패턴 3)의 효과는, 이하와 같다.
일반적으로, HARQ의 제어는, 송달확인정보(이 경우, HARQ 인디케이터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성립되고 있다.
따라서, 이동국(100)에 있어서, 상기 송달확인정보가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은 것이 사전에 판명되고 있는 경우에는, 원래의 데이터신호 그 자체(이 경우,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송신을 정지한다는 방법이, 가장 안전한 제어방법이다.
또,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재송이 지시되기까지, 이동국(100)은,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동작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도 15에 있어서의 1008에 있어서, 유연한 리소스 할당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도 15에 도시한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안전하고, 그리고, 효율적인 상향링크의 HARQ 제어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유연한 리소스 할당에 관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상향링크에 있어서는, 재송하는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PRACH 신호와 재송의 상향링크 공유신호가 충돌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는, 상술한 재송의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송신을 위해서,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고, 상술한 재송의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주파수 리소스를, 상술한 PRACH 신호와 충돌하지 않도록 변경하는 등 처리가 수행된다.
그러나, 도 15에 도시한 경우에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1006)이, 갭 기간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처리를 수행할 수 없다. 즉, 1008에 있어서, PRACH 신호와 상술한 재송의 상향링크 공유신호가 충돌한다는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재송이 지시될 때까지, 이동국(100)은,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동작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도 15에 있어서의 1008에 있어서, 유연한 리소스 할당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유연한 리소스 할당이란, 예를 들어, 상술한 PRACH 신호와 재송의 상향링크 공유신호와의 충돌을 피하는 것이 포함된다.
또한, 도 15에 있어서, 초회 송신의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대한 HARQ 인디케이터 또는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가, 갭 기간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냈으나, 2회째 송신 이후의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대한 HARQ 인디케이터 또는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가, 갭 기간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동일한 처리가 적용된다.
이 경우, 도 15의 1002에 있어서의 상향링크의 스케줄링 그랜트는, 재송을 지시하는 HARQ 인디케이터여도 좋으며,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의 스케줄링 그랜트여도 좋다.
<패턴 4>
패턴 4의 HARQ 제어에 대해서,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패턴 4의 HARQ 제어에 대해서, 상술한 패턴 1 내지 3의 HARQ 제어와의 차이점에 착목하여 설명한다.
패턴 4의 HARQ 제어는, 제1 시간간격이, 갭 기간(이동국(100)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과 겹쳐있지 않으나, 제3 시간간격이, 갭 기간과 겹쳐있는 경우의 HARQ 제어이다.
패턴 4의 HARQ 제어에서는, 이동국(100)은, 제1 시간간격(도 17에 있어서의 1104, 서브프레임 #i+4)에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그리고,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제2 시간간격(도 17에 있어서의 1108, 서브프레임 #i+12)에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기지국장치(200)는, 제1 시간간격(도 17에 있어서의 1104, 서브프레임 #i+4)에 있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제3 시간간격(도 17에 있어서의 1106, 서브프레임 #i+8)에 있어서,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그리고, 제2 시간간격(도 17에 있어서의 1108, 서브프레임 #i+12)에 있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고, 1110(서브프레임 #i+16)에 있어서,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패턴 4)의 효과는, 이하와 같다.
패턴 3에 있어서는, 도 15에 있어서의 1008에 있어서 유연한 리소스 할당을 실현하기 위해서, 1006에 있어서의 HARQ 인디케이터는 ACK라고 간주되고,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재송이 지시될 때까지, 이동국(100)은,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동작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동작에서는, 유연한 리소스 할당은 실현할 수 있으나, 상향링크 공유신호가 실제로 재송되는 타이밍이 1012가 되고, 대폭으로 늦어지게 된다. 즉,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이 지연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패턴 4에 있어서는, 1108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가 재송되기 때문에, 상술한 지연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패턴 4에 있어서는, 패턴 3과 마찬가지로, 송달확인정보가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은 것이 사전에 판명되고 있는 경우에는, 원래의 데이터신호 그 자체(이 경우,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송신을 정지한다는 방법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패턴 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안전한 HARQ 제어가 적용된다는 효과가 있다.
<패턴 5>
패턴 5의 HARQ 제어에 대해서,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패턴 5의 HARQ 제어에 대해서, 상술한 패턴 1 내지 3의 HARQ 제어와의 차이점에 착목하여 설명한다.
패턴 5의 HARQ 제어에서는, 이동국(100)은, 제1 시간간격(도 18에 있어서의 1204, 서브프레임 #i+4)에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고, 그리고,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제2 시간간격(도 18에 있어서의 1208, 서브프레임 #i+12)에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기지국장치(200)는, 제1 시간간격(도 18에 있어서의 1204, 서브프레임 #i+4)에 있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고, 제3 시간간격(도 18에 있어서의 1206, 서브프레임 #i+8)에 있어서,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그리고, 제2 시간간격(도 18에 있어서의 1208, 서브프레임 #i+12)에 있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고, 1210(서브프레임 #i+16)에 있어서,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패턴 5)의 효과는, 이하와 같다.
패턴 4에 있어서는,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이 지연된다는 문제를 저감하기 위해서, 유연한 리소스 할당을 희생시켜서, 1108에 있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이 수행되고 있었다.
그러나, 안전한 HARQ 제어를 실현하기 위해서, 1104에서는,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송신이 정지되어 있었다.
한편, 패턴 5에 있어서는, 1204에 있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송신이 수행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지연의 문제를 더욱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패턴 6>
패턴 6의 HARQ 제어에 대해서,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패턴 6의 HARQ 제어에 대해서, 상술한 패턴 1 내지 3의 HARQ 제어와의 차이점에 착목하여 설명한다.
패턴 6의 HARQ 제어는, 제1 시간간격이, 갭 기간(이동국(100)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과 겹쳐있으며, 그리고, 제3 시간간격도, 갭 기간과 겹쳐있는 경우의 HARQ 제어이다.
이하, 도 19를 참조하여, 갭 기간이,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리고,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관한 HARQ 인디케이터 또는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도 포함하고 있는 경우의 기지국장치(200) 및 이동국(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1302(서브프레임 #i)(i는, i>0의 정수)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이용하여, 이동국(100)에 대해서, 서브프레임 #i+4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지시한다.
1304(서브프레임 번호 #i+4)는, 이동국(100)의 갭 기간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1304(서브프레임 번호 #i+4)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기지국장치(200)에 대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할 수 없다.
1306(서브프레임 #i+8)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이동국(100)에 대해서, HARQ 인디케이터도,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도 송신하지 않는다.
이는, 서브프레임 #i+8이, 이동국(100)의 갭 기간에 포함되어 있으며, HARQ 인디케이터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했다고 해도, 이동국(100)은, 상기 HARQ 인디케이터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할 수 없기 때문이다.
1308(서브프레임 #i+12)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1304에 있어서 송신할 것이었던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 경우, 이동국(100)은, 1306에 있어서, HARQ 인디케이터 채널에 의해, ACK를 통지받았다고 간주해도 좋다. 즉, 이동국(100)은, 1306에 있어서, HARQ 인디케이터 채널에 의해, ACK를 통지받은 경우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또, 기지국장치(200)도, 1308에 있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가 재송되지 않는다고 상정하고,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복호처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1310(서브프레임 #i+16)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이동국(100)에 대해서, 1304에 있어서 송신될 것이었던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수행하는 것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한다.
1312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1310(서브프레임 #i+16)에 있어서 수신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기초하여, 1304에 있어서 송신될 것이었던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한다.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패턴 6)의 효과는, 이하와 같다.
상향링크에 있어서는, 재송하는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PRACH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PRACH 신호와 재송의 상향링크 공유신호가 충돌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는, 상술한 재송의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송신을 위해서,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고, 상술한 재송의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주파수 리소스를, 상술한 PRACH 신호와 충돌하지 않도록 변경하는 등 처리가 수행된다.
그러나, 도 19에 도시한 경우에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1306)이, 갭 기간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처리를 수행할 수 없다. 즉, PRACH 신호와 상술한 재송의 상향링크 공유신호가 충돌한다는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재송이 지시될 때까지, 이동국(100)은,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동작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도 19에 있어서의 1308에 있어서, 유연한 리소스 할당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유연한 리소스 할당이란, 예를 들어, 상술한 PRACH 신호와 재송의 상향링크 공유신호와의 충돌을 피하는 것이 포함된다.
<패턴 7>
패턴 7의 HARQ 제어에 대해서,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패턴 7의 HARQ 제어에 대해서, 상술한 패턴 6의 HARQ 제어와의 차이점에 착목하여 설명한다.
패턴 7의 HARQ 제어는, 제1 시간간격이, 갭 기간(이동국(100)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과 겹쳐있으며, 그리고, 제3 시간간격도, 갭 기간과 겹쳐있는 경우의 HARQ 제어이다.
이하, 도 20을 참조하여, 갭 기간이,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리고,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관한 HARQ 인디케이터 또는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도 포함하고 있는 경우의 기지국장치(200) 및 이동국(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1302A(서브프레임 #i)(i는, i>0의 정수)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이용하여, 이동국(100)에 대해서, 서브프레임 #i+4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지시한다.
1304A(서브프레임 번호 #i+4)는, 이동국(100)의 갭 기간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1304A(서브프레임 번호 #i+4)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기지국장치(200)에 대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할 수 없다.
1306A(서브프레임 #i+8)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이동국(100)에 대해서, HARQ 인디케이터도,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도 송신하지 않는다.
이는, 서브프레임 #i+8이, 이동국(100)의 갭 기간에 포함되어 있으며, HARQ 인디케이터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했다고 해도, 이동국(100)은, 상기 HARQ 인디케이터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할 수 없기 때문이다.
1308A(서브프레임 #i+12)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1304A에 있어서 송신할 것이었던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고, 기지국장치(200)는,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여 복호한다.
1310A(서브프레임 #i+16)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이동국(100)에 대해서, 상술한 복호결과를 나타내는 HARQ 인디케이터 혹은 신규 또는 재송의 상향 공유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한다.
상술한 HARQ 인디케이터가 NACK를 통지하는 경우, 혹은, 상술한 스케줄링 그랜트가 재송의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인 경우, 이동국(100)은, 1312A(서브프레임 #i+16)에 있어서, 재송의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송신을 수행한다.
상술한 스케줄링 그랜트가 신규의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인 경우, 이동국(100)은, 1312A(서브프레임 #i+16)에 있어서, 신규송신의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송신을 수행한다.
상술한 HARQ 인디케이터가 ACK를 통지하는 경우, 이동국(100)은, 1312A(서브프레임 #i+16)에 있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패턴 7)의 효과는, 이하와 같다.
패턴 6에 있어서는, 도 19에 있어서의 1308에 있어서 유연한 리소스 할당을 실현하기 위해서, 1306에 있어서의 HARQ 인디케이터는 ACK라고 간주되고,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재송이 지시될 때까지, 이동국(100)은,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동작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동작에서는, 유연한 리소스 할당은 실현할 수 있으나, 상향링크 공유신호가 실제로 재송되는 타이밍이 1312가 되고, 대폭으로 늦어지게 된다. 즉,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이 지연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패턴 7에 있어서는, 1308A에 있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가 재송되기 때문에, 상기 지연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패턴 8>
패턴 8의 HARQ 제어에 대해서,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패턴 8의 HARQ 제어에 대해서, 상술한 패턴 1 내지 7의 HARQ 제어와의 차이점에 착목하여 설명한다.
패턴 8의 HARQ 제어는, 제3 시간간격이, 갭 기간(이동국(100)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과 겹쳐있지 않으나, 제1 시간간격이, 갭 기간과 겹쳐있는 경우의 HARQ 제어이다.
이하, 도 21을 참조하여, 갭 기간이,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관한 HARQ 인디케이터 또는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나,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의 기지국장치(200) 및 이동국(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패턴에 있어서는, 갭 기간에 의해, 송신이 수행되지 않는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대한 HARQ 인디케이터 및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관해서, HARQ 인디케이터는, 송신되지 않으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는, 송신되어도 좋으며, 송신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기지국장치(200)는, 상술한 송신이 수행되지 않는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대한 HARQ 인디케이터를 송신하지 않고, 그리고, 이동국(100)은, 상술한 송신이 수행되지 않는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대한 HARQ 인디케이터의 수신을 수행하지 않는다(도 21에 있어서의 1406A, 도 22에 있어서의 1406B).
또, 기지국장치(200)는, 이동국(100)에 대해서 상술한 송신이 수행되지 않는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이동국(100)에 대해서,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고(도 22에 있어서의 1406B), 이동국(100)에 대해서 상술한 송신이 수행되지 않는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지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동국(100)에 대해서,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지 않는다(도 21에 있어서의 1406A).
그리고, 이동국(100)은, 상술한 송신이 수행되지 않는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한 경우에는(도 22에 있어서의 1406B), 상술한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수행하고, 상술한 송신이 수행되지 않는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하지 않았던 경우에는(도 21에 있어서의 1406A), HARQ 인디케이터로서 ACK를 수신한 것으로 간주한다.
이하에서는,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가 송신되지 않는 경우를 패턴 8에 있어서 설명하고,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가 송신되는 경우를 패턴 9에 있어서 설명한다.
1402A(서브프레임 #i)(i는, i>0의 정수)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이용하여, 이동국(100)에 대해서, 서브프레임 #i+4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지시한다.
1404A(서브프레임 번호 #i+4)는, 이동국(100)의 갭 기간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1404A(서브프레임 번호 #i+4)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기지국장치(200)에 대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할 수 없다.
1406A(서브프레임 #i+8)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이동국(100)에 대해서, HARQ 인디케이터를 송신하지 않고, 그리고,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도 송신하지 않는다.
기지국장치(200)가, 1406A에 있어서, 이동국(100)에 대해서,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지 않는 이유로서는, 예를 들어, 1408A에 있어서 PRACH 신호가 송신되고, 재송의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위한 무선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 등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1408A(서브프레임 #i+12)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1404A에 있어서 송신할 것이었던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는, 1406A에 있어서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하지 않았다는 것에 기초하여, 1406A에 있어서 HARQ 인디케이터로서 ACK를 수신했다고 간주했기 때문이다.
1410A(서브프레임 #i+16)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이동국(100)에 대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한다.
1412A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1410A(서브프레임 #i+16)에 있어서 수신한 하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기초하여, 1404A에 있어서 송신할 것이었던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한다.
<패턴 9>
패턴 9의 HARQ 제어에 대해서,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패턴 9의 HARQ 제어에 대해서, 상술한 패턴 8의 HARQ 제어와의 차이점에 착목하여 설명한다.
패턴 9의 HARQ 제어는, 제3 시간간격이, 갭 기간(이동국(100)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과 겹쳐있지 않으나, 제1 시간간격이, 갭 기간과 겹쳐있는 경우의 HARQ 제어이다.
이하, 도 22를 참조하여, 갭 기간이,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관한 HARQ 인디케이터 또는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나,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의 기지국장치(200) 및 이동국(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1402B(서브프레임 #i)(i는, i>0의 정수)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이용하여, 이동국(100)에 대해서, 서브프레임 #i+4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지시한다.
1404B(서브프레임 번호 #i+4)는, 이동국(100)의 갭 기간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1404B(서브프레임 번호 #i+4)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기지국장치(200)에 대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할 수 없다.
1406B(서브프레임 #i+8)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이동국(100)에 대해서, 상술한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한다.
1408B(서브프레임 #i+12)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1406B(서브프레임 #i+8)에 있어서 수신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기초하여, 1404B에 있어서 송신할 것이었던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한다.
상술한 패턴 8,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장치(200)가 재송을 위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에, 즉, 이동국(100)이, 재송을 위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 이동국(100)이, HARQ 인디케이터로서 ACK를 수신했다고 간주함으로써, 후속하는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송신 타이밍(도 21의 1408A, 도 22의 1408B)에 있어서, 유연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유연한 리소스 할당이란, 예를 들어, 상향링크 공유신호 재송용의 무선 리소스와 PRACH용의 무선 리소스가 충돌하는 경우에, 상술한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정지하는 등의 처리를 가리킨다.
<패턴 10>
패턴 10의 HARQ 제어에 대해서,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패턴 10의 HARQ 제어에 대해서, 상술한 패턴 1 내지 9의 HARQ 제어와의 차이점에 착목하여 설명한다.
패턴 10의 HARQ 제어는, 제3 시간간격이, 갭 기간(이동국(100)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과 겹쳐있지 않으나, 제1 시간간격이, 갭 기간과 겹쳐있는 경우의 HARQ 제어이다.
이하, 도 23을 참조하여, 갭 기간이,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관한 HARQ 인디케이터 또는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도 포함하고 있지 않으나,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의 기지국장치(200) 및 이동국(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패턴에 있어서는, 갭 기간에 의해, 송신이 수행되지 않는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대한, HARQ 인디케이터 및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관해서, HARQ 인디케이터는 송신되고,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는, 송신되어도 좋으며, 송신되지 않아도 좋다고 한다.
이 경우, 기지국장치(200)는, 이동국(100)에 대해서 상술한 송신이 수행되지 않는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이동국(100)에 대해서,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 또는 HARQ 인디케이터를 송신하고(도 24에 있어서의 1406D), 이동국(100)에 대해서 상술한 송신이 수행되지 않는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지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동국(100)에 대해서, ACK를 통지하는 HARQ 인디케이터를 송신하고,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지 않는다(도 23에 있어서의 1406C).
그리고, 이동국(100)은, 상술한 송신이 수행되지 않는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 또는 HARQ 인디케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도 24에 있어서의 1406D), 상술한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수행하고, 상술한 송신이 수행되지 않는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하지 않고, 그리고, ACK를 통지하는 HARQ 인디케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도 23에 있어서의 1406C), ACK를 통지하는 HARQ 인디케이터를 수신한 것으로 간주한다.
이하에서는,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가 송신되지 않고, 그리고, ACK를 통지하는 HARQ 인디케이터가 송신되는 경우를 패턴 10에 있어서 설명하고,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 또는 HARQ 인디케이터가 송신되는 경우를 패턴 11에 있어서 설명한다.
1402C(서브프레임 #i)(i는, i>0의 정수)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이용하여, 이동국(100)에 대해서, 서브프레임 #i+4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지시한다.
1404C(서브프레임 #i+4)는, 이동국(100)의 갭 기간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1404C(서브프레임 #i+4)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기지국장치(200)에 대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할 수 없다.
1406C(서브프레임 #i+8)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이동국(100)에 대해서, ACK를 통지하는 HARQ 인디케이터를 송신하고, 그리고,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지 않는다.
기지국장치(200)가, 1406C에 있어서, 이동국(100)에 대해서, ACK를 통지하고,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지 않는 이유로서는, 예를 들어, 1408C에 있어서 PRACH 신호가 송신되고, 재송의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위한 무선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 등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1408C(서브프레임 #i+12)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1404C에 있어서 송신할 것이었던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는, 1406C에서 ACK를 통지하는 HARQ 인디케이터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하지 않았다는 것에 기초한다.
1410C(서브프레임 #i+16)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이동국(100)에 대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한다.
1412C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1410C(서브프레임 #i+16)에 있어서 수신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기초하여, 1404C에 있어서 송신할 것이었던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한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1406C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이동국(100)에 대해서, ACK를 통지하는 HARQ 인디케이터를 송신하고, 그리고,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지 않는다는 동작이었으나, 대신에, 기지국장치(200)는, 이동국(100)에 대해서, ACK를 통지하는 HARQ 인디케이터를 송신하고, 그리고, 신규송신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한다는 동작이어도 좋다. 이 경우, 1404C에 있어서 송신할 것이었던 상향링크 공유신호는 송신되지 않고, 이동국(100)에 의해 파기된다.
<패턴 11>
패턴 11의 HARQ 제어에 대해서,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패턴 11의 HARQ 제어에 대해서, 상술한 패턴 10의 HARQ 제어와의 차이점에 착목하여 설명한다.
패턴 11의 HARQ 제어는, 제3 시간간격이, 갭 기간(이동국(100)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과 겹쳐있지 않으나, 제1 시간간격이, 갭 기간과 겹쳐있는 경우의 HARQ 제어이다.
이하, 도 24를 참조하여, 갭 기간이,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관한 HARQ 인디케이터 또는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나,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의 기지국장치(200) 및 이동국(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1402D(서브프레임 #i)(i는, i>0의 정수)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이용하여, 이동국(100)에 대해서, 서브프레임 #i+4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지시한다.
1404D(서브프레임 번호 #i+4)는, 이동국(100)의 갭 기간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1404D(서브프레임 번호 #i+4)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기지국장치(200)에 대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할 수 없다.
1406D(서브프레임 #i+8)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이동국(100)에 대해서, 상술한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 또는 HARQ 인디케이터를 송신한다. 여기에서, HARQ 인디케이터로서는, ACK이어도 좋으며, NACK이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장치(200)는, 이동국(100)에 대해서, 상술한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 및 ACK를 나타내는 HARQ 인디케이터를 송신해도 좋다.
혹은, 기지국장치(200)는, 이동국(100)에 대해서, 상술한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지 않고, NACK를 나타내는 HARQ 인디케이터를 송신해도 좋다.
1408D(서브프레임 #i+12)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1406D(서브프레임 #i+8)에 있어서 수신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 또는 HARQ 인디케이터에 기초하여, 1404D에 있어서 송신할 것이었던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한다.
또한, 상술한 패턴 10, 11에 나타낸 HARQ 제어는, 서브프레임 #i+4가 이동국(100)의 갭 기간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제어, 즉, 통상의 HARQ의 제어와 동일해진다.
바꿔말하면, 상술한 패턴 10, 11에 나타낸 HARQ 제어는, 서브프레임 #i+4가 이동국(100)의 갭 기간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적용되어도 좋다.
상술한 패턴 10,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갭 기간에 의해, 송신이 수행되지 않았던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대해서, HARQ 인디케이터 및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함으로써, 후속하는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송신 타이밍(도 23의 1408C, 도 24의 1408D)에 있어서, 유연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유연한 무선 리소스 할당이란, 예를 들어, 상향링크 공유신호 재송용의 무선 리소스와, PRACH용의 무선 리소스가 충돌하는 경우에, 상술한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정지하는 등의 처리를 가리킨다.
또한, 상술한 패턴 중, 패턴 1, 2, 6의 HARQ 제어를 정리하면, 이동국(100)은, 제3 시간간격, 즉,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대한 HARQ 인디케이터, 또는,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가 송신되는 타임프레임(서브프레임)이, 갭 기간(이동국(100)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에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가 올바르게 복호되었다고 간주하고,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즉, 이동국(100)은, 갭 기간에 포함되어 있던 HARQ 인디케이터 채널이 ACK를 통지했다고 간주한다. 이 경우,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는, 상향링크의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재송이 지시될 때까지, 재송되지 않는다.
또, 상술한, 도 12, 도 14, 도 16, 도 19, 도 21, 도 22의 HARQ 제어를 정리하면, 이동국(100)은,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는 타임프레임(서브프레임)이, 갭 기간(이동국(100)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에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가 올바르게 복호되었다고 간주하고,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즉, 이동국(100)은,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대한 HARQ 인디케이터 채널이 ACK를 통지했다고 간주한다. 이 경우,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는, 상향링크의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재송이 지시될 때까지, 재송되지 않는다.
혹은, 상술한 동작을 더 정리하여, 이동국(100)은,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대한 HARQ 인디케이터, 또는,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가 송신되는 타임프레임(서브프레임)이, 갭 기간(이동국(100)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에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가 올바르게 복호되었다고 간주하고,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수행하지 않고, 그리고,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는 타임프레임(서브프레임)이, 갭 기간(이동국(100)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에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가 올바르게 복호되었다고 간주하고,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동작을 수행해도 좋다.
즉, 이동국(100)은,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대한 HARQ 인디케이터 채널이 ACK를 통지했다고 간주한다. 이 경우,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는, 상향링크의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재송이 지시될 때까지, 재송되지 않는다.
혹은, 패턴 1, 2, 6의 HARQ 제어는, 도 23, 도 24의 HARQ 제어를 정리하여, 이동국(100)은,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대한 HARQ 인디케이터, 또는,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가 송신되는 타임프레임(서브프레임)이, 갭 기간(이동국(100)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에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가 올바르게 복호되었다고 간주하고,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재송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대한 HARQ 인디케이터, 또는,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가 송신되는 타임프레임(서브프레임)이, 갭 기간(이동국(100)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는 타임프레임(서브프레임)이, 갭 기간(이동국(100)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통상대로의 HARQ 제어를 수행한다는 동작을 수행해도 좋다.
(변경 예)
또한, 상술한 이동국(100)이나 기지국장치(200)의 동작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서 실시되어도 좋으며, 양자의 조합에 의해서 실시되어도 좋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이나, 플래시메모리나, ROM(Read Only Memory)이나,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이나,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이나, 레지스터나, 하드디스크나, 리무버블 디스크나, CD-ROM 등 임의형식의 기억매체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기억매체는, 프로세서가 해당 기억매체에 정보를 읽고 쓰고 할 수 있도록, 해당 프로세서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기억매체는, 프로세서에 집적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ASIC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ASIC은, 이동국(100)이나 무선기지국(200)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디스크리트 컴포넌트로서 이동국(100)이나 기지국장치(200)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 상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해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서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8-074742호(2008년 3월 21일 출원)의 전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편입되어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갭 기간이 존재하는 경우의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HARQ 제어방법에 관하여, 효율적으로, 그리고 Robust한 HARQ 제어를 실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국 및 기지국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기지국장치에 의해서 지시된 제1 시간간격에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고,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2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간격을 지시하는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수신부;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부;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3 시간간격에서,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수신부;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재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시간간격이,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과 겹쳐있는 경우에,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1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재송부는, 상기 제2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2. 기지국장치에 의해서 지시된 제1 시간간격에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고,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2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간격을 지시하는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수신부;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부;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3 시간간격에서,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수신부;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재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시간간격이,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과 겹쳐있는 경우에,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1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그리고, 상기 재송부는,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제2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3. 기지국장치에 의해서 지시된 제1 시간간격에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고,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2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간격을 지시하는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수신부;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부;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3 시간간격에서,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수신부;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재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시간간격이,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과 겹쳐있는 경우에,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1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그리고, 상기 재송부는, 상기 제2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4. 기지국장치에 의해서 지시된 제1 시간간격에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고,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2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간격을 지시하는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수신부;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부;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3 시간간격에서,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수신부;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재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시간간격이,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과 겹쳐있는 경우에, 상기 재송부는, 상기 제2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5. 기지국장치에 의해서 지시된 제1 시간간격에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고,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2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간격을 지시하는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수신부;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부;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3 시간간격에서,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수신부;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재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시간간격이,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과 겹쳐있는 경우에, 상기 제2 수신부는,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정보로서 긍정응답을 수신했다고 간주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6. 제 1항, 제 3항,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재송부는, 제3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3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의해서 지정되어 있는 시간간격에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재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 또는 재송을 지시하는 HARQ 인디케이터이며,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는,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 또는 HARQ 인디케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하향링크 제어신호는, 재송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9.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은, 같은 주파수의 인접 셀, 다른 주파수의 인접 셀, 혹은, 다른 시스템의 인접 셀에 있어서의 수신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시간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10. 이동국으로부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대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시간간격을 지시하는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송신부;
    상기 제1 시간간격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의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송신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수신부;
    상기 제1 수신부에 있어서의 수신결과에 기초하여,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3 시간간격에서,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송신부;
    상기 제2 시간간격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의해서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재송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시간간격이,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과 겹쳐있는 경우에, 상기 제1 수신부는, 상기 제1 시간간격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송신부는, 상기 제3 시간간격에 있어서,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그리고, 상기 제2 수신부는, 상기 제2 시간간격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부가, 상기 제1 시간간격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의 수신에 실패한 경우, 상기 제2 송신부는,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과 겹치지 않는 시간간격에 있어서, 제3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제2 수신부는, 상기 제3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의해서 지시된 시간간격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의해서 상기 제3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재송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12. 이동국으로부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대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시간간격을 지시하는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송신부;
    상기 제1 시간간격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의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송신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수신부;
    상기 제1 수신부에 있어서의 수신결과에 기초하여,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3 시간간격에서,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송신부;
    상기 제2 시간간격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의해서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재송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시간간격이,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과 겹쳐있는 경우에, 상기 제1 수신부는, 상기 제1 시간간격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상기 제2 송신부는, 상기 제3 시간간격에 있어서,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그리고, 상기 제2 수신부는, 상기 제2 시간간격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13. 이동국으로부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대해서,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시간간격을 지시하는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송신부;
    상기 제1 시간간격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의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송신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수신부;
    상기 제1 수신부에 있어서의 수신결과에 기초하여,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제3 시간간격에서,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송신부;
    상기 제2 시간간격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의해서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재송된 상기 상향링크 공유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시간간격이,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측정을 위한 시간간격과 겹쳐있는 경우에, 상기 제2 송신부는,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정보로서 긍정응답을 송신했다고 간주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KR1020107018189A 2008-03-21 2009-03-19 이동국 및 기지국장치 KR101157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74742 2008-03-21
JP2008074742A JP4376291B2 (ja) 2008-03-21 2008-03-21 移動局及び基地局装置
PCT/JP2009/055495 WO2009116642A1 (ja) 2008-03-21 2009-03-19 移動局及び基地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433A true KR20100108433A (ko) 2010-10-06
KR101157012B1 KR101157012B1 (ko) 2012-06-21

Family

ID=41091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8189A KR101157012B1 (ko) 2008-03-21 2009-03-19 이동국 및 기지국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477745B2 (ko)
EP (2) EP2259620B1 (ko)
JP (1) JP4376291B2 (ko)
KR (1) KR101157012B1 (ko)
CN (1) CN101953198B (ko)
AU (1) AU2009226406B2 (ko)
BR (1) BRPI0907867A2 (ko)
CA (2) CA2858736A1 (ko)
MX (1) MX2010009396A (ko)
PT (1) PT2259620E (ko)
RU (1) RU2452098C2 (ko)
WO (1) WO2009116642A1 (ko)
ZA (1) ZA2010059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749B1 (ko) * 2009-08-18 2016-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릴레이를 위한 백홀 서브프레임의 제어 채널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JP4823371B2 (ja) * 2010-03-30 2011-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9204316B2 (en) 2011-09-30 2015-12-01 Blackberry Limited Enhancement and improvement for hetnet deployments
US8885509B2 (en) 2011-11-04 2014-11-11 Blackberry Limited Paging in heterogeneous networks using restricted subframe patterns
US8976764B2 (en) * 2011-11-04 2015-03-10 Blackberry Limited Accommodating semi-persistent scheduling in heterogeneous networks with restricted subframe patterns
US8964672B2 (en) 2011-11-04 2015-02-24 Blackberry Limited Paging in heterogeneous networks with discontinuous reception
US9942881B2 (en) * 2014-03-14 2018-04-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plink multi-TTI scheduling in TDD system
US10455611B2 (en) * 2015-09-16 2019-10-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HUE054909T2 (hu) * 2016-02-04 2021-10-2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Eljárás és készülék feltöltés irányú kapcsolati információ átvitelére nem engedélyezett vivõn
EP4246871A3 (en) 2016-03-30 2023-11-2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Base st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EP3402288B1 (en) * 2017-05-12 2021-02-24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schedu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542101B1 (ko) * 2017-08-10 2023-06-13 삼성전자 주식회사 V2x 저지연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간 자원 풀 공유 방안
JP7130692B2 (ja) 2020-04-14 2022-09-05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端末、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456A (en) * 1897-01-05 Adjustable handle for bags
US5708971A (en) * 1994-01-11 1998-01-13 Ericsson Inc. Two-way paging system and apparatus
US5524009A (en) * 1995-06-07 1996-06-04 Nokia Mobile Phones Ltd. Fast AGC setting using RSS (I) measurement procedure
JPH09130447A (ja) * 1995-10-31 1997-05-16 Nec Corp 無線データ伝送装置
JP3109504B2 (ja) 1998-03-27 2000-11-20 日本電気株式会社 セルラシステムおよびセルラシステムの隣接周波数干渉回避方法と移動局
US6606341B1 (en) * 1999-03-22 2003-08-12 Golden Bridge Technology, Inc. Common packet channel with firm handoff
KR100469711B1 (ko) * 2001-01-18 2005-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 송신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837351B1 (ko) * 2002-04-06 2008-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링크 파라미터 갱신 방법
US6996763B2 (en) * 2003-01-10 2006-02-07 Qualcomm Incorporated Operation of a forward link acknowledgement channel for the reverse link data
JP3847766B2 (ja) * 2003-01-24 2006-11-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線品質の報告値の精度試験装置及びその方法
WO2005046125A1 (en) * 2003-10-28 2005-05-19 Docomo Communications Laboratories Usa, Inc. Method for supporting scalable and reliable multicast in tdma/tdd systems using feedback suppression techniques
WO2006046586A1 (ja) * 2004-10-28 2006-05-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データ通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送信装置および再送制御方法
JP4358158B2 (ja) 2005-03-31 2009-11-0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装置および割当方法
US8358629B2 (en) 2005-11-01 2013-01-22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device-initiated measurement gap request
US7778226B2 (en) 2006-03-30 2010-08-17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coordination among multiple transceivers
JP2008074742A (ja) 2006-09-20 2008-04-03 Kao Corp 血糖上昇抑制剤
TW200931869A (en) * 2007-12-31 2009-07-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interactions between measurement gap, automated repeat request, discontinuous reception and discontinuous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EP2243329B1 (en) * 2008-01-11 2013-07-24 Nokia Corp. Scheduling ahead for improving data transmission in case of measurement gaps
KR100893869B1 (ko) * 2008-03-13 2009-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측정 간격을 고려한 harq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59620A4 (en) 2011-03-23
US8477745B2 (en) 2013-07-02
EP2369774A3 (en) 2013-03-06
JP4376291B2 (ja) 2009-12-02
RU2010133889A (ru) 2012-04-27
CN101953198A (zh) 2011-01-19
AU2009226406A1 (en) 2009-09-24
US20110053625A1 (en) 2011-03-03
EP2369774B1 (en) 2016-05-11
CN101953198B (zh) 2012-11-14
JP2009232132A (ja) 2009-10-08
ZA201005955B (en) 2011-10-26
AU2009226406B2 (en) 2012-09-13
WO2009116642A1 (ja) 2009-09-24
RU2452098C2 (ru) 2012-05-27
EP2259620A1 (en) 2010-12-08
EP2369774A2 (en) 2011-09-28
KR101157012B1 (ko) 2012-06-21
CA2715185A1 (en) 2009-09-24
EP2259620B1 (en) 2014-12-03
MX2010009396A (es) 2010-09-24
PT2259620E (pt) 2015-02-05
BRPI0907867A2 (pt) 2015-07-21
CA2858736A1 (en) 2009-09-24
CA2715185C (en) 201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012B1 (ko) 이동국 및 기지국장치
JP5023123B2 (ja) 無線基地局及び移動通信方法
JP5103535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装置及び方法
CN105594247B (zh) 用户终端、基站以及无线通信方法
JP5851013B2 (ja) 再送方法および再送装置
EP2903196B1 (en) Transmission method, device, ue, and base station of harq-ack
JP6388768B2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CN109196933B (zh) 无线电网络节点、无线设备以及其中执行的方法
WO2015079926A1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JP2015139106A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JP2015088992A (ja) ユーザ端末、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KR102289117B1 (ko)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JP7493636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ノード、無線デバイス、および、それらにおいて実行される方法
CN114389780B (zh) 处理混合自动重传请求重新传送的装置
JP2009278685A (ja) 移動局及び基地局装置
JP2018023159A (ja) ユーザ端末
KR20170072781A (ko) 밀리미터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harq 재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