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7731A -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되는 디자인 필름 및 디자인 필름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되는 디자인 필름 및 디자인 필름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7731A
KR20100107731A KR1020090025988A KR20090025988A KR20100107731A KR 20100107731 A KR20100107731 A KR 20100107731A KR 1020090025988 A KR1020090025988 A KR 1020090025988A KR 20090025988 A KR20090025988 A KR 20090025988A KR 20100107731 A KR20100107731 A KR 20100107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substrate
layer
design film
film
de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9539B1 (ko
Inventor
오원석
정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엔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엔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엔더블유
Priority to KR1020090025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539B1/ko
Publication of KR20100107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1/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기재의 제 1 면에 대한 손상 및 오염 없이 투명 기재의 제 2 면에 잉크층을 형성함으로써, 얇은 두께를 가지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면을 보호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면에 대해 깔금한 외부 디자인을 제공하는 디자인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되는 디자인 필름 및 디자인 필름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은 보호층과 및 상기 보호층 상에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과, 투명 기재를 준비하는 보호 필름 및 투명 기재 준비 단계; 상기 보호 필름의 점착층에 상기 투명 기재의 제 1 면을 부착하는 투명 기재 부착 단계; 및 상기 투명 기재의 제 2 면 중 가장 자리 영역에 잉크층을 형성하는 잉크층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자인 필름, 투명 기재, 잉크층, 접착층, 점착층

Description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되는 디자인 필름 및 디자인 필름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Design film manufacturing method, design film using the des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design film}
본 발명은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되는 디자인 필름 및 디자인 필름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컴퓨터, 워드프로세서 또는 자동차 네비게이션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문자 및 그림 등의 각종 영상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일면에 영상을 실질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및, 영상이 표시 되지 않는 비표시부를 갖는다.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표시부를 덮어 외부 디자인을 형성하기 위해 수지 프레임을 사용한다. 그런데, 디스플레이 패널에 수지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두께가 요구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두께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부를 덮어 보호하기 위해 탈착이 가능한 보호 필터를 임시적으로 사용한다. 그런데, 보호 필터는 임시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영구적으로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 기재의 제 1 면에 대한 손상 및 오염 없이 투명 기재의 제 2 면에 잉크층을 형성함으로써, 얇은 두께를 가지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면을 보호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면에 대해 깔금한 외부 디자인을 제공하는 디자인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되는 디자인 필름 및 디자인 필름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은 보호층과 및 상기 보호층 상에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과, 투명 기재를 준비하는 보호 필름 및 투명 기재 준비 단계; 상기 보호 필름의 점착층에 상기 투명 기재의 제 1 면을 부착하는 투명 기재 부착 단계; 및 상기 투명 기재의 제 2 면 중 가장 자리 영역에 잉크층을 형성하는 잉크층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 필름은 탈착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보호층 및 투명 기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alate; PET),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 Ethylene),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및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PVC)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12㎛ 내지 350㎛의 두께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20㎛ 내지 70㎛의 두께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투명 기재는 12㎛ 내지 350㎛의 두께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투명 기재는 80㎛ 내지 120㎛의 두께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및 수성 점착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투명 기재의 제 1 면이 상기 투명 기재의 제 2 면보다 표면 조도(surface roughness)가 낮은 것일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 및 투명 기재 준비 단계에서 상기 투명 기재의 제 1 면에 하드 코팅층, 반사방지층 및 저반사층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표면 처리층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잉크층 형성 단계는 도포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투명 기재의 제 2 면에 불투명한 잉크를 도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불투명한 잉크는 폴리에스텔 잉크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잉크층은 5㎛ 내지 10㎛의 두께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에 의해, 얇은 두께를 가지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면을 보호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면에 대해 깔금한 외부 디자인을 제공하는 디자인 필름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디자인 필름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면에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를 둘러싸는 비표시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층 및 상기 보호층 상에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과, 제 1 면이 상기 보호 필름의 점착층에 부착되는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기재의 제 2 면 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표시부와 대향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잉크층을 포함하는 디자인 필름; 및 상기 잉크층을 포함하는 상기 투명 기재의 제 2 면에 형성되며, 상기 잉크층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표시와 대응되게 상기 디자인 필름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부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잉크층은 불투명한 잉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은 탈착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은 투명 기재의 제 1 면에 대한 손상 및 오염 없이 투명 기재의 제 2 면에 잉크층을 형성함으로써, 얇은 두께를 가지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면을 보호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면에 대해 깔금한 외부 디자인을 제공하는 디자인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자인 필름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대한 외부 디자인을 위해 수지 프레임을 사용한 경우보다, 전체적인 두께를 줄이고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은 보호 필름 및 투명 기재 준비 단계(S10), 투명 기재 부착 단계(S20) 및 잉크층 형성 단계(S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a를 참조하면, 보호 필름 및 투명 기재 준비 단계(S10)는 보호 필름(10) 및 투명 기재(20)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보호 필름(10)은 보호층(1) 및 상기 보호층(1) 상에 형성된 점착층(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호 필름(10)은 디자인 필름 제조 공정 과정에서 투명 기재(20)를 임시적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탈착이 가능하며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1)은 필름 형태로 투명성, 생산성, 가공성이 우수한 절연성 수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alate; PET),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 Ethylene),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및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PVC)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층(1)은 12㎛ 내지 3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의 얇은 두께(T1)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호층(1)을 12㎛ 미만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 은, 제조 공정상 형성하기 어렵게 만들뿐 아니라 보호층(1)을 포함한 보호 필름(10)의 핸들링을 어렵게 만든다. 그리고, 보호층(1)을 350㎛을 초과하는 두께로 형성하는 것은, 절연성 수지의 양을 증가시키므로 임시적으로 사용되는 보호 필름(10)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불필요한 재료 비용을 증가시킨다.
상기 점착층(2)은 보호층(1)에 투명 기재(20)를 부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점착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박리가 가능한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및 수성 점착제 중 선택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박리 기능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점착층(2)은 108Ω의 표면 저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투명 기재(20)는 상기 보호층(1)과 같이 필름 형태로 투명성, 생산성, 가공성이 우수한 절연성 수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alate; PET),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 Ethylene),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및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PVC)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투명 기재(20)는 텔레비젼, 컴퓨터, 워드프로세서 또는 자동차 네비게이션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 디자인 일부를 형성하기 위한 베이스의 역할을 한다.
상기 투명 기재(20)는 상기 점착층(2)과 부착되는 제 1 면(20a)과, 상기 제 1 면(20a)의 반대면인 제 2 면(20b)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제 1 면(20a)은 보호 필름(10)이 투명 기재(20)로부터 탈착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상기 제 2 면(20b)보다 표면 조도(surface roughness)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2 면(20b)은 완성되는 디자인 필름(도 2c의 40)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때 사용되는 접착제(도 4의 120)에 의해 커버되므로, 표면 조도가 제 1 면(20a) 만큼 높을 필요가 없다.
한편, 디자인 필름(도 2c의 40)이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상기 투명 기재(20)의 제 1 면(20a)에 하드 코팅(Hard Coating)층, 반사방지(Anti Reflection)층 및 저반사(Low Reflection)층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표면 처리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드 코팅층, 반사방지층 및 저반사층은 필름 코팅분야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반사방지(Anti Reflection)층 또는 저반사(Low Reflection)층이 적용된 디자인 필름에 대해 광학 특성을 측정해 본 결과, 반사방지(Anti Reflection)층 또는 저반사(Low Reflection)층이 적용된 디자인 필름이 92% 이상의 광투과율, 4.0% 이하의 광반사율, 1.5% 이하의 최저 광반사율 및 1.5% 이의 흐림율(haze)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상기 투명 기재(20)는 상기 보호층(1)과 같이 12㎛ 내지 350㎛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투명 기재(20)는 디자인 필름 제조 공정에서 임시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며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어 영구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강하도록 상기 보호층(1)의 두께(T1)보다 두꺼운 80㎛ 내지 120㎛의 두 께(T2)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보호 필름 및 투명 기재 준비 단계(S10)는 보호 필름(10)과 투명 기재(20)를 준비한 후, 보호 필름(10)의 점착층(2)과 투명 기재(20)의 제 1 면(20a)이 대향하도록 보호 필름(10)과 투명 기재(20)를 배치시킨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투명 기재 부착 단계 (S20)는 상기 보호 필름(10)의 점착층(2)에 상기 투명 기재(20)의 제 1 면(20a)을 부착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보호 필름(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투명 기재(20)로부터 탈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잉크층 형성 단계(S30)는 상기 투명 기재(20)의 제 2 면(20b) 중 가장 자리 영역에 잉크층(3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잉크층 형성 단계(S30)는 잉크 도포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불투명한 잉크, 예를 들어 흑색 잉크를 상기 투명 기재(20)의 제 2 면(20b) 중 가장 자리 영역에 도포하여 디자인 필름(40)을 완성한다. 여기서, 불투명한 잉크는 상기 투명 기재(20)의 제 2 면(20b) 중 가장 자리 영역에 민무늬의 잉크층(30)이 형성되도록 도포되거나, 문자 또는 그림을 포함하는 잉크층(30)이 형성되도록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불투명한 잉크는 부착력이 우수하고, 건조 후 우수한 광택을 가지는 폴리에스텔 잉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잉크층(30)의 두께가 5㎛ 내지 10㎛의 얇은 두께가 되도록 도포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진 않았지만 실질적인 제조 공정에서 상기 잉크층 형성 단계(S30)는 스트립 타입의 보호 필름(40)과 스트립 타입의 투명 기재(2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스트립 타입의 투명 기재(20)에 불투명한 잉크를 반복적인 패턴으로 도포하여, 스트립 타입의 디자인 필름(40)을 완성한다. 이 후, 스트립 타입의 디자인 필름(40)은 컷팅 장비에 의해 각각의 독립된 디자인 필름(40)으로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은 상기 보호 필름(10)과 투명 기재(20)를 부착 시킨 상태에서 투명 기재(20)의 제 2 면(20b)에 잉크층(30)을 형성함으로써, 잉크층(30)의 형성시 이용되는 불투명한 잉크가 원하지 않는 영역, 즉 투명 기재(20)의 제 1 면(20a)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으며, 더불어 제조 공정 중에 외부 충격에 의해 투명 기재(20)의 제 1 면(20a)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은 투명 기재(20)의 오염 및 손상 없이 민무늬의 잉크층(30)을 형성하거나, 문자 또는 그림을 포함하는 잉크층(3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자인 필름(40)은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을 보호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더불어 민무늬이거나, 문자 또는 그림을 포함하는 잉크층(30)을 이용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외부 디자인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자인 필름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의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자인 필름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라 절취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자인 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디자인 필름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 선을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자인 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디자인 필름에서 보호 필름이 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C-C 선을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자인 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자인 필름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디자인 필름(40) 및 접착제(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일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로서,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장치 등의 패널일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유리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일면에 실질적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DA)와, 표시부(DA)를 둘러싸는 비표시부(ND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표시부(NDA)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깔끔한 외부 디자인을 위해 가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자인 필름(40)은 보호 필름(10), 투명 기재(20) 및 잉크층(3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보호 필름(10)은 보호층(1) 및 상기 보호층(1) 상에 형성된 점착층(2)을 포함한다. 상기 투명 기재(20)의 제 1 면(20a)은 상기 보호 필름(10)의 점착층(2)에 부착된다. 상기 잉크층(20)은 상기 투명 기재(20)의 제 2 면(20b) 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비표시부(NDA)와 대향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잉크층(20)은 상기 디자인 필름(40)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면에 부착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비표시부(NDA)를 가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자인 필름(40)은 상기 잉크층(30)을 이용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 디자인 일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면을 보호한다. 이러한 디자인 필름(40)은 앞에서 충분히 설명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면에서 빗금친 부분은 상기 잉크층(30)이 상기 디자인 필름(40)의 외부로 비춰지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접착제(120)는 상기 잉크층(30)을 포함하는 상기 투명 기재(20)의 제 2 면(20b)에 형성되며, 상기 잉크층(30)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비표시부(NDA)와 대응되게 상기 디자인 필름(40)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면에 부착시킨다. 상기 접착제(120)는 보호 필름(10)의 점착층(2)과 달리 박리 가능성이 적으며 접착 강도가 높으면서 투명성을 가지는 에폭시계 접착제 또는 실리콘계 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자인 필름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면에 부착되는 얇은 두께의 디자인 필름(40)을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면을 보호하면서 동시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면에 대한 깔끔한 외부 디자인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자인 필름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대한 외부 디자인을 위해 수지 프레임을 사용한 경우보다, 전체적인 두께를 줄이면서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자인 필름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보호 필름(10)이 탈착되어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잉크층(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수지(20)의 외부로 비춰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디자인 필름이 액정 표시 장치, 플라자마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장치의 패널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외에도 냉장고 및 전자렌지와 같은 일반 가전 제품의 외부 디자인을 구현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 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3은 도 1의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자인 필름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라 절취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자인 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디자인 필름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 선을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자인 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디자인 필름에서 보호 필름이 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C-C 선을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자인 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 보호층 2: 점착층
10: 보호 필름 20: 투명 기재
30: 잉크층 40: 디자인 필름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 패널
120: 접착층

Claims (17)

  1. 보호층과 및 상기 보호층 상에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과, 투명 기재를 준비하는 보호 필름 및 투명 기재 준비 단계;
    상기 보호 필름의 점착층에 상기 투명 기재의 제 1 면을 부착하는 투명 기재 부착 단계; 및
    상기 투명 기재의 제 2 면 중 가장 자리 영역에 잉크층을 형성하는 잉크층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은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 및 투명 기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alate; PET),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 Ethylene),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및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PVC)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12㎛ 내지 350㎛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20㎛ 내지 70㎛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는 12㎛ 내지 350㎛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는 80㎛ 내지 120㎛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및 수성 점착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의 제 1 면이 상기 투명 기재의 제 2 면보다 표면 조도(surface roughness)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 및 투명 기재 준비 단계에서 상기 투명 기재의 제 1 면에 하드 코팅층, 반사방지층 및 저반사층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표면 처리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 형성 단계는 도포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투명 기재의 제 2 면에 불투명한 잉크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한 잉크는 폴리에스텔 잉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은 5㎛ 내지 10㎛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
  14. 상기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의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디자인 필름.
  15. 일면에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를 둘러싸는 비표시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층 및 상기 보호층 상에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과, 제 1 면이 상기 보호 필름의 점착층에 부착되는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기재의 제 2 면 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표시부와 대향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잉크층을 포함하는 디자인 필름; 및
    상기 잉크층을 포함하는 상기 투명 기재의 제 2 면에 형성되며, 상기 잉크층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표시와 대응되게 상기 디자인 필름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부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은 불투명한 잉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은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0025988A 2009-03-26 2009-03-26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되는 디자인 필름 및 디자인 필름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39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988A KR101139539B1 (ko) 2009-03-26 2009-03-26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되는 디자인 필름 및 디자인 필름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988A KR101139539B1 (ko) 2009-03-26 2009-03-26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되는 디자인 필름 및 디자인 필름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731A true KR20100107731A (ko) 2010-10-06
KR101139539B1 KR101139539B1 (ko) 2012-05-02

Family

ID=43129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988A KR101139539B1 (ko) 2009-03-26 2009-03-26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되는 디자인 필름 및 디자인 필름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5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796B1 (ko) * 2010-08-23 2011-04-07 주식회사 케이엔더블유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되는 디자인 필름 및 디자인 필름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118084A (ko) * 2018-10-18 2018-10-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용 윈도우 및 보호용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21158056A1 (ko) * 2020-02-07 2021-08-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린팅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7976A (ja) * 1998-08-07 2000-02-25 Dainippon Printing Co Ltd 着色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表示装置
JP2006264299A (ja) * 2005-02-28 2006-10-05 Riken Technos Corp 装飾用フィル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796B1 (ko) * 2010-08-23 2011-04-07 주식회사 케이엔더블유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되는 디자인 필름 및 디자인 필름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118084A (ko) * 2018-10-18 2018-10-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용 윈도우 및 보호용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21158056A1 (ko) * 2020-02-07 2021-08-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린팅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9539B1 (ko) 201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33207A1 (en) Optical filter
US11111418B2 (en) Systems for securing protective films to surfaces of substrates
US10324560B2 (en) Apparatus of display having detachable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WO2003010569A2 (en) Optical filter
TWI460461B (zh) Display device with decorative film and protective panels
US8607444B2 (en) Method for forming a housing of an electronic device
EP3012708A1 (en) Tempered glass screen protector applied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21776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용 보호필름
KR101935434B1 (ko) 윈도우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US20130129958A1 (en) Screen protective film and applications of same
KR20210135948A (ko) 커버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EP3686715B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dhesion reduction layer having micro protrusion pattern
KR20160120436A (ko) 탈부착층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EP3611238A1 (en) Easy-tear sticker and protection film assembly
KR101139539B1 (ko)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되는 디자인 필름 및 디자인 필름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40953A (ko) 커버 윈도우 부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US20150234511A1 (en) Touch display device
KR102337614B1 (ko) 윈도우 기판의 제조 방법
KR101027796B1 (ko) 디자인 필름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되는 디자인 필름 및 디자인 필름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
US20220100027A1 (en) Curved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EP3293568A1 (en) Display device having detachable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0016300B (zh) 显示屏保护膜
KR101854050B1 (ko)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용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6080938A (ja) 表示装置
CN112310303A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