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5626A -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5626A
KR20100105626A KR1020107013909A KR20107013909A KR20100105626A KR 20100105626 A KR20100105626 A KR 20100105626A KR 1020107013909 A KR1020107013909 A KR 1020107013909A KR 20107013909 A KR20107013909 A KR 20107013909A KR 20100105626 A KR20100105626 A KR 20100105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control signal
base station
user apparatus
wave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이시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00105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6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04W36/0094Definition of hand-off measurement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장치는, 자 셀에 재권하는 유저장치에 이주파 측정을 수행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과, 제어신호를 유저장치로 송신하는 수단을 가진다. 유저장치는, 재권셀의 기지국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단과, 기지국장치로부터 지시된 주파수에서 셀 서치 및 검출된 셀의 품질측정을 수행하는 수단을 가진다. 유저장치의 핸드오버처의 셀 후보가, 소정의 셀인 경우, 제어신호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규정되고 있는 갭 기간 동안에, 유저장치가 이주파 측정을 수행해도 좋은 것을 나타낸다. 유저장치의 핸드오버처의 셀 후보가, 소정의 셀과는 다른 소정의 셀인 경우, 제어신호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규정되고 있는 갭 기간이라도 간헐수신 동작모드로 간헐적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사이라도, 유저장치가 이주파 측정을 수행해도 좋은 것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USER EQUIVALENT AND METHOD}
본 발명은 이동통신의 기술분야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이주파 시스템간의 핸드오버를 서포트하기 위한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에 관련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저장치(UE:User Equipment)는 핸드오버(HO:Handover)에 앞서서, 핸드오버처 후보(handover target candidates)가 되는 인접 셀의 품질을 측정하고, 측정결과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품질은 예를 들어 레퍼런스신호의 수신레벨이나 수신 SINR 등으로 표현된다. 기지국(eNB)으로의 보고는 메저먼트 레포트(Measurement Report)에 의해 수행된다. 기지국은 메저먼트 레포트에 기초하여, 유저장치(UE)가 핸드오버해야 하는 것을 결정하고,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메시지가, 유저장치(UE)에 핸드오버 커맨드(Handover Command)로서 통지된다.
핸드오버처는 동일 시스템의 동일 주파수의 셀 뿐 아니라, 동일 시스템의 다른 주파수의 셀일지도 모르며,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사용하고 있는 셀일지도 모른다.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고 있는 셀의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핸드오버원(handover source)과 다른 주파수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핸드오버처 셀의 주파수는, 핸드오버원 셀의 주파수와 다르다.
도 1은 이주파 셀간의 핸드오버가 수행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1에서는, 제1 주파수 f1의 이동통신시스템 및 제2 주파수 f2의 이동통신시스템을 포함하는 롱 텀 에볼루션(LTE:Long Term Evolution) 방식의 시스템과, 그들과는 다른 주파수 f3를 사용하는 WiMAX 방식의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이주파 또는 이(異)RAT의 시스템간에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본원 출원시의 3GPP TS25.331에서 설명되어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유저장치(UE)는 무선신호 처리부를 하나 밖에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주파수의 각각에 대해서 동시에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재권셀(서빙셀)의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의 셀(이주파셀)을 측정하는 경우, 주파수를 다시 동조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RRC 메저먼트 컨트롤에 의해, 갭 기간의 길이, 갭 기간이 찾아오는 주기, 이주파셀의 주파수 등이 기지국(eNB)으로부터 유저장치(UE)에 통지되고, 유저장치(UE)는, 지정된 갭 기간 동안에, 이주파 측정(주파수의 변경, 동기채널의 포착, 품질측정, 주파수의 변경 등의 처리를 포함한다)을 수행한다. 본원에 있어서의 '이주파 측정'은, 이주파의 셀을 서치하고, 그 품질을 측정할 뿐 아니라, 이RAT의 셀을 서치하고, 그 품질을 측정하는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2는 서빙셀에서 통신이 수행되고 있는 사이에 갭 기간이 마련되어 있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이주파셀로의 핸드오버를 신속하게 수행하려면, 그에 앞서서 수행되는 이주파 측정을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수행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갭 기간 내에 수행되는 유저장치의 동작패턴은 가능한 한 엄밀하게 규정되고, 이주파 측정의 구체적인 수법은 최적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동작패턴은, 재권셀에 있어서의 갭 기간의 길이 및 핸드오버처의 동기채널이나 파일럿신호, 알림정보 등의 송신빈도에 특히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이주파 측정방법을 최적화하려면, 재권셀에 있어서의 갭 기간의 길이 및 핸드오버처의 동기채널이나 파일럿신호, 알림정보 등의 송신빈도에 따라서, 상정되는 여러가지 상황의 각각에 대해서 유저장치가 어떻게 동작해야 하는지를 미리 결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유저장치가 어떻게 동작해야 하는지를 미리 결정해 둘 수 있었던 경우, 이주파 측정의 처리를 신속하게 완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핸드오버처의 시스템은, 각각, 독자의 동기채널의 송신주기나 파일럿신호의 송신주기, 알림정보의 송신주기를 가진다. 이는, 핸드오버처의 시스템에 의해서, 최적의 갭 기간의 길이가 다른 것을 의미한다. 즉, 재권셀에 있어서의 갭 기간의 종류는, 핸드오버 가능한 시스템의 수만큼 필요하다는 것이 된다. 그러나 그와 같이 한 경우, 유저장치는, 그 갭 기간의 종류만큼, 이주파 측정의 처리를 최적화할 필요가 있으며, 결과로서는, 유저장치의 복잡화나 설계부담의 증가로 이어질 뿐 아니라, 모든 갭 기간의 각각에서 최적의 이주파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유저장치의 동작이 보증될 필요가 있으며, 유저장치의 동작시험의 부담도 꽤 무거워진다.
한편, 핸드오버처가 어떠한 시스템이라도, 하나의 갭 기간을 이용하는 것이 이상적이기는 하나, 기존의 무선통신시스템 및 장래적으로 등장할 미래의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최적의 하나의 갭 기간을 정의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주파의 셀로 핸드오버하는 것이 가능한 유저장치의 설계부담 및 동작시험 부담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기지국장치 및 유저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이 사용된다. 상기 기지국장치는, 자 셀에 재권하는 유저장치에 이주파 측정을 수행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과, 제어신호를 상기 유저장치로 송신하는 수단을 가진다. 상기 유저장치는, 재권셀의 기지국장치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지시된 주파수에서 셀 서치 및 셀의 품질측정을 수행하는 수단을 가진다. 상기 유저장치의 핸드오버처의 셀 후보가, 소정의 셀인 경우,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규정되고 있는 갭 기간 동안에, 상기 유저장치가 이주파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유저장치의 핸드오버처의 셀 후보가, 상기 소정의 셀과는 다른 소정의 셀인 경우,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규정되고 있는 갭 기간 동안에, 상기 유저장치가 이주파 측정을 수행하는 것과, 간헐수신 동작모드에 들어가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주파의 셀로 핸드오버하는 것이 가능한 유저장치의 설계부담 및 동작시험 부담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이주파/이RAT 핸드오버가 수행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통신의 사이에 갭이 마련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이주파 측정에 사용가능한 기간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기지국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유저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기지국장치의 부분적인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유저장치의 부분적인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장치는, 자 셀에 재권하는 유저장치에 이주파 측정을 수행시킬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과, 제어신호를 상기 유저장치로 송신하는 수단을 가진다. 상기 유저장치의 핸드오버처의 셀 후보가, 소정의 셀인 경우,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규정되고 있는 갭 기간 동안에, 상기 유저장치가 이주파 측정을 수행해도 좋은 것을 나타낸다. 상기 유저장치의 핸드오버처의 셀 후보가, 상기 소정의 셀과는 다른 소정의 셀인 경우,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규정되고 있는 갭 기간 동안이라도 간헐수신 동작모드로 간헐적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사이라도, 상기 유저장치가 이주파 측정을 수행해도 좋은 것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소정의 셀이란, 예를 들어, 재권하는 시스템의 다른 주파수의 셀이나, 재권하는 시스템과는 다른 시스템의 셀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재권하는 시스템을 E-UTRA라고 가정한 경우에, 소정의 셀은, 예를 들어, E-UTRA 시스템의 다른 주파수의 셀이나, UTRA 시스템의 셀, GSM 시스템의 셀이다. 또, 상기 소정의 셀과는 다른 소정의 셀은, 예를 들어, WiMAX 시스템이나 CDMA2000 시스템, E-UTRA TDD 시스템의 셀이다. 또한, E-UTRA 시스템은, 롱 텀 에볼루션(LTE) 방식의 시스템이며, UTRA 시스템은, WCDMA 방식의 시스템이다.
상기 유저장치의 핸드오버처의 셀 후보가, 상기 소정의 셀과는 다른 소정의 셀인 경우, 상기 간헐수신 동작모드에 들어가야 하는 것과, 이주파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 따로따로의 제어신호로 표현되도록 해도 좋다. 이는, 기존의 신호의 정의를 변경하지 않고 본 발명을 실현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따로따로의 제어신호란, 예를 들어, RRC message나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간헐수신 동작모드에 들어가야 하는 것과, 이주파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 따로따로의 RRC message로 표현되어도 좋다. 또는, 상기 간헐수신 동작모드에 들어가야 하는 것과, 이주파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 따로따로의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로 표현되어도 좋다. 또는, 상기 간헐수신 동작모드에 들어가야 하는 것이 RRC message로 표현되고, 이주파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로 표현되어도 좋다. 또는, 상기 간헐수신 동작모드에 들어가야 하는 것이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로 표현되고, 이주파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 RRC message로 표현되어도 좋다.
상기 유저장치의 핸드오버처의 셀 후보가, 상기 소정의 셀과는 다른 소정의 셀인 경우, 상기 간헐수신 동작모드에 들어가야 하는 것과, 이주파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 같은 제어신호로 표현되도록 해도 좋다. 이는, 유저장치로의 제어 시그널링량을 줄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따로따로의 제어신호란, 예를 들어, RRC message나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간헐수신 동작모드에 들어가야 하는 것과, 이주파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 하나의 RRC message로 표현되어도 좋다. 또는, 상기 간헐수신 동작모드에 들어가야 하는 것과, 이주파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 하나의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로 표현되어도 좋다.
상기 유저장치의 핸드오버처의 셀 후보가, 상기 소정의 셀과는 다른 소정의 셀인 경우, 상기 유저장치에 대한 무선리소스의 할당이 금지되고, 해당 기지국장치로부터 상기 유저장치로의 명시적인 지시에 의하지 않고, 상기 유저장치의 동작모드가 간헐수신 동작모드로 이행하도록 해도 좋다. 즉, 상기 유저장치의 핸드오버처의 셀 후보가, 상기 소정의 셀과는 다른 소정의 셀인 경우, 기지국장치는, 상기 유저장치에 대해서 하향링크의 리소스 할당을 수행하는 신호인 DL Scheduling Information이나, 상향링크의 리소스 할당을 수행하는 신호인 UL Scheduling Grant를 송신하는 것을 정지함으로써, 상기 유저장치의 동작모드가 간헐수신 동작모드로 이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는, 유저장치로의 제어 시그널링량을 줄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DL Scheduling Information은, DL Scheduling Grant나 DL Assignment Information이라 불려도 좋다. 또, 상기 DL Scheduling Information이나 UL Scheduling Grant는 묶어서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DCI)이라 불려도 좋다. 또, 상기 DCI가 맵핑되는 물리채널은,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신호는, RRC massage나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이다. 그리고, 상기 RRC massage는, 예를 들어, RRC의 메저먼트 컨트롤이다. 또, 상기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는, 예를 들어, MAC 컨트롤 블록이다. 또는, 상기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 대신에, MAC 레이어의 헤더정보가 이용되어도 좋다. 또는, 상기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는, 예를 들어, MAC 컨트롤 엘리먼트라 불려도 좋다.
상기 제어신호 중, 이주파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것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는, 갭 기간의 길이, 갭 기간이 찾아오는 주기 및 이주파 측정에 있어서의 주파수를 나타내도록 해도 좋다.
상기 제어신호 중, 간헐수신 모드(discontinuous reception mode)에 들어가야 하는 것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는, 간헐수신의 주기, On-duration시의 길이를 나타내도록 해도 좋다. 여기에서, 간헐수신의 주기란, 간헐수신 모드에 있어서의 수신을 수행하는 타이밍의 주기이다. 또, On-duration시의 길이란, 수신을 수행하는 기간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간헐수신의 주기를 40ms로 하고, On-duration시의 길이를 3ms로 하면, 유저장치는, 40ms에 1회, 연속하는 3개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수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1 서브프레임은, 1ms이다.
또는, 상기 제어신호 중, 간헐수신의 주기, On-duration시의 길이 등은, RRC message에 의해 통지되고, '간헐수신 모드에 들어가야 한다'라는 지시내용만이 상기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에 의해 통지되어도 좋다.
상기 간헐수신 동작모드의 간헐기간은, 상기 갭 기간보다 길어도 좋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유저장치가 사용된다. 유저장치는, 재권셀의 기지국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지시된 주파수에서 셀 서치를 수행하고, 그 검출한 셀의 품질을 측정하는 수단을 가진다. 또한, 셀 서치 및 품질의 측정을 수행하는 대상이 되는 셀은, 재권하는 셀의 시스템과 동일한 시스템이어도 좋으며, 재권하는 시스템과 다른 시스템이어도 좋다. 해당 유저장치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서, (a)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규정되고 있는 갭 기간 동안에 이주파 측정을 수행한다, 또는 (b)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규정되고 있는 갭 기간에 혹은 상기 간헐수신 동작모드로 간헐적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사이에, 이주파 측정을 수행한다.
설명의 편의상,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 예를 이용하여 설명이 이루어지나, 특별한 단서가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실시 예 1
<동작 원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시스템에서 규정하는 갭 기간은 1 종류(예를 들어, 6ms)로 한정된다. 보다 일반적으로는 1 종류가 아니어도 좋으나, 유저장치의 동작시험 부담을 가장 경감할 수 있는 것은 1 종류로 한정한 경우이다. 이 갭 기간동안에 수행되는 이주파 측정에 대해서는, 효율적으로 이주파 측정을 할 수 있도록, 측정방법이 최적화되고, 유저장치 모두가 그와 같이 최적화된 이주파 측정을 실행가능하지 않으면 안 된다. 설명의 편의상, 유저장치가 재권하고 있는 셀은 LTE 방식의 시스템이며, 갭 기간은 6ms의 1 종류 뿐이라고 하고, 그리고 그 유저장치는,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는 WiMAX 방식의 시스템으로 핸드오버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WiMAX 방식의 시스템으로 핸드오버하는 경우, 즉, WiMAX 방식의 셀의 이주파 측정을 수행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갭 기간을 10ms 정도로 하고 이주파의 측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된다. 단, 본 발명은, 특정한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고, 이주파 측정을 요하는 적절한 어떠한 시스템에 적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어느 주파수를 사용하는 LTE 방식의 시스템과,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는 LTE 방식의 시스템과의 사이에서 핸드오버가 수행되어도 좋다. LTE 방식의 시스템과, WCDMA(UTRA-FDD) 방식의 시스템과의 사이에서 핸드오버가 수행되어도 좋다. LTE 방식의 시스템과, GSM 방식의 시스템과의 사이에서 핸드오버가 수행되어도 좋다. 이들의 핸드오버에서는, 같은 갭 기간(예를 들어, 6ms)이 사용되어도 좋을지 모른다.
한편, 다른 갭 기간을 규정하고 있는 시스템간의 핸드오버의 예로서는, LTE 방식의 시스템과 WiMAX 방식의 시스템의 사이에서의 핸드오버를 들 수 있는 것에 더해, TDD 방식이 아닌 LTE 방식의 시스템과 TDD 방식의 LTE 방식의 시스템의 사이의 핸드오버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순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적절한 어떠한 시스템간의 핸드오버에 본 발명이 적용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그 유저장치(UE)의 핸드오버처 후보의 시스템이 WiMAX 방식의 시스템인 것이 기지국장치에서 확인되면, 그 유저장치의 동작모드는 간헐수신 동작모드(DRX 모드)로 이행되고, 그 간헐의 사이에 이주파 측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 이주파 측정은, 최적화된 측정방법이 아니어도 좋다. 단순히 그 기간 내에 이주파 측정이 이루어지면 된다고 한다.
DRX 모드는, 본래적으로는, 유저장치의 배터리 세이빙의 관점에서 수행된다. 예를 들어, 유저장치(UE)가 공유데이터채널에 의한 통신을 수행하지 않았던 시간이 소정의 기간 이상 길어진 경우, 유저장치(UE)의 동작모드는 비(非)DRX 모드로부터 DRX 모드로 이행한다. 혹은, 그와 같은 시간경과와는 따로, 기지국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DRX 모드로의 이행이 수행되어도 좋다. 한편, 상향 또는 하향에서 통신을 개시할 필요가 생기면, DRX 모드로부터 비DRX 모드로 동작모드가 천이한다. 본 실시 예는, 이 DRX 모드에서 생기는 간헐수신의 사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주파 측정의 기간에 응용한다.
도 3의 상단은, 유저장치(UE)가 서빙셀과 통신하는 기간 동안에 갭 기간이 마련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는 도 2와 실질적으로 같은 내용을 나타낸다. 이 갭 기간 동안에, 최적화된 방법으로 이주파 측정이 수행된다. 도 3의 중단은, DRX 모드로 유저장치(UE)가 간헐적으로 제어채널을 수신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의 하단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간헐 동작모드로 간헐적으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사이에, 이주파 측정이 수행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로 인해, LTE 방식의 시스템에서 사전에 규정되는 갭 기간의 종류는 1 종류뿐이 되고, 유저장치(UE)에서 보증해야 하는 이주파 측정동작의 패턴도 적어도 된다. WiMAX 방식의 시스템(또는 셀)으로의 핸드오버시, 최적화되어 있지 않은 측정법으로 이주파 측정이 이루어지는 점에서, 이주파셀로의 핸드오버가 약간 늦어질지도 모른다. 그러나, LTE용의 6ms의 갭 기간인 채로 WiMAX 방식의 시스템에서 이주파 측정을 수행하는 것에 비하면, 핸드오버 후보를 특정하는 정밀도는 꽤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그 유저장치(UE)의 핸드오버처 후보의 시스템이, UTRA, 즉 WCDMA 방식의 시스템인 경우, 간헐수신 모드에 있는지 없는지에 관계없이, 유저장치(UE)는, 6ms의 갭 기간만을 이용하여, 셀의 서치를 수행하고, 그 검출한 셀의 품질을 측정해도 좋다.
<동작 흐름>
도 4는 기지국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 중,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특히 관련하는 처리 흐름을 나타낸다. 단계 S1에서는, LTE 방식의 시스템에 현재 재권하고 있는 유저장치(UE)의 핸드오버처 후보가, 소정의 시스템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소정의 시스템은, 이전의 예에서는 WiMAX 방식의 시스템이나, 보다 일반적으로는, 갭 기간을 6ms로 한 경우에, 그 이주파 측정을 위해서 최적의 갭 기간이 6ms와는 다른 이주파 시스템이다. 핸드오버처 후보가 LTE 방식의 시스템(E-UTRA) 또는 WCDMA 방식의 시스템(UTRA) 또는 GSM 방식의 시스템(GERAN)인 경우, 흐름은 단계 S2로 나아간다.
단계 S2에서는, 재권셀에서의 통신의 사이에, 시스템에서 규정되고 있는 6ms의 갭 기간을 마련하는 것이 결정된다. 그리고, 이주파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 유저장치에 통지된다. 또한, 갭 기간의 길이, 갭 기간이 찾아오는 주기 및 측정해야 하는 이주파수가 무엇인지 등에 대해서는, 이 시점에서 또는 다른 시점에서, 어떠한 제어신호에 의해 기지국장치(eNB)로부터 유저장치(UE)로 통지된다. 다른 시점은, 예를 들어 커넥션 설정시이다. 이 제어신호는, 예를 들어 RRC 메저먼트 컨트롤과 같은 메시지여도 좋으나, 다른 메시지여도 좋다.
단계 S3은, 단계 S1에서 핸드오버처 후보가, WiMAX 방식의 시스템과 같은 소정의 시스템인 경우이다. WiMAX 방식의 시스템의 셀을 이주파 측정할 때에 최적이라고 하는 갭 기간은 10ms이며, LTE 방식의 시스템에서 규정되고 있는 갭 기간(6ms)과 다르기 때문에, 단계 S2와 같이 단순히 6ms의 갭 기간을 마련하는 것 만으로는 충분한 이주파 측정을 수행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그래서, 단계 S3에서 기지국(eNB)은, 유저장치(UE)의 동작모드를 간헐수신 동작모드(DRX 모드)로 바꾸고, 갭 기간 및 간헐의 사이의 기간(DRX 기간, 즉, 간헐수신 제어 중의, On-duration 이외의 기간)의 쌍방을, 이주파 측정을 수행해도 좋은 기간으로 한다. 또한, 상기 DRX 기간이란, 간헐수신 제어에 있어서의 Active Time이 아닌 기간이라 간주되어도 좋다.
단계 S3에서 기지국장치(eNB)는 유저장치(UE)에, DRX 모드로 옮겨야 하는 것 및 이주파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통지한다. 또한, 이주파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통지할 때에, 갭 기간의 길이, 갭 기간이 찾아오는 주기 및 측정해야 하는 이주파수가 무엇인지 등에 대해서는, 이 시점에서 또는 다른 시점에서, 어떠한 제어신호에 의해 기지국장치(eNB)로부터 유저장치(UE)로 통지된다. 다른 시점은, 예를 들어 커넥션 설정시이다. 이 제어신호는, 예를 들어 RRC 메저먼트 컨트롤과 같은 메시지여도 좋으나, 다른 메시지여도 좋다.
단계 S3에 있어서의 통지의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한정은 아니지만, 적어도 다음의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방법 1)
유저장치(UE)가 DRX 모드로 이행해야 하는 것 및 이주파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 각각 개별의 제어신호로 표현되고, 각 제어신호가 명시적으로 유저장치(UE)에 통지된다. 예를 들어, DRX 모드로 이행해야 하는 것이, MAC 레이어의 헤더정보 또는 제어정보 또는 RRC 메시지로 표현되어도 좋다. DRX 모드에 대해서는, 간헐수신의 간헐기간, 기동기간(On-duration timer), 듀티비, 간헐주기(DRX cycle) 등의 사항이 이 시점에서 특정되어도 좋으며, 혹은 간헐기간 등은 시스템에서 일의적으로 결정되어 있어도 좋다. 이전의 예의 경우, WiMAX 시스템의 이주파 측정시에 최적의 갭 기간은 10ms이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 설정되는 DRX 기간도 10ms 이상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주파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것은, RRC 메시지, 예를 들어, RRC 메저먼트 컨트롤로 표현되어도 좋다. 이주파 측정에 대해서는, 어떠한 주파수의 셀을 찾아야 하는지가 적어도 유저장치에 통지된다.
본 방법의 경우, DRX 모드로 이행해야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신호나, 이주파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신호 자체는, 기존의 신호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새로운 신호를 정의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유리할지도 모른다.
(방법 2)
유저장치(UE)가 DRX 모드로 이행해야 하는 것 및 이주파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 하나의 제어신호로 표현되고, 그 하나의 제어신호가 명시적으로 유저장치(UE)에 통지된다. 통지되는 내용 자체는 방법 1과 동일하나. 방법 1과는 다르게, 새로운 신호를 별도로 마련하는 점이 다르다. MAC 레이어의 헤더정보 또는 제어정보나, RRC 메저먼트 컨트롤을 이용해서, 유저장치(UE)로의 통지가 수행되어도 좋다.
(방법 3)
방법 1, 2에서는, 유저장치(UE)의 동작모드는 변경되어야 하는 것이 명시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저장치(UE)가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지 않았던 기간이 소정 기간 이상 길어지면, 동작모드는 DRX 모드로 이행한다. 그래서, 방법 3에서는, 이주파 측정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방법 1, 2와 마찬가지로 유저장치에 명시적으로 통지되나, DRX 모드로 이행해야 하는 것에 대해서는 명시적인 통지는 수행되지 않는다. 기지국장치(eNB)는 이주파 측정의 명시적인 통지를 수행한 후, 그 유저장치(UE)용으로 공유채널의 리소스를 할당하지 않도록 한다. 그 결과, 유저장치(UE)는 소정 기간 경과 후, DRX 모드로 이행하는 것이 된다.
도 5는, 유저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 중,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특히 관련하는 처리 흐름을 나타낸다. 단계 S1에서 유저장치(UE)는 기지국장치(eNB)로부터 이주파 측정의 지시를 받는다. 이 지시는 도 4의 단계 S2 또는 S3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도 5의 단계 S2에서는, 핸드오버처 후보가 LTE 방식의 시스템(E-UTRA) 또는 WCDMA 방식의 시스템(UTRA) 또는 GSM 방식의 시스템(GERAN)인지, 혹은, WiMAX 방식의 시스템인지가 확인된다. LTE 방식의 시스템 또는 WCDMA 방식의 시스템 또는 GSM 방식의 시스템인 경우, 흐름은 단계 S4로 나아간다.
단계 S4에 이르는 경우는, 도 4의 흐름에서 단계 S2의 수순이 실행된 것에 대응한다. 따라서 유저장치(UE)는, 시스템에서 규정되고 있는 6ms의 갭 기간 동안에, 지정된 이주파수의 셀을 찾아서, 그 품질을 측정한다.
단계 S2에서, 핸드오버처 후보가 WiMAX 방식의 시스템인 것이 확인된 경우, 흐름은 단계 S3으로 흐름이 나아간다. 단계 S3에서는, 유저장치(UE)의 동작모드가 DRX 모드가 되는지 또는 되어 있는지 여부가 확인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DRX 모드로의 이행의 통지는, 명시적으로 수행될지도 모르며(방법 1, 2), 수행되지 않을지도 모른다(방법 3). 전자의 경우, 단계 S3에서, 유저장치(UE)의 동작모드가 DRX 모드로 바뀌도록 명시적으로 통지를 받고 있는지 여부가 확인된다. 후자의 경우, 이미 DRX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지 여부가 확인된다. 무엇이든, 유저장치(UE)의 동작모드가 DRX 모드가 되는지 또는 이미 되어 있는 경우, 흐름은 단계 S5로 나아간다.
단계 S5에서는, 갭 기간도 DRX 기간도 이주파 측정에 사용가능하다. 여기에서, DRX 기간이란, 간헐수신 제어 중의, On-duration 이외의 기간을 가리켜도 좋다. 또는, DRX 기간이란, 간헐수신 제어 중의, Active Time이 아닌 기간을 가리켜도 좋다. 이들의 기간 동안에, 유저장치는 WiMAX 방식의 시스템의 셀을 찾고, 그 품질의 측정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 수행되는 이주파 측정은, 최적화된 측정방법이 아니다. 이 점, 최적화된 이주파 측정이 수행되는 단계 S4의 측정방법과 다르다. 또한, 고성능의 이동국은, 최적화된 측정방법을 실장하고, 최적의 이주파 측정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계 S4 및 S5에 있어서, 순시 페이징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이주파 측정의 몇 가지 측정결과는, 평균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측정결과로부터, 핸드오버처 후보의 품질(예를 들어, 수신레벨이나 SINR)이 도출된다.
또한, 상기 수신레벨은,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RSRP)라 불려도 좋다. 또, 핸드오버처 후보의 품질로서, 상기 수신레벨이나 SINR 대신에,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가 이용되어도 좋다. 여기에서,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란, 하향링크의 참조신호의 수신전력을, 하향링크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로 나눈 값이다. 여기에서, RSSI란, 이동국에 있어서 관측되는 토탈 수신레벨이며, 열잡음이나 타 셀로부터의 간섭전력이나 자 셀로부터의 희망신호의 전력 등의 모두를 포함한 수신레벨이다.
이 품질이 핸드오버에 관한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그 취지를 유저장치(UE)는 기지국(eNB)에 보고한다. 핸드오버에 관한 소정의 조건은, 일 예로서 다음과 같은 것이다:
(이주파셀에서의 품질)+(오프셋)>(임계값)
(이주파셀에서의 품질)+(오프셋)>(서빙셀(자 주파수)에서의 품질)
또한, 상술한 2개의 조건은, 어느 것 하나에 관해서 그 판정이 수행되어도 좋으며, 양방에 관해서 그 판정이 수행되어도 좋다.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이 기지국장치(eNB)에서 확인되면, 그 후보 셀로 핸드오버해야 하는 것을 기지국장치(eNB)는 유저장치(UE)로 핸드오버 커맨드(Handover Command)를 통해서 지시한다. 유저장치는 이 지시에 따라서 이주파의 셀로의 핸드오버의 수순을 개시한다. 또한, 이주파의 셀이란, 단계 S4의 경우에는, LTE 방식이나 WCDMA 방식, GSM 방식의 시스템의 셀이며, 단계 S5의 경우에는, WiMAX 방식의 시스템의 셀이다.
<장치구성>
도 6은, 기지국장치의 부분적인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기지국장치(200)는 송수신 안테나(202)를 가진다. 기지국장치(200)는 앰프부(204)를 가진다. 기지국장치(200)는 송수신부(206)를 가진다. 기지국장치(200)는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208)를 가진다. 기지국장치(200)는 호처리부(210)를 가진다. 호처리부(210)는 핸드오버 관리부(211)를 가진다. 호처리부(210)는 DRX 관리부(213)를 가진다. 기지국장치(200)는 전송로 인터페이스(212)를 가진다.
하향링크에 관해서, 유저데이터는 상위국(예를 들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으로부터 전송로 인터페이스(212)를 통해서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208)에 부여된다. 또한,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는, MME/SGW(Mobility Management Entity/Serving Gateway)라 불려도 좋다.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208)는, PDCP 레이어의 송신처리, 유저데이터의 분할 및/또는 결합이나 RLC(Radio Link Control) 재송제어 등의 RLC 레이어의 송신처리, MAC(Medium Access Control) 재송제어(예를 들어 HARQ), 스케줄링, 전송포맷 선택, 채널 부호화, 역고속 푸리에 변환(IFFE: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등을 수행한다. 상기 방식 3이 사용되는 경우, 이주파 측정이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에, 대상이 되는 유저장치에 대한 무선리소스의 할당은 금지된다. 이들 처리가 실시된 신호가 송수신부(206)에 전송된다. 또,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신호에 관해서도, 채널 부호화나 역고속 푸리에 변환 등의 송신처리가 수행되고, 송수신부(206)에 전송된다.
송수신부(206)에서는,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208)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신호가 무선주파수대역으로 변환되도록 주파수 변환처리가 수행되고, 그 후 신호는 앰프부(204)에서 증폭되어 송수신 안테나(202)로부터 송신된다.
상향링크에 관해서, 기지국장치(200)는 송수신 안테나(202)를 통해서 무선주파수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무선주파수신호는 앰프부(204)에서 증폭되고, 송수신부(206)에서 주파수 변환되고 베이스밴드신호로 변환되어,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208)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208)에서는, 입력된 상향링크의 베이스밴드신호에 포함되는 유저데이터에 대해서, FFT/IDFT 처리, 오류정정 복호, MAC 재송제어의 수신처리, RLC 레이어, PDCP 레이어의 수신처리가 이루어지고, 처리 후의 신호는 전송로 인터페이스(212)를 통해서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에 전송된다. 상향제어채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FFT/IDFT 처리, 오류정정 복호, MAC 재송제어의 수신처리, RLC 레이어의 수신처리가 이루어진다.
호처리부(210)는, 통신채널의 설정이나 해방 등의 호처리나, 무선기지국(200)의 상태관리나, 무선리소스의 관리를 수행한다.
핸드오버 관리부(211)는, 유저장치(UE)의 핸드오버처 후보가, 소정의 시스템에 해당하는지 여부의 확인, 핸드오버를 개시하는지 여부의 결정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 소정의 시스템이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LTE 방식 또는 WCDMA 방식 또는 GSM 방식의 시스템이나, 보다 일반적으로는, 서빙셀의 시스템에서 정의되고 있는 갭 기간(상술한 예에서는 6ms)이, 그 이주파 시스템을 수행하기 위해서 최적의 갭 기간과 동일한 시스템이다. 또, 소정의 시스템과는 다른 소정의 시스템이란, 예를 들어, WiMAX 방식의 시스템이며, 보다 일반적으로는, 서빙셀의 시스템에서 정의되고 있는 갭 기간(상술한 예에서는 6ms)이, 그 이주파 시스템을 수행하기 위해서 최적의 갭 기간(WiMAX 방식의 셀에 관해서 이주파 측정을 수행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10ms라 한다)과 다른 시스템이다.
DRX 관리부(213)는, DRX 모드에 있어서의 간헐기간(DRX Cycle), 기동기간(On-duration timer), 듀티비 등의 관리나 DRX 모드로 이행해야 하는지 여부의 제어 등의 통상의 기능에 더해서, 소정의 경우에 유저장치(UE)를 DRX 모드로 천이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소정의 경우란, 핸드오버 관리부(211)가 소정의 시스템(셀)과는 다른 소정의 시스템(셀)을 검출한 경우이며, 전형적으로는, 핸드오버처 후보가 WiMAX 방식의 시스템인 경우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방식 1의 경우에는, DRX 관리부(213)는, 유저장치(UE)를 DRX 모드로 천이시킨다고 판정하면, 상기 유저장치(UE)에 대해서, DRX 모드를 이행해야 하는 것을 통지하는 제어신호를 통지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208), 송수신부(206), 앰프부(204), 송수신 안테나(202)를 통해서, 상기 유저장치(UE)에 대해서 송신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방식 2의 경우에는, DRX 관리부(213)는, 유저장치(UE)를 DRX 모드로 천이시킨다고 판정하면, 상기 유저장치(UE)에 대해서, DRX 모드를 이행해야 하는 것 및 이주파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것을 통지하는 제어신호를 통지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208), 송수신부(206), 앰프부(204), 송수신 안테나(202)를 통해서, 상기 유저장치(UE)에 대해서 송신된다.
도 7은 유저장치(UE)의 부분적인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유저장치(UE)는 수신부(71)를 가진다. 유저장치(UE)는 FFT 처리부(72)를 가진다. 유저장치(UE)는 채널 복호부(73)를 가진다. 유저장치(UE)는 측정부(74)를 가진다. 유저장치(UE)는 Gap 제어부(75)를 가진다. 유저장치(UE)는 DRX 제어부(76)를 가진다.
수신부(71)는, 기지국장치(eNB)에 의해 지정된 주파수의 무선주파수신호를 수신하고, 베이스밴드신호로 변환한다.
FFT 처리부(72)는, 수신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고, 주파수 영역에 맵핑되고 있는 여러가지 신호를 취출한다. 취출된 신호 중, 예를 들어 레퍼런스신호(파일럿신호)는 측정부(74)에 부여된다. 취출된 신호 중, 예를 들어 데이터채널이나 제어채널은 채널 복호부(73)에 부여된다. 또, FFT 처리부(72)는, 상술한 고속 푸리에 변환이 수행되고 있지 않는 수신신호를 측정부(74)로 송신한다.
채널 복호부(73)는, 수신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채널이나 제어채널에 대해서 오류정정 복호처리를 실시하고, 처리 후의 신호를 뒷 단계의 복조 처리부로 전송한다.
측정부(74)는, 고속 푸리에 변환이 수행되고 있지 않는 수신신호에 기초하여, 이주파 측정의 대상이 되는 셀의 서치를 수행한다. 또, 측정부(74)는, 셀 서치에 의해 검출된 셀의 레퍼런스신호의 수신품질을 측정한다. 수신품질은 예를 들어 수신레벨이나 수신 SINR 등으로 표현되어도 좋다.
Gap 제어부(75)는, 기지국장치(eNB)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갭 기간을 설정한다. 갭 기간의 개시시점, 기간의 길이, 주기, 이주파 측정대상의 주파수 등은, MAC 레이어의 헤더정보 또는 제어정보 및/또는 RRC 메시지, 예를 들어, RRC 메저먼트 컨트롤에서 지시되고 있다. 지시되고 있는 주파수는, 수신부(71)에 통지된다. 갭 기간의 개시 및 종료의 타이밍에 맞춰서, 수신부(71)의 동조 주파수는, 서빙셀의 주파수 및 이주파 측정의 대상이 되는 셀의 이주파수 사이에서 전환되어도 좋다.
DRX 제어부(76)는, 기지국장치(eNB)로부터 명시적인 지시에 의해 또는 유저장치(UE) 스스로의 판단으로, 동작모드를 DRX 모드로 한다. 특히, WiMAX 방식의 시스템이, 핸드오버 후보의 이주파 시스템에 해당하는 경우, 갭 기간도 DRX 기간도 이주파 측정에 사용가능하다. 바꿔말하면, 갭 기간의 사이도 DRX 기간의 사이도 수신부(71)는 이주파에 동조해도 좋다. 이 경우, 측정부(74)에 있어서, 갭 기간의 사이도 DRX 기간의 사이도, 이주파 측정이 수행된다. 여기에서, DRX 기간이란, 간헐수신 제어 중의, On-duration 이외의 기간을 가리켜도 좋다. 또는, DRX 기간이란, 간헐수신 제어 중, Active Time이 아닌 기간을 가리켜도 좋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 이주파 측정의 대상이 되는 셀이, 소정의 셀과는 다른 소정의 셀이며, 기지국(eNB)이, 유저장치(UE)에 대해서 이주파 측정을 수행하는 것과, DRX 모드로 옮겨야 하는 것을 통지하는 경우에, 유저장치가 갭 기간과 DRX 기간의 양방을 이용해서 셀 서치 및 셀의 품질의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명시적으로 지시해도 좋으며, 하지 않아도 좋다. 명시적으로 지정된 경우, UE는, 갭 기간과 DRX 기간의 양방을 이용하여 셀 서치 및 셀의 품질의 측정을 수행한다. 한편, 명시적으로 지정하지 않는 경우, 기지국(eNB)은, 단순히, 유저장치에 대해서, 이주파 측정을 수행하는 것과, DRX 모드로 옮겨야 하는 것을 통지한다. 이 경우, 갭 기간만을 이용해서 셀 서치 및 셀의 품질의 측정을 수행하는지, 갭 기간과 DRX 기간의 양방을 이용해서 셀 서치 및 셀 품질의 측정을 수행하는지는, 유저장치(UE)가 결정한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어 왔으나, 실시 예는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 예를 이용하여 설명이 이루어졌으나, 특별히 단서가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실시 예 또는 항목의 구분은 본 발명에 본질적이지 않으며, 2 이상의 실시 예 또는 항목에 기재된 사항에 필요에 의해서 조합해서 사용되어도 좋으며, 어느 실시 예 또는 항목에 기재된 사항이, 다른 실시 예 또는 항목에 기재된 사항에(모순되지 않는 한) 적용되어도 좋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기능적인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되었으나,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국제출원은 2007년 12월 4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7-313964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200 기지국장치
202 송수신 안테나
204 앰프부
206 송수신부
208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
210 호처리부
212 전송로 인터페이스
71 수신부
72 FFT 처리부
73 채널 복호부
74 측정부
75 Gap 제어부
76 DRX 제어부

Claims (20)

  1.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자 셀에 재권하는 유저장치에 이주파 측정을 수행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
    제어신호를 상기 유저장치로 송신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유저장치의 핸드오버처의 셀 후보가, 소정의 셀인 경우,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규정되고 있는 갭 기간 동안에, 상기 유저장치가 이주파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유저장치의 핸드오버처의 셀 후보가, 상기 소정의 셀과는 다른 소정의 셀인 경우,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규정되고 있는 갭 기간 동안에, 상기 유저장치가 이주파 측정을 수행하는 것과, 간헐수신 동작모드에 들어가는 것을 통지하도록 한 기지국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의 핸드오버처의 셀 후보가, 상기 소정의 셀과는 다른 소정의 셀인 경우,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간헐수신 동작모드에 들어가야 하는 것과, 이주파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것을 따로따로의 제어 메시지로서 통지하도록 한 기지국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의 핸드오버처의 셀 후보가, 상기 소정의 셀과는 다른 소정의 셀인 경우,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간헐수신 동작모드에 들어가야 하는 것과, 이주파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 같은 제어 메시지로서 통지하도록 한 기지국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의 핸드오버처의 셀 후보가, 상기 소정의 셀과는 다른 소정의 셀인 경우,
    상기 유저장치에 대한 무선리소스의 할당이 금지되고, 해당 기지국장치로부터 상기 유저장치로의 명시적인 지시에 의하지 않고, 상기 유저장치의 동작모드가 간헐수신 동작모드로 이행하도록 한 기지국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MAC 레이어의 헤더정보 또는 제어정보 또는 RRC 메시지로 전송되는 기지국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중, 이주파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통지하는 제어신호는, 갭 기간의 길이, 갭 기간이 찾아오는 주기 및 이주파 측정에 있어서의 주파수를 나타내도록 한 기지국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수신 동작모드의 간헐기간이, 상기 갭 기간보다 긴 기지국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셀이, 롱 텀 에볼루션(LTE) 방식의 시스템의 셀, 또는, WCDMA 방식의 시스템의 셀, 또는 GSM 방식의 시스템의 셀이며,
    상기 소정의 셀과는 다른 소정의 셀이, WiMAX 방식의 시스템의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9.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장치에서 사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자 셀에 재권하는 유저장치에 이주파 측정을 수행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제어신호를 상기 유저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가지며,
    상기 유저장치의 핸드오버처의 셀 후보가, 소정의 셀인 경우,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규정되고 있는 갭 기간 동안에, 상기 유저장치가 이주파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유저장치의 핸드오버처의 셀 후보가, 상기 소정의 셀과는 다른 소정의 셀인 경우,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규정되고 있는 갭 기간 동안에, 상기 유저장치가 이주파 측정을 수행하는 것과, 간헐수신 동작모드에 들어가는 것을 통지하도록 한 방법.
  10.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재권셀의 기지국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지시된 주파수에서 셀 서치 및 셀의 품질측정을 수행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서,
    (a)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규정되고 있는 갭 기간 동안에 이주파 측정을 수행하도록, 또는
    (b)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규정되고 있는 갭 기간에 혹은 상기 간헐수신 동작모드로 간헐적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사이에, 이주파 측정을 수행하도록 한 유저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수신 동작모드에 들어가야 하는 것과, 이주파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 따로따로의 제어신호로 표현되고 있는 유저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수신 동작모드에 들어가야 하는 것과, 이주파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 하나의 제어신호로 표현되고 있는 유저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소정 기간 이상 통신하지 않은 것에 따라서 간헐수신 동작모드로 이행하고, 상기 간헐수신 동작모드로 간헐적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사이에 이주파 측정을 수행하는 유저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MAC 레이어의 헤더정보 또는 제어정보 또는 RRC 메시지로 전송되는 유저장치.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중, 이주파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통지하는 제어신호는, 갭 기간의 길이, 갭 기간이 찾아오는 주기 및 이주파 측정에 있어서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유저장치.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수신 동작모드의 간헐기간이, 상기 갭 기간보다 긴 유저장치.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셀이, 롱 텀 에볼루션(LTE) 방식의 시스템의 셀, 또는, WCDMA 방식의 시스템의 셀, 또는 GSM 방식의 시스템의 셀이며,
    상기 소정의 셀과는 다른 소정의 셀이, WiMAX 방식의 시스템의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18. 이동통신시스템의 유저장치에서 사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재권셀의 기지국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지시된 주파수에서 셀 서치를 수행하는 단계;를 가지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서,
    (a)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규정되고 있는 갭 기간 동안에 이주파 측정을 수행하도록, 또는
    (b)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규정되고 있는 갭 기간 동안에 혹은 상기 간헐수신 동작모드로 간헐적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사이에, 이주파 측정을 수행하도록 한 방법.
  19. 기지국장치 및 유저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장치는,
    자 셀에 재권하는 유저장치에 이주파 측정을 수행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
    제어신호를 상기 유저장치로 송신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유저장치는,
    재권셀의 기지국장치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지시된 주파수에서 셀 서치 및 셀의 품질측정을 수행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유저장치의 핸드오버처의 셀 후보가, 소정의 셀인 경우,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규정되고 있는 갭 기간 동안에, 상기 유저장치가 이주파 측정을 수행해도 좋은 것을 나타내며,
    상기 유저장치의 핸드오버처의 셀 후보가, 상기 소정의 셀과는 다른 소정의 셀인 경우,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규정되고 있는 갭 기간이라도 상기 간헐수신 동작모드로 간헐적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사이라도, 상기 유저장치가 이주파 측정을 수행해도 좋은 것을 나타내도록 한 이동통신시스템.
  20. 기지국장치 및 유저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자 셀에 재권하는 유저장치에 이주파 측정을 수행시키는지 여부를 기지국장치에서 판정하는 단계;
    제어신호를 상기 유저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유저장치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지시된 주파수에서 상기 유저장치가 셀 서치를 수행하는 단계;를 가지며,
    상기 유저장치의 핸드오버처의 셀 후보가, 소정의 셀인 경우,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규정되고 있는 갭 기간 동안에, 상기 유저장치가 이주파 측정을 수행해도 좋은 것을 나타내며,
    상기 유저장치의 핸드오버처의 셀 후보가, 상기 소정의 셀과는 다른 소정의 셀인 경우,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규정되고 있는 갭 기간 동안이라도 상기 간헐수신 동작모드로 간헐적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사이라도, 상기 유저장치가 이주파 측정을 수행해도 좋은 것을 나타내도록 한 방법.
KR1020107013909A 2007-12-04 2008-12-03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KR201001056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13964 2007-12-04
JPJP-P-2007-313964 2007-1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626A true KR20100105626A (ko) 2010-09-29

Family

ID=40717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909A KR20100105626A (ko) 2007-12-04 2008-12-03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59034B2 (ko)
EP (1) EP2219394A4 (ko)
JP (1) JP5468387B2 (ko)
KR (1) KR20100105626A (ko)
CN (1) CN101953202B (ko)
WO (1) WO20090725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0990B2 (ja) * 2009-07-17 2013-06-1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EP2553967B1 (en) * 2010-04-01 2020-05-13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anagement of measurement reporting after cell change
CN102905286B (zh) * 2011-07-29 2017-07-11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在用户设备和基站设备中进行drx配置和测量的方法
EP2823671B1 (en) * 2012-03-06 2020-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method and system for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of user equipment during cell detection
US9510212B2 (en) * 2012-04-27 2016-11-29 Qualcomm Incorporated Signal designs for densely deployed network
US20140038605A1 (en) * 2012-07-31 2014-02-06 Firouz Behnamfar Devices and methods for cellular communication
WO2014184668A2 (en) * 2013-04-05 2014-11-20 Nokia Corporation Relaxed performance requirements for offloading measurements
JP7019294B2 (ja) 2014-08-07 2022-02-15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
JP2017063326A (ja) * 2015-09-24 2017-03-30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1525B2 (ja) * 2001-08-09 2006-11-2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キャリア検出方法
WO2006106561A1 (ja) * 2005-03-29 2006-10-1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ハンドオーバー制御方法、基地局制御装置および移動局
EP1986347A1 (en) 2006-02-10 2008-10-29 Sharp Kabushiki Kaish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JP4812479B2 (ja) * 2006-03-20 2011-11-0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及び周辺セル測定方法
US20080076427A1 (en) * 2006-08-21 2008-03-27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system, network element, and software product for discontinuous reception priority map to enhance measurement gap control
US20080189970A1 (en) * 2007-01-08 2008-08-1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asurement gap pattern scheduling to support mobility
US20080274742A1 (en) * 2007-05-02 2008-11-06 Motorola, Inc. Method for performing mobility measurements among different networks
US20080318577A1 (en) * 2007-06-25 2008-12-2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inter-frequency and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handover
US8594030B2 (en) * 2007-08-10 2013-11-2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HARQ operation in dynamic radio resource allocation
US8451803B2 (en) * 2007-10-05 2013-05-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measurement behavior of DRX mode 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19394A1 (en) 2010-08-18
US20100273484A1 (en) 2010-10-28
JP5468387B2 (ja) 2014-04-09
CN101953202A (zh) 2011-01-19
CN101953202B (zh) 2013-11-27
JPWO2009072521A1 (ja) 2011-04-28
US8359034B2 (en) 2013-01-22
WO2009072521A1 (ja) 2009-06-11
EP2219394A4 (en)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26744A1 (en) Communication terminal
US9369960B2 (en) Method for operation based on switching discontinuous reception st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2387851B1 (ko) 비허가 스펙트럼을 통한 lte 에서 신호 강도 측정들에 기초한 rrm
CN107667557B (zh) 用于多载波设备的载波测量
EP2262318B1 (en) User equipment, base station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KR20100105626A (ko)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KR10149808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idc 간섭을 회피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042829B1 (ko) 개인 네트워크 셀을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링크 연결 장치 및 방법
US8306538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performing measurements logg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81951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idc 간섭 제거를 위한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155037B2 (en) Mobile assisted disparate radio access technology interfacing
US20130223393A1 (en) Method for coordinating inter-cell interference and base station
US9763158B2 (en) Base station identity code and system information collection
KR102046490B1 (ko) 셀 검출 동안 사용자 단말의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70208523A1 (en) Inter radio access technology measurement during connected discontinuous reception
JP7221959B2 (ja) 高速セルアクセスのための測定
CN106797610B (zh) 调整具有接通/关断小区的网络中要测量的小区的数量
KR20140005321A (ko)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및 시스템
WO2012066676A1 (ja) 無線基地局装置、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基地局装置における無線通信方法
US20140341193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channel measurement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JP2009077287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ユーザ装置、基地局装置及び方法
JP6035191B2 (ja) Drx伝送時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ー・タイミング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Boixadera Radio Resource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