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4892A -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자막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자막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4892A
KR20100104892A KR1020090023597A KR20090023597A KR20100104892A KR 20100104892 A KR20100104892 A KR 20100104892A KR 1020090023597 A KR1020090023597 A KR 1020090023597A KR 20090023597 A KR20090023597 A KR 20090023597A KR 20100104892 A KR20100104892 A KR 20100104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vd
subtitle
information
user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2850B1 (ko
Inventor
권영대
Original Assignee
(주)씨엠씨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엠씨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씨엠씨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090023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850B1/ko
Publication of KR20100104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자막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자막제공 시스템은,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의 영상/음성신호의 재생시간과 동기화되어 있는 자막정보가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되어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에 자막제공이 가능한 디브이디 콘텐츠의 자막제공 리스트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디브이디 콘텐츠의 자막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자막제공서버;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자막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자막제공 리스트를 전송받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또는 재생을 위해 삽입된 디브이디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에 따라 자동으로 특정 자막정보를 상기 자막제공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며, 상기 디브이디 콘텐츠로부터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추출하여 재생하는 동시에 상기 저장된 자막정보를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와 동기화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자막제공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중에서 손쉽게 구매하거나 대여할 수 있는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에 대하여 용이하게 자막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이용하여 어학학습을 할 수 있으며, 디브이디 콘텐츠에 수록되어 있지 않은 비영어권 국가의 디브이디 콘텐츠의 자막정보를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고, 미주권 등 해외에 거주하는 교포가 해 외에서 현지에서 구매 또는 대여한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한국어 자막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자막, 디브이디, 어학, 학원, 어학학습

Description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자막제공 시스템{A Caption System for Commercial-DVD contents}
본 발명은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자막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구입하거나 또는 디브이디 대여점을 통해 대여할 수 있는 디브이디 콘텐츠와 이에 상응되는 자막정보를 저장한 자막제공서버를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에 매칭되는 자막을 편리하게 제공받고, 이를 이용하여 영어학습을 할 수 있는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자막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입학, 취업, 승진 등 모든 사회활동에 있어서 외국어 능력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외국어 능력의 필요성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외국어 학습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고 있다. 외국어 학습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람들은 어학학원, 과외, 해외연수 등의 방법을 택하고 있으며, 이로인한 외국어 사교육비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스크린 잉글리쉬란 영화, 또는 드라마 등 영상콘텐츠를 이용하여 영어를 학습하는 한 방법으로서, 비영어권 국가에서 전통적으로 저비용, 고효율의 영어학습방법으로 인정되는 있는 영어학습의 한 방법이다.
과거 영상콘텐츠가 CD 형태로 제작되던 경우, 별도의 스크린 잉글리쉬용 어학학습 영상 콘텐츠가 개발되어 시판된 적이 있으며, 1996년~2004년 사이에 2000만장의 판매실적을 올리기도 했다.
그러나, 미디어 매체가 CD에서 디브이디로 넘어오면서, 이러한 스크린 잉글리쉬용 영상 콘텐츠가 저장된 CD의 시판이 중지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구매하거나 대여점을 통해 대여가 가능한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스크린 잉글리쉬 영어학습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터넷을 이용하여 별도의 콘텐츠 파일(dvix 파일 등)과 전용 자막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자막지원기능이 구비된 플레이어에서 재생하는 방식이 개발되었으나, 인터넷을 통하여 별도의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야 하며, 통상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해 구할 수 있는 divx 파일 자체가 저작권을 침해한 불법파일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어학학습의 측면을 떠나 한국어 자막이 지원되지 않는 지역코드에 속하는 지역에서 제작된 디브이디의 경우 언어 상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디브이디 콘텐츠를 감상할 수 없으며, 인터넷을 통하여 자막파일을 다운로드 받기도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영어권 제작된 디브이디 콘텐츠의 경우 국내에서 판권을 사서 한국 어 자막을 편집해 디브이디에 수록해야 하므로 비용과 인적자원적인 면에 있어 그 제작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국내의 사용자들이 비영어권 디브이디 콘텐츠를 거의 감상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미주권 등 영어권이 거주하는 영어가 능숙하지 않은 재외동포의 경우 그 지역에서 구매하거나 대여하는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에 한국어 자막이 지원되지 않으므로 한국에서 제작된 디브이디 콘텐츠를 별도로 구매해야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어학학습용으로 제작되지 않은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하여 콘텐츠에 해당되는 자막정보를 용이하게 제공받아 표시하며, 이를 이용하여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어학학습을 할 수 있는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자막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영어권 국가에서 제작된 디브이디 콘텐츠라 할지라도 편리하고, 용이하게 자막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가 언어권의 제약을 뛰어 넘어 세계 각국의 디브이디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는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자막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주권 등 해외에 거주하는 비영어권 사용자가 별도로 제작한 비영어권 사용자의 언어의 자막이 포함된 디브이디 콘텐츠를 구매하지 않고, 해외에서 발매된 디브이디 콘텐츠를 구매/대여하여 편리하고 용이하게 해당 사용자의 언어로된 자막을 제공받을 수 있는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자막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의 영상/음성신호의 재생시간과 동기화되어 있는 자 막정보가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되어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에 자막제공이 가능한 디브이디 콘텐츠의 자막제공 리스트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디브이디 콘텐츠의 자막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자막제공서버;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자막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자막제공 리스트를 전송받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또는 재생을 위해 삽입된 디브이디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에 따라 자동으로 특정 자막정보를 상기 자막제공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며, 상기 디브이디 콘텐츠로부터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추출하여 재생하는 동시에 상기 저장된 자막정보를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와 동기화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자막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술한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 디브이디 콘텐츠의 영상신호와 자막정보가 재생되는 디스플레이부; 디브이디 콘텐츠의 음성신호가 재생되는 음성출력부;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상기 자막제공서버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삽입된 디브이디의 재생을 수행하는 디브이디 드라이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또는, 상기 디브이디 드라이버에 삽입된 디브이디에 저장된 콘텐츠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자막제공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자막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며, 상기 디브이디 드라이버에 삽입된 디브이디로부터 영상/음성신호를 추출하여 재생하는 동시에 상기 저장된 자막정보를 영상/음성신호와 동기화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재생하는 디브이디 재생부; 및 상기 입력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음성출력부, 상기 통신부, 상기 디브이디 드라이버, 상기 디브이디 재생부를 제어하여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와 자막정보를 동기화하여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디브이디 재생부는, 상기 디브이디 드라이버에 삽입된 디브이디에 저장된 콘텐츠로부터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만을 추출하여 재생하는 영상제어모듈; 및 상기 디브이디 드라이버에 삽입된 디브이디에 저장된 콘텐츠에 매칭되는 자막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자막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자막제공서버에 접속하여 매칭되는 자막정보를 요청한 후 전송받아 저장하며, 자막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영상제어모듈에 의해 재생되는 영상/음성신호와 동기화하여 자막정보를 재생하는 자막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 상술한 디브이디 재생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어자막과 번역자막을 선택적으로 재생하거나 또는, 동시에 재생하는 학습지원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학습지원모듈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라인 리피트 기능이 온되는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자막의 문장과 그 문장과 동기화된 영상/음성신호를 반복하여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다 바람직하게 상술한 학습지원모듈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페이지 리피트 기능이 온되는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자막의 5문장과 그 5문장과 동기화된 영상/음성신호를 반복하여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학습지원모듈은 사용자의 조작에 스킵 스크린 기능이 온되는 경우, 동기화된 자막데이터 있는 영상/음성신호만을 추출하여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자막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시중에서 손쉽게 구매하거나 대여할 수 있는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에 대하여 용이하게 자막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공되는 학습지원기능을 통하여 별도로 제작된 어학학습용 디브이디 콘텐츠가 아니더라도 원어/번역어 자막과 동기시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문장반복, 구간반복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어학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영어권 국가의 디브이디 콘텐츠의 자막정보를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어, 세계 각국의 디브이디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주권 등 해외에 거주하는 교포가 해외에서 현지에서 구매 또는 대여한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한국어 자막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자막제공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자막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막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네트워크(110), 자막제공서버(120) 및 자막 제공자 단말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10)는 사용자 단말기(100), 자막제공서버(120), 자막 제공자 단말기(130) 간의 데이터통신 경로로 이용되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다.
자막제공서버(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100)에 자막제공 서비스가 가능한 디브이디 콘텐츠의 리스트를 전송하고, 사용자의 선택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삽입된 디브이디 콘텐츠에 따라 자막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막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조작하여 수동으로 자막제공서버(120)에 접속하여 특정 디브이디 콘텐츠의 자막정보를 미리 다운로드 받아 사용자 단말기(100)에 저장할 수도 있으며, 또는, 사용자가 디브이디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삽입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디브이디 재생부(220)가 자동으로 해당 콘텐츠의 자막정보 저장여부를 판단한 후,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자동으로 자막제공서버(120)에 접속하여 해당 자막정보를 요청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막제공서버(120)에는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의 영상/음성신호의 재생시간과 동기화되어 있는 자막정보가 자막 데이터베이스(122)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되는 자막정보는 자막 제공자 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되어 구조화되어 저장되며, 해당되는 각 디브이디 콘텐츠의 영상/음성신호와 재생시간을 기준으로 동기화되어 있는 정보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막제공서버(120)에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프로그램 형태로 설치되어 디브이디 콘텐츠의 영상/음성신호와 자막을 동기화하여 재생할 수 있는 디브이디 재생프로그램의 설치본이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로 디브이디 재생프로그램의 설치본을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디브이디 재생프로그램(디브이디 재생부)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자막 제공자 단말기(130)는 자막제공서버(120)에 자막정보를 저장시키는 운영자 또는 사용자 또는 자막 제공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범용적으로 이용되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피디에이 등의 개인용 정보통신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자막 제공자는 자막 제공자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자막정보를 생성하여 자막제공서버(120)로 전송한다. 이때, 자막 제공자 단말기(130)에는 자막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자막정보 생성모듈(미도시)이 설치된다. 자막정보 생성모듈은 자막 제공자의 조작에 따라 디브이디 콘텐츠의 영상/음성신호를 재생할 수 있으며, 특정한 재생시간을 기준으로 재생장면에 해당되는 자막정보를 입력하여 영상/음성신호와 재생시간을 기준으로 동기화된 자막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자막정보 생성모듈은 이미 공지된 기술은 채택하고 있는 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자막제공서버(120)에 접속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브이디 재생부(220)의 설치본을 전송받아 디브이디 재생부(220)를 설치하고, 설치된 디브이디 재생부(220)를 이용하여 디브이디의 영상/음성신호와 자막제공서버(120)로부터 제공받은 자막정보를 동기화하여 재생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자막제공서버(120)에 접속하여 자막제공 리스트를 전송받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또는 재생을 위해 삽입된 디브이디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에 따라 자동으로 특정 자막정보를 자막제공서버(120)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며, 삽입된 디브이디 콘텐츠로부터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추출하여 재생하는 동시에 상기 저장된 자막정보를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와 동기화하여 출력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블록도이다.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과 기능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어부(200), 디스플레이부(210), 음성출력부(212), 입력부(214), 디브이디 드라이버(216), 통신부(218) 및 디브이디 재생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4)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입력부(214)는 범용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사용자에게 본 발명에 따른 자막제공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각종 인터페이스(자막제공 서버의 웹페이지,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디브이디 제어콘트롤러 등)를 표시하고, 디브이디 콘텐츠의 영상신호와 자막정보가 재생된다. 음성출력부(212)는 디브이디 재생부(220)에 의해 재생되는 디브이디 콘텐츠의 음성신호가 재생되어 출력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10)는 범용적으로 이용되는 CRT 모니터, LCD 모니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음성출력부(212)는 스피커, 이어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218)는 네트워크(110)를 통하여 자막제공서버(120)에 접속하여 자막제공서버(120)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의 종류에 따라 유선 네트워크 카드 또는 무선 네트워크 카드 또는 유/무선 겸용 네트워크 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디브이디 드라이버(216)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삽입된 디브이디의 재생을 수행하게 된다. 디브이디 드라이버(216) 자체는 이미 공지된 디브이디 드라이버에 관한 기술을 채택하고 있는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브이디 재생부(220)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제공 시스템의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로서,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논리적인 프로그램형태로 구성되어 설치본이 자막제공 서버(120)에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조작하여 자막제공 서버(120)에 접속한 후 다운로드 받아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하게 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막제공 시스템은 자막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저장하여 자막을 제공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즉, 자막제공서버(120)로부터 디브이디 콘텐츠의 재생 시마다 실시간으로 자막정보를 스트리밍형태로 다운로드 받지않으며, 한번의 자막정보 다운로드로 네트워크 자원을 소비하지 않고 자막을 제공받을 수 있다. 자막정보 자체는 본 발명에 따른 디브이디 재생부(220)에서 인식/재생이 가능한 특정 확장자를 가지는 파일로 구성된다.
따라서, 디브이디 재생부(2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또는, 디브이디 드라이버(216)에 삽입된 디브이디에 저장된 콘텐츠에 따라 자동으로 자막제공서버(120)에 접속하여 특정 자막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막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수동으로 자막제공서버(120)에 접속하여 특정 자막정보를 미리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으며, 또는, 삽입된 디브이디에 저장된 콘텐츠의 태그정보를 디브이디 재생부(220)가 독출하여 자동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에 자막정보의 저장여부를 판단한 후,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자막제공서버(120)로 자막정보를 요청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에 삽입된 디브디이 콘텐츠에 상응되는 자막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디브이디 재생부(220)는 삽입된 디브이디로부터 영상/음성신호를 추출하여 재생하는 동시에 저장된 자막정보를 영상/음성신호와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 재생하게 된다.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란 콤팩트 디스크(CD)와 같은 지름의 디스크에 텔레비전 방송 수준의 화질로 영화를 담을 수 있는 콘텐츠 저장매체로서, DVD 1매의 기록용량은 일반 CD의 6∼8배 정도이다. 통상적으로 디브이디 내에는 콘텐츠의 영상/음성신호가 저장된 트랙과 콘텐츠에 지원되는 각종 스틸컷, 자막이 저장되는 트랙이 구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브이디 재생부(220)는 디브이디 내에는 콘텐츠의 영상/음성신호가 저장된 트랙으로부터 영상/음성신호만을 추출하여 전용 플레이어창을 통해 재생하게 된다. 이때, 별도의 자막창을 통하여 현재 재생되는 영상/음성신호와 동기화된 사용자가 선택한 자막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삽입한 디브이디 내에 별도의 자막정보가 저장되어 있다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학습기능을 활용하기 위하여 내장된 자막정보를 활용하지 않고 자막제공서버(120)로부터 제공된 별도의 자막정보를 활용함으로써, 디브이디 내에 저장된 자막정보의 언어에 무관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영어, 한국어, 기타 외국어)의 자막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자막정보를 기준으로 영상/음성신호의 반복재생, 구간재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입력부(214), 디스플레이부(210), 음성출력부(212), 통신부(218), 디브이디 드라이버(216), 디브이디 재생부(220)를 제어하여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와 자막정보를 동기화하여 재생하게 된다.
한편,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디브이디 재생부(220)는 영상/음성 제어모듈(222) 및 자막제어모듈(224)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음성 제어모듈(222)은 디브이디 드라이버(216)에 삽입된 디브이디의 영상/음성신호 저장트랙으로부터 해당 콘텐츠의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만을 추출하고, 인코딩된 코덱에 상응하는 코덱 을 이용하여 디코딩한 후 추출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재생하게 된다. 또한, 범용 디브이디 플레이어 프로그램에서 지원되는 각종 기능(빨리감기, 건너뛰기, 배속재생 등)의 기능도 지원하게 된다.
자막제어모듈(224)은 사용자에게 디브이디 콘텐츠 재생 및 자막재생을 제어할 수 있는 GUI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음성 신호의 재생, 자막의 재생을 제어하게 된다.
먼저, 자막제어모듈(224)은 디브이디 드라이버(216)에 삽입된 디브이디에 저장된 콘텐츠에 매칭되는 자막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자막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자막제공서버(120)에 접속하여 매칭되는 자막정보를 요청한 후 전송받아 저장하게 된다. 이때, 자막제어모듈(224)은 특정 콘텐츠와 매칭되는 자막정보를 검색하기 위하여 디브이디의 메타정보(타이틀명, 제작자, 감독, 주연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메타정보와 정확히 일치되는 자막정보가 없는 경우 유사한 자막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공되는 검색된 자막정보 중 하나를 특정 디브이디 콘텐츠의 자막정보로 선택하여 다운로드 받아 해당 콘텐츠의 자막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자막제어모듈(224)은 삽입된 디브이디 콘텐츠에 상응되는 자막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영상재생창과는 별도로 자막재생창을 생성하여, 영상/음성 제어모듈(222)에 의해 재생되는 영상/음성신호와 동기화하여 자막정보를 자막재생창을 통하여 재생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브이디 재생부(220)는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자의 조 작에 따라 원어자막과 번역자막을 선택적으로 재생하거나 또는, 동시에 재생하는 학습지원모듈(22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학습지원모듈(226)은 일종의 캡션기능으로서,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원하는 언어의 자막정보의 표시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에 저장된 자막정보 중 해당되는 언어의 자막정보를 추출하여 선택적으로 자막재생창을 통하여 표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학습지원모듈(226)은 보다 바람직하게 전술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라인 리피트(Line Repeat) 기능이 온되는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자막의 문장과 그 문장과 동기화된 영상/음성신호를 반복하여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라인 리피트 기능이란, 사용자가 선택한 자막에 해당되는 부분의 영상과 음성만을 반복적으로 재생하는 기능으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라인 리피트 기능을 온시키면, 모든 문장들에 대하여 동기화된 영상/음성신호만 사용자가 선택한 횟수동안 반복적으로 재생되는 기능을 말한다. 이러한 기능을 이용해 사용자는 모든 문장들을 반복적으로 청취하여 영어학습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학습지원모듈(226)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페이지 리피트(Page Repeat) 기능이 온되는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자막의 5문장과 그 5문장과 동기화된 영상/음성신호를 반복하여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페이지 리피트 기능이란, 일종의 구간반복 기능으로서, 사용자가 선택한 자막의 문장을 중심으로 5문장(하나의 페이지로 정의되는 문장의 숫자의 기본값은 5문장으로 설정되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문장의 숫자가 변경될 수 있음)에 동기화되는 영상/음성신호 와 자막이 사용자가 설정한 횟수만큼 반복하여 재생되는 것을 말한다.
전술한 라인 리피트 기능, 페이지 리피트 기능은 본 발명에 따른 자막정보가 디브이디 콘텐츠의 영상/음성신호와 재생시간을 중심으로 동기화되어 구성되어 있어 가능한 것으로서, 학습지원모듈(226)은 사용자가 선택한 자막 또는 페이지를 중심으로 재생시간을 판단하여 전술한 영상/음성 제어모듈(222) 및 자막제어모듈(224)를 제어하여 선택된 재생시간의 영상/음성신호와 자막정보를 반복적으로 재생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학습지원모듈(226)은 사용자의 조작에 스킵 스크린(Skip Screen) 기능이 온되는 경우, 동기화된 자막데이터 있는 영상/음성신호만을 추출하여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보다 바람직하게 학습지원모듈(226)은 제 1자막 데이터의 End 시간 값과 제 2자막 데이터의 Start 시간 값의 사이 구간을 재생하지 않고 Skip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DVD에 수록된 2시간 분량의 영화 한편에 대사가 있는 대사장면, 즉, 언어학습에 이용될 수 있는 장면의 분량은 30분 내지 40분이다. 일반적으로, 영어학습을 위하여 DVD를 감상하는 경우 30분 정도의 분량을 시청하기 위하여 2시간에 해당되는 전체 영화를 청취하거나 또는, 대사가 없는 부분은 빠른 재생으로 건너 뛰고 수동으로 대사가 있는 부분만을 재생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지원모듈(226)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막정보를 분석하여 동기화된 자막정보가 있는 영상/음성신호만을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영어학습의 효율성을 제고하였다. 학습지원모듈(226)은 스킵 스크린 기능이 온된 경우, 자막정보를 분석하여 동기화된 자막정보가 있는 영상/음성 신호의 재생시간대(대사장면)를 선택하고, 영상/음성 제어모듈(222) 및 자막제어모듈(224)를 제어하여 선택된 재생시간대의 영상/음성신호와 자막정보만을 추출하여 재생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자막제공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자막제공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막제공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자막제공서버(120)에 접속하여 디브이디 재생부의 설치본을 다운로드 받고 사용자 단말기에 디브이디 재생부(220)를 설치한다(S300).
디브이디 재생부(220)는 디브이디 드라이버(216)에 디브이디 매체의 삽입여부를 판단하고(S302), 디브이디 매체가 삽입되는 경우 디브이디 매체에 저장된 메타정보를 이용해 콘텐츠 정보를 판단한 후, 사용자 단말기(100)에 콘텐츠에 상응되는 자막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판단한 결과 사용자 단말기(100)에 상응되는 자막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디브이디 재생부(220)는 자막제공서버(120)에 접속하여 콘텐츠의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상응되는 자막정보를 요청한다(S304).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과정은 사용자의 수동적이 조작에 의해 서도 가능하다.
사용자 또는 디브이디 재생부(220)로부터 특정 콘텐츠의 자막정보를 요청받은 자막제공서버(120)는 요청된 자막정보가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06),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되어 있지 않아 자막제공이 불가능한 경우 오류메시지를 출력하고 과정을 종료한다(S314). 이때, 상응되는 자막정보의 검색을 위해 콘텐츠의 메타정보(타이틀명, 감독, 배우명 등)가 이용될 수 있으며, 정확히 일치되는 자막정보가 없는 경우 유사한 자막정보를 검색하여 유사 자막정보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반면, 요청된 자막정보가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자막제공서버(120)는 데이터베이스(122)로부터 해당되는 자막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디브이디 재생부(220)는 전송된 자막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저장부에 저장한다(S308).
자막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00)에 이미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자막제공서버(120)로부터 전송되어 저장된 경우, 디브이디 재생부(220)는 삽입된 디브이디 콘텐츠의 영상/음성신호가 저장된 트랙으로부터 영상/음성신호만을 추출하여 전용 플레이어창을 통해 재생하는 동시에 별도의 자막창을 통하여 현재 재생되는 영상/음성신호와 동기화된 사용자가 선택한 자막정보를 출력한다(S310).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디브이디 재생부의 재생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의 왼쪽 상단에 표시된 창은 디브이디 콘텐츠의 영상신호가 재생되는 영상재생창이며, 그 아래 하단에 표시된 창은 자막정보가 표 시되는 자막창이이며, 오른쪽 상단에 표시되는 것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라인 리피트, 페이지 리피트, 스킵 스크린 등의 기능을 입력받기 위한 GUI 형태의 조작 인터페이스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막제공 시스템은 전용 영상재생창을 통하여 영상을 재생하고, 그 하단의 자막창에 사용자가 선택한 언어의 자막이 표시되며, 사용자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빨리감기, 재생배속 조정 등 통상적인 디브이디 플레이어의 제어기능과 라인 리피트, 페이지 리피트, 스킵 스크린 기능 등의 본원발명에 따른 고유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디브이디 재생부(220)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특정 기능(빨리감기, 재생배속 조정, 라인 리피트, 페이지 리피트, 스킵 스크린 기능 등)을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브이디 재생부(220)는 디브이디 콘텐츠의 재생종료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선택 또는 재생시간 종료에 따라 디브이디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되면 모든 과정을 종료한다(S312).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자막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자막제공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디브이디 재생부의 재생화면을 도시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사용자 단말기 110 : 네트워크
120 : 자막제공서버 130 : 자막제공자 단말기
200 : 제어부 220 : 디브이디 재생부

Claims (4)

  1.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의 영상/음성신호의 재생시간과 동기화되어 있는 자막정보가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되어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에 자막제공이 가능한 디브이디 콘텐츠의 자막제공 리스트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디브이디 콘텐츠의 자막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자막제공서버;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자막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자막제공 리스트를 전송받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또는 재생을 위해 삽입된 디브이디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에 따라 자동으로 특정 자막정보를 상기 자막제공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며, 상기 디브이디 콘텐츠로부터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추출하여 재생하는 동시에 상기 저장된 자막정보를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와 동기화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자막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
    디브이디 콘텐츠의 영상신호와 자막정보가 재생되는 디스플레이부;
    디브이디 콘텐츠의 음성신호가 재생되는 음성출력부;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상기 자막제공서버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삽입된 디브이디의 재생을 수행하는 디브이디 드라이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또는, 상기 디브이디 드라이버에 삽입된 디브이디에 저장된 콘텐츠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자막제공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자막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며, 상기 디브이디 드라이버에 삽입된 디브이디로부터 영상/음성신호를 추출하여 재생하는 동시에 상기 저장된 자막정보를 영상/음성신호와 동기화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재생하는 디브이디 재생부; 및
    상기 입력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음성출력부, 상기 통신부, 상기 디브이디 드라이버, 상기 디브이디 재생부를 제어하여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와 자막정보를 동기화하여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자막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브이디 재생부는,
    상기 디브이디 드라이버에 삽입된 디브이디에 저장된 콘텐츠로부터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만을 추출하여 재생하는 영상/음성 제어모듈;
    상기 디브이디 드라이버에 삽입된 디브이디에 저장된 콘텐츠에 매칭되는 자 막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자막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자막제공서버에 접속하여 매칭되는 자막정보를 요청한 후 전송받아 저장하며, 자막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영상/음성 제어모듈에 의해 재생되는 영상/음성신호와 동기화하여 자막정보를 재생하는 자막제어모듈;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어자막과 번역자막을 선택적으로 재생하거나 또는, 동시에 재생하는 학습지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자막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지원모듈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스킵 스크린 기능이 온되는 경우 자막정보에 의한 자막의 문장과 그 문장과 동기화된 영상/음성신호을 재생하고 자막정보에서 제외된 구간은 스킵하여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자막제공 시스템.
KR1020090023597A 2009-03-19 2009-03-19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자막제공 시스템 KR101052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597A KR101052850B1 (ko) 2009-03-19 2009-03-19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자막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597A KR101052850B1 (ko) 2009-03-19 2009-03-19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자막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892A true KR20100104892A (ko) 2010-09-29
KR101052850B1 KR101052850B1 (ko) 2011-07-29

Family

ID=43009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597A KR101052850B1 (ko) 2009-03-19 2009-03-19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자막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8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155B1 (ko) * 2011-07-25 2013-03-19 주식회사 소리자바 자막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자막 제공 시스템
WO2016076655A1 (ko) * 2014-11-13 2016-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트릭 플레이 서비스에서 비디오와 서브타이틀의 동기화를 위한 방송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552B1 (ko) 2021-02-27 2021-08-24 주식회사 케이에스컨버전스 장애인 시청권 향상을 위한 영상 동기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830B1 (ko) * 2002-01-05 2005-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광디스크 재생방법
KR20070018202A (ko) * 2005-08-09 2007-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막 정보를 이용한 점프 재생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155B1 (ko) * 2011-07-25 2013-03-19 주식회사 소리자바 자막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자막 제공 시스템
WO2016076655A1 (ko) * 2014-11-13 2016-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트릭 플레이 서비스에서 비디오와 서브타이틀의 동기화를 위한 방송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2850B1 (ko) 201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98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etitive playback of a video section based on subtitles
JP5998404B2 (ja) マルチメディアファイル再生方法およびマルチメディア再生機器
US7356248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producing subtitle recorded in digital versatile disk player
US6283764B2 (en) Storage medium playback system and method
RU2330335C2 (ru) Система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использующая информационный запоминающий носитель
WO2005124780A1 (ja) 再生装置、プログラム、再生方法
WO2002037841A1 (fr) Systeme de repartition du contenu d'une image numerique, procede de reproduction et support d'enregistrement de son programme de reproduction
TW200423037A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information on a record medium, record medium containing information, and method and device for reading information from a record medium
US20060242161A1 (en) Dvd-linked internet bookmarking
JP2007174255A (ja) 録画再生装置
KR101052850B1 (ko)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자막제공 시스템
US20050053359A1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storing scenario, apparatus and method of recording the scenario on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method of searching for the scenario
US8768144B2 (en) Video image data reproducing apparatus
KR100700814B1 (ko) 디지털 비디오 기기에서의 텍스트 파일 재생장치 및 방법
KR20050012101A (ko) 시나리오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그 정보저장매체의 재생장치 및 시나리오의 검색방법
KR20020064463A (ko) 서브 타이틀을 타이틀에 관련지어 재생가능한 데이터구조를 갖는 기록매체, 그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CN101072312B (zh) 包含交互式图形流的信息存储介质的再现设备和方法
KR100393026B1 (ko) 휴대용 시디재생장치 및 자막표시 오디오시디 및 이를이용한 학습시스템
KR20070018202A (ko) 자막 정보를 이용한 점프 재생 제어방법
JPH10154380A (ja) 記憶媒体、記憶媒体の再生装置、及び記憶媒体の再生方法
JP2008020767A (ja)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20040067084A (ko) 선택적 자막 출력이 가능한 동영상 재생기
KR100752477B1 (ko) 자막 데이터를 이용한 어학 학습 장치 및 방법
KR100800403B1 (ko) 광디스크의 서브타이틀 재생 제어방법
KR100350989B1 (ko) 디지털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매체, 그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