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155B1 - 자막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자막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막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자막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155B1
KR101245155B1 KR1020110073722A KR20110073722A KR101245155B1 KR 101245155 B1 KR101245155 B1 KR 101245155B1 KR 1020110073722 A KR1020110073722 A KR 1020110073722A KR 20110073722 A KR20110073722 A KR 20110073722A KR 101245155 B1 KR101245155 B1 KR 101245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tion
information
broadcast
subtitle
broadcas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2472A (ko
Inventor
안문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리자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리자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리자바
Priority to KR1020110073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155B1/ko
Publication of KR20130012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막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자막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방송 자막이 제공되지 않는 환경에서 별도의 장치를 기반으로 방송 자막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자막 제공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한 해당 방송 컨텐츠에 대한 자막 정보를 출력한다. 자막 제공 단말기는 방송 수신 장치가 출력하는 방송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막 정보를 자막 송출 장치로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자막 정보를 직접 출력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방송 수신 장치로 제공한다. 그리고 자막 송출 장치는 자막 제공 단말기 요청에 따라 방송 컨텐츠에 대한 자막 정보를 자막 제공 단말기에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막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자막 제공 시스템{Caption Supporting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자막 제공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송 자막이 제공되지 않는 환경에서 별도의 장치를 기반으로 방송 자막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자막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자막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방송국은 다양한 방송 컨텐츠를 제작하고, 제작된 방송 컨텐츠를 일정 주파수에 실어서 방송한다. 그러면 시청자들은 방송 수신기 예를 들면 TV를 갖추고, 방송되는 방송 컨텐츠를 수신 받아 재생하여 시청하게 된다. 방송 컨텐츠는 다양한 분야 예를 들면, 음악, 오락, 스포츠, 영화, 뉴스 등의 분야에 관한 영상 신호와 해당 영상과 관련된 오디오 신호를 함께 포함하고 있다. 방송국은 이러한 방송 컨텐츠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방송 컨텐츠의 특성에 맞는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여 일정한 규칙에 따라 조합 및 배열하고, 배열된 데이터를 방송하고 있다.
한편 종래 방송 컨텐츠의 경우 시청자들의 요구 또는 해당 방송 컨텐츠의 정보 전달 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텍스트 정보 즉 자막 정보를 첨가하고 있다. 특히 상술한 자막 정보는 청각장애자 등 자막 정보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적절한 방송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런데 모든 방송 컨텐츠가 자막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자막 정보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적절한 자막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막 정보가 필요한 시청자에게 적절한 자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자막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자막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방송 수신 장치, 자막 제공 단말기 및 자막 송출 장치를 포함하는 자막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자막 제공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한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자막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출력하는 방송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막 정보를 자막 송출 장치로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자막 정보를 직접 출력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자막 송출 장치는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 요청에 따라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자막 정보를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에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단말 표시부, 입력부, 무선통신부 및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막 제공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단말 표시부는 자막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입력부는 자막 정보 요청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무선통신부는 자막 송출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출력하는 방송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한 자막 정보 요청에 따라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자막 송출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자막 송출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컨텐츠의 자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자막 정보를 상기 단말 표시부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입력부, 무선통신부,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 및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막 제공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입력부는 자막 정보 요청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무선통신부는 자막 송출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은 방송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송 수신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출력하는 방송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한 자막 정보 요청에 따라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자막 송출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자막 송출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컨텐츠의 자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자막 정보를 상기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자막 제공 단말기가 방송 수신 장치가 수신하여 출력하는 방송 컨텐츠의 자막 정보를 자막 송출 장치에 요청하는 요청 단계,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가 상기 자막 송출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컨텐츠의 자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자막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자막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제공 방법은 상기 출력 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와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 간에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가 상기 자막 정보를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또한, 자막 제공 단말기가 방송 수신 장치가 수신하여 출력하는 방송 컨텐츠의 자막 정보를 자막 송출 장치에 요청하는 요청 단계,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가 상기 자막 송출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컨텐츠의 자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가 상기 방송 수신 장치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가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상기 자막 정보를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막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막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자막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자막 정보가 필요한 단말기 사용자에게 적절한 자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막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막 제공 단말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자막 제공 단말기의 구성 중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막 제공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막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막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막 제공 시스템(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막 제공 시스템(10)은 방송국(400), 자막 송출 장치(500), 네트웍 장치(300), 방송 수신 장치(200), 자막 제공 단말기(10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송국(400)은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다른 구성으로의 대체가 가능하다. 즉 상기 방송국(400)은 생방송 또는 VOD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컨텐츠 제공 장치가 될 수 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자막 제공 시스템(10)은 방송국(400)이 제공하는 방송 컨텐츠를 방송 수신 장치(200)를 통해 제공하며, 상기 방송 컨텐츠와 관련된 자막 정보를 자막 송출 장치(500)가 자막 제공 단말기(10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자막 제공 시스템(10)은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자막 정보를 수신하여 열람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자막 제공 시스템(10)은 자막 송출 장치(500)를 마련하고, 해당 방송 컨텐츠와 관련된 자막 정보를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자막 제공 시스템(1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방송국(400)은 방송 컨텐츠를 제작하고, 제작된 방송 컨텐츠를 방송 수신 장치(200) 및 자막 송출 장치(500)에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방송국(400)은 다수의 카메라와 오디오 수집 장치를 마련하여 일정한 계획에 의하여 방송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국(400)은 제작된 방송 컨텐츠를 송신기를 이용하여 방송 수신 장치(200)에 방송할 수 있다. 또한 방송국(400)은 제작된 방송 컨텐츠를 자막 송출 장치(5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방송국(400)은 자막 송출 장치(500)와 유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자막 송출 장치(500)는 방송국(400)으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컨텐츠의 자막 정보를 생성한다. 이를 위하여 자막 송출 장치(500)에는 다수의 자막 정보 생성을 위한 인원이 배치되어 방송 컨텐츠의 일정 분량씩에 해당하는 자막 정보를 작성한 후 통합하여 전체 방송 컨텐츠의 자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방송 등의 방송 컨텐츠인 경우에는 보다 세분화된 일정 분량의 방송 컨텐츠를 다수의 자막 정보 작성자 예를 들면 속기사가 작성한 후 통합하여 실시간 자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자막 송출 장치(500)는 생성된 자막 정보를 자막 제공 단말기(100) 요청에 따라 해당 자막 제공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자막 송출 장치(500)는 자막 제공 단말기(100)와의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막 송출 장치(500)는 자막 제공 단말기(100)로부터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자막 정보를 작성하거나 수집하여 해당 자막 제공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막 송출 장치(500)는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영상 신호, 오디오 신호, 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어떠한 방송 컨텐츠인지를 확인하고, 해당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자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즉 상기 자막 송출 장치(500)는 방송국(400)으로부터 전달받은 방송 컨텐츠들을 데이터베이스로 저장관리하고, 자막 제공 단말기(100)가 제공한 일정 분량의 영상 신호와 매칭되는 영상 신호를 가진 방송 컨텐츠를 검색하거나, 자막 제공 단말기(100)가 제공한 일정 분량의 오디오 신호와 매칭되는 영상 신호를 가진 방송 컨텐츠를 검색하여 해당 방송 컨텐츠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막 송출 장치(500)는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에 프로그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해당 프로그램 정보를 기반으로 방송 컨텐츠 종류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자막 제공 단말기(100)가 요청한 자막 정보의 종류 확인이 완료되면, 자막 송출 장치(500)는 해당 자막 정보를 수집하여 자막 제공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막 송출 장치(500)는 자막 제공 단말기(100)가 제공한 영상 신호 분석을 통하여 어떠한 종류의 자막 정보를 제공할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막 송출 장치(500)는 자막 제공 단말기(100)가 제공한 오디오 신호 분석을 통하여 어떠한 종류의 자막 정보를 제공할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컨텐츠가 생방송 또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방송 컨텐츠인 경우 자막 송출 장치(500)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방송 컨텐츠들 중 상기 일정 분량의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와 매칭되는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방송 컨텐츠를 검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네트웍 장치(300)는 상기 자막 송출 장치(500)와 자막 제공 단말기(100) 간에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네트웍 장치(300)는 자막 제공 단말기(100)의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자막 송출 장치(500)에 제공하고, 자막 송출 장치(500)의 자막 정보를 자막 제공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도록 일정한 통신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웍 장치(300)는 자막 제공 단말기(100)와의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하여 다양한 네트웍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네트웍 장치(300)는 자막 제공 단말기(100)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 이동통신 채널 형성을 위한 이동통신 네트웍 장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자막 제공 단말기(100)가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네트웍 장치(300)는 상기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운용을 위한 와이파이 네트웍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100)가 3G 또는 4G 이동통신 네트웍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네트웍 장치(300)는 3G 또는 4G 이동통신 네트웍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웍 장치(300)는 자막 제공 단말기(100)의 현재 영상 분석을 위해 제공하는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자막 송출 장치(500)에 제공하기 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도 있다.
상기 방송 수신 장치(200)는 상기 방송국(400)에서 제공하는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방송 수신 장치(200)는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로 구성된 방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200)는 별도의 자막 정보 수신 모듈을 탑재하지 못한 단말기일 수 있다. 이러한 방송 수신 장치(200)는 TV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수신 장치(20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에서 자막 제공 단말기(100)로부터 자막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도 있다.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네트웍 장치(300)를 통하여 자막 송출 장치(5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사용자가 요청한 자막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구성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막 제공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요청한 자막 정보를 수신하여 자체 구비된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막 제공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요청한 자막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수신 장치(200)에 전송하여 방송 수신 장치(200)에서 다른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와 함께 자막 정보가 출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자막 제공 단말기(10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의 실시 예에 따른 자막 제공 단말기(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막 제공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단말 표시부(140), 저장부(150) 및 단말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로 채널 영상 정보 수집을 위해 방송 정보 수집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자막 제공 단말기(100)는 터치 기능의 단말 표시부(140) 또는 입력부(120)를 통하여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 자막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작성하고, 작성된 메시지를 자막 송출 장치(500)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자막 제공 단말기(100)는 자막 송출 장치(500)가 제공한 자막 정보를 단말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자막 제공 단말기(100)는 자막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방송 컨텐츠에도 적절한 자막 정보를 첨가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상기 네트웍 장치(300)를 통하여 자막 송출 장치(5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무선통신부(110)는 네트웍 장치(300)와의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하여 다양한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CDMA, GSM 등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WCDMA, OFDMA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도 있으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와이브로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도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부(110)는 터치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 표시부(140) 또는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상기 네트웍 장치(300)를 통하여 자막 송출 장치(5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는 특정 채널의 방송 컨텐츠 즉 특정 프로그램의 자막 정보를 요청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200)에서 출력되고 있는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방송 수신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자막 정보를 요청하는 자막 제공 단말기(100)의 단말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 정보는 단말기가 자막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나 데이터 통신과 관련된 IP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자막 제공 단말기(100) 제어를 위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입력부(120)는 터치 패드, 터치 키, 버튼 키, 사이드 키, 핫 키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 작성을 위한 입력 신호,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 전송을 위한 입력 신호, 수신된 자막 정보를 단말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입력 신호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입력부(120)는 상기 단말 표시부(140)가 풀 터치스크린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생략되거나, 사이드 키 또는 핫 키 등만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도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자막 정보 제공을 위한 자막 송출 장치(500)에 접속 과정에서 발생하는 효과음, 네트웍 장치(300)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오디오 처리부(130)는 스피커(SPK)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자막 제공 단말기(100)의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하여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음 출력은 사용자의 단말기(100) 설정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오디오 처리부(130)는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 작성 시 오디오 신호 수집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즉 방송 수신 장치(200)에서 재생되는 방송 컨텐츠에 의하여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에 포함된 마이크(MIC)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오디오 신호를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 작성을 위하여 단말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단말 표시부(140)는 자막 제공을 위한 다양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표시부(140)는 터치 패널과 표시 패널 구조로 구성되어 입력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표시 패널에 출력되는 화면 인터페이스는 자막 정보 요청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 작성 화면,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 전송 화면, 자막 정보 수신 화면, 수신된 자막 정보 출력 화면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자막 정보 요청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하여 상기 단말 표시부(140)는 자막 정보 관련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메뉴를 기반으로 자막 정보 요청을 위한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자막 정보 요청을 위한 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단말 표시부(140)는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 작성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 작성 화면은 방송 수신 장치(200)에서 출력 중인 영상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화면, 방송 수신 장치(200)에서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화면, 방송 수신 장치(200)에서 출력 중인 프로그램의 정보를 수집한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단말 표시부(14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자막 송출 장치(500)에 전송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대응하여 자막 정보를 수신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자막 정보 출력 화면은 수신된 자막 정보를 화면 일정 영역에 출력한 화면으로서 화면 전체에 자막 정보를 기 설정된 폰트와 스타일에 따라 출력하는 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폰트 및 스타일 등은 사용자 제어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자막 제공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150)는 자막 제공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운용 체제, 자막 정보 제공을 위한 자막 정보 제공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자막 정보 제공 응용 프로그램은 자막 정보 기능 지원을 위한 메뉴를 출력하는 루틴,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 작성 지원 루틴, 작성된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 전송을 위한 루틴, 수신된 자막 정보를 단말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작성된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 전송을 위한 루틴은 자막 송출 장치(500)의 주소 정보를 수집하는 서브루틴, 자막 제공 단말기(100) 정보를 수집하는 서브루틴, 수집된 자막 송출 장치(500)의 주소 정보로 작성된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브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정보 수집부(170)는 본 발명의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영상 신호 수집을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방송 정보 수집부(170)는 방송 수신 장치(200)에 출력되고 있는 영상 신호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형태 또는 방송 수신 장치(200)에서 출력되고 있는 영상 신호를 데이터 형태로 전달받을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 형태 중 적어도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 작성을 위하여 카메라를 활성화한 뒤 방송 수신 장치(200)에서 현재 출력되고 있는 영상 신호를 촬영하여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의 영상 신호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자막 제공 단말기(100)와 방송 수신 장치(200)를 연결하여 방송 수신 장치(200)에서 현재 출력되고 있는 영상을 데이터 형태로 수집하여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 작성을 위한 영상 신호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200)는 자막 제공 단말기(100)가 케이블 등으로 연결되는 경우 현재 출력되고 있는 영상을 데이터로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현재 출력되고 있는 영상의 프로그램 정보 예를 들면 프로그램명 등을 자막 제공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정보 수집부(170)는 통신 인터페이스 형태로 마련되고, 방송 수신 장치(200)와 케이블 등으로 연결되는 경우, 방송 수신 장치(200)의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단말 제어부(160)에 전달될 수 있다. 방송 정보 수집부(170)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 제어부(160)에 전달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의 마이크(MIC)는 별도의 오디오 신호 수집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단말 제어부(160)는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전원 공급과, 자막 제공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단말 제어부(160)는 입력부(120) 또는 터치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 표시부(14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자막 정보 요청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출력과,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 작성을 위한 신호 제어,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 전송 및 수신된 자막 정보 출력을 위한 신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말 제어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제어부(16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 제어부(160)는 컨텐츠 정보 수집부(161) 및 자막 동기화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정보 수집부(161)는 방송 수신 장치(200)에서 현재 출력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영상과 관련된 프로그램 정보,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입력부(120) 또는 터치 기능의 단말 표시부(140)로부터 자막 정보 제공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컨텐츠 정보 수집부(161)는 방송 수신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방송 컨텐츠의 영상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 정보 수집부(161)는 방송 정보 수집부(170)가 카메라로 구성된 경우, 카메라를 자동으로 활성화하고, 카메라를 통하여 방송 수신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카메라를 방송 수신 장치(200)의 표시부 방향으로 배치하도록 자막 제공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정보 수집부(161)는 방송 정보 수집부(170)가 통신 인터페이스로 구성된 경우, 방송 수신 장치(200)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된 후,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방송 정보 수집부(170)와 방송 수신 장치(200)를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정보 수집부(161)는 수집된 영상 신호를 기반으로 프로그램 정보를 수집할 수 도 있다. 이를 위하여 컨텐츠 정보 수집부(161)는 방송국(400)이 운용하는 웹 서버와의 통신 채널 형성을 제어하고, 수집된 영상 신호와 매칭되는 영상을 가지는 방송 컨텐츠를 검색하여, 현재 방송 수신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방송 컨텐츠의 프로그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정보 수집부(161)는 수집된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영상 신호에 포함된 프로그램 정보 예를 들면 프로그램 로고와, 프로그램 명 등의 정보를 수집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컨텐츠 정보 수집부(161)는 통신 인터페이스 형태의 방송 정보 수집부(170)를 기반으로 방송 수신 장치(200)의 프로그램 정보를 수집할 수 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방송 수신 장치(200)는 현재 출력되고 있는 방송 컨텐츠의 프로그램 정보 예를 들면 프로그램명 등을 자막 제공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정보 수집부(161)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200)로부터 또는 웹 기반으로 프로그램 편성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프로그램 편성표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출력되는 방송 컨텐츠의 프로그램 정보를 수집할 수 도 있다.
상기 컨텐츠 정보 수집부(161)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오디오 신호를 수집할 수 도 있다. 이를 위하여 컨텐츠 정보 수집부(161)는 자막 정보 제공 기능이 활성화되면 오디오 처리부(130)에 포함된 마이크(MIC)를 활성화하여 방송 수신 장치(200)에서 출력되고 있는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정보 수집부(161)는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텐츠 정보 수집부(161)는 통신 인터페이스로 구현된 방송 정보 수집부(170) 및 케이블을 이용하여 방송 수신 장치(200)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을 통하여 방송 수신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정보 수집부(161)는 수집된 신호들을 기반으로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는 한편, 작성된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자막 송출 장치(500)에 전송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텐츠 정보 수집부(161)는 수집된 신호들 즉, 영상 신호, 오디오 신호, 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정보 수집부(161)는 상기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자막 송출 장치(500)의 주소 정보 및 자막 정보를 수신할 자막 제공 단말기(100)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컨텐츠 정보 수집부(161)는 수집된 자막 송출 장치(500)의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자막 송출 장치(5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자막 송출 장치(500)는 자막 제공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기반으로 해당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자막 정보를 생성 또는 수집하고, 상기 자막 정보를 자막 제공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정보 수집부(161)는 자막 송출 장치(500)로부터 해당 자막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자막 정보를 저장부(150)에 임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정보 수집부(161)는 수신된 자막 정보를 자막 동기화부(163)에 전달한다.
상기 자막 동기화부(163)는 컨텐츠 정보 수집부(161)로부터 자막 정보를 전달받으면, 방송 수신 장치(200)의 영상과 자막을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자막 동기화부(163)는 앞서 설명한 방송 정보 수집부(170) 및 오디오 처리부(130)의 마이크(MIC)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자막 송출 장치(500)가 제공하는 자막과 방송국(400)에서 제공하는 자막은 일정 시간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자막 동기화부(163)는 자막 정보 제공 시, 방송 수신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영상과 자막 정보의 동기를 일치시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자막 동기화부(163)는 방송 수신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오디오 신호를 음성 인식하여 자막 정보의 텍스트와 비교하여 일치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자막 동기화부(163)는 방송 수신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특정 시점 또는 일정 시간 동안의 영상을 수집하고, 해당 영상과 일치되는 시점의 영상을 자막 정보로부터 검출하여 자막 정보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자막 송출 장치(500)가 자막 정보 동기화를 위하여 기준이 되는 일정 영상 정보를 자막 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실시간 수신된 자막의 경우 별도의 자막 동기화 없이 단말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이를 위해서 자막 송출 장치(500)는 현재 방송 수신 장치(200)에서 출력되고 있는 프로그램 영상과 자막을 사전 동기화하여 자막 제공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막 제공 시스템(10)은 자막 수신 기능이 없는 방송 수신 장치(200)가 특정 방송 컨텐츠의 영상 신호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상태에서 해당 방송 컨텐츠의 자막 정보를 자막 제공 단말기(100)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방송 컨텐츠의 자막 정보 열람이 필요한 경우 선택적으로 자막 정보를 수신 및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수신 장치(200)는 별도의 자막 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가 없는 장치로서, 방송 컨텐츠 수신을 위한 방송 수신기, 수신된 방송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 수신된 방송 컨텐츠를 복호하고 이를 표시부에 제공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수신 장치(200)는 상기 방송 정보 수집부(170)가 통신 인터페이스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즉 케이블 연결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막 제공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막 제공 단말기(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막 제공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단말 표시부(140), 저장부(150), 단말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로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1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방송 정보 수집부(170)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자막 제공 단말기(100)의 구성에서 상기 무선통신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단말 표시부(140), 저장부(150)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막 제공 단말기(100)의 구성 및 역할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함으로 상기 구성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180)은 방송 수신 장치(200)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180)은 다양한 통신 모듈 예를 들면 블루투스, 지그비, RFID, NFC 등의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180)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자막 정보를 방송 수신 장치(200)에 제공하여 방송 수신 장치(200)의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 제어부(160)는 자막 정보 출력 기능을 다양화하도록 지원한다. 즉 상기 단말 제어부(160)는 자막 송출 장치(500)가 제공한 자막 정보를 단말 표시부(140)에 출력하거나 또는 출력하지 않거나 관계없이 사용자 요청에 따라 또는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자막 정보를 방송 수신 장치(2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말 제어부(160)는 자막 정보 제공 기능이 활성화되어 방송 수신 장치(200)에서 출력되고 있는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자막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180)을 활성화하여 방송 수신 장치(200)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상기 단말 제어부(160)는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자막 정보를 상기 방송 수신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방송 수신 장치(200)는 수신된 자막 정보를 사전 설정에 따른 프레임 방식을 기반으로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막 제공 단말기(100)는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180)을 제어하여 영상 신호 수집을 수행할 수 도 있다. 즉 상기 단말 제어부(160)는 자막 정보 제공 기능이 활성화되면, 방송 수신 장치(200)에 내장된 근거리 통신 모듈과의 근거리 통신 채널 형성을 제어하고, 방송 수신 장치(200)에 현재 재생 중인 방송 컨텐츠의 일정 시간 범위의 영상 신호, 일정 시간 범위의 오디오 신호 및 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 제어부(160)는 방송 수신 장치(200)에 상기 영상 신호, 오디오 신호 및 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경우, 해당 신호 중 적어도 하나와, 자막 송출 장치(500)의 주소 정보 및 자신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 제어부(160)는 자막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상기 자막 정보를 상기 방송 수신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장치(200)는 자막 제공 단말기(100)가 자막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수신된 자막 정보를 화면 일측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방송 수신 장치(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송 수신 장치(200)의 구성은 방송 수신기(210), 근거리 통신 모듈(280), 표시부(240) 및 제어부(2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방송 수신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방송 수신 장치(200)는 근거리 통신 모듈(280)을 기반으로 자막 제공 단말기(100)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80)은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100)에 내장된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180)과 호환 가능한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장치(200)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80)이 형성한 근거리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자막 제공 단말기(100)가 제공한 자막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자막 정보를 제어부(26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수신 장치(200)는 근거리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자막 제공 단말기(100)가 요청하는 다양한 정보 예를 들면 재생 중인 방송 컨텐츠의 일정 시간 분량의 영상 신호, 일정 시간 분량의 오디오 신호 및 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자막 제공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기(210)는 방송국(400)이 방송하는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구성이다. 상기 방송 수신기(210)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를 제어부(26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200) 운용에 필요한 전원 공급과 분배를 수행하는 한편, 상기 방송 수신 장치(200) 운용에 필요한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260)는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방송 수신기(210)를 활성화하여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수신된 방송 컨텐츠를 복호하여 표시부(2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60)는 자막 제공 단말기(100) 요청에 따른 근거리 통신 채널 형성에 필요한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자막 제공 단말기(100)가 자막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해당 자막 정보를 표시부(2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40)는 상기 제어부(260) 제어에 따라 방송 컨텐츠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표시부(240)는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 즉 채널 변경 신호 등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도 있다. 특히 상기 표시부(240)는 자막 제공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자막 정보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240)는 상기 도 6의 601 화면에서와 같이 방송 컨텐츠 화면 일측에 자막 정보를 오버레이 시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240)는 도 6의 603 화면에서와 같이 화면을 분할하고, 분할된 각각의 화면에 방송 컨텐츠 및 자막 정보를 구분되도록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260)는 방송 컨텐츠의 화면 비율을 리사이징하여 분할된 화면 크기에 맞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은 방송 컨텐츠 재생 응용 프로그램과 자막 정보 제공 응용 프로그램 두 개가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방송 수신 장치(200)는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표시부(240)에 출력 중인 자막 정보를 제거하여 표시부(240)에 표시되지 않도록 지원할 수 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막 제공 시스템(10)은 자막 수신 기능이 없는 방송 수신 장치(200)에 자막 제공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자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다양한 자막 정보를 시청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상술한 방송 컨텐츠는 생방송으로 진행되는 방송 컨텐츠뿐만 아니라 VOD 컨텐츠 등의 동영상 방송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생방송 컨텐츠의 경우에 상기 자막 송출 장치(500)는 자막 정보를 실시간으로 자막 제공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VOD 컨텐츠는 사이버대학, 온라인강좌, 각종 교육기관 VOD, 방송국 VOD, SNS VO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자막 제공 방법이 자막 송출 장치(500)가 자막 제공 단말기(100)를 방송 수신 장치(200)에 전송하는 구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자막 송출 장치(500)가 자막 제공 단말기(100)를 거치지 않고 방송 수신 장치(200)에 직접적으로 자막 정보를 제공할 수 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방송 수신 장치(200)는 자막 송출 장치(500)와 통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막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막 제공 방법은 먼저 S101 단계에서와 같이 자막 제공 단말기(100)에 전원이 공급되어 각 구성들이 기능 지원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 이후,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100)의 단말 제어부(160)는 S103 단계에서와 같이 자막 정보 요청을 위한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103 단계에서 수신된 입력 신호가 자막 정보 요청을 위한 입력 신호가 아닌 경우, 상기 단말 제어부(160)는 S105 단계로 분기하여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 예를 들면, 자막 제공 단말기(100)가 제공 가능한 웹 접속 기능, 게임 기능, 스케줄 관리 기능 등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S103 단계에서 자막 정보 요청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단말 제어부(160)는 S107 단계로 분기하여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단말 제어부(160)는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될 영상 신호, 오디오 신호 및 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자막 송출 장치(500) 주소 정보, 자신의 주소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제어부(160)는 영상 신호 수집을 위해서 카메라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 연결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제어부(160)는 오디오 신호 수집을 위해서 오디오 처리부(130)의 마이크(MIC)를 이용하거나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 연결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제어부(160)는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가 수집되면 수집된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신호들을 가지는 방송 컨텐츠가 어떠한 프로그램 정보를 가지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100)는 분석된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와 비교분석할 자료를 사전 저장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한정된 메모리 용량을 고려하여 방송국(400)이 운용하는 별도의 방송 컨텐츠 서버 또는 상기 자막 송출 장치(500)가 제공하는 비교 분석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비교 분석 자료를 이용하기 위해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100)는 해당 서버 또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100)의 단말 제어부(160)는 통신 인터페이스 형태의 방송 정보 수집부(170)를 이용하여 방송 수신 장치(200)로부터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별도의 영상 신호 분석 또는 오디오 신호 분석 과정 없이 상기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말 제어부(160)는 S109 단계에서 작성된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이를 위하여 상기 단말 제어부(160)는 자막 송출 장치(500)와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하여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자막 제공 단말기(100)로부터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자막 송출 장치(500)는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에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경우, 해당 신호들을 분석하여 어떠한 방송 컨텐츠의 자막 정보를 원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자막 송출 장치(500)는 방송국(400)이 제공한 각 방송 컨텐츠들을 기반으로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와 매칭되는 정보를 가진 방송 컨텐츠들을 검출할 수 있다. 방송 컨텐츠 검출이 완료되면 자막 송출 장치(500)는 해당 방송 컨텐츠의 자막 정보를 제작하고, 제작된 자막 정보를 자막 제공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컨텐츠의 자막 정보가 사전 제작된 것일 경우, 별도의 제작 과정 없이 기 저장된 자막 정보를 제공할 수 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 제어부(160)는 S111 단계에서 자막 송출 장치(500)로부터 자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단말 제어부(160)는 S113 단계로 분기하여 자막 정보 동기화 및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자막 정보 동기화를 위해서 상기 단말 제어부(160)는 방송 수신 장치(20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고, 해당 오디오 신호를 음성 인식하여 동일한 텍스트를 가지는 자막 부분과 매칭하여 자막 정보를 방송 수신 장치(200)에서 재생되는 방송 컨텐츠와 동기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말 제어부(160)는 기능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가 S115 단계에서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별도의 기능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이 없는 경우 S11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S111 단계에서 자막 정보가 필요한 방송 컨텐츠가 VOD 컨텐츠와 같이 사전 제작이 완료되면 컨텐츠인 경우 자막 송출 장치(500)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자막 정보를 일회에 모두 송출할 수 있어, 상기 S111 단계에서는 추가적인 자막 정보 수신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S111 단계에서 방송 컨텐츠가 생방송 컨텐츠인 경우 즉 자막 정보가 실시간으로 제작 및 전송되는 경우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100)는 S111 단계에서 지속적이며 실시간으로 자막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S113 단계에서 자막 정보 동기화 이후 출력 과정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제어부(160)는 자막 정보를 방송 수신 장치(200)에 전송하여 방송 수신 장치(200)를 통하여 자막 정보가 출력되도록 지원할 수 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말 제어부(160)는 방송 수신 장치(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형성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수신된 자막 정보를 방송 수신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방송 수신 장치(200)는 방송 컨텐츠 재생과 함께 자막 정보 출력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자막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막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자막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자막 정보 제공을 억제하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시기에 자막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방송국(400)이 자막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방송 컨텐츠에 대해서도 자막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상술한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단말기(100)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앞서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술한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모임 운용 지원 장치 접속이 가능한 모든 형태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1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 : 자막 제공 시스템 100 : 자막 제공 단말기
110 : 무선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0 : 단말 표시부
150 : 저장부 160 : 단말 제어부
161 : 컨텐츠 정보 수집부 163 : 자막 동기화부
170 : 방송 정보 수집부 180 :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
200 : 방송 수신 장치 210 : 방송 수신기
240 : 표시부 280 : 근거리 통신 모듈
260 : 제어부 300 : 네트웍 장치
400 : 방송국 500 : 자막 송출 장치

Claims (23)

  1.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자막 제공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한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자막 정보를 출력하는 방송 수신 장치;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출력하는 방송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막 정보를 자막 송출 장치로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통하여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자막 정보를 직접 출력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제공하는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 요청에 따라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자막 정보를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에 제공하는 상기 자막 송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는 상기 방송 컨텐츠의 일부 영상 신호, 일부 오디오 신호 및 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와 상기 자막 송출 장치의 주소 정보 및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 자신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송출 장치는
    상기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일부 영상 신호에 대한 영상 인식 및 일부 오디오 신호에 대한 음성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서 출력되는 방송 컨텐츠의 프로그램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프로그램 정보에 해당하는 방송 컨텐츠의 자막 정보를 제작 및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와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방송 컨텐츠 재생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며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가 제공한 자막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기;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츠 및 상기 수신된 자막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자막 정보를 상기 방송 컨텐츠가 출력된 화면 일측에 오버레이 시켜 출력하거나, 화면을 분할하여 분할된 각각의 화면에 자막 정보와 방송 컨텐츠를 구분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컨텐츠는
    생방송 컨텐츠, 사이버대학의 VOD, 온라인강좌의 VOD, 각종 교육기관 VOD, 방송국 VOD, SNS VO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제공 시스템.
  6. 삭제
  7. 자막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 표시부;
    자막 정보 요청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자막 송출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
    방송 수신 장치가 출력하는 방송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한 자막 정보 요청에 따라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자막 송출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자막 송출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컨텐츠의 자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자막 정보를 상기 단말 표시부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방송 컨텐츠의 일부 영상 신호, 일부 오디오 신호 및 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와 상기 자막 송출 장치의 주소 정보 및 자막 제공 단말기 자신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자막 제공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카메라 또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영상 신호, 오디오 신호 및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방송 정보 수집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제공 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일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할 수 있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오디오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제공 단말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일부 영상 신호 및 상기 일부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컨텐츠와 관련된 프로그램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제공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일부 영상 신호, 일부 오디오 신호, 상기 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상기 자막 송출 장치의 주소 정보,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 자신의 주소 정보를 수집하여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고, 작성된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자막 송출 장치에 제공하는 컨텐츠 정보 수집부;
    상기 수신된 자막 정보와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서 출력되는 방송 컨텐츠 간의 동기를 일치시키는 자막 동기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제공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동기화부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일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오디오 신호를 음성 인식한 후, 음성 인식 결과와 자막 정보를 비교하여 자막 정보의 동기를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제공 단말기.
  13. 자막 정보 요청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자막 송출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
    방송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송 수신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출력하는 방송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한 자막 정보 요청에 따라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자막 송출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자막 송출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컨텐츠의 자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자막 정보를 상기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방송 컨텐츠의 일부 영상 신호, 일부 오디오 신호 및 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와 상기 자막 송출 장치의 주소 정보 및 자막 제공 단말기 자신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자막 제공 단말기.
  14. 삭제
  15. 자막 제공 단말기가 방송 수신 장치가 수신하여 출력하는 방송 컨텐츠의 자막 정보를 자막 송출 장치에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요청하는 요청 단계;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가 상기 자막 송출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컨텐츠의 자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자막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요청 단계는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가 상기 방송 컨텐츠의 일부 영상 신호, 일부 오디오 신호 및 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수집 단계;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가 상기 수집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와 상기 자막 송출 장치의 주소 정보 및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 자신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는 작성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단계는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가 상기 일부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방송 컨텐츠의 프로그램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가 상기 일부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방송 컨텐츠의 프로그램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제공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송출 장치가 수신된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일부 영상 신호 및 일부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방송 컨텐츠의 프로그램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그램 정보에 해당하는 방송 컨텐츠의 자막 정보를 제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제공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수신된 자막 정보를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에 출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제공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 이전에
    상기 방송 수신 장치와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 간에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가 상기 자막 정보를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제공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자막 정보를 화면 일측에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제공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표시부에 방송 컨텐츠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방송 컨텐츠 화면 상에 상기 자막 정보를 오버레이 시켜 출력하는 단계;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표시부 화면을 일정 크기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각의 화면에 방송 컨텐츠 화면과 자막 정보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제공 방법.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서 출력되는 방송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신호를 음성 인식하고, 음성 인식 결과와 자막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자막 정보를 상기 방송 컨텐츠 재생에 동기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제공 방법.
  23. 자막 제공 단말기가 방송 수신 장치가 수신하여 출력하는 방송 컨텐츠의 자막 정보를 자막 송출 장치에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요청하는 요청 단계;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가 상기 자막 송출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컨텐츠의 자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가 상기 방송 수신 장치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가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상기 자막 정보를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요청 단계는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가 상기 방송 컨텐츠의 일부 영상 신호, 일부 오디오 신호 및 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수집 단계;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가 상기 수집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와 상기 자막 송출 장치의 주소 정보 및 상기 자막 제공 단말기 자신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자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는 작성 단계;
    를 포함하는 자막 제공 방법.
KR1020110073722A 2011-07-25 2011-07-25 자막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자막 제공 시스템 KR101245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722A KR101245155B1 (ko) 2011-07-25 2011-07-25 자막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자막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722A KR101245155B1 (ko) 2011-07-25 2011-07-25 자막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자막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472A KR20130012472A (ko) 2013-02-04
KR101245155B1 true KR101245155B1 (ko) 2013-03-19

Family

ID=47893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722A KR101245155B1 (ko) 2011-07-25 2011-07-25 자막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자막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1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078B1 (ko) 2005-10-05 2007-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장치 간의 캡션 데이터전송 방법
KR100834978B1 (ko) * 2005-03-15 2008-06-03 (주)잉카엔트웍스 자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9164655A (ja) 2007-12-11 2009-07-23 Toshiba Corp 字幕情報送出装置、字幕情報処理装置およびこれら装置の連携方法
KR20100104892A (ko) * 2009-03-19 2010-09-29 (주)씨엠씨하이테크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자막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978B1 (ko) * 2005-03-15 2008-06-03 (주)잉카엔트웍스 자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07078B1 (ko) 2005-10-05 2007-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장치 간의 캡션 데이터전송 방법
JP2009164655A (ja) 2007-12-11 2009-07-23 Toshiba Corp 字幕情報送出装置、字幕情報処理装置およびこれら装置の連携方法
KR20100104892A (ko) * 2009-03-19 2010-09-29 (주)씨엠씨하이테크 상용 디브이디 콘텐츠를 이용한 자막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472A (ko) 2013-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00773B (zh) 字幕数据推送方法、字幕展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1763887B1 (ko) 디바이스간 동기화된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콘텐츠 동기화 장치 및 방법
US9590837B2 (en) Interaction of user devices and servers in an environment
US895874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50296247A1 (en) Interaction of user devices and video devices
GB2507106A (en) Directional sou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ised audio data to different users
JP2018519679A (ja) ビデオ処理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9151565B (zh) 播放语音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653902A (zh) 说话人识别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150029342A1 (en) Broadcasting providing apparatus, broadcasting providing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broadcasting thereof
KR20150144547A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2135155B (zh) 音视频的连麦合流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6550276A (zh) 视频播放过程中多媒体信息的提供方法、装置和系统
US20220021980A1 (en) Terminal, audio cooperative reproduction system, and content display apparatus
KR20170090392A (ko) 디바이스간 동기화된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콘텐츠 동기화 장치 및 방법
JP2012134980A (ja) パーソナライズド・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0324653B (zh) 游戏互动交互方法及系统、电子设备及具有存储功能的装置
CN105450970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20150073573A (ko) 미러링 화면에 관련된 콘텐츠 출력 방법 및 그 장치
KR101245155B1 (ko) 자막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자막 제공 시스템
JP2016144192A (ja) 盛り上がり通知システム
CN112968937A (zh) 界面处理方法、装置、终端及服务器
KR102524180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52069B1 (ko)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
JP6382209B2 (ja) メディアに関連したメッセージの通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