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3601A - 무선통신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3601A
KR20100103601A KR1020107015722A KR20107015722A KR20100103601A KR 20100103601 A KR20100103601 A KR 20100103601A KR 1020107015722 A KR1020107015722 A KR 1020107015722A KR 20107015722 A KR20107015722 A KR 20107015722A KR 20100103601 A KR20100103601 A KR 20100103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handover
unit
communication network
jitter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5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2854B1 (ko
Inventor
치즈코 나가사와
구고 모리타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337123A external-priority patent/JP505307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19638A external-priority patent/JP512897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19642A external-priority patent/JP5048539B2/ja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3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6Hand-off prepar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d-to-end data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6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wherein at least one of the networks is unlicen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로부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하여,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시간, 예정된 핸드오버 실행 이후의 통신 품질, 및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와 제2무선통신네트워크 각각의 지연 시간이 사전에 미리 핸드오버제어유닛(36)에 의해 취득된다. 이러한 취득 정보와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의 개시 결정 시 지터버퍼(47)의 데이터량을 토대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가 제어된다. 이에 따라, 재생 품질 및 실시간 특성의 열화없이, 상이한 무선통신네트워크에 대한 핸드오버를 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장치{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본 출원은 2007년 12월 27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07-337123호와 2008년 1월 30일에 모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08-19638호 및 일본특허출원 제2008-19642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본 명세서에서 그 전문을 인용참조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이한 무선통신네트워크들간의 핸드오버(handover)를 수행할 수 있는 무선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IETF(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전화망, 무선 LAN 등과 같은 복수의 상이한 무선통신네트워크들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는 시임리스(seamless) 이동을 위한 IP 이동성 기법을 고려하고 있다. IP 이동성 기법의 특정 프로토콜로는, 개인용 통신 단말의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Mobile IPv4 및 Mobile IPv6(이하, Mobile IP로 줄여 씀), 및 유닛으로서 네트워크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NEMO(Network Mobility)가 있다.
첨언하면, 실시간 특성을 갖는 VoIP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이하, 적절하게 APP라고 줄여 씀)이 무선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실행되는 경우, 무선통신경로의 허용가능한 대역은 페이딩(fading)과 같은 전파 환경에 따라 변하고, 통신 단말에 의하여 수신되는 패킷들의 도착 간격들은 상기 허용가능한 대역의 변화에 따라 변경된다.
이러한 이유로, 일반적으로는 통신 단말에 지터버퍼(jitter buffer)를 제공하여 상기 지터버퍼에서 수신된 패킷들을 먼저 저장한 다음 상기 지터버퍼로부터 상기 패킷들을 독출(read-out)하고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한 간격들로 패킷들을 재생(reproduce)하도록 수행된다. 이에 따라, 패킷들의 편차, 즉 패킷들의 도착 간격들의 변위(지터)에 기인한 패킷들의 재생 간격들의 변위를 흡수하여, 재생된 음향 품질 등과 같은 재생 품질의 열화를 방지하게 된다. 더욱이, 지터가 커서 지터버퍼에 패킷이 없어 사일런스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지터버퍼에 저장될 패킷들이 단시간 내에 너무 많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통신 단말이 재생 속도를 변경하고, 수신된 패킷들을 폐기하거나 또는 지터버퍼의 크기를 변경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통신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패킷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downlink absolute delay time), 즉 무선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될 카운터파트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패킷들에 필요한 시간(지연 시간)은 무선통신네트워크에 따라 상이하다. 따라서, 통신 단말이 이동 중인 무선통신장치이면서 상이한 무선통신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핸드오버 목적지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이 핸드오버 소스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보다 길다면,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들간의 차이에 대응하면서 패킷을 수신하지 않는 블랭크 기간(blank period)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컨대 패킷들이 APP에 기초한 소정의 간격들로 지터버퍼로부터 독출되고 소정의 재생 속도로 재생될 때, 상기 패킷을 수신하고 있지 않는 블랭크 기간이 핸드오버 소스의 무선통신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마지막 패킷을 상기 지터버퍼로부터 독출하는데 필요한 시간(즉, 지터버퍼표준지연시간)보다 길다면, 이러한 초과 시간의 기간 동안 지터버퍼에 패킷이 없게 된다. 그 결과, 적어도 상기 기간 동안 재생할 패킷이 없게 되므로, 사일런스를 초래하여 재생 품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도 20은 상기 경우에서의 지터버퍼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들을 보여준다. 도 20(a)는 단위기간 동안 지터버퍼에 의해 수신되는 패킷수를 보여주고, 도 20(b)는 지터버퍼로부터의 패킷들의 재생 속도(독출 간격)를 보여주며, 도 20(c)는 지터버퍼의 패킷수를 보여준다. 도 21은 상기 경우에서의 패킷들의 흐름을 보여준다. 도 21에서, "송신", "수신" 및 "재생"은 각각 카운터파트 통신 단말에 의한 패킷의 송신 타이밍, 무선통신장치의 지터버퍼에 의해 수신되는 패킷의 수신 타이밍, 및 무선통신장치에 의한 패킷의 재생 타이밍(지터버퍼로부터 패킷을 독출하기 위한 타이밍)을 나타낸다. 여기서, 핸드오버 소스의 무선통신네트워크 A 및 핸드오버 목적지의 무선통신네트워크 B에서 수신된 패킷들의 편차(도착 간격들의 변위)는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20 및 도 2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핸드오버 목적지의 무선통신네트워크 B에서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B가 핸드오버 소스의 무선통신네트워크 A에서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A 보다 길다고, 차이 (TddnB-TddnA)는 상기 지터버퍼에 표준 개수의 패킷들이 있는 경우에 수신된 패킷들에 적용되는 지터버퍼표준지연시간 Tst 보다 길다면, 시간 T={(TddnB-TddnA)-Tst} 동안 재생되는 패킷이 없게 된다. 더욱이, 이 경우에는 패킷들이 핸드오버 목적지의 무선통신네트워크 B로부터 수신된 직후에 재생되므로, 지터를 흡수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핸드오버에서의 결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예컨대 패킷들의 수신 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패킷들이 통상적인 수신 간격으로 수신될 수 없을 때, 지터버퍼로부터의 패킷들의 독출, 즉 패킷들의 재생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지터버퍼제어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도 22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지터버퍼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들을 보여준다. 도 20(a) 내지 도 20(c)와 동일한 방식으로, 도 22(a) 내지 도 22(c)는 각각 단위 기간 동안 지터버퍼에 의해 수신되는 패킷수, 재생 속도 및 상기 지터버퍼의 패킷수를 보여준다. 도 23은 상기 경우의 패킷들의 흐름들을 보여준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오버가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A를 갖는 무선통신네트워크 A로부터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B가 TddnA 보다 긴 무선통신네트워크 B로 수행되는 경우와 같이 이전의 수신 간격들로 패킷들이 수신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지터버퍼에서의 패킷들의 재생 속도가 수신 간격들이 커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그 후에 수신 간격들이 통상 간격들로 되돌아가면, 재생 속도는 지터버퍼에서의 패킷수에 따라 통상적인 재생 속도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제어된다.
특허문헌 1 : 일본특개 제2006-238445호
하지만,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지터버퍼제어방법은 단지 패킷들이 이전의 수신 간격들로 수신될 수 없을 때, 상기 지터버퍼에 현재 저장된 패킷들의 재생 속도만을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제어할 뿐이다. 그러므로, 핸드오버 목적지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B가 상대적으로 긴 경우에는, 재생 속도가 너무 많이 감소되어 재생 품질의 열화를 초래할 염려가 있다. 예컨대, VoIP에서는, 재생 속도가 원래 보이스의 속도에서 크게 변하므로, 재생되는 보이스의 품질이 현저하게 열화되어 사용자가 듣기 어렵게 만든다.
또한, 도 22 및 도 23은 지터버퍼에 패킷이 없는 것에 기인하는 사일런스 등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의 예시화된 제어를 보여주지만, 실제적으로는 패킷들의 수신 간격들이 얼마나 길 지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소정의 지터버퍼표준지연시간 Tst 및 핸드오버 목적지의 소정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B에 따라, 상기 지터버퍼가 비게 되어 사일런스 등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다. 지터버퍼표준지연시간 Tst은 사일런스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다 길게 설정될 수도 있지만, 이는 예컨대 VoIP의 카운터파트 단말로부터의 패킷 재생 시의 지연을 초래하여, 실시간 특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더욱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지터버퍼제어방법은 핸드오버 목적지의 무선 상태(radio-state)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 따라서, 핸드오버가 수행되더라도, 핸드오버 목적지의 무선 상태가 좋지 않으면, 패킷들의 지연이 가중되면서 재생 속도가 핸드오버 이후 느려져 재생 품질의 열화를 초래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재생 품질과 실시간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상이한 무선통신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는 무선통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장치는,
제1무선통신네트워크 및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와 상이한 제2무선통신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무선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무선통신유닛;
상기 무선통신유닛을 거쳐 실시간 통신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유닛;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안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의 무선 링크의 통신 품질을 취득하기 위한 통신품질취득유닛;
상기 통신품질취득유닛에 의해 취득한 통신 품질을 토대로,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를 개시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유닛;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동안 상기 결정유닛이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의 개시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통신품질취득유닛에 의해 취득한 통신 품질을 토대로, 핸드오버를 개시할 때까지의 핸드오버준비시간을 추정하기 위한 추정유닛;
상기 결정유닛이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의 개시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 및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 각각의 지연 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측정유닛; 및
상기 추정유닛에 의해 추정된 핸드오버준비시간 및 상기 측정유닛에 의해 계측된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 및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 각각의 지연 시간을 토대로, 상기 실행유닛에 의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형태는, 상기 제1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의 지연 시간과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의 지연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의 지연 시간이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의 지연 시간 보다 사전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긴 경우, 상기 실행유닛에 의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늦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형태는, 상기 제2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이,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를 개시한 이후 상기 실행유닛에 의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늦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형태는, 상기 제2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행유닛에 지터버퍼 및 상기 지터버퍼의 데이터량을 감시하기 위한 지터버퍼감시유닛이 제공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 완료 후, 상기 지터버퍼감시유닛에 의해 감시된 지터버퍼의 데이터량이 사전설정된 양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통상 속도로 리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5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장치는,
제1무선통신네트워크 및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와 상이한 제2무선통신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무선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무선통신유닛;
지터버퍼와 상기 지터버퍼의 데이터량을 감시하기 위한 지터버퍼감시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통신유닛을 거쳐 실시간 통신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유닛;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안에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의 무선 링크의 통신 품질을 취득하기 위한 통신품질취득유닛;
상기 통신품질취득유닛에 의해 취득한 통신 품질을 토대로,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를 개시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유닛;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동안, 상기 결정유닛이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의 개시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통신품질취득유닛에 의해 취득한 통신 품질을 토대로, 핸드오버를 개시할 때까지의 핸드오버준비시간을 추정하기 위한 추정유닛;
상기 결정유닛이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의 개시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 및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 각각의 지연 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측정유닛; 및
상기 추정유닛에 의해 추정된 핸드오버준비시간, 상기 측정유닛에 의해 계측된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 및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 각각의 지연 시간, 및 상기 결정유닛이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의 개시를 결정하는 시점에 상기 지터버퍼감시유닛에 의해 감시된 상기 지터버퍼의 데이터량을 토대로, 상기 실행유닛에 의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늦추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6형태는, 상기 제5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시작할 때에, 상기 지터버퍼의 데이터량이 제로가 되도록 상기 실행유닛에 의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늦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형태는, 상기 제6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의 지연 시간과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의 지연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의 지연 시간이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의 지연 시간 보다 사전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긴 경우, 상기 실행유닛에 의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늦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8형태는, 상기 제7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를 개시한 이후, 상기 실행유닛에 의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늦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9형태는, 상기 제8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 완료 후, 상기 지터버퍼감시유닛에 의해 감시된 지터버퍼의 데이터량이 사전설정된 양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통상 속도로 리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0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장치는,
제1무선통신네트워크 및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와 상이한 제2무선통신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무선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무선통신유닛;
지터버퍼와 상기 지터버퍼의 데이터량을 감시하기 위한 지터버퍼감시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통신유닛을 거쳐 실시간 통신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유닛;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안에,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 및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의 무선 링크의 통신 품질을 취득하기 위한 통신품질취득유닛;
상기 통신품질취득유닛에 의해 취득한 통신 품질을 토대로,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를 개시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유닛;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동안, 상기 결정유닛이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의 개시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통신품질취득유닛에 의해 취득한 통신 품질을 토대로, 핸드오버를 개시할 때까지의 핸드오버준비시간 및 예정된 핸드오버 실행 이후의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의 통신 품질을 추정하기 위한 추정유닛;
상기 결정유닛이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의 개시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 및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 각각의 지연 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측정유닛; 및
상기 추정유닛에 의해 추정된 핸드오버준비시간, 상기 추정유닛에 의해 예측된 예정된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의 핸드오버 실행 이후의 통신 품질, 상기 측정유닛에 의해 계측된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 및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 각각의 지연 시간, 및 상기 결정유닛이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의 개시를 결정하는 시점에서의 상기 지터버퍼감시유닛에 의해 감시된 상기 지터버퍼의 데이터량을 토대로, 상기 실행유닛에 의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1형태는, 상기 제10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의 지연 시간과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의 지연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의 지연 시간이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의 지연 시간 보다 사전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긴 경우, 상기 실행유닛에 의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늦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2형태는, 상기 제11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 개시 이후 상기 실행유닛에 의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늦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3형태는, 상기 제12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정유닛은,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의 예정된 핸드오버 실행 이후의 통신 품질로서, 상기 제2무선통신시스템의 스루풋(throughput)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소요 대역 역치(required band width threshold)에 도달할 때까지의 트랜지션(transition)을 추정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추정유닛에 의해 예측된 스루풋이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위하여 예정된 시간에 이미 소요 대역 역치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시작할 때에 상기 지터버퍼의 데이터량이 제로가 되도록 상기 실행유닛에 의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추정유닛에 의해 예측된 스루풋이 핸드오버를 실행하도록 예정된 시간에 소요 대역 역치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예측된 스루풋이 상기 소요 대역 역치에 도달한 때에 상기 지터버퍼의 데이터량이 제로가 되도록 상기 실행유닛에 의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4형태는, 상기 제12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정유닛은, 상기 결정유닛에 의해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의 개시 결정 이후, 상이한 타이밍들에서 상기 통신품질취득유닛에 의해 취득한 통신 품질을 토대로 대응하는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와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 각각의 통신 품질을 예측하고, 상기 제1무선통신시스템의 예측된 통신 품질이, 상기 핸드오버준비시간을 초과하는 사전설정된 시간 이후, 상기 제2무선통신시스템의 예측된 통신 품질을 초과한다면, 상기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의 취소를 상기 제어유닛에 통지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추정유닛에 의해 상기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의 취소가 통지될 때, 상기 실행유닛에 의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통상 재생 속도로 리턴시키기 위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무선통신네트워크로부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행하기 위하여, 제1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장치는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 시간 및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와 제2무선통신네트워크 각각의 지연 시간을 사전에 미리 취득한다. 이에 따라, 예컨대 핸드오버 목적지의 제2무선통신네트워크의 지연 시간이 핸드오버 소스의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의 지연 시간보다 긴 경우, 패킷이 얼마동안 도착하지 않을 것인지 그리고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 개시 결정 이후 패킷이 얼마동안 도착하지 않을 것인지에 대하여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소정 기간 내에 패킷들이 도착하지 않은 경우에도 핸드오버 소스의 제1무선통신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패킷들을 재생하기 위해서,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 개시 결정으로부터 많은 시간이 걸리게하여,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와 제2무선통신네트워크간의 지연 시간차를 흡수하도록 재생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표준 재생 속도와의 차이를 줄여 표준 재생 속도에 근접한 속도로 패킷들을 재생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재생 품질과 실시간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제1무선통신네트워크로부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한다.
제1무선통신네트워크로부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5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장치는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 시간,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와 제2무선통신네트워크 각각의 지연 시간, 및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 개시 결정 시의 지터버퍼의 데이터량을 사전에 미리 취득하고, 이렇게 취득한 정보를 토대로,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늦추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예컨대 핸드오버 목적지의 제2무선통신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시작할 때 지터버퍼의 데이터량이 제로가 되도록 재생 속도를 늦춤으로써 지연 시간차를 흡수하기 위한 시간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표준 재생 속도에 훨씬 더 근접한 속도로 패킷들을 재생할 수 있게 되어, 재생 품질과 실시간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로부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한다.
제1무선통신네트워크로부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10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장치는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 시간,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와 제2무선통신네트워크 각각의 지연 시간,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 개시 결정 시의 지터버퍼의 데이터량, 및 핸드오버 목적지의 제2무선통신시스템의 통신 품질을 사전에 미리 취득한다. 이렇게 취득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무선통신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예컨대 핸드오버 목적지의 제2무선통신네트워크의 지연 시간이 핸드오버 소스의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의 지연 시간보다 길고 상기 핸드오버 목적지의 제2무선통신시스템의 통신 풀질이 좋지 않은 경우, 핸드오버 이후 수신된 데이터의 지연 시간들의 축적을 고려하여 핸드오버 수행 이전에 상기 지터버퍼에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핸드오버 전후의 재생 속도를 늦춰 지연 시간들의 차이를 흡수하기 위한 시간을 연장하면서, 표준 재생 속도에 근접한 속도로 패킷들을 재생할 수 있게 되어, 재생 품질과 실시간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로부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가 사용가능한 통신네트워크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통신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한 블럭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선통신장치의 전화기능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한 기능블럭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핸드오버제어유닛에 의한 핸드오버 준비 시간의 계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전화기능유닛의 주요부의 동작을 예시한 시퀀스 다이어그램;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지터버퍼제어유닛에 의하여, 수신된 패킷들의 재생속도제어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전화기능유닛에 의한 지터버퍼의 제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전화기능유닛에 의한 지터버퍼의 제어의 또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어 예시에 의한 패킷들의 흐름들을 예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의 지터버퍼의 제어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어 예시에 의한 패킷들의 흐름들을 예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의 핸드오버제어유닛에 의하여 핸드오버 준비 시간을 취득하기 위한 제2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의 핸드오버제어유닛에 저장된 스루풋 및 통신 품질(무선 상태)의 예시화된 변환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핸드오버 예정(handover schedule)이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에 의해 취소될 때, 핸드오버 소스 및 핸드오버 목적지의 무선 상태들의 일례를 예시한 도면;
도 15는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가 핸드오버 예정을 실행할 때, 도 3에 도시된 전화기능유닛의 주요부의 동작을 예시한 시퀀스 다이어그램;
도 16은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가 핸드오버 예정을 실행할 때, 도 3에 도시된 전화기능유닛에 의한 지터버퍼 제어의 일례를 예시한 도면;
도 17은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가 핸드오버 예정을 실행할 때, 도 3에 도시된 전화기능유닛에 의한 지터버퍼 제어의 또다른 예시를 예시한 도면;
도 18은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가 핸드오버 예정을 취소할 때, 도 3에 도시된 전화기능유닛의 주요부의 동작을 예시한 시퀀스 다이어그램;
도 19는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가 핸드오버 예정을 취소할 때, 도 3에 도시된 전화기능유닛에 의한 지터버퍼 제어의 일례를 예시한 도면;
도 20은 종래의 지터버퍼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제어방법에 의한 패킷들의 흐름들을 예시한 도면;
도 22는 종래의 지터버퍼의 제어방법의 또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제어 방법에 의한 패킷들의 흐름들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가 사용가능한 통신네트워크의 일례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모바일 노드(mobile node)인 무선통신장치(11)가 상대 노드(correspondent node)인 카운터파트 통신 단말(12)을 실시간 통신용 어플리케이션인 VoIP를 이용하여 호출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상기 무선통신장치(11)는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와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와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는 패킷네트워크(17)를 통해 인터넷(18)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는 예컨대 무선 LAN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반면,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는 예컨대 cdma 2000 EV-DO와 같은 이동전화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의 지연 시간(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은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의 지연 시간(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보다 짧다. 도 1에서, 참조 부호 15a는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의 액세스포인트를 나타내고, 참조 부호 16a는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의 기지국을 나타낸다.
상기 카운터파트통신단말(12)은 예컨대 핸드셋(12a)이 연결되고 그 안에 소프트폰이 설치된 개인용 컴퓨터일 수도 있고, 인터넷서비스프로바이더(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인터넷(18)에 연결된다.
상기 패킷네트워크(17)와 인터넷(18)은 각각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서버(21, 22)에 연결된다. 더욱이, 상기 인터넷(18)은 무선통신장치(11)가 연결되는 무선통신네트워크에 상기 무선통신장치(11)에 어드레싱된 수신된 패킷들을 전달하기 위한 Home Agent(HA)(23)에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통신네트워크에 있어서는, 무선통신장치(11)가 원래 속한 무선통신네트워크에 사용되는 홈 어드레스는 HA 23에 등록되고, 핸드오버 목적지의 무선통신네트워크(16)의 케어-오브(care-of) 어드레스 또한 핸드오버 수행 시 HA 23에 등록된다. 이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장치(11)가 상이한 무선통신네트워크들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IP 이동성 기술들은 상기 Mobile IP 및 NEMO의 시스템들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무선통신장치(11)가 원래 속한 무선통신네트워크가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이고, 핸드오버는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로부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로 수행된다고 가정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11)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한 기능블럭도이다. 상기 무선통신장치(11)에는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에 대응하는 제1무선I/F(인터페이스)(31),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에 대응하는 제2무선I/F(32), VoIP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전화기능유닛(33),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와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에 대한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처리유닛(34),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와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의 무선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무선정보취득유닛(35), 및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와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간의 핸드오버를 제어하기 위한 핸드오버제어유닛(36)이 제공된다.
상기 제1무선I/F(31) 및 제2무선I/F(32)와 함께 통신처리유닛(34)은 무선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무선통신유닛을 구성한다. 상기 통신처리유닛(34)은 상기 제1무선I/F(31) 또는 제2무선I/F(32)의 접속을 제어하여, 전화기능유닛(33)과 카운터파트 통신 단말(12)이 서로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 또는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를 통해 통신하도록 하고,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의 제어 하에 HA(23)와 통신하도록 한다.
상기 무선정보취득유닛(35)은 이에 따라 상기 제1무선I/F(31) 및 제2무선I/F(32)로부터 무선 정보로서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와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의 통신 품질을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통신 품질을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에 제공한다. 여기서는, 무선 상태를 나타내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가 통신 품질로 얻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무선정보취득유닛(35)이 무선 링크의 통신 품질을 취득하기 위한 통신품질취득유닛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은, 상기 무선정보취득유닛(35)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품질을 토대로 핸드오버 예정 여부, 즉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 개시의 여부를 결정한 다음, 핸드오버 예정을 결정한 후 상기 결정된 핸드오버 예정의 취소 여부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핸드오버 정보를 토대로 핸드오버를 제어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선통신장치(11)의 전화기능유닛(33)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한 기능블럭도이다. 상기 전화기능유닛(33)은 예컨대 소프트폰일 수도 있고, 공지된 소프트폰의 구성과 유사하게 버튼입력유닛(41), 스크린표시유닛(42), 마이크로폰(43), 인코더(44), 패킷송신유닛(45), 패킷수신유닛(46), 지터버퍼(47), 디코더(48), 스피커(49), 지터버퍼감시유닛(50), 지터버퍼제어유닛(51), SIP제어유닛(52) 및 전체적으로 조작들을 제어하기 위한 전체제어유닛(53)이 제공된다.
상기 전체제어유닛(53)은 버튼입력유닛(41) 또는 스크린표시유닛(42)을 통해 사용자에 의한 조작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정보를 토대로 전체 조작들을 제어한다. 상기 SIP제어유닛(52)은 호출의 개시 또는 종료를 위한 SIP 프로시저(procedure)를 제어한다. 호출 동안, 마이크로폰(43)으로부터 취득한 오디오 데이터는 인코더(44)에 의해 인코딩되고,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는 상기 패킷송신유닛(45)에 의해 패킷들에 삽입되어, 상기 통신처리유닛(34)을 통해 카운터파트 통신 단말(12)로 송신된다.
상기 통신처리유닛(34)을 통해 상기 패킷수신유닛(46)에 의해 수신되는 카운터파트 통신 단말(12)로부터의 패킷들은 일단 지터버퍼(47)에 저장된 다음 독출된다. 독출된 패킷들의 페이로드(payload)들은 디코더(48)에 의해 디코딩되고, 재생된 보이스로서 스피커(49)로부터 출력된다. 상기 지터버퍼(47)의 패킷 수신 상태와 상기 지터버퍼(47)의 패킷수(데이터량)는 지터버퍼감시유닛(50)에 의해 감시되고, 감시 결과를 토대로, 상기 지터버퍼제어유닛(51)이 지터버퍼(47)로부터의 패킷들의 독출 속도와 수신된 패킷들의 폐기 공정 등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11)에서는, 상기 전화기능유닛(33)에 추가로 핸드오버정보취득유닛(55) 및 재생속도계산유닛(56)이 제공된다. 상기 핸드오버정보취득유닛(55)은 핸드오버 예정이 있는 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하여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으로부터의 핸드오버 정보를 사전설정된 간격으로 감시한다. 핸드오버 예정이 있는 경우, 상기 핸드오버정보취득유닛(55)은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으로부터 소요 핸드오버 정보를 추가로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소요 핸드오버 정보를 재생속도계산유닛(56)에 제공한다.
상기 재생속도계산유닛(56)은, 상기 핸드오버정보취득유닛(55)으로부터 취득한 소요 핸드오버 정보를 토대로, 지터버퍼(47)에서의 패킷들의 독출 속도, 즉 수신된 패킷들의 재생 속도(본 실시예에서는 VoIP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제어할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결과적으로 제어를 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재생속도계산유닛(56)이 상기 취득한 소요 핸드오버 정보 및 상기 지터버퍼감시유닛(50)에 의해 지터버퍼(47)의 감시 결과를 토대로 상기 수신된 패킷들의 재생 속도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를 지터버퍼제어유닛(51)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터버퍼제어유닛(51)은 지터버퍼(47)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의 독출을 제어하여, 상기 수신된 패킷들의 재생 속도가 상기 재생속도계산유닛(56)에 의해 계산된 재생 속도와 정합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화기능유닛(33)은 실시간 통신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유닛 뿐만 아니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구성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11)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은 상기 제1무선I/F(31) 및 제2무선I/F(32)로부터 취득한 통신 품질을 토대로 핸드오버 예정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와 무선 링크를 형성하는 호출 동안, 상기 제1무선I/F(31)로부터 취득한 통신 품질이 핸드오버 예정 결정 역치보다 낮아지고, 상기 제2무선I/F(32)로부터 취득한 통신 품질이 핸드오버 예정 결정 역치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은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로의 핸드오버 예정, 즉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 개시를 결정한다. 호출을 위해 사용되고 있지 않는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의 통신 품질은 예컨대 기지국(16a)으로부터 송신된 통지 정보를 수신하여 얻어진다(측정된다).
핸드오버 예정 결정 시,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은 핸드오버 개시를 위한 핸드오버준비시간 Tp,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무선통신네트워크(이 경우에는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에서의 핸드오버 소스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1, 핸드오버가 수행될 무선통신네트워크(이 경우에는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에서의 핸드오버 목적지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2를 취득하고, 이러한 정보를 핸드오버 예정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소요 핸드오버 정보로서 상기 전화기능유닛(33)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은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 개시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유닛, 상기 핸드오버 준비 시간을 추정하기 위한 추정유닛, 및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와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 각각의 지연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유닛을 구성한다.
다음으로, 핸드오버 준비 시간 Tp, 핸드오버 소스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1, 및 핸드오버 목적지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2를 취득하기 위한,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에 의한 방법들이 개시된다.
(핸드오버 준비 시간 Tp을 취득하기 위한 방법)
상기 핸드오버 준비 시간 Tp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품질을 결정하는 단위 시간 내의 무선 상태 Rs의 변화율 △Rs(기울기)를 토대로 계산된다. 여기서, 상기 변화율 △Rs는 무선 상태가 핸드오버 예정 결정 역치보다 낮아짐에 따라 핸드오버 예정이 결정될 때를 측정하여 취득할 수 있지만, 평균 변화율 △Rsrms는 본 실시예에서의 호출 동안 상기 핸드오버 예정이 결정되기 전 사전설정된 시간으로부터, 핸드오버 예정이 결정되는 시간까지 소정의 기간에 걸쳐 얻어진다.
결과적으로,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은 사전설정된 타이밍으로 하기 도시된 공식 1에 의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무선통신네트워크의 무선 상태의 변화율 △Rs(t)을 계산하고, 복수의 변화율 △Rs(t)을 메모리에 사전설정된 시간 전(예컨대, 2초 전)까지 저장한다. 그 후, 핸드오버 예정이 결정되면, 핸드오버제어유닛(36)은 사전설정된 시간 전까지 소정의 기간에 걸쳐 평균 변화율 △Rsrms을 계산하고, 이는 상기 타이밍으로 저장된다. 여기서는, 무선 상태가 점진적으로 저하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공식 1]
△Rs(t) = |{Rs(t)-Rs(t-△t)}/△t|
후속해서,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은 계산된 평균 변화율 △Rsrms이 사전에 미리 결정된 변화율 역치 Rsref 보다 작은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결과로서 △Rsrms≤Rsref 이면, 즉 무선 상태가 완만하게 변하는 경우, 상기 핸드오버 준비 시간 Tp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설정된 기준 Tref(예컨대, 5초)로 설정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결과적으로 △Rsrms>Rsref 이면, 즉 무선 상태가 급격하게 변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Tp=Tref(Rsref/△Rsrms)가 계산되고, 상기 핸드오버 준비 시간 Tp는 평균 변화율 △Rsrms이 커짐에 따라 기준 시간 Tref 보다 짧게 설정된다. 도 4(b)는 △Rsrms>Rsref이고 상기 핸드오버 준비 시간 Tp가 기준 시간 Tref의 근사적으로 절반(2.5초)이 되도록 설정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절대 지연 시간 Tddn1, Tddn2을 취득하기 위한 방법)
상기 핸드오버 소스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1 및 상기 핸드오버 목적지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2는 예컨대 후술하는 절대 지연 시간을 취득하기 위한 첫번째 내지 네번째 방법들 가운데 한 가지에 의해 취득된다. 상기 카운터파트 통신 단말(CN: Correspondent Node)(12)과 상기 HA(23)간의 네트워크가 변경되지 않으므로, 그들간의 절대 지연 시간이 고려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a) 절대 지연 시간을 취득하기 위한 첫번째 방법
핸드오버 예정을 판정한 후,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은, 전화기능유닛(33) 및/또는 통신처리유닛(34)을 제어하여 상기 무선통신장치(11)와 동기화되는 HA(23)를 요구하고, 송신 시간 스탬프들을 구비한 측정 패킷들을 송신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HA(23)가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와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 양자 모두에 측정 패킷들을 송신하게 된다. 상기 무선통신장치(11)는 이에 대응하여 제1무선I/F(31) 및 제2무선I/F(32)를 통해 HA(23)으로부터 송신되는 측정 패킷들을 수신하고, 상기 측정 패킷들의 수신 시간 및 측정 패킷들의 시간 스탬프들을 토대로 대응하는 네트워크들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1 및 Tddn2를 측정한다. 상기 핸드오버 소스의 무선통신네트워크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이 호출 동안 수신되는 패킷들로부터 측정될 수 있는 경우, 상기 핸드오버 소스의 무선통신네트워크로의 측정 패킷들의 송신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b) 절대 지연 시간을 취득하기 위한 두번째 방법
핸드오버 예정 결정 후,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은 이에 따라 무선통신장치(11)와 동기화되는 HA(23)를 알리도록 전화기능유닛(33) 및/또는 통신처리유닛(34)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술된 절대 지연 시간을 취득하기 위한 첫번째 방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HA(23)가 측정 패킷들을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와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 양자 모두에 송신하여,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이 대응하는 네트워크들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1 및 Tddn2를 측정하도록 한다.
(c) 절대 지연 시간을 취득하기 위한 세번째 방법
핸드오버 예정 결정 후,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은 전화기능유닛(33) 및/또는 통신처리유닛(34)을 제어하여, 상기 무선통신장치(11)가 PING, RTCP 등과 같은 측정 패킷들을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와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 양자 모두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장치(11)와 동기화되는 HA(23)에 송신하도록 한 다음, 응답들을 수신하여 대응하는 네트워크들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1 및 Tddn2를 측정하도록 한다.
(d) 절대 지연 시간을 취득하기 위한 네번째 방법
핸드오버 예정 결정 후,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은 IEEE 802.21에 의해 고려된 핸드오버 기법을 이용하여 무선통신네트워크 각각의 절대 지연 시간을 취득한다. 하기는 절대 지연 시간을 취득하기 위한 예시화된 방법이다.
우선,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의 절대 지연 시간(Tddn1)을 취득하기 위한 방법이 후술된다.
상기 무선통신장치(11)는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의 제1정보서버에 저장된 하기 값들을 취득한다.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 상에 현재 연결된 액세스포인트(15a)에 대한 지연 시간을 측정하도록 작동하는 (예컨대, 인터넷(18)의 백본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측정 서버로부터 원-웨이 지연 시간의 기준값(Tn3)
·액세스포인트(15a)와 그것에 접속되는 단말간의 다운링크 및 업링크 절대 지연 시간들의 기준값(다운링크: Trdn3, 업링크: Trup3)
나아가, 상기 무선통신장치(11)는 PING 등과 같은 측정 패킷들을 HA(23)에 송신하고, 그 응답을 수신하여 제1무선통신장치(11)와 HA(23)간의 라운드-트립 지연 시간 Trt1을 측정하게 된다.
그 후,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의 절대 지연 시간 Tddn1은 하기 도시된 공식 2를 이용하여 상기 값들로부터 계산된다. 하지만, 상기 액세스포인트(15a)와 상기 HA(23)간의 원-웨이 지연 시간을 취득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원-웨이 지연 시간은 Tn3과 {Trt1-(Tn3+Trdn3+Tn3+Trup3)}/2의 합의 근사값이 되도록 정의된다.
[공식 2]
Tddn1=Tn3+Trdn3+{Trt1-(Tn3+Trdn3+Tn3+Trup3)}/2
다음으로, 상기 핸드오버 목적지의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의 절대 지연 시간(Tddn2)을 취득하기 위한 방법이 후술된다.
상기 무선통신장치(11)는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의 제1정보서버를 통해 핸드오버 목적지의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에 연결된 제2정보서버에 저장된 하기 값들을 취득한다. 액세스포인트(15a) 또는 무선통신장치(11)에 의해 취득한 무선통신장치(11)의 로케이션 정보는 제2정보서버로 송신된다.
·무선통신장치(11)가 연결될 것으로 예상되는 기지국(16a)과 측정서버간의 원-웨이 지연 시간의 기준값(Tn4)
·기지국(16a)과 그것에 연결되는 단말간의 다운링크 및 업링크 절대 지연 시간들의 기준값(다운링크: Trdn4, 업링크: Trup4)
그 후,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의 절대 지연 시간(Tddn2)은 하기 도시된 공식 3을 이용하여 상기 값들로부터 계산된다. 하지만, 상기 기지국(16a)과 상기 HA(23)간의 원-웨이 지연 시간을 취득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원-웨이 지연 시간은 Tn4와 {Trt1-(Tn3+Trdn3+Tn3+Trup3)}/2의 합의 근사값이 되도록 정의된다.
[공식 3]
Tddn2=Tn4+Trdn4+{Trt1-(Tn3+Trdn3+Tn3+Trup3)}/2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은 핸드오버 준비 시간 TP, 핸드오버 소스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1, 및 핸드오버 목적지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2를 취득하고, 이렇게 취득한 정보를 전화기능유닛(33)에 제공한다.
더욱이, 핸드오버제어유닛(36)이 핸드오버 예정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은 무선처리유닛(34)을 제어하여, 제2무선I/F(32)가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에 연결되도록 한다. 그 후, 핸드오버 준비 시간 TP가 지나간 경우,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은 핸드오버 목적지의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를 통해 등록요청(Registration Request)(NEMO에 대한 Binding Update)를 HA(23)에 송신하고, 상기 핸드오버 목적지의 케어-오브(care-of) 어드레스를 HA(23)에 등록한다.
그 때, 등록요청(Registration Request)메시지의 등록요청필드(Registration Request Field)의 8 비트들이 설정되어(NEMO에서의 멀티 케어 오브 어드레스 이용),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 또는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와 통신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2무선I/F(32)가 응답 시 HA(23)로부터 송신되는 핸드오버 완료 정보인 등록회신(Registration Reply)(NEMO에 대한 Binding Acknowledge)를 수신하면,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은 핸드오버 소스의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의 케어-오브 어드레스를 등록 취소하여 연결을 끊는다. 그런 다음,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은 상기 전화기능유닛(33)에 수신되는 핸드오버 완료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핸드오버 목적지의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를 통해 VoIP 어플리케이션을 연속해서 실행하기 위하여 통신처리유닛(34)을 제어한다.
도 5는 상기 전화기능유닛(33)의 주요부의 동작을 예시한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상기 핸드오버정보취득유닛(55)은 핸드오버제어유닛(36)으로부터의 핸드오버 정보를 사전설정된 간격으로 감시한다. 결과로서 핸드오버 예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내는 정보 취득 시, 상기 핸드오버정보취득유닛(55)은 추가로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으로부터의 소요 핸드오버 정보인 핸드오버 준비 시간 TP, 핸드오버 소스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1, 및 핸드오버 목적지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2를 취득하고, 상기 소요 핸드오버 정보를 재생속도계산유닛(56)에 제공한다.
상기 재생속도계산유닛(56)은 상기 핸드오버정보취득유닛(55)으로부터 취득한 소요 핸드오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Tddn1)과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Tddn2)간의 차이 Ta(Ta=Tddn2-Tddn1)를 계산하고, 상기 차이가 소정값(>0)을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차이가 소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재생속도계산유닛(56)은 상기 취득한 소요 핸드오버 정보 및 지터버퍼감시유닛(50)에 의한 지터버퍼(47)의 감시 결과를 토대로 하기 도시된 공식 4로부터 지터버퍼(47)에서의 수신된 패킷들의 재생 속도 v를 계산한다. 공식 4에서, Vst는 표준 재생 속도를 나타내고, Tst는 지터버퍼(47)의 표준 패킷수인 지터버퍼표준지연시간을 나타내며, Tc는 핸드오버 예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내는 정보의 수신 시 상기 지터버퍼(47)의 패킷수(데이터량)에 대응하는 시간, 즉 지터버퍼현재지연시간을 나타낸다. 또한, 재생 속도 V, Vst는 예컨대 시간비(시간/시간) 및 Vst=1로 도시되어 있다.
[공식 4]
V={Vst·Tp-(Tst-Tc)}/(Tp+Ta)
상기 재생속도계산유닛(56)은 상기 계산된 재생 속도 V를 지터버퍼제어유닛(51)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터버퍼제어유닛(51)은 표준 재생 속도 Vst보다 느린 재생 속도 V로 수신된 패킷들을 재생하기 위하여 지터버퍼(47)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의 독출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지터버퍼제어유닛(51)은 후술하는 제1재생속도제어방법 또는 제2재생속도제어방법에 의하여 수신된 패킷들의 재생 속도를 제어한다.
(a) 제1재생속도제어방법
표준 재생 속도 Vst에 대응하는 지터버퍼(47)로부터의 패킷 독출 간격이 TR1이고, 계산된 재생 속도 V에 대응하는 지터버퍼(47)로부터의 패킷 독출 간격이 TR이라면, TR=TR1/V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표준 재생 속도 Vst에서 20msec의 간격으로 지터버퍼(47)의 패킷들을 판독 및 재생하는 VoIP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재생 속도 V가 표준 재생 속도 Vst(V=0.8)의 80%로 결정되면, 상기 지터버퍼(47)로부터의 패킷 독출 간격 TR은 TR=20/0.8(msec)로 도시된다.
(b) 제2재생속도제어방법
핸드오버를 위한 재생 속도의 제어가 개시되면, 그 재생 시간 및 직후 재생되는 패킷(제1패킷)의 타임 스탬프가 조합되어 기록된다. 그런 다음 패킷들이 지터버퍼(47)로부터 독출되어, 하기 공식 5에 도시된 시간 Tv로 재생된다. 상기 공식 5에서, TD는 그 디폴트값이 0인 지연 시간이다.
[공식 5]
Tv=(패킷의 타임 스탬프-제1패킷의 타임 스탬프)+(제1패킷의 재생 시간+TD)
패킷들이 지터버퍼(47)로부터 독출되는 경우, [{Vst/(Vst-v)}-1]로 독출된 패킷이 카피되어 디코더(48)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원 패킷이 재생된 후, 카피된 패킷이 독출되어 차기 재생 타이밍으로 재생된다. 예를 들어, 재생 속도 V가 표준 재생 속도 Vst의 80%로 정의되면, 지터버퍼(47)의 4 패킷(P1 내지 P4)가 독출되어 도 6에 도시된 순서대로 재생되고, 네번째 패킷 P4가 카피되어 원 패킷 P4의 재생 이후 차기 재생 타이밍으로 카피된 패킷 P4'가 재생된다. 후속해서, 지터버퍼(47)로부터 패킷 P5를 독출하기 위하여, 상기 공식 5의 TD는 카피에 의한 재생 간격의 시간만큼 증가된다. 아직 수신되지 않았거나 폐기되었다는 이유로 [{Vst/(Vst-v)}-1]로 독출될 패킷이 지터버퍼(47)에 있지 않은 경우, 차기 재생 타이밍의 패킷에 동일한 처리가 수행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지터버퍼제어유닛(51)은 수신된 패킷들의 재생 속도를 제어한다. 그 후, 핸드오버정보취득유닛(55)이 핸드오버제어유닛(36)으로부터 핸드오버 완료 정보를 취득하면, 상기 재생속도계산유닛(56)은 사전설정된 간격으로 패킷들의 수신 간격들을 취득한다. 후속해서, 재생속도계산유닛(56)은 사전설정된 기간 동안 얻어지는 패킷 수신 간격들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패킷 수신 간격들의 평균값과 VoIP 어플리케이션의 표준 수신 간격들간의 차이가 역치 내에 있는 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그 결과 상기 차이가 역치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재생속도계산유닛(56)은 패킷이 핸드오버 목적지로부터 수신된 것으로 판정하여, 상기 지터버퍼감시유닛(50)으로부터 상기 타이밍으로 지터버퍼(47)의 패킷수(데이터량)를 취득한 다음, 상기 취득한 패킷수가 소정량을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지터버퍼(47)의 패킷수가 결과적으로 소정량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재생속도계산유닛(56)은 지터버퍼제어유닛(51)으로 하여금 t=(Tst-Tc)/(Vst-V) 이후 통상적인 재생 속도 제어로 리턴하도록 지시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상기 지터버퍼(47)의 패킷수가 소정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재생속도계산유닛(56)은 상기 지터버퍼제어유닛(51)으로 하여금 즉시 통상적인 재생 속도 제어로 리턴하도록 지시한다. 즉, 재생속도계산유닛(56)이 패킷들이 핸드오버 목적지로부터 수신된 것으로 판정하면, 상기 지터버퍼제어유닛(51)은 지터버퍼(47)로부터의 독출을 제어하여, 상기 지터버퍼(47)의 패킷수가 소정량을 초과할 때 표준 재생 속도 Vst로 리턴하도록 한다.
도 7은 패킷이 핸드오버 목적지로부터 수신된 것으로 결정한 이후, t=(Tst-Tc)/(Vst-V) 후에 통상적인 재생 속도 제어로 리턴하는 경우, 상기 지터버퍼(47)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들을 보여준다. 도 7에서, (a)는 단위 시간 안에 지터버퍼(47)에 의해 수신되는 패킷수를 보여주고, (b)는 지터버퍼(47)로부터 패킷들의 재생 속도(독출 간격)를 보여주며, (c)는 지터버퍼(47)의 패킷수를 보여준다.
도 8 및 도 9는 패킷이 핸드오버 목적지로부터 수신된 것으로 판정한 직후 통상적인 재생 속도 제어로 리턴하는 경우, 상기 지터버퍼(47)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들이다. 도 7(a) 내지 도 7(c)와 동일한 방식으로, 도 8(a) 내지 도 8(c)는 단위 시간 안에 지터버퍼(47)에 의해 수신되는 패킷수, 지터버퍼(47)로부터의 패킷들의 재생 속도(독출 간격), 및 지터버퍼(47)의 패킷수를 각각 보여준다.
도 9는 패킷들의 흐름을 보여주고, "송신"은 카운터파트 통신 단말(12)에 의한 패킷들의 송신 타이밍들을 나타내고, "수신"은 무선통신장치(11)의 지터버퍼(47)에 의해 수신되는 패킷들의 수신 타이밍들을 나타내며, "재생"은 무선통신장치(11)에 의한 패킷들의 재생 타이밍(지터버퍼(47)로부터 패킷들을 독출하기 위한 타이밍)들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핸드오버 소스의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와 핸드오버 목적지의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 양자 모두에서 수신된 패킷들의 편차(도착 간격들의 변위)가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실시예의 무선통신장치(11)에 따르면, 짧은 절대 지연 시간 Tddn1을 갖는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로부터 긴 절대 지연 시간 Tddn2를 갖는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하여, 핸드오버 개시를 위한 준비 시간 Tp 및 절대 지연 시간 Tddn1 및 Tddn2가 사전에 미리 얻어진다. 따라서, 패킷이 얼마동안 도착하지 않을 것인지 그리고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 개시 결정 이후 패킷이 얼마동안 도착하지 않을 것인지에 대하여 알 수 있게 된다. 그 후, 재생 속도 V는, 도착 중인 패킷들이 없는 기간에도 핸드오버 소스의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로부터 수신되는 패킷들을 재생하기 위하여,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 개시 결정 시로부터 긴 시간을 가짐으로써,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와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간의 절대 지연 시간차 Ta(Ta=Tddn2-Tddn1)를 흡수하도록 제어된다. 이에 따라, 표준 재생 속도 Vst와의 차이를 줄이게 된다.
이에 따라, 재생 속도를 사전에 미리 늦춰, 무선 상태의 열화 때문에 상기 예상된 것보다 지터가 큰 경우에도 사일런스를 방지하고 핸드오버에 의해 야기되는 지터에 의한 재생된 보이스에 대한 영향을 줄일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재생 품질과 실시간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로부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로의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한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무선통신장치(11)는 제1실시예에 기술된 구성을 가지면서, 핸드오버가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로부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로 수행될 때 절대 지연 시간차 Ta(Ta=Tddn2-Tddn1)가 소정값(>0)을 초과하는 경우, 지터버퍼(47)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의 독출을 제어하여, 핸드오버 목적지의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로부터 패킷들의 수신 개시 시에 상기 지터버퍼(47)의 패킷수(데이터량)가 제로가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전화기능유닛(33)의 재생속도계산유닛(56)은 핸드오버정보취득유닛(55)으로부터 취득한 소요 핸드오버 정보 및 상기 지터버퍼감시유닛(50)에 의한 지터버퍼(47)의 감시 결과를 토대로, 하기 도시된 공식 6으로부터 지터버퍼(47)의 수신된 패킷들의 재생 속도 V를 계산한다.
[공식 6]
V=(Tc+Tp×Vst)/(Tp+Ta)
상기 재생속도계산유닛(56)은 계산된 재생 속도 V를 지터버퍼제어유닛(51)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지터버퍼제어유닛(51)은 표준 재생 속도 Vst 보다 느린 재생 속도 V로 수신된 패킷들을 재생하기 위하여 지터버퍼(47)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의 독출을 제어한다. 상기 지터버퍼제어유닛(51)에 의해 수신된 패킷들의 재생 속도 제어는 상기 제1실시예에 기술된 제1재생속도제어방법 또는 제2재생속도제어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그 후, 핸드오버정보취득유닛(55)이 핸드오버제어유닛(36)으로부터 핸드오버 완료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 상기 재생속도계산유닛(56)은 패킷 수신 간격을 사전설정된 간격으로 취득하고, 사전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취득한 패킷 수신 간격들의 평균값을 계산한다. 그 후, 상기 재생속도계산유닛(56)은 상기 계산된 패킷 수신 간격들의 평균값과 VoIP 어플리케이션의 표준 수신 간격들간의 차이가 역치 내에 있는 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그 결과 상기 차이가 역치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재생속도계산유닛(56)은 패킷이 핸드오버 목적지로부터 수신되는 것으로 결정하고, 그 때 상기 지터버퍼감시유닛(50)으로부터 상기 지터버퍼(47)의 패킷수(데이터량)를 취득하여, 상기 취득한 패킷수가 소정량을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 결과 상기 지터버퍼(47)의 패킷수가 소정량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재생속도계산유닛(56)은 지터버퍼제어유닛(51)으로 하여금 패킷수가 소정량을 초과한 후, 즉 t=(Tst-Tc)/(Vst-V) 이후, 통상적인 재생 속도 제어로 리턴하도록 지시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지터버퍼(47)의 패킷수가 소정량을 초과하면, 상기 재생속도계산유닛(56)은 지터버퍼제어유닛(51)으로 하여금 즉시 통상적인 재생 속도 제어로 리턴하도록 지시한다. 즉, 패킷들이 핸드오버 목적지로부터 수신되는 것으로 재생속도계산유닛(56)이 판정하는 경우, 상기 지터버퍼제어유닛(51)은 지터버퍼(47)로부터의 독출을 제어하여, 지터버퍼(47)의 패킷수가 소정량을 초과할 때 상기 재생 속도가 표준 재생 속도 Vst로 리턴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터버퍼(47)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들을 보여준다. 도 10에서, (a)는 단위 시간 안에 지터버퍼(47)에 의해 수신되는 패킷수를 보여주고, (b)는 지터버퍼(47)로부터의 패킷들의 재생 속도(독출 간격)를 보여주며, (c)는 지터버퍼(47)의 패킷수를 보여준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들의 흐름을 보여주고, "송신"은 카운터파트 통신 단말(12)에 의한 패킷들의 송신 타이밍들을 나타내고, "수신"은 무선통신장치(11)의 지터버퍼(47)에 의해 수신되는 패킷들의 수신 타이밍들을 나타내며, "재생"은 무선통신장치(11)에 의한 패킷들의 재생 타이밍(지터버퍼(47)로부터 패킷들을 독출하는 타이밍)들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핸드오버 소스의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와 핸드오버 목적지의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 양자 모두에서 수신된 패킷들의 편차(도착 간격들의 변위)가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다른 구성 및 동작들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들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11)는 짧은 절대 지연 시간 Tddn1을 갖는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로부터 긴 절대 지연 시간 Tddn2를 갖는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하여, 핸드오버 개시를 위한 준비 시간 Tp, 절대 지연 시간 Tddn1 및 Tddn2, 및 핸드오버 예정 결정 시에 지터버퍼(47)의 패킷수(데이터량)를 사전에 미리 취득한다. 취득한 정보를 토대로, 핸드오버 예정 결정 이후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는 표준 재생 속도 Vst로부터, 핸드오버 목적지로부터의 패킷 수신 개시를 위한 시간에 상기 지터버퍼(47)의 패킷수가 제로가 되는 일정 속도인 재생 속도 V로 감소된다.
그 후, 핸드오버의 완료 이후 그리고 근사적으로 사전설정된 간격으로 핸드오버 목적지로부터 패킷들이 수신된다는 것을 확인한 후 지터버퍼(47)의 패킷수를 토대로 상기 패킷수가 소정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장치(11)는 즉시 표준 재생 속도 Vst로 리턴한다. 패킷수가 소정량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통신장치(11)는 지터버퍼(47)의 패킷수가 소정량을 초과한 후, 즉 t=(Tst-Tc)/(Vst-V) 이후 표준 재생 속도 Vst로 리턴시킨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무선통신장치(11)에 따르면,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종래의 경우에 비해, 핸드오버 소스의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와 핸드오버 목적지의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의 절대 지연 시간들의 차이를 흡수하기 위해 소비하는 시간을 연장시켜, 표준 재생 속도에 근접한 일정한 재생 속도로 어플리케이션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재생 품질과 실시간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로부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로의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한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제1실시예에 기술된 구성을 갖는 무선통신장치(11)에 있어서, 핸드오버제어유닛(36)은 제1무선I/F(31) 및 제2무선I/F(32)로부터 취득한 통신 품질을 토대로 핸드오버 예정을 결정하거나 또는 핸드오버를 취소한다. 예를 들어, 제1무선I/F(31)로부터 취득한 통신 품질이 핸드오버 예정 결정 역치 이하가 되고, 이 때 상기 제2무선I/F(32)로부터 취득한 통신 품질이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와 무선 링크를 형성하는 호출 동안 상기 제1무선I/F(31)로부터 취득한 통신 품질 이상인 경우,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은 제1무선I/F(31)로부터 취득한 통신 품질을 토대로 사전설정된 핸드오버 준비 시간 Tp가 경과한 때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핸드오버 예정을 결정, 즉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 개시를 결정한다.
제1무선I/F(31)로부터 취득한 통신 품질이 핸드오버 예정 결정 역치 이하가 될 때 상기 제2무선I/F(32)로부터 취득한 통신 품질이 상기 제1무선I/F(31)로부터 취득한 통신 품질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은 대응하는 통신 품질을 토대로 그 후에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와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의 통신 품질을 예측한다. 그 후,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은 핸드오버 준비 시간 Tp가 경과한 후 그리고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의 예측된 통신 품질이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의 통신 품질 이상이 될 때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하여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 개시를 결정한다.
핸드오버제어유닛(36)이 핸드오버 예정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은 핸드오버 개시를 위한 핸드오버 준비 시간 Tp, 상기 핸드오버 준비 시간 Tp 이후(핸드오버를 실행하기 위한 예정된 시간 이후) 핸드오버 목적지의 스루풋, 현재 사용 중인 무선통신네트워크(이 경우에는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의 핸드오버 소스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1, 및 핸드오버 목적지의 무선통신네트워크(이 경우에는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의 핸드오버 목적지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2를 취득한다. 그 후,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은 핸드오버 예정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소요 핸드오버 정보로서 상기 취득한 정보를 전화기능유닛(33)에 제공한다. 상기 전화기능유닛(33)은 호출 개시 시에 전제제어유닛(53)으로부터 소프트폰(어플리케이션)의 소요 대역 역치를 취득하고, 상기 핸드오버정보취득유닛(55)으로부터의 소요 대역 역치를 핸드오버제어유닛(36)에 제공한다.
다음으로, 핸드오버제어유닛(36)에 의한, 핸드오버 준비 시간 Tp을 취득하기 위한 방법 및 핸드오버 목적지의 스루풋을 취득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핸드오버 소스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1 및 핸드오버 목적지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2를 취득하기 위한 방법들은 상기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핸드오버 준비 시간 Tp를 취득하기 위한 방법)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드오버 준비 시간 Tp는, 핸드오버 소스의 통신 품질이 핸드오버 예정 결정 역치 이하가 될 때, 상기 핸드오버 목적지의 통신 품질이 상기 핸드오버 소스의 통신 품질 이상인 경우((a) 핸드오버 준비 시간을 취득하기 위한 제1방법)와, 핸드오버 소스의 통신 품질이 핸드오버 예정 결정 역치 이하가 될 때 상기 핸드오버 목적지의 통신 품질이 상기 핸드오버 소스의 통신 품질에 이르지 못한 경우((b) 핸드오버 준비 시간을 취득하기 위한 제2방법)간의 상이한 방법들에 의해 획득된다.
(a) 핸드오버 준비 시간을 취득하기 위한 제1방법
이 경우에는, 예컨대 도 4(a) 및 도 4(b)의 설명들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통신 품질을 결정하는 무선 상태(Rs)의 변화율 △Rs(기울기)를 토대로 핸드오버 준비 시간 Tp가 계산된다.
(b) 핸드오버 준비 시간을 취득하기 위한 제2방법
이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오버 소스의 통신 품질이 핸드오버 예정 결정 역치 이하가 될 때, 그 후 핸드오버 소스의 통신 품질을 예측하기 위하여 핸드오버 소스의 평균 변화율 △Rsrms이 계산되고, 상기 핸드오버 목적지의 평균 변화율 △Rsrms 또한 그 후 핸드오버 목적지의 통신 품질을 예측하기 위하여 계산된다. 이에 따라, 핸드오버 소스의 통신 품질이 핸드오버 예정 결정 역치 이하가 될 때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목적지의 예측된 통신 품질이 핸드오버 소스의 예측된 통신 품질 이상이 될 때까지의 기간이 핸드오버 준비 시간 Tp으로 얻어지게 된다.
(핸드오버 목적지의 스루풋을 취득하기 위한 방법)
핸드오버 목적지의 스루풋으로서,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위한 예정된 시간으로부터, 상기 스루풋이 전화기능유닛(33)으로부터 취득한 어플리케이션의 소요 대역 역치에 이를 때까지의,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의 스루풋의 트랜지션(예측된 스루풋 및 그 기간 각각)이 예측된다. 이러한 이유로, 예컨대 도 13에 도시된 스루풋 및 통신 품질(무선 상태)의 변환 테이블이 사전에 미리 핸드오버제어유닛(36)에 저장된다.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은, 예컨대 핸드오버 예정의 결정 시 평균 변화율 △Rsrms로부터 예측되는 예정된 핸드오버 실행 이후의 통신 품질을 토대로, 도 13의 변환 테이블로부터, 예정된 핸드오버 실행 이후의 상기 스루풋이 어플리케이션의 소요 대역 역치에 이를 때까지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의 스루풋의 트랜지션을 예측한다.
여기서는, 예컨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오버 목적지의 예측된 스루풋이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위한 예정된 시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소요 대역 역치 이상인 경우, 상기 예측된 스루풋 및 기간 0이 전화기능유닛(33)에 제공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핸드오버 목적지의 예측된 스루풋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위한 예정된 시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소요 대역 역치에 이르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예측된 스루풋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소요 대역 역치를 충족시킬 때까지 상기 예측된 스루풋의 트랜지션, 즉 도 12에 대각선으로 도시된 영역 S의 예측된 스루풋 V1, V2, ..., Vm 및 각각의 예측된 스루풋에 대응하는 시간 주기 T1, T2, ..., Tm이 상기 전화기능유닛(33)에 제공된다.
또한, 핸드오버제어유닛(36)이 핸드오버 예정을 결정하면,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은 상기 실시예들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핸드오버 처리를 실행하도록 통신처리유닛(34)을 제어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11)에서는, 핸드오버제어유닛(36)이 핸드오버예정을 판정하면, 핸드오버제어유닛(36)은 그 후의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와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의 통신 품질을 계속 감시하여, 통신 품질을 사전설정된 간격으로 예측한다. 핸드오버 소스의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의 예측된 통신 품질이, 상기 핸드오버 준비 시간 Tp 보다 긴 사전설정된 시간 이후,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의 예측된 통신 품질보다 더 양호하게 되는(초과하는) 상태가 사전설정된 기간보다 더 긴 시간동안 계속되는 경우에는, 예컨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드오버제어유닛(36)이 핸드오버 예정을 취소하고, 이에 따라 전화기능유닛(33)에 공지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11)에서는, 핸드오버제어유닛(36)이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 개시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결정유닛, 핸드오버 준비 시간을 추정하고 예정된 핸드오버 실행 후 핸드오버 목적지의 통신 품질을 예측하며 핸드오버 예정을 취소하기 위한 추정유닛, 및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와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의 각각의 지연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유닛을 구성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11)의 전화기능유닛(33)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전화기능유닛(33)의 주요부의 동작을 예시하는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상기 핸드오버정보취득유닛(55)은 호출 개시 시 전체제어유닛(53)으로부터 소프트폰(어플리케이션)의 소요 대역 역치를 취득하고, 상기 소요 대역 역치를 핸드오버제어유닛(36)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핸드오버정보취득유닛(55)은 호출 동안 사전설정된 간격으로 핸드오버제어유닛(36)으로부터의 핸드오버 정보를 감시하고, 핸드오버 예정이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취득하면, 핸드오버제어유닛(36)으로부터의 소요 핸드오버 정보인 핸드오버 준비 시간 Tp, 핸드오버 목적지의 스루풋, 핸드오버 소스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1, 및 핸드오버 목적지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2를 추가로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소요 핸드오버 정보를 재생속도계산유닛(56)에 제공한다.
핸드오버정보취득유닛(55)으로부터 취득한 소요 핸드오버 정보를 토대로, 재생속도계산유닛(56)은 상기 실시예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Tddn2)과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Tddn1)간의 차이 Ta(Ta=Tddn2-Tddn1)를 계산하고, 상기 차이 Ta가 소정값(>0)을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절대 지연 시간 차이 Ta가 소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즉 핸드오버 목적지의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의 지연 시간이 핸드오버 소스의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의 지연 시간보다 사전설정된 값 이상으로 긴 경우, 상기 재생속도계산유닛(56)은 상기 취득한 소요 핸드오버 정보 및 지터버퍼감시유닛(50)에 의한 지터버퍼(47)의 감시 결과를 토대로 하기 공식 7로부터 상기 지터버퍼(47)의 수신된 패킷들의 재생 속도 V를 계산한다. 상기 공식 4, 6과 동일한 방식으로, 공식 7에서 핸드오버 예정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의 수신 시, Vst는 표준 재생 속도를 나타내고, Tc는 지터버퍼(47)의 패킷수(데이터량)에 대응하는 시간을 나타낸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재생 속도 V, Vst는 예컨대 시간비(시간/시간) 및 Vst=1로 도시되어 있다.
[공식 7]
V=(Tc+Tp×Vst+V1×T1+V2×T2+...+Vm×Tm)/(Tp+Ta+T1+T2+...+Tm)
예컨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오버 목적지의 예측된 스루풋이,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위한 예정된 시간에, 어플리케이션의 소요 대역 역치 이상인 경우, 상기 예측된 스루풋 및 기간 0이 핸드오버제어유닛(36)으로부터 취득되어, 이 경우에는 기간 T1, T2,..., Tm이 상기 공식 7에서 제로가 되게 된다. 이에 따라, 이 경우의 재생 속도 V는 제2실시예에서 상기 공식 6과 동일한 공식에 의해 계산되고, 지터버퍼(47)의 패킷수들은 핸드오버 목적지로부터의 패킷 수신이 개시될 때 제로가 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예정된 핸드오버 실행 이후 핸드오버 목적지의 예측된 스루풋이 어플리케이션의 소요 대역 역치를 달성하지 않는 경우, 소요 대역 역치 및 이에 대응하는 기간 T1, T2,..., Tm을 달성하지 않는 영역의 예측된 스루풋 V1, V2,..., Vm이 핸드오버제어유닛(36)으로부터 취득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공식 7에 의해 재생 속도 V가 계산되고, 상기 지터버퍼(47)의 패킷수들은 상기 예측된 스루풋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소요 대역 역치를 충족시킬 때에 제로가 되게 된다.
상기 재생속도계산유닛(56)은 계산된 재생 속도 V를 지터버퍼제어유닛(51)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지터버퍼제어유닛(51)이 지터버퍼(47)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의 독출을 제어하여, 표준 재생 속도 Vst 보다 느린 재생 속도 V로 수신된 패킷들을 재생하게 된다. 상기 지터버퍼제어유닛(51)에 의한 수신된 패킷들의 재생 속도 제어는 제1실시예에 기술된 제2재생속도제어 또는 제1재생속도제어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후속해서, 핸드오버정보취득유닛(55)이 핸드오버제어유닛(36)으로부터 핸드오버 완료 정보를 취득하면, 상기 재생속도계산유닛(56)은 지터버퍼감시유닛(50)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패킷들의 수신 간격들을 취득한다. 그 후, 상기 재생속도계산유닛(56)은 소정의 시간에 수신 간격들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패킷들의 수신 간격들의 평균값과 VoIP 어플리케이션의 표준 수신 간격간의 차이가 역치 이내에 있는 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그 결과 상기 차이가 역치 이내에 있는 경우, 상기 재생속도계산유닛(56)은 핸드오버 목적지로부터 패킷이 수신되는 것으로 판정하여, 이 때 지터버퍼감시유닛(50)으로부터 지터버퍼(47)의 패킷수(데이터량)를 취득한 다음, 상기 취득한 패킷수가 소정량을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상기 지터버퍼(47)의 패킷수가 소정량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재생속도계산유닛(56)은 패킷수가 소정량을 초과한 후, 즉 t=(Tst-Tc)/(Vst-V) 이후 통상적인 재생 속도 제어로 리턴하도록 지터버퍼제어유닛(51)에 지시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상기 지터버퍼(47)의 패킷수가 소정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재생속도계산유닛(56)은 통상적인 재생 속도 제어로 리턴하도록 지터버퍼제어유닛(51)에 지시한다. 즉, 상기 핸드오버 목적지로부터 패킷이 수신되는 것으로 상기 재생속도계산유닛(56)이 판정하는 경우, 상기 지터버퍼제어유닛(51)은 상기 지터버퍼(47)의 패킷수가 소정량을 초과할 때 표준 재생 속도 Vst로 리턴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터버퍼(47)로부터의 독출을 제어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터버퍼(47)의 예시화된 제어들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16은 상기 공식 6에서 재생 속도 V에 의한 제어의 일례를 보여주는 반면, 도 17은 상기 공식 7에서 재생 속도 V에 의한 제어의 일례를 보여준다. 각각의 도면에서, (a)는 단위 시간 내에 지터버퍼(47)에 의해 수신되는 패킷수를 보여주고, (b)는 지터버퍼(47)로부터의 패킷들의 재생 속도(독출 간격)를 보여주며, (c)는 지터버퍼(47)의 패킷수를 보여준다.
도 16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핸드오버 목적지의 예측된 스루풋이,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위한 예정된 시간에, 어플리케이션의 소요 대역 역치 이상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 V는 핸드오버 예정이 공지된 이후 표준 재생 속도 Vst 보다 느리게 되어, 제2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핸드오버 목적지로부터의 패킷들의 수신 개시 시 상기 지터버퍼(47)의 패킷수가 제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긴 시간에 걸쳐 핸드오버 목적지의 절대 지연 시간과의 차이를 흡수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표준 재생 속도 Vst에 훨씬 더 근접한 재생 속도 V를 만들게 된다.
또한, 도 17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핸드오버 목적지의 예측된 스루풋이,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위한 예정된 시간에, 어플리케이션의 소요 대역 역치에 이르지 못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 V는 핸드오버 예정이 공지된 이후 표준 재생 속도 Vs 보다 느리게 되어, 상기 예측된 스루풋이 어플리케이션의 소요 대역 역치에 이르게 될 때 상기 지터버퍼(47)의 패킷수가 제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핸드오버 목적지의 절대 지연 시간과의 차이가 도 16에 도시된 경우에서보다 긴 시간에 걸쳐 흡수되므로, 이 경우 핸드오버 목적지의 무선 상태가 더 악화될 때, 도 16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표준 재생 속도 Vst와의 재생 속도 V의 차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통신 품질 및 실시간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로부터 절대 지연 시간이 보다 긴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전화기능유닛(33)이 핸드오버 예정이 있다고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여 재생속도의 제어를 개시한 후 상기 핸드오버 예정의 취소 정보가 취득될 때의 동작을 도 18에 도시된 시퀀스 다이어그램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이러한 경우, 재생속도계산유닛(56)이 핸드오버정보취득유닛(55)으로부터 핸드오버 예정의 취소 정보를 취득하면, 이 때 상기 재생속도계산유닛(56)은 우선 지터버퍼감시유닛(50)으로부터 상기 지터버퍼(47)의 패킷수를 취득하여, 패킷수가 표준량인 지의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지터버퍼(47)의 패킷수가 표준량 이하인 경우, 상기 재생속도계산유닛(56)은 지터버퍼(47)의 재생 속도 제어를 통상적인 재생 속도 제어로 리턴시키도록 지터버퍼제어유닛(51)에 지시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상기 지터버퍼(47)의 패킷수가 결과적으로 표준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재생속도계산유닛(56)이 지터버퍼제어유닛(51)에 지시하여, 표준 재생 속도 Vst 보다 빠른 사전설정된 속도 Vf로 패킷들을 재생시키고, 후술하는 공식 8을 이용하여 계산되는 시간 t 이후 통상적인 재생 속도 제어로 리턴시키게 된다. 공식 8에서, 사전설정된 속도 Vf는 표준 재생 속도 Vst에 대한 비율로, 재생 속도/표준 재생 속도 Vst×100 공식에 의해 계산된다. 이러한 사전설정된 속도 Vf와 같은 고속으로 패킷들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지터버퍼(47)로부터 패킷들을 독출하기 위한 간격(추출 간격)은 Ti/Vf(Ti:표준 독출 간격, Vf:표준 재생 속도 Vst에 대한 비)로 단축되도록 설정된다.
[공식 8]
t=(Tst-Tc)/(Vst-Vf)
도 19는 핸드오버 예정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11)에서 취소될 때, 상기 지터버퍼(47)의 패킷수가 표준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지터버퍼(47)의 제어의 일례를 예시한 도면들을 보여준다. 도 19에서, (a)는 단위 시간 내에 지터버퍼(47)에 의해 수신되는 패킷수를 보여주고, (b)는 지터버퍼(47)로부터의 패킷들의 재생 속도(독출 간격)를 보여주며, (c)는 지터버퍼(47)의 패킷수를 보여준다. 여타의 구성 및 동작들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11)에 따르면, 짧은 절대 지연 시간 Tddn1을 갖는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로부터, 긴 절대 지연 시간 Tddn2를 갖는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하여, 예정된 핸드오버 실행 이후의 핸드오버 목적지의 스루풋은 사전에 미리 예측되고, 상기 예측된 스루풋을 고려하여, 상기 핸드오버 예정의 결정 시로부터의 재생 속도가 계산된다. 따라서, 핸드오버 실행 이후의 무선 상태가 양호한 경우 뿐만 아니라, 핸드오버 실행 이후의 무선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도, 핸드오버 소스의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와 핸드오버 목적지의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의 지연 시간들의 차이를 흡수하는 시간을 연장시킴으로써,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종래의 경우에서의 재생 속도보다 표준 재생 속도에 훨씬 더 근접한 일정한 속도로 어플리케이션을 재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통신 품질 및 실시간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제1무선통신네트워크(15)로부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16)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로 국한되지 아니하며 다수의 방식으로 변경 또는 변형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만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VoIP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무선통신장치 뿐만 아니라, 영상, 음악 등의 스트리밍 멀티미디어와 같은 실시간 통신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무선통신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전화기능유닛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유닛에서 유사한 지터버퍼제어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기능유닛으로 교체된다.
11 무선통신장치
12 카운터파트(counterpart) 통신 단말
12a 핸드셋
15 제1무선통신네트워크
15a 액세스포인트
16 제2무선통신네트워크
16a 기지국
17 패킷네트워크
18 인터넷
21, 22 SIP 서버
23 HA(Home Agent)
31 제1무선 I/F
32 제2무선 I/F
33 전화기능유닛
34 통신처리유닛
35 무선정보취득유닛
36 핸드오버제어유닛
47 지터버퍼
50 지터버퍼감시유닛
51 지터버퍼제어유닛
55 핸드오버정보취득유닛
56 재생속도계산유닛

Claims (14)

  1.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제1무선통신네트워크 및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와 상이한 제2무선통신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무선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무선통신유닛;
    상기 무선통신유닛을 거쳐 실시간 통신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유닛;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하는 동안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의 무선 링크의 통신 품질을 취득하기 위한 통신품질취득유닛;
    상기 통신품질취득유닛에 의해 취득한 통신 품질을 토대로,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를 개시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유닛;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할 동안 상기 결정유닛이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의 개시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통신품질취득유닛에 의해 취득한 통신 품질을 토대로, 핸드오버를 개시할 때까지의 핸드오버준비시간을 추정하기 위한 추정유닛;
    상기 결정유닛이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의 개시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 및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 각각의 지연 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측정유닛; 및
    상기 추정유닛에 의해 추정된 핸드오버준비시간 및 상기 측정유닛에 의해 계측된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 및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 각각의 지연 시간을 토대로, 상기 실행유닛에 의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의 지연 시간과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의 지연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의 지연 시간이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의 지연 시간 보다 사전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긴 경우, 상기 실행유닛에 의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늦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를 개시한 이후 상기 실행유닛에 의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늦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유닛에는 지터버퍼(jitter buffer) 및 상기 지터버퍼의 데이터량을 감시하기 위한 지터버퍼감시유닛이 제공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 완료 후, 상기 지터버퍼감시유닛에 의해 감시된 지터버퍼의 데이터량이 사전설정된 양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통상 속도로 리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5.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제1무선통신네트워크 및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와 상이한 제2무선통신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무선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무선통신유닛;
    지터버퍼와 상기 지터버퍼의 데이터량을 감시하기 위한 지터버퍼감시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통신유닛을 거쳐 실시간 통신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유닛;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안에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의 무선 링크의 통신 품질을 취득하기 위한 통신품질취득유닛;
    상기 통신품질취득유닛에 의해 취득한 통신 품질을 토대로,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를 개시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유닛;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동안, 상기 결정유닛이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의 개시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통신품질취득유닛에 의해 취득한 통신 품질을 토대로, 핸드오버를 개시할 때까지의 핸드오버준비시간을 추정하기 위한 추정유닛;
    상기 결정유닛이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의 개시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 및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 각각의 지연 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측정유닛; 및
    상기 추정유닛에 의해 추정된 핸드오버준비시간, 상기 측정유닛에 의해 계측된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 및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 각각의 지연 시간, 및 상기 결정유닛이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의 개시를 결정하는 시점에 상기 지터버퍼감시유닛에 의해 감시된 상기 지터버퍼의 데이터량을 토대로, 상기 실행유닛에 의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늦추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시작할 때에, 상기 지터버퍼의 데이터량이 제로가 되도록 상기 실행유닛에 의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늦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의 지연 시간과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의 지연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의 지연 시간이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의 지연 시간 보다 사전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긴 경우, 상기 실행유닛에 의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늦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를 개시한 이후, 상기 실행유닛에 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늦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 완료 후, 상기 지터버퍼감시유닛에 의해 감시된 지터버퍼의 데이터량이 사전설정된 양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통상 속도로 리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10.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제1무선통신네트워크 및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와 상이한 제2무선통신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무선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무선통신유닛;
    지터버퍼와 상기 지터버퍼의 데이터량을 감시하기 위한 지터버퍼감시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통신유닛을 거쳐 실시간 통신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유닛;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안에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 및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의 무선 링크의 통신 품질을 취득하기 위한 통신품질취득유닛;
    상기 통신품질취득유닛에 의해 취득한 통신 품질을 토대로,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를 개시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유닛;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동안, 상기 결정유닛이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의 개시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통신품질취득유닛에 의해 취득한 통신 품질을 토대로, 핸드오버를 개시할 때까지의 핸드오버준비시간 및 예정된 핸드오버 실행 이후의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의 통신 품질을 추정하기 위한 추정유닛;
    상기 결정유닛이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의 개시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 및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 각각의 지연 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측정유닛; 및
    상기 추정유닛에 의해 추정된 핸드오버준비시간, 상기 추정유닛에 의해 예측된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의 예정된 핸드오버 실행 이후의 통신 품질, 상기 측정유닛에 의해 계측된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 및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 각각의 지연 시간, 및 상기 결정유닛이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의 개시를 결정하는 시점에서의 상기 지터버퍼감시유닛에 의해 감시된 상기 지터버퍼의 데이터량을 토대로, 상기 실행유닛에 의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의 지연 시간과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의 지연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의 지연 시간이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의 지연 시간 보다 사전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긴 경우, 상기 실행유닛에 의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늦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 개시 이후 상기 실행유닛에 의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늦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유닛은, 예정된 핸드오버 실행 이후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의 통신 품질로서, 상기 제2무선통신시스템의 스루풋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소요 대역 역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트랜지션을 추정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위하여 예정된 시간에 상기 추정유닛에 의해 예측된 스루풋이 이미 소요 대역 역치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시작할 때에 상기 지터버퍼의 데이터량이 0이 되도록 상기 실행유닛에 의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제어하며, 핸드오버를 실행하도록 예정된 시간에 상기 추정유닛에 의해 예측된 스루풋이 소요 대역 역치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예측된 스루풋이 상기 소요 대역 역치에 도달한 때에 상기 지터버퍼의 데이터량이 0이 되도록 상기 실행유닛에 의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유닛은, 상기 결정유닛에 의해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의 개시를 결정 이후, 상기 통신품질취득유닛에 의해 상이한 타이밍들에서 취득한 통신 품질을 토대로, 대응하는 상기 제1무선통신네트워크와 상기 제2무선통신네트워크 각각의 통신 품질을 예측하고, 상기 핸드오버준비시간을 초과하는 사전설정된 시간 이후,상기 제1무선통신시스템의 예측된 통신 품질이 상기 제2무선통신시스템의 예측된 통신 품질을 초과한다면, 상기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의 취소를 상기 제어유닛에 통지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추정유닛에 의해 상기 핸드오버를 위한 준비의 취소가 통지될 때, 상기 실행유닛에 의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통상 재생 속도로 리턴시키기 위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KR1020107015722A 2007-12-27 2008-12-26 무선통신장치 KR1011528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37123 2007-12-27
JP2007337123A JP5053071B2 (ja) 2007-12-27 2007-12-27 無線通信装置
JPJP-P-2008-019638 2008-01-30
JP2008019638A JP5128974B2 (ja) 2008-01-30 2008-01-30 無線通信装置
JPJP-P-2008-019642 2008-01-30
JP2008019642A JP5048539B2 (ja) 2008-01-30 2008-01-30 無線通信装置
PCT/JP2008/073860 WO2009084689A1 (ja) 2007-12-27 2008-12-26 無線通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601A true KR20100103601A (ko) 2010-09-27
KR101152854B1 KR101152854B1 (ko) 2012-06-12

Family

ID=40824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722A KR101152854B1 (ko) 2007-12-27 2008-12-26 무선통신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19711B2 (ko)
KR (1) KR101152854B1 (ko)
WO (1) WO20090846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5466B2 (en) * 2007-02-14 2011-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al time reproduction method of file being received according to non real time transfer protocol and a video apparatus thereof
US9271186B2 (en) 2011-01-28 2016-02-23 Nec Corporation Throughput estimation device
JP5790312B2 (ja) * 2011-08-25 2015-10-07 富士通株式会社 通信方法、通信装置、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US20130100819A1 (en) * 2011-10-19 2013-04-25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vely acquiring and advertising a connection between a user equipment and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JP5964737B2 (ja) * 2012-12-14 2016-08-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端末
CN105103615B (zh) * 2013-02-06 2020-01-17 爱立信(中国)通信有限公司 对于切换的增强解决方案
US9763148B2 (en) 2015-05-04 2017-09-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wireless connectivity in a communication system
US9998386B2 (en) 2015-05-21 2018-06-12 At&T Mobility Ii Llc Facilitation of adaptive dejitter buffer
US10290303B2 (en) * 2016-08-25 2019-05-14 Google Llc Audio compensation techniques for network outag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729650A (zh) * 2002-12-18 2006-02-01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向多个蓝牙移动终端蓝牙广播数据流
US7440430B1 (en) * 2004-03-30 2008-10-21 Cisco Technology, Inc. Jitter buffer management for mobile communication handoffs
JP4076981B2 (ja) 2004-08-09 2008-04-16 Kddi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およびバッファ制御方法
US7830900B2 (en) * 2004-08-30 2010-11-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aptive de-jitter buffer
US8085678B2 (en) * 2004-10-13 2011-12-27 Qualcomm Incorporated Media (voice) playback (de-jitter) buffer adjustments based on air interface
US7970020B2 (en) * 2004-10-27 2011-06-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rminal having plural playback pointers for jitter buffer
US20060187970A1 (en) 2005-02-22 2006-08-24 Minkyu Lee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network jitter in a Voice-over IP communications network using a virtual jitter buffer and time scale modification
JP4771369B2 (ja) * 2006-02-10 2011-09-14 Kddi株式会社 シームレスハンドオーバにおけるメディアストリーム切替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2854B1 (ko) 2012-06-12
WO2009084689A1 (ja) 2009-07-09
US20110002308A1 (en) 2011-01-06
US8619711B2 (en) 201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854B1 (ko) 무선통신장치
KR101162872B1 (ko) 무선 통신 장치
KR101162868B1 (ko) 무선 통신 장치
JP5002707B2 (ja) 無線通信装置、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通信方法
US887950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861499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101169160B1 (ko) 무선 통신 장치
JP5048539B2 (ja) 無線通信装置
JP5128974B2 (ja) 無線通信装置
JP5053071B2 (ja) 無線通信装置
JP5224996B2 (ja) 無線通信装置
JP2009182653A (ja) 無線通信装置
JP2010130226A (ja) 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